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642A -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642A
KR20160028642A KR1020140117366A KR20140117366A KR20160028642A KR 20160028642 A KR20160028642 A KR 20160028642A KR 1020140117366 A KR1020140117366 A KR 1020140117366A KR 20140117366 A KR20140117366 A KR 20140117366A KR 20160028642 A KR20160028642 A KR 20160028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low
flow path
combusto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930B1 (ko
Inventor
김태훈
도규형
한용식
최병일
김명배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1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9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ssure-Spray And Ultrasonic-Wave- Spray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노즐의 입구 영역에서의 압력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며, 연료를 연소기 측으로 제공하는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며, 연료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유로 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공급부; 일단은 상기 유로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소기 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상기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연료를 상기 연소기 측으로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과 상기 유로의 연결 영역 각각에서의 압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유로 상에 충진되는 유동압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FUEL SUPPLYING APPARATUS FOR USED IN COMBUSTER AND IMPROVED FLOW UNIFORMITY}
본 발명은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 공급 장치의 유로 상에 다공성 매질을 적절히 충진시킴으로써 각각의 노즐의 입구 영역에서의 압력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장비나 소형 무인 자가작동장비 등 동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에 독립적으로 동력을 공급해 줄 목적으로 제작되는 초소형 전원공급장치를 마이크로 동력원(Micro power generation:MPG)라고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기기에는 리튬 2차 전지가 주로 탑재되고 있다. 그러나, 대표적인 상용 2차 전지는 연속 사용기간이 짧고 충전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으며, 에너지 밀도도 이론한계치에 근접하여 있는 상태여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고성능화가 기존의 2차 전지로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까지 진행되고 있다.
한편, 마이크로 동력발생 장치는 기본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기존의 동력원보다 높아야 개발의 당위성이 보장되며, 출력과 에너지 밀도가 높은 동력발생장치로 극초소형 가스 터빈(Ultra Micro Gas Turbine:UMGT)이 주목을 받고 있다.
여기서, 극초소형 가스 터빈의 구동방법을 설명하면, 유입구 측에서 압축기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압축하여 극초소형 가스 터빈의 내부로 유입하면, 압축된 공기는 극초소형 가스 터빈의 내부 유로를 유동하며, 결국 연소기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연료와 섞인 상태로 연소기 내측에서 연소하여 터빈을 회전시키게 된다.
연소기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연료와 섞여 혼합기를 형성할 시, 연소기 내측에서 혼합기의 농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기존의 연료 공급 장치는 연료가 분사되는 영역 내에서 연료를 균일하게 분사하지 못함으로써 비규칙적인 연소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비규칙적인 연소는 터빈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잦은 속도변화를 발생시키 터빈의 회전속도를 불규칙하게 만들고, 결국 회전축에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료 공급 장치의 유로 상에 다공성 매질을 적절히 충진시킴으로써 각각의 노즐 입구 영역에서의 압력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연료를 연소기 측으로 제공하는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며, 연료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유로 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공급부; 일단은 상기 유로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소기 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상기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연료를 상기 연소기 측으로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과 상기 유로의 연결 영역 각각에서의 압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유로 상에 충진되는 유동압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동압력 조절부는 상기 유로의 전 영역에 충진되거나 또는 상기 유로와 상기 노즐의 연결 영역에 집중되어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동압력 조절부는 메쉬 타입(Mesh type), 소결 합금 타입(Sintered metal type) 및 충전층 타입(Packed bed typ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다공성 매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1 홈이 형성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홈을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제1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홈을 마감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홈이 형성되는 반대측 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2 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노즐은 상기 제2 홈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을 연통시키는 관통구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홈은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로와 노즐 사이의 연결 영역에서의 압력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노즐이 몸체부에 삽입되는 깊이 또는 정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에서 연료의 유동에 따른 압력강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에서 유동압력 조절부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유동압력 조절부에서 연료의 유동에 따른 압력강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도 1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가 설치되는 연소기(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소기(200)는 중공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마련되는 부재로서, 상면에는 후술할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100)가 장착되어 연료가 공급되는 연료공급홈(210)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극초소형 가스터빈의 압축기를 통해 압축된 공기가 연소기(200)의 중공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공기유동홈(220)이 형성된다.
