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535A -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535A
KR20160028535A KR1020140116638A KR20140116638A KR20160028535A KR 20160028535 A KR20160028535 A KR 20160028535A KR 1020140116638 A KR1020140116638 A KR 1020140116638A KR 20140116638 A KR20140116638 A KR 20140116638A KR 20160028535 A KR20160028535 A KR 20160028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charging
portable terminal
wireless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기용
채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주식회사 프리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주식회사 프리비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Priority to KR102014011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8535A/ko
Publication of KR2016002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유선 혹은 무선으로도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 충전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식 충전기가 구비되고,상기 고정식 충전기에 충전홈이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충전홈에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앞 측면(F1)이 삽입되도록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앞 측면(F1)에 연결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위 면에는 무선 충전 송신코일이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아래 면에는 무선 충전 수신코일이 구비되므로서, 업소에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충전기와 상기 휴대용 충전기를 여러개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고정식 충전기를 제공하며, 특히 무선 충전 기능도 포함하고, 충전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램프등도 제공하며, 또한 최적화된 공간에서 여러개의 휴대용 충전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고정식 충전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The charger for the mobile device with the commercial use.}
본 발명은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는 휴대 가능한 충전기와 상기 휴대 가능한 충전기를 여러개 동시에 충전하는 고정식 충전기를 제공하는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등 휴대 단말기의 경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 미디어 기기로 자리잡아 통신기능뿐만 아니라 엔터테인먼트, 교육, 업무 등 일상 생활 전반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현대인의 필수 생활용품으로서 자리를 잡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는 본체와 본체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본체에 결합된 배터리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휴대단말은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터리 절약을 위하여 Power Saving 모드로 동작을 하지만,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빈번한 기기조작 및 사용이 아니더라도 GPS를 통한 자동 위치 추적과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푸싱 기능 등으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배터리가 급속히 소진되어 버려서, 수시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여분의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 방전을 대비하여 휴대단말 사용자는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한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서는 배터리를 장착한 휴대단말과는 별도로 충전된 예비 배터리를 1∼2개 정도 가지고 다니다가, 휴대단말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방전된 배터리를 예비 배터리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러한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식당이나 카페 등에서 고객들은 꾸준히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등을 사용하게 되며, 이렬 경우 식당이나 카페에서 고객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게 된다.
물론,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20-0307585 호 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동전원 공급 및 휴대용 전자기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휴대용 충전기로서, 2차 전지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커넥터와; 상기 입력커넥터와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다른 휴대용 충전기의 입력커넥터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병렬연결커넥터와; 상기 입력커넥터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일정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2차 전지에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와; 상기 충전회로부와 상기 2차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2차 전지의 전기적인 성능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부와; 상기 보호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전압 변환회로부와; 상기 직류/직류 전압 변환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정전압과 정전류로 유지되도록 하여 출력하는 출력회로부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 입력단자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배터리의 충전 접속단자에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출력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원을 입력시키는 출력커넥터와; 상기 각 회로부와 2차 전지를 내장하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기." 를 제공하고 있다.
즉, 상기 등록 실용신안은 복수의 입력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전원입력 케이블을 통해 복수의 휴대용 충전기에 전원을 병렬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업소에서 효과적으로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휴대용 충전기와 상기 휴대용 충전기를 여러개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고정식 충전기를 모두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업소용에서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는 효과적인 휴대용 충전기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 20-0307585 (2003년03월04일)
업소에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충전기와 상기 휴대용 충전기를 여러개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고정식 충전기를 제공하며, 특히 무선 충전 기능도 포함하고, 충전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램프등도 제공하며, 또한 최적화된 공간에서 여러개의 휴대용 충전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고정식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유선 혹은 무선으로도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 충전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식 충전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식 충전기에 충전홈이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충전홈에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앞 측면(F1)이 삽입되도록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앞 측면(F1)에 연결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위 면에는 무선 충전 송신코일이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아래 면에는 무선 충전 수신코일이 구비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에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유선 혹은 무선으로도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 충전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식 충전기가 구비되고,상기 고정식 충전기에 충전 테이블이 상하 겹쳐진 형상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충전 테이블에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를 올려 놓으면 무선 충전이 가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위 면에는 무선 충전 송신코일이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아래 면에는 무선 충전 수신 코일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업소에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충전기와 상기 휴대용 충전기를 여러개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고정식 충전기를 제공하며, 특히 무선 충전 기능도 포함하고, 충전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램프등도 제공하며, 또한 최적화된 공간에서 여러개의 휴대용 충전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고정식 충전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는 본원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원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의 구조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고정식 충전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은 고정식 충전기에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를 유선으로 충전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은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고정식 충전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서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통상의 기술에 대해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는 휴대 가능한 충전기와 상기 휴대 가능한 충전기를 여러개 동시에 충전하는 고정식 충전기를 제공하는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충전 기능을 모두 포함하며, 휴대용 충전기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연결잭은 교환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는 본원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혹은 휴대용 충전기)는 연결선과 연결단자(125) 통하여 휴대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혹은 밧테리가 사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특징은 무선 충전 기능도 포함하여 무선으로도 전력 에너지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는 그 표면에 광고 등의 내용을 부착할 수가 있는 부착부(100a)가 존재한다.
