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768A -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768A
KR20160029768A KR1020160021833A KR20160021833A KR20160029768A KR 20160029768 A KR20160029768 A KR 20160029768A KR 1020160021833 A KR1020160021833 A KR 1020160021833A KR 20160021833 A KR20160021833 A KR 20160021833A KR 20160029768 A KR20160029768 A KR 20160029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opening
water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7043B1 (ko
Inventor
전상훈
Original Assignee
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훈 filed Critical 전상훈
Priority to KR1020160021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0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맨홀에 내부에 설치되는 틀프레임과, 상기 틀프레임과 일측의 가로프레임이 힌지 결합되어 오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 가로프레임에 결합되어 개폐판의 닫침을 단속하는 수평유지스토퍼;와, 상기 수평유지스토퍼의 상부면에 중첩되고, 전/후 위치 조정을 통해 선택적으로 물유입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판;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횡설된 회전축에 결합되고, 양측에는 제 1물막이판이 일체로 상향 절곡된 개폐판;과, 상기 유량조절판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물막이판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높이를 갖는 제 2물막이판;과, 상기 제 2물막이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강되는 개폐판의 일측을 제 1물막이판에 결합된 와이어로 견인함으로써 개폐판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개방조절수단; 및 상기 틀프레임의 양측 세로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 2물막이판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높이를 갖는 제 3물막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물막이판은 제 2물막이판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틀프레임은 분리시키지 않고 맨홀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접이되는 제 1접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유량조절장치{A FOLDING FLOW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접이식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경이 작은 원형 맨홀입구를 통해 주요부품을 손쉽게 진입시켜 빠른 시간에 맨홀 내부에서 주요부품을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좁은 맨홀 내부에서 개폐판의 개방 정도를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도록 물막이판의 상부로 개방조절수단의 레버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수도관이나 하수관, 배선(配線) 따위를 검사하거나 수리 또는 청소하기 위하여 사람이 드나들 수 있게 만든 구멍이다.
특히 맨홀은 도심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심의 도로에 주로 설치된다.
이러한 맨홀은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이나 사업장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와, 빗물이 도로의 배수로를 통하여 모여진 초기우수를 차집관거로 유도배출시키는 연결관이 바닥면에 연결되고, 측면에는 우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관이 연결된다.
하지만 종래의 맨홀은 비가 오면 차집관거 및 연결관이 역류하지 않는 한, 대부분 연결관을 통해 차집관거로 배출되어 하수종말처리장의 하수처리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기존에 설치된 맨홀에 우수량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판을 설치하고자 하였으나, 맨홀에 설치된 맨홀커버의 규격화된 크기로 인해 맨홀의 상부 콘크리트를 파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 맨홀은 도로 상에 설치되는 바, 도로의 교통혼잡의 원인이되고, 또한 맨홀 손상에 따른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맨홀용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특허등록 제1296566호)"이다.
이러한 종래의 맨홀용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개폐판과, 프레임과, 회전축을 맨홀 내부로 진입시킬 수 없기 때문에 언급된 주요부품을 다 등분으로 분리시킨 후 맨홀의 내부에서 재조립하는 구성이다.
이는 매우 협소한 맨홀 내부에서 주요부품의 갯수가 증가하여 조립이 매우 어렵고, 또한 설치시간이 증대되어 인건비 상승의 요인이 발생된다.
