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096A - Interior decoration film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terior decoration film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096A
KR20160031096A KR1020140120141A KR20140120141A KR20160031096A KR 20160031096 A KR20160031096 A KR 20160031096A KR 1020140120141 A KR1020140120141 A KR 1020140120141A KR 20140120141 A KR20140120141 A KR 20140120141A KR 20160031096 A KR20160031096 A KR 20160031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ayer
interior film
print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0494B1 (en
Inventor
박인성
김명희
김지문
지승욱
박건표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12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494B1/en
Publication of KR20160031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0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4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interior film,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 printing layer, a substrate layer, a metal pattern layer, and an inside layer. The printing layer includes a thermochromic material. The metal pattern layer includes a pattern unit and a non-pattern unit. Provided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interior film, which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forming a pattern by printing conductive paste on the upper part of the substrate layer; forming the printing layer by printing the thermochromic material on the upper part of the substrate layer; forming the metal pattern layer by applying an adhesive on the lower part of the substrate layer; and laminating the inside layer on the lower part of the metal pattern layer. The interior film provides aesthetic effects and simple methods of installation and usage. The manufacturing method is capable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film at low costs.

Description

인테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INTERIOR DECORATION FILM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film,

인테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n interior fil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통상의 장식시트는 재료를 보호하고 외관을 다양한 색상과 질감으로 표현한 표면마감재로 주로 사용되며, 실내 인테리어용품 건자재나 가구 책상 등의 표면을 장식하는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Conventional decorative sheet is mainly used as a surface finishing material which protects the material and expresses the appearance in various colors and textures. It is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decorating the surface of interior decoration materials and furniture desks.

이러한 장식시트는 일반적인 도장이나 라미네이팅(Laminating)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라미네이팅 방법에 의한 필름(Laminating Film)은 접착형과 점착형이 있고,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멜라민 시트(Melamine Sheet)와 종이 그리고 PVC, PP 장식시트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장식시트 최상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의 투명필름을 부가시킨 장식시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투명필름의 아래에는 그라비아 인쇄 등을 이용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며, 투명필름의 위에는 입체감 등을 부가하기 위하여 엠보싱(Embossing) 처리를 하기도 한다.The decorative sheet is manufactured by a general painting or a laminating method, and the laminating film by the laminating method has an adhesive type and a sticking type. Depending on the material used, a melamine sheet, a paper, and a PVC , PP decorative sheet can be divided into. In recent years, a decorative sheet in which a transparent film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propylene (PP) is added to the topmost layer of a decorative sheet is widely used. At this time, a printing layer is formed using gravure printing or the like below the transparent film , And emboss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transparent film to add a three-dimensional effect or the like.

이러한 장식시트는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어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급스러운 금속효과와 차별화된 인쇄질감을 구현하기 위한 고급 인테리어 장식시트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These decorative sheets are capable of expressing various colors and designs, thereby increasing consumer interest. In recent years, researches on high-grade interior decorative sheets have been carried out to achieve a luxurious metal effect and a differentiated printing texture.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색상을 주기적으로 변화하여 실내분위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 필름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ior film that can change the color of the interior of the room periodically.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the interior film.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인쇄층, 기재층, 금속패턴층, 및 이면층의 적층구조이고, 상기 인쇄층은 열변색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패턴층은 패턴부와 비패턴부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을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layer includes a print layer, a substrate layer, a metal pattern layer, and a back layer, wherein the print layer includes a thermochromic material, and the metal pattern layer includes a pattern portion and a non- And provides an interior film.

상기 열변색 물질은 산화티타늄(TiO2), 산화텅스텐(WO3), 산화주석(SnO2), 삼산화몰리브덴(MoO3), 산화아연(ZnO2), 산화니켈(NiO), 산화철(FeO3), 산화이리듐(IrO2), 오산화바나듐(V2O5)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기물일 수 있다. The thermochromic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tanium oxide (TiO2), tungsten oxide (WO3), tin oxide (SnO2), molybdenum trioxide (MoO3), zinc oxide (ZnO2), nickel oxide (NiO), iron oxide (FeO3) ), Vanadium pentoxide (V2O5),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 열변색 물질은 폴리다이아세틸렌,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피리딘, 폴리인돌, 폴리카바졸, 폴리아진, 폴리퀴논, 폴리프로필렌비닐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 물질; 또는 스피로(spiro)계 화합물, 시안(cyan)계 화합물, 플로란(fluorine)계 화합물, 로다민(rhodamine)계 화합물, 플루레신(fluorescein)계 화합물, 루코(leuco)계 화합물 및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Wherein the thermochromic material comprises at least one polymeric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acetylene, polypyrrole, polyaniline, polythiophene, polypyridine, polyindole, polycarbazole, polyazine, polyquinone, polypropylene vinylene, ; Or a combination of a spiro compound, a cyan compound, a fluorine compound, a rhodamine compound, a fluorescein compound, a leuco compound, and a combination thereof. . ≪ / RTI >

상기 패턴부는 전도성 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ttern portion may include a pattern formed by a conductive paste.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는 금속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해서 유전물질 약 20중량부 내지 약 40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paste may include about 20 parts by weight to about 400 parts by weight of the dielectric material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al paste.

상기 금속 페이스트는 금, 백금, 은, 구리, 납,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metal past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old, platinum, silver, copper, lead,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 유전물질은 TiO2, BaTiO3, CaTiO3, SrTiO3,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Wherein the dielectric material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O2, BaTiO3, CaTiO3, SrTiO3,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 패턴은 직렬 패턴, 병렬 패턴, 및 격자 패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attern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a series pattern, a parallel pattern, and a lattice pattern.

