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845A - Method for deducing subway movement sect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ducing subway movement sect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845A
KR20160028845A KR1020140117914A KR20140117914A KR20160028845A KR 20160028845 A KR20160028845 A KR 20160028845A KR 1020140117914 A KR1020140117914 A KR 1020140117914A KR 20140117914 A KR20140117914 A KR 20140117914A KR 20160028845 A KR20160028845 A KR 20160028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s
score
subway
reasoning
in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06383B1 (en
Inventor
전진수
차정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383B1/en
Publication of KR20160028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8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3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xt awareness service technique. Particularly, since a method for inferring a movement section of a subway based on context awareness extracts the movement section of the subway from a moving path formed by connecting in sequence coordinates of points measured with a constant time interval according as a user moves, comparative high probability and correct inference can be achieved in a vehicle line and a driving route, an inference error due to non load of a wireless access device in a section of the subway can be reduced, and a consumed current gain can be enhanced. Additionally, dependency on a wireless access method is high due to an error of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in conventional technique, but the method can realize a cell based inference reinforcement through a solution of a cell cash problem.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extracting a plurality of inference factor information by analyzing plural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at each of the coordinates; giving an inference score by verifying the inference factor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inference reference; summating the inference scores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and obtaining a plurality of coordinates with an inference score more than a critical value based on the summating; and inferring a section formed by sequential coordinates with the inference score more than the critical value of the moving path as the movement section of the subway.

Description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deducing subway movement sect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and apparatus thereof}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ducing subway movement based on context awareness,

본 발명은 상황 인지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이동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지점의 좌표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이동 경로 중에서 지하철 이동 구간을 추출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xt aware service techniqu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xt aware service technique, in which context-based subway movement segments are extracted from a movement path formed by sequentially connecting coordinates of points measur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Inference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for.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고,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development of the terminal specific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come a necessity of modern people and has evolved into a total entertainment device beyond the conventional category of simple communication apparatus o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근거리에 위치한 장치들 간에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들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은 스마트폰, 지오펜싱(Geo-fencing), 위치 기반 서비스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된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 기기가 보급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technologies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located in close proximit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rapidly developing. Such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s widely used for smart phones, geo-fencing, . In recent years, smart devices, which are intelligent terminals that add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retrieved computer support functions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come popular, so that applications can be installed and various services can be provided.

더불어, 최근에는 상황 인지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일상을 자동으로 인지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일상 전반을 기록 및 보관하는 것을 라이프 로그라 하며, 사용자는 라이프 로그를 기반으로 하는 상황 인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황 인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황 인지 서비스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생체 정보, 움직임 감지 및 운동량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도보 이동, 정지, 교통 수단을 통한 이동 등 사용자의 일상을 기록할 수 있다.In addition, technologies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users' daily lives based on context recognition technology are being developed. The recording and archiving of the user's entire daily life is referred to as a life log, and a user can install an application and receive a context aware service in order to use the life log based context aware service. In addition, the context aware service systematically analyze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motion detection, and momentum information, and records the user's daily life, such as walking, stopping, and moving through the transportation means.

그러나, 지금까지의 상황 인지 기술은, 사용자의 위치를 측위함에 있어 사용자가 현재 지하철 이동 구간에 있는지 정확한 상황을 판단할 수 없는 불편한 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ituation recognition technology has an inconvenience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the exact situation whether the user is presently in the subway moving section in positioning the user.

한국공개특허 10-2014-0060369 A, 2014년 05월 19일 공개 (명칭: 이동 디바이스가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것의 검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60369 A, published May 19, 2014 (name: detection of a mobile device aboard a vehicle)

이러한 종래의 상황 인지 기술에서 사용자가 현재 지하철 이동 구간에 있는지 정확하게 상황을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이동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지점의 좌표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이동 경로 중에서 지하철 이동 구간을 추출할 수 있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user can not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present in the subway moving section in the conventional situation recognition technolog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quentially connecting coordinat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ferring a subway moving region based on a context awareness and a device for the same.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은 사용자 이동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좌표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이동 경로 중에서 지하철 이동 구간을 추출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에 있어서, 각 좌표에서 측정된 복수의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추론 요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추론 기준에 따라서 복수의 추론 요소 정보를 확인하여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와, 각 좌표 별 추론 점수를 합산하여,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복수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이동 경로 중,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연속된 좌표로 이루어지는 구간을 지하철 이동 구간으로 추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ferring a subway moving area based on a context-awareness, comprising the steps of: Extracting a plurality of pieces of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by analyzing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at each coordinate, and extracting a plurality of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reasoning criterion, Obtaining a plurality of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by summing up the inference scores for each of the coordinates and obtaining a plurality of coordinates having consecutive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among the movement paths, And deriving the section as a subway moving s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에 있어서, 추론 요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이동 경로 중에, 인접한 좌표 간의 거리가 일정 값 이하인 구간을 추론 점수 구간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ferring a subway movement reg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comprising the steps of removing, from a reason point section, a section in which a distance between adjacent coordinate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에 있어서, 추론 요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황 인지 장치의 ID, 좌표에 대한 수집 시간, 좌표의 위도 및 경도, 좌표를 기준으로 하는 인근 지하철역의 존재 유무,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의 존재 여부, 이동통신 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추출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ferring a subway movement reg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wherein the step of extracting inferential factor information comprises: acquiring an ID of the context aware device, a collection time for the coordinates, a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coordinate, Existence of a subway station, existence of a wireless access signal mapped to a specific coordinate, and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에 있어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특정 좌표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적어도 하나의 지하철역이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In addition, in the context awareness-based subway movement section infere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giving a reasoning score gives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when at least one subway station exists within a certain distance based on a specific coordin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에 있어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특정 좌표의 이동통신 셀 정보가 지하철의 이동통신 셀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ferring a subway movement reg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the step of assigning a reasoning score includes: when a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of a specific coordinate coincides with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of a subway,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에 있어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가 포함된 경우,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Further, in the context-aware subway movement section infere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giving a reasoning score gives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when a wireless access signal mapped to a specific coordinate is inclu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에 있어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다수의 좌표로 이루어지는 구간 내에서 추론 점수가 0인 좌표의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추론 점수가 0인 좌표의 개수가 연속적으로 일정 횟수 이상 존재하는 경우, 구간 내 포함된 최초 좌표와 마지막 좌표를 제외한 나머지 좌표들을 해당 구간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ferring a subway moving area based on context awareness, wherein the step of assigning an inference score is performed by checking the number of coordinates whose inference score is 0 within a sec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ordinates, Is 0 or more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consecutive times, removing the coordinates other than the initial coordinates and the last coordinates included in the interval from the corresponding interv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에 있어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추론 요소 정보 중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집되는 구간을 패턴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패턴이 종료되면, 해당 구간에 대하여, 무선 접속 신호의 감지가 시작되는 최초 좌표부터 마지막 무선 접속 신호가 감지되는 좌표까지 모든 좌표를 대상으로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ferring a subway moving area based on context awareness, the step of assigning a reasoning score includes: designating, as a pattern, a section in which wireless connection signals mapped to specific coordinates in inferred element information are continuously collected; When the pattern ends, the step of assigning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to all the coordinates from the first coordinate at which the detection of the wireless access signal starts to the coordinate at which the last wireless access signal is detected is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s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에 있어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복수의 위치 검색 방식을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 중 이동통신 셀로부터 수집된 좌표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ferring a subway moving area based on context awareness, the method comprising: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n coordinates collected from mobile communication cells among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plurality of location search methods;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에 있어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인접한 좌표에 모두 지하철과 연관된 이동통신 셀 정보가 포함된 경우, 각 좌표에 대하여,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ferring a subway movement reg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the step of providing an inference score includes: when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ubway is included in adjacent coordinates,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에 있어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특정 구간의 속도가 임계 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속도가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연속된 위치의 좌표에서 수집된 이동통신 셀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이동통신 셀이 지하철과 관련된 이동통신 셀인 경우, 해당 구간의 모든 좌표에 대하여,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ferring a subway movement reg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speed of a specific sec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And if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s a mobile communication cell related to the subway, assigning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to all the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reg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에 있어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위치 수집 지점에 대하여, 지점과 인접한 지하철역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인접한 지하철역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구단의 모든 좌표에 대하여,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ferring a subway moving area based on context awareness, the step of providing a reasoning score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subway station adjacent to a point exists at a location collecting point, , A step of giving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to all the coordinates of the tea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에 있어서, 지하철 이동 구간을 추론하는 단계 이전에, 추론 점수를 갖는 복수의 좌표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가장 마지막에 생성된 좌표와 연관하여 인접한 지하철역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지하철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좌표를 지하철 이동 구간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ferring a subway moving area based on context awareness, the method comprising: prior to a step of inferring a subway moving area, And if the at least one adjacent subway station does not exist, removing the coordinates from the subway moving s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지 장치는 각 좌표에서 측정된 복수의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추론 요소 정보를 추출하는 추론 요소 정보 추출부와, 기 설정된 추론 기준에 따라서 복수의 추론 요소 정보를 확인하여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추론 점수 산출부 및 각 좌표 별 추론 점수를 합산하여,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복수의 좌표를 획득하고, 이동 경로 중,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연속된 좌표로 이루어지는 구간을 지하철 이동 구간으로 추론하는 이동 구간 추론부를 포함한다.The context-awa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extraction unit that analyzes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at each coordinate and extracts a plurality of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A plurality of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are obtained by summing up the inference scores for each of the coordinates and the inference scores for each of the coordinates, And a mobile section inference section for inferring the section composed of the mobile section as a subway moving s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장치에 있어서, 추론 요소 정보를 기반으로 부여되는 각 좌표 별 추론 점수 및 추론 점수를 반영하여 추론되는 지하철 이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ext-awa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inferred subway movement period, which is inferred by reflecting a reasoning score and an inference score for each coordinate given based on the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황 인식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식은 운행 노선, 운행 경로 내에서 비교적 높은 확률 및 정확한 추론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xt awareness-based subway movement inference method enables a relatively high probability and accurate reasoning within a service route and a service route.