아울러 개폐판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경우, 개폐판을 분리시킨 후, 무게추의 위치를 조율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965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직경이 작은 원형 맨홀입구를 통해 주요부품을 손쉽게 진입시켜 빠른 시간에 맨홀 내부에서 주요부품을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한 접이식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좁은 맨홀 내부에서 개폐판의 개방 정도를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도록 물막이판의 상부로 개방조절수단의 레버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접이식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맨홀에 내부에 설치되는 틀프레임과, 상기 틀프레임과 일측의 가로프레임이 힌지 결합되어 오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 가로프레임에 결합되어 개폐판의 닫침을 단속하는 수평유지스토퍼;와, 상기 수평유지스토퍼의 상부면에 중첩되고, 전/후 위치 조정을 통해 선택적으로 물유입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판;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횡설된 회전축에 결합되고, 양측에는 제 1물막이판이 일체로 상향 절곡된 개폐판;과, 상기 유량조절판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물막이판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높이를 갖는 제 2물막이판;과, 상기 제 2물막이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강되는 개폐판의 일측을 제 1물막이판에 결합된 와이어로 견인함으로써 개폐판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개방조절수단; 및 상기 틀프레임의 양측 세로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 2물막이판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높이를 갖는 제 3물막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물막이판은 제 2물막이판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틀프레임은 분리시키지 않고 맨홀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접이되는 제 1접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오픈되는 반대방향으로 접이되는 제 2접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개폐판은 중앙영역이 반분되어 제 1물막이판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하향으로 접이되는 제 3접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각 제 1물막이판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 2물막이판의 면상과 접하여 롤링되는 가이드볼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 가로프레임은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개방조절수단은 제 2물막이판의 상부에 노출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하향 결합되어 상기 제 2물막이판에 관통 연결되는 스크류와 결합되어 승강되는 승강블럭으로 구성되되, 상기 승강블럭은 제 1물막이판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개폐판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유량조절장치에 따르면, 개폐판과, 틀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이 각 접이부를 통해 접이될 수 있도록 하여 접이된 상태에서 맨홀 내부로 손쉽게 진입시켜 빠른 시간에 주요부품을 조립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협소한 맨홀 내부에서 제 2물막이판의 상부로 노출된 레버를 회전시켜 개폐판의 개방 정도를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어 장치의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된 틀프레임에 메인프레임을 오픈시킴으로써 개폐판을 분리시키지 않고, 개폐판의 하부로 사람이나 준설장비를 손쉽게 진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맨홀 내부에 설치된 본 발명의 접이식 유량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유량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접이식 유량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틀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메인프레임의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5는 도 1에서 발췌된 틀프레임의 접이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6은 도 1에서 발췌된 메인프레임의 접이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7은 도 1에서 발췌된 개폐판의 접이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8은 개방조절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 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유량조절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맨홀 내부에 설치된 본 발명의 접이식 유량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유량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접이식 유량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틀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메인프레임의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발췌된 틀프레임의 접이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발췌된 메인프레임의 접이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7은 도 1에서 발췌된 개폐판의 접이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8은 개방조절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경이 작은 원형 맨홀입구를 통해 주요부품을 손쉽게 진입시켜 빠른 시간에 맨홀 내부에서 주요부품을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 하고, 또한 좁은 맨홀 내부에서 개폐판의 개방 정도를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도록 물막이판의 상부로 개방조절수단의 레버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유량조절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맨홀(200)은 비점오염원이 포함되지 않은 우수 및 토사를 강이나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배수관(230)이 연결되어 있고, 하수와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는 맨홀(200)의 하부에 연결된 연결관(240)을 거쳐 차집관거(25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유량조절장치(100)는 배수관(230)을 통해 배출되는 초기우수 및 하수는 차집관거(250)로 유입시켜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도하고, 우수는 하천이나 강으로 방류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유량조절장치는 직경이 작은 맨홀 입구에 크기가 큰 주요부품의 분해 및 조립하는 과정을 최소화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접이식 유량조절장치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틀프레임(10a)과, 메인프레임(10b) 및 개폐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틀프레임(10a)은 맨홀(200)의 내부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틀프레임(10a)은 앙카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맨홀입구(200) 및 맨홀커버(220)의 직경은 통상 50 ~ 60cm로, 평균 폭이 1m 이상이 되는 틀프레임(10a)은 크기가 맨홀입구(200)의 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이러한 상기 틀프레임(10a)은 도 5와 같이, 상호 간 분리시키지 않고 맨홀(200)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제 1접이부(13a)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 1접이부(13a)는 틀프레임(10a)의 세로프레임(12a)에 경첩(H)을 통해 상호 간 연결시켜 구성된 것으로, 맨홀입구(200)로 유출입 될 때 틀프레임(10a)이 접이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메인프레임(10b)은 도 4와 같이, 개폐판(30)이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일측의 가로프레임(11b)이 틀프레임(10a)과 힌지 결합되어 오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메인프레임(10b)의 타측 가로프레임(11b)은 손잡이(14b)가 형성되어 손으로 손잡이(14b)를 파지하고 메인프레임(10b)을 상향으로 오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된 구성은 메인프레임(10b)을 오픈시킴으로써 개폐판(30)을 분리시키지 않고, 개폐판(30)의 하부로 사람이나 준설장비를 진입시키거나 후술된 개폐판(30)의 볼트축(34)에 체결되는 너트(35)를 통해 개폐판(30)의 무게 중심을 손쉽게 조율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0b) 도 6과 같이, 역시 오픈되는 반대방향으로 접이될 수 있도록 세로프레임(12b)에 제 2접이부(13b)가 형성되어 맨홀(200)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메인프레임(10b)의 일측 가로프레임(11b)에 결합되어 개폐판(30)의 닫침을 단속하여 개폐판(30)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것이 수평유지스토퍼(20)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유지스토퍼(20)의 상부면에 중첩되고, 전/후 위치 조정을 통해 선택적으로 물유입량을 조절하는 것이 유량조절판(21)이다.
