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291A -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291A
KR20160031291A KR1020140121174A KR20140121174A KR20160031291A KR 20160031291 A KR20160031291 A KR 20160031291A KR 1020140121174 A KR1020140121174 A KR 1020140121174A KR 20140121174 A KR20140121174 A KR 20140121174A KR 20160031291 A KR20160031291 A KR 20160031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porous structure
positive electrode
sulfur
sulfu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06593B1 (en
Inventor
김민서
장민철
성다영
정병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2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593B1/en
Publication of KR2016003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2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5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7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80Porous plates, e.g. sintered carriers
    • H01M4/801Sintered c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nd a producing method thereof. 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rous structure which includes a backbone having conductivity and an air gap, and a conductive material coated o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backbone; and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upported on at least one portion of a surface and an inner portion of the porous structure. The lithium-sulfur battery can prevent structure collaps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increase durability of the positive electrode.

Description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의 제조방법{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본 출원은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리튬-황 전지는 황-황 결합을 갖는 황 계열 화합물을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고, 리튬과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리튬 이온과 같은 금속 이온의 삽입 및 탈삽입이 일어나는 탄소계 물질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는 이차 전지이다. 환원 반응인 방전시 황-황 결합이 끊어지면서 황의 산화수가 감소하고, 산화 반응인 충천시 황의 산화수가 증가하면서 황-황 결합이 다시 형성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고 생성한다.The lithium-sulfur battery uses a sulfur-based compound having a sulfur-sulfur bond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and a carbon-based material in which an alkali metal such as lithium or a metal ion such as lithium ion is intercalated or deintercalated is used as a negative active material Battery. The reduction of the sulfur-sulfur bond during the reduction reaction leads to a decrease in the oxidation number of sulfur and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in which the sulfur-sulfur bond is regenerated while the oxidation number of the sulfuric acid is increased .

리튬-황 전지는 음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리튬 금속을 사용할 경우 에너지 밀도가 3,830 mAh/g 이고,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황(S8)을 사용할 경우 에너지 밀도가 1,675 mAh/g 으로 에너지 밀도면에서 유망한 전지이다. 또한,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황계 물질은 값이 싸고 환경친화적인 물질이라는 장점이 있다.The lithium-sulfur battery has an energy density of 3,830 mAh / g when lithium metal is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1,675 mAh / g of sulfur (S 8 )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Battery. In addition, the sulfur compound used as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a cheap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substance.

그러나, 황은 전기전도도가 5 × 10-30 S/cm 로 부도체에 가까우므로 전기화학 반응으로 생성된 전자의 이동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래서, 원활한 전기 화학적 반응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탄소와 같은 전기적 도전재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 도전재와 황이 단순 혼합되어 사용된 경우는 산화-환원 반응시에 황이 전해질로 유출되어 전지 수명이 열화될 뿐 아니라, 적절한 전해액을 선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황의 환원 물질인 리튬 폴리설파이드가 용출되어 더 이상 전기화학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lfur has an electrical conductivity of 5 × 10 -30 S / cm, which is close to that of insulator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transfer electrons generated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Therefore, it has been necessary to us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arbon that can provide a smooth electrochemical reaction site. In this case, when the conductive material and sulfur are used in a simple mixture, the sulfur is leaked out to the electrolyte in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and the battery life is deteriorated. Also, when the appropriate electrolyte is not selected, lithium polysulf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are no longer able to participate in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그래서, 황이 전해질로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황이 포함된 전극의 전자 전도도를 높이기 위해 탄소와 황의 혼합 품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Thus, there was a need to improve the mixing quality of carbon and sulfur to reduce the flux of sulfur into the electrolyte and to increase the electronic conductivity of the electrode containing sulfu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338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83384

본 출원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리튬-황 전지의 활물질인 황이 폴리설파이드로 변환되는 경우에도 양극의 구조 붕괴를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양극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리튬-황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lithium-sulfur battery capable of suppressing the structure collapse of the anode even when sulfur, which is an active material of the lithium-sulfur battery, is converted into polysulfide, will be.

