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946A -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946A
KR20160028946A KR1020150080836A KR20150080836A KR20160028946A KR 20160028946 A KR20160028946 A KR 20160028946A KR 1020150080836 A KR1020150080836 A KR 1020150080836A KR 20150080836 A KR20150080836 A KR 20150080836A KR 20160028946 A KR20160028946 A KR 20160028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battery
portable device
user
fu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779B1 (ko
Inventor
나이젤 카르도소
쿠페산 쿠렌디란
로히트 아일
수닐 수드하카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80047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663362B/zh
Priority to EP18198727.2A priority patent/EP3444788B8/en
Priority to PCT/KR2015/009282 priority patent/WO2016036155A1/en
Priority to EP15838620.1A priority patent/EP3189506B8/en
Priority to US14/845,748 priority patent/US9693311B2/en
Publication of KR2016002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7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determining the ability of a battery to perform a critical function, e.g. cranking
    • G01R31/3658
    • G01R31/368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2Monitoring battery levels, e.g. power saving mode being initiated when battery voltage goes below a certain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task 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잔량에 관한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기기가 개시된다. 휴대 기기에서 사용자에게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휴대 기기에서 실행될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동작; 현재 실행 중이거나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보다 먼저 실행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현재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한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휴대 기기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기기{Method For Providing User with Battery Notification in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를 관리하는 기술, 특히 배터리 잔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배터리 전력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 기기의 사용자들은 서로 다른 시간에 서로 다른 방법으로 휴대 기기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어떤 사용자는 직장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대신 집에서 많이 사용할 수도 있고, 어떤 사용자는 평일보다 주말에 더 많이 사용할 수도 있다.
최근 휴대 기기들의 성능이 급속도로 향상되면서 사용자들은 통신(음성, 문자 등)하기 위한 목적은 물론, 영화 시청, 인터넷 브라우징, 헬스 모니터링, 게임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배터리 사용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게 되었다.
휴대 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서로 다른 전력 소비량을 가지기 때문에 휴대 기기의 배터리 전력이 빨리 소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으로 배터리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현재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를 모니터링하고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는 방식은 단순히 배터리 레벨이 어떤 특정 수준에 도달하였을 때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용량이 20%나 10% 남았을 때 '배터리 낮음' 메시지를 표시하는 식이다. 그러나, 그 배터리 잔존량으로 지속할 수 있는 시간은 사용자의 휴대 기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의 숫자와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기존의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는 단순히 배터리 잔량만을 통지받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기기를 오래 사용한 후에야 비로소 장래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이미 배터리가 충분히 남아 있지 않음을 인지하게 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사용자의 휴대 기기에서 수행되어야 할 장래의 작업에 대해 잊어버리고 있다가 막상 작업이 시작되어야 할 때 배터리가 부족함을 인지하게 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예를 들면 헤드셋, 핸즈 프리 기기, 스마트 워치, 임베디드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을 사용하는 웨어러블 기기, 헬스 모니터링 장비 등 사용자의 휴대 기기와 페어링된 주변 기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주변 기기들은 사용자에게 자신들의 현재 또는 추정된 배터리 레벨을 알려줄 수 없다. 따라서, 휴대 기기의 사용자는 주변 기기와 연동하여 휴대 기기를 사용해야 하는 작업이 있는 경우, 수동으로 주변 기기의 배터리를 미리 체크하지 않으면 휴대 기기만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주변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장래 수행될 작업에 충분한지에 대한 알림을 받을 수 없다.
실시예들은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한지에 관한 배터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 및 휴대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들은 주변기기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 및 휴대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들은 원격기기의 요청에 따른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한지에 관한 배터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 및 휴대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에서 사용자에게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휴대 기기에서 실행될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동작; 현재 실행 중이거나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보다 먼저 실행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현재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한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휴대 기기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은,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충분한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주변 기기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휴대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동작은, 원격 기기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지시하는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판단 결과 현재 배터리 잔량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의 배터리 부족 상태를 상기 원격 기기에게 통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은, 상기 수신된 요청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배터리 잔량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확보하기 위해 종료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비활성화 해야 하는 휴대 기기의 하드웨어 모듈의 목록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목록은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미리 정해진 중요도에 따라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보다 낮은 중요도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얼마나 더 오래 실행될 수 있는지 계산하는 동작; 상기 계산에 의해 얻어진 시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은, 소정 기간 동안 상기 휴대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한 결과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기기에서 실행되었던 어플리케이션들의 소비 전력을 나타내는 전력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생성된 전력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는,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기기에서 실행될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현재 실행 중이거나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보다 먼저 실행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현재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한지 판단하고,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휴대 기기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알림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 기기에서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한지에 관한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배터리 부족에 미리 대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변기기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주변 기기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기기의 요청에 따른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한지에 관한 배터리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휴대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배터리 알림이 원격 기기에 의해 관리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라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1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기기 100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배터리 알림 모듈 168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전자기기 100가 동작하는 과정들 중 일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 데이터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프로파일의 일 예이다.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프로파일의 다른 예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기기 5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 6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에 표시되는,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장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의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도 10a는 복수의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휴대기기 100에 표시되는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 메지지의 일 예이다.
도 10b는 도 9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복수의 이벤트들에 기반하여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는 휴대 기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장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의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알림을 표시하는 휴대 기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동적으로 배터리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인디케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기기와 통신하는 휴대 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가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원격 기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가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주변 기기 및 원격 기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기기의 제어에 기반하여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는 휴대 기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알림에 반영될 이벤트 종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및 주변 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장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가 주변 기기의 배터리 정보에 기반하여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는 알고리듬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기기에 표시되는,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라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네트워크 50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휴대 기기 100, 원격 기기 500, 주변 기기 600, 및 서버 150를 포함한다.
휴대 기기 100는 휴대 기기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해서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휴대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충분한지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해서 휴대 기기 100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 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을 통해서 휴대 기기는 현재 배터리 잔량과 관련된 잠재적인 이슈들을 사용자의 장래 사용 계획이나 사용 패턴을 감안하여 미리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기기 100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한 알림 정보를 외부 기기(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외부 기기의 속성(예: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음악 재생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기기가 모바일 의료기기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건강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 100는 네트워크 50를 통해 원격 기기 500로부터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지시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격 기기 500의 요청에 따라 휴대 기기 100는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장래에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100는 배터리 잔량이 상기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 기기 100의 배터리 부족 상태를 네트워크 50를 통해서 원격 기기 5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 기기 10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주변 기기 600로부터 주변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50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휴대 기기 100는 주변기기 600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주변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충분한지 판단하고 판단에 기초해서 선택적으로 주변기기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휴대 기기 100는 휴대 기기 100의 사용을 모니터링한 결과 얻어진 데이터를 네트워크 50를 통해서 서버 150에 전송할 수 있다.
원격 기기 500는 네트워크 50를 통해 휴대 기기 100에 연결할 수 있다. 원격 기기 500는 네트워크 50를 통해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지시하는 요청을 휴대 기기 1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변 기기 60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휴대 기기 100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기기 600는 주변 기기 600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휴대 기기 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150는 휴대 기기 100의 사용을 모니터링한 결과 얻어진 데이터를 네트워크 50를 통해서 전자기기 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네트워크 50은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휴대 기기 100, 원격 기기 500, 주변 기기 600, 서버 150 모두 전자기기, 컴퓨팅 장치로 언급될 수 있는 장치로서 통신부와 프로세서를 갖고 동작하는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휴대 기기, 원격 기기, 주변 기기, 서버로 부르기로 한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1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100는 제어부 150, 통신부 107, 디스플레이부 11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 115는 제어부 150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이러한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부 115는 배터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 107은 휴대 기기 100와 외부 장치 즉, 서버 150, 원격기기 500, 주변기기 600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 150는 디스플레이부 115 및 통신부 107를 포함하여 휴대기기 100의 구성요소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 150는 휴대 기기 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휴대 기기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 주변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50는, 휴대 기기 100에서 실행될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현재 실행 중이거나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보다 먼저 실행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현재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한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휴대 기기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50는,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주변 기기 600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충분한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주변 기기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50는, 상기 휴대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50는, 원격 기기 500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지시하는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50는, 현재 배터리 잔량이 원격기기로부터 요청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의 배터리 부족 상태를 상기 원격 기기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50는,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필요한 배터리 잔량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50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확보하기 위해 종료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비활성화 해야 하는 휴대 기기의 하드웨어 모듈의 목록을 디스플레이부 115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목록은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미리 정해진 중요도에 따라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보다 낮은 중요도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5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얼마나 더 오래 실행될 수 있는지 계산하고 상기 계산에 의해 얻어진 시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50는, 소정 기간 동안 상기 휴대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한 결과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기기에서 실행되었던 어플리케이션들의 소비 전력을 나타내는 전력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력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기기 100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휴대 기기 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휴대 기기 100 내에는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이 실시예에 따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의 구성 요소들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고,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101는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광대역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서브 통신부 102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A/V 처리부 103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A/V 처리부103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A/V 처리부103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입출력부110에 포함된 스피커(도시되지 않음)는A/V 처리부103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카메라부 104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렌즈 및 광학 소자들을 포함한다. 도 2a에는 두 개의 카메라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카메라가 포함될 수도 있도 있고 세 개 이상의 카메라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센서부 105는 휴대 기기 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중력 센서,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사람의 근접도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PS 수신부 106는 인공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부 110은 외부 기기나 사람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버튼, 마이크, 스피커, 진동 모터, 커넥터, 키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입출력부 110는 스피커를 통해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입출력부 110는 진동 모터를 통해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115는 터치스크린 콘트롤러 117과 터치 스크린 118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118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의 터치 입력은 핀치(pinch), 스프레드(spread), 드래그(drag), 탭(tap) 등 다양한 제스쳐에 의해 감지된다. 터치 스크린의 표시 패널(도시하지 않음)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고,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 117는 터치 스크린 118을 통해 입력된 터치 입력을 제어부 150에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115는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 또는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 119는 휴대 기기 10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및/또는 외부 전원 소스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메모리 160는 휴대 기기 100의 동작에 사용되는 운영 체제, 각종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내장형 메모리(Internal Memory) 및 외장형 메모리(External Memor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형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보존할 수 있다. 외장형 메모리는,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동 통신 모듈 161, Wi-Fi 모듈 162, 블루투스 모듈 163, DMB 모듈 164, 카메라 모듈 165, 센서 모듈 166, GPS 모듈 167, 배터리 알림 모듈 168, 동영상 재생 모듈 169, 오디오 재생 모듈 17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각 모듈들은 휴대 기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모듈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서는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배터리 알림 모듈 168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알림 모듈 168은 휴대 기기 100에서 소정 시간 내에 실행될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현재 실행 중이거나 장래 어플리케이션보다 먼저 실행될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현재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한지 판단하며, 그에 따라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명령어들이 제어부 150에 의해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배터리 알림이 제공되며, 배터리 알림은 입출력부 110나 디스플레이부 115를 통해 텍스트나 그림, 사운드, 진동, 램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배터리 알림 모듈 168은 휴대 기기 100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명령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기간 동안 상기 휴대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명령어들, 휴대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기 위한 기계 학습 알고리듬 등이 배터리 알림 모듈 168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160는 사용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171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171은 어플리케이션 사용과 관련된 데이터 410, 전력 프로파일 420, 어플리케이션 실행 스케줄 430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5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2a에 도시된 유닛들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어부150는 RAM, ROM, CP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AM, ROM, CPU 및 GPU는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메모리16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60에 저장된 운영 체제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예를 들면, 휴대 기기100는 전원이 공급되면, CPU가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60에 저장된 운영 체제를 RAM에 복사하고, 운영 체제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60에 복사하고, RAM160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개념들은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어떠한 집적 회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은 어떠한 무선 통신 유닛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은 신호 처리기,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또는 기타 하위 시스템 요소와 같은 독립형 기기(stand-alone device)에 채택될 수 있다.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배터리 알림 모듈 168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c를 참조하면, 배터리 알림 모듈 168은 전력 프로파일러 모듈 168-1, 학습 모듈 168-2, 이벤트 모니터링 모듈 168-3,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모듈 168-4, 배터리 모니터링 모듈 168-5를 포함한다.