즉, 연료공급홈(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유동홈(22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연소기(200)의 중공에서 혼합되어 혼합기를 형성하고 점화됨으로써 연소가 발생한다.
연소에 의해 높은 에너지를 갖는 공기는 공기유동홈(220)을 통해 터빈 측으로 유동하며, 터빈을 운동시켜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연소기(200)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100)가 장착된 상태로 가스터빈의 내부에서 압축기와 터빈 사이에 설치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스터빈의 후단부, 즉 터빈에 근접하게 배치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스터빈은 극초소형 가스 터빈(ULTRA MICRO GAS TURBINE :UMGT)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100)는 각각의 노즐 입구 영역에서의 압력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몸체부(110)와 공급부(140)와 노즐(150)과 유동압력 조절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연소기(200)에 장착되어 지지되는 메인프레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연료가 유동하기 위한 유로(115)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10)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단면은 다각 형상,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10)의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100)가 연소기(200) 측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노즐(150)이 몸체부(110)에 삽입되는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110)는 유로(115)를 용이하게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하는 제1 부재(120)와 제2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몸체부(110)는 제1 부재(120)와 제2 부재(130)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후술할 유동 조절부(160)의 충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1 부재(120)와 제2 부재(130)는 분리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재(120)는 몸체부(110)의 하측 부재로서 상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몸체부(110)의 유로(115)를 형성하는 제1 홈(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측은 연소기(200)에 근접한 위치, 상측은 연소기(200)로부터 먼 위치로 정의한다.) 여기서, 제1 홈(121)은 몸체부(110)의 외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마련된다. 즉, 제1 홈(121)은 몸체부(1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을 따라 제1 부재(120)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홈(121)은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부재(120)도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이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제1 부재(120)의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마련된 경우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또한, 제1 부재(120)는 몸체부(110)의 하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2 홈(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홈(122)은 몸체부(110)의 하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마련된다. 즉, 제2 홈(122)은 제1 홈(121)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원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등각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제2 홈(122)의 개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노즐(150)의 개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제2 홈(122)은 실질적으로 후술할 노즐(150)이 삽입되는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제2 홈(122)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노즐(150)의 외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마련된다.
한편, 제1 홈(121)과 제2 홈(122)의 함몰되는 깊이를 합한 값이 몸체부(110)의 두께와 동일하게 마련되어 제1 홈(121)과 제2 홈(122)이 직접적으로 연통되게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홈(121)과 제2 홈(122)의 함몰되는 깊이를 합한 값은 제1 부재(120)의 두께보다 작게 마련된다.
따라서, 제1 홈(121)과 제2 홈(122)은 직접적으로 연통되지 않으며, 제1 홈(121)과 제2 홈(122)을 연통시키기 위해 제1 부재(120)에는 관통구(123)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홈(121), 제2 홈(122) 및 관통구(123)는 연료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관통구(123)는 원형으로 마련되고, 그 직경이 제1 홈(121) 및 제2 홈(122)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제2 홈(122)과 관통구(123)의 경계선상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후술할 노즐(150)이 관통구(123)에 삽입됨에 있어 삽입 한계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몸체부(110)가 다각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7과 같이 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구비되되 제1 부재(120)와 제2 부재(130)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부(140) 측을 통해 후술할 유동압력 조절부(160)를 충진함으로써 상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130)는 몸체부(110)의 상측 부재로서, 제1 부재(120)의 상측, 더 정확하게는 제1 홈(121)을 상측에서 마감하여 유로(115)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즉, 유로(115)는 제1 부재(120)의 제1 홈(121)과 제2 부재(130)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된 공간으로 정의되며, 전체적으로 원형이며, 그 단면은 사각 형상이다.