도 2와 도 3은 본원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은 상세 블록도이다. 전원이 공급되고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주며 최종적으로는 12V 6A의 출력을 만들어주는 아답타(adapter)(105), 휴대용 충전기 내에 내장된 밧테리(115)에 전원을 공흡하는 차저 IC(Charger IC)(110), 전원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내장 밧테리(115), 연결 단자를 통하여 외부의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Converter)(120a)(120b) 등이 구비된다. 이때 컨버터는 5 V에서 1 A 출력을 제공하는 컨버터와 5 V에서 2 A 출력을 제공하는 컨버터 2 가지가 구비되어 대용량의 휴대 단말기와 보통의 휴대 단말기를 모두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결단자(125a)(125b)도 2개가 구비되어 본원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를 통하여 동시에 2 개의 휴대 단말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일정하게 전류를 공급하여 주는 LDO(리니어 레귤레이터)(130), 및 휴대용 충전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MCU)(135) 및 내장 밧테리(115)의 방전이나 충전 여부를 알려주며 Green 램프(밧테리의 Full 충전을 알려줌)와 Red 램프(밧테리의 방전을 알려줌)로 구성된 램프부(140)등이 구비된다.
도 3은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는,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유선 입력부(103), 유선으로 스마트폰이나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유선 출력부(120), 무선으로 스마트폰이나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무선 출력부(120), 및, 무선으로 휴대용 충전기(100)에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입력부(104) 등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각각의 파트의 기능을 통제하고 제어하는 제어부(135)가 더 구비된다.
한편, 본원발명에서는 무선으로 전력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상세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무선 전력에너지를 송수신할 때 에는 안테나 루프 코일을 통하여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무선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루프 코일에 전력을 변환하여 공급하여 주는 부품 회로들이 포함되며, 또한 무선 에너지를 수신 받기 위해서는 수신된 전력 에너지를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하여 주는 부품 회로들이 포함된다,
무선 충전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방식으로, WPC 방식의 무선 전력 에너지가 전달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조건을 가진다.
"전압 : 7-15V(수신부 기준), 주파수 : 100 - 200kHz, 전류 : 5V (0.7A), 전력 : 3.5W, 코일의 인덕턴스 값 : 8 마이크로 헨리(Micro Henry) - 12 마이크로 헨리 "
한편, 코일과 콘덴서는 직렬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무선 전력 에너지 전달에서 매개체는 안테나 루프 코일(52)(53)이며 상기 안테나 코일(52)(53)은 콘덴서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직렬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한편 당사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방식인 KTP 방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전압 : 7-24V(수신부 기준), 주파수: 1MHz - 6.78MHz, 전류 : 5V(1A), 전력 : 5W, 코일의 인덕턴스 값 : 600nH(Nano Henry) - 2 마이크로 헨리 "
이때 상기에 표시된 전압과 전류 값은 상기의 숫자에 정확히 일치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범위를 나타냄은 당연하다.
하여간, WPC 방식과 KTP 방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코일의 인덕턴스 값과 주파수 값의 차이이다. 먼저 주파수 값의 차이에서 그 기준을 1MHz 로 할 수가 있다. 즉, WPC 방식은 1MHz(Mega Hertz) 이하로 저주파이고 KTP 방식은 1MHz(Mega Hertz) 이상으로 고주파이다.
그러나, 실제 사용하는 주파수로는 WPC 방식은 100 - 200 K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KTP 방식 6 - 8 MHz 이상으로 고주파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코일의 인덕턴스 값으로 WPC 방식은 "8 마이크로 헨리 - 12 마이크로 헨리" 이고, KTP 방식은 " 600 나노 헨리 - 2 마이크로 헨리" 이다.
