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991A - 토크 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토크 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991A
KR20160029991A KR1020140119322A KR20140119322A KR20160029991A KR 20160029991 A KR20160029991 A KR 20160029991A KR 1020140119322 A KR1020140119322 A KR 1020140119322A KR 20140119322 A KR20140119322 A KR 20140119322A KR 20160029991 A KR20160029991 A KR 20160029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or
output shaft
input shaft
disposed
torqu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남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9991A/ko
Priority to EP15838226.7A priority patent/EP3190029A1/en
Priority to US15/508,622 priority patent/US10094722B2/en
Priority to PCT/KR2015/009341 priority patent/WO2016036185A1/ko
Priority to JP2017512393A priority patent/JP2017527803A/ja
Priority to CN201580047872.6A priority patent/CN106794871B/zh
Publication of KR20160029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01L3/101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01L3/101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01L3/1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involv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7Torque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의 토크 센서는, 입력축 및 출력축의 사이에 배치되어, 입력축과 출력축의 상대 회동 변위를 통하여 입력축 및 출력축 간의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 장치로서, 입력축과 출력축의 단부를 수용하고 위치 고정 배치되어 입력축 및 출력축에 상대 회동 가능한 하우징: 입력축과 출력축 중 어느 한 측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는 마그네트 블록을 포함하는 마그네트 유니트; 일부가 입력축과 출력축 중 다른 한 측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 유니트와의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컬렉터 유니트; 상기 컬렉터 유니트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컬렉터 유니트를 통하여 집속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컬렉터 유니트는: 상기 마그네트 블록과 대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워 컬렉터와, 상기 로워 컬렉터에 이격 배치되고 단부에 상기 토크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 배치되는 픽싱 컬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로워 컬렉터는: 입력축 및 출력축 중의 다른 한 측의 일단에 반경 방향 외주 상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로워 컬렉터 링과, 상기 로워 컬렉터 링의 단부로부터 연장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로워 컬렉터 티쓰를 구비하고, 상기 로워 컬렉터 티쓰는 입력축 및 출력축 중의 다른 한 측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토크 센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토크 센서 장치{TORQUE SENSOR UNIT}
본 발명은 토크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축과 출력축을 구비하는 샤프트에 대한 인가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또는 정지시에 조향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킴에 따라 노면과 접촉하고 있는 바퀴도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조향스티어링 휠을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바퀴가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바퀴는 노면과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바퀴와 상기 노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조향스티어링 휠과 상기 바퀴의 회전비는 서로 상이하게 되어 운전자는 상기 조향스티어링 휠을 조작함에 있어 큰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향력을 보조하는 장치로서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PS;Power Steering System)이 구비되며,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중에서도 전동 모터를 이용하는 EPS 방식이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승용 차량 등에서 적용 범위를 넓혀 가고 있다.
이와 같은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 동력 보조를 위하여, 조향 스티어링 휠과 연결되는 입력축 측과 차륜 측과 연동하는 출력축 측 간의 토크 부하를 감지하기 위하여 양자 간의 회전각 편차를 측정하는 토크센서(Torque sensor)가 구비된다.
토크센서는 접촉방식과 비접촉식방식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접촉방식은 소음과 내구성의 저하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비접촉식방식의 토크센서를 채택하고 있다. 또한, 비접촉식방식의 토크센서는 크게 자기저항 검출방식, 자기변형 검출방식, 정전용량 검출방식, 그리고 광학식 검출방식으로 구분된다.
