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768A -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768A
KR20160031768A KR1020140121881A KR20140121881A KR20160031768A KR 20160031768 A KR20160031768 A KR 20160031768A KR 1020140121881 A KR1020140121881 A KR 1020140121881A KR 20140121881 A KR20140121881 A KR 20140121881A KR 20160031768 A KR20160031768 A KR 20160031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test sound
compensation value
frequency
au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071B1 (ko
Inventor
이성태
신진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1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071B1/ko
Priority to US15/511,226 priority patent/US9998839B2/en
Priority to EP15841557.0A priority patent/EP3197150A4/en
Priority to PCT/KR2015/004937 priority patent/WO2016043404A1/ko
Publication of KR2016003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768A/ko
Priority to US15/977,711 priority patent/US10299052B2/en
Priority to US16/379,431 priority patent/US10999687B2/en
Priority to US17/011,407 priority patent/US1115990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8Visual indication of individual signal lev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3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tereophonic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주변 환경에 따라 최적화된 음향을 서비스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한 주파수 특성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와, 보정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hereof}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 환경에 따라 최적화된 음향을 서비스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또한, 멀티미디어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현재 방송은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하는데,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그리고, 최근 멀미디어 장치는,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기 위하여, 기존의 멀티미디어 장치에 비하여 고성능화, 다기능되었고, 인터넷 서비스, VOD(Video On Demand), 및 전자앨범 서비스 등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도 다양화 되었다.
이처럼, 멀티미디어 장치는, 고성능화 및 다기능화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으로 인하여, 음향의 질이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공장에서 출하할 때, 음향 특성을 최적값으로 미리 설정하지만, 멀티미디어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및 다양한 주변 환경에 따라, 최적값으로 설정된 음향 특성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장 출하 당시에 최적화된 음향 특성을 청취하지 못하고, 멀티미디어 장치가 설치되거나 위치한 주변 환경에 따라서, 가변된 음향 특성을 청취하므로, 만족할 만한 음향의 질을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보상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보상값으로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여 출력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및 다양한 주변 환경에 따라, 최적값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은,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한 주파수 특성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와, 보정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운드 보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사운드 보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수동 조정이 선택되면,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와,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한 이후에,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포함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은,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추천 보상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자동 조정이 선택되면,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와,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테스트 사운드의 다음 수신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수신 시간의 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수신 시간이 경과되면, 현재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는, 미리 설정된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신호, 미리 설정된 스윕(sweep) 신호, 그리고 현재 표시되는 영상의 사운드 신호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는,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는 사운드 수신 모듈과,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송신 모듈과,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멀티미디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한 주파수 특성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고, 보정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는,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수동 조정이 선택되면,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포함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수동 조정이 선택되면,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과 상기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추천 보상값을 포함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 분석시, 외부의 소음 관련 노이즈 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노이즈 신호의 세기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볼륨 세기를 조정하거나, 또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 분석시, 사용자의 채널 변경에 따른 사운드의 음량을 분석하여, 분석된 음량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볼륨 세기를 일정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보상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보상값으로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여 출력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및 다양한 주변 환경에 따라, 최적값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환경에서도, 항상 최적의 음향을 출력하므로, 사용자에게 만족할 만한 음질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설치 환경에 제약을 두지 않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그래프
도 12는 보정한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그래프
도 13은 외부 환경에 따른 사운드 왜곡 현상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4는 다양한 환경에서 측정한 사운드의 보정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5는 본 발명의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수동 조정 설정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의 테스트 사운드 출력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수동 조정 설정에 따른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자동 조정 설정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의 테스트 사운드 출력을 보여주는 도면
도 19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보상 관련 유저인터페이스의 보여주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멀티미디어 장치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멀티미디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원격제어장치 등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실행가능하며,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멀티미디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HNED(40)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HNED(40)는, 멀티미디어 장치인 클라이언트(100)에 대응할 수 있는데, 클라이언트(100)는, 멀티미디어 장치에 해당하며, 멀티미디어 장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IPTV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자(10)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자(10)는,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10)는, 방송 컨텐츠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어,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츠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20)는, 제 1 지상파 방송, 제 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00)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수신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는데, 이러한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비스를 클라이언트(100)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10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 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어, 멀티미디어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은,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100)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클라이언트(100)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가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계된 경우,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2는 도 1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이어,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실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는데,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실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멀티미디어 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카메라 모듈에 연결되어, 카메라 모듈의 사운드 수신부를 통해,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는, 카메라 모듈의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미리 신호 처리된 테스트 사운드 