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316B1 - Sulfur-carbon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ulfur-carbon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316B1
KR101669316B1 KR1020130090467A KR20130090467A KR101669316B1 KR 101669316 B1 KR101669316 B1 KR 101669316B1 KR 1020130090467 A KR1020130090467 A KR 1020130090467A KR 20130090467 A KR20130090467 A KR 20130090467A KR 101669316 B1 KR101669316 B1 KR 101669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carbon
particles
powder
carbon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4793A (en
Inventor
김민서
이승호
장민철
김유미
손병국
성다영
박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090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316B1/en
Publication of KR2015001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7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1Chalcogenides or intercalation compounds thereof
    • H01M4/5815Sulf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1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입자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한 황-탄소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자 크기가 균일하므로 황에 효율적으로 전자 전도성을 부여해 줄 수 있고, 전극의 용량을 개선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lfur-carbon composite having uniform particle siz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vide electron conductivity to sulfur and improve the capacity of the electrode because the particle size is uniform.

Description

황-탄소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SULFUR-CARBON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lfur-

본 출원은 황-탄소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sulfur-carbon composit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리튬-황 전지는 황-황 결합을 갖는 황 계열 화합물을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고, 리튬과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리튬 이온과 같은 금속 이온의 삽입 및 탈삽입이 일어나는 탄소계 물질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는 이차 전지이다. 환원 반응인 방전시 황-황 결합이 끊어지면서 황의 산화수가 감소하고, 산화 반응인 충천시 황의 산화수가 증가하면서 황-황 결합이 다시 형성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고 생성한다. The lithium-sulfur battery uses a sulfur-based compound having a sulfur-sulfur bond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and a carbon-based material in which an alkali metal such as lithium or a metal ion such as lithium ion is intercalated or deintercalated is used as a negative active material Battery. The reduction of the sulfur-sulfur bond during the reduction reaction leads to a decrease in the oxidation number of sulfur and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in which the sulfur-sulfur bond is regenerated while the oxidation number of the sulfuric acid is increased .

리튬-황 전지는 음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리튬 금속을 사용할 경우 에너지 밀도가 3830mAh/g 이고,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황(S8)을 사용할 경우 에너지 밀도가 1675mAh/g 으로 에너지 밀도면에서 유망한 전지이다. 또한,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황계 물질은 값이 싸고 환경친화적인 물질이라는 장점이 있다. The lithium-sulfur battery has an energy density of 3830 mAh / g when lithium metal is used as an anode active material, and an energy density of 1675 mAh / g when sulfur (S 8 ) used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is used. . In addition, the sulfur compound used as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a cheap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substance.

그러나 황은 전기전도도가 5×10-30 S/cm 로 부도체에 가까우므로 전기화학 반응으로 생성된 전자의 이동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래서 원활한 전기 화학적 반응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탄소와 같은 전기적 도전재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 도전재와 황이 단순 혼합되어 사용된 경우는 산화-환원 반응 시에 황이 전해질로 유출되어 전지 수명이 열화될 뿐 아니라, 적절한 전해액을 선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황의 환원 물질인 리튬 폴리설파이드가 용출되어 더 이상 전기화학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lfur has an electric conductivity of 5 × 10 -30 S / cm, which is close to non-conducting,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electrons generated by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are difficult to migrate. Therefore, it has been necessary to us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arbon which can provide a smooth electrochemical reaction site. In this case, when the conductive material and sulfur are used in a simple mixture, not only the life of the battery is deteriorated due to the leakage of sulfur into the electrolyte during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and when the appropriate electrolyte is not selected, lithium polysulfide, So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to participate in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그래서 황이 전해질로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황이 포함된 전극의 전자 전도도를 높이기 위해 탄소와 황의 혼합 품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Thus, there was a need to improve the mixing quality of carbon and sulfur to reduce the flux of sulfur into the electrolyte and to increase the electronic conductivity of the electrode containing sulfur.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7-008338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83384

본 출원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입자 크기가 균일하고, 탄소가 황 입자의 내부 및 외부에 효율적으로 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는 구조의 황-탄소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sulfur-carbon composit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article size is uniform and carbon can efficiently impart conductivity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sulfur particles.

또한, 본 출원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sulfur-carbon composite.

본 출원의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황-탄소 복합체로서, 황 입자 또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탄소 입자가 포함된 황 입자; 및 상기 황 입자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탄소 입자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황-탄소 복합체는 입자 크기 분포의 d50 값을 기준으로 d10 값이 d50 값의 0.1배 내지 1배이고, d90 값이 d50 값의 1배 내지 10배인 황-탄소 복합체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sulfur-carbon composite comprising a sulfur particle or a sulfur particle including at least one carbon particle therein; And the carbon particles positioned on a part or the whole of the surface of the sulfur particle, wherein the d10 value is 0.1 to 1 times the d50 value based on the d50 value of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the d90 value is d50 Lt; RTI ID = 0.0 > 10-fold. ≪ / RTI >

본 출원의 다른 실시상태는 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한 황 분말 및 탄소 분말을 준비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 분말을 가압하여 분말 사이의 공극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압과 동시에 또는 가압 이후에 혼합 분말을 용융시켜서 황-탄소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 preparing and mixing sulfur powders and carbon powders having uniformly sized particles; Pressurizing the mixed powder to reduce voids between powders; And melting the mixed powder at the same time or after the pressurization to form a sulfur-carbon composite.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는 입자 크기가 균일하므로 황에 효율적으로 전도성을 부여해줄 수 있다. 따라서, 황이 전해질로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자 전도성을 높여주며, 전극의 용량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impart conductivity to sulfur efficiently since the particle size is unifor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utflow of sulfur into the electrolyte, increase the electron conductivity, and improve the capacity of the electrode.