본 출원의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전도성을 가지는 골격 및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골격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도전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 및A porous structure comprising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conductive skeleton and voids and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keleton; And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 및 내부 중 적어도 일부에 담지된 양극 활물질A cathode active material suppor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porous structure;

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을 제공한다.And a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또한,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실시상태는,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 전도성을 가지는 골격 및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골격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도전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1) preparing a porous structure comprising a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a conductive skeleton and voids and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keleton, and

2) 양극 활물질, 또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 및 내부 중 적어도 일부에 담지시키는 단계2) supporting a slurry containing a cathode active material or a cathode active material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and the interior of the porous structure

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또한,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리튬-황 전지용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를 제공한다.Furth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lithium-sulfur battery including 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본 출원에 따른 리튬-황 전지용 양극은, 골격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도전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 및 내부 중 적어도 일부에 양극 활물질을 담지시킴으로써, 활물질인 황이 폴리설파이드로 변환되는 경우에도 양극의 구조 붕괴를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양극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골격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도전재를 이용하여 다공성 구조체의 공극 크기(pore size) 및 전자 전달 면적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용량의 리튬-황 전지를 형성할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omprises a porous structur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coated on at least a part of a skeleton, and by support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and the interior of the porou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tructural collapse of the anode even when it is converted into sulfide, and thus the durability of the anode can be increased. Also, the pore size and the electron transfer area of the porous structure can be controlled by using a conductive material co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keleton, and thus a high capacity lithium-sulfur battery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전도성을 가지는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함으로써 전자 전달 면적이 종래의 알루미늄 호일보다 넓을 수 있고, 전해액의 젖음(wetting)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고용량의 리튬-황 전지를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Further, by using the conductive porous structure, the electron transfer area can be wid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aluminum foil, and the wetting area of the electrolyte can be increased, so that a lithium-sulfur battery having a high capacity can be formed have.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로서, 전도성을 가지는 골격 및 공극을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로서, 전도성을 가지는 골격 및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골격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도전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로서, 양극 활물질이 담지된 다공성 구조체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rm of a porous structure including a skeleton having conductivity and an air gap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form of a porous structure comprising a conductive material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keleton, including skeletons and voids having conductivit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3 schematically shows a form of a porous structure carrying a cathode active materi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상태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상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고, 단지 본 실시상태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is appl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imensions and relativ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manner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applica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이하,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종래의 리튬-황 전지의 단위 셀은 음극의 집전체인 구리 박판, 음극인 리튬 전극, 분리막, 양극인 유황 전극 및 양극의 집전체인 알루미늄 박판의 순서로 적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양극인 유황 전극은 알루미늄 박판에 유황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도포하여 제조되었다.A unit cell of a conventional lithium-sulfur battery is generally laminated in the order of a copper foil as a collector of a negative electrode, a lithium electrode as a negative electrode, a separator, a sulfur electrode as an anode, and an aluminum foil as a collector of the positive electrode. In particular, the sulfur electrode, which is an anode, was produced by applying a slurry containing sulfur to an aluminum foil.

종래의 리튬-황 전지를 전기자동차에 적용시 가솔린 자동차와 유사한 주행거리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지의 에너지 밀도로 300 ~ 500 Wh/kg을 만족하여야 한다. 상기 에너지 밀도를 만족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집전체 위에 유황 활물질의 두께를 두껍게 제작하여 단위면적당 유황의 양을 최대한 많이 적층하는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양극 제작 초기 전도성에는 문제가 없으나, 충/방전이 반복됨에 따라 집전체에서 멀리 떨어진 양극 표면에서 일부 활물질이 떨어져 나가거나 전도성 경로가 줄어들어 도전성이 떨어지게 된다.When conventional lithium-sulfur batteries are applied to an electric vehicle, the energy density of the battery should satisfy 300 to 500 Wh / kg in order to have a distance similar to that of a gasoline vehicle.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energy density, a method of thickening the sulfur active material on the aluminum current collector and laminating as much sulfur as possible per unit area is being approached. However, such a method does not cause any problem in initial conductivity of the positive electrode. However, as charging / discharging is repeated, some active materials are separated from the anode surface far away from the current collector, or the conductive path is reduced.