신호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는, 신호 처리 없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테스트 사운드 신호일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카메라 모듈 이외에 다른 모듈에 연결되어, 해당하는 모듈의 사운드 수신부를 통해,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거치지 않고, 멀티미디어 장치 자체의 사운드 수신부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테스트 사운드는, 미리 설정된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신호, 미리 설정된 스윕(sweep) 신호, 그리고 현재 표시되는 영상의 사운드 신호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이어,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멀티미디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다음,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으며,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 및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입력된 제스쳐 및 음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화면에 커서를 표시하기 위한 커서 표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또는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외부에서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한 주파수 특성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보정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보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수동 조정이 선택되면,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포함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170)는,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수동 조정이 선택되면,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과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추천 보상값을 포함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자동 조정이 선택되면, 미리 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현재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 분석시, 외부의 소음 관련 노이즈 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노이즈 신호의 세기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볼륨 세기를 조정하거나, 또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 분석시, 사용자의 채널 변경에 따른 사운드의 음량을 분석하여, 분석된 음량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볼륨 세기를 일정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80)는,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표시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어,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 의해, 보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테스트 사운드는, 미리 설정된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신호, 미리 설정된 스윕(sweep) 신호, 그리고 현재 표시되는 영상의 사운드 신호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전원 공급부(190)는, 멀티미디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커서 표시 입력 등과 같이,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로서,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부(306)는, 역다중화부(310), 영상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그리고 포맷터(36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상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비디오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그리고,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비디오 출력부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컨트롤 하고자 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OSD 는, 전술한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다. 그리고, 일반 방송 화면과 상기 OSD 가 오버레이된 형태를 만들기 위하여, 전술한 믹서(350)를 추가 설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4의 멀티미디어 장치의 모듈을 일부 추가하거나 변경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 1 내지 도 3 등에 기재된 요소들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400)는, 사운드 수신 모듈(410), 사운드 송신 모듈(420), 디스플레이 모듈(430) 및 컨트롤러(4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운드 수신 모듈(410)은,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수신 모듈(410)은, 멀티미디어 장치(400) 내에 포함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외부의 카메라 모듈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은, 사운드 수신 모듈(410)과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사운드 수신 모듈(410)로부터 수신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신호 처리하여, 컨트롤러(44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 내부에 장착된 사운드 수신 모듈(410)로부터 수신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아날로그 신호 그대로 컨트롤러(44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카메라 모듈은, 사운드 수신 모듈(410)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여, 카메라 모듈 내부에 장착된 사운드 수신 모듈(410)로부터 수신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컨트롤러(44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 사운드 송신 모듈(420)은,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고, 컨트롤러(440)에 의해 보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는, 미리 설정된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신호, 미리 설정된 스윕(sweep) 신호, 그리고 현재 표시되는 영상의 사운드 신호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430)은, 컨트롤러(4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 및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 컨트롤러(440)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440)는,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한 주파수 특성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고, 사운드 송신 모듈(420)을 통해, 보정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440)는,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수동 조정이 선택되면,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포함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모듈(430)에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컨트롤러(440)는,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수동 조정이 선택되면,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과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추천 보상값을 포함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모듈(430)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컨트롤러(440)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 분석시, 외부의 소음 관련 노이즈 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노이즈 신호의 세기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볼륨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컨트롤러(440)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 분석시, 사용자의 채널 변경에 따른 사운드의 음량을 분석하여, 분석된 음량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볼륨 세기를 일정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580)는,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운드 수신부(510)를 포함하는 외부 모듈(54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모듈(540)은, 카메라 모듈 등이거나 또는 외부 장치의 어느 한 모듈일 수도 있으며, USB 타입의 휴대용 기기일 수도 있다.
외부 모듈(540)은, 사운드 수신부(510), 오디오 신호 처리부(520), 및 메모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모듈(540)은,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마이크 등과 같은 사운드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하고, 오디오 신호 처리부(520)를 통해, 수신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신호 처리하여, 멀티미디어 장치(580)의 컨트롤러(55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장치(580)의 컨트롤러(550)는, 신호 처리된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고,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한 다음, 오디오 신호 보상부(560)를 통해,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580)의 오디오 출력부(570)는, 보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모듈(620)은, 사운드 수신부(610)만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모듈(620)은,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마이크 등과 같은 사운드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하고, 테스트 사운드의 아날로그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630)의 컨트롤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장치(630)의 컨트롤러(650)는, 아날로그 신호인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변환 및 처리부(640)를 통해, 테스트 사운드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테스트 사운드를 신호 처리한다.
이어, 멀티미디어 장치(630)의 컨트롤러(650)는,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한 다음, 오디오 신호 보상부(660)를 통해,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630)의 오디오 출력부(670)는, 보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모듈(730)은, 사운드 수신부(710)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신호 변환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모듈(730)은,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마이크 등과 같은 사운드 수신부(710)를 통해, 수신하고, 오디오 신호 변환부(720)를 통해, 테스트 사운드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테스트 사운드를 멀티미디어 장치(630)의 컨트롤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장치(740)의 컨트롤러(75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760)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테스트 사운드를 신호 처리한다.