도 1은 황 입자 크기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의 예상 모식도로서 황 입자 표면을 탄소 입자들이 둘러싼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a는 황 입자의 직경이 10 마이크로미터인 경우이며, b는 황 입자의 직경이 5 마이크로미터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탄소로 그라파이트를 사용한 경우 황-탄소 복합체의 예상 모식도로서 황 입자 표면을 탄소 입자들이 둘러싼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a는 그라파이트가 황 입자를 둘러싼 구조의 황-탄소 복합체를 나타낸 것이고, b는 그라파이트 입자들이 황 입자의 내부에 포함되면서 황 입자를 둘러싼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c는 황 탄소 복합체 사이의 공극이 거의 형성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한 황 분말과 탄소 분말을 혼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혼합 분말을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c는 상기 가압한 분말을 용융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에서 볼밀로 분산시키기 전의 상태로 황 입자 외부 표면에 탄소 입자들이 둘러싼(wrapping) 구조의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를 더 확대한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를 볼밀로 분산시킨 상태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에서 볼밀로 분산시키기 전의 상태로 탄소 입자들이 황 입자의 내부에 포함되고, 탄소 입자들이 황 입자의 외부 표면을 둘러싼(wrapping) 구조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를 볼밀로 분산시킨 상태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비교예 1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대한 코인 셀 방전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the size of a sulfur particle.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in which carbon particles surround the surface of a sulfur particle. a represents the case where the diameter of the sulfur particles is 10 micrometers, and b represents the case where the diameter of the sulfur particles is 5 micrometers.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sulfur-carbon composite when graphite is used as a carb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in which carbon particles surround the surface of a sulfur particle. wherein a represents a sulfur-carbon composit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graphite surrounds sulfur particles, b represents a structure in which graphite particles are enclosed within a sulfur particle and surrounds sulfur particles, and c represents a structure in which a gap between the sulfur- In the first embodiment.
FIG. 3 shows a process for producing a sulfur-carbon composite, wherein a represents a mixture of sulfur powder and carbon powder uniformly adjusted in particle size, b represents a pressurized state of the mixed powder, And the pressurized powder is melted.
FIG. 4 show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 of a structure in which carbon particles are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a sulfur particle in a state before dispersion into a ball mill in the sulfur-carbon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Example 1. FIG.
Fig. 5 is a further enlarged view of Fig.
6 is an SEM image of the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Example 1 dispersed in a ball mill.
FIG. 7 shows a SEM image of a structure in which carbon particles are contained in the interior of the sulfur particles in the state before dispersion into a ball mill in the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Example 2, and carbon particles are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lfur particles will be
8 is an SEM image of the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Example 2 dispersed in a ball mill.
9 is an SEM image of the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Fig.
10 shows results of coin cell discharge tests for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ig.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상태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상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상태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is appl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imensions and relativ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manner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applica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이하,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황 입자 또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탄소 입자가 포함된 황 입자; 및 상기 황 입자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탄소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황-탄소 복합체를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sulfur particle or a sulfur particle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n particle therein; And carbon particles located on a part or all of the surface of the sulfur particles.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한 황 분말 및 탄소 분말을 준비하여 혼합하는 단계 (S10); 상기 혼합 분말을 가압하여 분말 사이의 공극을 감소시키는 단계 (S20); 및 상기 가압과 동시에 또는 가압 이후에 혼합 분말을 용융시켜서 황-탄소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preparing and mixing (S 10) sulfur powders and carbon powders having uniformly controlled particle sizes; Reducing the gap between powders by pressurizing the mixed powder (S20); And a step (S30) of melting the mixed powder at the same time or after the pressurization to form a sulfur-carbon composite (S30).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황-탄소 복합체를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sulfur-carbon composite produced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상기 황-탄소 복합체는 복합체 내의 황과 탄소 사이의 부착력이 향상되고, 인접한 복합체 사이의 부착력도 향상되어 황의 전도성이 높아질 수 있다. The sulfur-carbon composite improves the adhesion between sulfur and carbon in the composite and improves the adhesion between adjacent complexes, thereby enhancing the conductivity of the sulfur.

종래에는 황과 포러스한 탄소를 혼합하고 열처리하여 탄소의 기공으로 황을 함침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 탄소의 기공 내로 황이 함침되어야 하나 황의 함량이 탄소의 함침 범위를 넘게 되면 탄소 외부를 황이 둘러싸게 되어 황에게 전자 전도성을 부여해주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어 황의 함량 변화에 따라 제약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Conventionally, sulfur and porous carbon are mixed and heat treated to impregnate sulfur with carbon pores. In this case, sulfur should be impregnated into the pores of the carbon, but if the sulfur content exceeds the carbon impregnation range, And it is difficult to give electron conductivity to the sulfur so that it is restricted by the change of sulfur content.

그러나,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는 황 입자의 외부 표면에 탄소 입자들이 둘러싸는(wrapping) 구조이거나 황 입자의 내부에 탄소 입자들이 포함되면서 외부 표면에도 탄소 입자들이 둘러싸는(wrapping) 구조이므로 도전재인 탄소가 황에게 전자 전도성을 효과적으로 부여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ulfur-carbon composite has a structure in which carbon particles are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lfur particles, or carbon particles are contained in the interior of the sulfur particles, it is advantageous that the conductive material, carbon, can effectively impart electron conductivity to sulfur.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상기 황-탄소 복합체에서 황 입자와 탄소 입자는 균일하게 크기가 조절되어 최종 산물인 황-탄소 복합체의 크기도 균일하게 조절되는 장점이 있다. In the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ulfur particles and the carbon particles are uniformly sized to uniformly control the size of the sulfur-carbon composite as a final product.

종래 황-탄소 복합체는 각각의 물질을 혼합하여 볼밀 공정을 통해 연성을 가진 황 표면에 탄소를 물리적으로 달라붙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는데, 이 경우 볼밀 공정 시간이 길고, 최종 산물인 황-탄소 복합체 입자가 균일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입자가 균일하지 않는 경우 단위 중량당 표면적이 크지 않아 황의 전자 전도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Conventional sulfur-carbon composites were prepared by mixing each material and physically sticking the carbon to a soft sulfur surface through a ball mill process. In this case, the ball milling time is long and the final product sulfur-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composite particles are not uniform. If the particles are not unifor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face area per unit weight is not large and the electron conductivity of sulfur is poor.

그러나,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는 크기가 균일하게 조절된 황 입자를 사용하여 제조하고 탄소 입자의 크기는 황 입자의 크기에 비하여 매우 작으므로 최종 산물인 황-탄소 복합체의 크기도 초기 황 입자 크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게 되어 입자 크기가 균일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입자 크기가 균일할수록 단위 중량당 표면적이 크므로 황의 전자 전도성도 좋아지게 되어 전극의 용량이 증가되고, 용량 손실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However, the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using sulfur particles uniformly controlled in size, and the size of the carbon particles is very small compared to the size of the sulfur particles. Therefore, The size of the particles is not largely deviated from the initial sulfur particle size, and the particle size becomes uniform. The more uniform the particle size, the greater the surface area per unit weight, the better the electron conductivity of the sulfur, the larger the capacity of the electrode, and the smaller the capacity loss.

상기 황-탄소 복합체는 입자 크기 분포의 d50 값을 기준으로, d10 값이 d50 값의 0.1배 내지 1배이고, d90 값이 d50 값의 1배 내지 10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d10 값이 d50 값의 0.2 내지 1배이고, d90 값이 d50 값의 1 내지 3배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해당할 때 황-탄소 복합체가 균일한 입도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e d10 value may be 0.1 to 1 times the d50 value, and the d90 value may be 1 to 10 times the d50 value, based on the d50 value of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Specifically, the d10 value may be 0.2 to 1 times the d50 value, and the d90 value may be 1 to 3 times the d50 value. When it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can be said that the sulfur-carbon composite has a uniform particle size.