상기 개폐판(30)은 상기 메인프레임(10b)에 횡설된 회전축에 결합되고, 양측에는 제 1물막이판(31)이 일체로 상향 절곡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판(30)은 평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저면 일측에 볼트축(34)이 다수 결합되어 있으며 너트(35) 체결 유무에 따라 무게를 가감할 수 있는 구성이다.(도 3에 도시)
아울러 상기 유량조절판(21)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물막이판(31)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제 2물막이판(22)이다.
이러한 제 2물막이판(22)은 제 1물막이판(31)의 안쪽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개폐판(30)은 도 7과 같이, 맨홀입구(200)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중앙영역이 반분되어 접이될 수 있도록 제 3접이부(32)를 갖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 3접이부(32) 역시 경첩(H)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제 3접이부(32)를 통해 하향으로 접이되어 제 1물막이판(31)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개방조절수단(40)은 도 8과 같이, 상기 제 2물막이판(22)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강되는 개폐판(30)을 제 1물막이판(31)에 결합된 와이어(44)로 견인함으로써 개폐판(30)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방조절수단(40)은 제 2물막이판(22)의 상단에 노출되는 레버(41)와, 상기 레버(41)에 하향 결합되어 상기 제 2물막이판(22)에 관통 연결되는 스크류에 스크류결합되어 승강되는 승강블럭(4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물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개방조절수단(40)의 작동은 하기와 같다.
먼저 도 8의 (b)와 같이, 레버(4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42)의 회전에 의해 승강블럭(43)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승강블럭(43)이 상승함에 따라 와이어(44)를 매개로 연결된 제 1물막이판(31)이 동시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개폐판(30)은 개방정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물유입량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8의 (a)와 같이, 레버(41)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블럭(43)은 하강하고, 승강블럭(43)의 하강 길이 방큼 개폐판(30)은 역시 하강하여 물유입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된 개방조절수단(40)은 개폐판(30)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지점에서 개폐판(30)의 개방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좁은 맨홀(200) 내부에서 개폐판 셋팅 작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틀프레임(10a)의 양측 세로프레임(12a)에는 상기 제 2물막이판(22)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높이를 갖는 제 3물막이판(14a)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 3물막이판(14a)은 하수, 오수, 초기우수 및 우수를 유도하는 한편, 제 1,2물막이판(31,22)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승강블럭(43)과 와이어(44)를 밀폐시킴으로써, 개방조절수단(40)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겸한다.
아울러 상기 제 2,3물막이판(22,14a)은 고정되는데, 반해 개폐판(30)에 형성되는 제 1물막이판(31)은 가동되는 구성이다.