또한, 지하철 구간 내에서 무선 접속 장치의 미 탑대로 인한 추론 오류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asoning error due to the failure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in the subway section.

또한, 이전에는 이동통신 셀 정보 오류로 인해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으나, 셀 캐쉬(Cell cash) 문제 해결을 통해 셀 기반 추론 강화가 가능하며, 소모 전류 이득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cell-based reasoning can be strengthened by solving the cell cache problem, and the consumption current gain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론 점수 부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xt awareness based subway movement section reas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tuation-awa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ferring a subway moving area based on context aware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giving a reasoning s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to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text awareness based subway movement section infere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not limited to the concept of terminology for describing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수단을 지하철을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지만, 이동 수단은 지하철 이외에 기차, 전철, 열차, 자동차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inafter, a context awareness based subway movement section reason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subway, but the moving means may include a train, a train, a train, an automobile, etc. in addition to the subw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xt awareness based subway movement section reas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상황 인지 장치(100), 상황 인지 장치(1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지하철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장치(200) 및 지하철 각 객체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의 무선 접속 장치(10a, 10b, 10c: 10(Wi-Fi)) 및 지하철과 인접 지역에 설치된 이동통신 무선 접속 장치(20a, 20b, 20c: 20(eNode B))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ext awareness based subway movement section reas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context awareness device 100 and the context awareness device 100 possessed by the us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10b and 10c: 10 (Wi-Fi) of short-distanc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nstalled in each sub-object of the subway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radio access devices 20a, 20b, 20c: 20 (eNode B).

상황 인지 장치(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에 대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단말기 또는 단말기 내에 탑재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이 될 수 있다.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may be a terminal or a software program or the like that can be installed in a terminal or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via a communication network in accordance with a key operation of a user and performing a function therefor.

상황 인지 장치(100)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설치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러한 상황 인지 장치(100)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이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황 인지 장치(100)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황 인지 장치(100) 다른 단말기 내에 탑재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install and store one or more applications provided from the service apparatus 200 and may execute any application install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may be applied to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multimedia terminals, wired terminals, fixed terminals, and IP (Internet Protocol) terminals And the like. The circumstance recognition apparatus 100 may be a mobile phon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mobile Internet device (MID), a smart phone, a desktop, a tablet PC, A mobile phone having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pecifications such as a netbook,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ext-awareness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in another terminal.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황 인지 장치(100)는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일정 주기 마다(예를 들어, 1분)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 인지 장치(100)는 다수의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HPS(Hybrid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좌표를 수집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every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one minute) through an application or program for inferring a subway moving section, Location information can be stored. Here,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may collect coordinates related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a Hybrid Positioning System (HPS).

상황 인지 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지하철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무선 접속 장치인 엑세스 포인트(AP)(10) 또는 지하철 인접 지역에 설치된 이동통신 무선 접속 장치인 eNode B(2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신호를 스캔하여 스캔한 무선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스캔되는 무선 신호들에는 지하철에 관련된 무선 신호(예를 들어, 각 객체에 설치된 무선 접속 장치(AP)(10) 또는 지하철역에 설치된 이동통신 무선 접속 장치(eNode B)(2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신호) 외에 다른 무선 신호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의 각 객차에 설치된 무선 접속 장치(AP)(10)로부터 수집된 맥 주소(MAC Address) 정보 및 이동통신 무선 접속 장치(20)로부터 수집된 셀(Cell) 정보(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셀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context awareness device 100 includes an access point (AP) 10, which is one or more near-fiel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reless access devices installed in the subway at the user's current location, or an eNode B 20, And can locate the user through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canned radio signal. Meanwhile, radio signals scanned 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nclude radio signals related to the subway (for example, a radio access device (AP) 10 installed in each object or a mobile communication radio access device eNode B installed in a subway station 20) may also be included. For example, MAC address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wireless access device (AP) 10 installed in each carriage of a subway and cell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access point 20 , Long Term Evolution (LTE) cell information).