이에 본 출원에서는, 종래의 양극의 집전체인 알루미늄 박판 대신에 전도성을 가지는 다공성 구조체를 적용함으로써, 리튬-황 전지의 충/방전시 양극 내 구조 붕괴를 억제하고, 양극 활물질인 황으로의 전자 전달 면적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Thus, in the present application, by applying a porous structure having conductivity in place of a conventional aluminum foil, which is a current collecting body of a positive electrod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tructure collapse in the anode during charging / discharging of the lithium-sulfur battery, To increase the area.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리튬-황 전지용 양극은, 전도성을 가지는 골격 및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골격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도전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 및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 및 내부 중 적어도 일부에 담지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다.A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porous structur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including a skeleton and a void having conductivity and co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keleton; And a cathode active material suppor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and the interior of the porous structure.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전도성 카본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orous structure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nductive carbon and metal.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탄소 종이(carbon pape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전도성 카본 폼(foam) 형태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orous structur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carbon paper. In addition, the porous structure may include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conductive carbon foam.

또한,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알루미늄 폼(foam) 형태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ous structure may include a structure in the form of an aluminum foam.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전도성 카본, 금속 등이 서로 가교되거나 얽혀서 3차원의 그물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형태의 예시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양극 내에서 집전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porous structure is formed by crosslinking or intertwining conductive carbon, metal, or the like to form a three-dimensional net structure. An example of such a structure is shown in FIG. The porous structure may serve as a current collector in the anode.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다수의 전도성 카본, 금속 등이 서로 서로 가교되거나 얽혀서 그물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개개의 전도성 카본, 금속 등의 단면의 직경은 1 ~ 100nm 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카본, 금속 등 간의 거리는 수 nm에서 수백 nm, 구체적으로 1 ~ 1,000n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터널링(tunneling) 및 전자 패스(pass)가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 및 내부에서도 가능하고, 수많은 기공과 다공성 구조체 자체의 높은 비표면적이 충방전시 황의 컨택 사이트로 가능하다. 또한, 전해액에 의해 황이 스웰링(swelling) 되더라도 탄소와 황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서, 황이 전해질로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지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orous structure is formed by a plurality of conductive carbon, metal, or the like cross-linked or intertw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net structure.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each conductive carbon and metal may be 1 to 100 nm,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ive carbon and the metal may be several nm to several hundred nm, specifically, 1 to 1,000 nm. Accordingly, electron tunneling and electronic pass can be performed on the surface and inside of the porous structure, and numerous pores and high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porous structure itself can be used as a contact site of sulfur upon charge and discharge. Also, even if sulfur is swelled by the electrolytic solution, there is no separation of carbon and sulfur, so that the sulfu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electrolyte, and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전도성 카본, 금속 등이 전자 이동 통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자 전도성을 높여주며, 전극의 용량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동시에 전도성 카본, 금속 등이 황의 컨택 사이트(contact site)로 역할을 할 수 있어서 황이 전해액에 의해 스웰링(swelling) 되더라도 탄소와 황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서, 황이 전해질로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rous structure enhances the electron conductivity because the conductive carbon, metal, or the like serves as an electron transfer path, and has an advantage that the capacity of the electrode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conductive carbon, metal, or the like can act as a contact site of sulfur, so that even when sulfur is swelled by the electrolytic solution, separation of carbon and sulfur does not occur so that sulfu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electrolyt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공극률(porosity)은 10 내지 9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공극률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다공성 구조체의 골격들이 빼곡하여 황의 담지량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공극률이 9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황이 담지될 구조체의 비표면적이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전자 전달 면적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The porosity of the porous structure may be 10 to 90%, more preferably 40 to 80%,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porosity of the porous structure is less than 10%, the skeletons of the porous structure may be curved to reduce the amount of sulfur supported. When the porosity of the porous structure exceeds 90%,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structur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on transfer area is reduced.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전도성을 가지는 골격 및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골격은 3차원 구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전도성을 가지는 골격 및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골격은 3차원 구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골격의 직경 또는 두께는 양극 활물질인 황 로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출원에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현재의 전지 내 황 로딩양은 약 3 mAh/cm2의 수준이나, 상기 황 로딩양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최고 용량을 발현하기 위해서 다공성 구조체의 두께 또한 변화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직경 또는 두께는 100㎛ 이하일 수 있고, 다공성 구조체를 구성하는 골격 간의 간격은 500㎛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rous structure includes a conductive skeleton and voids, and the skeleton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 porous structure includes a conductive skeleton and voids, and the skeleton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 diameter or thickness of the skeleton ma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sulfur loaded as the cathode active material, and therefo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at is, the present sulfur loading amount in the battery is about 3 mAh / cm 2 , but in the case of increasing the sulfur loading amount, the thickness of the porous structure may also be changed in order to exhibit the highest capacit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iameter or thickness of the porous structure may be 100 탆 or less, and the spacing between the scaffolds constituting the porous structure may be 500 탆 or les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전도성을 가지는 골격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도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재는 전도성을 가지는 골격의 일부 표면에만 코팅될 수도 있고, 골격의 전체 표면에 코팅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재가 코팅된 영역은 상기 전도성을 가지는 골격의 표면의 30 ~ 100% 일 수 있고, 50 ~ 90% 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orous structure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coated on at least a part of a skeleton having conductivity.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ated only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skeleton having conductivity, or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keleton. More specifically, the area coated with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30-100% of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keleton, and may be 50-9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도전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로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KS6와 같은 흑연계 물질; 슈퍼 P(Super-P), 덴카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카본 블랙과 같은 카본 블랙; 플러렌 등의 탄소 유도체;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또는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아세틸렌, 폴리피롤 등의 전도성 고분자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a conductive material known in the art. The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electrical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in the battery, but may be a graphite based material such as KS6; Carbon black such as Super P, Super Black, Denka Black,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Ferneic Black, Lamp Black, Summer Black and Carbon Black; Carbon derivatives such as fullerene;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 and metal fiber; Metal powders such as carbon fluoride, aluminum, and nickel powder; Or conductive polymers such as polyaniline, polythiophene, polyacetylene, and polypyrrol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도전재의 총함량은 리튬-황 전지용 양극 총중량을 기준으로 0.01 ~ 3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otal cont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0.0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 활물질은 황 및 황-탄소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be a material known in the art. More specifically, 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lfur and sulfur-carbon composit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특히, 상기 양극 활물질은, 50㎛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탄소나노튜브 응집체;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응집체의 내부 및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황을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황 복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be a carbon nanotube aggregate having a diameter of 50 탆 or less; And a sulfur-containing carbon nanotube-sulfur complex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arbon nanotube aggregate.

