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0640A - 락스크린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락스크린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0640A
KR20160030640A KR1020140120005A KR20140120005A KR20160030640A KR 20160030640 A KR20160030640 A KR 20160030640A KR 1020140120005 A KR1020140120005 A KR 1020140120005A KR 20140120005 A KR20140120005 A KR 20140120005A KR 20160030640 A KR20160030640 A KR 20160030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creen
content
electronic device
display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7817B1 (ko
Inventor
현주호
변성욱
임학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0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817B1/ko
Priority to US14/844,446 priority patent/US10635371B2/en
Publication of KR20160030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640A/ko
Priority to US16/855,481 priority patent/US2020024989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817B1/ko
Priority to US17/987,315 priority patent/US11797249B2/en
Priority to US18/490,316 priority patent/US2024006984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8/00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스크린(lockscreen)의 구성과 그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락스크린 제공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를 턴-오프(turn-off) 하는 과정, 상기 표시부의 턴-오프에 응답하여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설정하는 과정,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응답하여 표시부를 턴-온(turn-on) 하는 과정, 및 상기 표시부의 턴-온 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게 설정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변경된 락스크린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락스크린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KSCREEN}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랙션(user interaction)에 반응하여 락스크린(lockscreen)을 다이나믹(dynamic)하게 변경할 수 있는 락스크린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가 대중화 됨에 따라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적용한 전자 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동작을 통해 보다 용이한 입력 방식으로 전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터치로 인한 전자 장치의 오동작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주머니나 가방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도하지 않은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터치 동작을 입력하지 않는 경우에는 터치스크린을 스크린 잠금 모드 또는 터치 잠금 상태로 지정하는 락스크린(lock screen)을 지원하고 있다. 상기 락스크린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가 인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의 잠김 상태는 터치스크린 비활성화 상태와는 차이가 있다. 즉, 터치스크린 비활성화 상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지 않는 상태인데 반하여, 터치스크린 잠김 상태는 터치스크린은 활성화되어 있고 락스크린 해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락스크린 해제를 위해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가이드를 참조하여 락스크린 해제를 위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 비밀번호 또는 핀 번호 등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면 밀어내기(Flick)나 잠금 해제 버튼 누르기와 같은 특정한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락스크린을 해제할 수 있으며, 락스크린 해제 이후 원하는 전자 장치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비밀번호나 특정 패턴을 입력하여야 잠금이 해제되는 락스크린은 개인 프라이버시(privacy)를 보호하는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락스크린은 의도하지 않은 기능 수행이나 프라이버시 보호에 유용하지만, 날씨나 달력 보기와 같이 간단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매번 잠금 해제를 수행해야 하며, 이는 사용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수신 알림,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알림, 또는 모바일 메신저의 메시지 수신 알림 등과 같이 비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빈번한 알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매번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전자 장치에서는 단일 화면으로 구성된 락스크린만을 지원하며, 단일 화면의 락스크린은 사용자 개성을 표현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전자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락스크린을 직접으로 변경하기 이전까지는 단일 화면의 락스크린이 계속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의 락스크린을 간단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표시부 오프(off) 상태의 전자 장치에서 파워 버튼(Power Button}, 볼륨 버튼(Volume Button) 및 홈 버튼(Home Button)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2개의 조합을 이용한 새로운 인터랙션으로 락스크린 변경을 지원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의 다양한 버튼들의 본연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버튼들을 이용한 새로운 사용자 인터랙션을 정의할 수 있고, 정의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보다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의 표시부가 오프될 시 다음에 표시부가 턴-온(turn-on)되는 시점에 표시할 락스크린을 자동 구성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표시부가 턴-오프될 때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락스크린을 재구성할 수 있고, 표시부가 턴-온되거나, 또는 표시부가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한 버튼들의 조합을 이용한 인터랙션을 입력할 시 사용자에게 해당 인터랙션에 맞는 새로운 락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락스크린을 구성할 때 전자 장치의 설정에 따라 게더링(gathering)된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락스크린들을 구성할 수 있고, 구성되는 락스크린을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전자 장치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락스크린 제공 방법은, 표시부를 턴-오프(turn-off) 하는 과정, 상기 표시부의 턴-오프에 응답하여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설정하는 과정,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응답하여 표시부를 턴-온(turn-on) 하는 과정, 및 상기 표시부의 턴-온 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게 설정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변경된 락스크린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표시부의 턴-오프(turn-off) 또는 턴-온(turn-on)에 응답하여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기반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표시부의 턴-온 시 상기 변경된 락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락스크린을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신하는 버튼,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표시부의 턴-오프(turn-off) 또는 턴-온(turn-on)에 응답하여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기반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게 설정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변경된 락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간단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동적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다양한 버튼들(예컨대, 파워 버튼, 볼륨 버튼, 홈 버튼 등)의 본연의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버튼들의 단일 또는 조합을 이용하여 새로운 사용자 인터랙션을 정의할 수 있고, 정의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반하여 락스크린 변경을 간편하게 지원할 수 있으며, 새로운 사용자 인터랙션 정의에 따라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의 단일 화면으로 구성되는 전자 장치의 락스크린을 다양한 락스크린 타입으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고, 전자 장치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가 자주 확인하거나 필요로 하는 정보를 락스크린을 통해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빈번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락스크린을 동적으로 변경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부의 파워 오프 시 백드라운드로 락스크린을 자동 변경 구성할 수 있고, 표시부의 턴-온 시 변경된 락스크린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전자 장치의 사용성, 편의성, 접근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 변경을 위한 버튼 조합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 변경을 처리하는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 변경을 처리하는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 변경 방식 및 그에 따라 락스크린 변경을 처리하는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 운영과 관련되는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 게더링을 위한 설정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구현되는 락스크린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 게덜링을 처리하는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 공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 변경을 처리하는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락스크린(lockscreen)의 구성과 그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다양한 락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고, 락스크린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user interaction)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전자 장치가 구비하는 다양한 버튼(button)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이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랙션을 정의하기 위한 상기 다양한 버튼들은 파워 버튼(power button), 볼륨 버튼(volume button), 또는 홈 버튼(home button)이 포함될 수 있고, 단일 버튼 또는 적어도 2개의 버튼들의 조합으로 락스크린 변경을 위한 하나 또는 이상의 사용자 인터랙션들을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은 사용자가 설정한 단일의 락스크린이 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정적인 락스크린을 사용자가 버튼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반하여 다이나믹(dynamic)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표시부가 오프(off) 상태에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가장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은 전자 장치의 일 영역에 탑재되는 파워 버튼, 볼륨 버튼, 또는 홈 버튼과 같은 다양한 버튼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표시부가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가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버튼 또는 버튼들의 조합에 의해 락스크린 표시 제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정의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표시부의 턴-온(turn-on) 시 락스크린에서의 새로운 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와 같이 AP(Appl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 CPU(Central Processing)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락스크린을 지원하는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통신 전화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예컨대,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등과 같은 모든 형태의 장치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지원 가능한 다양한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락스크린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컨대,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컨대,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락스크린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컨대,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으며,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100은 무선 통신부 110, 사용자 입력부 120, 터치스크린 130, 오디오 처리부 140, 저장부 150, 인터페이스부 160, 카메라 모듈 170, 제어부 180, 그리고 전원 공급부 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 100은 도 1에 도시된 구성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도 1에 도시된 구성들보다 많은 구성들을 가지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구성들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 110은 전자 장치 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전자 장치 100와 다른 전자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 110은 이동통신 모듈 111,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 113, 근거리 통신 모듈 115, 위치 산출 모듈 117, 그리고 방송 수신 모듈 11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 111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전자 장치, 그리고 다양한 서버들(예컨대, 통합 서버(integration server), 프로바이더 서버(provider server), 컨텐츠 서버(content server), 인터넷 서버(internet server),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등)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통화 신호, 화상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 111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들(예컨대, 로그, 컨텐츠, 메시지, 메일, 이미지, 동영상, 날씨 정보,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모듈 111은 전자 장치 100와 네트워크(예컨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들을 획득(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 111은 전자 장치 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예컨대, 서버, 다른 전자 장치 등)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모듈 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다른 전자 장치와 무선 랜 링크(link)를 형성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모듈 113은 전자 장치 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 랜(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mmWave(millimeter Wav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모듈 113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들을 외부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랜 모듈 113은 전자 장치 100와 네트워크(예컨대,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 113은 전자 장치 100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예컨대,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모듈 113은 다른 전자 장치와 무선 랜 링크가 형성될 시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모듈 