본 명세서에서 입자 크기 분포의 "d숫자"란 다양한 입자 크기로 분포되어 있는 입자들을 d와 함께 존재하는 숫자의 부피비로 누적시켰을 때의 최대 입자의 직경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d50이란 다양한 입자 크기로 분포되어 있는 입자들을 부피비로 50%까지 누적시켰을 때 최대 입자의 직경을 의미한다. 이때 총 부피의 0%초과 50% 이하에 해당하는 입자의 직경은 d50보다 작거나 같다. 또한, d10이란 다양한 입자 크기로 분포되어 있는 입자들을 부피비로 10%까지 누적시켰을 때 최대 입자의 직경을 의미한다. 이때 총 부피의 0%초과 10% 이하에 해당하는 입자의 직경은 d10보다 작거나 같다. 그리고, d90이란 다양한 입자 크기로 분포되어 있는 입자들을 부피비로 90%까지 누적시켰을 때 최대 입자의 직경을 의미한다. 이때 총 부피의 0%초과 90% 이하에 해당하는 입자의 직경은 d90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 입자 크기 분포상의 유효 입자 크기는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전통적인 입자 크기 측정 기술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침강 장흐름 분획법(sedimentation field flow fractionation), 광자상관법(photon correlation spectroscopy), 빛 산란법(light scattering) (예컨대, Microtrac UPA 150 이용), 레이저 회절법(laser diffraction) 또는 디스크 원심분리법(disc centrifugation) 등이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 number" of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ns the maximum particle diameter when the particles distributed at various particle sizes are accumulated at the ratio of the numbers existing together with d. Specifically, d50 means the maximum particle diameter when particles having various particle sizes are accumulated up to 50% in a volume ratio.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particles which is more than 0% but less than 50% of the total volume is less than or equal to d50. Also, d10 means the maximum particle diameter when particles having various particle sizes are accumulated up to 10% in a volume ratio.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particles corresponding to less than 10% of the total volume is less than or equal to d10. And, d90 means the maximum particle diameter when particles having various particle sizes are accumulated up to 90% in a volume ratio.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particles corresponding to less than 90% of the total volume is less than or equal to d90. The effective particle size 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an be measured by conventional particle size measurement technique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by sedimentation field flow fractionation, photon correlation spectroscopy, light scattering (e.g. using Microtrac UPA 150), laser diffraction or disk centrifugation (disc centrifugation).

상기 황-탄소 복합체 입자의 d50 값은 1 마이크로미터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이고, 구체적으로는 1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이다. 이때, 황 입자의 d50 값은 0.1 마이크로미터 내지 10마이크로미터이고, 탄소 입자의 크기는 황 입자의 크기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The d50 value of the sulfur-carbon composite particles is 1 micrometer to 30 micrometers, specifically 1 micrometer to 10 micrometers. Here, the d50 value of the sulfur particles may be 0.1 micrometer to 10 micrometers, and the size of the carbon particles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ulfur particles.

황 입자의 크기가 상기 범위보다 커지면, 전극 내 전해액과의 웨팅(wetting) 면적 및 리튬 이온과의 반응 사이트(site)가 감소하게 되고, 복합체 크기 대비 전자의 전달 양이 적어져서 반응이 늦어지게 된다. 그래서 방전 용량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황 입자의 d50 값이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이어서 최종 황-탄소 복합체 입자의 d50 값은 30 마이크로미터 이하이고, 구체적으로는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것이 효과가 우수하다.When the size of the sulfur particles is larger than the above range, the wetting area with the electrolytic solution in the electrode and the reaction sites with lithium ions are reduced, and the amount of electrons transferred to the complex size is decreased, so that the reaction is delayed . So that the discharge capacity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d50 value of the sulfur particles is 10 micrometers or less, so that the d50 value of the final sulfur-carbon composite particles is 30 micrometers or less, specifically 10 micrometers or less.

또한, 황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황-탄소 복합체의 크기도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단위 중량당 표면적이 커지므로 황의 전자 전도성도 좋아지게 되어 전극의 용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황 입자의 d50 값이 0.1 마이크로미터 이상이어서 최종 황-탄소 복합체 입자의 d50 값이 1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것이 효과가 우수하다.Also, the smaller the size of the sulfur particles, the smaller the size of the sulfur-carbon composite. As a result, the surface area per unit weight is increased, so that the electron conductivity of sulfur is also improved and the capacity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Therefore, the d50 value of the sulfur particles is 0.1 micrometer or more, and the d50 value of the final sulfur-carbon composite particles is 1 micrometer or more.

도 1은 황 입자 크기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의 예상 모식도로서 황 입자 표면을 탄소 입자들이 둘러싼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a는 황 입자의 직경이 10 마이크로미터인 경우이며, b는 황 입자의 직경이 5 마이크로미터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the size of a sulfur particle.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in which carbon particles surround the surface of a sulfur particle. a represents the case where the diameter of the sulfur particles is 10 micrometers, and b represents the case where the diameter of the sulfur particles is 5 micrometers.

도 2는 탄소로 그라파이트를 사용한 경우 황-탄소 복합체의 예상 모식도로서 황 입자 표면을 탄소 입자들이 둘러싼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a는 그라파이트 입자들이 황 입자를 둘러싼 구조의 황-탄소 복합체를 나타낸 것이고, b는 그라파이트 입자들이 황 입자의 내부에 포함되면서 황 입자를 둘러싼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c는 황 탄소 복합체 사이의 공극이 거의 형성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sulfur-carbon composite when graphite is used as a carb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in which carbon particles surround the surface of a sulfur particle. a represents the sulfur-carbon composite hav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graphite particles surround the sulfur particles, b represents the structure in which the graphite particles are enclosed within the sulfur particles and surrounds the sulfur particles, and c represents the space between the sulfur- Is not formed.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황-탄소 복합체의 탭 밀도(tap density)는 1g/cc 내지 4g/cc 일 수 있다. 1 g/cc 미만이면 전극의 두께가 증가하여 용량이 감소될 수 있고, 부피비가 커서 바인더와 용매의 첨가량도 증가해야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1g/cc 내지 4g/cc의 범위일 때 효과가 우수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ap density of the sulfur-carbon composite may be from 1 g / cc to 4 g / cc. If it is less than 1 g / cc,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may increase and the capacity may be decreased. In addition, the volume ratio of the electrode may be increased, so that the addition amount of the binder and the solvent may also increase. The effect is excellent when it is in the range of 1 g / cc to 4 g / cc.

본 명세서에서 탭 밀도는 입자상의 물체를 용기에 채웠을 경우의 밀도를 의미한다. 탭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미리 정한 특정한 방법으로 용기를 두드리거나 흔들어서 용기 안의 입자 물질에 충격이나 진동을 일정 회수 반복해 준 후에 측정하는 방법이면 어느 방법이든 무방하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ap density refers to the density when a particle-like object is filled in a container.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tap density may be any method as long as it measures the particle material in the container by repeating impact or vibrat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by tapping or shaking the container by a predetermined method predetermined.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소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일 수 있고, 도전성 탄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라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수퍼 p(Super P), 카본 블랙, 덴카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탄소 섬유, 탄소 나노 섬유, 탄소 나노 튜브, 탄소 나노 와이어, 탄소 나노 링, 탄소 직물 및 플러렌(C6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arbon may be crystalline or amorphous carbon and may be conductive carbon. Specific examples of the carbon black include graphite, graphene, Super P, carbon black, denka black,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perneic black, lamp black, Carbon nanotubes, carbon nanowires, carbon nanorings, carbon fabrics, and fullerenes (C60).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황은 황 원소(S8) 또는 S-S 결합을 가지는 황 화합물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ulfur may be a sulfur element (S 8 ) or a sulfur compound having an SS bond.

