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772A -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772A
KR20160031772A KR1020140121889A KR20140121889A KR20160031772A KR 20160031772 A KR20160031772 A KR 20160031772A KR 1020140121889 A KR1020140121889 A KR 1020140121889A KR 20140121889 A KR20140121889 A KR 20140121889A KR 20160031772 A KR20160031772 A KR 20160031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oothbrush
cover
bristl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321B1 (ko
Inventor
박종식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32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specially adapted to feed the bristle upper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7Brushes fitted with a drinking device, i.e. brushes with devices allowing drink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의 내부에 치약을 구비하여 사용 및 보관의 편리성과 더불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시 내부에 구성된 치약을 칫솔모의 상부로 공급하여 양치후 치약이 칫솔모에 남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보관시 칫솔모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인 사용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치약튜브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컵을 이용하지 않고 칫솔을 이용하여 손쉽게 입안을 헹굴 수 있다.
따라서, 구강위생용구분야 특히, 칫솔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Portable toothbrush within toothpaste}
본 발명은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의 내부에 치약을 구비하여 사용 및 보관의 편리성과 더불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시 내부에 구성된 치약을 칫솔모의 상부로 공급하여 양치후 치약이 칫솔모에 남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보관시 칫솔모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인 사용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은 구강위생용구의 하나로, 식사 후 치아에 낀 음식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양치를 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주로 튜브형태로 제공되는 별도의 치약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여행이나 출장을 가는 경우에는 칫솔과 더불어 치약을 각각 준비해야 하므로 사용 및 보관에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이에, 칫솔 내부에 치약을 구비하여 사용 및 보관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기술들이 다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실1999-0022441호 '치약유입형압출칫솔'(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은, 손잡이 케이스의 내부에 치약을 내장하고 사용시 칫솔모의 하부를 통해 치약이 공급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1은 칫솔모의 하부에서 공급되는 치약이 양치후에도 남아있게 되어, 오히려 위생상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남아있는 치약을 제거한다 하더라도, 여행이나 출장시에는 칫솔을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칫솔모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5429호 '다용도 칫솔'(이하 '선행기술2'라 함)은, 치약과 더불어 치실 및 치간칫솔 등의 구강위생용구를 일체화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킨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2의 경우에도, 단순히 다양한 구성품을 하나에 물품으로 구성한 것일 뿐이며, 선행기술1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양치후 칫솔모 하부에 치약이 남아있는 점과 휴대시 칫솔모가 외부에 노출되는 점 등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실1999-0022441호 '치약유입형압출칫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5429호 '다용도 칫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칫솔의 내부에 치약을 구비하여 사용 및 보관의 편리성과 더불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시 내부에 구성된 치약을 칫솔모의 상부로 공급하여 양치후 치약이 칫솔모에 남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보관시 칫솔모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인 사용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를 한 후에는, 입안에 남아있는 치약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을 컵에 받아 입안을 헹구는바, 양치를 위한 칫솔 및 치약과 더불어 컵을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별도의 컵을 이용하지 않고 칫솔을 이용하여 수도꼭지 등의 급수구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입안을 헹굴 수 있도록 한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은, 칫솔머리가 일측방향으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다른 일측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보관시 상기 칫솔머리를 감싸도록 구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칫솔머리의 칫솔모에 치약을 공급하는 치약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몸체부의 다른 일측에서 일측회동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 커버; 및 상기 몸체부의 다른 일측에서 다른 일측회동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치약공급부는,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칫솔머리는, 상기 칫솔모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하부로 편향되어 형성되고, 상기 치약공급부는, 상기 칫솔머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부로 편향되어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버는, 내측 상부에 편향되어 상기 치약공급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구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치약공급부는, 상기 제1 커버의 상부 내측면과 상기 지지구의 상부면 사이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는, 일측방향의 종단부에 상기 치약공급부의 일측방향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절곡되어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약공급부는, 내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된 치약튜브를 일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치약을 배출시키는 치약가압구; 및 상기 치약튜브에서 배출된 치약을 상기 칫솔모로 공급하는 공급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약공급부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이 일측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치약가압구는, 상기 치약공급부의 일측면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푸쉬편; 및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푸쉬편와 연결되며 상기 치약공급부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치약튜브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약공급부는, 다른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치약공급부의 일측방향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방향에는 공급노즐이 구성되고 다른 일측방향에는 상기 치약튜브가 나사결합되는 