상기 직렬 패턴은 패턴의 양말단이 하나의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결된 패턴일 수 있다. The series pattern may be a pattern in which both ends of the pattern are connected in a zigzag pattern.

상기 병렬 패턴은 패턴의 양말단이 하나이상의 직선 패턴으로 연결된 패턴일 수 있다.The parallel pattern may be a pattern in which both ends of the pattern are connected in one or more linear patterns.

상기 격자 패턴은 면적이 0.25cm2 내지 1,000cm2인 하나 이상의 픽셀 격자를 포함하는The grating pattern is that the area comprising at least one pixel grid of 0.25cm 2 to 1,000cm 2

상기 금속패턴층는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전력공급부 또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신호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metal pattern layer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capable of applying a voltage or a signal supply unit capable of supplying a signal.

상기 패턴부는 패턴에 의해 전기가 전도되는 영역일 수 있다.The pattern portion may be a region where electricity is conducted by the pattern.

상기 금속패턴층에 인가된 전압이나 공급된 신호가 패턴부와 맞닿는 인쇄층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 voltage applied to the metal pattern layer or the color of the print layer contacting the pattern portion can be changed.

상기 인쇄층 상부에 표면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surface coating layer on the printing layer.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기재층 하부에 전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재층 상부에 열변색 물질을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재층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금속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패턴층 하부에 이면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printing a conductive paste under a substrate layer to form a pattern; Printing a thermochromic material on the substrate layer to form a print layer; Forming a metal pattern layer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bottom of the base layer; And laminating a backing layer under the metal pattern layer.

상기 인쇄는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및 로터리 스크린 인쇄법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inting may be performed by any one of a screen printing method, a gravure printing method, a flexo printing method, an offset printing method, and a rotary screen printing method.

상기 인쇄층 형성 후에, 표면 코팅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formation of the print layer, the step of laminating the surface coating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접착제는 기재층 하부에 형성된 패턴 외의 부분에 도포될 수 있다. The adhesive may be applied to a portion other than the pattern formed under the base layer.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는 금속 페이스트와 유전물질을 약 1:0.2 내지 약 1:4의 비율로 혼합한 후, 점도가 약 500cps 내지 약 50,000cps가 되도록 유기용제를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paste may be formed by mixing a metal paste and a dielectric material at a ratio of about 1: 0.2 to about 1: 4, and then adding an organic solvent to a viscosity of about 500 cps to about 50,000 cps.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주기적으로 색상 및 패턴을 변화함으로써 심미적인 효과를 부여하고, 설치 및 사용법이 간단하다.The interior film periodically changes colors and patterns to give an aesthetic effect and is simple to install and use.

상기 인테리어 필름 제조방법을 통해 가격이 저렴한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소비자들이 원하는 공간에 편리하게 설치 가능하다.
The interior film manufacturing method can produce an inexpensive interior film and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in a desired space by consumers.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인테리어 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5은 상기 인테리어 필름이 포함하는 금속패턴층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6은 상기 인테리어 필름이 포함하는 인쇄층의 전원공급전 평면도, 전원공급후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인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n interior fil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5 are top views of a metal pattern layer included in the interior film.
FIGS. 4 and 6 are a plan view before power supply and a top view after power supply of the print layer included in the interior film.
7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film,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represent the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hicknesses of some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Whenever a portion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on" or "on" another portion,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another portion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ortion in between. Conversely, when a part is "directly over"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인테리어 필름 Interior film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인쇄층, 기재층, 금속패턴층, 및 이면층의 적층구조이고, 상기 인쇄층은 열변색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패턴층은 패턴부와 비패턴부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을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layer includes a print layer, a substrate layer, a metal pattern layer, and a back layer, wherein the print layer includes a thermochromic material, and the metal pattern layer includes a pattern portion and a non- And provides an interior film.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실내장재용으로 사용되는 필름을 일컫는바, 벽지, 바닥재, 데코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인테리어 필름은 정형화된 패턴과 색상을 지니고 있어, 소비자들이 실내 분위기의 변화를 원하는 경우, 인테리어 필름을 새로 부착하거나 도배를 새로 진행하여야 했다. 이에, 주기적으로 색상 및 패턴을 변화함으로써 심미적인 효과를 부여하여 소비자들의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인테리어 필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The interior film refers to a film used for interior decoration, and may include wallpaper, flooring, decor sheet, and the like. Typically used interior films have a regular pattern and color, so if consumers want to change the atmosphere of the interior, they have to re-attach the interior film or renew the floor. Accordingly, there has been an increased interest in the interior film which improves consumer satisfaction by periodically changing colors and patterns to provide aesthetic effect.

또한, 실내 벽면에 시각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벽면 크기, 및 디스플레이 종류 등에 따라 설치 가격이 상승하였고, 실내에 디스플레이와 호환가능한 벽을 설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 두께만큼의 실내 공간을 손해보게 되는바, 디스플레이와 호환가능한 인테리어 필름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Further, in order to transmit visual information to the indoor wall surface, it is comm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or an LED.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price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wall size, the display type, and the like. If a wall compatible with the display is installed in the room, the interior space equivalent to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is damaged. Respectively.

