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767A - 수면 자세 교정기구 및 어께 회전근육 강화하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수면 자세 교정기구 및 어께 회전근육 강화하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767A
KR20160029767A KR1020160021708A KR20160021708A KR20160029767A KR 20160029767 A KR20160029767 A KR 20160029767A KR 1020160021708 A KR1020160021708 A KR 1020160021708A KR 20160021708 A KR20160021708 A KR 20160021708A KR 20160029767 A KR20160029767 A KR 20160029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liosis
sleep
shoulder
posture
corr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모
Original Assignee
전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준모 filed Critical 전준모
Priority to KR102016002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9767A/ko
Publication of KR20160029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8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측만증, 어께 유착성 관절 낭 염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완화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유아, 어린이, 청소년은 수면 중 자세 불량으로 인하여 척추 측만증이 발병할 우려가 있다
또한 40살, 50살 전후에서 수면자세 불량으로 인하여 어께 유착성 관절 낭 염이 발병할 우려가 있다
상기에 의하여 요의 피에 양측 발목을 부착하여 척추를 바르게 하여 수면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수면 자세 불량으로 어께 유착성 관절 낭 염에 통증이 발병할 경우 수술을 하여 치료 후 어께 회전근육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이다
도7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어께 회전근육 강화하기 위한 양팔 교차 회전 운동기구를 양손에 착용하고 제자리 걷거나 뛰면서 좌우측 팔을 펼치고 교차하면서 회전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어께 회전근육 강화하는 상태가 된다

Description

수면 자세 교정기구 및 어께 회전근육 강화하는 운동기구{omitted}
유아, 어린이, 청소년은 일상생활 중에서 야간에 수면 자세 불량으로 인하여 척추 측만증이 발병할 우려가 있다
상기에 의한 수면 중에서 올바른 자세로 교정 하는 기구
특발성 유착성 관절 낭 염이란 나이가 50살 전후에서 일상생활 중에서 야간에 수면 자세 불량으로 인한 어께 회전근육에서 통증이 발병할 우려가 높다
상기에 의한 수면 중에서 올바른 자세로 교정 하는 기구 및 어께 회전근육 강화하기 위한 운동기구
척추 질환에서
척추 측만증이란 정상적인 척추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직선이며 옆에서 보았을 때에는 경추와 요추는 앞으로 휘고 흉추와 천추부는 뒤로 휘어 있다
척추 측만증은 척추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휜 것을 지칭한다
그러나 단순한 2차원적인 기형이 아니라 추체 자체의 회전 변형과 등반되어 옆에서 보았을 떼에도 정상적인 만곡 상태가 아닌 3차원적인 기형 상태이다.
척추 측만증은 크게 나누어 특발성 척추 측만증 및 기능성 척추 측만증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특발성 척추 측만증은 전체 환자의 85∼90%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주로 성장기에 발병한다
상기의 특발성 척추 측만증은 치료가 매우 어렵다
기능성 척추 측만증은 바르지 못한 자세와 생활습관 및 다른 체형부위 질환의 영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2차원적인 휨 형태를 보인다
상기의 기능성 척추 측만증은 발명의 원인을 제거하고 교정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척추로 개선이 가능하다
어깨 통증 질병에서
특발성 유착성 관절 낭 염의 질병에서 어께 회전근육의 통증은 별다른 외상없이 어깨에 통증이 발생되어 운동이 제한되는 질환을 말하며 어깨 관절을 둘러싼 조직에 염증이 생기고 달라붙어 잘 움직여지지 않고 통증이 발생한다