상황 인지 장치(100)는 각 좌표에서 측정된 복수의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추론 요소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추론 요소 정보는 상황 인지 장치(100)의 ID, 각 좌표에 대한 수집 시간, 각 좌표의 위도(Latitude) 및 경도(Longitude), 각 좌표를 기준으로 하는 인근 지하철역의 존재 유무,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의 존재 여부, 이동통신 셀 정보 등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황 인지 장치(100)는 기 설정된 추론 기준에 따라서 복수의 추론 요소 정보를 확인하여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 여기서, 추론 기준은 일정 주기 동안 이동 거리가 적은 구간 확인, 인접한 지하철 존재 유무 확인, 지하철의 이동통신 셀 정보에 대한 일치 여부 확인,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의 존재 여부 확인, 추론 점수의 합이 O인 구간인 좌표가 연속적으로 존재하는지 확인,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의 변화 패턴 확인, 이동통신 셀로부터 수집된 위치정보에 대한 좌표 확인, 이동통신 셀 정보에 대한 다구간 연속 패턴 확인, 이동통신 셀 정보의 변화 패턴 확인, 지하철역에 대한 인접 패턴 확인 등의 조건이 포함되며, 상기의 추론 기준을 적용하여 각각의 추론 요소 정보에 대한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analyzes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at each coordinate and extracts a plurality of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Here, the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includes ID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acquisition time for each coordinate, latitude and longitude of each coordinate, presence or absence of a nearby subway station based on each coordin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to be mapped, and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Then,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confirms a plurality of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reasoning criterion, and gives an inference score. Here, the reasoning criterion is to check whether there is a subway existing in a certain period, confirm whether there is an adjacent subway, check whether the subway has a correspondence with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check whether there is a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re are consecutive co-ordinates in which the sum of reasoning points is 0, to confirm a change pattern of a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mapped to a specific coordinate, to confirm coordinates of posi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of the change pattern of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and an adjacent pattern confirmation for the subway station. The inference criterion is applied to give the inference score for each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

상황 인지 장치(100)는 각 좌표 별 추론 점수를 합산하여,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복수의 좌표를 획득한다. 이후, 상황 인지 장치(100)는 이동 경로 중,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연속된 좌표로 이루어지는 구간을 지하철 이동 구간으로 추론한다.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adds up the inference scores for each coordinate to obtain a plurality of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Then, the context awareness device 100 deduces, as a subway moving segment, a segment of consecutive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in the movement path.

상기의 추론 점수 부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의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 concrete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giving the reasoning sco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서비스장치(200)는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상황 인지 장치(100)와 연동하여 차량 관련 정보(지하철 또는 지하철역에 설치된 무선 접속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설치된 위치 정보, 노선 정보 등)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장치(200)는 지하철에 관련된 고유 식별 정보의 확인 결과를 상황 인지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rvice device 200 can manage vehicle-related informati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access device installed in a subway or a subway station, installed location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etc.) in cooperation with one or more context aware devices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200 can transmit the confirmation result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way to the situation recognition device 10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지 장치(100)나 서비스장치(20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A processor mounted on the context-aware apparatus 100 or the service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cess program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implementation, the processor may be a single-threaded processor, and in other embodiments, the processor may be a multi-threaded processor. Further, the processor is capable of processing instructions stored on a memory or storage device.

이와 같은 상황 인지 장치(100) 및 서비스장치(200)는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이러한,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한편, 통신망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and the service apparatus 200 are link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not shown).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using an Internet protocol, an intranet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 network that can send and receive data. Such a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classified into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s well as a closed network such as a LAN (Local Area Network) ,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Long Term Evolution (LTE), Evolved Packet Core (EPC), and other future network and computing networks. Meanwhile,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ethods, and may include all other known or later-developed communication methods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methods described abov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을 위한 상황 인지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for context awareness based subway movement section infere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tuation-awa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장치(100)는 추론 요소 정보 추출부(110), 추론 점수 산출부(120), 이동 구간 추론부(130), 저장부(140), 위치정보 제공부(150), 센서부(160) 및 통신부(170)로 구성된다.2, the context-awareness apparatus 100 includes a reasoning element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10, a reasoning point calculating unit 120, a moving region deducing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 controller 150, a sensor unit 160, and a communication unit 170.

저장부(14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상황 인지 장치(1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40)는 프로그램 영역에 각 좌표에서 측정되는 센싱 정보를 분석하는 프로그램,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추론 요소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그램, 추론 요소 정보를 확인하여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프로그램, 각 좌표 별 추론 점수를 합산하여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좌표들을 추출하고, 이동 경로 중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연속된 좌표로 이루어지는 구간을 추론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데이터 영역에 추론 요소 정보를 기반으로 부여되는 각 좌표 별 추론 점수 및 추론 점수를 반영하여 추론되는 지하철 이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40 is a device for storing data, and includes a main storage device and an auxiliary storage device, and stores an application program required for the functional operation of the context-aware device 100. [ The storage unit 140 may include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for analyzing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at each coordinate in a program area, a program for extracting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And a program for extracting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by summing inference scores for each coordinate and deducing a section composed of consecutive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in the movement path.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stores information on the inferred subway movement period by reflecting the reasoning score and the reasoning score of each coordinate given based on the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in the data area.

위치정보 제공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황 인지 장치(100)의 위도 및 경도 등의 현재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그런데, GPS 위성으로부터의 수신 신호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치정보 제공부(150)는 정확한 위치정보를 위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라운드 트립 지연(Round Trip Delay) 정보, 파일럿 위상(Pilot Phase)파일 정보 등을 GPS 신호와 함께 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은 두 가지 역할을 한다. 하나는 통신센터와 상황 인지 장치(100)의 데이터 전송을 중개하는 역할이고, 다른 하나는 상황 인지 장치(100)의 위치, 즉,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위치정보 제공부(150)는 상술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황 인식 장치(100)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3곳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정밀위치를 파악하는 삼각법 등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receives the GPS signal from at least on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 and grasps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such as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However, when using only a received signal from the GPS satellite, an error may occur. Therefore,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may use round trip delay information, pilot phase ) File information etc. can be operated together with GPS signal. Here, the base station plays two roles. One is for relaying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center and the context awareness device 100, and the other is for transmitting data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context awareness device 100, i.e., the location of the user. Accordingly,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receives the above-described position information and grasps the position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or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three or more base stations, Location information can be grasped.

또한, 위치정보 제공부(150)는 위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하여 HPS(Hybrid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HPS는 무선랜(Wi-Fi), GPS,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이용한 복합적인 위치측정 기술로 위치 기반 서비스의 검색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위치정보 제공부(150)는 HPS를 적용하게 되면, GPS 수신 방식에서 발생하는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실내 또는 실외에서 모두 측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may use HPS (Hybrid Positioning System) to measure posi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HPS can improve the accuracy of location-based service search by using a hybrid location measurement technology using Wi-Fi, GPS,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erefore, when the HPS is applied to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easurement error occurring in the GPS receiving method and to measure both indoor and outdoor.