이어, 멀티미디어 장치(630)의 컨트롤러(650)는,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한 다음, 오디오 신호 보상부(660)를 통해,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630)의 오디오 출력부(670)는, 보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모듈(800)은, 사운드 수신부(810), 오디오 신호 처리부(820), 메모리(830), 전압 조정부(840), 및 USB 인터페이스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모듈(540)은,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나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외장형 주변 장치일 수도 있는데, 일 예로, USB 동글(dongle) 형태일 수 있다.
이때, USB 인터페이스부(850)가 4핀으로 이루어질 경우, 제 1 핀은 그라운드용이고, 제 2, 제 3 핀은 데이터 전송용이며, 제 4 핀은 전원인가용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제 3 핀은, 오디오 신호 처리부(820)에 연결되고, 제 4 핀은 전압 조정부(84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모듈(800)은,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마이크 등과 같은 사운드 수신부(810)를 통해, 수신하고, 오디오 신호 처리부(820)를 통해, 테스트 사운드를 신호 처리하여, 멀티미디어 장치(900)의 컨트롤러(86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장치(900)의 USB 인터페이스부(890)에는, 외부 모듈(800)의 USB 인터페이스부(85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장치(900)의 컨트롤러(860)는, 신호 처리된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고,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한 다음, 오디오 신호 보상부(870)를 통해,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900)의 오디오 출력부(880)는, 보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모듈(910)은, 사운드 수신부(920)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신호 변환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모듈(910)은,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마이크 등과 같은 사운드 수신부(920)를 통해, 수신하고, 오디오 신호 변환부(930)를 통해, 테스트 사운드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테스트 사운드를 멀티미디어 장치(940)의 컨트롤러(9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모듈(910)의 오디오 신호 변환부(930)는, 멀티미디어 장치(940)의 메인 보드에 연결시, 플랫폼(platform)별로 인터페이스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940)의 컨트롤러(95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960)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테스트 사운드를 신호 처리한다.
이어, 멀티미디어 장치(940)의 컨트롤러(950)는,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한 다음, 오디오 신호 보상부(960)를 통해,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940)의 오디오 출력부(970)는, 보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모듈(1000)은, 카메라 렌즈부(1010), 센서부(1012), 사운드 수신부(1020), 오디오 신호 처리부(1030), 제 1 메모리(1040), 영상 신호 처리부(1050), 및 제 2 메모리(10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모듈(1000)은, 카메라 모듈로서, 사운드 수신부(1020)는, 멀티미디어 장치(1070)의 오디오 출력부(1100)로부터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1110)를 수신하거나 또는 외부의 소음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현재 표시되는 영상의 사운드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외부 모듈(1000)의 영상 신호 처리부(105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1030)로부터 처리된 테스트 사운드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1070)의 컨트롤러(108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장치(1070)의 컨트롤러(1080)는, 신호 처리된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고,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한 다음, 오디오 신호 보상부(1090)를 통해,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1070)의 오디오 출력부(1100)는, 보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장치는, 외부 모듈의 사운드 수신부를 통해, 외부의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였지만, 사운드 수신부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내부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멀티미디어 장치 내부에 장착되는 사운드 수신부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출력부와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오디오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바로 직접 사운드 수신부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일, 오디오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바로 직접 사운드 수신부로 입력되면, 외부 환경의 멀티미디어 장치의 배치 상태 및 외부 환경의 노이즈 상태 등을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장치는, 사운드 수신부를 통해,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사운드는, 외부의 사운드 환경을 예측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사운드이다.
이때, 테스트 사운드는, 외부의 사운드 환경을 예측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신호이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스윕(sweep) 신호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는, 현재 표시되는 영상의 사운드 신호일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테스트 사운드는, 주변 환경의 소음일 수도 있다.
이어, 멀티미디어 장치는, 분석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 있으며, 보정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12는 보정한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멀티미디어 장치는, 사운드 수신부를 통해,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은, 주변의 환경에 따라, 저음역대, 중음역대, 고음역대의 주파수들이 각각 불균일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 예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은, 주변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약 5 - 8 데시벨 정도의 편차가 나타날 수 있다.