상기 양극 활물질은 황의 입자 크기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황의 입자 크기를 직경(d50) 5㎛ 이내로 조절해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황 자체가 부도체에 가깝기 때문에 상기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황에 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로 랩핑(wrapping), 코팅(coating), 함침(impregnation) 등의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be influenced by the particle size of sulfur,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particle size of the sulfur to a diameter (d50) of 5 μm or less. Since the sulfur itself is close to the non-conductive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prepare a cathode active material by a method such as wrapping, coating, impregnation or the like with a material that can be imparted.

상기 양극 활물질은 다공성 구조체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이 다공성 구조체의 외부 표면의 전부에 위치하는 경우는 전도성 카본, 금속 등의 전자 전달 역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이 다공성 구조체의 외부 표면의 일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표면에 노출된 전도성 카본, 금속 등이 양극 내에 존재하는 도전재와 컨택하면서 전자 전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충방전 과정에서 전자 전달 컨택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be located inside the porous structure and may be located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When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located o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porous structure, the electron transporting role of conductive carbon, metal, and the like can be reduced. When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locat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orous structure, the conductive carbon, metal, or the like exposed to the surface can perform the electron transferring role while contacting with the conductive material existing in the anode,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contact area.

상기 양극 활물질로서, 상기 황은 황 원소(S8) 또는 S-S 결합을 가지는 황 화합물일 수 있다.As the cathode active material, the sulfur may be a sulfur compound having a sulfur element (S8) or an S-S bond.

상기 다공성 구조체에 양극 활물질을 담지하기 위해서는, 양극 활물질인 황과 상기 황에 전도성을 줄 수 있는 카본(carbon)인 super-p를 혼합하고 볼 밀(ball mill)을 통해 카본이 황 표면을 감싸도록 양극 활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도전재와 바인더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상기 다공성 구조체에 딥핑(dipping), 캐스팅(casting) 등의 방법으로 상기 슬러리를 다공성 구조체에 담지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the porous structure, sulfur, which i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super-p, which is a carbon capable of providing conductivity to the sulfur, are mixed and the carbon is enclosed in the sulfur surface through a ball mill. A cathode active material can be produced. After the slurry is prepared by mix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binder with the thus-prepared cathode active material, the slurry may be carried on the porous structure by dipping or casting the porous structure.

