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872A - Walking guiding device for blind person - Google Patents
Walking guiding device for blind pers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8872A KR20160028872A KR1020140117969A KR20140117969A KR20160028872A KR 20160028872 A KR20160028872 A KR 20160028872A KR 1020140117969 A KR1020140117969 A KR 1020140117969A KR 20140117969 A KR20140117969 A KR 20140117969A KR 20160028872 A KR20160028872 A KR 201600288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nerating means
- obstacle
- elastic band
- vibration generating
- vib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보행로의 주변 장애물 위치 및 이동 경로 상세히 알려줌으로써 목적지까지 안전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t guide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it guide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o can guide a walker to a destination safely by informing a position and a movement route of a surrounding obstacle by using a vibration sensor will be.
일반적으로 시각 장애인들은 보행을 하는데 있어 공통적인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특히 자신이 모르는 초행 길을 가거나, 자신이 알고 있는 길이라 하더라도 그 경로에 새로운 장애물이 형성될 경우 자신의 본래 위치 정보와 방향에 혼돈이 발생하므로 그에 따른 이동의 제약이 커진다. Generally, blind people have common difficulties in walking. Particularly, when a new obstacle is formed in the path even if the user travels on a road that he or she does not know, a confusion arises in the original location information and direction of the path, thereby increasing the restriction of movemen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점자보도블럭, 신호등 옆에 설치된 보행신호 음성안내 장치, 점자로 된 엘리베이터 층수 버튼, 안내견, 시각 장애인용 접 이식 지팡이가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re are braille walkway block, a gait signal guiding device installed beside the traffic light, elevator number buttons in braille, guide dogs, and a folding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그러나 시각 장애인의 생활 활동 범위 곳곳에 위와 같은 것들이 구비 되어 있지는 않아 시각 장애인의 활동범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the range of activity of the visually impaired is limited because the above-mentioned things are not provided in the range of life activities of the visually impaired.
또한 예상 외의 장애물들의 위치에 따라 부딪치는 사고는 여전히 있어, 보행 중 부상을 당하는 사례가 많다. 또한 안내견의 공급은 시각 장애인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서 범용성이 떨어진다.In addition, there are still accidents that are encountered due to the location of obstacles other than anticipated, and there are many cases of being injured while walking. Also, the supply of guide dogs can not keep up with the demands of the visually impaired, making them less versatile.
최근에는 시각 장애인들의 보행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선행문헌들이 개지되어 있다.Recently, various prior literature has been set up to improve the problem of walk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먼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00480호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111969호에 게시된 구성은, 초음파 센서 및 광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인지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팡이에 설치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탐지하고 이를 진동으로 알려 사용자가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s. 2014-0000480 and 2004-0111969 relates to an obstacle or a stick using an ultrasonic sensor and an optical sensor, and uses an ultrasonic sensor installed on the stick It detects obstacles and informs them of the vibration so that the user can avoid obstacl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보행에 있어서 목적지에 대한 경로 안내, 목적지 도달여부에 대한 피드백, 경로 안내시 보행로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회피 및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편의성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provide the route guidance to the destination in the walking, the feedback as to whether or not the destination is reached, the obstacle in the walking route in the route guidance, and convenience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83018호에 게시된 구성의 경우, 이마에 진동 자극을 발생시키는 방향안내 장치를 착용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방향안내 장치를 장시간 이마에 착용할 경우, 항상 모자를 쓰는 것 같은 답답함과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방향안내 장치는 시각 장애인이 거리 및 방향을 암기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로 한하였으며 다른 새로운 목적지로 이동할 경우 방향성을 제시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683018, a walking problem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be improved by wearing a direction guiding device for generating a vibration stimulus on the forehead, When the wearer wears the wearer's head on the forehead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arer wears a hat all the time, and the direction guiding device tries to move to a specific position while the blind person memorizes the distance and direction.