이에,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열변색 물질을 포함하는 인쇄층과 패턴부를 포함하는 금속패턴층을 포함함으로써,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 및 패턴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주기적으로 색상 및 패턴을 변화함으로써 심미적인 효과를 부여하고, 설치 및 사용법이 간단하다.
Accordingly, the interior film includes a printed layer including a thermochromic material and a metal pattern layer including a patterned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for the consumer to easily change a desired color and pattern. In addition, the interior film periodically changes colors and patterns to give an aesthetic effect, and installation and use is simple.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인쇄층(20), 기재층(10), 금속패턴층(30), 및 이면층(40)의 적층구조이고, 상기 인쇄층은 열변색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패턴층은 패턴부와 비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interior film is a laminated structure of a printing layer 20, a base layer 10, a metal pattern layer 30, and a back layer 40, and the printing layer includes a thermochromic material The metal pattern layer may include a pattern portion and a non-pattern portion.

상기 금속패턴층(30)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 열이 발생되고, 상기 열이 상기 인쇄층에 전달되면서 상기 인쇄층의 열변색 물질의 색이 변할 수 있다. 이 때, 다양한 열변색 물질의 색상 및 금속패턴층의 패턴 변화로 인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When a voltage is applied or a signal is supplied to the metal pattern layer 30, heat is generated, and the color of the thermal coloring material of the print layer may be changed while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print layer. At this time, the color of the various heat discoloring materials and the pattern change of the metal pattern layer can satisfy the satisfaction of the consumer.

상기 기재층(10)은 셀룰로오스 섬유, 펄프 종이,염화비닐수지 및 폴리 에스터수지 등의 합성수지,상기 합성수지와 첨가제를 배합하여 형성된 유포지,페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 상부에 열변색 물질로 인쇄가능하며, 상기 기재층 하부에 전도성 페이스트로 인쇄가능한 기재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The base layer 10 may include a synthetic resin such as cellulose fiber, pulp paper, vinyl chloride resin and polyester resin, a foamed paper formed by blending the synthetic resin with an additive, a PET paper, or the like. Any substrate that can be printed with a thermochromic material on the base layer and printable with a conductive paste under the base layer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상기 인쇄층은 기재층 상부에 열변색 물질을 인쇄하여 형성되는 층으로, 열변색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열변색 물질은 열에 의하여 색이 변하는 물질을 의미하는바, 인쇄층에 인쇄된 디자인 문양이나 그림,도형 등의 이미지와 함께 우수한 심미감을 구현할 수 있다.The print layer is a layer formed by printing a thermochromic material on the base layer. The print layer may include a thermochromic material. The thermochromic material may be a material whose color changes by heat.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xcellent aesthetic feeling together with images of patterns, drawings, and figures.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패턴층에 인가된 전압으로 인해 패턴에 전기가 전달되고, 상기 전기 전달에 의해 발생된 열이 패턴부에 전달되며, 상기 발생한 열이 인쇄층의 열전달 물질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패턴부에 맞닿은 인쇄층 영역의 색상이 변화할 수 있다. Specifically, electricity is transferred to the pattern due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metal pattern layer, heat generated by the electrical transfer is transferred to the pattern portion, and the generated heat is transferred to the heat transfer material of the print layer, The color of the printing layer region abutting on the printing medium may change.

상기 열변색 물질은 산화티타늄(TiO2), 산화텅스텐(WO3), 산화주석(SnO2), 삼산화몰리브덴(MoO3), 산화아연(ZnO2), 산화니켈(NiO), 산화철(FeO3), 산화이리듐(IrO2), 오산화바나듐(V2O5)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기물일 수 있다.The thermochromic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tanium oxide (TiO2), tungsten oxide (WO3), tin oxide (SnO2), molybdenum trioxide (MoO3), zinc oxide (ZnO2), nickel oxide (NiO), iron oxide (FeO3) ), Vanadium pentoxide (V2O5), and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상기 열변색 물질은 폴리다이아세틸렌,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피리딘, 폴리인돌, 폴리카바졸, 폴리아진, 폴리퀴논, 폴리프로필렌비닐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 물질; 또는 스피로(spiro)계 화합물, 시안(cyan)계 화합물, 플로란(fluorine)계 화합물, 로다민(rhodamine)계 화합물, 플루레신(fluorescein)계 화합물, 루코(leuco)계 화합물 및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The thermochromic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acetylene, polypyrrole, polyaniline, polythiophene, polypyridine, polyindole, polycarbazole, polyazine, polyquinone, polypropylene vinylene, Polymer material; Or a combination of a spiro compound, a cyan compound, a fluorine compound, a rhodamine compound, a fluorescein compound, a leuco compound, and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상기 금속패턴층(30)은 패턴부(31)와 비패턴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31)는 전도성 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된 패턴(33)을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패턴부(31)는 상기 패턴(33)에 의해 전기 및 열이 전도되는 영역일 수 있다.The metal pattern layer 30 may include a pattern portion 31 and a non-pattern portion 32. The pattern portion 31 may include a pattern 33 formed by conductive paste. The pattern portion 31 may be a region where electricity and heat are conducted by the pattern 33.

반면, 상기 비패턴부(32)는 전도성 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포함할 수 없고, 상기 비패턴부(32)는 상기 패턴(33)에 의해 전기가 전도되지 않는 영역으로, 상기 금속패턴층에서 상기 패턴부를 제외한 영역을 비패턴부로 일컫는다.
On the other hand, the non-pattern portion 32 can not include the pattern formed by the conductive paste, and the non-pattern portion 32 is a region where electricity is not conducted by the pattern 33, The area excluding the pattern part is referred to as a non-pattern part.