상기 슬러리 내 황의 함량은 약 60 중량% 이고, 카본의 함량은 약 25 중량%(이 중 도전재의 함량은 약 15 중량% 임) 이며, 바인더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는 약 15 중량%로 조절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of sulfur in the slurry is about 60% by weight, the content of carbon is about 25%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is about 15% by weight), and the polyethylene oxide as a binder can be adjusted to about 15%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 전지용 양극은 도전재 및 바인더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may further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resin.

상기 도전재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다공성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도전재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의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conductive material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ductive material co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above-described porous structure, and therefore its specific details will be omitted.

상기 바인더 수지는 양극 활물질과 다공성 구조체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binder resin may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porous structure.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피롤리돈, 알킬레이티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코폴리머(상품명: Kynar),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피리딘, 폴리스티렌,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이들의 유도체, 이들의 블랜드, 이들의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binder resin include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ethylene oxide, polyvinyl pyrrolidone, alkylated polyethylene oxide, crosslinked polyethylene oxide, polyvinyl ether, poly (methyl methacrylate) (Trade name: Kynar), poly (ethyl acrylate), polytetrafluoroethylene polyvinyl chloride, polyacrylonitrile, polyvinylpyridine, polystyren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vinylidene fluoride, , Carboxymethyl 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blends thereof, copolymers thereof,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상기 리튬-황 전지용 양극 총중량을 기준으로 0.5 ~ 3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양극의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어 양극 내 활물질과 도전재가 탈락할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양극에서 활물질과 도전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전지 용량이 감소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binder resin may be 0.5-3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content of the binder resin is less than 0.5% by weigh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sitive electrode are lowered and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in the positive electrode may fall off. When the amount exceeds 30% by weight, the ratio of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battery capacity can be reduced.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 전지용 양극은, 전이금속 원소, ⅢA족 원소, ⅣA족 원소, 이들 원소들의 황 화합물, 및 이들 원소들과 황의 합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a transition metal element, a group IIIA element, a group IVA element, a sulfur compound of these elements, and an alloy of these elements and sulfur .

상기 전이금속 원소로는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Y, Zr, Nb, Mo, Tc, Ru, Rh, Pd, Os, Ir, Pt, Au 또는 Hg 등이 포함되고, 상기 ⅢA족 원소로는 Al, Ga, In, Ti 등이 포함되며, 상기 ⅣA족 원소로는 Ge, Sn, Pb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transition metal element may be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Y, Zr, Nb, Mo, Tc, Ru, Rh, Pd, Os, Hg and the like, and the Group IIIA element includes Al, Ga, In, and Ti, and the Group IVA element may include Ge, Sn, Pb, and the like.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로서, 전도성을 가지는 골격 및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골격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도전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의 형태를 하기 도 2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로서, 도전재 및 양극 활물질이 담지된 다공성 구조체의 형태를 하기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orm of a porous structure comprising a conductive material and a conductive material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ramework, including a void,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In addition,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hape of the porous structure carry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또한,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리튬-황 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은, 1) 전도성을 가지는 골격 및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골격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도전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2) 양극 활물질, 또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 및 내부 중 적어도 일부에 담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Furth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1) providing a porous structur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skeleton having a conductive property and co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keleton, And 2) carrying a slurry containing a cathode active material or a cathode active material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and the interior of the porous structure.

본 출원에 따른 리튬-황 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체, 도전재 양극 활물질 등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ents of the porous structure, the conductive material,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like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도전재, 바인더 수지 및 유기용매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 및 바인더 수지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고, 상기 유기용매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용매는 양극 활물질 및 도전재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쉽게 증발될 수 있는 유기용매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탄올, 톨루엔, 벤젠,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아세톤, 클로로포름, 디메틸포름아미드, 시클로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lurry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ductive material, a binder resin, and an organic solvent. The contents of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binder resin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e organic solvent may be a material known in the art. More specifically, the organic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organic solvent capable of uniformly dispers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and being easily evaporated. Specific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ethanol, toluene, benzene, N-methylpyrrolidone (NMP), dimethylsulfoxide (DMSO), acetone, chloroform, dimethylformamide, cyclohexane, tetrahydrofuran, Methylene chloride, and mixtures thereof.