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direction can not be presented when moving to a new destin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시각 장애인의 팔목에 착용이 이루어지는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보행로의 주변 장애물 위치 및 이동 경로 상세히 알려줌으로써 목적지까지 안전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safe walking to a destination by informing a position and a moving route of a peripheral obstacle of a walkway using a vibration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lking guide apparatus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지팡이 본체; 상기 지팡이 본체에 설치되는 장애물 감지용 초음파센서 및 길안내 정보를 가지는 DGPS센서; 상기 지팡이 본체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이 이루어지는 탄성 밴드; 상기 탄성 밴드의 둘레방향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수단; 및 상기 진동 발생수단을 제어 조작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gait guide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ne body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 DGPS sensor having an ultrasonic sensor for detecting an obstacle and guidance information installed on the cane body; An elastic band connected to the wand body and worn on the user's wrist; A vibration generating means provid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lastic band; And an operation switch for controlling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상기 진동 발생수단은, 상기 초음파센서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팔목을 기준으로 팔목의 바깥쪽 둘레방향 배치되며 장애물 방향에 대응하여 진동하는 다수의 제1 진동유닛과, 상기 DGPS센서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팔목을 기준으로 팔목의 안쪽 둘레방향에 배치되며 길안내 경로 정보에 따른 방향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진동하는 다수의 제2 진동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vibration units connected to the ultrasonic sensor and arrang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ff on the basis of the cuff of the user and vib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obstacle, And a plurality of second vibrating units which are arranged in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ff and vibrate in order to induce a direction change according to the path guide information.
상기 제1 진동유닛과 제2 진동유닛은 장애물 또는 방향전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진동의 세기 및 진동 수가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vibrating unit and the second vibrating uni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nsity of vibration and the number of vibrations gradually increase as an obstacle or a direction switching distance approaches.
상기 지팡이 본체에는 대중교통 이용시 버스의 승차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버스의 지선번호 및 정거장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점자 입력 스위치와, 대중교통 정보유닛 및 음성출력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n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braille input switch for inputting a ground line number and a station number of the bus so as to grasp a bus ride position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a public traffic information unit, and a voice output speaker.
상기 탄성 밴드에는 상기 진동 발생수단을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수용홈을 마련한 고정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elastic band is provided with a holding fram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in a state of wrapping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비시각적 신호를 이용한 주변 환경의 입체적 인식할 수 있는 초음파센서, DGPS센서 및 진동 발생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시각 장애인들이 돌출된 장애물, 동적 장애물은 물론 새로운 목적지에 대한 길안내 및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비시각적 신호를 피드백할 수 있으므로 시각 장애인이 방황하거나 혼란을 겪을 수 있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 the ultrasonic sensor, the DGPS sensor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capable of stereoscopically recogni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using the non-visual signal are constituted so that the obstacle obstructed by the visually impaired, Visual feedback on the use of roads and public transportation can be fed back so that the situation in which the visually handicapped can be wandered or confused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탄성 밴드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지팡이 본체의 접철 구조 및 탄성 밴드를 이용하여 묶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진동 발생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진동 발생수단을 이용한 길안내 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의 기능 작용을 총괄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의 장애물 회피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의 길안내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의 교통수단 안내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it guide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band of Fig. 1 is wor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wand body of FIG. 1 and a bundled state using the elastic b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of Fig. 1;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oute guidance route using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of FIG.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function of the gait guid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bstacle avoidance algorithm of a gait guide for a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ute guidance algorithm of a gait guide for a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ffic information guidance algorithm of a gait guide for a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attached hereto.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지팡이 본체(100)와, 상기 지팡이 본체(100)에 설치되는 장애물 감지용 초음파센서(110) 및 길안내 정보를 가지는 DGPS센서(120)와, 상기 지팡이 본체(100)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이 이루어지는 탄성 밴드(200)와, 상기 탄성 밴드(200)의 둘레방향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수단(300)과, 상기 진동 발생수단(300)을 제어 조작하는 작동스위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gait guid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상기 지팡이 본체(10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손으로 일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일단의 끝으로 전달되는 충격 진동을 통해 보행자 앞에 장애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이다.First, the