한편,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전기식 동력 조향장치에 구비된 자기저항 검출방식의 토크센서는, 운전자가 조작하게 되는 조향스티어링 휠이 입력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 샤프트의 하단은 토션바(Torsion bar)에 의해 출력 샤프트의 상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 샤프트의 하단은 바퀴와 연결되고, 상기 토션바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 샤프트의 하단과 상기 출력 샤프트의 상단은 그 외부에 하우징으로 보호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앞서 언급한 토크센서 및 동력수단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 샤프트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교차되는 극성을 갖는 영구마그네트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 샤프트에 구비된 영구마그네트에 의해 자기 유도 발생이 가능한 강자성체의 물질로 영구마그네트의 극수에 상응하는 치차 구조물의 검출링이 출력 샤프트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검출링에는 자기를 검출하는 센서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입력 샤프트에 설치된 영구마그네트와 출력 샤프트에 설치된 치차 구조물의 검출링 사이에서 상대적인 비틀림에 의해 서로 대응하는 면적의 변화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검출링에는 자력의 변화가 발생되고, 이 자력의 변화를 상기 센서가 검출하게 되어 출력 샤프트가 입력 샤프트에 대하여 비틀림이 발생된 각을 감지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토크 센서는 구성요소가 과다하고 조립이 복잡하여 오작동 가능성이 증대되고, 제조 원가가 증대되었으며, 구성요소의 과다로 인한 내구 연한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영구자석과 이에 대응하는 두 개의 투쓰링이 서로 엇갈려 설치되어 누설 자속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제조 가능하고 감도를 증대시키고 감지 신뢰성을 증대시키며, 제조 원가를 절감시킨 구조의 토크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토크 센서는, 입력축 및 출력축의 사이에 배치되어, 입력축과 출력축의 상대 회동 변위를 통하여 입력축 및 출력축 간의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 장치로서, 입력축과 출력축의 단부를 수용하고 위치 고정 배치되어 입력축 및 출력축에 상대 회동 가능한 하우징: 입력축과 출력축 중 어느 한 측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는 마그네트 블록을 포함하는 마그네트 유니트; 일부가 입력축과 출력축 중 다른 한 측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 유니트와의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컬렉터 유니트; 상기 컬렉터 유니트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컬렉터 유니트를 통하여 집속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컬렉터 유니트는: 상기 마그네트 블록과 대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워 컬렉터와, 상기 로워 컬렉터에 이격 배치되고 단부에 상기 토크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 배치되는 픽싱 컬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로워 컬렉터는: 입력축 및 출력축 중의 다른 한 측의 일단에 반경 방향 외주 상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로워 컬렉터 링과, 상기 로워 컬렉터 링의 단부로부터 연장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로워 컬렉터 티쓰를 구비하고, 상기 로워 컬렉터 티쓰는 입력축 및 출력축 중의 다른 한 측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토크 센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토크 센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싱 컬렉터는: 상기 로워 컬렉터 링을 마주하여 이격 배치되는 로워 픽싱 컬렉터와, 상기 마그네트 블록을 사이에 두고 상기 로워 컬렉터 티쓰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 배치되는 어퍼 픽싱 컬렉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토크 센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픽싱 컬렉터는: 상기 로워 컬렉터 티쓰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 배치되는 호상의 어퍼 픽싱 플레이트와, 상기 어퍼 픽싱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어퍼 픽싱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로워 픽싱 컬렉터는: 상기 로워 컬렉터 링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 배치되는 호상의 로워 픽싱 플레이트와, 상기 로워 픽싱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로워 픽싱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토크 센서는 상기 어퍼 픽싱 터미널과 상기 로워 픽싱 터미널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토크 센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워 픽싱 플레이트와 상기 어퍼 픽싱 플레이트의 반경 방향상 길이는 상기 어퍼 픽싱 플레이트가 더 길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의 토크 센서 장치는, 컬렉터 유니트의 컬렉터가 수직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각각의 컬렉터를 통하여 자속의 누설량을 최소화시키고 토크센서까지 전달되는 자속량을 증대시켜 보다 정확한 토크 감지를 이루는 토크 센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토크 센서 장치는, 단수 개의 로워 컬렉터 배치 구조를 토하여 성능을 향상 내지 유지시키되 재료 소비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제품 제조 공정을 간단하게 하고 제조 원가를 현저하게 저감시키는 구조의 토크 센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토크 센서 장치는, 이격 배치되는 마그네트 블록 구조를 통하여 성능을 향상 내지 유지시키되 재료 소비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제품 제조 공정을 간단하게 하고 제조 원가를 현저하게 저감시키는 구조의 토크 센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장치의 다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토크 센서 장치(10)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토크 센서 장치(10)는 하우징(100), 마그네트 유니트(200), 컬렉터 유니트(300), 센싱 유니트(400)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토크 센서 장치(10)는 입력축(2) 및 출력축(3) 사이에 배치되어 입력축(2)과 출력축(3)의 상대 회동 변위를 통하여 입력축(2) 및 출력축(3) 간의 토크를 감지한다.