센서부(160)는 빛을 발광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물체의 움직임 등과 같은 물리적 신호를 감지하여 신호 처리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60)는 외부 물체가 일정 감지 영역 내로 접근하는 것을 적외선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60)는 적외선을 복사하여 빛이 차단됨으로써 변화를 감지하는 능동식과, 자체에 발광부를 가지지 않고 외부로부터 받는 적외선의 변화만을 감지하는 수동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60)가 능동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적외선(IR)을 방사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이루어지는 발광부(미도시)와, 반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다이오드 또는 트랜지스터(Transister, TR)와 같은 검출기(Detector)로 이루어지는 수광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160)는 사용자의 상황 인지를 위하여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선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선가속도는 사용자가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한다는 가정하에, 직선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의미한다. 한편, 회전하는 방향으로의 가속도는 각가속도가 될 수 있다. 선가속도는 사용자가 움직이는 속도를 증가하거나 감소시키지만, 각가속도는 사용자의 각속도를 변화시킨다. 또한, 선가속도는 사용자의 운동방향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때, 가속도 센서는 X, Y, Z축의 3축 가속도 센서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3축 가속도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60 emits light and senses a physical signal such as movement of a user or movement of an object input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s the sensed physical signal to a signal processing unit (not shown).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160 may use an infrared sensor that detects the approach of an external object to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by using infrared rays. Here, the sensor unit 160 may be divided into an active type that detects the change by blocking the light by copying the infrared rays, and a manual type that detects only the change of the infrared rays received from the outside without having the light emitting unit. For example, when the sensor unit 160 is configured to be active, a light emitting unit (not shown) formed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that emits infrared rays (IR) (Not shown) composed of a diode or a detector such as a transistor (Transister, TR). In particular, the sensor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n acceleration sensor to measure the linear velocity in order to recognize the user's situation. Here, the linear velocity means an acceleration in a linear direction on the assumption that the user performs rotational motion and linear motion. On the other hand, the acceleration in the rotating direction can be the angular acceleration. The line speed increases or decreases the speed at which the user moves, but the angular speed changes the angular speed of the user. In addition, the line spee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rce acting on the direction of the user's motion. At this time, the acceleration sensor is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of X, Y, Z axis, and can detect a three-axis accel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motion.

통신부(170)는 서비스장치(200)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7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7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황 인지 장치(10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서비스장치(20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상황 인지 장치(100)는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접속하며,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communication unit 170 includes RF transmitting means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the frequency of the transmitted signal, RF receiving means for low-noise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and down-converting the frequency.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 circumstance recognition device 100 uses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either one of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service apparatus 200 by using the data.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i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y wire.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can connect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wired line and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the service device 200. That is, the circumstance recognition apparatus 100 connects to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service apparatus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추론 요소 정보 추출부(110), 추론 점수 산출부(120) 및 이동 구간 추론부(130)는 사용자 이동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지점의 좌표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이동 경로 중에서 지하철 이동 구간을 추출하는 기능을 제어한다.The reasoning element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10, the reasoning point calculating unit 120, and the moving region deducing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location of the subway moving region And the like.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론 요소 정보 추출부(110)는 각 좌표에서 측정된 복수의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추론 요소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추론 요소 정보는 상황 인지 장치(100)의 ID, 각 좌표에 대한 수집 시간, 각 좌표의 위도 및 경도, 각 좌표를 기준으로 하는 인근 지하철역의 존재 유무,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의 존재 여부, 이동통신 셀 정보 등의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추론 요소 정보 추출부(110)는 추론 요소 정보를 추출하기 이전에, 이동 경로 중에, 인접한 좌표 간의 거리가 일정 값 이하인 구간을 추론 점수 구간에서 제거한다. 즉, 추론 요소 정보 추출부(110)는 일정 거리 미만의 좌표는 지하철 판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소로 판단하고, 처리 속도를 위해 해당 구간을 제거한다.In particular, the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at each coordinate and extracts a plurality of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Here, the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includes the ID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the collection time for each coordinate,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each coordin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nearby subway station based on each coordinate, MAC address),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before extracting the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the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10 removes a s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coordinate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inference point section. That is, the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coordinate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are elements that do not affect the determination of the subway, and removes the corresponding interval for the processing speed.

추론 점수 산출부(120)는 기 설정된 추론 기준에 따라서 복수의 추론 요소 정보를 확인하여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 여기서, 추론 기준은 일정 주기 동안 이동 거리가 적은 구간 확인, 인접한 지하철 존재 유무 확인, 지하철의 이동통신 셀 정보에 대한 일치 여부 확인,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의 존재 여부 확인, 추론 점수의 합이 O인 구간의 좌표가 연속적으로 존재하는지 확인,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의 변화 패턴 확인, 이동통신 셀로부터 수집된 위치정보에 대한 좌표 확인, 이동통신 셀 정보에 대한 다구간 연속 패턴 확인, 이동통신 셀 정보의 변화 패턴 확인, 지하철역에 대한 인접 패턴 확인 등의 조건이 포함되며, 상기의 추론 기준을 적용하여 추론 점수 산출부(120)는 각각의 추론 요소 정보에 대한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The inference score calculator 120 confirms a plurality of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reasoning criterion and gives an inference score. Here, the reasoning criterion is to check whether there is a subway existing in a certain period, confirm whether there is an adjacent subway, check whether the subway has a correspondence with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check whether there is a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coordinates of the interval in which the sum of the reasoning points is 0 continuously, to confirm the change pattern of the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mapped to the specific coordinates, to confirm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A congestion point calculation unit 120 for determining a congestion factor of the mobile station based on the inference criterion, and a congestion factor calculation unit 120 for calculating a congestion factor Give reasoning points about the information.

한편, 추론 점수 산출부(120)는 복수의 위치 검색 방식을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 중 이동통신 셀로부터 수집된 좌표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거하여 추론 점수 부여가 되지 않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asoning score calculating unit 120 remov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ordinates collec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s among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position searching methods, so that the reasoning score is not given.

이동 구간 추론부(130)는 각 좌표 별 추론 점수를 합산하여,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복수의 좌표를 획득하고, 이동 경로 중,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연속된 좌표로 이루어지는 구간을 지하철 이동 구간으로 추론한다. 이때, 이동 구간 추론부(130)는 추론 점수를 갖는 복수의 좌표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가장 마지막에 생성된 좌표와 인접한 지하철역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지하철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좌표를 지하철 이동 구간에서 제거할 수 있다.The moving-region inferring unit 130 sums the inference scores of each coordinate to obtain a plurality of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and sets a section of consecutive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It is deduced as a moving section. At this time, the movement section reasoning unit 130 confirms whether there is a subway station adjacent to the last generated coordinate in a se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coordinates having a reasoning score, and if the presence of at least one adjacent subway station does not exist , The coordinates can be removed from the subway moving section.