전력 프로파일러 모듈 168-1은, 애플리케이션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 통계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별 또는 액티비티 별 전력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관리한다.
학습 모듈 168-2은, 사용자가 액세스한 어플리케이션들의 런타임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결정한다.
이벤트 모니터링 모듈 168-3은, 사용자와 관련한 이벤트들을 모니터링한다.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모듈 168-4은, 사용자가 액세스했거나 사용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모니터링한다.
배터리 모니터링 모듈 168-5은 휴대 기기 100의 현재 배터리 레벨을 모니터링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전자기기 100가 동작하는 과정들 중 일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휴대 기기의 시스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303는 사용 모니터링 모듈 307, 배터리 모니터링 모듈 309, 사용자 선호도 모니터링 모듈 321로 휴대 기기의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 모니터링 모듈들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API들은 장래의 일정들을 처리하기 위한 이벤트 모니터링 모듈 305로 장래 이벤트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벤트 모니터링 모듈 305는 장래 일정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자의 허가301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사용 모니터링 모듈 307 및 배터리 모니터링 모듈309은 취합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311로 출력하는데, 이 데이터베이스311는 휴대 기기 내에 존재할 수도 있고 원격의 장치에 존재할 수도 있다.
사용자 선호도 모니터링 모듈 321는 사용자의 과거 및 현재 사용에 대한 정보를 패턴 감지 모듈 319로 출력한다. 만약 사용자가 717에서 이 정보가 이용되는 것에 동의하였다면 패턴 감지 모듈 319에서 취합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311로 출력된다.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도 정보 315도 데이터베이스 311에 입력되도록 하여 데이터베이스 311가 관련 정보를 배터리 사용 예측부 313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 사용 예측 모듈 313은 장래 일정, 과거 또는 현재 사용 및 현재 배터리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배터리 레벨을 예측한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 데이터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휴대 기기 100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휴대 기기 100의 사용을 모니터링하여 사용 데이터를 수집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액세스한 어플리케이션의 ID 및 실행 시간, 장소, 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관련된 활동(activity)/이벤트, 소비 전력량 등의 사용 데이터 411를 데이터베이스 410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반드시 휴대 기기 내에 위치할 필요는 없으며, 온라인 상의 서버 1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100 또는 외부의 서버 150는 데이터베이스 410에 저장된 사용 데이터 정보 411에 기초하여 사용 통계를 분석하고, 그 결과 어플리케이션들이 소비하는 전력 및/또는 전력량을 나타내는 전력 프로파일 420을 생성한다. 전력 프로파일 420은 특정한 데이터 구조나 형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특정 활동 등의 소비 전력 및/또는 전력량을 나타낼 수 있으면 어떠한 형식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X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력 프로파일은 이 어플리케이션이 평균적으로 Y mA의 전력을 소비한다는 정보 및/또는 Z mAh의 전력량을 소비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100는 휴대 기기 사용의 모니터링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411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일정,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언제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지를 예측 431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스케쥴 43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기기는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를 기반으로 하는 적절한 학습 알고리듬을 활용할 수 있다. 기계 학습은 컴퓨터가 과거에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훈련해서 패턴을 인식하도록 하는 기술 분야를 의미하며, 여기서 학습 알고리듬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매주 월요일 오후 1시부터 2시 사이에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X라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30분 정도 실행시키는 사용 패턴이 인지되면, 스마트폰은 다음주 월요일에도 사용자가 비슷한 시각에 X 어플리케이션을 30분 정도 실행시킬 것으로 예측하고 X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적절한 배터리 알람을 출력한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스케쥴 430은 경우에 따라 원격 기기300에 의해 강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환자인 경우 의사는 병원의 원격 제어 시스템 300를 이용하여 환자의 휴대폰에서 특정 시각에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예약 432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미리 원격 기기 300에 대한 인증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반드시 정해진 시각에 실행되어야 하므로 배터리 부족을 미리 경고하는 알림이 매우 중요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는 전력 프로파일 420과 사용자의 스케쥴 430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소정 시간(예를 들면, 현재 시각으로부터 6시간 이내 또는 오늘 내)에 실행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장래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 결정하고, 현재 배터리 수준으로 장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나 완료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부족을 경고하는 배터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배터리 알림은 배터리의 잔량에 관련된 모든 종류의 경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이며,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 램프, 사운드, 진동 등의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100는 단지 휴대 기기 자체 뿐 아니라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주변 기기400에 대한 배터리 알림도 출력한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기기400를 통해 사용자의 심박동수를 측정하는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예정된 경우 휴대 기기는 미리 웨어러블 기기400의 배터리 정보를 수신하고 전력 프로파일420을 참조하여, 만약 예정된 시각에 웨어러블 기기400가 심박동수 측정을 하기에 배터리가 부족할 것으로 판단되면 웨어러블 기기400에 대한 배터리 알림을 출력한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프로파일의 일 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프로파일 440은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액세스 이력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이나 전력량과 함께 기록한 테이블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프로파일 440의 각 엔트리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력 프로파일 440의 각 엔트리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ID 440-1, 어플리케이션에 소요되는 소비 전력 또는 전력량 440-2,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날짜/시각 440-3, 런타임 440-4,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장소 440-5, 관련된 활동(activity) 440-6, 연동되는 주변 기기정보 440-7이 포함될 수도 있다. 연동되는 주변기기 정보 440-7은 연동되는 주변 기기의 ID, 주변 기기의 소비 전력과 같은 주변 기기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프로파일의 다른 예이다.
도 4b에는 전력 프로파일 440이 어플리케이션 별로 생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전력 프로파일 450은 활동(이벤트) 별로 생성될 수도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전력 프로파일 450의 각 엔트리는 액티비티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액티비티 ID 450-1, 액티비티에 소비되는 소비 전력 450-2, 액티비티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 1 정보 450-3, 액티비티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 2 정보 450-4, 액티비티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 3 정보 450-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된 어플리케이션 1 정보 450-3은 어플리케이션 ID 1 450-31, 사용시간 450-32, 소비전력 450-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등산> 활동에 대한 전력 프로파일은 사용자의 등산 활동이 평균적으로 K mA의 전력을 소비한다는 정보 및/또는 L mAh의 전력량을 소비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등산> 활동 중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의 ID, 사용 시간, 소비 전력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프로파일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캘린더나 할일 목록 등에 저장된 사용자의 일정에 얼만큼의 전력량이 필요할지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사용자가 캘린더에 <12:00 등산>으로 일정을 저장했으면, 휴대 기기는 <등산> 활동에 대한 전력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12시 전까지 L mAh의 전력량을 확보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캘린더에 <12:00~15:00 등산>으로 일정을 저장했으면, 휴대 기기는 <등산> 활동에 대한 전력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등산 일정을 위해 12시 전까지 3K mAh의 전력량을 확보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등산> 활동과 관련한 사용 데이터를 분석하면 <등산> 활동에 대한 전력 프로파일을 분석하거나 또는 <등산> 활동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력 프로파일을 참조하면 가까운 장래에 예정된 <등산> 활동에 얼만큼의 전력량이 필요한지 예상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기기 5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1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기기 500는 제어부 510과 통신부 520를 포함한다.