이어, 멀티미디어 장치는, 분석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 있으며, 보정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한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특성은, 저음역대, 중음역대, 고음역대의 주파수들이 각각 균일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보상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보상값으로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여 출력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및 다양한 주변 환경에 따라, 최적값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환경에서도, 항상 최적의 음향을 출력하므로, 사용자에게 만족할 만한 음질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설치 환경에 제약을 두지 않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외부 환경에 따른 사운드 왜곡 현상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가 동일한 사운드를 출력할 경우, 멀티미디어 장치가 위치하는 환경에 따라, 수신되는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멀티미디어 장치가 무향실에 배치될 경우, 사운드의 주파수는, 특히 저음역대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고, 멀티미디어 장치가 시청실에 배치될 경우, 사운드의 주파수는, 저음역대에서 중간으로 나타나며, 멀티미디어 장치가 실생활룸에 배치될 경우, 사운드의 주파수는, 저음역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장치는, 개발 환경에서는 사운드 주파수 특성 측정 및 청취 평가를 통해, 최적의 상태로 개발될 수 있지만, 생산 과정에서, 양산 편차에 의해, 약 2 데시벨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장치가 설치되는 다양한 환경에 따라, 약 5 - 8 데시벨 정도의 심한 편차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보상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보상값으로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여 출력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및 다양한 주변 환경에 따라, 최적값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환경에서 측정한 사운드의 보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벽이 없는 경우, 제 1 주파수 특성을 가지고, 멀티미디어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1개의 벽이 있는 경우, 제 2 주파수 특성을 가지며, 멀티미디어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2개의 벽이 있는 경우, 제 3 주파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제 2, 제 3 주파수 특성은, 특히, 저음역대에서, 큰 편차가 나타나는데, 각 주파수의 특성이 원 주파수의 특성과의 편차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보상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멀티미디어 장치는, 픽업(peak up) 주파수 범위(아주 짧은 기간의 하이 레벨 주파수 범위)의 해상도를 높여서, 최대한 원 주파수 특성으로 복원되도록, 보상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파수의 해상도는, 현재 약 10 밴드(band)일 경우, 약 255 밴드로 높이고, 주파수 대역은, 현재 약 125Hz - 1.2kHz일 경우, 약 50Hz - 8kHz로 미세하게 좁일 수 있다.
여기서, 실제 보상 주파수 대역은, 약 50Hz - 1.2kHz 정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스피커의 배치 방향이나 또는 사용자의 시청룸의 환경에 따라, 저음 대역의 부스트(boost) 증가로 인하여, 사운드의 명료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심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청룸 환경에 맞도록, 오디오 신호 보상을 통해, 최적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보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 사운드 보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1220)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2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1220)은, 사운드 환경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보상할 수 있는 선택 항목(1230)들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장치의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조정 또는 자동 조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만일, 사용자가 수동 조정으로 설정하면, 멀티미디어 장치는,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하고, 출력된 테스트 사운드를 다시 수신하여 테스트 사운드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다음,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사운드의 보상값을 조정하도록,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보상값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하지만, 만일, 사용자가 자동 조정으로 설정하면, 멀티미디어 장치는,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하고, 출력된 테스트 사운드를 다시 수신하여 테스트 사운드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다음, 보상값을 산출하여 산출한 보상값에 따라 자동으로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조정으로 설정된 멀티미디어 장치는, 피드백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여 보상값을 산출하고 자동으로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수동 조정 설정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의 테스트 사운드 출력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수동 조정 설정에 따른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8은 자동 조정 설정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의 테스트 사운드 출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운드 보상 설정을, 수동 조정으로 설정하면, 멀티미디어 장치(1310)는, 사운드 출력부(1330)를 통해, 테스트 사운드(1340)를 출력하고, 출력된 테스트 사운드(1340)를 사운드 수신부(13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는, 미리 설정된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신호, 미리 설정된 스윕(sweep) 신호, 그리고 현재 표시되는 영상의 사운드 신호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1310)는,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현재 멀티미디어 장치가 위치한 룸환경을 해석하고, 분석한 주파수 특성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 멀티미디어 장치(131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사운드의 보상값을 조정하도록,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은,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1410)을 포함할 수 있는데,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1410)은, 각 주파수에 대한 주파수 세기를 바 형태와 같은 소정 형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은,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1410)에서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추천 보상값(142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추천 보상값(1420)은,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1410)과 마찬가지로,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대응하여 바 형태와 같은 소정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만일, 보상값 수동 조정 창에,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1410)과 추천 보상값(1420)이 함께 표시될 때, 사용자는,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상응하는 추천 보상값(1420)만을 조정할 수 있고,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1410)은, 고정되어 조정될 수 없다.
경우에 따라, 보상값 수동 조정 창에,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1410)과 추천 보상값(1420)이 함께 표시될 때, 사용자는,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상응하는 추천 보상값(1420)을 조정할 수도 있고,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1410)을 조정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에,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1410)만이 표시될 때, 사용자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1410)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1410)을 보상할 때, 사용자는,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별로 선택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의 막대 형상을 선택하여, 올리거나 내리면서 보상값을 조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1410)을 보상할 때, 사용자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별로 사용자가 1차 선택하고, 1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각 주파수별로 사용자가 2차 선택하여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1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들 중, 사용자가 특정 주파수를 선택하여, 보상값을 조정하면, 조정 비율에 따라, 1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나머지 주파수들도 동시에 보상값이 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이, 저음역대(1431), 중음역대(1432), 고음역대(1433)로 나뉘어질 경우, 각 음역대마다 선택 박스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저음역대(1431)에는 저음역대 선택 박스(1441)가 표시되고, 중음역대(1432)에는 중음역대 선택 박스(1442)가 표시되며, 고음역대(1433)에는 고음역대 선택 박스(1443)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다수의 선택 박스들 중, 저음역대 선택 박스(1441)와 중음역대 선택 박스(1442)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별로 1차 선택을 할 수 있다.