113은 상시 온(On) 상태를 유지하거나, 전자 장치 100의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턴-온(turn-on)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115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그리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115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115은 전자 장치 100와 네트워크(예컨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 115은 다른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될 시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데이터들을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115은 상시 온 상태를 유지하거나, 전자 장치 100의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턴-온(turn-on)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산출 모듈 117은 전자 장치 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산출 모듈 115은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및 고도(altitude)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 산출 모듈 117은 3개 이상의 위성들로부터 전자 장치 1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속 수신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의 위치 정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 119은 방송 채널(예컨대, 위성 방송 채널, 지상파 방송 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예컨대,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 등) 및/또는 방송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120은 전자 장치 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120은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 120은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버튼,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셔틀(jog & shuttle), 그리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버튼은 미리 설정된 기능 실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버튼 타입 및 터치패드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터치스크린 130 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공되는 소프트 타입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130 외의 영역에 제공되는 하드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센서는 음성인식 센서(voice recognition sensor), 지문 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지자기 센서(terrestrial magnetism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컬러 센서(color sensor),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동작 인식 센서(motion recognition sensor), HRM(heart rate monitor) 센서, IR (Infra red) 센서, 홍재 인식 센서(iris scan sensor), EEG(Electroencephalogram) 센서, ECG(Electrocardiography) 센서, 또는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120은 일부가 전자 장치 100의 외부에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부 또는 전체가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1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100의 동작을 개시(initiation)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 120은 락스크린 표시 또는 변경,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데이터 입력(작성, 삽입), 전자 장치 100의 자세 변화, 컨텐츠 표시, 네트워크 연결,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 등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130은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입출력 수단을 나타내며, 표시부 131와 터치감지부 1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130은 표시부 131를 통해 전자 장치 100의 동작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화면은 예를 들어, 락스크린, 지문 인식 화면, 메신저 화면, 통화 화면, 게임 화면, 동영상 재생 화면, 갤러리(gallery) 화면, 웹 페이지 화면, 홈 화면, 또는 네트워크 연결 화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130은 상기 표시부 131를 통해 특정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터치감지부 13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touch), 호버링(hovering) 또는 에어 제스처(air gesture)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는 이벤트(예컨대, 터치 이벤트, 호버링 이벤트, 에어 제스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이벤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 18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80은 전달되는 이벤트를 구분하고, 구분된 이벤트에 따른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31는 전자 장치 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 131는 전자 장치 100가 락스크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관련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 131는 전자 장치 100가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31는 전자 장치 100가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과 해당 모드 운영과 관련된 UI,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31는 전자 장치 100의 사용과 관련된 데이터, 컨텐츠,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31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31는 전자 장치 100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또는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화면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3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CD),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투명형 또는 광투명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 133는 상기 표시부 131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 130 표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싱글터치(single-touch), 멀티터치(multi-touch), 호버링(hovering), 또는 에어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 또는 근접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은 탭(tap), 드래그(drag), 스윕(sweep), 플릭(flick), 스와이프(swipe), 드래그앤드롭(drag&drop), 드로잉 제스처(drawing gesture)(예컨대, 필기) 등)의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 133는 상기 터치스크린 130 표면에서 사용자 입력(예컨대, 터치 이벤트 또는 근접 이벤트)을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 18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80은 상기 터치감지부 133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사용자 입력(예컨대, 터치 이벤트 또는 근접 이벤트)이 발생된 영역에 해당하는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 133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 100의 사용과 관련된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 133는 표시부 13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표시부 13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 133는 입력 수단(예컨대, 사용자 손가락, 전자 펜 등)이 표시부 131의 표면 상에 터치 또는 근접되는 위치 및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감지부 133는 적용한 터치 방식에 따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 133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터치 제어기(미도시)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해당 데이터를 제어부 18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 180은 터치스크린 13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또는 근접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 140은 상기 제어부 180로부터 입력 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 speaker) 141로 전송하고, 마이크(MIC, microphone) 143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 18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 140은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 18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 141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 143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 18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 140은 데이터에 삽입된 오디오 처리 정보(예컨대, 효과음, 음악파일 등)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141는 무선 통신부 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저장부 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141는 전자 장치 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 14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143를 통해 처리되는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 111을 통하여 외부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14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noise reduction algorithm)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50은 제어부 180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one or more programs)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은 예를 들어, 로그, 컨텐츠, 메신저 데이터(예컨대, 대화 데이터), 컨택트(contact) 정보(예컨대,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 등), 메시지, 미디어 파일(예컨대, 오디오, 동영상, 이미지 등의 파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50은 전자 장치 100의 락스크린 제어와 관련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 15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락스크린 이미지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락스크린 구성을 위한 정보를 게더링(gathering) 하며, 사용자 인터랙션에 반응하여 락스크린 변경을 처리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 및 그에 따라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표시부 131을 턴-오프 하는 동작, 상기 표시부 131의 턴-오프에 응답하여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설정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부 131을 턴-온 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부 131의 턴-온 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게 설정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변경된 락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50은 전자 장치 100의 동작에 따른 사용 빈도(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사용빈도, 컨텐츠 사용빈도 등), 중요도 및 우선순위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50에는 터치스크린 130 상의 터치 입력 또는 근접 입력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pattern)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 150은 전자 장치 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터치스크린 130을 이용한 입력 및 표시 제어와 관련된 프로그램, 전자 장치 100의 다양한 동작(기능)들의 제어와 관련된 프로그램, 그리고 각 프로그램들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5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ROM(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은 인터넷 상에서 상기 저장부 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 160은 전자 장치 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 160은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 100 내부의 각 구성들에 전달하거나, 전자 장치 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Input/Output) 포트, 비디오 입/출력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상기 인터페이스부 16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170은 전자 장치 100의 촬영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카메라 모듈 170은 피사체의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촬영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170은 제어부 180의 제어에 따라 임의의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표시부 131 및 제어부 18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170은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또는 카메라 센서)(미도시)와,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170은 사용자 설정에 따른 다양한 촬영 옵션(예컨대, 주밍(zooming), 화면 비율, 효과(effect)(예컨대, 스케치, 모노, 세피아, 빈티지, 모자이크, 액자 등)에 따른 촬영을 지원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80은 전자 장치 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180은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 화상 통신 등에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 180은 락스크린 구성 및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180은 상기 표시부 131의 턴-오프 또는 턴-온에 응답하여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8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예컨대, 파워 버튼, 볼륨 버튼, 홈 버튼 등)에 기반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게 설정되는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80은 상기 표시부 131을 턴-온 할 때 상기 변경된 락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180은 미리 정의된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내부(예컨대, 저장부 150) 또는 외부(예컨대, 외부 서버 또는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해 게더링 할 수 있고, 상기 게더링된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 150에 저장하는 일련의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 180은 저장부 150에 저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본 발명의 전자 장치 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one or more processors)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180은 게더링 모듈(Gathering module) 182와, 락스크린 매니저(Lockscreen manager) 184와, 락스크린 공유 모듈(Lockscreen sharing module) 18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더링 모듈 182는 락스크린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텐츠들을 설정된 조건에 따라 게더링 할 수 있다. 상기 게더링 모듈 182는 동적으로 컨텐츠 게더링을 수행하거나, 설정된 주기에 따라 컨텐츠 게더링을 수행하거나, 또는 게더링을 위한 특정 조건의 이벤트(예컨대, 버튼 조합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에 반응하여 컨텐츠 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더링 모듈 182는 컨텐츠 게더링 시 미리 정의된 다양한 인터랙션 별로 서로 다른 컨텐츠를 게더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더링 모듈 182는 사용자 인터랙션 별로 설정된 컨텐츠 타입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각각 게더링 할 수 있다.