이러한 상기 지팡이 본체(100)는 나무, 플라스틱, 금속,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The
여기서, 지팡이 본체(100)는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철이 가능한 분할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참조).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팡이 본체(100)에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센서(110)와, 길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DGPS센서(120)가 설치된다.The
즉, 상기 초음파센서(110)는 시각 장애인이 보행하는 과정에서 보행로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DGPS센서(120)는 시각 장애인이 도착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보행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이러한 상기 초음파센서(110)를 이용한 사물감지 기능 및 DGPS센서(120)를 이용한 길안내 시스템 구성은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object detection function using the
물론, 상기 지팡이 본체(100)의 손잡이 쪽 내부에는 상기 초음판센서(110), DGPS센서(120) 및 후술할 진동 발생수단(300)으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팩(130)이 장착되는 것은 당연하다.Of course, a
또한, 상기 지팡이 본체(100)에는 대중교통 이용시 버스의 승차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버스의 지선번호 및 정거장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점자 입력 스위치(140)와, 대중교통 정보유닛 및 음성출력 스피커(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즉, 시각 장애인이 버스 승강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점자 입력 스위치(140)를 조작하여 버스의 지선번호 또는 정거장 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대중교통 정보유닛이 상기 DGPS센서(120)와 연동하여 시각 장애인의 위치를 파악한 후 그에 따른 버스 탑승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음성출력 스피커(150)를 통해 시각 장애인에게 통보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is located on the bus platform, if the line number or the station number of the bus is input by operating the
한편, 상기 탄성 밴드(200)는 상기 지팡이 본체(100)의 손잡이 쪽에 연결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탄력적인 착용이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이를 위해, 상기 탄성 밴드(200)는 신축성이 좋은 합성수지재로 제작한다.For this purpose, the
아울러, 상기 탄성 밴드(200)는 상기 지팡이 본체(100)를 접은 상태로 묶어서 보관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도 3참조).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탄성 밴드(200)에는 후술할 진동 발생수단(300)을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수용홈(211)을 마련한 고정틀(210)이 형성된다.The
상기 고정틀(210)은 상기 진동 발생수단(30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함께 병행한다.The
이러한 상기 고정틀(210)은 탄성 밴드(200)의 둘레방향 외측에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다수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한편, 상기 진동 발생수단(300)은 상기 탄성 밴드(200)의 고정틀(2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시각 장애인이 보행중 장애물의 위치 및 방향전환의 시점에 대하여 손목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300 is installed i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 발생수단(300)은 상기 초음파센서(110)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팔목을 기준으로 팔목의 바깥쪽 둘레방향 배치되어 장애물 방향위치에 대응하여 진동하는 다수의 제1 진동유닛(310)과, 상기 DGPS센서(120)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팔목을 기준으로 팔목의 안쪽 둘레방향에 배치되고 길안내 경로 정보에 따른 방향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진동하는 다수의 제2 진동유닛(320)으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300 is connected to the
즉, 상기 제1 진동유닛(310)은 장애물 위치를 통보할 때 활성화되는 것이고, 상기 제2 진동유닛(320)은 보행시 방향전환을 유도할 때 활성화되는 구성이다.That is, the first vibrating
이러한 상기 제1 진동유닛(310)과 제2 진동유닛(320)은 각각 4개의 단위 진동자로 구성된다.The first vibrating
또한, 상기 제1 진동유닛(310)과 제2 진동유닛(320)은 장애물 또는 방향전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진동의 세기 및 진동 수가 점차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신속하게 반응 및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작동스위치(400)는 상기 탄성 밴드(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 발생수단(300)을 제어 조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이는 시각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스위치(400)는 제1 조작부(410)와 제2 조작부(420)로 분활 구성된다This is to enable the disabled to selectively use the functions they need. The
상기 작동스위치(400)는 상기 제1 진동유닛(310)과 제2 진동유닛(320)의 경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팩(130)과 전기적인 통전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gait guid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시각 장애인이 통행로를 숙지한 상태에 이동할 경우, 상기 DGPS센서(120)를 이용한 제2 진동유닛(320)은 오프(off) 시키고 상기 제1 진동유닛(310)이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작동스위치(400)를 조작한다.First,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moves to a state of being familiar with the passage, the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 장애인이 지팡이 본체(100)를 쥐고 탄성 밴드(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시, 보행 경로의 전면 또는 좌,우측면에 장애물이 형성되어 있으면, 이를 상기 초음파센서(110)가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에 해당하는 진동자가 진동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장애물이 형성된 방향을 통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to 5, if an obstacle is formed on the front, left, or right side of the walking path when the user is walking while holding the
그리고, 상기 진동이 발생하는 진동자의 경우 장애물과의 거리가 근접할수록 그 반응속도 및 세기가 증가하게 된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vibrator in which the vibration is generated, the reaction speed and intensity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becomes closer.