도 3은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한 황 분말과 탄소 분말을 혼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혼합 분말을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c는 상기 가압한 분말을 용융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 3 shows a process for producing a sulfur-carbon composite, wherein a represents a mixture of sulfur powder and carbon powder uniformly adjusted in particle size, b represents a pressurized state of the mixed powder, And the pressurized powder is melted.

상기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한 황 분말 및 탄소 분말을 준비하여 혼합하는 단계(S10)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S10) of preparing and mixing sulfur powder and carbon powder uniformly adjusted in particle size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ducing a sulfur-carbon composite will be described.

상기 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하는 것은 습식 볼밀 또는 건식 제트밀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uniform size of the particles can be controlled using a wet ball mill or a dry jet mill method.

상기 황 분말 및 탄소 분말을 준비하여 혼합하는 단계(S10)는 혼합하기 이전에 입자의 크기를 조절한 후에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크기가 조절된 황 입자들이 일부 뭉쳐질 수 있기 때문에 유기 용매 중에서 스웰링시키면 입자간의 반발력으로 뭉쳐진 입자가 풀어질 수 있다. The step (S10) of preparing and mixing the sulfur powder and the carbon powder may further include dispersing the particles using an organic solvent after controlling the particle size before mixing. At this time, since the size-controlled sulfur particles may be partly aggregated, if the particles are swelled in an organic solvent, the aggregated particles may be loosened due to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particles.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톨루엔, 벤젠,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아세톤, 클로로포름, 디메틸포름아미드, 시클로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organic solv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toluene, benzene, N-methylpyrrolidone (NMP), dimethylsulfoxide (DMSO), acetone, chloroform, dimethylformamide, cyclohexane, tetrahydrofuran and methylene chloride Can be used.

상기 혼합 방법은 일정 시간 동안 파우더 믹서에 넣어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혼합 시간은 10분 이상, 30분 이상일 수 있고, 10시간 이하, 5시간 이하, 2시간 이하일 수 있다. The mixing method may be carried out by putting it in a powder mixer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ixing time may be 10 minutes or more, 30 minutes or more, 10 hours or less, 5 hours or less, 2 hours or less.

상기 황 분말과 탄소 분말의 혼합 함량비는 중량% 기준으로 50~90:10~50일 수 있다. 그래서 최종 황-탄소 복합체에서 황과 탄소의 함량비도 중량% 기준으로 50~90:10~50일 수 있다. 황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이면 황 입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탄소 이외의 탄소 입자들이 많아지고, 탄소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슬러리 제조시에 바인더 첨가량을 증가시켜 주어야 한다. 바인더 첨가량의 증가는 결국 전극의 면저항을 증가시키기게 되고 전자 이동(electron pass)을 막는 절연체 역할을 하게 되어 셀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황의 함량이 90중량%를 초과하면 황이 용융(molten)되면서 탄소와 결합하지 못한 황이 그들끼리 뭉치게 되고, 전자를 받기 어려워서 전극 반응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The mixing ratio of the sulfur powder to the carbon powder may be 50 to 90:10 to 50 on a weight% basis. Therefore, the content ratio of sulfur and carbon in the final sulfur-carbon composite may be 50-90: 10-50 on a weight% basis. When the content of sulfur is less than 50% by weight, carbon particles other than carbon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sulfur particles increase, and as the carbon content increases, the specific surface area increases and the amount of the binder add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must be increased.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the binder increases the sheet resistance of the electrode, and acts as an insulator to prevent electron transfer, which may degrade the cell performance. If the content of sulfur exceeds 90% by weight, the sulfur is molten and the sulfur which is not bonded with carbon becomes aggregated and becomes difficult to participate directly in the electrode reac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ceive electrons.

상기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혼합 분말을 가압하여 분말 사이의 공극을 감소시키는 단계 (S20)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S20) of reducing the voids between powders by pressurizing the mixed powder i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ulfur-carbon composite will be described.

상기 혼합 분말에 압력을 가하여 주면 황 입자와 탄소 입자간의 공극이 감소될 수 있다.If the mixed powder is pressurized, the gap between the sulfur particles and the carbon particles can be reduced.

상기 가압 공정으로 황 입자와 탄소 입자간의 공극이 감소되면 용융 공정을 통해 황 입자가 용융되어 탄소 입자와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If the gap between the sulfur particles and the carbon particles is reduced by the pressing process, the sulfur particles may be melted through the melting process,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with the carbon particles.

만약,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면 황 입자가 용융되더라도 이웃하는 탄소 입자의 양이 적거나 탄소 입자들과 황 입자간의 부착력이 약하여 탄소 입자들이 황 입자를 둘러싼(wrapping) 형태의 황-탄소 복합체 구조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If the pressure is not applied, even if the sulfur particles are melted, the sulfur-carbon composite structure in which the neighboring carbon particles are small in amount or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carbon particles and the sulfur particles is weak, .

상기 가압 압력은 1kN/m2 내지 50 kN/m2 일 수 있다. 가압 압력이 1 kN/m2 미만일 경우 황 입자와 탄소 입자 사이의 공극이 효과적으로 감소되지 않아 탄소 입자들이 황 입자를 둘러싼(wrapping) 형태의 황-탄소 복합체 구조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50 kN/m2 초과일 경우 황의 연성으로 인해 초기 입자 모양을 잃고 판상형 등으로 모양의 변화가 심하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1kN/m2 내지 50 kN/m2의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sure may be between 1 kN / m 2 and 50 kN / m 2 . When the pressing pressure is less than 1 kN / m 2 , the void between the sulfur particles and the carbon particles is not effectively reduced, so that the sulfur-carbon composite structure in which the carbon particles are wrapped around the sulfur particles may not be formed properly, / m preferably greater than 2 days when losing the initial particle shape due to the ductility of sulfur can take place to the shape change of the hard plate-shaped or the like, applying a pressure of 1kN / m 2 to 50 kN / m 2.

이때, 가압 시간은 가압 장비 및 복합체의 함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초 이상, 5초 이상일 수 있고, 2시간 이하, 1시간 이하, 30분 이하, 1분 이하, 30초 이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sing tim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pressing equipment and the composite. For example, it may be more than 1 second, more than 5 seconds, less than 2 hours, less than 1 hour, less than 30 minutes, less than 1 minute, less than 30 seconds.

상기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가압과 동시에 또는 가압 이후에 혼합 분말을 용융시켜서 황-탄소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S30)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In step (S30), the sulfur-carbon composite material is formed by melting the mixed powder simultaneously with or after the pressurization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ducing a sulfur-carbon composite material.

상기 단계에서 용융 공정은 가압을 하면서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고, 가압한 이후에 진행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step, the melting step may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with the pressurization, or may be carried out after the pressurization.