통신부 520는 네트워크 50를 통해 원격 기기 500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 510는 통신부 520를 포함하여 원격기기 500 전반을 제어하며, 통신부 520를 이용하여 휴대 기기 100를 제어한다.
제어부 510는 원격 기기 5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주변 기기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 주변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51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지시하는 요청을 휴대 기기 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510는 휴대 기기 100에 실행할 것을 요청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휴대 기기 100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도록 하는 명령을 휴대 기기 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 6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100와 연동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 기기 600는 제어부 610과 센싱부 620과 통신부 630를 포함한다.
통신부 6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기기 600과 휴대 기기 100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센싱부 62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주변 기기 6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태나 사용 환경의 상태를 감지한다. 센싱부 62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주변 기기 6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싱부 62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color 센서, 생체 센서, 온/습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센싱부 62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 red)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지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 62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610는 센싱부 620 및 통신부 630를 포함하여 주변기기 600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 610는 주변 기기 6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주변 기기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 주변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610는 주변기기 600의 배터리 잔량을 주기적으로 휴대 기기 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610는 휴대 기기 100의 요청에 따라 주변기기 600의 배터리 잔량을 휴대 기기 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 701에서, 휴대 기기 100는 일정 기간 동안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 기간은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기간동안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의 런타임, 날짜, 시각, 장소, 어플리케이션 종류, 활동, 소비 전력, 연동되는 주변 기기 정보 등의 데이터가 수집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의 제어부 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사용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동작 702에서, 휴대 기기 100는 수집된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의 소비 전력(또는 전력량)을 나타내는 전력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의 제어부 15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된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또는 각 액티비티 별로 전력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701과 동작 702를 포함하는 동작 710는 휴대 기기 100 내부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 703에서, 휴대 기기 100는 소정 시간 내에 휴대 기기에서 실행될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캘린더나 할일 목록 등 다양한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는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되지 않은 일정을 기계 학습 알고리듬을 통해 예측함으로써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나 복수의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장래 이벤트나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는 휴대 기기의 사용 패턴에 따라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는 주변기기에서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장래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는 원격기기로부터 수신된 입력에 따라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704에서, 휴대 기기는 장래 어플리케이션보다 먼저 실행될 어플리케이션(이하 선행 어플리케이션) 또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을 고려하여 현재 배터리 잔량이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한지 판단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선행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력 프로파일이 참조될 수 있다. 선행 어플리케이션은 장래 어플리케이션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계 학습 알고리듬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만약 동작 704의 판단 결과 현재 배터리 잔량이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 기기 100는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한다.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은 휴대 기기 100의 다양한 수단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는 입/출력부 110에 포함된 진동 모터나 스피커, 디스플레이부 115를 이용하여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에 표시되는,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100는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의 일 예로서 <4시간 후에 일정이 있으며, 현재 사용 수준으로는 배터리가 3시간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충전기에 연결하세요> 라는 메시지 800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메시지는 일 예에 불과하며 배터리 부족을 알려줄 수 있는 메시지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는 복수의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장래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장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의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동작 910에서, 휴대 기기 100는 복수의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장래 이벤트를 결정한다.
사용자에 관해 예정된 장래 이벤트들은 그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심박동수 측정과 같은 이벤트는 컨퍼런스 콜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기기 100는 다가오는 장래 이벤트들을 표시할 때 각 이벤트에 관련된 액션과 중요도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는 특정 폰트나 폰트 크기, 색상, 오디오 톤이나 오디오 경고를 이용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강조될 수 있다.
사용자와 관련하여 예정된 이벤트의 중요도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질 수도 있고, 그 이벤트 자체에 의해 정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예정된 이벤트의 중요도는 예들 들면 의료 서비스 제공자 같은 제3자에 의해 원격 기기500을 통해 재설정되거나 제어될 수 있다.
중요도는 많은 사용자들에 의한 사용 정보와 그들에 의해 설정된 중요도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군중 학습 기술(crowd learning technology)를 이용하여 얻어진 파라미터일 수 있다.
중요도는 중요도 행렬을 이용하여 활용될 수 있으며, 중요도 행렬은 휴대 기기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중요도 행렬은 중요도가 부여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중요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원격 기기 500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예를 들면 서버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과 관련하여 예정된 이벤트들의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환자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원격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련있는 예정 이벤트들의 중요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그 변경이 휴대 기기 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환자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가 변경되었음을 알게 되고, 휴대 기기 100에 의해 예비 경고가 제공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휴대 기기 100는 결정된 장래 이벤트를 실행하기에 배터리가 충분한지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의 제어부 150는 도 4b나 도 4c에 도시된 전력 프로파일 및 현재 휴대 기기 100의 배터리 레벨을 참조하여, 결정된 장래 이벤트를 실행하기에 배터리가 충분한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휴대기기 100는 동작 920의 판단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한다.
도 10a는 복수의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휴대기기 100에 표시되는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 메지지의 일 예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메시지 1000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리스트 1010, 중요도에 따라 결정된 장래 이벤트에 기반한 배터리 정보 1020, 액션 리스트 10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벤트 리스트 1010은 휴대 기기 100에서 실행될 하나 이상의 이벤트들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중요도에 따라 결정된 장래 이벤트에 기반한 배터리 정보 1020는, 중요도에 따라 결정된 장래 이벤트를 실행하기에 배터리가 충분한지 아닌지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액션 리스트 1030는 중요도에 따라 결정된 장래 이벤트를 실행하기에 배터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장래 이벤트를 실행하기에 충분한 배터리 확보를 위해 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액션들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액션으로는, 충전기를 연결하여 충전을 수행하거나 또는 배터리 확보를 위해 현재 실행되거나 장래 실행될 어플리케이션 즉, 장래 어플리케이션 실행이전에 실행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b는 도 9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복수의 이벤트들에 기반하여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는 휴대 기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장래 이벤트로서 <1시간 후 컨퍼런스 콜, 2시간 후 심박동수 측정 예정> 1010-1, 장래 이벤트에 기반한 배터리 정보로서 <심박동수 측정하기에 배터리가 부족할 것을 예상됩니다> 1020-1, 액션 리스트로서 <충전기에 연결하세요> 1030-1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벤트의 중요도는 제어부 150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강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 150는 이벤트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휴대 기기의 진동 기능이나 적어도 하나의 알림 라이트, 사운드 알림을 이용할 수도 있고 TTS(Text To Speech)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심박동수 측정>에 대한 중요도는 텍스트의 색상, 폰트, 텍스트 크기, 텍스트 굵기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강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는 휴대기기의 사용패턴에 따라 장래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장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의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동작 1110에서, 휴대 기기 100는 휴대기기의 사용패턴에 따라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설정한 장래 어플리케이션이 아니어도 사용자의 휴대 기기 사용패턴에 따라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100는 사용자의 휴대 기기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4시에서 5시 사이에 뮤직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음악을 감상하는 습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뮤직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을 장래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120에서 휴대 기기 100는 결정된 장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전력량을 결정한다.
휴대기기 100의 제어부 150는 전력 프로파일러 모듈 168-1,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모듈 168-4, 학습 모듈 168-2830 및 배터리 모니터링 모듈 168-5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른 배터리 소비량을 지능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 150는 여러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들 모두에 대한 종합적인 배터리 수명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과거의 사용자 습관들에 기초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 150는 목표 배터리 소비량을 제공하기 위해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닫아야 하는지 지능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목표 배터리 레벨은, 현재의 배터리 레벨 및 사용자의 사용 방식으로는 실행할 수 없는, 장래 예정된 적어도 하나의 중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배터리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전력 분배의 일차원적인 해석은 배터리의 성능 저하로 인해 부정확한 결과를 야기하므로, 지능적인 결정은 이에 기초하지 않는다. 따라서, 배터리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동되고 있는 각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정기적인 체크 및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지능적인 결정은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각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할 수도 있고 종합적으로 동시간에 실행중인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에 기반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학습 모듈 168-2은 제어부 150가 현재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전력 분배 또는 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라는 권장 메시지를 지능적으로 결정하도록 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별 배터리 전력 사용량이 결정된다. 이러한 결정이 지능적인 알고리듬과 결합하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함으로써 무선 통신 기기의 남은 배터리 수명/시간을 제어하고 실시간으로 배터리 수명의 증가량을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현재 사용량에 기초하여 남은 배터리 수명을 결정하고 실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었을 때만 그 남은 배터리 수명이 변할 뿐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기 전에는 배터리 수명의 잠재적인 활용성을 평가하지 못하는 종래 기술보다 더 지능적인 접근 방식이 제공될 수 있다.
동작 1130에서, 휴대기기 100는 결정된 전력량 확보를 위해 비활성화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는 결정된 전력량 확보를 위해 배터리 충전을 권고하는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1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알림을 표시하는 휴대 기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휴대 기기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4시에서 5시 사이에 뮤직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음악을 감상하는 습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알람은 도 12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제어부 150는 사용자에게 배터리 잔량을 목표 배터리 레벨까지 연장시키기 위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확보하기 위해 종료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비활성화 해야 하는 휴대 기기의 하드웨어 모듈을 명시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메시지 1200는 <4PM-5PM 에 평소처럼 음악을 감상하려면 다음중 하나를 종료하세요 웹 브라우저, 미디어 플레이어, GPS> 로 나타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150는 휴대 기기 100 내의 많은 모듈들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웹브라우저, GPS, 미디어플레이어와 같이 만약 종료되거나 비활성화 되면 추후 심박동수 측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나 하드웨어 모듈을 지능적으로 결정하여 배터리 알림 메시지에 명시할 수 있다. 이 때, 메시지에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미리 정해진 중요도를 참조하여 장래 어플리케이션보다 낮은 중요도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만이 명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현재 실행 중인 화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가 1시간 후에 예정된 뮤직 플레이어보다 더 높은 경우, 휴대 기기는 1시간 후에 뮤직 플레이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배터리를 확보하기 위해 현재 실행 중인 화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것을 권장할 필요가 없다.