하우징(100)은 입력축(2)과 출력축(3)의 단부를 수용하고 위치 고정 배치되어 입력축(2) 및 출력축(3)에 상대 회동 가능하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를 포함한다. 하우징 커버(110)는 하우징 베이스(120)와 체결되어 다른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110)는 입력축 측에 배치되고, 하우징 베이스(120)는 하우징 커버(110)에 대향하여 출력축(3) 측에 배치된다. 하우징 커버(110)의 외주에는 하우징 커버 장착부(미도시)가 구비되고, 하우징 베이스(120)의 외주에는 하우징 베이스 장착부(미도시)가 배치되어 서로 맞물림 체결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는 중앙에 각각 하우징 커버 관통구(113) 및 하우징 베이스 관통구(미도시)를 구비하여 입력축(2) 및 출력축(3), 그리고 입력축(2)과 출력축(3)을 직접 연결하는 토션바(5)의 관통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마그네트 유니트(200)는 입력축(2)과 출력축(3) 중 어느 한 측의 일단에 연결되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마그네트 블록(220)을 포함한다.
즉, 마그네트 유니트(200)는 입력축 및 출력축 중 어느 하나, 즉 본 실시예에서 입력축(2) 측에 연결되어 입력축(2)과 함께 회동함으로서, 하우징(100)에 대하여 상대 회동 가능하게 내부에 수용 배치되는 구조를 이룬다.
마그네트 유니트(200)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 마그네트 유니트(200)는 마그네트 블록(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마그네트 유니트는 마그네트 홀더를 더 구비하여 마그네트 홀더가 마그네트 블록(220)을 입력축 측에 지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마그네트 블록(220)은 입력축(2)과 출력축(3)의 원주 방향으로 상이한 극성이 배치되는 구조, 즉 원주 방향으로 N,S 또는 S,N극이 배치 내지 착자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마그네트 블록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입력축 및 출력축의 회전 방향으로 원주 이격 배열되는 구조를 취한다. 복수 개의 마그네트 블록은 등간격 균등 배열되는 구조를 취하여 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서 마그네크 링은 한 개가 구비된다. 마그네트 블록(220)은 도면에서 명확하게 되지는 않았으나 각 마그네트 블록은 수직 방향, 즉 입력축과 출력축의 길이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착자 형성되어, 마그네트 블록(220)은 입력축 및 출력축의 길이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된다.
컬렉터 유니트(300)는 적어도 일부가 입력축 및 출력축 측 중 다른 하나, 즉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축(3) 측에 고정 장착되어 함께 하우징(100)에 대하여 상대 회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된다.
또한, 컬렉터 유니트(300)의 적어도 일부가 입력축(3) 및 출력축(4)의 반경 방향으로 마그네트 블록(220)의 외측에 배치되어 마그네트 유니트(200)의 마그네트 블록(220)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기 경로를 형성하거나 자기장을 집속시켜 하기되는 센서 유니트(400)로 전달하여 보다 정확한 감지 기능을 이루도록 한다.
센싱 유니트(400)는 컬렉터 유니트(300)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컬렉터 유니트(300)를 통하여 집속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토크 센서로 구현된다. 센싱 유니트는 경우에 따라 별도의 센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싱 유니트는 한 개의 토크 센서로 구현되나 경우에 따라 두 개의 토크 센서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여 이는 감도 정확성 향상 및 어느 하나의 페일 시 다른 신호 출력을 통한 페일 세이프 기능 구현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컬렉터 유니트(300)는 로워 컬렉터(320)와 픽싱 컬렉터(330)를 포함한다.