특발성 유착성 관절 낭 염의 질병의 원인을 여러 각도에서 연구하고 있으며 아직도 하나의 정립된 원인을 찾기는 힘들다
특허 특허의 명칭: 척추 측만증 운동치료기 출원번호 :10-2012-0029803 등록 번호: 특허 특허의 명칭: 척추 교정장치 출원번호 :10-2014-0094293 등록 번호: 특허 특허의 명칭: 흉추 견인기 출원번호 :20-2003-0035006 등록 번호:20-0356267
(과거는 이러게 치료를 하였다)
특발성 척추 측만증은 X-RAY 척추 검사를 통해 필림 사진을 정면이나 뒤에서 보았을 때 일자로 곧게 뻗어있어야 할 척추가 측면으로 S자, C자의 형태로 휘어진 상태이며 또한 척추가 3차원적인 기형상태이며 어린이, 청소년 등 성장기에 발병하며 원일을 알 수 없는 만큼 치료가 매우 어렵다
치료과정에서 보조기 착용방식은 측만이 유연하여 쉽게 교정되고, 측만 각도가20∼40도 이고 성장이 적어도 2년 이상 남아 있는 환자에게 효과적이다. 특히 초경 이전 혹은 초경 후 1년 이내인 환자에서 척추측만이 점차 진행한다고 판단이 될 때 보조기를 치료를 시행한다
수술을 요하는 경우는
첫째, 측만이 이미 상당한 정도로 진행되어 외관상 용납될 수 없을 정도로 변형이 심할 때
둘째, 성장기의 아동에게 보존적 치료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진행하는 측만으로 성장기 아도에게 있어서 40∼50도 이상의 측만은 수술이 필요하다
셋째, 성인에서 몸통의 불균형이 심한 경우와 이차적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에도 수술적 치료를 요한다
수술적 치료의 원리는 다양한 금속 내 고정물을 사용하여 교정 및 신체의 균형을 얻은 후 척추 유합술로써 교정을 유지하는 것이다. 수술 후 며칠 내에 일어서서 걸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보조기를 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보조기 없이 일상생활에 복귀할 수 있으며 고정에 사용한 기기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다시 빼지 않는다
기능성 척추 측만증란 바르지 못한 자세와 생활습관 인하여 척추가 C자, S자 형태로 휘어진 상태 특발성 척추 측만증의 치료 목적은 정도가 크지 않는 측만의 더 이상 측만이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중등도 척추 측만증의 경우 변형을 교적하고 유지하여 신체의 균형을 얻게 하며 기능 및 미용을 호전시키려는 것이다 치료 방법의 선택은 전문적인 많은 지식을 필요로 하면 일반적인 원칙은 있으나 환자 개개인의 정확한 평가와 분석 위에서 개별화된 방법을 취해야 한다.
특발성 동결견 및 특발성 유착성 관절 낭 염이란 특별한 원인 없이 통증이 수반된 수동 및 능동 운동 장애를 가져오는 질환이라 할 수 있다
양팔을 무리하게 많이 사용하는 작업자는 양팔을 상향으로 쭉 뻗는 등 뭉친 근육을 풀어주기 위하여 스트레칭 운동을 실시한다
사무직 노동자 집안에서 일을 하는 가사 노동자는 어께 회전근육 운동을 하지 않아서 양팔을 사용하여 무리한 노동을 하였을 경우 어께 회전근육에 통증 및 회전근육 찢겨지는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어께 회전근육 강화하기 위한 운동기구 중에서 핸들 돌리기를 사용하여 어께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특발성 동결견의 병인을 여러 각도에서 연구하고 이으나 아직도 하나의 정립된 원인을 찾기는 힘들다
어께 회전근육의 통증치료에서 증상이 경상일 경우
어께 통증 증상이 경중일 경우는 대중목욕탕 및 일반 가정집의 욕실에서 온탕에 온수 약37도∼42도에서 받아서 어께 부분을 온탕에 10분∼20분 정도 온탕에 담그면 통증이 약간 줄어들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이다
어께 통증 치료에서 증상이 중증일 경우 치료방법
어께 통증 부위의 가벼운 마사지를 하는 것이 치료 중에도 진행하면 호전되는데 도움이 되며 운동요법 에서는 먼저 스트레칭 후 양팔 교차 회전 운동을 한다
스트레칭 하는 방법은(앞, 뒤, 옆, 몸통 쪽으로 팔을 움직일수 있는 만큼 올린 후 다른 쪽 손으로 팔을 잡고 조금 더 잡아 당겨서 몇 초간 유지한다) 등 종류가 많이 있다
어께 통증이 중증일 경우는
병원에서 초음파 치료 등의 물리치료와 아스피린제나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 등의 약물요법도 효과적인 어께 통증 치료법이다
인대 강화 주사 치료,
어깨 관절막 주변의 인대 및 조직이 손상된 부위에 인대강화재생주사를 통해 비수술적 재생 및 강화를 촉진하며 조직의 유연성과 기능을 회복 한다
체외충격파치료
손상된 조직의 혈액순환과 유연성을 회복해 인대조직을 강화하며 통증을 완화 된다
어깨도수치료
어께 관절막 기능회복을 위해 이루어지는 치료로 굳어진 관절 막과 경화된 근막을 유연하게 풀어준다.
