KR20160031794A - 병변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병변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794A
KR20160031794A KR1020140121968A KR20140121968A KR20160031794A KR 20160031794 A KR20160031794 A KR 20160031794A KR 1020140121968 A KR1020140121968 A KR 1020140121968A KR 20140121968 A KR20140121968 A KR 20140121968A KR 20160031794 A KR20160031794 A KR 20160031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ion
dimensional
detecting
panoram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349B1 (ko
Inventor
한태희
김재철
서동완
임세열
Original Assignee
(주)바텍이우홀딩스
주식회사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텍이우홀딩스, 주식회사바텍 filed Critical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to KR102014012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3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61B6/469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변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2차원 의료 영상에서 검출된 예상병변이 3차원 의료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한 후에 검출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3차원 의료 영상에 3차원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여 병변을 검출함으로써, 병변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변 검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병변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병변 검출 장치에 있어서, 2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2차원 의료 영상에서 예상병변을 검출하기 위한 2차원 병변 검출부; 상기 2차원 병변 검출부에서 검출된 예상병변이 3차원 의료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하기 위한 3차원 좌표 검출부; 상기 3차원 좌표 검출부에서 검출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의료 영상에 3차원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기 위한 3차원 관심 영역 설정부; 및 3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의료 영상에 설정된 3차원 관심 영역(ROI)에서 병변을 검출하기 위한 3차원 병변 검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병변 검출 장치 및 그 방법{Les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의료 영상에서 병변을 검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차원 의료 영상(예 : 파노라마 영상)에서 검출된 예상병변이 3차원 의료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한 후에 3차원 의료 영상(예 :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3차원 관심 영역(ROI : Region Of Interest)을 설정하여 병변을 검출함으로써, 병변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변 검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병변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차원 의료 영상의 일예로 파노라마 영상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3차원 의료 영상의 일예로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CT : Computed Tomography)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병변 검출 알고리즘의 일예로 오럴 병변 검출 알고리즘(Oral Lesion Detection Algorithm)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최근에 수술 기법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최소 침습 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 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최소 침습 방법은 병변으로의 접근을 위해 피부와 근육을 절개하는 대신에 주사기나 카테터(Catheter) 등의 수술 도구를 이용하여 병변에 접근하여 약물주입, 병변 제거, 보철물 삽입 등을 시행하는 시술 방법이다. 이러한 시술을 위해서 의사는 병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또한, 의사가 정확한 병명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체의 병변의 크기, 모양, 위치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병변의 크기, 모양, 위치 등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의료용 영상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단층 촬영(CT : Computed Tomography) 장치, 자기 공명 영상(MRI :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장치,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장치, 및 단일 광자 방출 단층 촬영(SPECT :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장치 등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정확한 병변 검출을 위해서는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하여 병변을 검출하거나, 컴퓨터 단층 촬영(CT) 영상을 이용하여 병변을 검출한다.
그런데,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은 파노라마 영상에 비해 연산량이 많이 필요하므로,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대해 바로 3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예 : 3차원 오럴 병변 검출 알고리즘(Oral Lesion Detection Algorithm))을 적용하는 경우 병변 검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병변 검출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은 병변 검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병변 검출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차원 의료 영상에서 검출된 예상병변이 3차원 의료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한 후에 검출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3차원 의료 영상에 3차원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여 병변을 검출함으로써, 병변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변 검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병변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병변 검출 장치에 있어서, 2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2차원 의료 영상에서 예상병변을 검출하기 위한 2차원 병변 검출부; 상기 2차원 병변 검출부에서 검출된 예상병변이 3차원 의료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하기 위한 3차원 좌표 검출부; 상기 3차원 좌표 검출부에서 검출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의료 영상에 3차원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기 위한 3차원 관심 영역 설정부; 및 3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의료 영상에 설정된 3차원 관심 영역(ROI)에서 병변을 검출하기 위한 3차원 병변 검출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병변 검출 장치에서의 병변 검출 방법에 있어서, (a) 2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2차원 의료 영상에서 예상병변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예상병변이 3차원 의료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검출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의료 영상에 3차원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3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의료 영상에 설정된 3차원 관심 영역(ROI)에서 병변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2차원 의료 영상에서 검출된 예상병변이 3차원 