로워 컬렉터(320)는 출력축 측에 연결되어 출력축과 함께 회동한다.
로워 컬렉터(320)와 출력축(3) 사이에는 로워 컬렉터 슬리브(미도시)와 로워 컬렉터 홀더(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로워 컬렉터 슬리브는 일단이 출력축(3)과 연결되는데, 로워 컬렉터 슬리브와 출력축(3) 간의 연결은 용접, 플라스틱 스냅핏, 코킹(caulking) 등 양자 간의 상대 회동을 방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결합 방식이 가능하다.
또한, 로워 컬렉터 슬리브는 스틸 구조일 수도 있고 합성 수지 구조일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로워 컬렉터 슬리브의 외주에는 로워 컬렉터 홀더가 연결된다. 로워 컬렉터 홀더는 로워 컬렉터 슬리브와 로워 컬렉터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궁극적으로 입력축과 로워 컬렉터(320) 간의 상대 회동을 방지하는 연결 기능을 구현한다.
로워 컬렉터(320)는 퍼멀로이, 규소강판, 스틸 강판 등 자성체를 사용하며, 프레스 가공될 수도 있고 주조될 수도 있는 등 소정의 구조를 이루는 범위에서 재료와 제조 방법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로워 컬렉터(320)는 로워 컬렉터 링(321)과 로워 컬렉터 티쓰(323)을 포함한다.
로워 컬렉터 링(321)은 출력축(3)의 회전 방향으로 형성 배치되는 소정의 링 형상을 구비한다. 로워 컬렉터 티쓰(323)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로워 컬렉터 링(321)의 단부로부터 출력축(3)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내측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되 원주를 따라 이격 형성된다.
한편, 픽싱 컬렉터(330)는 어퍼 컬렉터(310)와 로워 컬렉터(320)의 외주에 이격되어 하우징(100)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토크 센서(40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픽싱 컬렉터(330)는 어퍼 픽싱 컬렉터(340)와 로워 픽싱 컬렉터(350)를 포함한다.
어퍼 픽싱 컬렉터(340)는 어퍼 픽싱 플레이트(341) 및 어퍼 픽싱 터미널(343)을 포함한다.
어퍼 픽싱 플레이트(341)는 어퍼 컬렉터(310)의 외주 측에 호상으로 배치되고, 어퍼 픽싱 터미널(343)는 어퍼 픽싱 플레이트(341)의 외주로 토크 센서(400)를 향하여 배치된다. 입력축 및 출력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어퍼 픽싱 플레이트(341)는 어퍼 픽싱 플레이트(341)가 마그네트 블록(220)에 중첩되도록, 보다 바람직하게는 어퍼 픽싱 플레이트(341)의 내측 및 외측의 사이 간격이 마그네트 블록(220)의 내경 및 외경의 사이 간격보다 큰 값을 구비하여 마그네트 블록(220)으로부터 자속 누설을 최소화시키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어퍼 픽싱 터미널(343)은 어퍼 픽싱 플레이트(341)의 외주로 토크 센서(400)를 향하여 배치된다. 어퍼 픽싱 터미널(343)은 소정의 굴곡 형상을 구비하여 단부가 토크 센서(400)에 근접토록 하여 에어갭을 줄임으로써 집자된 자속을 토크 센서(400) 측으로의 전달성을 증대시켜 보다 정확한 감지를 이루도록 한다.