이어, 사용자가, 1차 선택한 중음역대(1432)에서, 1kHz의 특정 주파수를 선택하여 보상값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1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각 주파수별로 2차 선택을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1차 선택한 중음역대(1432)에서, 1kHz의 특정 주파수를 선택하여 보상값을 조정하면, 조정 비율에 따라, 1차 선택한 중음역대(1432)의 나머지 1.4kHz와 2kHz들도 동시에 보상값이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은,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추천 보상값(142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추천 보상값(1420)은,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대응하여 바 형태와 같은 소정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추천 보상값(1420)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각 주파수의 추천 보상값(1420)들 중, 어느 하나의 추천 보상값(1420)을 조정하면, 해당하는 추천 보상값(1420)만 조정되고, 나머지 추천 보상값(1420)은, 유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중음역대(1432)에서, 1kHz 주파수의 추천 보상값(1420)을 조정하면, 나머지 주파수들의 추천 보상값(1420)들은, 조정없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각 주파수의 추천 보상값(1420)들 중, 어느 하나의 추천 보상값(1420)을 조정하면, 그 조정 비율에 따라, 나머지 추천 보상값(1420)들이 동시에 조정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중음역대(1432)에서, 1kHz 주파수의 추천 보상값(1420)을 조정하면, 그 조정 비율에 따라, 나머지 주파수들의 추천 보상값(1420)들도 동시에 조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추천 보상값(1420)을 조정할 때, 사용자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별로 사용자가 1차 선택하고, 1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각 주파수의 추천 보상값별로 사용자가 2차 선택하여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1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들 중, 사용자가 특정 주파수의 추천 보상값(1420)을 선택하여 조정하면, 조정 비율에 따라, 1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나머지 주파수의 추천 보상값(1420)들도 동시에 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이, 저음역대(1431), 중음역대(1432), 고음역대(1433)로 나뉘어질 경우, 각 음역대마다 선택 박스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저음역대(1431)에는 저음역대 선택 박스(1441)가 표시되고, 중음역대(1432)에는 중음역대 선택 박스(1442)가 표시되며, 고음역대(1433)에는 고음역대 선택 박스(1443)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다수의 선택 박스들 중, 저음역대 선택 박스(1441)와 중음역대 선택 박스(1442)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별로 1차 선택을 할 수 있다.
이어, 사용자가, 1차 선택한 중음역대(1432)에서, 1kHz의 특정 주파수의 추천 보상값(1420)을 선택하여 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1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각 주파수의 추천 보상값별로 2차 선택을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1차 선택한 중음역대(1432)에서, 1kHz의 특정 주파수의 추천 보상값(1420)을 선택하여 조정하면, 조정 비율에 따라, 1차 선택한 중음역대(1432)의 나머지 1.4kHz의 추천 보상값(1420)과 2kHz의 추천 보상값(1420)들도 동시에 조정될 수도 있다.
다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운드 보상 설정을, 자동 조정으로 설정하면, 멀티미디어 장치(1500)는, 사운드 출력부(1520)를 통해, 테스트 사운드(1530)를 출력하고, 출력된 테스트 사운드(1530)를 사운드 수신부(15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는, 미리 설정된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신호, 미리 설정된 스윕(sweep) 신호, 그리고 현재 표시되는 영상의 사운드 신호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1500)는,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현재 멀티미디어 장치가 위치한 룸환경을 해석하고, 분석한 주파수 특성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 멀티미디어 장치(1500)는, 산출된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한 다음, 보정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 멀티미디어 장치(1500)는, 테스트 사운드(1530)의 다음 수신 시간을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수신 시간의 경과 여부를 확인한 다음, 수신 시간이 경과되면, 현재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1530)를 수신하여, 보상값을 산출하고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장치(1500)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여 보상값을 산출하고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보상 관련 유저인터페이스의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는, 사용자의 사운드 환경 설정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오디오 보상 관련 화면 창(161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보상 관련 화면 창(1610)에는, 오디오 보상 동작의 시작을 요청하는 시작 버튼 항목(1611), 오디오 보상 동작의 시작 관련 설명을 표시하는 정보 창(1612), 정보 창의 설명 관련 이미지 창(1613), 오디오 보상 동작 내의 서브 동작 항목(161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오디오 보상 동작 내의 서브 동작 항목(1614)들은, 주변 소음 테스트 항목, 스피커 음향 특성 측정 항목, 오디오 보상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오디오 보상 관련 화면 창(1610)을 통해,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보상 동작을 진행시킬 수 있다.
다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디오 보상 관련 화면 창(1620)에서, 오디오 보상 동작의 시작을 요청하는 시작 버튼 항목을 선택하면, 시작 버튼 항목은 중지 버튼 항목(1621)으로 변환되고, 멀티미디어 장치는, 오디오 보상 동작 내의 서브 동작 항목(1624)들 중, 주변 소음 테스트 항목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소음 테스트 관련 설명을 표시하는 정보 창(1622)과, 정보 창의 설명 관련 이미지 창(1623)이 표시되며, 주변 소음 테스트 항목 관련 동작 진행 정도를 보여주는 타임 바(time bar)(1625)가 표시될 수 있다.