상기 락스크린 매니저 184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의 동적인 변경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락스크린 매니저 184는 표시부 131의 턴-오프 또는 턴-온 시 게더링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구성하는 동작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락스크린 매니저 184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게더링 모듈 182에 의한 컨텐츠 게더링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설정된 조건에 대응할 때 컨텐츠 게더링을 수행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락스크린 매니저 184는 표시부 131의 턴-온/턴-오프에 따라 게더링 컨텐츠의 풀 사이즈(pool size)가 락스크린을 위해 미리 지정되는 락스크린 풀 사이즈(lockscreen pool size)의 기준값(예컨대, 30) 이하일 경우 컨텐츠 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풀(pool)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의 저장부 150에서 게더링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해 할당되는 정해진 사이즈의 임시적인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락스크린 매니저 184는 컨텐츠의 게더링 주기를 체크할 수 있고, 해당 게더링 주기에서 다양한 방식에 입각하여 컨텐츠를 게더링 하도록 상기 게더링 모듈 182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스크린 매니저 184는 게더링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락스크린의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락스크린 공유 모듈 186은 상기 전자 장치 100의 컨텐츠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의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것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락스크린 공유 모듈 186은 상기 전자 장치 100의 락스크린 또는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다른 전자 장치와 공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부 180은 상기의 기능 외에 전자 장치 100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영 및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180은 터치 기반 또는 근접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예컨대, 터치스크린 130)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터치 이벤트 또는 근접 이벤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180은 유선통신 기반 또는 무선통신 기반으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 190은 제어부 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 190은 제어부 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 131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On/Off)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표시부 131의 턴-오프 또는 턴-온에 응답하여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버튼(예컨대, 파워 버튼, 볼륨 버튼, 홈 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표시부 131의 턴-온 시 상기 변경된 락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 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락스크린은 락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음악, 동영상, 아이콘(icon), 링크(link), 앱(App) 또는 웹페이지(webpage)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컨텐츠는 내부(예컨대, 저장부 150) 또는 외부(예컨대, 외부 서버 또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게더링(gathering) 또는 수신하는 메시지, 피드(feed), 뉴스, 사진, 또는 증권 등의 정보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은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 131가 오프 상태에 있을 때 락스크린을 위해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기반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 변경을 위한 버튼 조합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락스크린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은 전자 장치 100의 다양한 버튼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버튼은 파워 버튼 210, 볼륨 버튼 230, 홈 버튼 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이 정의되는 상기 버튼(예컨대, 파워 버튼 210, 볼륨 버튼 230, 홈 버튼 250)은 전자 장치 100의 본체에 실장되어 사용자로부터 누름 입력을 받아 미리 지정된 본연의 기능(제1기능) 및 락스크린을 제어하는 기능(제2기능)을 수행하도록 관련 정보를 제어부 18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랙션은 상기 파워 버튼 210, 상기 볼륨 버튼 230, 상기 홈 버튼 250 중 어느 하나의 버튼 또는 적어도 2개의 버튼들의 조합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터랙션들로 정의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인터랙션은 상기 파워 버튼 210에 설정될 수 있고, 제2인터랙션은 상기 볼륨 버튼 230에 설정될 수 있고, 제3인터랙션은 상기 홈 버튼 250에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제1인터랙션, 상기 제2인터랙션, 상기 제3인터랙션은 해당 버튼의 입력 방식(예컨대, 누름 횟수, 누름 시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인터랙션은 상기 파워 버튼 210의 누름/짧게 누름(press/short press), 길게 누름(long press), 2번 누름(double press) 등의 다양한 입력 방식으로 구분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인터랙션은 상기 볼륨 버튼 230의 볼륨 업 버튼 누름(volume up button press), 볼륨 다운 버튼 누름(volume down button press), 길게 누름, 볼륨 업/다운 누름, 볼륨 다운/업 누름 등의 다양한 입력 방식으로 구성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3인터랙션은 상기 홈 버튼 250의 누름/짧게 누름, 길게 누름, 2번 누름 등의 다양한 입력 방식으로 구분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은 해당 버튼에 미리 설정된 본연의 제1기능을 유지하면서, 락스크린 변경을 위해 추가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각 버튼에 대응하는 인터랙션은 해당 버튼의 제1기능과 충돌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버튼에 기반하여 제1기능(예컨대, 파워 버튼 210에 의한 표시부 턴-온/턴-오프 제어, 볼륨 버튼 230에 의한 볼륨 증감 제어, 홈 버튼 250에 의한 홈 화면 진입 제어 둥)을 수행하거나 입력 방식을 달리하여 락스크린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랙션은 상기 파워 버튼 210, 상기 볼륨 버튼 230, 상기 홈 버튼 250 중 적어도 2개의 조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워 버튼 210과 상기 볼륨 버튼 230의 함께 누름(동시 누름, 시간적 오차 범위 내에서 연속 입력을 포함)을 제4인터랙션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워 버튼 210과 상기 홈 버튼 250의 함께 누름을 제5인터랙션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볼륨 버튼 230과 상기 홈 버튼 250의 함께 누름으로 제6인터랙션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파워 버튼 210, 상기 볼륨 버튼 230, 상기 홈 버튼250의 함께 누름을 제7인터랙션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인터랙션 내지 제7인터랙션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의된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설정에 따라 상기 버튼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터랙션들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을 통해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방법은 표시부 131의 오프 상태에서 입력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락스크린 변경 방법은 표시부 131가 온-상태이고 락스크린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워 버튼 210의 누름/짧게 누름에 의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표시부 131이 턴-온 되면서 이전의 락스크린 컨텐츠와 다른 락스크린 컨텐츠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워 버튼 210의 길게 누름에 의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표시부 131이 턴-온 되면서 이전의 락스크린 컨텐츠가 웨어러블(wearable) 기기로부터 수집된 헬스(health) 정보로 변경/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워 버튼 210의 2번 누름에 의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표시부 131이 턴-온 되면서 이전의 락스크린 컨텐츠가 뉴스(news)/스톡(stock) 등의 정보로 변경/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워 버튼 210과 상기 볼륨 버튼 230(예컨대, 볼륨 업 버튼)의 함께 누름에 의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표시부 131이 턴-온 되면서 이전의 락스크린 컨텐츠가 사용자가 최근 가장 많이 청취/시청했던 음악(music) 또는 비디오(video) 컨텐츠의 숏컷(short cut) 및/또는 링크(link) 정보로 변경/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워 버튼 210과 상기 볼륨 버튼 230(예컨대, 볼륨 다운 버튼)의 함께 누름에 의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표시부 131이 턴-온 되면서 이전의 락스크린 컨텐츠가 일정 기간(예컨대, 한 주)동안 가장 인기가 높은(예컨대, 주간 베스트) 음악 또는 비디오 컨텐츠의 숏컷 및/또는 링크가 변경/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워 버튼 210과 상기 홈 버튼 250의 함께 누름에 의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표시부 131이 턴-온 되면서 이전의 락스크린 컨텐츠가 SNS 피드(feed) 정보(예컨대, 스포츠 관련 정보)로 변경/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스크린을 통해 SNS 피드 컨텐츠 중에서 카테고리가 스포츠 관련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한 방식 외에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다양한 방식의 버튼 조합으로 인터랙션 및 락스크린 컨텐츠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락스크린의 동적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 변경을 처리하는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01에서, 제어부 180은 특정 동작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 131이 온 상태에서 전자 장치 100를 사용할 수 있고, 제어부 180은 사용자의 전자 장치 100 사용에 대응하는 기능의 화면 표시 및 그의 운영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303에서,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을 턴-오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305에서, 제어부 180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부 131을 턴-오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 100를 사용하는 중에 그 사용을 중지하고자 파워 버튼 210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의 온 상태에서 특정 동작 수행 중에 상기 파워 버튼 210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 131에 전원 공급 차단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표시부 131을 턴-오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307에서, 제어부 180은 락스크린의 컨텐츠를 변경하기 위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고, 동작 309에서, 선택된 락스크린의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상기 표시부 131의 턴-오프에 응답하여 표시부 131의 턴-온 제어 시 표시할 락스크린의 새로운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고, 락스크린의 이전의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새로운 컨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동작 311에서,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을 턴-온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 100을 사용하기 위하여 파워 버튼 210을 입력할 수 있다.