예컨대, 장애물과의 거리가 3m일 경우 상기 진동자는 1초에 1번 진동이 발생하고, 거리가 2m로 줄어들 경우 1초에 2번 진동, 1m로 줄어들 경우 1초에 3번 진동하여 장애물에 대한 거리 정보를 명확히 통보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obstacle is 3 m, the vibrator vibrates once per second. When the distance is reduced to 2 m, the vibrator vibrates twice per second. When the distance is reduced to 1 m, Distance information can be clearly notified.
한편, 시각 장애인이 숙지하지 못한 다른 목적지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1 진동유닛(310)과 제2 진동유닛(320)을 모두 활성화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desires to move to another destination not understood by the blind person, both the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 장애인이 목적지를 향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방 50m 지점에서 우측방향으로 회전해야할 경우, 상기 DGPS센서(120)가 시각 장애인의 위치가 인식한 상태에서 그 거리가 가까워지면 제2 진동유닛(320) 중 우측방향에 있는 진동자가 진동하여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보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is required to rotate in the rightward direction at a distance of 50 m in the course of moving toward the destination, if the
마찬가지로, 방향전환 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상기 진동자의 반응속도 및 세기는 증가하게 된다.Likewise, the closer to the turning point, the greater the reaction speed and intensity of the vibrator.
시각 장애인의 직진을 유도하는 경우 중심부에 위치한 진동자가 일정 시간 패턴에 맞추어 진동하고, 방향전환 시점 약 3m부터 해당 진동자가 진동하게 된다.In the case of directing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he vibrator located at the center vibrates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predetermined time, and the vibrator vibrates from the turning point of about 3 m.
예컨대, 방향전환점의 거리가 3m일 경우 상기 진동자는 1Hz로 진동하게되고 방향전환점 2m안으로 들어오면 2Hz로 진동하게되며, 방향전환점 1m이내에 위치하게되면 3Hz로 점점 더 빠르게 진동하여 방향전환지점이 가까워짐을 인식시켜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of the turning point is 3 m, the vibrator oscillates at 1 Hz. When the turning point is within 2 m, the vibrator vibrates at 2 Hz. When the turning point is located within 1 m, It can recognize and guide you safely to your destination.