이 때 도 7과 같이, 제 1물막이판(31)은 개폐판(30)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가이드볼(33)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볼(33)은 도 8과 같이, 상기 제 2물막이판(22)의 외측 면상에 접하여 롤링되기 때문에 개폐판(30)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Oa: 틀프레임 11a: 가로프레임 12a: 세로프레임
13a: 제 1접이부 14a: 제 3물막이판
10b: 메인프레임 11b: 가로프레임 12b: 세로프레임
13b: 제 2접이부 14b: 손잡이
20: 수평유지스토퍼 21: 유량조절판 22: 제 2물막이판
30: 개폐판 31: 제 1물막이판 32: 제 3접이부
33: 가이드볼 34: 볼트축
35: 너트
40: 개방조절수단 41: 레버 42: 스크류
43: 승강블럭 44: 와이어
H: 경첩
100: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200: 맨홀 210: 맨홀입구 220: 맨홀커버
230: 배수관 240: 연결관
250: 차집관거

Claims (6)

  1. 맨홀(200)에 내부에 설치되는 틀프레임(10a);
    상기 틀프레임(10a)과 일측의 가로프레임(10b)이 힌지 결합되어 오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인프레임(10b);
    상기 메인프레임(10b)의 일측 가로프레임(10b)에 결합되어 개폐판(30)의 닫침을 단속하는 수평유지스토퍼(20);
    상기 수평유지스토퍼(20)의 상부면에 중첩되고, 전/후 위치 조정을 통해 선택적으로 물유입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판(21);
    상기 메인프레임(10b)에 횡설된 회전축에 결합되고, 양측에는 제 1물막이판(31)이 일체로 상향 절곡된 개폐판(30);
    상기 유량조절판(21)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물막이판(31)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높이를 갖는 제 2물막이판(22);
    상기 제 2물막이판(22)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강되는 개폐판(30)의 일측을 제 1물막이판(31)에 결합된 와이어(44)로 견인함으로써 개폐판(30)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개방조절수단(40); 및
    상기 틀프레임(10a)의 양측 세로프레임(12a)에 결합되어 상기 제 2물막이판(22)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높이를 갖는 제 3물막이판(14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물막이판(31)은 제 2물막이판(22)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틀프레임(10a)은 분리시키지 않고 맨홀(200)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접이되는 제 1접이부(13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b)은 오픈되는 반대방향으로 접이될 수 있도록 접이되는 제 2접이부(13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30)은 중앙영역이 반분되고, 제 1물막이판(31)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하향으로 접이될 수 있도록 제 3접이부(3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물막이판(31)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 2물막이판(22)의 면상과 접하여 롤링되는 가이드볼(3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b)의 타측 가로프레임(10b)은 손잡이(14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조절수단(40)은 제 2물막이판(22)의 상부에 노출되는 레버(41)와, 상기 레버(41)에 하향 결합되어 상기 제 2물막이판(22)에 관통 연결되는 스크류(42)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승강블럭(43)으로 구성되되,
    상기 승강블럭(43)은 개폐판(30)의 제 1물막이판(31)과 와이어(44)로 연결되어 개폐판(30)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KR1020160021833A 2016-02-24 2016-02-24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KR101697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833A KR101697043B1 (ko) 2016-02-24 2016-02-24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833A KR101697043B1 (ko) 2016-02-24 2016-02-24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768A true KR20160029768A (ko) 2016-03-15
KR101697043B1 KR101697043B1 (ko) 2017-01-23

Family

ID=5554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833A KR101697043B1 (ko) 2016-02-24 2016-02-24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930A (ko) * 2016-05-12 2016-06-01 전상훈 다목적 유량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599B1 (ko) * 2017-09-01 2019-05-08 전상훈 오수 역류 방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159B1 (ko) * 2009-12-29 2011-02-17 진두남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296566B1 (ko) 2011-06-15 2013-08-13 진두남 맨홀용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159B1 (ko) * 2009-12-29 2011-02-17 진두남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296566B1 (ko) 2011-06-15 2013-08-13 진두남 맨홀용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930A (ko) * 2016-05-12 2016-06-01 전상훈 다목적 유량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043B1 (ko) 201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9033B2 (en) Stormwater treatment system for eliminating solid debris
US8366923B1 (en) Telescoping post supports and sliding lid systems for filter baskets
KR101208359B1 (ko)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KR20070026704A (ko) 우수토실에 구비된 하수 유입 조절장치
KR101453668B1 (ko)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1016159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1697043B1 (ko)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KR100977492B1 (ko)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887530B1 (ko) 우·오수 분리불가 가옥을 위한 우·오수 자동분리장치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1296566B1 (ko) 맨홀용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1564205B1 (ko) 개폐판의 상부에 단속수단을 갖는 유량조절장치
KR100605037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033015B1 (ko)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KR20110013678A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20120138545A (ko) 무동력 자동유량조절장치
KR101026068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US20130305441A1 (en) Sewer Vent
KR20140128813A (ko) 맨홀용 악취 및 역류 방지 장치
KR200381089Y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614912B1 (ko) 하수도용 커버
KR20100109165A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US20220356692A1 (en) Trash collector for drainage chan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