회동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는, 행굼수가 유입되는 유입홀; 및 상기 유입홀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입홀로 유입된 헹굼수를 배출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홀은, 상기 배출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은, 유선형 공간부에 의해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은, 상기 칫솔머리를 감싸도록 상기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칫솔의 내부에 치약을 구비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여행이나 출장치 사용 및 보관의 편리성과 더불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양치후 치약이 칫솔모에 남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보관시 칫솔모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위생적인 사용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치약튜브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컵을 이용하지 않고 칫솔을 이용하여 손쉽게 입안을 헹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구강위생용구분야 특히, 칫솔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제1 커버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몸체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치약공급부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을 이용하여 양치후 입안을 헹구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A)은 몸체부(100), 커버부(200) 및 치약공급부(3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일측방향(도 1에서 우측상부방향)으로 칫솔머리(110)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방향(도 1에서 좌측하부방향)에는 하기에 설명될 커버부(200)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회동돌기(10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00)는 일측면방향(도 1에서 우측하부방향)으로 입안을 헹구기 위한 유입홀(121) 및 배출홀(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홀(121) 및 배출홀(122)과 이들을 연결하는 유선형의 공간부(123)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칫솔머리(11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하부로 편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칫솔머리(110)의 종단부에 형성된 칫솔모(111)는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200)는 몸체부(100)의 다른 일측(도 1에서 좌측하부)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보관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칫솔머리(110)를 완전히 감싸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00)는 몸체부(100)의 다른 일측에서 일측회동방향(도 7에 나타난 회동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 커버(210)와, 다른 일측회동방향(도 5에 나타난 회동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약공급부(300)는 제1 커버(210)의 내측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치약튜브가 구성되어 사용시 칫솔모(111)의 상부로 치약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치약공급부(30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칫솔머리(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1 커버(210)의 내측에서 상부로 편향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치약공급부(300)가 칫솔머리(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보관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제1 커버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커버(210)는 치약공급부(30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지지구(211)가 내측 상부에 편향되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기에 설명될 치약공급부(300)의 공급노즐(320)이 칫솔모(111)의 상부를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방향(도2 에서 우측상부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야 하나, 완전히 개방될 경우 치약공급부(300)가 일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지지구(211)의 일측방향 종단부에 지지턱(211a)을 절곡형성하여 치약공급부(300)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치약공급부(300)가 일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210)의 일측종단부에는 끼움홈(213a)이 형성된 단속구(23)가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나타난 제2 커버(220)의 끼움돌기(223a)가 끼움홈(213a)에 끼워지도록 하여,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닫혀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몸체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치약공급부(300)는 내부에 구성된 치약튜브(TPT)를 일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치약튜브(TPT)로부터 치약을 배출시키는 치약가압구(310)와, 치약튜브(TPT)에서 배출된 치약을 칫솔모(111)로 공급하는 공급노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치약가압구(310)는 사용자가 손가락 끝부분으로 눌러서 이동시키는 푸쉬편(311)과 푸쉬편(312)에 연결되어 구성된 가압롤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압롤러(312)는 치약공급부(300)의 내부에 구성되어야 하고, 푸쉬편(311)은 외부에 구성되어야 하므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치약공급부(300)의 일측면에, 일측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301)을 형성하고, 푸쉬편(311)과 가압롤러(312)가 가이드홀(301)을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푸쉬편(311)을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내부의 가압롤러(312)가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치약튜브(TPT)를 가압하여 치약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치약공급부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치약공급부(300)는 치약튜브(TPT)가 탈부착될 수 있는 회동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구(330)는 치약공급부(300)의 일측방향(도 4에서 좌측상부방향으로 칫솔모를 향하는 방향)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일측면(도 4에서 좌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치약튜브(TPT)를 교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치약공급부(300)는 다른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구(330)를 다른 일측면으로 회동시켜 치약튜브(TPT)를 교체한 후, 회동구(300)를 일측면으로 회동시키면서 치약튜브(TPT)의 끝부분이 두 개의 가압롤러(312) 사이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급노즐(320)이 회동구(330)에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의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A)은 도 8과 같이 결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양치를 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커버(220)를 회동시켜 칫솔머리(110) 및 치약공급부(300)를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치약가압구(310)의 푸쉬편(311)을 이동시켜, 치약(PT)이 공급노즐(320)을 통해 칫솔모(111)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커버(210)를 회동시켜 제2 커버(220)와 함께 손잡이로 사용하여 양치를 할 수 있다.