또한, 시각 장애인이 대중교통수단으로써 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2 진동유닛(320) 및 지팡이 본체(100)에 설치된 점자 입력 스위치(140)와, 대중교통 정보유닛 및 음성출력 스피커(150)의 구성으로부터 버스 이용을 위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lind person wants to use the bus as a public transportation means, the
즉, 시각 장애인이 버스 승강장 위치에 도달하면 버스의 승차 위치를 알려주는 기능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전원 스위치를 활성화시키고, 버스 지선 번호 및 목적지 주소를 점자 입력 스위치(140)로 입력하면 이를 감지한 대중교통 정보유닛이 작동하여 버스의 승강 위치를 스피커(150)로 출력함과 동시에 제2 진동유닛(320)의 진동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blind person reaches the position of the bus platform, the power switch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unction of informing the bus riding position is activated, and when the bus line number and the destination address are input to the
그리고, 승차할 버스가 도착하면, 제2 진동유닛(320)이 모두 작동하여 기다리는 버스의 도착 및 승차하고자 하는 문의 위치가 정면에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bus to be ridden arrives,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는 장애물, 길안내 및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정보를 손목의 촉각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으며 시각 장애인을 목적지까지 보다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ait guid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information on obstacles, route guidance and public transportation usage through the tactile sense of the wrist, it can be delivered promptly and can be delivered to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more safely do.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시각적 신호를 이용한 주변 환경의 입체적 인식할 수 있는 초음파센서(110), DGPS센서(120) 및 진동 발생수단(300)을 구성함으로써, 시각 장애인들이 돌출된 장애물, 동적 장애물은 물론 새로운 목적지에 대한 길안내 및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비시각적 신호를 피드백할 수 있으므로 시각 장애인이 방황하거나 혼란을 겪을 수 있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above,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지팡이 본체
110 : 초음파센서
120 : DGPS센서
140 : 점자 입력 스위치
150 : 음성출력 스피커
200 : 탄성 밴드
210 : 고정틀
300 : 진동 발생수단
310 : 제1 진동유닛
320 : 제2 진동유닛
400 : 작동스위치100: cane body
110: Ultrasonic sensor
120: DGPS sensor
140: Braille input switch
150: Speaker for audio output
200: elastic band
210:
300: means for generating vibration
310: first vibrating unit
320: second oscillation unit
400: Operation switch
Claims (5)
상기 지팡이 본체에 설치되는 장애물 감지용 초음파센서 및 길안내 정보를 가지는 DGPS센서;
상기 지팡이 본체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이 이루어지는 탄성 밴드;
상기 탄성 밴드의 둘레방향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수단; 및,
상기 진동 발생수단을 제어 조작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
A cane body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 DGPS sensor having an ultrasonic sensor for detecting an obstacle and guidance information installed on the cane body;
An elastic band connected to the wand body and worn on the user's wrist;
A vibration generating means provid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lastic band; And
And an operation switch for controlling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상기 진동 발생수단은,
상기 초음파센서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팔목을 기준으로 팔목의 바깥쪽 둘레방향 배치되며 장애물 방향에 대응하여 진동하는 다수의 제1 진동유닛과,
상기 DGPS센서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팔목을 기준으로 팔목의 안쪽 둘레방향에 배치되며 길안내 경로 정보에 따른 방향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진동하는 다수의 제2 진동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vibrating units connected to the ultrasonic sensor and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ff on the basis of the cuff of the user and vibrating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obstacle,
And a plurality of second vibrating units connected to the DGPS sensor and arranged in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ff on the basis of a cuff of a user and vibrating to induce a direction change according to the path guide information, Guide device.
상기 제1 진동유닛과 제2 진동유닛은 장애물 또는 방향전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진동의 세기 및 진동 수가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oscillation unit and the second oscillation unit gradually increase in intensity and vibration as the obstacle or the direction switching distance approaches.
상기 지팡이 본체에는 대중교통 이용시 버스의 승차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버스의 지선번호 및 정거장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점자 입력 스위치와, 대중교통 정보유닛 및 음성출력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wand body further comprises a braille input switch for inputting a branch number and a station number of the bus so as to grasp the bus ride position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a public traffic information unit, and a voice output speaker Walking guidance device for the disabled.