어퍼 픽싱 플레이트(341)와 어퍼 픽싱 터미널(343)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어퍼 픽싱 플레이트(341)의 일단은 마그네트 블록(220)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어퍼 픽싱 터미널(343)의 단부는 어퍼 컬렉터(310)의 반대편으로 토크 센서(400)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로워 픽싱 컬렉터(350)는 로워 픽싱 플레이트(351) 및 로워 픽싱 터미널(353)을 포함한다. 전체적 구조는 앞서의 어퍼 픽싱 컬렉터(340)와 동일하나 경우에 따라 다소 상이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로워 픽싱 플레이트(351)는 로워 컬렉터(310)의 외주에 호상으로 배치되고, 입력축 및 출력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볼 때 로워 픽싱 플레이트(351)는 로워 픽싱 플레이트(351)가 로워 컬렉터(310)의 로워 컬렉터 링(321)에 중첩되도록, 보다 바람직하게는 로워 픽싱 플레이트(351)의 내측 및 외측의 사이 간격이 로워 컬레터 링(321)의 내경 및 외경의 사이 간격보다 큰 값을 구비하여 로워 컬렉터 링으로부터 자속 누설을 최소화시키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로워 픽싱 터미널(353)는 로워 픽싱 플레이트(351)의 외주로 토크 센서(400)를 향하여 배치된다. 로워 픽싱 터미널(353)은 소정의 굴곡 형상을 구비하여 단부가 토크 센서(400)에 근접토록 하여 에어갭을 줄임으로써 집자된 자속을 토크 센서(400) 측으로의 전달성을 증대시켜 보다 정확한 감지를 이루도록 한다.
로워 픽싱 플레이트(351)와 로워 픽싱 터미널(353)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로워 픽싱 플레이트(351)의 일단은 로워 컬렉터(310)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로워 픽싱 터미널(353)의 단부는 로워 컬렉터(310)의 반대편으로 토크 센서(400)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어퍼 픽싱 컬렉터 플레이트와 로워 픽싱 컬렉터 플레이트는 반경 방향 상 길이가 서로 상이하고 어퍼 픽싱 플레이트의 길이가 더 긴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하나의 마그네트 블록과 이에 대응하는 하나의 로워 컬렉터와, 그리고 고정 구조의 픽싱 컬렉터 구조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원가 절감을 이루고 토크 센싱 성능은 유지 내지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축방향으로 착자된 마그네트 블록의 경우 입력축과 출력축 간의 비틀림 토션이 없는 경우 로워 컬렉터에 의하여 수집되는 자속의 N극과 S극이 50:50으로 배치되어 자기적 중립 상태를 형성한다.
반면, 입력축과 출력축 간의 비틀림 토션이 있는 경우, 로워 컬렉터에 의하여 수집되는 자속의 N극과 S극이 50:50의 균형을 벗어나 비균등 상태를 형성하고 로워 컬렉터 티쓰에 의하여 N극과 S극의 대응하는 면적의 변화가 발생하고, 면적 변화에 비례하는 자력이 픽싱 컬렉터를 통해 유도되어 마그네트 블록(220)의 상부로 되돌아가는 자기경로를 형성하고 이 때 토크센서가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소정의 비틀림 토션 발생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샤프트에 인가되는 토크를 비접촉식 방식을 통하여 감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00...하우징 110...하우징 커버
120...하우징 베이스 200...마그네트 유니트
300...컬렉터 유니트 400...센싱 유니트

Claims (4)

  1. 입력축 및 출력축의 사이에 배치되어, 입력축과 출력축의 상대 회동 변위를 통하여 입력축 및 출력축 간의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 장치로서,
    입력축과 출력축의 단부를 수용하고 위치 고정 배치되어 입력축 및 출력축에 상대 회동 가능한 하우징:
    입력축과 출력축 중 어느 한 측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는 마그네트 블록을 포함하는 마그네트 유니트;
    일부가 입력축과 출력축 중 다른 한 측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 유니트와의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컬렉터 유니트;
    상기 컬렉터 유니트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컬렉터 유니트를 통하여 집속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컬렉터 유니트는:
    상기 마그네트 블록과 대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워 컬렉터와,
    상기 로워 컬렉터에 이격 배치되고 단부에 상기 토크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 배치되는 픽싱 컬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로워 컬렉터는:
    입력축 및 출력축 중의 다른 한 측의 일단에 반경 방향 외주 상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로워 컬렉터 링과,
    상기 로워 컬렉터 링의 단부로부터 연장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로워 컬렉터 티쓰를 구비하고,
    상기 로워 컬렉터 티쓰는 입력축 및 출력축 중의 다른 한 측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토크 센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 컬렉터는:
    상기 로워 컬렉터 링을 마주하여 이격 배치되는 로워 픽싱 컬렉터와,
    상기 마그네트 블록을 사이에 두고 상기 로워 컬렉터 티쓰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 배치되는 어퍼 픽싱 컬렉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센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픽싱 컬렉터는:
    상기 로워 컬렉터 티쓰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 배치되는 호상의 어퍼 픽싱 플레이트와,
    상기 어퍼 픽싱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어퍼 픽싱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로워 픽싱 컬렉터는:
    상기 로워 컬렉터 링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 배치되는 호상의 로워 픽싱 플레이트와,
    상기 로워 픽싱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로워 픽싱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토크 센서는 상기 어퍼 픽싱 터미널과 상기 로워 픽싱 터미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센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픽싱 플레이트와 상기 어퍼 픽싱 플레이트의 반경 방향상 길이는 상기 어퍼 픽싱 플레이트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센서 장치.

KR1020140119322A 2014-09-05 2014-09-05 토크 센서 장치 KR20160029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322A KR20160029991A (ko) 2014-09-05 2014-09-05 토크 센서 장치
EP15838226.7A EP3190029A1 (en) 2014-09-05 2015-09-04 Torque sensor device
US15/508,622 US10094722B2 (en) 2014-09-05 2015-09-04 Torque sensor device
PCT/KR2015/009341 WO2016036185A1 (ko) 2014-09-05 2015-09-04 토크 센서 장치
JP2017512393A JP2017527803A (ja) 2014-09-05 2015-09-04 トルクセンサー装置
CN201580047872.6A CN106794871B (zh) 2014-09-05 2015-09-04 转矩传感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322A KR20160029991A (ko) 2014-09-05 2014-09-05 토크 센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991A true KR20160029991A (ko) 2016-03-16

Family

ID=5564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322A KR20160029991A (ko) 2014-09-05 2014-09-05 토크 센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99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3181A1 (fr) 2019-02-25 2020-08-28 Moving Magnet Technologies Capteur de position, notamment destiné à la détection de la torsion d'une colonne de dire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3181A1 (fr) 2019-02-25 2020-08-28 Moving Magnet Technologies Capteur de position, notamment destiné à la détection de la torsion d'une colonne de direction.
WO2020174171A1 (fr) 2019-02-25 2020-09-03 Moving Magnet Technologies Capteur de position, notamment destiné à la détection de la torsion d'une colonne de dir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2173B2 (en) Sensor system for detecting a differential angle
JP5513838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9366590B2 (en) Torque sensor for measuring torsion of steering column and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US8746083B2 (en) Torque sensor having a ring-shaped stator
EP2957882A1 (en) Torque sens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10094722B2 (en) Torque sensor device
US20150090051A1 (en) Torque Index Sensor
JPWO2008044689A1 (ja) トルク検出器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670230B2 (ja) トルク検出装置
US8749228B2 (en) Torque index sensor
KR101882550B1 (ko) 토크 센서 장치
US9395255B2 (en) On-vehicle detector
JP2018059805A (ja) トルクセンサ
KR101884229B1 (ko) 토크센서
JP2009192248A (ja) トルク検出装置
KR101949432B1 (ko) 토크 센서 장치
KR101741963B1 (ko) 토크 센서 및 이를 갖는 스티어링 시스템
KR101680898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 센서
JP5469937B2 (ja) 相対角度検出装置及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60029991A (ko) 토크 센서 장치
JP2011013134A (ja) トルクセンサ
KR20160029990A (ko) 토크 센서 장치
KR20160029989A (ko) 토크 센서 장치
JP2010190764A (ja) トルク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る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2564663A (zh) 新型扭矩传感器的测力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