상기 공급부(140)는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몸체부(110)의 유로(115) 측으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연소기(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외부는 터빈의 연료저장탱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노즐(150)은 연소기(200) 측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제2 홈(122) 측에 삽입되어 제1 홈(121), 제2 홈(122) 및 관통구(123)를 통해 연료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노즐(150)은 외측 단면이 제2 홈(122)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구조를 채택하게 됨으로써 노즐(150)이 제2 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노즐(150)은 내측 단면이 관통구(123)의 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노즐(150)의 내부 유로와 관통구(123)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연료 유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즐(150)은 제2 홈(122)에 삽입된 후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제2 홈(122)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노즐(150)은 제2 홈(12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동압력 조절부(160)는 노즐(150)과 유로(115)의 연결 영역, 즉 노즐(150)의 입구 영역 각각에서의 압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유로(115) 상에 충진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유동압력 조절부(160)는 유로(115)의 전 영역 상에 충진될 수도 있고, 노즐(150)의 입구 영역 측에 집중되어 충진될 수 있다. 이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동압력 조절부(160)는 메쉬 타입(Mesh type), 소결 합금 타입(Sintered metal type) 및 충전층 타입(Packed bed typ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다공성 매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압력 조절부(160)가 유로(115)의 전부 또는 일부 상에 충진되면, 유동압력 조절부(160)를 통과하는 연료는 상당한 압력 강화가 발생하게 되고, 유동압력 조절부(160)에 의해 연료는 실질적인 최저 압력을 가진다.
즉, 각각의 노즐(150) 입구 영역에서의 압력은 유동압력 조절부(160)에 의해 최저 압력으로 형성되며, 결국, 각각의 노즐(150) 입구 영역에서의 압력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노즐(150) 입구에서의 압력을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은 각각의 노즐(150)을 통해 분사되는 연료량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공급부(140)를 통하여 제공되는 연료 유량이 증가하더라도, 유동압력 조절부(160)에 의해 압력 강하량은 증가하기 때문에 각각의 노즐(150) 입구 영역에서의 압력값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원리는 각각의 노즐(150) 입구를 통과하는 동안 각각의 노즐(150)에서 소정량의 연료를 분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연료의 유동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에서 연료의 유동에 따른 압력강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먼저 연료는 외부로부터 공급부(140)로 공급되며, 다시 몸체부(110) 측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연료는 몸체부(110)의 유로(115)를 따라 유동하게 되며, 결국, 관통구(123) 및 제2 홈(122)에 삽입된 노즐(150)을 통해 연소기(200) 측으로 분사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연료가 상술한 일련의 유동 과정을 거치는 동안, 각각의 노즐(150)에서의 압력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압력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은 유동압력 조절부(16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동압력 조절부(160)는 노즐(150) 입구 영역, 더 정확히는 관통구(123)와 제1 홈(121)이 교차하는 영역에 집중되게 충진되거나 유로(115)의 전 영역에 충진되는 다공성 매질로 마련되어, 유동압력 조절부(160)를 통과하는 연료의 압력을 하강시킨다.
즉, 적어도 각각의 노즐(150) 입구 영역을 통과하는 연료는 유동압력 조절부(160)를 통과하게 되고, 유동압력 조절부(160)를 통해 압력이 하강하게 된다.
유동압력 조절부(160)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 하강하는 것은 주지한 내용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술한 것과 같이 연료가 유로(115)를 따라 유동하는 동안, 일부의 연료는 노즐(150)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연료가 유동하는 동안 유로(115)를 유동하는 연료의 유량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연료 유량이 감소하더라도 각각의 노즐(150) 입구 영역에서의 압력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은 연료 유량의 감소에 따라 유동압력 조절부(160)에 의한 압력 강하도 선형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이다.