만일, 멀티미디어 장치는, 주변 환경이 기본 설정값보다 큰 소음이 수신될 경우, 주변 소음 테스트 항목 관련 동작을 스킵(skip)할 수도 있다.
이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는, 주변 소음 테스트 항목 관련 동작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이어서, 오디오 보상 동작 내의 서브 동작 항목(1634)들 중, 스피커 음향 특성 측정 항목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중지 버튼 항목(1631)을 선택하여 스피커 음향 측정 동작을 중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피커 음향 측정 동작 관련 설명을 표시하는 정보 창(1632)과, 정보 창의 설명 관련 이미지 창(1633)이 표시되며, 스피커 음향 측정 항목 관련 동작 진행 정도를 보여주는 타임 바(time bar)(1635)가 표시될 수 있다.
다음,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는, 스피커 음향 특성 측정 항목 관련 동작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이어서, 오디오 보상 동작 내의 서브 동작 항목(1644)들 중, 오디오 보상 항목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중지 버튼 항목(1641)을 선택하여 오디오 보상 동작을 중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오디오 보상 동작 관련 설명을 표시하는 정보 창(1642)과, 정보 창의 설명 관련 이미지 창(1643)이 표시되며, 오디오 보상 항목 관련 동작 진행 정도를 보여주는 타임 바(time bar)(1645)가 표시될 수 있다.
이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는, 오디오 보상 동작 내의 모든 서브 동작 항목(1653)들이 완료되면, 중지 버튼 항목이 완료 버튼 항목(1651)으로 변환되고, 정보 창(1652)에는, 오디오 보상 동작 완료 관련 설명을 표시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는, 사용자가, 오디오 보상 전과 후의 음질을 들어볼 수 있도록, 음질 비교 플레이 창(1654)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음질 비교 플레이 창(1654)에는, 플레이 버튼(1655)과, 취소 버튼(1656)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취소 버튼(1656)을 선택하면, 현재 설정 완료된 오디오 보상 설정은, 취소되고, 설정 이전의 오디오 설정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는, 먼저,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다.(S11)
여기서, 테스트 사운드는, 미리 설정된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신호, 미리 설정된 스윕(sweep) 신호, 그리고 현재 표시되는 영상의 사운드 신호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사운드는, 외부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일 수도 있다.
다음, 멀티미디어 장치는,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다음,(S13) 분석한 주파수 특성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할 수 있다.(S15)
여기서, 멀티미디어 장치는,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수동 및 자동 조정 창을 통해, 수동 조정이 선택되면,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포함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멀티미디어 장치는,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수동 조정이 선택되면,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과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추천 보상값을 포함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 멀티미디어 장치는, 산출된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고,(S17) 보정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9)
여기서, 멀티미디어 장치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 분석시, 외부의 소음 관련 노이즈 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노이즈 신호의 세기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볼륨 세기를 조정하거나, 또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 분석시, 사용자의 채널 변경에 따른 사운드의 음량을 분석하여, 분석된 음량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볼륨 세기를 일정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장치는, 먼저,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보상 요청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사운드 보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111)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S113)
이때,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은, 사운드 환경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보상할 수 있는 선택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어, 멀티미디어 장치는,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수동 조정이 선택되면,(S115)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S117)
여기서,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는, 미리 설정된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신호, 미리 설정된 스윕(sweep) 신호, 그리고 현재 표시되는 영상의 사운드 신호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멀티미디어 장치는,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고,(S119)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S121)
일 예로, 테스트 사운드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설치 환경에 따라, 저음역 대역이나 중음역 대역에서, 왜곡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장치는, 분석한 주파수 특성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할 수 있다.(S123)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포함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표시할 수 있다.(S125)
여기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에 포함되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은, 각 주파수에 대한 주파수 세기를 바 형태와 같은 소정 형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은,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별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조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은,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별로 사용자가 1차 선택하고, 1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각 주파수별로 사용자가 2차 선택하여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1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들 중, 사용자가 특정 주파수를 선택하여, 보상값을 조정하면, 조정 비율에 따라, 1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나머지 주파수들도 동시에 보상값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은,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추천 보상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보상값은,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대응하여 바 형태와 같은 소정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추천 보상값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각 주파수의 추천 보상값들 중, 어느 하나의 추천 보상값을 조정하면, 해당하는 추천 보상값만 조정되고, 나머지 추천 보상값은, 유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각 주파수의 추천 보상값들 중, 어느 하나의 추천 보상값을 조정하면, 조정 비율에 따라, 나머지 추천 보상값들이 동시에 조정될 수도 있다.