양치가 완료되면, 도 8과 같이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를 결합하여 보관함은 물론이다.
한편, 수도꼭지 등의 급수구는 하부방향을 향하여 물이 배출되는 바,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입안을 헹구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도 1을 이용하여 양치후 입안을 헹구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양치후 입안을 헹구기 위하여 형성된 유입홀(121)과 배출홀(122)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양치를 완료한 사용자는 수도꼭지 등의 급수구로 물(이하 '헹굼수'라 함)이 배출되면, 이를 유입홀(121)로 유입시킬 수 있다.
유입홀(121)로 유입된 헹굼수는, 유입홀(121)과 배출홀(122)을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유선형 공간부(123)를 통해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출홀(122)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출홀(122)에 비하여 유입홀(121)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많은 양의 헹굼수가 유입홀(121)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배출홀(122)로 배출되는 헹굼수의 수압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입안을 헹굴 수 있다.
더불어, 유입홀(121)과 배출홀(122)을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유선형 공간부(123)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측면을 곡면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헹굼수가 유입홀(121)에서 배출홀(122)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칫솔의 내부에 치약을 구성함은 물론, 별도의 컵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입안을 헹굴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칫솔
100 : 몸체부
110 : 칫솔머리 111 : 칫솔모
121 : 유입홀 122 : 배출홀
123 : 공간부
200 : 커버부
210 : 제1 커버 211 : 지지구
211a : 지지턱
220 : 제2 커버
300 : 치약공급부 ` 301 : 가이드홀
310 : 치약가압구 311 : 푸쉬편
312 : 가압롤러
320 : 공급노즐
330 : 회동구

Claims (12)

  1. 칫솔머리가 일측방향으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다른 일측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보관시 상기 칫솔머리를 감싸도록 구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칫솔머리의 칫솔모에 치약을 공급하는 치약공급부;를 포함하는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몸체부의 다른 일측에서 일측회동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 커버; 및
    상기 몸체부의 다른 일측에서 다른 일측회동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치약공급부는,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머리는,
    상기 칫솔모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하부로 편향되어 형성되고,
    상기 치약공급부는,
    상기 칫솔머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부로 편향되어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내측 상부에 편향되어 상기 치약공급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구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치약공급부는,
    상기 제1 커버의 상부 내측면과 상기 지지구의 상부면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일측방향의 종단부에 상기 치약공급부의 일측방향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공급부는,
    내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된 치약튜브를 일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치약을 배출시키는 치약가압구; 및
    상기 치약튜브에서 배출된 치약을 상기 칫솔모로 공급하는 공급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공급부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이 일측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치약가압구는,
    상기 치약공급부의 일측면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푸쉬편; 및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푸쉬편와 연결되며 상기 치약공급부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치약튜브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공급부는,
    다른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치약공급부의 일측방향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방향에는 공급노즐이 구성되고 다른 일측방향에는 상기 치약튜브가 나사결합되는 회동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는,
    행굼수가 유입되는 유입홀; 및
    상기 유입홀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입홀로 유입된 헹굼수를 배출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배출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은,