의료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한 후에 검출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3차원 의료 영상에 3차원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여 병변을 검출함으로써, 병변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변 검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변 검출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병변이 있는 파노라마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파노라마 궤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3차원 관심 영역(ROI)을 설정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변 검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의 기재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들을 단수형으로 기재하였다고 해서, 본 발명이 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구성요소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술 요지를 정리하여 살펴보면, 파노라마 영상에 대해 2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예 : 2차원 오럴 병변 검출 알고리즘(Oral Lesion Detection Algorithm))을 적용하여 예상병변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예상병변이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파노라마 궤적 또는 파노라마 산출 영역을 바탕으로 검출한다. 이렇게 검출된 3차원 좌표를 기준으로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3차원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여 3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예 : 3차원 오럴 병변 검출 알고리즘(Oral Lesion Detection Algorithm))을 적용하여 병변을 검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변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병변이 있는 파노라마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파노라마 궤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3차원 관심 영역(ROI)을 설정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변 검출 장치는, 2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에서 예상병변을 검출하기 위한 2차원 병변 검출부(110), 2차원 병변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예상병변이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하기 위한 3차원 좌표 검출부(120), 3차원 좌표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3차원 관심 영역(ROI : Region Of Interest)을 설정하기 위한 3차원 관심 영역 설정부(130), 및 3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설정된 3차원 관심 영역(ROI)에서 병변을 검출하기 위한 3차원 병변 검출부(14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2차원 병변 검출부(110)는 2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에서 예상병변을 검출한다. 이때, 예를 들어 파노라마 영상이 오럴(Oral)에 대한 파노라마 영상인 경우, 2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으로는 공지의 2차원 오럴 병변 검출 알고리즘(Oral Lesion Detection Algorithm)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예상병변은 병변일 것으로 예상되는 병변으로서, 병변의 가능성이 높은 병변을 의미한다.
그리고 3차원 좌표 검출부(120)는 2차원 병변 검출부(110)가 파노라마 영상에서 검출한 예상병변이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획득)한다. 즉, 3차원 좌표 검출부(120)는 2차원 병변 검출부(110)가 파노라마 영상에서 검출한 예상병변이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도 2에 도시된 파노라마 산출 영역과 도 3에 도시된 파노라마 궤적을 이용하여 검출(획득)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3차원 좌표 검출부(120)는 2차원 병변 검출부(110)가 파노라마 영상에서 검출한 예상병변이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액시얼(Axial) 방향 좌표를 파노라마 산출 영역(도 2에서 Y축 방향)을 이용하여 검출한다. 그리고 3차원 좌표 검출부(120)는 2차원 병변 검출부(110)가 파노라마 영상에서 검출한 예상병변이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커로우널(Coronal) 방향 좌표를 파노라마 산출 영역(도 2에서 X축 방향)을 이용하여 검출한다. 그리고 3차원 좌표 검출부(120)는 2차원 병변 검출부(110)가 파노라마 영상에서 검출한 예상병변이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새지털(Sagittal) 방향 좌표를 파노라마 궤적(도 3에서 궤적)을 이용하여 검출한다.
그리고 3차원 관심 영역 설정부(130)는 3차원 좌표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3차원 관심 영역(ROI : Region Of Interest)을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된 3차원 관심 영역(ROI)의 일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파노라마 영상과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은 동일인에 대하여 동일 부위를 동일 기점을 기준으로 촬영한 의료 영상이다.
그리고 3차원 병변 검출부(140)는 3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설정된 3차원 관심 영역(ROI)에서 병변을 검출한다. 이때,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이 오럴(Oral)에 대한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인 경우, 3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으로는 공지의 3차원 오럴 병변 검출 알고리즘(Oral Lesion Detection Algorithm)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병변 검출 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파노라마 및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서, 3차원 영상의 단면 변환으로 획득하는 방법과 별도의 파노라마 촬영을 통해 획득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별도의 파노라마 촬영을 통해 획득하는 방법은 다시 2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파노라마 및 컴퓨터 단층 촬영(CT) 겸용의 동일 장비에서 촬영된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별도의 파노라마 장비와 컴퓨터 단층 촬영(CT) 장비에서 각각 촬영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느 방법으로 획득된 파노라마 영상을 사용하여도 된다. 다만,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파노라마 및 컴퓨터 단층 촬영(CT) 겸용의 동일 장비에서 촬영된 경우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며, 센서 크기, 확대율, 촬영궤적 등의 기초촬영정보를 근거로 파노라마 궤적과 파노라마 산출 영역을 통해 컴퓨터 단층 촬영(CT) 영상의 액시얼, 커로우널, 새지털 방향 좌표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3차원 영상의 단면 변환으로 획득하는 방법의 경우에 두 영상의 좌표 및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특별한 어려움 없이 컴퓨터 단층 촬영(CT) 영상의 액시얼, 커로우널, 새지털 방향 좌표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별도의 파노라마 장비와 컴퓨터 단층 촬영(CT) 장비에서 각각 촬영된 경우 3차원 좌표 검출부(120)는 3차원 좌표 검출 전에 두 영상의 방향, 좌표, 스케일을 일치시키는 정합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정합 과정은 각각의 영상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복수의 특징점을 일치시키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특징점으로는 교합면, 악궁(전치, 견치, 구치) 형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변 검출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그 구체적인 실시 예는 도 1의 병변 검출 장치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동작 과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2차원 병변 검출부(110)가 2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에서 예상병변을 검출한다(S510).