한편, 상황 인지 장치(100)나 서비스장치(200)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mory mounted in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or the service apparatus 200 stores information in the apparatus. In one implementation, the memory is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one implementation, the memory may be a volatile memory unit, and in other embodiments, the memory may be a non-volatile memory unit. In one implementation, the storage device is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various different implementations, the storage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hard disk device, an optical disk device, or any other mass storage device.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describe exemplary device configurations, the functional operations and subject matter 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types of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or alternatively, of the structures disclosed herein and their structural equivalents May be embodied in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cluding, or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i. E. One for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program storage medium of the type for < RTI ID = 0.0 & And can be implemented as a module as described above. The computer-readable medium can be a machine-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a composition of matter that affects the machine readable propagation type signal,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과정을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0052] The context awareness-based subway movement section inference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론 점수 부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ferring a subway moving area based on context aware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giving a reasoning s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ferring a subway moving reg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인지 장치(100)는 각 좌표에서 측정된 복수의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추론 요소 정보를 추출한다(S301 내지 S303). 여기서, 추론 요소 정보는 상황 인지 장치(100)의 ID, 각 좌표에 대한 수집 시간, 각 좌표의 위도 및 경도, 각 좌표를 기준으로 하는 인근 지하철역의 존재 유무,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의 존재 여부, 이동통신 셀 정보 등의 정보를 추출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context aware apparatus 100 analyzes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at each coordinate and extracts a plurality of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S301 to S303). Here, the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includes the ID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the collection time for each coordinate,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each coordin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nearby subway station based on each coordinate, MAC address),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and the like.

상황 인지 장치(100)는 S305 단계에서 기 설정된 추론 기준에 따라서 복수의 추론 요소 정보를 확인하여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In step S305, the circumstantial cognitive device 100 confirms a plurality of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reasoning criterion and gives a reasoning score.

다음은 추론 점수 부여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황 인지 장치(100)는 S31 단계에서 이동량이 적은 구간을 제거한다. 즉, 상황 인지 장치(100)는 일정 거리(예, 50m) 미만의 좌표에 대하여 지하철 판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소로 간주하고, 처리 속도 개선을 위하여 이동 구간에서 제거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인지 장치(100)는 이동 구간 상의 점(좌표) 중에서 제1 좌표(501)와 제2 좌표(503) 사이의 거리가 50m인 경우에 제2 좌표(503)을 이동 구간 상에서 제거하며, 제1 좌표(501) 다음에는 제3 좌표(505)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한다.The following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giving an inference score.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removes a section having a small movement amount in step S31. That is, the situation-aware apparatus 100 regards the coordinates less than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50 m) as an element that does not affect the subway determination and removes it from the moving section to improve the processing spe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ordinate 501 and the second coordinate 503 in the point (coordinate) on the moving section is 50 m, The coordinate 503 is removed on the moving section, and the first coordinate 501 is followed by the third coordinate 505 successively.

또한, 상황 인지 장치(100)는 S33 단계에서 인접한 지하철역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 여기서, 상황 인지 장치(100)는 특정 좌표와 지하철역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가 일정 거리(예, 100m) 이내인 경우 일정 점수를 추론 점수에 반영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인지 장치(100)는 좌표(601)와 지하철역(603)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좌표(601)와 지하철역(603) 사이의 거리의 거리가 100m 이내 인 경우, 해당 좌표(601)의 추론 점수에 20점을 가산한다.In addition, the situation-aware apparatus 100 confirms presence of an adjacent subway station in step S33 and gives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Here,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confirms the distance between the specific coordinates and the subway station, and reflects the predetermined score to the inference score when the confirmed distance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100 m). 6, the situation-aware apparatus 10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s 601 and the subway station 603,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s 601 and the subway station 603,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s 601 and the subway station 603. [ Is less than 100 m, 20 points are added to the inference score of the coordinate (601).

또한, 상황 인지 장치(100)는 S35 단계에서 지하철의 이동통신 셀 정보에 대한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 여기서, 상황 인지 장치(100)는 수집된 좌표의 이동통신 셀 정보가 지하철의 이동통신 셀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상황 인지 장치(100)는 판단 결과, 각각의 이동통신 셀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일정 점수를 추론 점수에 반영한다. 이때, 이동통신 셀에 대한 셀 캐쉬 오류로 인해 추론 점수에 대한 가점이 낮으며, 셀 캐쉬 해결 시 추가로 추론 점수 반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인지 장치(10))는 수집된 좌표들 중에서 해당 좌표의 이동통신 셀 정보와 지하철 이동통신 셀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좌표(701, 703, 705, 707, 709) 각각에 대하여 추론 점수에 10점씩을 가산한다.In step S35, the context-awareness device 100 checks whether the subway car is in agreement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and gives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Here,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coordinates coincide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of the subway. The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reflects a certain score in the inference score when the respectiv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coincides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because the cell cache erro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s low, the deduction score for the reasoning score is low, and the reasoning score can be further reflected when the cell cache is resolv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and the subway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coincide among the collected coordinates,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701, 703, 705, 707, and 709 are added to the reasoning score.

또한, 상황 인지 장치(100)는 S37 단계에서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 여기서, 상황 인지 장치(100)는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를 가지고 있을 경우, 해당 좌표에 대하여 일정 점수를 추론 점수에 반영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인지 장치(100)는 수집된 좌표들 중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를 포함하는 좌표(801, 803, 805, 807) 각각에 대하여 추론 점수에 10점씩을 가산한다.In step S37, the circumstance recognition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mapped to a specific coordinate and gives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Here, when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has a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mapped to a specific coordinate, a certain score is reflected in the inference score for the coordin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may calculate an inference score for each of the coordinates (801, 803, 805, and 807) including the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Add 10 points each.

또한, 상황 인지 장치(100)는 S39 단계에서 추론 점수의 합이 O인 구간의 좌표가 연속적으로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해당 구간을 제거한다. 즉, 상황 인지 장치(100)는 상기의 추론 점수 부여 과정(이동량 확인, 인접한 지하철역 존재 유무 확인, 이동통신 셀 정보 확인,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의 존재 여부 확인)까지의 추론 점수 합이 0인 좌표가 일정 개수(예, 5개)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나타나게 되면, 해당 좌표를 구간(지하철 이동 추론 구간) 상에서 제거한다. 이때, 상황 인지 장치(100)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상황이 겹쳐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의 좌표 제거 시 구간 내 양쪽 끝 좌표는 지하철 이동 추론 구간에서 제거하지 않고, 유지한다. 예를 들어, 상황 인지 장치(100)는 구간을 이루는 좌표들 중 추론 점수의 합이 0인 좌표들(901 내지 913)을 확인하고, 확인된 좌표들 중 맨 처음 좌표(901)과 마지막 좌표(913)을 제외한 상기 좌표들 사이의 좌표(903 내지 911)을 구간 내에서 제거한다.In step S39, the circumstantial cognitive apparatus 100 checks whether the coordinates of the section having the sum of the inference scores O are continuously present, and removes the s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 In other words,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reasoning point giving process (confirmation of movement amount, existence of an adjacent subway station, confi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and existence of a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If coordinates with a sum of inference scores of 0 are continuously displayed with a certain number (eg, five) or more,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are removed on the interval (subway movement reasoning interval).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a situation where two different situations overlap each other,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maintains both end coordinates in the subway moving deduction period without removing the coordinates. For example, the context-awareness device 100 checks coordinates (901 to 913) having a sum of reasoning points out of the coordinates forming the interval, and calculates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coordinate (901) and the last coordinate (903 to 911) between the coordinates except the coordinates (913) are removed in the interval.