또한, 휴대 기기 100는 사용자의 위치, 시간, 누적된 사용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후, 예를 들면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후, 목적지를 찾기 위해 통상적으로 지도 및 GPS 기능을 이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휴대 기기는 앞으로 지도나 GPS 기능과 같은 어떤 어플리케이션들이 사용될 것이라는 추측 하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목적지로 출발하기 전에 미리 배터리를 충전할 것을 통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는 현재 실행중이거나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동적으로 배터리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동적으로 배터리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310에서, 휴대 기기 100는 현재 실행중이거나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한다.
동작 1320에서, 휴대 기기 100는 검출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전력 프로파일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의 제어부 150는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력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검출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전력 프로파일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330에서, 휴대 기기 100는 결정된 전력 프로파일 및 현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배터리 인디케이터를 표시한다.
배터리 인디케이터는 배터리 잔량을 다이어그램 및/또는 숫자로 표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인디케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웹브라우저 1410를 실행한다고 가정한다.
웹브라우저의 전력 프로파일과 현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휴대 기기는 사용자의 현재 실행 중인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남은 시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휴대 기기 1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웹브라우저가 계속하여 실행될 경우 지속 가능한 시간(여기서는 50분)을 배터리 인디케이터 1411를 통해 표시한다.
이 때, 만약 사용자가 영화를 감상하기 위해 미디어 플레이어 1420를 실행시킨다고 가정한다.
그 결과, 휴대 기기 100는 사용자의 새로운 사용에 기초하여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음을 검출하고 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즉 미디어 플레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전력 프로파일을 결정하고, 이를 누적된 전력 프로파일들 및 배터리 레벨들과 연계시킨다. 그 결과, 휴대 기기 100는 사용자의 현재 활동에 기초할 때 영화 시청을 위해 남아있는 시간은 사용자가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할 때보다 더 짧다고(예를 들면 20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기기 100는 배터리 인디케이터 1421의 표시를 업데이트하여 사용자에게 영화 시청을 할 경우 배터리 고갈시까지 또는 너무 낮은 레벨의 임계 수준에 도달하기까지는 단지 20분이 남아있음을 통지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휴대 기기 100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사용 시간을 판단하여 배터리 인디케이터1411, 1421를 사용자의 현재 어플리케이션들에 의한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 인디케이터1411, 1421를 통해 현재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남은 시간을 통지받을 수 있게 되고, 결국 자신의 향후 일정에 배터리가 충분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는 원격 기기 500과의 통신을 통해 배터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원격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기기와 통신하는 휴대 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휴대 기기 100-1은 원격 기기 500-1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 802를 포함하고, 이 안테나802에 연결된 안테나 스위치 또는 듀플렉서804는 휴대 기기100-1 내에서 송신 체인과 수신 체인을 분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신 체인은 신호에 대한 수신, 필터링 및 IF 대역 또는 베이스 밴드로의 주파수 변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수신부 전단 회로 806를 포함한다. 수신부 전단 회로 806는 일반적으로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알려져 있는 신호 처리 모듈 808과 연결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수신부의 회로 집적도나 구성 요소가 구현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컨트롤러 814는 휴대 기기10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수신부 전단 회로 806 및 신호 처리 모듈 808에 연결되어 프로세스들이나 회로들 또는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 814는 선택적으로 디코딩/인코딩 기능, 동기화 패턴, 코드 시퀀스 등의 운영 체계(operating regime)를 저장하는 메모리 기기 816 및 버퍼 모듈 817과도 연결될 수 있다. 타이머 815는 컨트롤러 814와 연동하는데, 예를 들면 휴대 기기100-1 내에서 이루어지는 동작들(예들 들면 시간에 의존하는 신호들의 송수신)의 타이밍을 결정한다.
송신 체인은 입력 모듈 820을 포함하며, 이 입력 모듈 820은 신호 처리 모듈 808, 송신/변조 회로 822 및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824 (또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증폭 체인)을 통해 안테나 802와 직렬로 연결된다. 안테나 802는 안테나 어레이의 형태가 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변조 회로 822 및 전력 증폭기824는 컨트롤러 814에 의해 제어된다.
송신 체인의 신호 처리 모듈 808은 수신 체인의 신호 처리 모듈과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로세서가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모두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휴대 기기100-1 내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최종적인 구조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또는 디자인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컨트롤러 814는 추가적으로 시스템 레벨의 블럭들818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는 전력 프로파일러 모듈 828, 학습 모듈 830, 이벤트 모니터링 모듈 832,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모듈 834 및 배터리 모니터링 모듈 836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추가적인 시스템 레벨의 블록들 818은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입되어 휴대 기기100-1의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또는, 추가적인 시스템 레벨의 블록들818은 컨트롤러814 외부에 위치하여 컨트롤러 814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프로파일러 모듈 828은 사용자의 사용 패턴들 및/또는 사용자가 액세스한 어플리케이션들에 기초하여 전력 프로파일들을 생성한다. 나아가, 전력 프로파일러 모듈 828은 사용자가 액세스한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에 대한 표시와 함께 그 사용 패턴들 및/또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중요도 순위를 매긴 후 이 정보를 영구적인 또는 반 영구적인 저장 모듈, 예를 들면 메모리 기기 816에 저장한다.
또는, 컨트롤러 814는 장소나 시간, 날짜 등의 주어진 환경에서 사용자가 통상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하고, 전력 프로파일러 모듈 828은 그에 따라 전력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 814는 학습 모듈 830을 통해 시간 및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행동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월요일 아침에 슈퍼마켓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일정 시간 동안 이용할 수 있다.
전력 프로파일러 모듈828의 전력 프로파일들은 각 어플리케이션이 완료된 다음,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의 전력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학습 모듈 830에 적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학습 모듈 830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누적된 전력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전력 프로파일러 모듈 828에 의해 정해진 사용자의 전력 프로파일은 어플리케이션들의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전력 소비 변화를 나타내는 엔트리들의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테이블은 학습 모듈 830의 학습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얻어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학습 모듈 830은 예를 들면 GPS나 Wi-Fi의 활성화 시간, 사용자가 액세스한 어플리케이션들의 런타임 등을 포함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결정한다. 사용자의 매시간 및/또는 매일 활동에 대하여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학습 모듈 830은 초기 기간동안 계속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학습 알고리듬이 초기 기간, 예를 들면 2-5일, 동안 가능한 한 많은 기기 사용 정보를 얻기 위해 계속하여 실행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학습 알고리듬은 사용자가 휴대 기기 100-1를 셋업했을 때 처음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학습 알고리듬은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나 휴대 기기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실행될 수도 있다.
학습 모듈 830의 학습 기간 동안, 학습 모듈 830은 시스템 휴지 시간(system idle time)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휴대 기기에서 이미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학습 모듈 83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요소/회로/프로세스가 새로운 상태에 진입했을 때 타임 스탬프를 기록하는데, 이것은 이후 필요할 때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가져올 수 있다.
나아가, 초기 기간이 만료되면 학습 모듈 830은 <온-디맨드> 동작 모드로 바뀐다. <온-디맨드> 동작 모드 동안, 학습 모듈 830은 일반적으로 이전 학습 기간들 동안에 <학습된> 패턴들을 이용할 수 있다.
<충전 시기>가 감지되면, 예를 들어 휴대 기기 100-1가 충전기에 연결되면, 학습 모듈 830은 어플리케이션의 런타임, 데이터 사용 등을 최신으로 유지하기 위해 앞서 결정된 프로파일을 한번 또는 그 이상 체크한다. 체크하는 동안, 런타임, 데이터 사용 등에 대한 모든 업데이트 사항은 학습 모듈 830의 학습 알고리듬에 추가된다.
나아가, 학습 모듈 830은 주기적인 또는 트리거된 정보/데이터 업데이트 사항들을 얻기 위해 다양한 등록 어플리케이션들의 회신(callback) 서비스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신 서비스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에는 동작하지 않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학습 모듈 830은 아웃룩 캘린더, 페이스북, 트위터, 이메일 메시지, 문자 메시지, 음성 대화 분석기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회신을 등록하여, 학습 모듈 830과 관련 있는 새로운 이벤트가 추가되면 이를 통지받는다. 회신을 수신하면, 학습 모듈 830은 관련된 엔트리들을 이벤트 모니터 832 내의 이벤트 리스트에 추가하고 그 엔트리들을 학습된 데이터와 연계시킨다.
이벤트 모니터링 모듈 832는 사용자와 관련된 이벤트들, 예를 들면 캘린더 엔트리에 저장된 곧 다가오는 이벤트나 이메일을 모니터링한다. 나아가, 이벤트 모니터링 모듈 832는 헬스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들과 같이 특정 시간에 동작해야 하는 플래그된(flagged) 이벤트를 모니터링한다. 플래그된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고 원격 기기 500-1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으며, 이 원격 기기500-1는 제3자가 보유한 것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모듈 834는 사용자가 액세스 했거나 사용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모듈834는 특별히 중요하다고 플래그된 어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웰빙 어플리케이션은 중요한 것으로 플래그되고,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모듈 834는 사용자가 이 특별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플래그된 어플리케이션을 주어진 시간 또는 위치에서 사용하지 않은 경우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모듈 834는 이러한 사실을 컨트롤러 814에 알릴 수 있다. 그에 따라, 컨트롤러 814는 휴대 기기100-1를 제어하여 원격 기기 500-1에 이러한 사실을 통지하도록 하거나 사용자에게 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상기시키도록 한다.