상기 패턴(33)은 전도성 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패턴 형성방법은 후술한다.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는 열 또는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물질로 금속 페이스트 및 유전물질이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pattern 33 may be formed by a conductive paste, and the pattern forming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ductive paste is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heat or electricity, and may be formed by mixing metal paste and dielectric material at a certain ratio.

상기 금속 페이스트는 금, 백금, 은, 구리, 납,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metal past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old, platinum, silver, copper, lead,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 유전물질은 TiO2, BaTiO3, CaTiO3, SrTiO3,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dielectric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O2, BaTiO3, CaTiO3, SrTiO3, and combinations thereof.

구체적으로,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는 금속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해서 유전물질 약 20중량부 내지 약 40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물질을 약 2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패턴에 저항이 형성되지 않아 전열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약 40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상기 패턴의 저항이 높아져 전도성이 없어질 염려가 있는바, 상기 함량의 유전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패턴의 전열 현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ductive paste may include about 20 parts by weight to about 400 parts by weight of the dielectric material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al paste. When the dielectric material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about 20 parts by weight, resistance may not be formed in the pattern, and there is a fear that heat transfer phenomenon may not occur. When the dielectric material is contained in an amount exceeding about 400 parts by weight, resistance of the pattern increases, As a matter of fact, the heat transfer phenomenon of the pattern can be easily realized by including the dielectric material having the above content.

상기 패턴은 직렬 패턴, 병렬 패턴, 및 격자 패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패턴층 상부에 인쇄되는 패턴 형상에 따라, 상기 패턴들이 구현될 수 있다. The pattern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a series pattern, a parallel pattern, and a lattice pattern. The patterns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a pattern shape to be printed on the metal pattern layer.

예를 들어, 상기 금속패턴층이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전력공급부를 구비하는 경우, 직렬 패턴 및 병렬 패턴을 통하여 전기 및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상기 금속 패턴층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신호공급부를 구비하는 경우 격자 패턴을 통하여 전기 및 열을 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etal pattern layer has a power supply unit capable of applying a voltage, it is possible to transmit electricity and heat through a series pattern and a parallel pattern, and the metal pattern layer can supply a signal to the signal supply unit If provided, electricity and hea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grid pattern.

상기 직렬 패턴은 패턴의 양말단이 하나의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결된 패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면적을 가지는 지그재그패턴이 상기 패턴의 양말단을 하나의 패턴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패턴이 직렬 패턴인 경우, 상기 금속패턴층에 전압인가시 패턴에 전달되는 전류흐름이 빨라져 상기 인쇄층의 열전달물질을 보다 빠르게 자극할 수 있다. The series pattern may be a pattern in which both ends of the pattern are connected in a zigzag pattern. Specifically, a zigzag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area can connect both ends of the pattern in one pattern. When the pattern is a serial pattern, current flow to the pattern is accelerated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metal pattern layer, so that the heat transfer material of the print layer can be stimulated more quickly.

도 3은 상기 인테리어 필름이 포함하는 금속패턴층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금속패턴층(30)은 패턴부(31)와 비패턴부(32)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31)는 전도성 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된 패턴(33)을 포함할 수 있다.3 is a plan view of a metal pattern layer included in the interior film. The metal pattern layer 30 includes a pattern portion 31 and a non-pattern portion 32, And a pattern 33 formed by a paste.

도 3의 패턴(33)은 직렬 패턴으로, 패턴(33)의 양말단이 하나의 지그재그 패턴을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금속패턴층(30)은 전원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다.
The pattern 33 of FIG. 3 is a series pattern, and the ends of the pattern 33 are connected to one zigzag pattern, and the metal pattern layer 30 has a power supply portion.

상기 금속패턴층(30)에 인가된 전압은 상기 패턴부(31)와 맞닿는 인쇄층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패턴부(31)는 패턴(33)에 의해 전기가 전도되는 영역으로, 상기 패턴부에 전기가 전도됨으로써 상기 패턴부가 발열할 수 있고, 발생된 열이 상기 기재층을 통해 인쇄층의 열변색 물질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패턴부와 맞닿는 인쇄층의 색상이 변할 수 있다. The voltage applied to the metal pattern layer 3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print layer contacting the pattern unit 31. [ The pattern portion 31 is a region where electricity is conducted by the pattern 33. The pattern portion can generate heat by conducting electricity to the pattern portion and the generated heat can be transferred to the pattern layer through the substrate layer, The color of the print layer contacting the pattern portion can be changed by being transferred to the material.

예를 들어, 도 4는 상기 금속패턴층(30)의 패턴부(31)가 직렬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의 인쇄층(20)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금속패턴층에 전원이 공급되기 전의 상기 인쇄층(21)은 본래의 색상을 유지하나, 상기 금속패턴층에 전원이 공급된 후의 상기 인쇄층(22)은 상기 금속패턴층(30)의 패턴부에 의해 전달된 열에 의해 인쇄층의 열변색 물질이 반응하여, 새로운 색상을 발현할 수 있다.
For example, FIG. 4 is a rear view of the print layer 20 in the case where the pattern portion 31 of the metal pattern layer 30 includes a serial pattern, and FIG. The print layer 21 maintains the original color, but the print layer 22 after power is supplied to the metal pattern layer is formed by the heat transferred by the pattern portion of the metal pattern layer 30, The thermochromic material reacts and a new color can be expressed.