동작 313에서, 제어부 180은 상기 표시부 131의 턴-온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변경된 락스크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파워 버튼 210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 131에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표시부 131에 상기 새로운 컨텐츠로 변경된 락스크린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락스크린 변경은, 동작 401 내지 동작 409의 예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 131가 파워 오프 상태인 전자 장치 100에서 사용자의 파워 버튼 210을 이용한 인터랙션 입력에 반응하여 전자 장치 100의 락스크린이 이전과 변경된 새로운 컨텐츠로 구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랙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부 131가 오프 상태에서 파워 버튼 210, 볼륨 버튼 230, 홈 버튼 240, 또는 기타 버튼(미도시)의 조합에 따라 정의될 수 있으며, 표시부 131의 오프 상태에서 턴-온 시 락스크린을 해당 인터랙션에 대응하게 동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는 표시부 131이 온 상태에서 파워 버튼 210의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표시부 131을 턴-오프 할 수 있고, 표시부 131의 턴-오프 시 표시부 131의 다음 턴-온 시 표시할 락스크린을 새로운 컨텐츠에 기반하여 미리 구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표시부 131이 오프 상태에서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이용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따라 표시부 131을 턴-온 할 수 있고, 표시부 131의 턴-온 시 미리 변경된 락스크린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 4를 예시로 살펴보면,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 131이 오프인 상태(예컨대, 동작 403, 동작 407)에서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반응하여 표시부 131이 턴-온 상태(예컨대, 동작 401, 동작 405, 동작 409)로 전환될 때마다 변경된 새로운 컨텐츠(예컨대, 제1컨텐츠 410, 제2컨텐츠 430, 제3컨텐츠 450)에 의해 락스크린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워 버튼 210이 단순히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 131을 턴-온/턴-오프 시키는 것에서 벗어나 표시부 131가 오프된 상태에서 파워 버튼 210, 볼륨 버튼 230, 홈 버튼 250 등이 입력되는 방식에 따라 이를 락스크린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인지, 또는 해당 버튼에 미리 정의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인지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해당 버튼에 의해 락스크린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결정할 시 해당 인터랙션(또는 버튼)에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락스크린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 변경을 처리하는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01에서, 제어부 180은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표시부 131이 턴-오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 100를 사용하는 중에 표시부 131의 파워 오프를 위해 파워 버튼 210을 누름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 180은 상기 파워 버튼 210의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표시부 131을 턴-오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제어부 180은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 별로 락스크의 컨텐츠를 변경하기 위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 살펴본 예시와 같은 버튼들의 조합에 의해 락스크린을 변경할 수 있는 복수의 인터랙션들이 정의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의 턴-오프 시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 및 해당 인터랙션에 설정된 컨텐츠 타입을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 180은 판별된 인터랙션 및 해당 인터랙션에 설정된 컨텐츠 타입에 따라 각 인터랙션 마다 서로 다른 컨텐츠를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제어부 180은 인터랙션별 컨텐츠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각 인터랙션 마다 선택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각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락스크린의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제어부 180은 락스크린을 변경하기 위한 인터랙션 입력이 있는지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이 파워 오프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버튼으로부터 락스크린 변경을 위해 정의된 인터랙션 방식에 대응하는 인터럽트(예컨대, 누름 입력)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507에서, 제어부 180은 인터랙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동작 507의 NO), 또는 버튼에 의한 인터럽트가 버튼의 본연의 기능을 위한 인터럽트이면, 동작 509에서, 해당 기능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인터랙션 입력이 없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의 게더링 주기를 체크하고, 게더링 주기에서 다양한 방식에 입각하여 컨텐츠에 대한 게더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180은 게더링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락스크린의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180은 버튼에 의한 인터럽트가 버튼의 본연의 기능을 위한 인터럽트이면, 버튼 입력에 반응하여 해당 버튼에 미리 설정된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 507에서, 제어부 180은 인터랙션 입력이 감지되면(동작 507의 YES), 동작 511에서, 인터랙션 타입을 판별할 수 있고, 동작 513에서, 상기 인터랙션 타입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게더링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전자 장치 100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으로부터 인터럽트가 검출되면, 해당 버튼에 의한 인터럽트가 락스크린 변경을 위해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에 대응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 180는 상기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인 것으로 판별하면, 해당 인터랙션에 설정된 컨텐츠 타입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인터랙션에 설정된 컨텐츠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 180은 설정된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인터랙션이 미리 변경된 컨텐츠를 기반으로 동작 가능한 인터랙션인지, 또는 실시간 컨텐츠의 게더링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터랙션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동작 513에서, 제어부 180은 컨텐츠의 게더링이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동작 513의 NO), 동작 515에서, 상기 인터랙션에 응답하여 락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513은 상기 표시부 131의 턴-오프를 제어할 때 수행된 인터랙션별 컨텐츠 변경에 따라, 상기 인터랙션에 대해 미리 변경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 180는 상기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동작 513에서, 제어부 180은 컨텐츠의 게더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면(동작 513의 YES), 동작 517에서,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컨텐츠 게더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 장치 100의 내부(예컨대, 저장부 150), 전자 장치 100의 외부(예컨대, 컨텐츠 서버, 클라우드 서버,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인터랙션에 설정된 컨텐츠 타입(또는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동작 519에서, 제어부 180은 게더링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 180은 상기 게더링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변경할 수 있다.
동작 521에서,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의 턴-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상기 동작 515 또는 상기 동작 519에서 락스크린 변경이 완료되면, 표시부 131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표시부 131를 턴-온 할 수 있다.