배터리 모니터링 모듈 836은 휴대 기기100-1의 현재 배터리 레벨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배터리 모니터링 모듈 836은 휴대 기기 100-1의 잔존 배터리 전력에 따른 가동 시간을 결정 및 예측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의 이전 사용 패턴과 현재 사용이 참조될 수 있다. 나아가, 배터리 모니터링 모듈 836은 장래 실행 예정인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배터리 레벨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의 특정 과거, 현재, 미래에서의 휴대 기기 사용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 814는 다가오는 사용자 이벤트, 배터리 상태를 체크하고 적절한 업데이트를 위해 데이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826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기기를 관리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826는 배터리 알림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휴대 기기100-1는 데이터 쓰기를 계속적으로 메모리816에 대해 수행하는 것을 피함으로써 휴대 기기 사용에 의한 메모리 액세스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프로파일러 모듈 828, 학습 모듈 830, 이벤트 모니터링 모듈 832,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모듈 834 및 배터리 모니터링 모듈 836과 같은, 휴대 기기100-1의 다양한 모듈들에 의해 결정된 정보는 평가 및 분석을 거쳐서 주기적으로, 예를 들면 매 30분마다,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배터리 전력을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부담을 덜 수 있고 배터리가 모두 방전되어 휴대 기기100-1가 예기치 않게 셧다운 된 경우에도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정보 수집 과정은 예를 들면 푸쉬 방식이나 풀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휴대 기기에서 수행중인 서비스가 그 휴대 기기 내의 구성 요소에 대해 생긴 변화(예를 들면, 더 이상 비디오 스트림이 사용되지 않음)를 알게 되면, 그 서비스는 상태 변화 정보를 배터리 모니터링 모듈836에게 푸쉬하여 잔존 배터리 레벨/시간에 대한 결정이 업데이트되도록 한다. 또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신호 처리 모듈818과 같은 구성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 그 구성 요소가 활동을 시작하거나 정지할 때처럼 어떤 활동이 변경되는 시점에서의 배터리 사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활동 중인 구성 요소들로부터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휴대 기기100-1는 일정 기간동안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의 현재 전력 사용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그 전력 사용 레벨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 기기816와 같은 영구적인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이 저장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되는 동안 시간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사용량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파일 기간에 사용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한 전력 프로파일은 소비된 전력 뿐 아니라 시간/위치/사용 시간 등에 대한 세부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활동 X가 진행 중이고, X의 전력 프로파일은 Y mA를 소비하였음을 나타내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현재 예측된 배터리 수명에 기초하여 활동 X가 얼마나 더 지속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알림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100-1는 현재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들(백그라운드 작업도 포함 가능)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 및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배터리 전력의 잔존 퍼센티지나 남은 시간에 대한 알림을 동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어떤 목적지까지의 이동이나 영상/음악의 재생과 같이 어떤 활동이 완료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충전을 위해 휴대 기기 100-1를 전원에 연결할 것을 나타내는 알림을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청각적, 시각적 또는 모션/진동에 의한 방식으로 받을 수 있다.
사용자에게 일찍 충전에 대한 경고를 하기 위해, 전력 프로파일은 캘린더 엔트리, 페이스북 이벤트, 해야할 일 목록 등 사용자의 장래 계획을 고려할 수 있다.
휴대 기기100-1는 예를 들면 여행 기간이 연장되거나 충전 장소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등 장래에 평소보다 오랜 기간동안 전원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것으로 판단되면(이전에 결정된 전력 프로파일에 기초할 수 있음), 사용자에게 미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경고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100-1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배터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 알림은 일련의 액션 프로파일들에 기초할 수 있으며 가용 전력에 따라 여러 작업들 간의 우선 순위들을 고려할 수 있다. 배터리 알림은 동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휴대 기기100-1는 즉각적인 배터리 소비량을 사용자에게 배터리 알림으로써 제공하여, 사용자가 즉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다양한 액션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휴대 기기 100-1는 원격 기기 500-1와 연결될 수 있고, 이 원격 기기 500-1는 제3자의 소유일 수 있다. 원격 기기 500-1는 휴대 기기 100-1를 모니터링하여 배터리 잔량이나 배터리 충전 상태 등의 배터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원격 기기 500-1는 컨트롤러 856 및 이와 연동하는 트랜시버 856를 포함한다. 컨트롤러 856는 배터리 정보 요청을 휴대 기기에게(및/또는 휴대 기기 100-1을 통해 휴대 기기100-1와 연계된 주변 기기에게) 무선으로 송신한다. 그에 대한 응답으로, 휴대 기기100-1 (및/또는 휴대 기기 100-1와 연계된 주변 기기(도시되지 않음))는 현재 배터리 레벨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 100-1 (및/또는 휴대 기기100-1와 연계된 주변 기기)의 배터리레벨을 송신한다.
원격 기기 500-1의 트랜시버854을 통해 수신되는 배터리 레벨은 메모리864에 저장될 수 있다.
원격 기기 500-1는 휴대 기기100-1 (및/또는 휴대 기기 100-1와 연계된 주변 기기)의 기능들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래머 85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64 및/또는 컨트롤러 856는 원격 기기 500-1의 사용자, 예를 들면 의사, 가 휴대 기기 100-1(및/또는 휴대 기기 100-1과 연계된 주변 기기)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866에 연결된다. 예들 들면, 원격 기기 500-1는 텔레비전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휴대 기기 100-1가 복수 개의 다른 휴대 기기들과 통신하여 어떤 특정한 작업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바일 그리드 컴퓨팅 어플리케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정 업무량이 주어진 경우, 참가 기기들 중 어떤 기기 또는 기기들이 처리하는 경우 가장 적은 양의 배터리가 소비될 것인지 또는 배터리 충전 시기를 감안할 때 어떤 기기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최적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참가 기기들의 집단 내에서 그 업무량의 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전력량을 이용할 수 있다. 각 참가 모바일 기기는 다른 참가 기기들과 잔존 배터리 충전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이 정보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기기를 예측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100-1는 컨트롤러814, 전력 프로파일러 모듈 828, 배터리 모니터 모듈 836 및 어플리케이션 모니터 834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장래 예정된 이벤트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 814는 휴대 기기100-1의 일정, 캘린더 기능, 이메일과 동기화된 날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래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 814는 학습 모듈830로부터 사용자의 장래 이벤트를 판단할 수도 있는데 학습 모듈 830은 사용자가 일주일 중 어떤 요일에는 일상적으로 어떤 활동 일정을 가지는지 <학습>할 수 있다.
컨트롤러814는 사용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장래의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장래의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졌을 수도 있고, 원격 기기500-1을 통해 사용자 또는 제3자에 의해 원격으로 정해졌을 수도 있다.
컨트롤러 814는 예를 들면 페이스북 이벤트, 할일 목록, SMS 메시지에 포함된 날짜 등 외부 어플리케이션들에 기초하여 장래 활동들을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 814는 사용자의 현재 사용 방식, 현재 배터리 잔량 등을 고려할 때 현재 남아있는 배터리 전력으로는 장래 이벤트를 완료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826를 통해 사용자에게 배터리 전력 문제를 통지한다.
컨트롤러 814는 사용자에게 장래에 곧 다가올 이벤트/일정을 알려주는 한편 곧 다가올 이벤트/일정을 위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휴대 기기100-1를 충전기에 연결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 814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4시간 후에 이벤트가 있고 배터리 모니터 모듈 836에 의할 때 배터리 레벨이 겨우 40%인 경우, 컨트롤러 814는 현재 휴대 기기 100-1의 사용에 기초하여, 전력 프로파일에 따르면 곧 다가오는 장래 이벤트 도중 또는 그 이벤트의 시작 전에 배터리가 소진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81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26을 통해 배터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시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시간 후에 일정이 있는데 현재 사용 수준으로는 배터리가 3시간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충전기에 연결하세요>와 같이 출력된다.
메시지와 함께 또다른 알림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벨소리처럼 청각적인 알림, 알림 라이트와 같은 시각적인 알림, 진동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잔존 배터리 전력에 관한 이슈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알림들은 주변 기기, 예를 들면 갤럭시 기어와 같은 스마트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중요도를 알리기 위해 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다양한 색상, 폰트, 텍스트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 814는 위치 데이터, 현재 시간 등을 이용하여 알림을 언제/얼마나 일찍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달해야 할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 814는 전력 프로파일러 모듈 828로부터의 과거 전력 프로파일들과 예정된 미팅에 기초할 때 사용자가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미팅으로 인해 평소보다 오랫동안 전원으로부터 격리될 것으로 판단되면, 이른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컨트롤러 814는 긴급 통화/SMS를 위해 배터리 잔량에 여분의 전력을 둘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가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원격 기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3자는 원격의 기관, 병원, 기기 제조업체일 수 있다. 또는, 원격 의료 관리자(telemedicine administrator)일 수 있다.
동작 1601에서, 제3자에 의해 제어되는 원격 기기 500-1은 배터리 정보 요청을 휴대 기기로 송신한다.
동작 1603에서, 휴대 기기100-1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814를 통해, 그 요청을 수신하고 배터리 통계 자료를 제3자에게 보낼지 여부를 결정한다.