    유선형 공간부에 의해 공간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은,
    상기 칫솔머리를 감싸도록 상기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KR1020140121889A 2014-09-15 2014-09-15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KR101636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889A KR101636321B1 (ko) 2014-09-15 2014-09-15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889A KR101636321B1 (ko) 2014-09-15 2014-09-15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72A true KR20160031772A (ko) 2016-03-23
KR101636321B1 KR101636321B1 (ko) 2016-07-05

Family

ID=5564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889A KR101636321B1 (ko) 2014-09-15 2014-09-15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3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684A (ko) * 2017-11-23 2019-05-31 김길중 칫솔 보관용 케이스
KR20200104700A (ko)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기판 연마장치
KR20210053476A (ko) 2019-11-02 2021-05-12 문지원 교체 가능한 치약을 구비하는 일체형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777B1 (ko) 2017-12-01 2018-06-14 이동훈 휴대용 칫솔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731Y1 (ko) * 1984-04-28 1985-11-21 전상신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치솔
KR19990022441A (ko) 1996-04-08 1999-03-25 고사이 아끼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사출 성형체
JP2004242985A (ja) * 2003-02-17 2004-09-02 Koga Yasuzo 携帯用歯ブラシ
CN2713875Y (zh) * 2004-06-04 2005-08-03 李松 刷膏一体折叠式便携牙刷
KR20090015429A (ko) 2007-08-08 2009-02-12 김종윤 다용도 칫솔
US7607851B2 (en) * 2006-04-11 2009-10-27 Amron Scott L Fountain toothbrush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731Y1 (ko) * 1984-04-28 1985-11-21 전상신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치솔
KR19990022441A (ko) 1996-04-08 1999-03-25 고사이 아끼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사출 성형체
JP2004242985A (ja) * 2003-02-17 2004-09-02 Koga Yasuzo 携帯用歯ブラシ
CN2713875Y (zh) * 2004-06-04 2005-08-03 李松 刷膏一体折叠式便携牙刷
US7607851B2 (en) * 2006-04-11 2009-10-27 Amron Scott L Fountain toothbrush
KR20090015429A (ko) 2007-08-08 2009-02-12 김종윤 다용도 칫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684A (ko) * 2017-11-23 2019-05-31 김길중 칫솔 보관용 케이스
KR20200104700A (ko)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기판 연마장치
KR20210053476A (ko) 2019-11-02 2021-05-12 문지원 교체 가능한 치약을 구비하는 일체형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321B1 (ko)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321B1 (ko)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US7901153B1 (en) Disposable toothbrush apparatus
US20100014909A1 (en) Device applied in the toothbrush with disposable bristles and toothpaste injector reservoir
KR100899904B1 (ko) 다용도 칫솔
CN1174702C (zh) 可多次充填牙膏的牙刷
KR200457723Y1 (ko) 구강 위생 용구
CN205658566U (zh) 一种新型牙膏牙刷套装
CN202476803U (zh) 一种便利牙刷
CN207270084U (zh) 多功能安全牙刷
CN206933705U (zh) 一种填充式牙刷
CN206166159U (zh) 一种内藏齿间刷的牙刷
CN102240104A (zh) 带牙膏的牙刷
KR101378541B1 (ko) 기능성 칫솔
CN207544611U (zh) 便携一体牙刷
RU44470U1 (ru) Зубная щетка
KR200404379Y1 (ko) 치솔대가 없는 일회용 치솔
CN201515805U (zh) 新式牙刷
CN201025971Y (zh) 一种三刷头牙刷
CN207885915U (zh) 组合式牙刷结构
CN205813929U (zh) 一种带牙膏的牙刷
WO2015121692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collapsible oral care system with dental cleaner, liquid, liquid holding tank or tube, liquid dispensers, interdental cleaners.
TWI536970B (zh) Double flow injection toothbrush
RU2255708C2 (ru) Тюбик-щётка
CN203873233U (zh) 一种牙刷
KR20240015356A (ko) 기능성 올인원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