즉, 공급부(140)와 유로(115)가 연결되는 연료 공급 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유동하는 연료의 유량도 감소하고, 이에 따라 유동압력 조절부(160)에 의한 압력 강하도 감소하므로, 각각의 노즐(150) 입구에서의 압력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유동압력 조절부(160)가 노즐(150) 입구 영역에만 집중적으로 충진되는 형태를 보이더라도 상술한 작동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에서 유동압력 조절부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유동압력 조절부에서 연료의 유동에 따른 압력강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와 같이 유동압력 조절부(160)가 충진된 영역에서 유동압력 조절부(160)가 충진되지 않은 영역으로 연료가 유동할 경우, 도 6과 같이 소정의 압력이 증가할 수는 있지만, 다시 유동압력 조절부(160)가 충진된 영역으로 유입되면서 연료의 압력은 하강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결국, 연료의 압력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110: 몸체부 120: 제1 부재
130: 제2 부재 140: 공급부
150: 노즐 160: 유동압력 조절부
200: 연소기 210: 연료공급홈
220: 공기유동홈

Claims (9)

  1. 연료를 연소기 측으로 제공하는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며, 연료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유로 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공급부;
    일단은 상기 유로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소기 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상기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연료를 상기 연소기 측으로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과 상기 유로의 연결 영역 각각에서의 압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유로 상에 충진되는 유동압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압력 조절부는 상기 유로의 전 영역에 충진되거나 또는 상기 유로와 상기 노즐의 연결 영역에 집중되어 충진되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압력 조절부는 메쉬 타입(Mesh type), 소결 합금 타입(Sintered metal type) 및 충전층 타입(Packed bed typ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다공성 매질로 마련되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1 홈이 형성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홈을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제1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홈을 마감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홈이 형성되는 반대측 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2 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노즐은 상기 제2 홈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을 연통시키는 관통구가 더 형성되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은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KR1020140117366A 2014-09-04 2014-09-04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KR101689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366A KR101689930B1 (ko) 2014-09-04 2014-09-04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366A KR101689930B1 (ko) 2014-09-04 2014-09-04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642A true KR20160028642A (ko) 2016-03-14
KR101689930B1 KR101689930B1 (ko) 2016-12-27

Family

ID=5554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366A KR101689930B1 (ko) 2014-09-04 2014-09-04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04768B1 (en) * 2020-04-28 2024-04-17 Collins Engine Nozzles, Inc. Fluid nozz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1560A (ja) * 1992-12-24 1994-08-09 Soc Europ Propulsion <Sep> 密閉型燃焼ガス発生器
US20070234724A1 (en) * 2005-09-08 2007-10-11 Pratt & Whitney Canada Corp. Redundant fuel manifold sealing arrangement
JP2008215646A (ja) * 2007-02-28 2008-09-18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ノズル装置、ガスタービンおよび燃料ノズル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1560A (ja) * 1992-12-24 1994-08-09 Soc Europ Propulsion <Sep> 密閉型燃焼ガス発生器
US20070234724A1 (en) * 2005-09-08 2007-10-11 Pratt & Whitney Canada Corp. Redundant fuel manifold sealing arrangement
JP2008215646A (ja) * 2007-02-28 2008-09-18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ノズル装置、ガスタービンおよび燃料ノズル装置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930B1 (ko)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78394U (zh) 用于燃气涡轮发动机的燃料喷射器
ES2733071T3 (es) Cámara de precombustión de mezcla pobre
CN111022218B (zh) 一种采用针栓喷注器的过氧化氢煤油变工况推力室
CN102713441B (zh) 用于燃烧设备的涡流预混合器
JP2019534779A (ja) フラクタル流体通路装置
CN102538012B (zh) 自振荡燃料喷射喷嘴
JP2014173840A (ja) ガス・タービン・システム用の燃料−空気混合システム
Duvall et al. Study of the effects of various injection geometries on the operation of a rotating detonation engine
CN102168720B (zh) 一种用于自由活塞的静压气体轴承
RU2013123643A (ru) Форсунка, микросмеситель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двухтопливной газовой турбины
CN109469559A (zh) 液体火箭发动机的一体化喷注器
KR101689930B1 (ko) 유동 균일성이 향상된 연소기용 연료 공급 장치
JP6204811B2 (ja) 空気力学的支持支柱を備えた可変容積式燃焼器
KR20080110321A (ko) 가변출력구조를 구비한 버너
CN103953465B (zh) 一种集成有混合器的天然气发动机气轨总成
KR101237865B1 (ko) 융합 유체 가속기
JP2013242136A (ja) ターボ機械燃焼器およびターボ機械燃焼器内の燃焼ダイナミックス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
CN103732992B (zh) 燃烧装置、带有减震装置的透平机和运行燃烧装置的方法
CN202350110U (zh) 一种有助燃装置的灶具
KR102184778B1 (ko) 가스터빈용 선회기
US11015810B2 (en) Combustor nozzle assembly and gas turbine having the same
KR20130134677A (ko) 동축형 인젝터
CN104990711A (zh) 一种缩比发动机
KR20160028643A (ko) 연료와 공기의 혼합이 촉진되는 소형 가스터빈용 연소기
JP5075086B2 (ja) 燃料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