상기 탄성 밴드에는 상기 진동 발생수단을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수용홈을 마련한 고정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elastic band is provided with a fixed fram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in a state of wrapping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7969A KR20160028872A (en) | 2014-09-04 | 2014-09-04 | Walking guiding device for blind pers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7969A KR20160028872A (en) | 2014-09-04 | 2014-09-04 | Walking guiding device for blind pers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8872A true KR20160028872A (en) | 2016-03-14 |
Family
ID=5554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7969A KR20160028872A (en) | 2014-09-04 | 2014-09-04 | Walking guiding device for blind pers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28872A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171175U1 (en) * | 2016-07-11 | 2017-05-23 | Олег Викторович Переведенцев | PERSONAL DEVICE INDICATIONS DIRECTION OF MOTION TO TARGET POSITION |
KR20180093752A (en) * | 2017-02-14 | 2018-08-22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A stick for the blind |
KR20180093753A (en) * | 2017-02-14 | 2018-08-22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A stick for the blind |
KR101967094B1 (en) * | 2018-02-19 | 2019-04-0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Braille handle of bus and metro for deaf and blind and braille information method and system |
KR102055373B1 (en) * | 2018-06-12 | 2020-01-22 |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band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control method thereof |
WO2022131891A1 (en) * | 2020-12-15 | 2022-06-23 | Beltran Ramirez Jesus Raul | Assistive device for blind persons |
KR20230077003A (en) * | 2021-11-24 | 2023-06-01 | 진성종 | Stick For Blind |
WO2024071984A1 (en) * | 2022-09-29 | 2024-04-04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can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3018B1 (en) | 2004-09-23 | 2007-02-15 | 정동근 | Device of direction guidance for a blind person |
KR20140000480A (en) | 2012-06-22 | 2014-01-03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Smart cane system interoperable with smart devices and method at the same |
-
2014
- 2014-09-04 KR KR1020140117969A patent/KR2016002887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3018B1 (en) | 2004-09-23 | 2007-02-15 | 정동근 | Device of direction guidance for a blind person |
KR20140000480A (en) | 2012-06-22 | 2014-01-03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Smart cane system interoperable with smart devices and method at the same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171175U1 (en) * | 2016-07-11 | 2017-05-23 | Олег Викторович Переведенцев | PERSONAL DEVICE INDICATIONS DIRECTION OF MOTION TO TARGET POSITION |
KR20180093752A (en) * | 2017-02-14 | 2018-08-22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A stick for the blind |
KR20180093753A (en) * | 2017-02-14 | 2018-08-22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A stick for the blind |
KR101967094B1 (en) * | 2018-02-19 | 2019-04-0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Braille handle of bus and metro for deaf and blind and braille information method and system |
KR102055373B1 (en) * | 2018-06-12 | 2020-01-22 |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band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control method thereof |
WO2022131891A1 (en) * | 2020-12-15 | 2022-06-23 | Beltran Ramirez Jesus Raul | Assistive device for blind persons |
KR20230077003A (en) * | 2021-11-24 | 2023-06-01 | 진성종 | Stick For Blind |
WO2024071984A1 (en) * | 2022-09-29 | 2024-04-04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can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
KR20240045415A (en) * | 2022-09-29 | 2024-04-08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Cane for the blin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28872A (en) | Walking guiding device for blind person | |
JP4139840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KR101898582B1 (en) | A stick for the blind | |
US11497673B2 (en) | Motion-liberating smart walking stick | |
KR101762494B1 (en) | The drone, the route guidance drone set and the method of route guidance using them | |
JP2013091114A (en) | Interaction operating system | |
CN206462538U (en) | Crutch | |
KR20180013353A (en) | Wearabl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blind | |
JP2012533130A (en) | Road guidance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 |
JP2021174467A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CN115721533A (en) | Walk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 |
KR100615670B1 (en) | Guide equipment for the sight disabled | |
KR20190100710A (en) | Smart Walking stick for blind person | |
KR102566088B1 (en) | Stick For Blind | |
KR101662914B1 (en) | Front detection device of glasses type | |
KR20200077769A (en) | Traffic signal sound guidance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 |
KR102496149B1 (en) | The secondary walker having object detection function | |
KR102279982B1 (en) | Walking stick for blind person | |
KR20170035742A (en) | The Electric Walking Assistive Device | |
JP2010197234A (en) | Directional guidance system without visual sense | |
KR20210004730A (en) | A cane with various functions | |
KR101169202B1 (en) | Glasses assembly for comfortable tracking of location | |
KR20150097046A (en) | step wheel typed stick for blind person | |
KR101869973B1 (en) | Vibration band for providing moving-course | |
KR200412958Y1 (en) | Apparatus for guiding blind pers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