이후, 3차원 좌표 검출부(120)는 2차원 병변 검출부(110)가 파노라마 영상에서 검출한 예상병변이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획득)한다(S520). 즉, 3차원 좌표 검출부(120)는 2차원 병변 검출부(110)가 파노라마 영상에서 검출한 예상병변이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도 2에 도시된 파노라마 산출 영역과 도 3에 도시된 파노라마 궤적을 이용하여 검출(획득)한다.
이러한 3차원 좌표 검출 과정(S520)을 S521 과정 내지 S523 과정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차원 좌표 검출부(120)는 2차원 병변 검출부(110)가 파노라마 영상에서 검출한 예상병변이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액시얼(Axial) 방향 좌표를 파노라마 산출 영역(도 2에서 Y축 방향)을 이용하여 검출한다(S521).
그리고 3차원 좌표 검출부(120)는 2차원 병변 검출부(110)가 파노라마 영상에서 검출한 예상병변이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커로우널(Coronal) 방향 좌표를 파노라마 산출 영역(도 2에서 X축 방향)을 이용하여 검출한다(S522).
그리고 3차원 좌표 검출부(120)는 2차원 병변 검출부(110)가 파노라마 영상에서 검출한 예상병변이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새지털(Sagittal) 방향 좌표를 파노라마 궤적(도 3에서 궤적)을 이용하여 검출한다(S523).
여기서, S521 과정 내지 S523 과정은 그 순서에 상관없이 수행되어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후, 3차원 관심 영역 설정부(130)는 3차원 좌표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3차원 관심 영역(ROI : Region Of Interest)을 설정한다(S530).
이후, 3차원 병변 검출부(140)는 3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설정된 3차원 관심 영역(ROI)에서 병변을 검출한다(S54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2차원 의료 영상에서 검출된 예상병변이 3차원 의료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한 후에 검출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3차원 의료 영상에 3차원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여 병변을 검출함으로써, 병변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몇 배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변 검출 확률, 즉 병변 검출의 정확도를 3~4배 정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병변 검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2차원 병변 검출부 120 : 3차원 좌표 검출부
130 : 3차원 관심 영역 설정부 140 : 3차원 병변 검출부

Claims (6)

  1. 병변 검출 장치에 있어서,
    2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2차원 의료 영상에서 예상병변을 검출하기 위한 2차원 병변 검출부;
    상기 2차원 병변 검출부에서 검출된 예상병변이 3차원 의료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하기 위한 3차원 좌표 검출부;
    상기 3차원 좌표 검출부에서 검출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의료 영상에 3차원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기 위한 3차원 관심 영역 설정부; 및
    3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의료 영상에 설정된 3차원 관심 영역(ROI)에서 병변을 검출하기 위한 3차원 병변 검출부
    를 포함하는 병변 검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좌표 검출부는,
    파노라마 산출 영역과 파노라마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2차원 병변 검출부에서 검출된 예상병변이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하는, 병변 검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좌표 검출부는,
    상기 2차원 병변 검출부에서 검출된 예상병변이 상기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액시얼(Axial) 방향 좌표를 파노라마 산출 영역을 이용하여 검출하고, 상기 2차원 병변 검출부에서 검출된 예상병변이 상기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커로우널(Coronal) 방향 좌표를 파노라마 산출 영역을 이용하여 검출하며, 상기 2차원 병변 검출부에서 검출된 예상병변이 상기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새지털(Sagittal) 방향 좌표를 파노라마 궤적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병변 검출 장치.