다음, 멀티미디어 장치는,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통해, 보상값의 조정이 완료되면,(S127) 조정 완료된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고,(S129) 보정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S131)
한편,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표시하는 단계 (S115)에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자동 조정이 선택되면,(S133) 멀티미디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하고,(S135)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1차 수신한 다음,(S137)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S139)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는, 분석한 주파수 특성에 따라,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할 수 있다.(S141)
다음, 멀티미디어 장치는, 산출된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고,(S143) 보정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S145)
이어, 멀티미디어 장치는, 테스트 사운드의 다음 수신 시간을 측정한다.(S147)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수신 시간의 경과 여부를 확인하고,(S149) 수신 시간이 경과되면, 현재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2차 수신한다.(S151)
즉, 멀티미디어 장치는,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자동 조정이 선택되면, 미리 설정된 일정 주기에 따라, 현재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한다.
이처럼, 멀티미디어 장치는, 산출된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고, 보정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 멀티미디어 장치는, 2차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분석을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S153) 종료하지 않으면,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S139) 및 그 이하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환경에서도, 항상 최적의 음향을 출력하므로, 사용자에게 만족할 만한 음질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설치 환경에 제약을 두지 않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400 : 멀티미디어 장치
410 : 사운드 수신 모듈
420 : 사운드 송신 모듈
430 : 디스플레이 모듈
440: 컨트롤러

Claims (20)

  1.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한 주파수 특성에 따라, 상기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보정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운드 보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보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상기 수동 조정이 선택되면, 상기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포함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값 수동 조정 창에 포함되는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은, 각 주파수에 대한 주파수 세기를 소정 형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은, 상기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별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은, 상기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대역별로 사용자가 1차 선택하고, 상기 1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각 주파수별로 상기 사용자가 2차 선택하여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들 중, 상기 사용자가 특정 주파수를 선택하여, 상기 보상값을 조정하면, 상기 조정 비율에 따라, 상기 1차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나머지 주파수들도 동시에 상기 보상값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은, 상기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추천 보상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보상값은, 상기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대응하여 소정 형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보상값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각 주파수의 추천 보상값들 중, 어느 하나의 추천 보상값을 조정하면, 상기 해당하는 추천 보상값만 조정되고, 나머지 추천 보상값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각 주파수의 추천 보상값들 중, 어느 하나의 추천 보상값을 조정하면, 상기 조정 비율에 따라, 나머지 추천 보상값들이 동시에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상기 자동 조정이 선택되면, 상기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사운드의 다음 수신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수신 시간의 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시간이 경과되면, 현재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는, 미리 설정된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신호, 미리 설정된 스윕(sweep) 신호, 그리고 현재 표시되는 영상의 사운드 신호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15. 멀티미디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테스트 사운드를 수신하는 사운드 수신 모듈;
    상기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송신 모듈;
    상기 사운드 보상에 대한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주파수 특성에 따라, 상기 테스트 사운드의 보상값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보상값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상기 수동 조정이 선택되면, 상기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을 포함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동 및 자동 조정 선택 창을 통해, 상기 수동 조정이 선택되면, 상기 수신한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과 상기 테스트 사운드의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추천 보상값을 포함한 보상값 수동 조정 창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 분석시, 외부의 소음 관련 노이즈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노이즈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의 볼륨 세기를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테스트 사운드의 주파수 특성 분석시, 사용자의 채널 변경에 따른 사운드의 음량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음량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의 볼륨 세기를 일정하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수신 모듈은, 카메라 모듈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사운드 수신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테스트 사운드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KR1020140121881A 2014-09-15 2014-09-15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KR102248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881A KR102248071B1 (ko) 2014-09-15 2014-09-15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US15/511,226 US9998839B2 (en) 2014-09-15 2015-05-18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hereof
EP15841557.0A EP3197150A4 (en) 2014-09-15 2015-05-18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hereof
PCT/KR2015/004937 WO2016043404A1 (ko) 2014-09-15 2015-05-18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US15/977,711 US10299052B2 (en) 2014-09-15 2018-05-11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hereof
US16/379,431 US10999687B2 (en) 2014-09-15 2019-04-09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hereof
US17/011,407 US11159903B2 (en) 2014-09-15 2020-09-03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881A KR102248071B1 (ko) 2014-09-15 2014-09-15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68A true KR20160031768A (ko) 2016-03-23
KR102248071B1 KR102248071B1 (ko) 2021-05-04

Family

ID=5553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881A KR102248071B1 (ko) 2014-09-15 2014-09-15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9998839B2 (ko)
EP (1) EP3197150A4 (ko)
KR (1) KR102248071B1 (ko)
WO (1) WO201604340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164A (ko) * 2018-11-19 2020-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조명 사운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공간 조명 사운드 시스템