또한, 상황 인지 장치(100)는 S41 단계에서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의 변화 패턴에 따라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 여기서, 상황 인지 장치(100)는 같은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에 대한 리스트가 연속적으로 수집되는 것을 패턴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황 인지 장치(100)는 지하철 객차 내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가 처음 수집된 시점부터 패턴 확인을 시작하며, 연속된 두 점 사이에 같은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가 존재하지 않거나, 패턴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일정 횟수(예, 3회)이상 발생하면, 다음 좌표부터 다시 패턴 검색을 수행한다. 한편, 패턴이 벗어나게 되면, 상황 인지 장치(100)는 패턴 시작 좌표부터 마지막 좌표까지 모든 좌표에 일정 점수를 추론 점수에 반영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인지 장치(100)는 3회 이상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가 나타나는 경우, 이때부터 패턴으로 인식하고, 패턴 인식 후, 수집되는 좌표들(1003, 1005, 1007, 1009) 각각에 대하여 추론 점수에 60점씩을 가산한다.In step S41, the circumstance recognition apparatus 100 grants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according to a change pattern of a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mapped to a specific coordinate. Here,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defines that a list of the same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is continuously collected.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starts pattern checking from the time when a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mapped to a specific coordinate in the subway train carriage is first collected, and transmits the same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The pattern search is performed again from the next coordinates when a certain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hree times) of occurrence of no pattern or no pattern appears.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ttern is deviated,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reflects a certain score in all points from the pattern start coordinate to the final coordinate in the inference sco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appears more than three times,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recognizes the pattern as a pattern from this point, , 1005, 1007, and 1009 are added to the reasoning score by 60 points.

또한, 상황 인지 장치(100)는 S43 단계에서 이동통신 셀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에 대한 좌표를 제거한다. 즉, 상황 인지 장치(100)는 HPS로부터 수집된 3종의 위치 정보(셀,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 3D 로케이션) 중에서 셀로부터 수집된 좌표를 제거한다. 상기의 셀로부터 수집된 좌표를 이전 단계 중 어느 하나에서 제거할 경우, 해당 지점에 수집된 로케이션이 전혀 없다고 오류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 제거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인지 장치(100)는 셀로부터 수집된 좌표(1103, 1105, 1111),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로부터 수집된 좌표(1101, 1109, 1117) 및 3D 로케이션으로부터 수집된 좌표(1107, 1119) 중에서 셀로부터 수집된 좌표(1103, 1105, 1111)를 구간 내에서 제거한다.In addition, the context aware apparatus 100 removes th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 step S43. That is, the context-awareness device 100 removes the coordinates collected from the cell among the three types of location information (cell,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3D location) collected from the HPS. If the coordinates collected from the cell are removed in any of the previous steps, it is removed at the current point because there is no error that there is no location collected at that poi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context-aware apparatus 100 may include coordinates 1103, 1105, and 1111 collected from a cell, coordinates 1101, 1109, and 1117 collected from a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And coordinates (1103, 1105, 1111) collected from the cell among the coordinates (1107, 1119) collected from the 3D location in the interval.

또한, 상황 인지 장치(100)는 S45 단계에서 이동통신 셀 정보에 대한 다구간 연속 패턴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 여기서, 상황 인지 장치(100)는 인접 좌표가 모두 지하철 이동통신 셀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각 좌표에 추론 점수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인지 장치(100)는 연속적으로 지하철 이동통신 셀 정보가 수집되는 좌표(1201 내지 1205)각각에 대하여 추론 점수에 10점씩을 가산한다. 이때, 이동통신 셀 정보에 의해 수집된 좌표이지만, 연속적으로 수집되지 않은 좌표(1207, 1209)에 대해서는 추론 점수 반영을 하지 않는다.In step S45, the context aware apparatus 100 checks a continuous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Here,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reflects the reasoning score in each coordinate when the neighboring coordinates have the subway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adds 10 points to the reasoning score for each of the coordinates 1201 to 1205 at which the subway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is continuously collected. At this time, the reason points are not reflected on the coordinates 1207 and 1209, which are the coordinates coll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but are not continuously collected.

또한, 상황 인지 장치(100)는 S47 단계에서 이동통신 셀 정보의 변화 패턴에 따라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 이때, 상황 인지 장치(100)는 구간 내 속도를 확인한 결과, 임계 속도(예, 200m/min) 보다 큰 경우, 상기의 상황을 이동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상황 인지 장치(100)는 이동 중에 연속되는 일정 수(예, 3개)의 좌표의 수집된 이동통신 셀 정보가 지하철 이동통신 셀 정보인 경우, 패턴 구간으로 추가하며 모든 패턴 구간에 일정 점수를 추론 점수로 반영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인지 장치(100)는 연속되는 좌표(1307, 1309, 1311)가 이동통신 셀 정보를 가지는 경우, 즉, Fail 좌표(1301, 1303, 1305)가 아닌 연속되는 3개의 좌표가 지하철의 이동통신 셀 정보를 가지게 되면, 해당 좌표(1307, 1309, 1311) 각각에 대하여 추론 점수에 30점씩을 가산한다.In step S47, the context aware apparatus 100 gives predetermined reasoning points according to the change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At this time, when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confirms the speed within the section, it is judged that the situation is a shift when the speed is higher than a critical speed (for example, 200 m / min). When the collected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of a certain number of consecutive coordinates (for example, three) are consecutive on the move,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adds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to the pattern interval, As the inference sco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when the continuous coordinates 1307, 1309, and 1311 hav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i.e., the Fail coordinates 1301, 1303, and 1305 If the three consecutive co-ordinates have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of the subway, 30 points are added to the inference scores for the respective coordinates 1307, 1309, and 1311.