상기 병렬 패턴은 패턴의 양말단이 하나이상의 직선 패턴으로 연결된 패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병렬 패턴은 일정면적을 가진 하나 이상의 직선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하나이상의 직선패턴은 평행할 수 있다.
The parallel pattern may be a pattern in which both ends of the pattern are connected in one or more linear patterns. Specifically, the parallel pattern may have at least one linear pattern having a certain area, and the at least one linear pattern may be parallel.

상기 격자 패턴은 면적이 약 0.25cm2 내지 약 1,000cm2인 하나 이상의 픽셀 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자 패턴은 상기 금속패턴층이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공급부, 예를 들어 정보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사용하는 패턴으로, 하나 이상의 픽셀 격자를 격자 패턴으로 배열함으로써, 상기 픽셀 격자가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자극되어 소비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grid pattern may include an area of about 0.25cm to about 2 1,000cm 2 is at least one pixel grid. The lattice pattern is a pattern used when the metal pattern layer supplies a signal, for example,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rranges one or more pixel lattices in a lattice pattern,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the consumer.

상기 픽셀 격자의 면적은 상기 범위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픽셀 격자의 면적이 약 0.25cm2미만인 경우 상기 기재층의 열전도 현상에 의해 하나의 픽셀 격자가 다른 하나의 픽셀 격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독립적인 픽셀 격자의 신호 공급이 어려우며, 약 1,000cm2을 초과하는 경우 소비자들이 디스플레이의 픽셀로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과량의 열변색 물질 및 전도성 페이스트가 사용되어야 하는바 효율성이 감소한다.The area of the pixel grid can maintain the range and when one pixel grid is influenced b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ubstrate layer when the area of the pixel grid is less than about 0.25 cm 2 , The signal supply of the independent pixel grating is difficult, and when it is more than about 1,000 cm 2 , it is difficult for consumers to perceive the pixel as a display, and the efficiency is reduced as excessive heat discoloring material and conductive paste should be used.

구체적으로, 신호공급부의 신호로 인해 상기 금속패턴층에 의해 전달된 신호 및 열이 상기 인쇄층에 전달되는바, 상기 인쇄층이 포함하는 열변색 물질의 색상이 변화하고, 상기 금속패턴층의 패턴에 따라서 심미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정보처리장치와 연결함으로써, 간단한 시각적인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ignal and the heat transmitted by the metal pattern layer due to the signal of the signal supply part are transmitted to the print layer, and the hue of the thermal coloring material included in the print layer changes, It is possible to realize aesthetic effec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to connect simpl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도 5는 상기 인테리어 필름이 포함하는 금속패턴층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금속패턴층(30)은 격자 패턴(35)을 포함하는바, 상기 격자 패턴은 하나 이상의 픽셀 격자(3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금속패턴층(30)은 신호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5 shows a top view of a metal pattern layer included in the interior film, wherein the metal pattern layer 30 includes a grid pattern 35, which includes one or more pixel grids 34 And the metal pattern layer 30 may have a signal supply portion.

상기 금속패턴층(30)에 공급된 신호는 상기 패턴부(31)와 맞닿는 인쇄층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패턴부(31)는 패턴(33)에 의해 전기가 전도되는 영역으로, 상기 패턴부에 전기가 전도됨으로써 상기 패턴부가 발열할 수 있고, 발생된 열이 상기 기재층을 통해 인쇄층의 열변색 물질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패턴부와 맞닿는 인쇄층의 색상이 변할 수 있다. The signal supplied to the metal pattern layer 3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print layer contacting the pattern unit 31. [ The pattern portion 31 is a region where electricity is conducted by the pattern 33. The pattern portion can generate heat by conducting electricity to the pattern portion and the generated heat can be transferred to the pattern layer through the substrate layer, The color of the print layer contacting the pattern portion can be changed by being transferred to the material.

예를 들어, 도 6는 상기 금속패턴층(30)의 패턴부(31)가 격자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의 인쇄층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금속패턴층에 전원이 공급되기 전의 상기 인쇄층(21)은 본래의 색상을 유지하나, 상기 금속패턴층에 전원이 공급된 후의 인쇄층(22)은 상기 금속패턴층(30)의 패턴부에 의해 전달된 열에 의해 인쇄층의 열변색 물질이 반응하여, 패턴부에 따라 새로운 색상을 발현할 수 있다.
For example, FIG. 6 is a rear view of a print layer in the case where the pattern portion 31 of the metal pattern layer 30 includes a grid pattern, The print layer 22 after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metal pattern layer 21 is formed by the heat transferred by the pattern portion of the metal pattern layer 30, And a new color can be expressed according to the pattern part.

상기 이면층(40)은 치수안정성과 벽면 등, 실내장재용 제품과의 부착력을 상승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바, 상기 금속패턴층의 주기적인 발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적인 휨 현상 및 들뜸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The backside layer 40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adhesion between the backside layer 40 and the indoor furnishing products such as the wall surface, and minimizes the partial bending phenomenon and the lifting phenomenon that may occur due to the periodic heat generation of the metal pattern layer can do.

예를 들어, 상기 이면층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폴리아마이드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셀툴로오스 섬유, 및 펄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치수안정성, 부착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낮아 제조비용 절감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펄프를 포함하는 부직포가 유리하다. For example, polyester fibers, polyamide fibers, acrylic fibers, polyolefin fibers, cellulosic fibers, pulp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backing layer, and it is excellent in dimensional stability and adhesion, Nonwoven fabrics including polyester fibers and pulp are advantageous in that they are effective.

상기 이면층의 평량은 약 10g/m2 내지 약 100g/m2 수 있고, 두께는 약 0.05mm 내지 약 0.5 mm일 수 있다.
The basis weight of the backing layer may be from about 10 g / m 2 to about 100 g / m 2 , and the thickness may be from about 0.05 mm to about 0.5 mm.