동작 523에서,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의 턴-온에 반응하여 상기 변경된 락스크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락스크린 변경은, 동작 601 내지 동작 605의 예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 131가 파워 오프 상태인 전자 장치 100에서 사용자가 파워 버튼 210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인터랙션 타입에 반응하여 전자 장치 100의 락스크린이 이전과 변경된 새로운 컨텐츠로 구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랙션은 표시부 131가 오프 상태에서 파워 버튼 210, 볼륨 버튼 230, 홈 버튼 240, 또는 기타 버튼(미도시)의 조합에 따라 정의될 수 있으며, 표시부 131의 오프 상태에서 턴-온 시 락스크린을 해당 인터랙션에 대응하게 동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는 표시부 131의 턴-오프 시점에서 락스크린 구성 및 표시부 131의 턴-온 시점에서 락스크린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고, 입력되는 인터랙션 타입에 따라 표시부 131의 턴-오프 시점(또는 파워 오프 상태에서 대기 중에 설정된 주기)에서 미리 변경 구성된 락스크린, 또는 표시부 131의 턴-온 시점에서 게더링 하는 컨텐츠에 기반하여 변경 구성된 락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 6을 예시로 살펴보면,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 131이 오프인 상태(예컨대, 동작 603)에서 사용자의 인터랙션(예컨대, 파워 버튼 210의 짧게 누름)에 반응하여 표시부 131을 턴-온 상태(예컨대, 동작 601)로 전환할 때, 파워 버튼 210의 짧게 누름의 인터랙션에 설정된 컨텐츠 타입에 따라 미리 변경된 컨텐츠(예컨대, 제1컨텐츠 610)에 의해 락스크린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 131이 오프인 상태(예컨대, 동작 603)에서 사용자의 인터랙션(예컨대, 파워 버튼 210의 길게 누름)에 반응하여 표시부 131을 턴-온 상태(예컨대, 동작 605)로 전환할 때, 파워 버튼 210의 길게 누름의 인터랙션에 설정된 컨텐츠 타입에 따라 컨텐츠를 게더링 할 수 있고, 게더링된 컨텐츠(예컨대, 제2컨텐츠 630)에 의해 락스크린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워 버튼 210의 길게 누름의 인터랙션에 설정되는 컨텐츠 타입이 웨어러블 기기 600로부터 수집하는 헬스 정보 기반의 컨텐츠인 경우, 전자 장치 100는 상기 인터랙션에 반응하여 통신 중이거나, 또는 통신 연결 동작에 따라 연결한 웨어러블 기기 600로부터 사용자의 헬스 정보(예컨대, 제2컨텐츠 630)를 수집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수집된 헬스 정보(제2컨텐츠 630)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 100는 표시부 131을 턴-온 할 때 락스크린을 상기 헬스 정보(예컨대, 제2컨텐츠 630)에 기반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 변경 방식 및 그에 따라 락스크린 변경을 처리하는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상기 도 7a 및 상기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정책에 기반하여 락스크린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락스크린 변경 방식 700은 크게 토글 방식 710과 인터랙션 타입별 변경 방식 750으로 구분할 수 있고, 토글 방식 710과 인터랙션 타이별 변경 방식 750 각각은 표시부 131의 턴-오프(동작 711, 동작 751) 또는 턴-온(동작 731, 동작 771) 동작에 따라 구분되어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토글 방식 710은 표시부 131의 턴-오프 또는 턴-온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에 반응하여 락스크린의 컨텐츠를 변경(예컨대, 토글링)하여 제공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글 방식 710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도 4와 같이 동작하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랙션 타입별 변경 방식 750은 표시부 131의 턴-오프 또는 턴-온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타입(또는 입력되는 버튼)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해당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락스크린의 컨텐츠를 변경하여 제공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랙션 타입별 변경 방식 750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도 6과 같이 동작하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토글 방식 710 또는 상기 인터랙션 타입별 변경 방식 750은 전자 장치 100의 설정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서로 조합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랙션이 감지되는 버튼에 따라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토글 방식 710에서 표시부 131의 턴-오프(동작 711) 시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동작 예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7a의 동작 71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180은 사용자 입력(또는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 131 온 상태 유지 대기 시간 경과)에 반응하여 표시부 131을 파워 오프(턴-오프)(동작 713) 할 때,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컨텐츠를 게더링할 수 있다(동작 715). 제어부 180은 게더링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동작 717).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상기 게더링된 컨텐츠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일련의 동작을 백그라운드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컨텐츠 게더링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을 파워 온(턴-온)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반응하여 표시부131을 턴-온 할 수 있다(동작 719).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을 턴-온 할 때 상기 변경된 락스크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동작 721).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락스크린에 이전과 변경된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토글 방식 710에서 표시부 131의 턴-온(동작 731) 시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동작 예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7a의 동작 73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을 파워 온(턴-온)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동작 733),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컨텐츠를 게더링할 수 있다(동작 735). 제어부 180은 게더링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동작 737).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상기 게더링된 컨텐츠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일련의 동작을 백그라운드로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 180은 락스크린 변경 완료에 응답하여 표시부 131을 파워 온(턴-온) 할 수 있다(동작 739).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을 턴-온 할 때 상기 변경된 락스크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동작 741).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락스크린에 이전과 변경된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터랙션 타입별 변경 방식 750에서 표시부 131의 턴-오프(동작 751) 시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동작 예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7b의 동작 75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180은 사용자 입력(또는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 131 온 상태 유지 대기 시간 경과)에 반응하여 표시부 131을 파워 오프(턴-오프)(동작 753) 할 때,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인터랙션 별로 컨텐츠를 게더링할 수 있다(동작 755).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인터랙션에 제1컨텐츠 타입의 컨텐츠를 설정할 수 있고, 제2인터랙션에 제2컨텐츠 타입의 컨텐츠를 설정할 수 있고, 제3인터랙션에 제3컨텐츠 타입의 컨텐츠를 설정하는 것과 같이, 미리 설정된 인터랙션 별로 서로 다른 타입을 가지는 컨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 180은 사용자 인터랙션 별로 설정된 컨텐츠 타입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게더링할 수 있다. 제어부 180은 게더링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인터랙션 별로 락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동작 757).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상기 인터랙션 별로 게더링된 컨텐츠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인터랙션 별로 락스크린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 18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면(동작 759),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의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동작 761).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감지되는 전자 장치 100의 파워 버튼 210, 볼륨 버튼 230, 홈 버튼 250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부 131이 턴-오프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기반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은 표시부 131의 파워 온(턴-온)을 위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180은 판단된 사용자 인터랙션의 타입에 대응하는 락스크린을 호출(invoking)할 수 있다(동작 763).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해당 사용자 인터랙션에 매핑된 컨텐츠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성되어 저장부 150를 통해 관리(저장)되는 락스크린을 검색 및 호출하는 일련의 동작을 백그라운드로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 180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응답하여 표시부 131을 파워 온(턴-온) 할 수 있다(동작 765).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을 턴-온 할 때 상기 변경된 락스크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동작 767).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락스크린에 이전과 변경된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터랙션 타입별 변경 방식 750에서 표시부 131의 턴-온(동작 771) 시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동작 예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7b의 동작 77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을 파워 온(턴-온)하는 사용자 입력(예컨대, 표시부 131의 파워 오프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기반하여 입력되는 인터랙션)을 감지하면(동작 773),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의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동작 775).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감지되는 전자 장치 100의 파워 버튼 210, 볼륨 버튼 230, 홈 버튼 250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 180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의 타입에 설정된 컨텐츠에 따라 컨텐츠를 게더링할 수 있다(동작 777).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인터랙션에 제1컨텐츠 타입의 컨텐츠가 설정될 수 있고, 제2인터랙션에 제2컨텐츠 타입의 컨텐츠가 설정될 수 있고, 제3인터랙션에 제3컨텐츠 타입의 컨텐츠가 설정되는 것과 같이, 미리 설정된 인터랙션 별로 서로 다른 타입을 가지는 컨텐츠가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 180은 해당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컨텐츠 타입의 컨텐츠를 전자 장치 100의 내부 또는 외부(예컨대, 서버 또는 다른 전자 장치 등)로부터 게더링할 수 있다.