상기 용융 온도는 115℃ 이상, 130℃ 이상일 수 있고, 180℃ 이하일 수 있다. The melting temperature may be at least 115 캜, at least 130 캜, and at most 180 캜.

상기 용융 시간은 복합체의 함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0초 이상, 30초 이상일 수 있고, 2시간 이하, 1시간 이하, 30분 이하, 10분 이하일 수 있다. The melting time may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complex, and may be, for example, 10 seconds or more, 30 seconds or more, 2 hours or less, 1 hour or less, 30 minutes or less, 10 minutes or less.

상기 용융 온도가 115℃ 미만일 경우 황 입자가 용융되지 않아 탄소 입자들이 황 입자를 둘러싼(wrapping) 형태 또는 탄소 입자들이 황 입자에 포함되면서 황 입자를 둘러싼(wrapping) 형태의 황-탄소 복합체 구조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melting temperature is lower than 115 ° C, the sulfur particles are not melted, so that the carbon particles are wrapped around the sulfur particles or the sulfur-carbon composite structure in which the carbon particles are contained in the sulfur particles and the sulfur particles are wrapped May not be formed.

상기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혼합 분말을 용융시켜서 황-탄소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S30) 이후에 황-탄소 복합체를 분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ducing a sulfur-carbon composite may further include dispersing the sulfur-carbon composite after the step (S30) of melting the mixed powder to form a sulfur-carbon composite.

이때, 분산 방법은 습식 볼밀 공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persion method can be carried out using a wet ball mill process.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황-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을 제공한다. 상기 황-탄소 복합체는 양극 내에서 양극 활물질로 포함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cath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the sulfur-carbon composite. The sulfur-carbon composite may be included in the anode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상기 양극은 상기 양극 활물질 이외에 전이금속 원소, ⅢA족 원소, ⅣA족 원소, 이들 원소들의 황 화합물, 및 이들 원소들과 황의 합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positive electrod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a transition metal element, a group IIIA element, a group IVA element, a sulfur compound of these elements, and an alloy of these elements and sulfur.

상기 전이금속 원소로는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Y, Zr, Nb, Mo, Tc, Ru, Rh, Pd, Os, Ir, Pt, Au 또는 Hg 등이 포함되고, 상기 ⅢA족 원소로는 Al, Ga, In, Ti 등이 포함되며, 상기 ⅣA족 원소로는 Ge, Sn, Pb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transition metal element may be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Y, Zr, Nb, Mo, Tc, Ru, Rh, Pd, Os, Hg and the like, and the Group IIIA element includes Al, Ga, In, and Ti, and the Group IVA element may include Ge, Sn, Pb, and the like.

상기 양극은 양극 활물질, 또는 선택적으로 첨가제와 함께, 전자가 양극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전기전도성 도전재 및 양극 활물질을 집전체에 잘 부착시키기 위한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may further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r, optionally, an additive,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ductive material for allowing electrons to smoothly move in the positive electrode, and a binder for adhering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o the current collector.

상기 도전재로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KS6와 같은 흑연계 물질; 슈퍼 P(Super-P), 덴카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카본 블랙과 같은 카본 블랙; 탄소 나노튜브나 플러렌 등의 탄소 유도체;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또는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아세틸렌, 폴리피롤 등의 전도성 고분자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electrical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in the battery, but may be a graphite based material such as KS6; Carbon black such as Super P, Super Black, Denka Black,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Ferneic Black, Lamp Black, Summer Black and Carbon Black; Carbon derivatives such as carbon nanotubes and fullerene;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 and metal fiber; Metal powders such as carbon fluoride, aluminum, and nickel powder; Or conductive polymers such as polyaniline, polythiophene, polyacetylene, and polypyrrol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도전재의 함량은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3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01 wt% to 3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includ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상기 바인더로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피롤리돈, 알킬레이티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코폴리머(상품명: Kynar),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피리딘, 폴리스티렌, 이들의 유도체, 블랜드, 코폴리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binder include poly (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ethylene oxide, polyvinyl pyrrolidone, alkylated polyethylene oxide, crosslinked polyethylene oxide, polyvinyl ether, poly (methyl methacrylate) (Trade name: Kynar), poly (ethyl acrylate), polytetrafluoroethylene polyvinyl chloride, polyacrylonitrile, polyvinylpyridine, polystyren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vinylidene fluoride, Derivatives thereof, blends, copolymers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바인더의 함량은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3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바인더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양극의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어 양극 내 활물질과 도전재가 탈락할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양극에서 활물질과 도전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전지 용량이 감소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binder may be 0.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contain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f the content of the binder is less than 0.5 w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node may be deteriorated and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may fall off. If the amount exceeds 30 wt%, the ratio of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is relatively decreased, can do.

본 출원의 양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슬러리를 제조하기 위한 용매에 상기 바인더를 용해시킨 다음, 도전재를 분산시킨다. 슬러리를 제조하기 위한 용매로는 양극 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쉽게 증발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표적으로는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물, 이소프로필알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양극 활물질을, 또는 선택적으로 첨가제와 함께, 상기 도전재가 분산된 용매에 다시 균일하게 분산시켜 양극 슬러리를 제조한다. 슬러리에 포함되는 용매, 양극 활물질, 또는 선택적으로 첨가제의 양은 본 출원에 있어서 특별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 않으며, 단지 슬러리의 코팅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점도를 가지면 충분하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the binder is dissolved in a solvent for preparing a slurry, and then the conductive material is dispersed. As the solvent for preparing the slurry, the cathode active material, the bind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can be uniformly dispersed, and those which are easily evaporated are preferably used. Typical examples thereof include acetonitrile, methanol, ethanol, tetrahydrofuran, Propyl alcohol and the like can be used. Next, the cathode active material, or alternatively, together with the additive, is again uniformly dispersed in the solvent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dispersed to prepare a cathode slurry. The amount of the solvent, the cathode active material, or optionally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slurry has no particular significance in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t is sufficient if it has an appropriate viscosity so as to facilitate coating of the slurry.

이와 같이 제조된 슬러리를 집전체에 도포하고, 진공 건조하여 양극을 형성한다. 상기 슬러리는 슬러리의 점도 및 형성하고자 하는 양극의 두께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집전체에 코팅할 수 있다. The slurry thus prepared is applied to a current collector, and vacuum dried to form a positive electrode. The slurry may be coated on the current collector with an appropriate thickness according to the viscosity of the slurry and the thickness of the anode to be formed.