상기 인쇄층 상부에 표면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표면코팅층(50), 인쇄층(20), 기재층(10), 금속패턴층(30), 및 이면층(40)의 적층구조일 수 있다. And a surface coating layer on the printing layer. 2, the interior film may be a laminated structure of a surface coating layer 50, a printing layer 20, a base layer 10, a metal pattern layer 30, and a backside layer 40.

상기 인쇄층 상부에 표면코팅층(5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금속패턴층의 패턴이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 인해 끊어지거나 수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이상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표면코팅층(50)은 우레탄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코팅층(50)의 두께는 약 0.005mm 내지 약 0.5mm일 수 있는바, 상기 범위를 유지함으로써 투명성을 유지하며, 외부로의 요인을 차단하여 인쇄층 및 금속패턴층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By including the surface coating layer 50 on the print lay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an anomalous phenomenon that the pattern of the metal pattern layer may be broken due to external physical impact or caused by moisture. The surface coating layer 50 may include a urethane resin, an acrylic resin, or the like.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50 may be about 0.005 mm to about 0.5 mm. By maintaining the above range,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and blocking of the external factors to block the print layer and the metal pattern layer can do.

인테리어 필름 제조방법How to make interior film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기재층 하부에 전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재층 상부에 열변색 물질을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재층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금속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패턴층 하부에 이면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printing a conductive paste under a substrate layer to form a pattern; Printing a thermochromic material on the substrate layer to form a print layer; Forming a metal pattern layer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bottom of the base layer; And laminating a backing layer under the metal pattern layer.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인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인테리어 필름 제조방법을 통해 가격이 저렴한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소비자들이 원하는 공간에 편리하게 설치 가능하다.
FIG. 7 illustrat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film,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film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through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nterior film, and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in a desired space by consumers.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는 상기 기재층 하부에, 상기 열변색 물질 및 상기 기재층 상부에 인쇄되어 형성되는바, 상기 인쇄는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및 로터리 스크린 인쇄법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conductive paste is formed by printing on the thermochromic material and the base material layer below the base layer, the printing being performed by a screen printing method, a gravure printing method, a flexo printing method, an offset printing method, Or the like.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법 또는 로터리 스크린 인쇄법을 사용하는 경우 정밀도가 높은 패턴구현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의 점도를 높게 하는 경우 사용이 유리하며, 그라비아 인쇄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의 전도성이 낮은 경우 사용가능하고, 대량 생산시 유리하다. 또한, 플렉소 인쇄법을 사용함으로써 패턴의 두께를 가장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고, 오프셋 인쇄법을 통해 표면이 거친 기재층에 정교한 패턴을 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하고자 하는 패턴특성을 고려하여 전도성 페이스트의 인쇄 공정을 선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screen printing method or a rotary screen printing method is used, it is advantageous to use the conductive paste in the case of increasing the viscosity of the conductive paste in high-precision pattern realization. When the gravure printing method is used, It is usable in low case and is advantageous in mass production. In addition, by using the flexo printing method,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can be most uniformly produced, and a precise pattern can be transferred onto the rough substrate layer through the offset print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printing process of the conductive paste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attern characteristics to be implemented.

상기 인쇄층 형성 후에, 표면 코팅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코팅층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인쇄층 상부에 적층됨으로써 외부 환경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After the formation of the print layer, the step of laminating the surface coating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The surface coating layer is as described above, and the surface coating layer is laminated on the print layer, so that the impact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can be minimized.

상기 접착제는 기재층 하부에 형성된 패턴 외의 부분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전도성 페이스트가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가 인쇄되어 있는 패턴 외의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고, 상기 접착제는 기재층과 이면층의 접착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The adhesive may be applied to a portion other than the pattern formed under the base layer. The pattern is formed by printing a conductive paste, and the adhesive can be applied to a portion other than the pattern on which the conductive paste is printed, and the adhesive can maintain adhesion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back layer.

상기 패턴에서 주기적으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접착제로는 완전 접착 이후 약 0℃ 내지 약 80℃의 온도에서 분해되지 않는 접착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우레탄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ince heat is periodically generated in the pattern, an adhesive resin which does not decompose at a temperature of about 0 ° C to about 80 ° C after complete bonding can be used as the adhesive. For example, the adhesive may include an epoxy resin, a polyvinyl butyral resin, a styrene resin, a polyester resin, an acrylic resin, an acryl-urethane resin, a urethane resin, or the like.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는 금속 페이스트와 유전물질을 1:0.2 내지 1:4의 비율로 혼합한 후, 점도가 약 500cps 내지 약 50,000cps가 되도록 유기용제를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paste may be formed by mixing a metal paste and a dielectric material at a ratio of 1: 0.2 to 1: 4, and then adding an organic solvent to a viscosity of about 500 cps to about 50,000 cps.