본 출원에 따른 리튬-황 전지용 양극은, 골격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도전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 및 내부 중 적어도 일부에 양극 활물질을 담지시킴으로써, 활물질인 황이 폴리설파이드로 변환되는 경우에도 양극의 구조 붕괴를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양극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골격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도전재를 이용하여 다공성 구조체의 공극 크기(pore size) 및 전자 전달 면적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용량의 리튬-황 전지를 형성할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omprises a porous structur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coated on at least a part of a skeleton, and by support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and the interior of the porou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tructural collapse of the anode even when it is converted into sulfide, and thus the durability of the anode can be increased. Also, the pore size and the electron transfer area of the porous structure can be controlled by using a conductive material co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keleton, and thus a high capacity lithium-sulfur battery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전도성을 가지는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함으로써 전자 전달 면적이 종래의 알루미늄 호일보다 넓을 수 있고, 전해액의 젖음(wetting)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고용량의 리튬-황 전지를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Further, by using the conductive porous structure, the electron transfer area can be wid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aluminum foil, and the wetting area of the electrolyte can be increased, so that a lithium-sulfur battery having a high capacity can be formed have.

또한,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리튬-황 전지용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를 제공한다.Furth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lithium-sulfur battery including 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상기 리튬-황 전지는 상기 리튬-황 전지용 양극; 음극 활물질로서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을 포함하는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 및 상기 음극, 양극 및 분리막에 함침되어 있으며, 리튬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thium-sulfur battery includes the positive electrode for the lithium-sulfur battery; A negative electrode comprising lithium metal or a lithium alloy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separation membrane position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an electrolyte impregnat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nd including a lithium salt and an organic solvent.

상기 음극은 음극 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또는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a material capable of reversibly intercalating or deintercalating lithium ions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material capable of reversibly reacting with lithium ions to form a lithium-containing compound, a lithium metal or a lithium alloy .

상기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또는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은 예를 들어,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material capable of reversibly intercalating or deintercalating lithium ions may be, for example, crystalline carbon, amorphous carbon, or a mixture thereof.

상기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은 예를 들어, 산화주석, 티타늄나이트레이트, 또는 실리콘일 수 있다.The material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lithium ion to form a lithium-containing compound reversibly may be, for example, tin oxide, titanium nitrate, or silicon.

상기 리튬 합금은 예를 들어, 리튬과 Na, K, Rb, Cs, Fr, Be, Mg, Ca, Sr, Ba, Ra, Al 및 Sn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합금일 수 있다.The lithium alloy may be, for example, an alloy of lithium and a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 K, Rb, Cs, Fr, Be, Mg, Ca, Sr, Ba, Ra, Al and Sn.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을 서로 분리 또는 절연시키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리튬 이온 수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다공성 비전도성 또는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분리막은 필름과 같은 독립적인 부재일 수도 있고, 양극 및/또는 음극에 부가된 코팅층일 수도 있다.The separation membrane locat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may be made of a porous non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 which separates or insulates the anode and the cathode from each other and enables transport of lithium ions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Such a separation membrane may be an independent member such as a film, or may be a coating layer added to the anode and / or the cathode.

상기 분리막을 이루는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유리 섬유 여과지 및 세라믹 물질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두께는 약 5 ~ 50㎛, 상세하게는 약 5 ~ 25㎛ 일 수 있다.The material forming the separation membrane includes, for example, a polyolefin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 glass fiber filter paper, and a ceramic material. However, the thicknes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bout 5 to 50 μm, .

상기 음극, 양극 및 분리막에 함침되어 있는 전해질은 리튬염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The electrolyte impregnated into the negative electrode,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includes a lithium salt and an organic solvent.