제어부 180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게 게더링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동작 779).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상기 게더링된 컨텐츠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일련의 동작을 백그라운드로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 180은 락스크린 변경 완료에 응답하여 표시부 131을 파워 온(턴-온) 할 수 있다(동작 781).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을 턴-온 할 때 상기 변경된 락스크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동작 783). 예를 들어, 제어부 180은 락스크린에 이전과 변경된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 운영과 관련되는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 100은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의해 락스크린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작 801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 100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랙션(예컨대, press, double press, long press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반응하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계속 변하는 락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동작 831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 1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의 컨텐츠를 매번 다르게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 100는 표시부 131의 턴-온 또는 턴-오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은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게더링 동작에 의해 수집(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은 동작 833에서와 같이 다양한 컨텐츠 소스(Contents Source) 810로부터 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컨텐츠 소스 810은 다른 사용자(예컨대, Friend)의 경험(experience)에 의해 상기 다른 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저장되는 컨텐츠 811,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어 전자 장치 100(예컨대, 저장부 150)에 저장되는 컨텐츠 813, 다양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피드 정보(예컨대, SNS 피드 정보) 기반의 컨텐츠 815, 인터넷을 통한 검색 기반으로 생성 가능한 컨텐츠 817, 앱 프로모션(App promotion)에 따라 제공 또는 생성 가능한 앱 기반의 컨텐츠 8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를 동적으로 주기적 또는 상기 이벤트에 따라 수집(획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에 기반하여 다양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851과 같이, 현재의 락스크린(또는 락스크린의 컨텐츠)을 전자 장치 100의 바탕화면(배경)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는 락스크린을 바탕화면으로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락스크린을 캡쳐하여 바탕화면을 위한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이미지에 기반하여 바탕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동작 853과 같이, 락스크린의 컨텐츠에 포함된 링크(link)에 기반하여 바로 연결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컨텐츠에 포함 가능한 링크 870는 특정 웹(Web) 871, 동영상 공유 사이트(예컨대, 유튜브(youtube) 등) 873, 컨텐츠 재생(예컨대, movie) 875, 또는 특정 앱(App) 877 등에 연결(접속)하거나 실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동작 855와 같이, 현재의 락스크린(또는 락스크린의 컨텐츠)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sharing)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 게더링을 위한 설정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락스크린 설정 메뉴를 통해 락스크린 설정을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는 락스크린 변경을 위한 기능의 활성화/비활성화(또는 온/오프)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 설정 아이템 910을 포함할 수 있고, 컨텐츠 게더링을 위한 게더링 대상인 컨텐츠 타입을 지시하는 게더링 대상 아이템 9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게더링 대상 아이템 930은 전자 장치 100의 사전 설정에 따라 미리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게더링 대상 아이템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락스크린 변경에 사용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타입(게더링할 컨텐츠의 타입)을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는 컨텐츠 타입의 게더링 대상 아이템이 설정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게더링 대상 아이템의 추가 또는 삭제 등의 편집은 게더링 설정 아이템 935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게더링 설정 아이템 935을 선택할 수 있고, 전자 장치 100는 상기 게더링 설정 아이템 935의 선택에 응답하여 게더링 대상 아이템 930을 설정할 수 있는 커텐츠의 리스트(또는 컨텐츠 타입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또는 컨텐츠 타입)의 항목을 선택하고 설정을 완료하는 동작에 의해 게더링 대상 아이템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정 가능한 게더링 대상의 컨텐츠(또는 컨텐츠 타입)는 개인 컨텐츠(personal contents), SNS 피딩 컨텐츠(SNS feeding contents), 웹 기반의 검색 컨텐츠(웹 서핑 컨텐츠(web surfing contents)), 연동 컨텐츠(linkage contents), 또는 앱 프로모션에 따라 제공 또는 생성 가능한 앱 컨텐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개인 컨텐츠는 전자 장치 100의 저장부 150, 외부 저장부 및/또는 외부 서버(예컨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거나 저장 지정된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인 컨텐츠는 이미지 컨텐츠(image contents), 비디오 컨텐츠(video contents), 음악 컨텐츠(music content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개인 컨텐츠의 경우 썸네일(thumbnail) 형태 또는 링크(link)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SNS 피딩 컨텐츠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를 통해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SNS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 100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SNS 어플리케이션(앱)을 전자 장치 100에 등록(설치)할 수 있고, 해당 SNS에서 사용자 인증(예컨대, 로그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또는 전자 장치 100는 각각의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SNS 서버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예컨대, 컨텐츠 URL(Uniform/Universal Resource Locator), 이미지, 이모티콘(emoticon), 뉴스 정보 등)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웹 서핑 컨텐츠는 사용자가 관심 있는 분야로 입력(설정)한 키워드(keyword) 기반으로 검색하는 컨텐츠(예컨대, web interests contents), 사용자가 브라우저(Browser)를 통한 탐색 중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 지정, 또는 클리핑(예컨대, page clipping) 하는 특정 웹 페이지, 이미지, 텍스트, 또는 링크 등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키워드 기반으로 검색하는 컨텐츠의 경우, 해당 키워드를 바탕으로 웹 상에 분산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문서 등의 다양한 컨텐츠에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웹 클로링(web crawling)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연동 컨텐츠는 전자 장치 100와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하여 획득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통신 중이거나, 또는 통신 연결 동작에 따라 연결한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헬스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집된 헬스 데이터는 락스크린에서 텍스트 또는 위젯(widget)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연동 컨텐츠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전달 받은 공유되는 락스크린(또는 락스크린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앱 컨텐츠는 광고 서버 연동을 통한 광고 이미지, 앱 관련 이미지, 도는 앱 링크 등과 같은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는 사용자 또는 전자 장치 100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를 동적, 주기적 또는 미리 정의된 이벤트에 따라 다양하게 수집(획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특정 타입의 컨텐츠(예컨대, 이미지 컨텐츠)는 전자 장치 100가 제공하는 락스크린의 형태에 맞게 자동적으로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형태의 이미지의 경우 락스크린의 세로 형태에 맞게 크로핑(cropping)(예컨대, 이미지의 불필요한 부분 다듬기)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집되는 컨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메타데이터(meta data) 등과 같은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로컬(local), 클라우드(cloud), 웹(web), SNS 등을 통해 다운로드 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텍스트는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예컨대, 타이틀(title), 메시지 등)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해당 컨텐츠의 실제 컨텐츠 링크(예컨대, 비디오 썸네일인 경우 락스크린에서 이미지 클릭 시 동영상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구현되는 락스크린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100에서 락스크린에 컨텐츠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표시부 131을 턴-온할 때 대기 상태(예컨대, 표시부 131의 오프 상태)에서 게더링된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이전과 변경된 락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락스크린은 게더링된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이미지 1010, 인포메이션 1030, 링크 1050, 메시지 1070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가 적어도 하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 1010은 동적, 주기적 또는 특정 이벤트에 따라 게더링되는 이미지로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인포메이션 1030은 사용자 또는 전자 장치 100의 설정에 기반하여 시간(time), 날짜(date), 또는 날씨(weather) 등의 정보가 다양한 조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링크 1050은 사용자 입력(예컨대, 이미지/텍스트 탭(tap))에 반응하여 오리지널 컨텐츠(original content)에 대한 이동, 재생, 또는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아이템(예컨대, 썸네일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 1050은 아이템이 비디오의 썸네일 이미지인 경우 비디오 재생을 위한 링크가 설정될 수 있고, 아이템이 로컬의 이미지인 경우 갤러리(gallery)를 실행할 수 있고, 또는 아이템이 웹 컨텐츠 또는 SNS 컨텐츠의 아이콘/텍스트인 경우 해당 URL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1070은 게더링된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예컨대, short text)(예컨대, 문자 메시지, SNS 메시지, 또는 문서의 타이틀 등)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미지 1010, 인포메이션 1030, 링크 1050, 메시지 1070 등과 같은 컨텐츠는 해당 컨텐츠의 표시를 위해 미리 할당된 영역에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는 컨텐츠의 타입 또는 개수에 따라 그 배치되는 영역을 랜덤(random)하게 조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 게더링을 처리하는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컨텐츠 게더링은 앞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설정 인터페이스의 설정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1101에서, 사용자는 게더링 설정 아이템 935을 통해 다양한 게더링 대상 아이템 930을 설정할 수 있고, 전자 장치 100은 게더링 대상 아이템 930에 기반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게더링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설정 기능을 통해 락스크린에서 보기 원하는 컨텐츠 타입을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고, 컨텐츠 타입에 따라 로그인 또는 키워드 입력 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103에서, 