상기 금속 페이스트와 유전물질을 상기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는바, 1:0.2 미만의 비율로 혼합하는 경우 패턴에 저항이 생기지 않아, 발열특성을 발휘하지 않을 수 있고, 1:4를 초과하여 혼합하는 경우 저항이 너무 높아 전기전도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The metal paste and the dielectric material can be mixed at the above ratio. When mixed at a ratio of less than 1: 0.2, resistance is not generated in the pattern and the heat generating property may not be exerted. The resistance may be too high to low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의 점도를 상기 범위로 유지함으로써, 패턴 인쇄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도가 약 500cps미만인 경우 상기 유기용제가 과량 사용되어 금속 페이스트의 농도가 낮아지고, 인쇄후 패턴의 전기전도성이 미미할 염려가 있으며, 상기 점도가 약 50,000cps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 내 금속 페이스트 농도가 높아져 상기 패턴이 필요이상으로 두꺼워져, 제조 공정시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By maintaining the viscosity of the conductive paste within the above range, the ease of pattern printing can be improved. Specifically, when the viscosity is less than about 500 cps, the organic solvent is excessively used to lower the concentration of the metal paste,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pattern after printing may be insufficient. When the viscosity exceeds about 50,000 cps, The density of the metal paste is increased, the pattern becomes thicker than necessary, and the manufacturing cost may increase.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은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를 기재층 하부에 인쇄하고, 약 50°C 내지 약 120°C로 건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attern can be formed by printing the conductive paste under the base layer and drying at about 50 ° C to about 120 ° C.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intended to illustrate or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hereto.

실시예Example

PVC의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에 하부에 은 페이스트 및 BaTiO3를 혼합한 혼합물을 직렬 패턴으로 인쇄한 뒤 80°C 오븐에서 건조하여 기재층 상부에 금속패턴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기재층 상부에 스크린 인쇄법을 사용하여 열변색 물질을 디자인에 맞게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인쇄층 상부에 아크릴 수지를 0.1mm 두께로 코팅하여 표면 코팅층을 적층하였고, 상기 직렬 패턴이 형성된 금속패턴층에 아크릴-우레탄계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직렬 패턴 외의 부분에 접착제를 포함하게 하였고,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펄프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접착하여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A mixture of silver paste and BaTiO3 in the lower part of the base material layer including the synthetic resin of PVC was printed in a serial pattern and then dried in an oven at 80 ° C to form a metal pattern layer on the base material layer. Thereafter, a print layer was formed by printing a thermochromic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using a screen printing method according to the design. Thereafter, an acrylic resin was coated on the top of the printing layer to a thickness of 0.1 mm to laminate the surface coating layer, and an acrylic-urethane adhesive was applied to the metal pattern layer in which the serial pattern was formed, , Polyester fiber and pulp were adhered to each other to prepare an interior film.

10: 기재층,
20: 인쇄층, 21: 전원공급 전 인쇄층, 22: 전원공급 후 인쇄층
30: 금속패턴층, 31: 패턴부, 32: 비패턴부,
33: 직렬패턴, 34: 픽셀격자, 35: 격자패턴
40: 이면층, 50; 표면코팅층
10: substrate layer,
20: print layer, 21: print layer before power supply, 22: print layer after power supply
30: metal pattern layer, 31: pattern portion, 32: non-pattern portion,
33: serial pattern, 34: pixel grid, 35: grid pattern
40: backside layer, 50; Surface coating layer

Claims (20)