배터리 통계 자료는, 현재 배터리 레벨은 물론, 현재 및 과거 사용 이력에 의해 예측되는 배터리 레벨, 즉 휴대 기기 내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이벤트들로부터 정해지는 장래 사용량을 고려하여 지능적으로 결정된 잔존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기기 100-1의 컨트롤러81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기들에 대한 배터리 통계 자료가 휴대 기기100-1를 통해 제3자에게 보내져야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 814는 동작 1603에서 사용자 지시에 따라 결정을 할 수도 있고, 또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3자가 배터리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치명적인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의 설정을 무시하고 제3자가 배터리 관련 정보에 액세스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러한 <치명적인 어플리케이션들>이 배터리 관련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대해서는 사용자 설정을 무시하도록 미리 동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명적인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의 건강 관리에 중요한 액티비티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일 수 있다.
동작 1603에서 휴대 기기100-1가 배터리 정보를 제3자에게 보내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휴대 기기 100-1은 제3자에게, 예를 들면 HTTP#401 (비승인) 메시지를 통해, 부정적인 응답을 송신한다. 그렇지 않고, 휴대 기기100-1가 배터리 정보를 제3자에게 보낼 수 있으면, 동작 1605로 진행한다.
동작 1605에서, 휴대 기기100-1는 예를 들면 과거, 현재, 장래 어플리케이션들에 따른 잔존 배터리 수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배터리 정보와 배터리 레벨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만약 동작 1609에서 배터리 레벨이 낮다고 판단되면 동작 1605에서의 모니터링 횟수는 늘어날 수도 있다.
동작 1609에서, 휴대 기기100-1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변 기기들의 배터리 레벨이 낮다고 판단되면, 휴대 기기100-1는 동작 1611에서 더 이상의 프로세싱을 중단하고 제3자에게 예를 들면 HTTP#200(OK)을 보내어 배터리 부족을 통지할 수 있다.
동작 1609에서 배터리 레벨을 결정할 때 알고리듬 880과 유사한 알고리듬이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휴대 기기 100-1는 제3자에게 응답을 보낼 뿐 아니라이를 배터리 모니터에게도 알려서 동작 1605에서 주기적인 모니터링 이벤트가 수정되도록 한다.
동작 1609에서 배터리 레벨이 적절한 한계 범위 내에 있으면 휴대 기기 100-1는 주기적인 응답을 배터리 모니터로 보내어 동작 1605에서의 모니터링 이벤트가 수정되도록 한다. 또한, 동작 1607에서의 주기적인 응답은 제3자에게 전달되어 제3자에게 휴대 기기 100-1의 배터리가 적절한 한계 범위 내에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적어도 동작 1605, 동작 1609, 동작 1607과 1611의 일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100-1의 배터리 모니터링 과정은 동작 1601에서의 제3자의 요청 없이도 수행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이 동작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니터링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가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주변 기기 및 원격 기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동작 1701에서, 원격 기기(예를 들면, 병원의 원격 제어 시스템)는 휴대 기기로 심박동수 측정 이벤트를 요청한다. 이 요청에는 심박동수 측정을 위해 실행되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ID,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각, 연동되는 주변 기기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동작 1702에서, 휴대 기기는 원격 기기의 요청에 따라 스케줄을 설정한다. 즉, 원격 기기가 요청한 시각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휴대 기기가 설정된다.
동작 1703에서, 휴대 기기는 주변 기기로 배터리 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주변 기기는 심박동수 측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심박동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웨어러블 기기로 가정한다.
동작 1704에서, 주변 기기는 현재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휴대 기기로 송신한다.
동작 1705에서, 휴대 기기는 주변 기기로부터 수신한 배터리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기기에 의해 요청된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을 만큼 휴대 기기 및/또는 주변 기기의 배터리가 충분한지 판단한다. 이 때, 심박동수 측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력 프로파일이 참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 및 주변 기기의 배터리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동작 1706에서, 휴대 기기는 배터리가 부족함을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알림은 반드시 시각적인 메시지뿐 아니라 사운드, 진동 등의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동작 1750에서, 경고 메시지를 본 사용자가 주변 기기를 충전기에 연결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휴대 기기를 충전기에 연결하거나 배터리를 확보하기 위한 다른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동작 1707에서, 휴대 기기는 원격 기기에게 요청된 이벤트를 수행하기에는 현재 배터리가 부족함을 통지한다.
동작 1708에서, 배터리 부족을 통지 받은 원격 기기는 휴대 기기에게 전력 확보를 요청한다.
동작 1709에서, 휴대 기기는 심박동수 측정 이벤트에 필요한 전력량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수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일부를 종료한다. 예를 들면, 실행 중인 뮤직 플레이어를 종료하거나 Wi-Fi, GPS 등의 하드 웨어 모듈을 운영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이와 같은 작업 종료는 원격 기기로부터 전력 확보 요청1708이 수신됨에 따라 즉시 수행될 수도 있고, 예정된 이벤트 시각보다 일정 시간 이전, 예를 들면 30분 전, 까지 배터리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1710에서, 휴대 기기는 심박동수 측정 이벤트에 필요한 전력량이 확보되었음을 원격 기기로 통지한다.
동작 1711에서, 휴대 기기는 원격 기기가 요청에 따라 예정된 시각에 심박동수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심박동수 주변 기기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심박동수를 측정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기기의 제어에 기반하여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는 휴대 기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명적인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제3자(예를 들면, 병원의 원격 제어 시스템는 원격으로 사용자의 휴대 기기에서 수행될 장래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화를 감상하던 중 제3자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 알림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하였다. 사용자의 주치의가 사용자의 휴대 기기에서 1시간 후 심박동수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설정한다. 휴대 기기는 전력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1시간 후 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는 현재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였고, 그에 따라 도 18a에 도시된 배터리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8a를 참조하면, 휴대기기 100-1은 <주치의 권한으로 심박동수 측정 앱 실행이 1시간후 실행되도록 원격 설정되었습니다. 배터리가 부족하니 충전기에 연결하세요> 라는 메시지를 담은 배터리 알림 180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8b는 도 18a와 같은 배터리 알림을 본 사용자가 이를 무시하고 계속 영화를 감상한 경우의 휴대 기기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8a의 배터리 알림이 표시된 후 10분간 사용자가 휴대 기기를 충전하지 않은 경우 휴대 기기 100-1은 도 18b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8b에 표시된 배터리 알림 1810은 <10분간 충전기에 연결되지 않아 배터리 확보를 위해 다음 앱을 종료합니다. 미디어 플레이어>라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기기는 사용자의 주치의가 요청한 장래 이벤트에 필요한 배터리 레벨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실행 중인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알림에 반영될 이벤트 종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기기는 캘린더, 할일 목록, 페이스 북 이벤트 등과 같이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도 있지만 과거 사용자의 휴대 기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기계 학습 알고리듬에 따라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예측하기도 한다.
도 19에 도시된 화면은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알림에 반영될 이벤트의 종류를 설정하는 메뉴를 나타낸 것인데, 사용자는 <학습된 이벤트> 메뉴 1900를 통해 휴대 기기가 예측한 장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도 배터리 알림이 표시되도록 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는 주변 기기 600와의 통신을 통해 배터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및 주변 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주변 기기 600-1는 예를 들면 갤럭시 기어와 같은 스마트 워치, S 헬스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심박동수 모니터와 같은 헬스 모니터링 기기, 헤드셋, 무선 키보드 등이 될 수 있다.
주변 기기 600-1는 안테나 952를 통해 휴대 기기 100-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안테나 952는 트랜시버 기기 954와 연결될 수 있다.
트랜시버 기기 954는 블루투스, 적외선, 와이파이, NFC(Near-Field Communication), S be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S beam은 호환성 있는 두 기기 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NFC를 이용한다.
트랜시버 기기 954는, 컨트롤러 956가 주변 기기 600-1의 동작 제어를 관리하도록 컨트롤러 956와 연동된다.
컨트롤러 956는, 예를 들면 휴대 기기 100-1와 주변 기기 600-1 간에 연결 과정이 완료된 경우, 휴대 기기 100-1에게 일부 동작 제어를 넘겨줄 수도 있다.
주변 기기 600-1는 많은 모듈들 958-1,958-2, 958-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듈들의 개수와 종류는 이용되는 주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모듈들은 사용자의 상황이나 환경을 측정할 수 있다.
모듈들 958-1,958-2, 958-3은 다른 모듈들도 있을 수 있지만 심박동수 모니터링, 혈압 모니터링, 체온 모니터링과 같이 헬스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사용되는 헬스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들 958-1,958-2, 958-3은 예를 들면 주변 기기 600-1와 휴대 기기 100-1 간에 연결이 설정되었을 때 휴대 기기 100-1의 일부 기능들을 미러링할 수 있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들 958-1,958-2, 958-3은 사용자의 연락처, 전화 기능, 메시징 기능, 알림/캘린더 기능 및/또는 카메라 기능964과 같은 어플리케이션들을 미러링할 수 있다.
또한, 주변 기기 600-1는 예를 들면 온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이 추가적으로 복수의 센서들860-1,860-2, 860-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변 기기 600-1는 디스플레이 966와 배터리 968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주변 기기 600-1의 사용자가 심박동수 측정을 해야 하는데 주변 기기 600-1의 배터리가 장래 필요한 때에 동작할 수 있을 정도로 충전되지 않은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는 심박동수 측정이 장래 예정된 시각에 행해질 수 없다는 것을 모를 수도 있다.