전자 장치 100는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게더링할 수 있고, 게더링된 컨텐츠를 저장부 15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 1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동적, 주기적, 또는 특정 이벤트에 반응하여 컨텐츠를 게더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 100의 제어부 180은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기준값(threshold value)(예컨대, 100)까지 컨텐츠를 게더링 할 수 있고, 게더링된 컨텐츠를 저장부 150에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105에서, 전자 장치 100는 게더링된 컨텐츠에 기초하여 표시부 131의 턴-오프 시점에서 락스크린을 변경하거나, 또는 변경할 컨텐츠를 준비하고 사용자로부터 실제 사용자 인터랙션(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조합에 의한 버튼 누름)에 의한 표시부 131의 턴-온 시점에서 락스크린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 100의 제어부 180은 표시부 131의 턴-오프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버튼 조합에 기반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응답하여 저장부 150에서 해당 컨텐츠를 선택하여 락스크린 변경을 처리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 131가 턴-온 될 때마다 변경된 새로운 락스크린을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락스크린을 하루에 일정 횟수(예컨대, 100회) 이상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 100는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컨텐츠를 동적 또는 주기적으로 게더링할 수 있고, 게더링된 컨텐츠를 전자 장치 100의 저장부 15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컨텐츠 게더링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설정된 조건에 대응할 때 컨텐츠 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시부 131를 빈번하게 턴-온/턴-오프 함에 따라 게더링 컨텐츠의 풀 사이즈(pool size)가 락스크린을 위해 미리 지정되는 락스크린 풀 사이즈(lockscreen pool size)의 기준값(예컨대, 30) 이하일 경우 컨텐츠 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풀(pool)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의 저장부 150에서 게더링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해 할당되는 정해진 사이즈의 임시적인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는 상기 도 9의 예시와 같은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설정되는 게더링 대상 아이템 930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고, 게더링 대상 아이템 930의 순서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락스크린 공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 변경을 처리하는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A(User A) 1210, 사용자 B(User B) 1230, 사용자 C(User C) 1250 간에 락스크린을 공유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다. 상기 도 12에서는 상기 사용자 A 1210이 전자 장치(이하, 제1 전자 장치)에서 생성된 락스크린을 사용자 B 1230과 사용자 C 1250에게 공유하는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동작 1201에서, 사용자 A 1210은 제1 전자 장치에 현재 설정(표시)된 락스크린을 사용자 B 1230에게 전달하여 사용자 B 1230의 전자 장치(이하, 제2 전자 장치)의 락스크린을 변경하도록 동작 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A 1210은 제1 전자 장치의 현재 락스크린을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락스크린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락스크린 공유 선택, 공유 대상 사용자(예컨대, 사용자 B 1230) 선택, 메시지 작성(선택적), 전송 선택 등의 조작을 통해 현재 락스크린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의 락스크린을 변경하도록 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A 1210은 제1 전자 장치의 현재 락스크린 뿐만 아니라, 저장부 150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컨텐츠(예컨대, instant picture, instant video 등)를 이용하여 사용자 B 1230의 제2 전자 장치의 락스크린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 1210은 제1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찍은 사진이나 비디오를 사용자 B 1230의 제2 전자 장치에게 전송하여 제2 전자 장치의 락스크린을 변경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A 1210은 촬영하는 사진을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락스크린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촬영 사진 공유 선택, 공유 대상 사용자(예컨대, 사용자 B 1230) 선택, 메시지 작성(선택적), 전송 선택 등의 조작을 통해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의 락스크린을 변경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A 1210은 제1 전자 장치를 통해 경험하는 웹 컨텐츠를 공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 1210은 제1 전자 장치를 통해 동영상 공유 사이트(예컨대, 유튜브(youtube) 등)를 이용하는 중에 특정 영상을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락스크린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경험 중인 컨텐츠(예컨대, 동영상) 공유 선택, 공유 대상 사용자(예컨대, 사용자 C 1250) 선택, 메시지 작성(선택적), 전송 선택 등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경험 중인 컨텐츠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의 락스크린을 변경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 컨텐츠의 경우 해당 컨텐츠를 실행 또는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에 기반하여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예컨대, 동영상)와 관련된 썸네일, 텍스트, 또는 링크 등의 형식으로 저장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예컨대, 제2 전자 장치, 제3 전자 장치)의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동작은 미리 정의된 포맷의 제어 메시지 전송을 통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락스크린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명령, 컨텐츠(예컨대, 락스크린, 촬영 사진, 컨텐츠 정보 등), 작성된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203 또는 동작 1205에서,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 및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반하여 사용자 A 1210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승인 또는 자동으로 락스크린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동작 1203에서, 제2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제어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의 락스크린을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락스크린 또는 상기 촬영된 사진에 대응하는 락스크린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B 1230은 기능 선택에 의해 상기 변경된 락스크린을 제2 전자 장치의 이전 락스크린으로 선택적으로 복원할 수도 있다.
상기 동작 1205에서, 제3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제어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제3 저자 장치의 락스크린을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락스크린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C 1250은 락스크린에서 설정된 사용자 입력(예컨대, 링크 롱 탭(long tap))을 통해 해당 컨텐츠를 실행 또는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hardware),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예컨대,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컨대,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컨대, 상기 프로세서 125)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 150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 125에 의해 구현(implement)(예컨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또는 전체 모듈은 하나의 개체(entity)에 구성되되, 각 해당 모듈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동작들은 순차적, 반복적 또는 병렬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들은 생략되거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되어 실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자 장치
110: 무선 통신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터치스크린 140: 오디오 처리부
150: 저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카메라 모듈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20)

  1. 락스크린 제공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를 턴-오프(turn-off) 하는 과정,
    상기 표시부의 턴-오프에 응답하여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설정하는 과정,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응답하여 표시부를 턴-온(turn-on) 하는 과정, 및
    상기 표시부의 턴-온 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게 설정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변경된 락스크린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락스크린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파워 버튼(power button), 볼륨 버튼(volume button) 및 홈 버튼(home button)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스크린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설정하는 과정은
    미리 정의된 조건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게더링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스크린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표시부의 턴-오프 또는 턴-온 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스크린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표시부의 턴-오프 시 상기 게더링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 변경을 위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스크린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과정은
    미리 정의된 사용자 인터랙션 별로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스크린 제공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반응하여 상기 표시부의 턴-온 시 상기 게더링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 변경을 위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스크린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컨텐츠 타입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스크린 제공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의 인터랙션 타입을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인터랙션 타입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게더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스크린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더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설정된 컨텐츠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스크린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설정된 컨텐츠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미리 변경된 컨텐츠를 기반으로 동작 가능한 인터랙션인지, 또는 실시간 컨텐츠의 게더링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터랙션인지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스크린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게더링이 필요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컨텐츠에 의해 락스크린을 구성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의 게더링이 필요한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게더링 하고, 상기 게더링된 컨텐츠에 의해 락스크린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스크린 제공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컨텐츠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의 락스크린 변경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스크린 제공 방법.