  4. 병변 검출 장치에서의 병변 검출 방법에 있어서,
    (a) 2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2차원 의료 영상에서 예상병변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예상병변이 3차원 의료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검출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의료 영상에 3차원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3차원 병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의료 영상에 설정된 3차원 관심 영역(ROI)에서 병변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병변 검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파노라마 산출 영역과 파노라마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예상병변이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3차원 좌표를 검출하는, 병변 검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검출된 예상병변이 상기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액시얼(Axial) 방향 좌표를 파노라마 산출 영역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예상병변이 상기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커로우널(Coronal) 방향 좌표를 파노라마 산출 영역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예상병변이 상기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에 위치하는 새지털(Sagittal) 방향 좌표를 파노라마 궤적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병변 검출 방법.
KR1020140121968A 2014-09-15 2014-09-15 병변 검출 장치 KR102321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968A KR102321349B1 (ko) 2014-09-15 2014-09-15 병변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968A KR102321349B1 (ko) 2014-09-15 2014-09-15 병변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94A true KR20160031794A (ko) 2016-03-23
KR102321349B1 KR102321349B1 (ko) 2021-11-04

Family

ID=5564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968A KR102321349B1 (ko) 2014-09-15 2014-09-15 병변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3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222A (ko) * 2020-03-10 2021-09-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멀티 파노라마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장치
KR20210155958A (ko) * 2020-06-17 2021-12-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병변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20220005873A (ko) * 2020-07-07 2022-01-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병변 검출 연동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2633A2 (en) * 2006-06-27 2008-01-03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breast masses and calcifications using the tomosynthesis projection and reconstructed images
KR20100070822A (ko) * 2008-12-18 2010-06-28 주식회사바텍 3차원 영상획득 장치
US20100279248A1 (en) * 2009-03-05 2010-11-04 Mourad Pierre D Device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likelihood of caries development
KR20120084245A (ko) * 2011-01-19 2012-07-27 한국전기연구원 병변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30119875A (ko) * 2012-04-24 2013-11-01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2차원 또는 3차원 ct-이미지들의 자동 산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2633A2 (en) * 2006-06-27 2008-01-03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breast masses and calcifications using the tomosynthesis projection and reconstructed images
KR20100070822A (ko) * 2008-12-18 2010-06-28 주식회사바텍 3차원 영상획득 장치
US20100279248A1 (en) * 2009-03-05 2010-11-04 Mourad Pierre D Device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likelihood of caries development
KR20120084245A (ko) * 2011-01-19 2012-07-27 한국전기연구원 병변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30119875A (ko) * 2012-04-24 2013-11-01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2차원 또는 3차원 ct-이미지들의 자동 산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222A (ko) * 2020-03-10 2021-09-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멀티 파노라마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장치
KR20210155958A (ko) * 2020-06-17 2021-12-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병변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20220005873A (ko) * 2020-07-07 2022-01-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병변 검출 연동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349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9496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registering a 3D pre acquired image coordinates system with a medical positioning system coordinate system and with a 2D image coordinate system
AU2015284430B2 (en) Dynamic 3D lung map view for tool navigation inside the lung
JP5243754B2 (ja) 画像データの位置合わせ
WO2017053056A1 (en) Registration of video camera with medical imaging
JP6620252B2 (ja) 超音波融合撮像システムにおけるプローブ誘導変形の補正
US2016022807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6999130B (zh) 用于确定在投影图像中介入仪器的位置的装置
JP2019511268A (ja) 脳深部刺激療法の電極の三次元画像における回転配向の決定
CN110301883B (zh) 用于导航管状网络的基于图像的向导
EP3494548A1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updating a three dimensional model of a luminal network
CN108430376B (zh) 提供投影数据集
KR20160031794A (ko) 병변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31655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EP3152735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gistration of two images
KR20160057024A (ko) 마커리스 3차원 객체추적 장치 및 그 방법
US9585569B2 (en) Virtual endoscopic projection image generat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Chen et al. Automated global optimization surface-matching registration method for image-to-patient spatial registration in an image-guided neurosurgery system
US20230138666A1 (en) Intraoperative 2d/3d imaging platform
KR102184001B1 (ko) 수술용 네비게이션을 위한 영상 정합 장치 및 영상 정합 방법
JP7201791B2 (ja) 人体部分の撮像方法、コンピュータ、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記憶媒体、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医療システム
US20240148351A1 (en) Image-based planning of tomographic scan
EP3931799B1 (en) Interventional device tracking
TWI766253B (zh) 基於影像匹配決定手術路徑之方法與系統
JP2024005113A (ja) 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4010989A (ja) 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