상기 리튬염의 농도는, 전해질 용매 혼합물의 정확한 조성, 염의 용해도, 용해된 염의 전도성, 전지의 충전 및 방전 조건, 작업 온도 및 리튬 배터리 분야에 공지된 다른 요인과 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0.2 ~ 2M, 구체적으로 0.6 ~ 2M, 더욱 구체적으로 0.7 ~ 1.7M일 수 있다. 0.2M 미만으로 사용하면 전해질의 전도도가 낮아져서 전해질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2M을 초과하여 사용하면 전해질의 점도가 증가하여 리튬 이온의 이동성이 감소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사용하기 위한 리튬염의 예로는, LiSCN, LiBr, LiI, LiPF6, LiBF4, LiSO3CF3, LiClO4, LiSO3CH3, LiB(Ph)4, LiC(SO2CF3)3 및 LiN(SO2CF3)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ncentration of the lithium salt may be in the range of 0.2 to 2 M, preferably 1 to 2 M,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precise composition of the electrolyte solvent mixture, the solubility of the salt, the conductivity of the dissolved salt,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conditions of the battery, Specifically, it may be 0.6 to 2M, more specifically 0.7 to 1.7M. If it is used at less than 0.2 M, the conductivity of the electrolyte may be lowered and electrolyte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If it is used in excess of 2 M, the viscosity of the electrolyte may increase and the mobility of the lithium ion may be decreased. Lithium salt for example for u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LiSCN, LiBr, LiI, LiPF 6, LiBF 4, LiSO 3 CF 3, LiClO 4, LiSO 3 CH 3, LiB (Ph) 4, LiC (SO 2 CF 3) 3 and LiN (SO 2 CF 3) may include one or mor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

상기 유기 용매는 단일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고 2 이상의 혼합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2 이상의 혼합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약한 극성 용매 그룹, 강한 극성 용매 그룹, 및 리튬 메탈 보호 용매 그룹 중 두 개 이상의 그룹에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rganic solvent may be a single solvent or two or more mixed organic solvents. When two or more mixed organic solvents are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at least one solvent selected from two or more of the weak polar solvent group, the strong polar solvent group, and the lithium metal protective solvent group.

상기 약한 극성 용매는 아릴 화합물, 바이사이클릭 에테르, 비환형 카보네이트 중에서 황 원소를 용해시킬 수 있는 유전 상수가 15보다 작은 용매로 정의되고, 강한 극성 용매는 비사이클릭 카보네이트, 설폭사이드 화합물, 락톤 화합물, 케톤 화합물, 에스테르 화합물, 설페이트 화합물, 설파이트 화합물 중에서 리튬 폴리설파이드를 용해시킬 수 있는 유전 상수가 15보다 큰 용매로 정의되며, 리튬 메탈 보호 용매는 포화된 에테르 화합물, 불포화된 에테르 화합물, N, O, S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 헤테로 고리 화합물과 같은 리튬 금속에 안정한 SEI(Solid Electrolyte Interface)를 형성하는 충방전 사이클 효율(cycle efficiency)이 50% 이상인 용매로 정의된다.The weak polar solvent is defined as a solvent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of less than 15 which is capable of dissolving a sulfur element in an aryl compound, a bicyclic ether, or a cyclic carbonate, and the strong polar solvent is a bicyclic carbonate, a sulfoxide compound, a lactone compound , A ketone compound, an ester compound, a sulfate compound, and a sulfite compound, wherein the lithium metal protective solvent is a saturated ether compound, an unsaturated ether compound, an N, Is defined as a solvent having a charge / discharge cycle efficiency of 50% or more to form a stable SEI (Solid Electrolyte Interface) on a lithium metal such as a heterocyclic compound containing O, S,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약한 극성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자일렌(xylene), 디메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톨루엔,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디글라임 또는 테트라글라임 등이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weak polar solvent include xylene, dimethoxyethane, 2-methyltetrahydrofuran, diethyl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toluene, dimethyl ether, diethyl ether, diglyme or tetraglyme .

상기 강한 극성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헥사메틸 포스포릭 트리아마이드(hexamethyl phosphoric triamide), γ-부티로락톤, 아세토니트릴,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N-메틸피롤리돈, 3-메틸-2-옥사졸리돈, 디메틸 포름아마이드, 설포란, 디메틸 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 설폭사이드, 디메틸 설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디메틸 설파이트, 또는 에틸렌 글리콜 설파이트 등이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strong polar solvent include hexamethyl phosphoric triamide,? -Butyrolactone, acetonitrile, ethylene carbonate, propylene carbonate, N-methylpyrrolidone, 3-methyl- Dimethyl formamide, sulfolane, dimethylacetamide, dimethyl sulfoxide, dimethyl sulfate, ethylene glycol diacetate, dimethyl sulfite, or ethylene glycol sulfite.

상기 리튬 보호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테트라하이드로 퓨란, 에틸렌 옥사이드, 디옥솔란, 3,5-디메틸 이속사졸, 퓨란, 2-메틸 퓨란, 1,4-옥산 또는 4-메틸디옥솔란 등이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lithium protecting solvent include tetrahydrofuran, ethylene oxide, dioxolane, 3,5-dimethylisoxazole, furan, 2-methylfuran, 1,4-oxane or 4-methyldioxolane.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리튬-황 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lithium-sulfur battery as a unit cell.