상기 집전체로는 일반적으로 3 마이크로미터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만들 수 있고,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구리, 티타늄 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잇고, 더욱 구체적으로 카본-코팅된 알루미늄 집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탄소가 코팅된 알루미늄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탄소가 코팅되지 않은 것에 비해 활물질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접촉 저항이 낮으며, 알루미늄의 폴리설파이드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집전체는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또는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The current collector generally has a thickness of 3 micrometers to 500 micrometers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in the battery. More specifically,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luminum, copper, or titanium may be used. More specifically, a carbon-coated aluminum current collector may be used. The use of a carbon-coated aluminum substrate is advantageous in that it has an excellent adhesion to an active material, has a low contact resistance, and can prevent corrosion caused by aluminum polysulfide, as compared with a carbon-coated aluminum substrate. The current collector may have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or a nonwoven fabric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황-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ositive electrode comprising the sulfur-carbon composite; cathode; And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상기 리튬-황 전지는 양극 활물질로서 상기 황-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양극; 음극 활물질로서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을 포함하는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 및 상기 음극, 양극 및 분리막에 함침되어 있으며, 리튬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es: a cathode comprising the sulfur-carbon composite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A negative electrode comprising lithium metal or a lithium alloy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separation membrane position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an electrolyte impregnat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nd including the lithium salt and the organic solvent.

상기 음극은 음극 활물질로서 리튬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또는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a material capable of reversibly intercalating or deintercalating lithium ions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material capable of reversibly reacting with lithium ions to form a lithium-containing compound, a lithium metal or a lithium alloy .

상기 리튬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또는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은 예를 들어,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material capable of reversibly intercalating or deintercalating lithium ions may be, for example, crystalline carbon, amorphous carbon, or a mixture thereof.

상기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은 예를 들어, 산화주석, 티타늄나이트레이트, 또는 실리콘일 수 있다. The material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lithium ion to form a lithium-containing compound reversibly may be, for example, tin oxide, titanium nitrate, or silicon.

상기 리튬 합금은 예를 들어, 리튬과 Na, K, Rb, Cs, Fr, Be, Mg, Ca, Sr, Ba, Ra, Al 및 Sn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합금일 수 있다. The lithium alloy may be, for example, an alloy of lithium and a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 K, Rb, Cs, Fr, Be, Mg, Ca, Sr, Ba, Ra, Al and Sn.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을 서로 분리 또는 절연시키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리튬 이온 수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다공성 비전도성 또는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분리막은 필름과 같은 독립적인 부재일 수도 있고, 양극 및/또는 음극에 부가된 코팅층일 수도 있다.The separation membrane locat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may be made of a porous non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 which separates or insulates the anode and the cathode from each other and enables transport of lithium ions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Such a separation membrane may be an independent member such as a film, or may be a coating layer added to the anode and / or the cathode.

상기 분리막을 이루는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유리 섬유 여과지 및 세라믹 물질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두께는 약 5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50 마이크로미터, 상세하게는 약 5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25 마이크로미터 일 수 있다The material forming the separation membrane includes, for example, polyolefin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glass fiber filter paper, and cerami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5 micrometers to about 50 micrometers, Micrometer to about 25 micrometers

상기 음극, 양극 및 분리막에 함침되어 있는 전해질은 리튬염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The electrolyte impregnated into the negative electrode,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includes a lithium salt and an organic solvent.

상기 리튬염의 농도는, 전해질 용매 혼합물의 정확한 조성, 염의 용해도, 용해된 염의 전도성, 전지의 충전 및 방전 조건, 작업 온도 및 리튬 배터리 분야에 공지된 다른 요인과 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0.2 M 내지 2 M, 구체적으로 0.6 M 내지 2 M, 더욱 구체적으로 0.7 M 내지 1.7 M일 수 있다. 0.2 M 미만으로 사용하면 전해질의 전도도가 낮아져서 전해질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2 M 을 초과하여 사용하면전해질의 점도가 증가하여 리튬 이온의 이동성이 감소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사용하기 위한 리튬염의 예로는, LiSCN, LiBr, LiI, LiPF6, LiBF4, LiSO3CF3, LiClO4, LiSO3CH3, LiB(Ph)4, LiC(SO2CF3)3 및 LiN(SO2CF3)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ncentration of the lithium salt may range from 0.2 M to 2 M,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precise composition of the electrolyte solvent mixture, the solubility of the salt, the conductivity of the dissolved salt,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conditions of the battery, , Specifically 0.6 M to 2 M, more specifically 0.7 M to 1.7 M. If it is used at less than 0.2 M, the conductivity of the electrolyte may be lower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lyte may be deteriorated. If it is used in excess of 2 M, the viscosity of the electrolyte may increase and the mobility of the lithium ion may be decreased. Lithium salt for example for u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LiSCN, LiBr, LiI, LiPF 6, LiBF 4, LiSO 3 CF 3, LiClO 4, LiSO 3 CH 3, LiB (Ph) 4, LiC (SO 2 CF 3) 3 and LiN (SO 2 CF 3) may include one or mor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

상기 유기 용매는 단일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고 2 이상의 혼합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2 이상의 혼합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약한 극성 용매 그룹, 강한 극성 용매 그룹, 및 리튬 메탈 보호 용매 그룹 중 두 개 이상의 그룹에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rganic solvent may be a single solvent or two or more mixed organic solvents. When two or more mixed organic solvents are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at least one solvent selected from two or more of the weak polar solvent group, the strong polar solvent group, and the lithium metal protective solvent group.

상기 약한 극성 용매는 아릴 화합물, 바이사이클릭 에테르, 비환형 카보네이트 중에서 황 원소를 용해시킬 수 있는 유전 상수가 15보다 작은 용매로 정의되고, 강한 극성 용매는 비사이클릭 카보네이트, 설폭사이드 화합물, 락톤 화합물, 케톤 화합물, 에스테르 화합물, 설페이트 화합물, 설파이트 화합물 중에서 리튬 폴리설파이드를 용해시킬 수 있는 유전 상수가 15보다 큰 용매로 정의되며, 리튬 메탈 보호 용매는 포화된 에테르 화합물, 불포화된 에테르 화합물, N, O, S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 헤테로 고리 화합물과 같은 리튬 금속에 안정한 SEI(Solid Electrolyte Interface)를 형성하는 충방전 사이클 효율(cycle efficiency)이 50% 이상인 용매로 정의된다.The weak polar solvent is defined as a solvent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of less than 15 which is capable of dissolving a sulfur element in an aryl compound, a bicyclic ether, or a cyclic carbonate, and the strong polar solvent is a bicyclic carbonate, a sulfoxide compound, a lactone compound , A ketone compound, an ester compound, a sulfate compound, and a sulfite compound, wherein the lithium metal protective solvent is a saturated ether compound, an unsaturated ether compound, an N, Is defined as a solvent having a charge / discharge cycle efficiency of 50% or more to form a stable SEI (Solid Electrolyte Interface) on a lithium metal such as a heterocyclic compound containing O, S,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약한 극성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자일렌(xylene), 디메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톨루엔,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디글라임 또는 테트라글라임 등이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weak polar solvent include xylene, dimethoxyethane, 2-methyltetrahydrofuran, diethyl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toluene, dimethyl ether, diethyl ether, diglyme or tetraglyme .