50대 전후에서 일상생활 중에서 야간에 수면 자세 불량으로 인하여 어께 회전근육이 이완되어 통증이 발병한다
척추 측만증 예방을 하기 위한 수면자세 교정기구
유아, 어린이, 청소년은 수면 중 자세 불량으로 인하여 척추 측만증이 발병하거나 척추 측만증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상기에 의한 본 발명은 척추 측만증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완화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유아, 어린이, 청소년은 수면에 들어가기 전에 침대의 매트에 좌우측 다리를 벌린 상태에서 발목부분을 벨크로 벤드로 결속하면 인체의 사지는 대자로 바르게 누워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의 상태가 되면 수면 중에 몸체를 측면으로 취침을 하기가 어려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바른 자새로 취침을 할 수 있다
어깨 회전근육에 유착성 관절 낭 염을 방지하기 위한 수면자세 교정기구
40세, 50세 전후에서 수면 중 자세 불량으로 인하여 어께 회전근육에 유착성 관절 낭 염을 발병할 우려가 높다
상기에 의한 본 발명은 회전근육에 유착성 관절 낭 염의 발병을 예방하는 수면자세를 교정하는 기구이다
수면 중 및 수면 전에 침대의 매트에 다리의 발목부분을 벨크로 벤드로 결속하면 인체의 사지는 대자로 바르게 누워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에 의하여 수면 중에 몸체를 측면으로 누워 취침을 하기가 어려운 상태가 된다
어깨 회전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운동기구
회전근육 강화시키는 글러브를 양손에 착용하고 앞으로 전진을 하면서 걷거나 뛰면서 양팔을 전후 펼치고 교차하면서 회전하면 양팔 교차회전 형태가 되기 때문에 어께 회전근육이 반복적으로 이완 수축 등 운동함으로써 회전근육 강화 시킨다
유아 어린이 청소년은 수면 자세를 바르게 하여 척추 측만증의 발병을 예방한다
40세, 50세 전후에서 수면 수세를 바르게 하여 어께에 발병하는 유착성 관절 낭 염을 예방한다
도1은 수면 자세 교정 기구
도2는 밸크로와 받침 천 상쇠도
도3은 성인이 바른 자세로 취침하는 모습
도4는 옆으로 취침하는 평면도
도5는 척추가 바른 사진 평면도
도6은 척추 측만증 사진 평면도
도7은 회전 운동 글러브 사시도
척추 측만증, 유착성 관절 낭 염을 예방을 하기 위한 수면자세 교정기구
유아, 어린이, 청소년은 수면 중 자세 불량으로 인하여 척추 측만증이 발병하거나 척추 측만증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나이가 젊은 20∼30대는 TV를 시청 중 자세가 불량하거나 수면 자세 불량으로 어깨 회전근육이 한쪽 방향으로 이완, 압박되어도 근육이 회복되어 유착성 관절 낭 염 등이 발병하지 않는 편이다
그러나 나이가 40∼50대 전후에서 장시간 TV를 시청 중에 자세가 불량하거나 수면 중 자세 불량으로 어께 회전근육이 한쪽으로 이완, 압박되면 유착성 관절 낭 염 등이 발병 할 수 있다
회사원은 아침에 기상하여 직장에 출근하지만 가정주부는 가사 업무를 정해진 시간이 없고 TV 시청하는 시간이 길어서 발병할 우려가 높다
여름 보다 겨울에 밤 시간이 길어서 발병할 우려가 높다
전문 직업인 중에서 의사, 교사, 요리사, 미용사, 이발사 등은 어깨 회전근육을 위한 간단한 스트레칭을 후 업무를 시작하기 때문에 발명할 우려가 높다
상기에 의하여 본 발명은 척추 측만증, 유착성 관절 낭 염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완화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도1 참조하여 성인, 유아, 어린이, 청소년은 수면에 들기 전에 좌우측 다리를 벌린 상태에서 발목 부분을 침대의 매트에 결속하면 다리가 바르게 누워있는 상태가 된다
도1 참조하여 성인, 유아, 어린이, 청소년은 수면 중에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경우에 본 발명의 수면 자세 교정 기구를 사용하여 수면자세를 바르게 한다
상기에 의하여 발목을 침구에 결속하면 수면 중에 상반신의 몸체를 한쪽 측면으로 취침을 하기가 어려운 상태다
도1은 수면 자세 교정기구 사시도
도2는 수면 자세 교정기구 상쇠도
도3는 성인이 상체를 바른 자세로 수면하는 도면이고
도4는 성인이 상체를 측면으로 수면하는 도면이고
도5은 척추가 바른 도면이고
도6는 척추 측만증 도면이다
밸크로는 한쪽 면은 후크와 맞은편은 루프로 구성되어 서로 맞대면 부착된다
도1, 도2 참조하여 수면 자세 교정 기구(1)를 요(14)의 외피에 설치는 위치는 수면을 취하는 자세에서 다리의 발목 부분에 설치하면 바람직하다
상기에 의한 수면 자세 교정기구(1)는 발목을 고정부(10)의 밸크로(11)와 요(14)의 피와는 부착은 금속으로 제조한 리벳(13) 및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상기에 의한 수면 자세 교정기구(1)의 받침 천(12)은 바늘과 실을 사용하여 요(14)의 피와 결속하면 반영구적으로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께 회전근육 강화하기 위한 양팔 교차 회전 운동 글러브(20)를 양손에 착용하고 제자리 걷거나 전진을 하면서 좌우 측 팔을 직선으로 펼치고 교차하면서 회전하여 회전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 글러브(20)는 탄력밴드 개구부(23)를 통하여 손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한 운동 글러브(20)의 형태는 탄력밴드 개구부(23)에서 전방 개구부(24)로는 점차적으로 넓어진다