상기의 특징을 가지는 KTP 방식은 상당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예을 주파수를 발진 시키는 부품에 있어서도 고 주파수를 사용하므로서 부품의 소형화(고주파는 일반적으로 부품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가 가능하고, 코일의 인덕턴스 값을 작게 하므로서 안테나 루프 코일을 스파이럴 코일 대신, PCB 기판(혹은 수지 기판)에 인쇄 방식으로 형성한 코일을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기판에 코일을 형성하므로서 양산시 유리하고 단가 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코일의 턴수(Turns, 감김 횟수)도 WPC 방식은 50회 이상을 넘어가게 되는 데, KTP 방식은 50 회 이하로도 가능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턴수는 휴대폰 기기에 적용되는 기준으로 언급된 숫자이다, 통상 휴대폰 기기는 그 면적이 최대 100 cm제곱 이내인 경우에 일반적으로 산정한 숫자이다.
또한, KTP 방식은 인덕턴스 값이 3 (마이크로 헨리)이고, WPC 방식은 9 라고 하면, 각각 해당되는 코일의 턴(turns) 수가 다르게 된다.
도면에서 기판은 도시 생략하였지만, 플렉서블 수지 기판 혹은 통상의 기판(예를들면 피씨비, 플라스틱 혹은 금속 기판)에 멀티 코일이 구비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최외각에 가장 크게 NFC 코일이 구비될 경우에는, 그 내부에 WPC 코일 혹은 KTP 코일 등이 구비되는 구조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의 구조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원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의 옆 측면 구조도이고, 도 4의 (B)는 본원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의 상부 면 구조도이다.
도4의 (A)와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앞 측면(F1)에 연결단자(125)가 구비되고, 후 측면(F2)에는 LED 램프가 구비되므로서 휴대용 충전기(100)를 고정식 충전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Full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무선 전력 에너지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충전 코일(150a)(150b)가 구비된다. 즉, 무선 에너지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 코일(150a)은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무선 충전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코일(150b)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의 하부에 구비된다.
또한, 내장 밧테리(115) 측면에 피씨비 기판(136)을 구비하며 상기 기판에 충전 부품(101)을 장착하게 된다. 상기 충전 부품(101)은 도 2와 도 3의 블럭도에 구비된 회로 부품을 포함한다.
아울러 연결 단자(125)를 두 개 구비하여 동시에 두 개의 휴대 단말기를 유선으로 충전할 수 있게 한다.
도 5와 도 6은 고정식 충전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는 복수개의 휴대용충전기(100)를 유선으로 충전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외부 교류 전원(220 V)이 들어오면 교류를 직류로 바꾸어 주거나(물론 교류 전원을 그대로 사용하여도 된다.)원하는 전압으로 바꾸어주는 컨버터와 하나의 입력을 여러개의 출력으로 바꾸어 주는 기능을 가진 컨버터 분배기(65)가 구비되며, 상기 분배기(65)는 복수의 연결단자(70-n)와 연결되어 동시에 여러개의 휴대용 충전기(100)를 충전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은 복수개의 휴대용충전기(100)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도 도 4의 동일한 기능을 가진 컨버터 분배기(65)가 구비되며, 상기 분배기(65)는 복수의 무선충전부(75-n)와 연결되어 동시에 여러 개의 휴대용 충전기(100)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도시 편의상 도 5와 도 6을 구별하여 도시하였디만, 실제로는 도 5와 도 6의 기능을 모두 포함한 고정식 충전기를 본원 발명에서는 제공하고 있다.
도 7은 고정식 충전기에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를 유선으로 충전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원발명의 도 4의 실시예의 도면에서처럼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의 앞 측면에 연결단자(125)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하여 고정식 충전기(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를 고정식 충전기(60)의 충전홈(61)에 장착하고 고정식 충전기(60)의 연결단자에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의 연결 단자를 결합하므로서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원발명의 고정식 충전기(61)는 충전홈(61)을 복수개 구비하여 동시여 여러개의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연결단자의 반대편에 LED 램프(140)를 구비하도록 하여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고정식 충전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무선 충전이 가능한 고정식 충전기는 충전 테이블(77)을 복수개 상하로 중첩되게 구비하므로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 테이블(77)위에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를 올려 놓으므로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충전 테이블(77)과 충전 테이블(77)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게 된다.