상기 강한 극성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헥사메틸 포스포릭 트리아마이드(hexamethyl phosphoric triamide), γ-부티로락톤, 아세토니트릴,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N-메틸피롤리돈, 3-메틸-2-옥사졸리돈, 디메틸 포름아마이드, 설포란, 디메틸 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 설폭사이드, 디메틸 설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디메틸 설파이트 또는 에틸렌 글리콜 설파이트 등이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strong polar solvent include hexamethyl phosphoric triamide,? -Butyrolactone, acetonitrile, ethylene carbonate, propylene carbonate, N-methylpyrrolidone, 3-methyl- Dimethyl formamide, sulfolane, dimethyl acetamide, dimethyl sulfoxide, dimethyl sulfate, ethylene glycol diacetate, dimethyl sulfite or ethylene glycol sulfite.

상기 리튬 보호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테트라하이드로 퓨란, 에틸렌 옥사이드, 디옥솔란, 3,5-디메틸 이속사졸, 퓨란, 2-메틸 퓨란, 1,4-옥산 또는 4-메틸디옥솔란 등이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lithium protecting solvent include tetrahydrofuran, ethylene oxide, dioxolane, 3,5-dimethylisoxazole, furan, 2-methylfuran, 1,4-oxane or 4-methyldioxolane.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리튬-황 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lithium-sulfur battery as a unit cell.

상기 전지모듈은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battery module may be specifical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or a power storage device.

이하,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출원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n order to specifical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Howeve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실시예 1>&Lt; Example 1 >

입자 크기를 평균 직경 3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조절한 황 분말과 탄소 분말로 그라파이트인 AGM-Flake(미츠비시, 상품명 SNG)을 파우더 믹서에 넣고 1시간 동안 혼합한 후, 보울 또는 몰드틀에 넣고 10초 동안 10kN/m2의 압력을 가하였다. 가압된 분말을 130℃의 핫 플레이트에서 1분 동안 용융시켜서 황-탄소 복합체를 제조한 후 습식 볼밀로 500rpm에서 1시간 동안 분산시켰다. AGM-Flake (Mitsubishi, product name: SNG), which is a graphite powder with a particle size of less than 3 micrometers in average diameter and carbon powder, was mixed in a powder mixer for 1 hour and then placed in a bowl or mold for 10 seconds And a pressure of 10 kN / m 2 was applied. The pressurized powder was melted on a hot plate at 130 DEG C for 1 minute to prepare a sulfur-carbon composite, which was then dispersed for 1 hour at 500 rpm in a wet ball mill.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에서 볼밀로 분산시키기 전의 상태로 황 입자 외부 표면에 탄소 입자들이 둘러싼(wrapping)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를 더 확대한 것이다. FIG. 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carbon particles are wrapped on the outer surface of a sulfur particle in a state before dispersion into a ball mill in the sulfur-carbon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Example 1. FIG. Fig. 5 is a further enlarged view of Fig.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보면, 제조된 황-탄소 복합체의 평균 직경이 2 마이크로미터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는 d50 값이 3 마이크로미터이고, d10 값이 0.5 마이크로미터, d90 값이 15마이크로미터이어서 균일한 크기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6 shows a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Example 1. Fig.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repared sulfur-carbon composite is about 2 micromete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Example 1 has a uniform size because the d50 value is 3 micrometers, the d10 value is 0.5 micrometer, and the d90 value is 15 micrometer.

<실시예 2> &Lt; Example 2 >

입자 크기를 평균 직경 3 마이크로미터로 조절한 황 분말과 탄소 분말로 슈퍼P를 파우더 믹서에 넣고 1시간 동안 혼합한 후, 보울 또는 몰드틀에 넣고 10초 동안 10kN/m2의 압력을 가하였다. 가압된 분말을 130℃의 핫 플레이트에서 1분 동안 용융시켜서 황-탄소 복합체를 제조한 후 습식 볼밀로 500rpm에서 1시간 동안 분산시켰다.Super P was added to the powder mixer with sulfur powder and carbon powder adjusted to an average diameter of 3 micrometers and mixed for 1 hour. The mixture was put into a bowl or a mold, and a pressure of 10 kN / m 2 was applied for 10 seconds. The pressurized powder was melted on a hot plate at 130 DEG C for 1 minute to prepare a sulfur-carbon composite, which was then dispersed for 1 hour at 500 rpm in a wet ball mill.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에서 볼밀로 분산시키기 전의 상태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으로 탄소 입자들이 황 입자의 내부에 포함되고, 탄소 입자들이 황 입자의 외부 표면을 둘러쌀 뿐만 아니라 황 입자의 내부에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7 is a SEM image of a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Example 2 before being dispersed in a ball mill, wherein carbon particles are contained in the interior of the sulfur particles and not only the carbon particles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lfur particle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contained in the inside of the particle.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를 볼밀로 분산시킨 상태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으로 제조된 황-탄소 복합체의 평균 직경이 3 마이크로미터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는 d50 값이 3 마이크로미터이었고, d10 값이 1 마이크로미터, d90 값이 10마이크로미터이어서 균일한 크기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8 is a SEM image of the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Example 2 dispersed in a ball mill.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sulfur-carbon composite prepared is about 3 micrometers. In addition, the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Example 2 had a d50 value of 3 micrometers, a d10 value of 1 micrometer, and a d90 value of 10 micrometers.

<비교예 1>&Lt; Comparative Example 1 &

입자 크기를 조절하지 않은 황 분말과 탄소 분말로 AGM-Flake인 탄소 분말을 파우더 믹서에 넣고 1시간 동안 혼합한 후, 습식 볼밀로 500rpm에서 1시간 동안 분산시켜서 황-탄소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Sulfur powder and AGM-Flake carbon powder, which were not controlled in particle size, were mixed in a powder mixer for 1 hour and then dispersed at 500 rpm for 1 hour in a wet ball mill to prepare a sulfur-carbon composite.

도 9는 비교예 1에 따른 황-탄소 복합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보면, 황 입자의 직경이 균일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9 shows a sulfur-carbon composit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Fig. 1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ameter of the sulfur particles is not uniform.

<시험예><Test Example>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황-탄소 복합체 70중량%를 양극활물질로 사용하고, 도전재로 덴카블랙(denka-black)을 20중량%로, 바인더로 PVDF를 10중량%를 용매 NMP(N-methyl-2-pyrrolidone)에 첨가하여 양극 슬러리를 제조한 후, 알루미늄 집전체 상에 코팅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음극으로 약 150 마이크로미터 두께를 갖는 리튬 호일을, 전해액으로 1M LiN(CF3SO2)2가 용해된 디메톡시에탄과 디옥솔란(5:4 부피비)의 혼합 전해액을 사용하고, 세퍼레이터로 16 마이크로미터 폴리올레핀을 사용하여 리튬-황 전지 코인셀을 제조하였다.70 wt% of the sulfur-carbon composite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used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20 wt% of denka-black as a conductive material, 10 wt% of PVDF as a binder was dissolved in a solvent NMP (N-methyl-2-pyrrolidone)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slurry and then coated on an aluminum current collector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A lithium foil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50 micrometers was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and a mixed electrolyte of dimethoxyethane and dioxolane (5: 4 by volume) in which 1 M LiN (CF 3 SO 2 ) 2 was dissolved as an electrolyte was used. Molecular polyolefin was used to prepare a lithium-sulfur battery coin cell.