상기에 의한 운동 글러브(20)는 탄력밴드(22)의 개구부(23)를 통하여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지퍼(21) 및 밸크로를 설치하여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회전 글러브는 중량이 가벼우면 운동 효과가 감소하고 무거우면 손에서 벗겨져 외부로 나라갈 우려가 있다
상기에 의한 본 발명의 회전 글러브는 적정량의 중량을 가져야 바람직하다
상기에 의한 회전 글러브를 운동 중 글러브가 손목에서 탈락 되지 않도록 탄력벤드(22)가 제공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의한 회전 운동 글러브(20) 착용하고 양팔 회전 운동 중에 손에서 탈락되어 외부로 날아가서 타인의 신체에 타격하였을 때는 타인의 신체에 중상을 입지 않도록 면직물을 주원료 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수면 자세 교정기구
10, 발목 고정부
11, 밸크로
12, 받침 천
13, 리벳
14, 요
15, 리벳 구멍
20, 운동 글러브
21, 지퍼
22, 탄력벤드
23, 탄력벤드 개구부
24, 전방 개구부

Claims (2)

  1. 수면 자세 교정기구(1)의 발목 고정부(10)의 벨크로(11)와 요(14)의 외피는 리벳(13)을 사용하여 결속하고
    벨크로(11)의 받침면(12)의 가장자리와 요의 피와는 바늘과 실을 사용하여 결속하고
    수면 자세 교정기구(1)의 발목 고정부(10)를 사용하여 양측 발목에 착용하여 수면 중에 자세를 바르게 하여 척추 측만증, 유착성 관절 낭 염 등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자세 교정기구
  2. 어께 회전근육 강화하기 위하여 운동 글러브(20) 형태로 제조하여 양팔 회전운동하기 위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팔 회전 운동 글러브
KR1020160021708A 2016-02-24 2016-02-24 수면 자세 교정기구 및 어께 회전근육 강화하는 운동기구 KR20160029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708A KR20160029767A (ko) 2016-02-24 2016-02-24 수면 자세 교정기구 및 어께 회전근육 강화하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708A KR20160029767A (ko) 2016-02-24 2016-02-24 수면 자세 교정기구 및 어께 회전근육 강화하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767A true KR20160029767A (ko) 2016-03-15

Family

ID=5554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708A KR20160029767A (ko) 2016-02-24 2016-02-24 수면 자세 교정기구 및 어께 회전근육 강화하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97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82Y1 (ko) 2018-02-20 2018-10-08 윤현수 수면 자세 교정기
KR20200068954A (ko) 2018-12-06 2020-06-16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수면 자세 교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006A (ko) 2001-10-29 2003-05-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화학증폭형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 중합체 및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120029803A (ko) 2010-09-17 2012-03-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과구동 방법
KR20140094293A (ko) 2013-01-22 2014-07-30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대피 정보 제공방법, 및 재난대피 정보 제공 시스템을 위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006A (ko) 2001-10-29 2003-05-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화학증폭형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 중합체 및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120029803A (ko) 2010-09-17 2012-03-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과구동 방법