또한, 헬스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대해 장래 특정 시간에 실행되도록 원격으로 설정되었을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장래에 헬스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채 주변 기기 600-1를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사용해온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문제들은 주변 기기600-1에서 배터리 레벨을 표시하는 기능이 없을 때 더욱 심각해진다.
따라서, 일단 휴대 기기 100-1가 주변 기기 600-1와 연결을 셋업하면, 휴대 기기 100-1는 주변 기기 600-1의 가용 전력을 알아낼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주변 기기 600-1는 휴대 기기100-1와의 연결이 셋업되면 주기적으로 전력 정보를 휴대 기기 100-1에게 보낼 수 있다. 나아가, 주기적인 송신의 횟수는 주변 기기 600-1의 잔존 전력 레벨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휴대 기기 100-1 및/또는 주변 기기 600-1는 추가적인 알고리듬 98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알고리듬은 주변 기기 600-1에 대한 전력 레벨 정보를 수신하고 주변 기기 600-1의 현재 전력 레벨과 장래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 600-1가 현재 또는 장래의 측정 이벤트들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그 추가적인 알고리듬 980은 컨트롤러 914 내에서 구현되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알고리듬 980은 컨트롤러 914의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알고리듬 980은 추가적인 시스템 레벨의 블록들918 내에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 블록들은 컨트롤러 914외부에 구현되어 컨트롤러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장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1을 참조하면, 동작 2110에서, 휴대 기기 100-1는 주변 기기 600-1로부터 주변 기기의 배터리 레벨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기기 100-1은 연결된 주변 기기 600-1로부터 주기적인 배터리 레벨 정보를 수신할 수 이다. 주기적인 배터리 레벨 정보는 주변 기기 600-1의 잔존 배터리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 100-1은 연결된 주변기기 600-1로 배터리 레벨 정보를 요청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주변기기 600-1로부터 배터리 레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120에서, 휴대 기기 100-1은 주변 기기 600-1을 이용하는 현재 또는 장래 실행될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필요한 배터리 수명을 결정한다.
동작 2130에서, 휴대 기기 100-1는 현재 주변 기기의 배터리 레벨이 결정된 배터리 수명보다 충분한지를 판단한다.
동작 2140에서, 휴대 기기 100-1은 판단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기기가 주변 기기의 배터리 정보에 기반하여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는 알고리듬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러한 알고리듬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기기 600-1의 알고리듬 980 이거나 휴대 기기 100-1의 알고리듬 880 일 수 있다.
동작 2210에서 알고리듬은 연결된 주변 기기 600-1로부터 주기적인 배터리 레벨 정보를 수신하는데, 주기적인 배터리 레벨 정보는 주변 기기의 잔존 배터리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동작 2220에서, 알고리듬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장래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헬스 모니터링,을 위해 주변 기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알고리듬은 연결된 주변 기기 600-1가 요구되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장래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 휴대 기기, 예를 들면 도 20의 컨트롤러 814에 문의할 수 있다.
알고리듬은 주변 기기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장래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주변 기기 600-1에 문의할 수도 있다.
연결된 주변 기기를 요구하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장래 어플리케이션이 없다고 판단되면, 알고리듬은 동작 2210으로 돌아가서 다른 주기적인 배터리 레벨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기다린다.
동작 2230에서, 알고리듬은 수신된 현재 배터리 레벨 Rpa을, 예를 들면, 휴대 기기의 컨트롤러 814로 보내고, 동작 2240에서 컨트롤러에게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배터리 수명에 대한 <지능적> 판단 결과에 따른 예측값인 Pbb를 요구한다.
동작 2250에서, 알고리듬은 주변 기기로부터 수신한 현재의 배터리 레벨 Rpa 을 Pbb와 비교한다. 만약 Rpa가 Pbb보다 크면, 알고리듬은 현재 주변 기기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충분한 배터리 잔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동작 2210로 돌아가서 다른 주기적인 배터리 레벨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그러나, Rpa가 Pbb보다 크지 않으면, 알고리듬은 현재 주변 기기가 현재 및/또는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충분한 배터리 잔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동작 2260로 이동한다.
동작 2260에서, 알고리듬은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휴대 기기100-1의 컨트롤러 814로 보낸다. 이 알림에 응답하여, 휴대 기기 100-1의 컨트롤러 814는 전술한 실시예들을 활용하여 주변 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늘리기 위해 일부 어플리케이션들을 정지시킬 수 있다.
알고리듬은 동작 2250에서의 판단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예상치 못한 배터리 방전 시나리오나 온도 영향 등을 대비하여 추가적인 안전 마진(safety margin)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알고리듬은 복수의 연결된 주변 기기들을 위한 전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휴대 기기 100-1의 컨트롤러는 예를 들면 주변 기기의 배터리 전력 레벨 Dbp, 사용자가 현재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력 apu, 사용자가 장래에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력 afu, 휴대 기기의 현재 배터리 파워 값 Mbp에 기초하여 Pbb를 결정할 수 있다. 방정식 1은 Pbb를 결정하기 위한 방정식을 나타내며, Pbb는 특정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전력이다.
방정식 1: Pbb = f(Dbp, Mbp, apu, afu)
헬스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한 실시예에서, 제3자가 원격으로 사용자의 휴대 기기 사용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리 떨어져 있는 기관이나 병원은 환자/사용자의 건강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의 헬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기 원할 수 있다.
또한, 제3자는 사용자/환자의 치료 경과를 알기 위해 또는 상태 파악을 위해 예를 들면 주변 기기를 통해 측정된 심박동수와 관련한 데이터를 원격으로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자가 원격으로 휴대 기기의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만약 사용자가 배터리 알림, 예를 들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알림, 을 무시하면 휴대 기기는 자동적으로 제3자에게, 예를 들면 SMS로, 이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제3자는 어떤 <치명적인>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사용자의 휴대 기기를 원격으로 액세스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중단함으로써 <치명적인> 어플리케이션들이 수행될 수 있도록 배터리 잔량을 확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장래에, 예를 들면 2시간 후에, 심박동수 스캔을 하기 위한 전력이 충분하지 않음을 통지받을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이러한 배터리 알림을 무시하여 기기를 재충전하지 않거나 휴대 기기100-1의 컨트롤러가 권고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지 않으면, 휴대 기기100-1은 이를 원격의 제3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 결과, 원격의 제3자는 직접 사용자에게 연락하여 휴대 기기 및/또는 주변 기기를 충전하도록 알리거나, 일방적으로 휴대 기기를 원격 제어하여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사용자가 정한 중요도 역시 제3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휴대 기기100-1는 주변 기기에 대한 배터리 레벨 정보를 제3자에게 송신하며, 배터리 레벨 정보는 도 20의 알고리듬 980 이나 880으로부터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도 22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기기에 표시되는,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주변 기기의 배터리 정보에 기반하여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는 휴대 기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장래 예정된 이벤트를 수행하기 위해서 주변 기기 600-1가 필요한 경우 휴대 기기100-1는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주변 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장래 이벤트가 수행될 있을 정도로 주변 기기의 배터리가 충분한지 파악한다. 이 때, 장래 이벤트에 대응하는 장래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프로파일이 참조될 수 있다. 즉, 장래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프로파일은 연동되는 주변 기기의 ID, 주변 기기의 소비 전력과 같은 주변 기기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박동수를 측정하는 이벤트가 1시간 후에 예정되어 있고 휴대 기기의 배터리는 충분하지만 주변 기기의 배터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주변 기기를 충전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1시간 후 심박동수 측정 예정, 측정 기기의 배터리가 부족하니 충전기에 연결하세요>라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알림 2300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15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160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 15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 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휴대 기기에서 실행될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동작; 현재 실행 중이거나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보다 먼저 실행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현재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한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휴대 기기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명확한 이해를 위해 서로 다른 기능적 유닛들 및 프로세스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동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기능적 유닛들이나 프로세서들 사이에 기능들이 적절히 분배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면, 서로 독립적인 프로세서들이나 컨트롤러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기능들은 동일한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런 기능들은 상호간에 교환될 수도 있다. 결국, 특정 기능 유닛들에 대한 인용은 엄격한 논리적 또는 물리적 구조나 조직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 기능을 수행하는 적당한 수단을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되었지만, 여기 설명된 특정한 형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이 일부 실시예와 관련해서만 설명된 것처럼 보일지라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전술한 실시예들이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에서, 포함한다 는 용어는 다른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들이 더 존재할 수 있음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많은 수단들, 구성 요소들, 동작들은 일일이 나열되기는 했지만 하나의 유닛이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개별적인 특징들이 서로 다른 청구항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이들은 결합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청구항에 포함되어 있다고 하여 이 특징들을 서로 결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거나 유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클레임들 중 하나의 카테고리에만 포함된 특징은 그 카테고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등하게 다른 카테고리 클레임에도 적절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휴대 기기에서 사용자에게 배터리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에서 실행될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동작;
    현재 실행 중이거나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보다 먼저 실행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현재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한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휴대 기기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충분한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주변 기기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휴대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동작은,
    원격 기기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지시하는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판단 결과 현재 배터리 잔량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의 배터리 부족 상태를 상기 원격 기기에게 통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요청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배터리 잔량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확보하기 위해 종료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비활성화 해야 하는 휴대 기기의 하드웨어 모듈의 목록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은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미리 정해진 중요도에 따라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보다 낮은 중요도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얼마나 더 오래 실행될 수 있는지 계산하는 동작;
    상기 계산에 의해 얻어진 시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소정 기간 동안 상기 휴대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한 결과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기기에서 실행되었던 어플리케이션들의 소비 전력을 나타내는 전력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생성된 전력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배터리 알림 제공 방법.