또한, 상황 인지 장치(100)는 S49 단계에서 지하철역에 대한 인접 패턴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한다. 여기서, 상황 인지 장치(100)는 위치 수집 지점에 인접한 지하철역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황 인지 장치(100)는 인접한 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연속하는 일정 수(예, 3개)의 좌표에 인접한 각각의 지하철역이 동일한 호선 또는 노선에 있거나, 환승하여 인접한 이동 가능한 구간 내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상황 인지 장치(100)는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해당 구간을 패턴 구간으로 추가하며, 모든 패턴에 추론 점수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인지 장치(100)는 인접한 역을 확인하며, 지하철 노선을 따라 이동하였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상황 인지 장치(100)는 인접한 이동 가능한 구간 내 있는 경우, 각각의 좌표(1401, 1403)에 대하여 추론 점수에 50점씩을 가산한다.In addition, the context-awareness device 100 confirms the adjacent pattern of the subway station at step S49 and gives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Here,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ubway station adjacent to the location collecting point. Then,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confirms whether or not each subway station adjacent to a certain number of consecutive coordinates (e.g., three) in the presence of an adjacent station exists on the same line or route, do. Then,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adds the section as a pattern s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 and reflects the reasoning score in all the patter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the context awareness device 100 identifies an adjacent station and determines whether it has moved along a subway line. If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is within an adjacent movable section, the context-aware apparatus 100 adds 50 points to the inference scores for the respective coordinates 1401 and 1403.

상황 인지 장치(100)는 각 좌표 별 추론 점수를 합산하여,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복수의 좌표를 획득한다(S307 내지 S309). 한편, 상황 인지 장치(100)는 추론 점수를 갖는 복수의 좌표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가장 마지막에 생성된 좌표와 연관하여 인접한 지하철역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황 인지 장치(100)는 확인 결과, 인접한 지하철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좌표를 지하철 이동 구간에서 제거한다. 또한, 상황 인지 장치(100)는 각 구간 내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에 대한 수집이 한번도 일어나지 않는 구간은 지하철을 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ircumstantial cognitive apparatus 100 sums the inference scores for each coordinate and acquires a plurality of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S307 to S309). On the other hand,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confirms whether or not an adjacent subway station exists in association with the last generated coordinate in a se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djacent subway station does not exist, the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100 removes the coordinates from the subway moving section. In addition, the situation-aware apparatus 100 can determine that the interval in which the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mapped to the specific coordinates in each section is not collected is not on the subway.

그리고, 상황 인지 장치(100)는 S311 단계에서 이동 경로 중,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연속된 좌표로 이루어지는 구간을 지하철 이동 구간으로 추론한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인지 장치(100)는 추론 점수를 통해 지하철 이동 구간을 판단할 수 있으며, 연속된 좌표를 이용한 구간 중에서 임계 점수(예, 70점) 이상을 가지는 구간인 A에서 B(1501) 구간, B에서 C(1503) 구간을 지하철 이동 구간으로 추론할 수 있다.In step S311, the context-awareness device 100 deduces a section including consecutive coordinates having a reasoning score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as a subway moving s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the context awareness apparatus 100 can determine a subway moving section through a reasoning score, and can determine a subway moving section having a threshold score (for example, 70 points) (1501) section from A to B, and C (1503) section from B to B can be deduced as the subway moving section.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While the specification contains a number of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n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on the description of features that may be specific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Certain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either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 although the features may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scribed as so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the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Or a variant of a subcombination.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Likewise, although the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at particular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should be performed.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Also,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will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사용자 이동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지점의 좌표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이동 경로 중에서 지하철 이동 구간을 추출한다. 이에 따르면, 상황 인식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식은 운행 노선, 운행 경로 내에서 비교적 높은 확률 및 정확한 추론이 가능하고, 지하철 구간 내에서 무선 접속 장치의 미 탑대로 인한 추론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전에는 이동통신 셀 정보 오류로 인해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으나, 셀 캐쉬 문제 해결을 통해 셀 기반 추론 강화가 가능하며, 소모 전류 이득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a subway moving section from a moving route formed by sequentially connecting coordinates of points measur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ccording to user movement.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make a relatively high probability and accurate reasoning within the service route and the route of operation, and to reduce the reasoning error due to the failure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in the subway section. In addition, cell-based reasoning can be strengthened by solving the cell cache problem, and the consumption current gain can be increased. This is not only a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r sales, but also a possibility of being industrially applicable since it is practically possible to carry out clearly.

10: 무선 접속 장치(AP) 20: 무선 접속 장치(eNB)
100: 상황 인지 장치 200: 서비스장치
110: 추론 요소 정보 추출부 120: 추론 점수 산출부
130: 이동 구간 추론부 140: 저장부
150: 위치 정보 제공부 160: 센서부
170: 통신부
10: radio access device (AP) 20: radio access device (eNB)
100: situation recognition device 200: service device
110: inference component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20:
130: Moving Region Reasoning Unit 140:
150: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60: Sensor unit
170:

Claims (15)