충방전장치를 이용하여 0.1C 속도로 테스트 한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을 보면 실시예 1에서 탄소 입자들이 황 입자를 둘러싸도록 제조한 복합체를 사용한 리튬 황 전지가 비교예 1에서 단순 볼밀 방법으로 제조한 복합체를 사용한 리튬 황 전지에 비하여 방전 용량이 높게 나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results of the test at a rate of 0.1 C using a charge / discharge device are shown in FIG. 10 shows that the lithium-sulfur battery using the composite prepar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arbon particles surround the sulfur particles in Example 1 has a higher discharge capacity than the lithium-sulfur battery using the composite produced by the simple ball milling method in Comparative Example 1 I coul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every respect.


Claims (1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한 황 분말 및 탄소 분말을 준비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 분말을 가압하여 분말 사이의 공극을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가압과 동시에 또는 가압 이후에 혼합 분말을 용융시켜서 황-탄소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황-탄소 복합체를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황-탄소 복합체는 입자 크기 분포의 d50 값을 기준으로 d10 값이 d50 값의 0.1배 내지 1배이고, d90 값이 d50 값의 1배 내지 10배인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Preparing and mixing a sulfur powder and a carbon powder uniformly adjusted in particle size;
Pressurizing the mixed powder to reduce voids between powders;
Melting the mixed powder at the same time or after the pressurization to form a sulfur-carbon composite; And
And dispersing the sulfur-carbon composite,
Wherein the d10 value is 0.1 to 1 times the d50 value and the d90 value is 1 to 10 times the d50 value based on the d50 value of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sulfur-carbon composite.
삭제delet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황 분말과 탄소 분말의 혼합비는 중량% 기준으로 50~90:1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ixing ratio of the sulfur powder to the carbon powder is 50 to 90: 10 to 50 by weigh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황-탄소 복합체의 탭 밀도는 1g/cc 내지 4g/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said sulfur-carbon composite has a tap density of 1 g / cc to 4 g / cc.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황-탄소 복합체 입자의 d50 값은 1 마이크로미터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50 value of the sulfur-carbon composite particles is 1 micrometer to 30 micrometer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황 분말 입자의 d50 값은 0.1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이고,
탄소 분말 입자의 크기는 황 분말 입자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d50 value of the sulfur powder particles is 0.1 micrometer to 10 micrometers,
Wherein the size of the carbon powder particles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ulfur powder particle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하는 것은 습식 볼밀 또는 건식 제트밀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article size is uniformly controlled by using a wet ball mill or a dry jet mill metho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황 분말 및 탄소 분말을 준비하여 혼합하는 단계는, 입자의 크기를 조절한 후에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method of preparing and mixing the sulfur powder and the carbon powder further comprises dispersing the sulfur powder and the carbon powder using an organic solvent after controlling the size of the particles.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톨루엔, 벤젠,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아세톤, 클로로포름, 디메틸포름아미드, 시클로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organic solv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toluene, benzene, N-methylpyrrolidone (NMP), dimethylsulfoxide (DMSO), acetone, chloroform, dimethylformamide, cyclohexane, tetrahydrofuran and methylene chloride Carbon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압 압력은 1 kN/m2 내지 50 kN/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essing pressure is 1 kN / m 2 to 50 kN / m 2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용융 온도는 1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elting temperature is 115 ° C or higher.
KR1020130090467A 2013-07-30 2013-07-30 Sulfur-carbon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69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467A KR101669316B1 (en) 2013-07-30 2013-07-30 Sulfur-carbon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467A KR101669316B1 (en) 2013-07-30 2013-07-30 Sulfur-carbon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793A KR20150014793A (en) 2015-02-09
KR101669316B1 true KR101669316B1 (en) 2016-10-25

Family

ID=5257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467A KR101669316B1 (en) 2013-07-30 2013-07-30 Sulfur-carbon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3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38503A1 (en) * 2015-09-14 2018-05-17 Lg Chem, Ltd.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lithium-sulfur battery containing same
KR102183658B1 (en) * 2017-06-05 2020-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Catalytic sit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962698B1 (en) * 2017-10-26 2019-03-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Cathode material for lis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thode for lis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48074B1 (en) * 2017-11-29 2022-09-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Method of manufacturing positive electrode slurry for lithium-sulfur battery
FR3076952B1 (en) * 2018-01-16 2023-08-11 Arkema France FORMULATION IN THE FORM OF A SOLID-LIQUID DISPERSION FOR THE MANUFACTURE OF A CATHODE FOR A LI/S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ID FORMULATION
KR102007528B1 (en) 2018-08-21 2019-08-05 김희철 Transformable tent
KR102293892B1 (en) 2018-09-19 2021-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lfur-carbon complex, sulfur-carbon complex manufactured thereby, cathode compris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electrode
CN112334409B (en) * 2018-09-28 2023-07-11 株式会社Lg新能源 Sulfur-carbon composi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4207875A (en) * 2020-05-27 2022-03-18 株式会社Lg新能源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self-supporting film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9367A (en) 2002-09-23 2004-04-15 Samsung Sdi Co Ltd Positive electrode activator for lithium-sulfur battery, lithium-sulfur battery, and electronic product
JP2010232085A (en) * 2009-03-27 2010-10-14 Daihatsu Motor Co Ltd Electrode active material,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active materi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9367A (en) 2002-09-23 2004-04-15 Samsung Sdi Co Ltd Positive electrode activator for lithium-sulfur battery, lithium-sulfur battery, and electronic product
JP2010232085A (en) * 2009-03-27 2010-10-14 Daihatsu Motor Co Ltd Electrode active material,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activ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793A (en) 201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613B1 (en) Carbon nanotube-sulfur composite comprising carbon nanotube aggregat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9314228B (en) Sulfur-carbon composite and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same
KR101764455B1 (en)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E102017124894B4 (en) Negative electrode comprising silicon nanoparticles having a carbon coating thereon and lithium-based battery with the negative electrode
KR101669316B1 (en) Sulfur-carbon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37217B1 (en) Surfur-carbonnanotube complex,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sulfur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lithium-sulfur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361567B1 (en) Composite graphite particles and use of same
US9985291B2 (en)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80017975A (en) Sulfur-carbon composite and lithium-sulfur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20240038989A1 (en) Sulfur-Carbon Composit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101806593B1 (en)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804615B1 (en)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00132248A (en) Sulfur-carbon composite and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587324B1 (en) Sulfur-carbon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136656A (en) Sulfur-carbon composi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7100158B2 (en) Functional separation membran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it
KR102081774B1 (en) Sulfur-carbon composite and lithium-sulfur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765367B1 (en)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768751B1 (en)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415162B1 (en) A manufacturing method of sulfur-selenium-carbon complex, a cath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ulfur-selenium-carbon complex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lithium sulfur-selenium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2024513448A (en) Positive electrode containing sulfur-carbon composit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same
CN115668572A (en) Electrolyt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same
KR20160037700A (en) Sulfur complex,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sulfur battery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