  11. 휴대 기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기기에서 실행될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현재 실행 중이거나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보다 먼저 실행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현재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한지 판단하고,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휴대 기기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휴대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충분한지 판단하고,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주변 기기의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휴대 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휴대 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격 기기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지시하는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는 휴대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현재 배터리 잔량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의 배터리 부족 상태를 상기 원격 기기에게 통지하는 휴대 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요청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배터리 잔량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종료하는 휴대 기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확보하기 위해 종료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비활성화 해야 하는 휴대 기기의 하드웨어 모듈의 목록을 표시하는 휴대 기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얼마나 더 오래 실행될 수 있는지 계산하고,
    상기 계산에 의해 얻어진 시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휴대 기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기간 동안 상기 휴대 기기의 사용을 모니터링한 결과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기기에서 실행되었던 어플리케이션들의 소비 전력을 나타내는 전력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력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전력을 결정하는 휴대 기기.
  2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배터리 알림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50080836A 2014-09-04 2015-06-08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기기 KR101720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47107.4A CN106663362B (zh) 2014-09-04 2015-09-03 在移动设备为用户提供电池电量通知的方法及其移动设备
EP18198727.2A EP3444788B8 (en) 2014-09-04 2015-09-03 Method of providing user with battery power notification in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PCT/KR2015/009282 WO2016036155A1 (en) 2014-09-04 2015-09-03 Method of providing user with battery power notification in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EP15838620.1A EP3189506B8 (en) 2014-09-04 2015-09-03 Method of providing user with battery power notification in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US14/845,748 US9693311B2 (en) 2014-09-04 2015-09-04 Method of providing user with battery power notification in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415659.0 2014-09-04
GB1415659.0A GB2529857B (en) 2014-09-04 2014-09-04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charge monito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946A true KR20160028946A (ko) 2016-03-14
KR101720779B1 KR101720779B1 (ko) 2017-04-10

Family

ID=5179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836A KR101720779B1 (ko) 2014-09-04 2015-06-08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3189506B8 (ko)
KR (1) KR101720779B1 (ko)
CN (1) CN106663362B (ko)
GB (2) GB252985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655A1 (en) * 2021-07-20 2023-01-26 Flowserve Management Company Method of characterizing and monitoring energy usage of battery powered wirelessly linked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2510B2 (en) * 2015-05-27 2021-09-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ower and notification management for a wearable device
WO2018069746A1 (en) * 2016-10-11 2018-04-19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Automatic power saving selection based on target use
US10732226B2 (en) 2017-05-26 2020-08-04 Hand Held Products, Inc. Methods for estimating a number of workflow cycles able to be completed from a remaining battery capacity
CN107707766A (zh) * 2017-10-23 2018-02-16 上海爱优威软件开发有限公司 基于行程安排的充电提醒方法
EP3489797A1 (en) * 2017-11-28 2019-05-2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ntrolling a battery-operated range extender
FI20185104A1 (en) * 2018-02-06 2019-08-07 Nokia Technologies Oy Manage power consumption of portable devices
CN110941320A (zh) 2018-09-25 2020-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习惯的电量控制方法及终端
US11163350B2 (en) 2019-05-23 2021-11-02 Red Hat, Inc. Application power management for mobile devices
US11899577B2 (en) * 2020-11-24 2024-02-13 Micron Technology, Inc. Selective garbage collection
US11202190B1 (en) * 2021-02-01 2021-12-14 Tmrw Foundation Ip S. À R.L. Backup battery,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1726949B2 (en) * 2021-05-28 202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reprocessing video streams based on system resources and stream status
CN117393882A (zh) * 2022-07-04 2024-01-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剩余使用时长的预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320732B (zh) * 2023-04-18 2023-12-05 广州市宏视电子技术有限公司 太阳能摄像头控制方法、装置、太阳能摄像头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3519A (ja) * 2004-04-06 2005-10-20 Hitachi Ltd 計算機および計算機の制御方法
US20080307243A1 (en) * 2007-02-16 2008-12-11 Lee Michael M Anticipatory Power Management for Battery-Powered Electronic Device
EP2501183A1 (en) * 2011-03-14 2012-09-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pplication and profile sensitive battery power management
US20130332940A1 (en) * 2007-10-31 2013-12-12 Google Inc. Application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4404A (en) * 1995-11-17 1997-11-04 Sharp Microelectronics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of measuring a battery lifetime
GB9820271D0 (en) * 1998-09-17 1998-11-11 Simoco Int Ltd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batteries used by a mobile radio telecommunications fleet
US6459896B1 (en) * 1999-10-18 2002-10-01 Gateway, Inc. Notification of low-battery in a wireless network
JP2003134502A (ja) * 2001-10-23 2003-05-09 Omron Corp 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監視システム
US7010329B2 (en) * 2003-03-11 2006-03-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onservation with assistance from the network and radio resource management
FR2857100B1 (fr) * 2003-07-02 2006-02-10 Wavecom Procede d'estimation d'un temps d'utilisation restant pour une batterie de dispositif de radiocommunication
US20080097913A1 (en) * 2006-10-24 2008-04-24 Kent Dicks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rocessing and transmittal of data from a plurality of medical devices
GB2448534B (en) * 2007-04-19 2009-11-18 Vodafone Plc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US8271056B2 (en) * 2008-01-17 2012-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battery needs in a portable device
CN101499207A (zh) * 2008-02-03 2009-08-05 郭岳衡 省电式射频报警装置
US8054189B2 (en) * 2008-10-16 2011-11-08 Walter Kidde Portable Equipment Inc. Life safety device with automatic battery discharge at the end of life
US9807158B2 (en) * 2009-05-14 2017-10-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CPNS enabler
US20110071780A1 (en) * 2009-09-21 2011-03-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t least one indicator related to a projected battery lifespan
US8452352B2 (en) * 2009-11-06 2013-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battery drain time caused by smartphone applications
CA2727472A1 (en) * 2010-07-16 2012-01-16 Exopc Method for informing a user of a possibility to complete the execution of a process in a computing device
US20120210150A1 (en) * 2011-02-10 2012-08-16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Of Smart Power Managemen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9015513B2 (en) * 2011-11-03 2015-04-21 Vocollect, Inc. Receiving application specific individual battery adjusted battery use profile data upon loading of work application for managing remaining power of a mobile device
JP5929575B2 (ja) * 2012-07-11 2016-06-08 ソニー株式会社 消費電力管理装置及び消費電力管理システム
US9189055B2 (en) * 2012-07-17 2015-11-17 Mediatek Inc. Method for performing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and associated apparatus
US8515499B1 (en) * 2012-09-10 2013-08-20 Google Inc. Estimating remaining use time of mobile computing devices
EP2760188B1 (en) * 2013-01-24 2020-07-15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battery monitoring capabilities and performing pre-scheduled events
CN203276501U (zh) * 2013-05-24 2013-11-06 天津市亿环自动化仪表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流量显示仪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3519A (ja) * 2004-04-06 2005-10-20 Hitachi Ltd 計算機および計算機の制御方法
US20080307243A1 (en) * 2007-02-16 2008-12-11 Lee Michael M Anticipatory Power Management for Battery-Powered Electronic Device
US20130332940A1 (en) * 2007-10-31 2013-12-12 Google Inc. Application Management
EP2501183A1 (en) * 2011-03-14 2012-09-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pplication and profile sensitive battery power manag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655A1 (en) * 2021-07-20 2023-01-26 Flowserve Management Company Method of characterizing and monitoring energy usage of battery powered wirelessly linked devices
US11791503B2 (en) 2021-07-20 2023-10-17 Flowserve Pte. Ltd. Method of characterizing and monitoring energy usage of battery powered wirelessly linked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779B1 (ko) 2017-04-10
EP3189506B8 (en) 2019-01-02
GB2529857A (en) 2016-03-09
EP3444788A1 (en) 2019-02-20
EP3189506A1 (en) 2017-07-12
EP3189506A4 (en) 2018-03-28
EP3444788B1 (en) 2020-02-26
GB2548011B (en) 2018-05-09
CN106663362B (zh) 2019-02-15
EP3189506B1 (en) 2018-11-28
GB201703003D0 (en) 2017-04-12
GB201415659D0 (en) 2014-10-22
GB2548011A (en) 2017-09-06
EP3444788B8 (en) 2020-04-08
GB2529857B (en) 2017-11-01
CN106663362A (zh)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779B1 (ko)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기기
US9693311B2 (en) Method of providing user with battery power notification in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US11856481B2 (en) Contextual information usage in systems that include accessory devices
US11433290B2 (en) Sharing updatable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s
US10898759B2 (en) Determination and presentation of customized notifications
US10261475B1 (en) Smart watch extended system
CN105573465B (zh) 电子设备和控制电子设备的功率的方法
KR102384756B1 (ko) 활동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65543B1 (ko) 어플리케이션 및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20170019040A (ko) 생체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380596A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中的睡眠监视方法
KR20160025851A (ko) 기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88020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264935A (zh) 显示器驱动方法、显示器驱动集成电路及电子设备
CN107710724A (zh) 使用传感器数据控制显示器的方法及其电子设备
KR20160129626A (ko) 배터리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10150880A1 (en) Hand-washing monitoring method, hand-washing monito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8700924B (zh) 功能操作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装置
KR20170098106A (ko)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
JP702775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239873B2 (ja) 活動量測定システム、情報端末、活動量測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6537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US20210344788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ctivity information of user and activity information of other users received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JP2018047261A (ja) 活動量測定システム、情報端末、活動量測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25145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