  14. 전자 장치에 있어서,
    락스크린을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신하는 버튼,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표시부의 턴-오프(turn-off) 또는 턴-온(turn-on)에 응답하여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기반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신하면 상기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게 설정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변경된 락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파워 버튼(power button), 볼륨 버튼(volume button) 및 홈 버튼(home button)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상기 버튼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의된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게더링 하고, 게더링된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설정된 조건에 따라 게더링 하는 게더링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반하여 상기 락스크린의 동적인 변경을 처리하는 락스크린 매니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컨텐츠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의 락스크린 변경을 처리하는 락스크린 공유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개인 컨텐츠(personal contents), SNS 피딩 컨텐츠(SNS feeding contents), 웹 서핑 컨텐츠(web surfing contents), 연동 컨텐츠(linkage contents), 또는 앱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표시부의 턴-오프(turn-off) 또는 턴-온(turn-on)에 응답하여 락스크린을 위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락스크린을 변경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기반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표시부의 턴-온 시 상기 변경된 락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20005A 2014-09-11 2014-09-11 락스크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47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005A KR102247817B1 (ko) 2014-09-11 2014-09-11 락스크린 제공 방법 및 장치
US14/844,446 US10635371B2 (en) 2014-09-11 2015-09-03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k-screen
US16/855,481 US20200249895A1 (en) 2014-09-11 2020-04-2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k-screen
US17/987,315 US11797249B2 (en) 2014-09-11 2022-11-1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k-screen
US18/490,316 US20240069844A1 (en) 2014-09-11 2023-10-1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k-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005A KR102247817B1 (ko) 2014-09-11 2014-09-11 락스크린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640A true KR20160030640A (ko) 2016-03-21
KR102247817B1 KR102247817B1 (ko) 2021-05-04

Family

ID=5545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005A KR102247817B1 (ko) 2014-09-11 2014-09-11 락스크린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4) US10635371B2 (ko)
KR (1) KR1022478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651A (ko) * 2016-07-25 2018-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노트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80043934A (ko) * 2016-10-21 2018-05-02 정광일 이동통신단말기의 바탕화면을 사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및 그를 사용한 이동통신단말기
US11061698B2 (en) 2016-09-07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409488B2 (en) 2019-02-19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817B1 (ko) * 2014-09-11 2021-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락스크린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572075B (zh) * 2014-12-04 2019-03-0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终端信息显示方法及智能终端
KR101673536B1 (ko) * 2016-04-08 2016-11-07 (주)버즈빌 잠금 화면을 이용한 메시지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6096349A (zh) * 2016-06-07 2016-11-0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锁屏快速开启应用的方法及移动终端
US10021002B2 (en) * 2016-06-24 2018-07-10 Qualcomm Incorporated Sensor data acquisition in a user equipment
US20180049029A1 (en) * 2016-08-11 2018-02-15 Qualcomm Incorporated Intelligent remote touch for touch screen devices
US10416777B2 (en) * 2016-08-16 2019-09-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manipulation using hover
CN106656689B (zh) * 2016-10-17 2018-10-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终端的智能家居的控制方法和终端
CN107277232A (zh) * 2017-05-31 2017-10-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锁屏界面控制方法及相关产品
US10762225B2 (en) * 2018-01-11 2020-09-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ote and file sharing with a locked device
CN113728621A (zh) * 2019-04-09 2021-11-30 麦克赛尔株式会社 头戴式信息处理装置
CN112445384A (zh) * 2019-08-29 2021-03-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息屏显示方法及装置、处理器和显示设备
CN116112597B (zh) * 2020-09-03 2023-10-20 荣耀终端有限公司 具有灭屏显示功能的电子设备及其显示灭屏界面的方法、存储介质
CN114527900A (zh) * 2020-10-30 2022-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界面信息的展示方法和电子设备
CN113835576A (zh) * 2021-09-24 2021-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操作方法、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873A (ko) * 2010-04-14 201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20033515A (ko) * 2010-09-30 2012-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160681B1 (ko) * 2011-10-19 2012-06-28 배경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0294B2 (en) * 2008-09-25 2013-12-31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dynamic background
KR101830651B1 (ko) * 2011-01-04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33812B1 (ko) 2011-01-12 2018-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잠금 해제 방법
EP2584768B1 (en) * 2011-10-21 2015-04-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30110451A (ko) * 2012-03-29 2013-10-10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롤러
KR20140000038A (ko) 2012-06-22 2014-01-02 서경동 스마트폰에서의 광고제공방법
KR20140050177A (ko) * 2012-10-18 2014-04-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와이어 회수장치
US10192527B2 (en) * 2012-10-26 2019-01-29 Thomson Licensing User interface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10217103B2 (en) 2013-05-16 2019-02-26 Avant-Garde Ip Llc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to facilitate a financial transaction without unlocking a mobile device
KR20150017098A (ko) * 2013-08-06 2015-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장치 및 그 운영 방법
KR20150031010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잠금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US9111076B2 (en) * 2013-11-20 2015-08-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148005A1 (en) * 2013-11-25 2015-05-28 The Rubicon Project, Inc. Electronic device lock screen content distribution based on environmental context system and method
WO2015163741A1 (ko) * 2014-04-25 2015-10-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잠금 화면 표시 방법
US9465930B2 (en) * 2014-08-29 2016-10-11 Dropbox, Inc. Fingerprint gestures
KR102247817B1 (ko) * 2014-09-11 2021-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락스크린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873A (ko) * 2010-04-14 201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20033515A (ko) * 2010-09-30 2012-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160681B1 (ko) * 2011-10-19 2012-06-28 배경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651A (ko) * 2016-07-25 2018-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노트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11061698B2 (en) 2016-09-07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043934A (ko) * 2016-10-21 2018-05-02 정광일 이동통신단말기의 바탕화면을 사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및 그를 사용한 이동통신단말기
US11409488B2 (en) 2019-02-19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US11868671B2 (en) 2019-02-19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69844A1 (en) 2024-02-29
US20200249895A1 (en) 2020-08-06
US11797249B2 (en) 2023-10-24
US20230074004A1 (en) 2023-03-09
US10635371B2 (en) 2020-04-28
US20160077606A1 (en) 2016-03-17
KR102247817B1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72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k-screen
AU2021201243B2 (en) Continuity
US109425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blank area in screen
US110798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105025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KR102352172B1 (ko) 전자 장치들의 연동 방법 및 장치
AU2014288039B2 (en) Remote operation of applications using received data
KR102199786B1 (ko) 콘텐트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EP3335410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notification displaying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2270953B1 (ko)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04508699B (zh) 内容传输方法和使用该方法的系统、装置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20150124311A (ko) 오브젝트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703577B2 (en) Automatically executing application using short run indicator on terminal device
US2015037348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pairing in electronic apparatus
US2016017976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page using the same
KR2016000932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WO2019127439A1 (zh) 一种计算器的运行方法以及终端
CN107077778B (zh) 用于远程控制的方法和装置
KR102535086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60105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5001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