인쇄층, 기재층, 금속패턴층, 및 이면층의 적층구조이고,
상기 인쇄층은 열변색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패턴층은 패턴부와 비패턴부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
A printed layer, a base layer, a metal pattern layer, and a back layer,
Wherein the print layer comprises a thermochromic material and the metal pattern layer comprises a patterned portion and a non-
Interior fil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변색 물질은 산화티타늄(TiO2), 산화텅스텐(WO3), 산화주석(SnO2), 삼산화몰리브덴(MoO3), 산화아연(ZnO2), 산화니켈(NiO), 산화철(FeO3), 산화이리듐(IrO2), 오산화바나듐(V2O5)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기물인
인테리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ermochromic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tanium oxide (TiO2), tungsten oxide (WO3), tin oxide (SnO2), molybdenum trioxide (MoO3), zinc oxide (ZnO2), nickel oxide (NiO), iron oxide (FeO3) ), Vanadium pentoxide (V2O5), and combinations thereof.
Interior fil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변색 물질은 폴리다이아세틸렌,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피리딘, 폴리인돌, 폴리카바졸, 폴리아진, 폴리퀴논, 폴리프로필렌비닐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 물질; 또는
스피로(spiro)계 화합물, 시안(cyan)계 화합물, 플로란(fluorine)계 화합물, 로다민(rhodamine)계 화합물, 플루레신(fluorescein)계 화합물, 루코(leuco)계 화합물 및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인테리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ermochromic material comprises at least one polymeric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acetylene, polypyrrole, polyaniline, polythiophene, polypyridine, polyindole, polycarbazole, polyazine, polyquinone, polypropylene vinylene, ; or
A group consisting of a spiro compound, a cyan compound, a fluorine compound, a rhodamine compound, a fluorescein compound, a leuco compound, The selected one or more compounds
Interior fil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전도성 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ttern portion includes a pattern formed by a conductive paste
Interior fil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는 금속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해서 유전물질 20중량부 내지 400중량부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ductive paste contains 20 to 400 parts by weight of the dielectric material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al paste
Interior fil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페이스트는 금, 백금, 은, 구리, 납,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인테리어 필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etal past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old, platinum, silver, copper, lead,
Interior fil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물질은 TiO2, BaTiO3, CaTiO3, SrTiO3,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인테리어 필름.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electric material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O2, BaTiO3, CaTiO3, SrTiO3, and combinations thereof
Interior fil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직렬 패턴, 병렬 패턴, 및 격자 패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attern comprises any one of a serial pattern, a parallel pattern, and a lattice pattern
Interior film.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패턴은 패턴의 양말단이 하나의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결된 패턴인
인테리어 필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ries pattern is a pattern in which both ends of the pattern are connected in a zigzag pattern
Interior film.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패턴은 패턴의 양말단이 하나이상의 직선 패턴으로 연결된 패턴인
인테리어 필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arallel pattern is a pattern in which both ends of the pattern are connected in one or more linear patterns
Interior film.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패턴은 면적이 0.25cm2 내지 1,000cm2인 하나 이상의 픽셀 격자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rating pattern is that the area comprising at least one pixel grid of 0.25cm 2 to 1,000cm 2
Interior fil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패턴층는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전력공급부 또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신호공급부를 구비하는
인테리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al pattern lay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capable of applying a voltage or a signal supply unit capable of supplying a signal
Interior fil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패턴에 의해 전기가 전도되는 영역인
인테리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ttern portion is a region where electricity is conducted by the pattern
Interior fil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패턴층에 인가된 전압이나 공급된 신호가 패턴부와 맞닿는 인쇄층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인테리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voltage applied to the metal pattern layer or a voltage applied to the metal pattern layer changes the color of the print layer contacting the pattern portion
Interior fil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 상부에 표면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rface coating layer on the print layer
Interior film.
기재층 하부에 전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재층 상부에 열변색 물질을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재층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금속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패턴층 하부에 이면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 제조방법.
Printing a conductive paste under the base layer to form a pattern;
Printing a thermochromic material on the substrate layer to form a print layer;
Forming a metal pattern layer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bottom of the base layer; And
And laminating a backside layer under the metal pattern layer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film.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는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및 로터리 스크린 인쇄법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된
인테리어 필름 제조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printing may be performed by any one of a screen printing method, a gravure printing method, a flexo printing method, an offset printing method, and a rotary screen printing method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film.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 형성 후에, 표면 코팅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 제조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laminating a surface coating layer after the printing layer form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film.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기재층 하부에 형성된 패턴 외의 부분에 도포되는
인테리어 필름 제조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adhesive is applied to portions other than the pattern formed under the base layer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film.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는 금속 페이스트와 유전물질을 1:0.2 내지 1:4의 비율로 혼합한 후, 점도가 500cps 내지 50,000cps가 되도록 유기용제를 첨가하여 형성되는
인테리어 필름 제조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ductive paste is formed by mixing a metal paste and a dielectric material at a ratio of 1: 0.2 to 1: 4, and then adding an organic solvent to a viscosity of 500 cps to 50,000 cps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ior film.
KR1020140120141A 2014-09-11 2014-09-11 Interior decoration film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704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141A KR101970494B1 (en) 2014-09-11 2014-09-11 Interior decoration film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141A KR101970494B1 (en) 2014-09-11 2014-09-11 Interior decoration film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096A true KR20160031096A (en) 2016-03-22
KR101970494B1 KR101970494B1 (en) 2019-04-22

Family

ID=5564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141A KR101970494B1 (en) 2014-09-11 2014-09-11 Interior decoration film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4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649A (en) 2022-03-29 2023-10-10 윤지영 Film for interior decor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6402A (en) * 1994-12-05 1996-06-18 Pilot Ink Co Ltd Thermally discoloring hologram display element
KR20070064405A (en) * 2005-12-16 2007-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ing conductive pattern and conductive pattern prepared by the method
KR20110040094A (en) * 2009-10-13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al foil clad fil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20066942A (en) * 2010-12-15 2012-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for inner electrode,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us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30035770A (en) * 2011-09-30 2013-04-09 (주)엘지하우시스 Transcription film for in-mold with thermochromic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6402A (en) * 1994-12-05 1996-06-18 Pilot Ink Co Ltd Thermally discoloring hologram display element
KR20070064405A (en) * 2005-12-16 2007-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ing conductive pattern and conductive pattern prepared by the method
KR20110040094A (en) * 2009-10-13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al foil clad fil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20066942A (en) * 2010-12-15 2012-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for inner electrode,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us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30035770A (en) * 2011-09-30 2013-04-09 (주)엘지하우시스 Transcription film for in-mold with thermochromic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494B1 (en)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927018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unctionalized sheets of wood material
CN104204353B (e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plate
JP3125395B2 (en) Cosmetic material using transfer sheet having antistatic fun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221634B2 (en) Three-dimensional appearance exterior material
TW200849160A (en) Light output device
KR101970494B1 (en) Interior decoration film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103010A (en) Decoration sheet setting printing pattern with the embo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115801A (en) Exterior decoration material using polyurethane and preparing thereof
KR20140111813A (en) Interior decoration film with electrochromic function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069981B2 (en) Cosmetic material
DK2723561T3 (en) Linoleum-based surface structure with printing
JPS6235517B2 (en)
CN202448653U (en)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decorating plate printed with three-dimensional image
CN207720558U (en) Cover sheet
KR101816962B1 (en) Interior decoration film with electrochromic function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106139Y (en) Relief wallpaper
KR20150141234A (en) Environmentally friendly wallpaper having discoloration function
KR100542935B1 (en) Method for preparing material for floor construction having feeling of Korean paper
CN204869833U (en) Decorating film
KR200299621Y1 (en) Floor material having diffused reflection effect of aligned cubic feeling
KR100689997B1 (en) Floor tile having stereoscopic effect like carpet
KR200336956Y1 (en) Anion woven fabrics flooring
KR980007041U (en) Floor material having three-dimensional impression by two steps of printing
CN207633135U (en) Bloom glass imitation card paper
KR101096964B1 (en) Inorganic electro luminescence wall material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