KR20140094293A (ko) 2013-01-22 2014-07-30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대피 정보 제공방법, 및 재난대피 정보 제공 시스템을 위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82Y1 (ko) 2018-02-20 2018-10-08 윤현수 수면 자세 교정기
KR20200068954A (ko) 2018-12-06 2020-06-16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수면 자세 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um Chiropractic and Pilates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adult scoliosis
ES2290154T3 (es) Dispositivo de soporte para el cuerpo.
ES2536964T3 (es) Dispositivo ortopédico
EP3108859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upper extremity braces
KR20160029767A (ko) 수면 자세 교정기구 및 어께 회전근육 강화하는 운동기구
RU2422167C2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реабилитации больных с центральным спастическим парезом верх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RU2367402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егенеративно-дистроф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RU2545447C1 (ru) Способ оздоровл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и суставов
RU2131232C1 (ru) Комбинезон для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детским церебральным параличом и больных с последствиями черепно-мозговой травмы
Whitman A treatise on orthopaedic surgery
JP2017047151A (ja) 運動療法用具
RU2659845C2 (ru) Комплект модулей-ортезов для лечения пациентов с генерализованным детским церебральным параличом
RU2648876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етей со спастическими параличами
RU2322962C1 (ru) Способ оздоровления человека
KR102160634B1 (ko) 운동용 타이츠
KR100386481B1 (ko) 체형 교정용 신전 운동기
RU2727747C1 (ru)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корсет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лечебной гимнастики при смещении костей таза и тазобедренных суставов
KR200207128Y1 (ko) 체형 교정용 신전 운동기
RU2700984C1 (ru) Способ оздоровительной гимнастики
RU2154498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егенеративно-дистроф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пояснично-крестцового отдела позвоночника в сочетании с патологией внутренних органов и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RU2307640C1 (ru) Тренажер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лотос" и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патологических изменений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пациента с его помощью
Kasimova NECK TILT AND TREATMENT IN CHILDREN
JP3086630U (ja) テーピング用テープ
RU2550278C1 (ru) Способ выбора тактики мануальной терапии при лечении неврологических проявлений грыж и протрузий поясничных межпозвонковых дисков по в.к. калабанову
RU3746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деформации сто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