상기 전지모듈은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may be specifical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or a power storage device.

Claims (15)

전도성을 가지는 골격 및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골격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도전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 및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 및 내부 중 적어도 일부에 담지된 양극 활물질
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A porous structure comprising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conductive skeleton and voids and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keleton; And
A cathode active material suppor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porous structure;
A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전도성 카본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ous structure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nductive carbon and meta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탄소 종이(carbon pa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orous structure comprises carbon pap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전도성 카본 폼(foam) 형태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orous structure includes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conductive carbon foa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알루미늄 폼(foam) 형태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orous structure includes a structure in the form of aluminum foa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공극률(porosity)은 1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osity of the porous structure is 10 to 9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골격의 직경 또는 두께는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keleton of the porous structure has a diameter or thickness of 100 m or les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골격 간의 간격은 5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pacing between the skeletons of the porous structure is 500 탆 or l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공극도는 다공성 구조체의 총부피를 기준으로 10 ~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osity of the porous structure is 10 to 70% based on the total volume of the porous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황 및 황-탄소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lfur and a sulfur-carbon composite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흑연계 물질, 카본 블랙, 탄소 유도체, 도전성 섬유, 금속 분말 및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phite-based materials, carbon black, carbon derivatives, conductive fibers, metal powders and conductive polymers. 1) 전도성을 가지는 골격 및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골격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도전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2) 양극 활물질, 또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 및 내부 중 적어도 일부에 담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1) preparing a porous structure comprising a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a conductive skeleton and voids and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keleton, and
2) supporting a slurry containing a cathode active material or a cathode active material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and the interior of the porous structure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is a positive electrod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전도성 카본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Claim 12]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orous structure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nductive carbon and metal.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공극률(porosity)은 1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orosity of the porous structure is 10 to 90%.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의 리튬-황 전지용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A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KR1020140121174A 2014-09-12 2014-09-12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8065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174A KR101806593B1 (en) 2014-09-12 2014-09-12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174A KR101806593B1 (en) 2014-09-12 2014-09-12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291A true KR20160031291A (en) 2016-03-22
KR101806593B1 KR101806593B1 (en) 2017-12-07

Family

ID=5564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174A KR101806593B1 (en) 2014-09-12 2014-09-12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59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8150A1 (en) * 2016-06-13 2017-12-2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re-shell cathodes for lithium-sulfur batteries
CN112840494A (en) * 2019-05-28 2021-05-25 株式会社Lg化学 Lithium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3627B2 (en) * 2019-05-28 2022-12-20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lithium secondary battery
EP3940822A4 (en) * 2019-07-18 2022-09-21 LG Energy Solution, Ltd. Lithium-sulfur secondary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007B1 (en) * 2000-11-22 2003-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8150A1 (en) * 2016-06-13 2017-12-2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re-shell cathodes for lithium-sulfur batteries
CN112840494A (en) * 2019-05-28 2021-05-25 株式会社Lg化学 Lithium secondary battery
CN112840494B (en) * 2019-05-28 2024-05-07 株式会社Lg新能源 Lithium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593B1 (en)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2130B2 (en)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614613B1 (en) Carbon nanotube-sulfur composite comprising carbon nanotube aggregat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64455B1 (en)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737217B1 (en) Surfur-carbonnanotube complex,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sulfur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lithium-sulfur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669316B1 (en) Sulfur-carbon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90174B1 (en) Binder for lithium-sulfu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sulfu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11652208B2 (en) Sulfur-carbon composit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US20240021803A1 (en) Sulfur-carbon composit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190050424A (en) Sulfur-carbon composite and lithium-sulfur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00049685A (en) Carbon -surfur complex,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806593B1 (en)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804615B1 (en)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1611066B2 (en) Sulfur-carbon composit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190047907A (en) A carbon -surfur complex,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50026098A (en)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60031284A (en)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765367B1 (en)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768751B1 (en)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510289B1 (en) Binder for manufacturing a electrode of lithium-surfur secondary battery and mathod for manufacturing the electrode using the same
KR102346842B1 (en)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15668572A (en) Electrolyt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same
KR20230089021A (en) Electrolyt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