WO2022019458A1 (ko) * 2020-07-23 2022-01-27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37367A (ko) * 2021-04-02 2022-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071B1 (ko) 2014-09-15 202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KR102522567B1 (ko) 2018-09-03 2023-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62475A (ko) 2019-11-21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66691B2 (en) 2020-06-10 2024-01-09 Okom Wrks Labs, Pbc Method for creating a stiff, rigid mycelium-based biocomposite material for use in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applications
CN112822622B (zh) * 2020-12-28 2022-11-15 深圳市东微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多通道测试系统及方法
CN112911198B (zh) * 2021-01-18 2023-04-14 广州佰锐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通信中的音频智能降噪的处理系统
CN114113974B (zh) * 2021-11-01 2023-10-27 海光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芯片系统级测试方法及装置
CN114189410B (zh) * 2021-12-13 2024-05-17 深圳市日声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数码广播音频接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423A (ko) * 1998-10-31 2000-05-25 전주범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 및방법
US20020136414A1 (en) * 2001-03-21 2002-09-26 Jordan Richard J.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ound and visual parameters of a home theatre system
KR20070074408A (ko) * 2006-01-09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음질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12054863A (ja) * 2010-09-03 2012-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音響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512B2 (ja) 1993-07-22 2001-07-23 ヤマハ株式会社 音響特性補正装置
KR20020095725A (ko) 2001-06-15 2002-1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사운드 밸런스 자동 조정 장치 및방법
US20050069153A1 (en) * 2003-09-26 2005-03-31 Hall David S. Adjustable speaker systems and methods
WO2007028094A1 (en) * 2005-09-02 2007-03-0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elf-calibrating loudspeaker
US8436948B2 (en) * 2007-03-07 2013-05-07 Rohm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television set and remote controller using manipulation signals
GB2449083B (en) * 2007-05-09 2012-04-04 Wolfson Microelectronics Plc Cellular phone handset with ambient noise reduction
TWI384889B (zh) * 2008-12-26 2013-02-01 Alpha Networks Inc 聲音播放裝置參數調整方法
US8823782B2 (en) * 2009-12-31 2014-09-02 Broadcom Corporation Remote control with integrated position, viewer identification and optical and audio test
US9307340B2 (en) * 2010-05-06 2016-04-05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udio system equalization for portable media playback devices
KR20120053143A (ko) 2010-11-17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이퀄라이징 방법 및 이의 장치
WO2012169679A1 (ko) * 2011-06-10 2012-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성인식 시스템
KR20130055410A (ko) * 2011-11-18 2013-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질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US9154729B2 (en) * 2011-12-28 2015-10-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JP2014045435A (ja) 2012-08-28 2014-03-13 Toshiba Corp 音響補正装置及び音響補正方法及び音響再生装置
KR101405847B1 (ko) 2012-10-05 2014-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음질 향상을 위한 신호처리 구조
US9319790B2 (en) * 2012-12-26 2016-04-19 Dts Llc Systems and methods of frequency response correction for consumer electronic devices
KR20150022476A (ko) * 2013-08-23 201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48071B1 (ko) 2014-09-15 202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423A (ko) * 1998-10-31 2000-05-25 전주범 텔레비젼 프로그램 쟝르에 따른 자동음향 설정 및 출력장치 및방법
US20020136414A1 (en) * 2001-03-21 2002-09-26 Jordan Richard J.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ound and visual parameters of a home theatre system
KR20070074408A (ko) * 2006-01-09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음질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12054863A (ja) * 2010-09-03 2012-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音響再生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164A (ko) * 2018-11-19 2020-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조명 사운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공간 조명 사운드 시스템
WO2022019458A1 (ko) * 2020-07-23 2022-01-27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37367A (ko) * 2021-04-02 2022-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57715A1 (en) 2017-09-07
EP3197150A1 (en) 2017-07-26
US20180332414A1 (en) 2018-11-15
US9998839B2 (en) 2018-06-12
US20190239010A1 (en) 2019-08-01
US20200404438A1 (en) 2020-12-24
US11159903B2 (en) 2021-10-26
US10299052B2 (en) 2019-05-21
US10999687B2 (en) 2021-05-04
KR102248071B1 (ko) 2021-05-04
WO2016043404A1 (ko) 2016-03-24
EP3197150A4 (en)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071B1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US852229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same according to configuration setting values received from outside
KR20150083289A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광고 방송 표시 방법
CN103188572A (zh) 能够播放内容的图像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10080351A (ko) 영상표시장치
KR10168761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KR2017004754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4202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의 3d 컨텐츠 처리 방법
KR101715945B1 (ko)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자동 제어 방법
KR101170443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tv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65449B1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커서 제어 방법
US8898702B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60021538A (ko) 채널 검색 방법
KR20080046887A (ko) 디지털 티브의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WO2013094337A1 (ja) テレビ放送受信機
KR100731533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 및 음성 모드 자동 조정 방법
US8610829B2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tion of program contents
KR2017001965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0502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28127A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고화질 컨텐츠 제공방법
KR10170183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20080001364A (ko) 텔레비전의 음향효과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29279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의 시청정보 획득 방법
KR20140094225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080019117A (ko) 신호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