사용자 이동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좌표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이동 경로 중에서 지하철 이동 구간을 추출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에 있어서,
각 좌표에서 측정된 복수의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추론 요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기 설정된 추론 기준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추론 요소 정보를 확인하여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각 좌표 별 추론 점수를 합산하여,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복수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경로 중, 상기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연속된 좌표로 이루어지는 구간을 지하철 이동 구간으로 추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A method for inferring a subway moving area based on a context awareness in which a subway moving area is extracted from a moving route formed by sequentially connecting coordinates measur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ccording to user movement,
Analyzing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at each coordinate and extracting a plurality of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Identifying the plurality of reasoning el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asoning criterion to give an inference score;
Summing an inference score for each coordinate to obtain a plurality of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And
Deducing a section of consecutive coordinates having a reasoning score of the threshold value or more out of the movement paths as a subway moving section;
Based on the context-aware subway movement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요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 경로 중에, 인접한 좌표 간의 거리가 일정 값 이하인 구간을 추론 점수 구간에서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before the step of extracting the reasoning element information,
Removing, in the movement path, an interval in which a distance between adjacent coordinate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from a reason point sec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요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황 인지 장치의 ID, 상기 좌표에 대한 수집 시간, 상기 좌표의 위도 및 경도, 상기 좌표를 기준으로 하는 인근 지하철역의 존재 유무,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의 존재 여부, 이동통신 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racting of the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The ID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device, the collection time for the coordinates,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coordinat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nearby subway station based on the coordinat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And extract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cell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특정 좌표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적어도 하나의 지하철역이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ssigning the reasoning score
Wherein the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is given when at least one subway station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a specific coordin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특정 좌표의 이동통신 셀 정보가 상기 지하철의 이동통신 셀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ssigning the reasoning scor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of the specific coordinates coincide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of the subway,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is giv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MAC address)가 포함된 경우,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ssigning the reasoning score
When a wireless access signal (MAC address) mapped to a specific coordinate is included, the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is giv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다수의 좌표로 이루어지는 구간 내에서 상기 추론 점수가 0인 좌표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추론 점수가 0인 좌표의 개수가 연속적으로 일정 횟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구간 내 포함된 최초 좌표와 마지막 좌표를 제외한 나머지 좌표들을 해당 구간에서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ssigning the reasoning score
If the number of co-ordinates having the reasoning score of 0 is checked within a sec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ordinates, and if the number of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of 0 is continuously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as a result of the checking, And removing the remaining coordinates except for the last coordinate in the corresponding interval;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추론 요소 정보 중 특정 좌표에 매핑되는 무선 접속 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집되는 구간을 패턴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이 종료되면, 해당 구간에 대하여, 상기 무선 접속 신호의 감지가 시작되는 최초 좌표부터 마지막 무선 접속 신호가 감지되는 좌표까지 모든 좌표를 대상으로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ssigning the reasoning score
Designating as a pattern a section in which wireless connection signals mapped to specific coordinates in the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are continuously collected; And
Assigning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to all coordinates from a first coordinate at which the sensing of the wireless access signal starts to a coordinate at which the last wireless access signal is sensed for the corresponding section when the pattern ends;
Based on the context-aware subway movement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복수의 위치 검색 방식을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 중 이동통신 셀로부터 수집된 좌표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ssigning the reasoning score
Removing positional information on coordinates collected from mobile communication cells among positional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plurality of position search methods;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인접한 좌표에 모두 지하철과 연관된 이동통신 셀 정보가 포함된 경우, 각 좌표에 대하여,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ssigning the reasoning score
And if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ubway is included in each of the adjacent coordinates,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is assigned to each of the coordin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특정 구간의 속도가 임계 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속도가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연속된 위치의 좌표에서 수집된 이동통신 셀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이동통신 셀이 지하철과 관련된 이동통신 셀인 경우, 해당 구간의 모든 좌표에 대하여,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ssigning the reasoning score
Determining whether a speed of the specific sec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Confirming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nformation collected at the coordinates of consecutive locations when the speed is above a threshold value; And
If the mobile communication cell is a mobile communication cell related to a subway, assigning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to all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interval;
Based on the context-aware subway movement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위치 수집 지점에 대하여, 상기 지점과 인접한 지하철역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인접한 지하철역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구단의 모든 좌표에 대하여, 기 설정된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ssigning the reasoning scor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ubway station adjacent to the location for the location collection point; And
If a neighboring subway station exist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ssigning a predetermined reasoning score to all coordinates of the team;
Based on the context-aware subway movement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철 이동 구간을 추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추론 점수를 갖는 복수의 좌표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가장 마지막에 생성된 좌표와 연관하여 인접한 지하철역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지하철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좌표를 지하철 이동 구간에서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prior to the step of inferring the subway moving section,
Confirming whether or not an adjacent subway station is present in relation to the last generated coordinate in a se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coordinates having the reasoning score; And
If the at least one adjacent subway station does not exist, removing the coordinates from the subway moving sec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각 좌표에서 측정된 복수의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추론 요소 정보를 추출하는 추론 요소 정보 추출부;
기 설정된 추론 기준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추론 요소 정보를 확인하여 추론 점수를 부여하는 추론 점수 산출부; 및
각 좌표 별 추론 점수를 합산하여,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복수의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이동 경로 중, 상기 임계 값 이상의 추론 점수를 갖는 연속된 좌표로 이루어지는 구간을 지하철 이동 구간으로 추론하는 이동 구간 추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장치.
An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analyzing a plurality of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at each coordinate and extracting a plurality of inference element information;
A reasoning score calculation unit for checking the plurality of reasoning el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asoning criterion to give a reasoning score; And
A plurality of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re obtained by summing inference scor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ordinates to obtain a plurality of coordinates, and a section including consecutive coordinates having an inference scor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Section Reasoning Section;
Lt; RTI ID = 0.0 > 1, < / RTI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요소 정보를 기반으로 부여되는 각 좌표 별 추론 점수 및 상기 추론 점수를 반영하여 추론되는 지하철 이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인지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reasoning point of each coordinate given based on the reasoning facto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a subway movement period deduced by reflecting the reasoning score;
Lt; RTI ID = 0.0 > 1, < / RTI >
KR1020140117914A 2014-09-04 2014-09-04 Method for deducing subway movement sect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and apparatus thereof KR1016063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914A KR101606383B1 (en) 2014-09-04 2014-09-04 Method for deducing subway movement sect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914A KR101606383B1 (en) 2014-09-04 2014-09-04 Method for deducing subway movement sect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845A true KR20160028845A (en) 2016-03-14
KR101606383B1 KR101606383B1 (en) 2016-03-25

Family

ID=5554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914A KR101606383B1 (en) 2014-09-04 2014-09-04 Method for deducing subway movement sect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38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9035A (en) * 2017-10-20 2019-04-30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A kind of subway network scene cell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WO2019160221A1 (en) * 2018-02-19 2019-08-22 김경식 Subway station arrival announcement and station information guidance system using smartphone integrated positioning
CN116095601A (en) * 2022-05-30 2023-05-09 荣耀终端有限公司 Base station cell feature library updat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369A (en) 2011-09-16 2014-05-1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Detecting that a mobile device is riding with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0934A (en) 2009-10-09 2011-04-21 Nec Corp Position determin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369A (en) 2011-09-16 2014-05-1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Detecting that a mobile device is riding with a vehic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9035A (en) * 2017-10-20 2019-04-30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A kind of subway network scene cell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CN109699035B (en) * 2017-10-20 2021-11-30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Subway network scene cell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WO2019160221A1 (en) * 2018-02-19 2019-08-22 김경식 Subway station arrival announcement and station information guidance system using smartphone integrated positioning
CN116095601A (en) * 2022-05-30 2023-05-09 荣耀终端有限公司 Base station cell feature library updat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16095601B (en) * 2022-05-30 2023-10-20 荣耀终端有限公司 Base station cell feature library updat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383B1 (en) 2016-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2645B2 (en)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indoor navigation and method thereof
US9071939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ext determination
KR1018538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9758183B2 (en) Location fingerprinting for transit systems
EP3201646B1 (en) Modeling connectivity of transit systems
US8990011B2 (en) Determining user device's starting location
US10757671B2 (en) Location fingerprinting for a transit system
EP2769333A1 (en) Image and video based pedestrian traffic estimation
WO2016103499A1 (en)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WO2013038049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utomatic maintenance of a geoposition system
KR101606383B1 (en) Method for deducing subway movement sect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and apparatus thereof
Alakhras et al. Location fixing and fingerprint matching fingerprint map construction for indoor localization
US20190141663A1 (en) Portable-device-locating system that uses room-level motion sensors and rssi measurements to determine precise room-location
KR20220077542A (en) Indoor location idendifying system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KR101588177B1 (en) Method for deducing situation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and apparatus thereof
Zghair et al. Indoor localization system using Wi-Fi technology
Soubam et al. Bluepark: tracking parking and un-parking events in indoor garages
KR20130027881A (en) Method, system, terminal for automatically providing parking posi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oud computing service therefor
KR101768685B1 (e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ferencing Location
KR201500164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 by Using Wireless LAN Signal
US20150278705A1 (en) Control method to be executed by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20047491A (en) Indoor location idendifying system
Lin et al. A deep learning‐based indoor‐positioning approach using received strength signal indication and carrying mode information
KR1022379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movement means based on a user movement path
KR101573198B1 (e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automatic recognition of point of inte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