한편, 본원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는 전원을 공급 받거나 공급할 때 무선 혹은 유선이 자동으로 선택되어 지도록 한다. 즉, 유선으로 연결단자가 연결되면, 제어부(135)는 연결단자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공급되는 상황을 판단하여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거나 공급하게 되는 제어를 하게 된다.
그러나. 송신 코일(150a) 혹은 수신 코일(150b)에 밀착되는 코일(송신 코일(150a)에 밀착되는 코일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수신 코일이고, 수신 코일(150b)에 밀착되는 코일은 고정식 충전기의 송신 코일임.)에 존재하게 되면 상기 송신 코일(150a) 혹은 수신 코일(150b)에 전압이나 전류값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즉 무선 출력 혹은 입력부에는 별도로 상기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센서는 송수신 코일(150a)(150b)에서 전압이나 전류 값을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류 값이나 전압 값의 변화를 제어부(135)는 센서를 통하여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수신 코일의 변화가 감지되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 받도록 하는 제어를 제어부(135)가 명령하게 되고, 송신 코일에 변화가 감지되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부가 명령하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는 유무선 충전이 가능하며 자동으로 유무선 충전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무선 충전이 가능한 고정식 충전기(도 8의 실시예 참조)의 충전 테이블(77)에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를 올려 놓기만 하는 동작으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위에 올려 놓은 것으로 휴대 단말기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에서 무선 으로 에너지를 전송하게 된다,)
도 9와 도 10은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서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에서 유선으로 휴대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연결선(210)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연결선(210)에서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에 연결하는 연결 단자(210a)는 고정된 규격을 가지지만, 상기 연결선에서 휴대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210b)는 휴대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변화를 가져야 하므로 고정되지 않은 규격을 가져야 한다.
도 10은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100)에 휴대 단말기(200)를 올려 놓기만 하므로서 무선 충전이 가능함을 보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60 : 고정식 충전기 61 : 충전홈
77 : 충전 테이블 100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100a : 부착부 115 : 밧테리
125 : 연결단자 125a,125b ; 연결단자
135 : 제어부(MCU) 140 ; LED 램프부
150a, 150b : 무선 충전 코일 200 : 휴대 단말기
210 ; 연결선 210a, 210b : 연결 단자

Claims (2)

  1. 휴대용 단말기에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유선 혹은 무선으로도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 충전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식 충전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식 충전기에 충전홈이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충전홈에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앞 측면(F1)이 삽입되도록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앞 측면(F1)에 연결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위 면에는 무선 충전 송신코일이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아래 면에는 무선 충전 수신 코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2. 휴대용 단말기에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유선 혹은 무선으로도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 충전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식 충전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식 충전기에 충전 테이블이 상하 겹쳐진 형상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충전 테이블에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를 올려 놓으면 무선 충전이 가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위 면에는 무선 충전 송신코일이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아래 면에는 무선 충전 수신 코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KR1020140116638A 2014-09-03 2014-09-03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KR20160028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638A KR20160028535A (ko) 2014-09-03 2014-09-03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638A KR20160028535A (ko) 2014-09-03 2014-09-03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535A true KR20160028535A (ko) 2016-03-14

Family

ID=5554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638A KR20160028535A (ko) 2014-09-03 2014-09-03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85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585Y1 (ko) 2002-12-23 2003-03-17 (주)포스앤테크 휴대용 충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585Y1 (ko) 2002-12-23 2003-03-17 (주)포스앤테크 휴대용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476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9722449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urnitur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used therei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ed therein
US9225195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for increased charging efficiency
US20140210405A1 (en) Portable wireless charger
US2019031948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feed system
CN203119504U (zh) 一种无线充电移动电源
US20080074077A1 (en) System of supplying power between portable devices and portable device used therein
KR20140043975A (ko) 유선-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WO2021082907A1 (zh) 无线充电系统、充电线缆、电子设备及其无线充电方法
KR20130113738A (ko)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20140333254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20180115184A1 (en) Wireless charging adapter
KR20160028537A (ko) 휴대용 충전기
US20190097467A1 (en) Power feeder and power feeding system
KR101712647B1 (ko) 무선 충방전 보조 배터리
KR20140117072A (ko) 다수의 외부 장치에 유선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30025668A (ko) 패드형 전극 접점 충전 장치
CN103762695A (zh) 分别具有无线充电功能和无线被充电功能的电子设备
KR20140117185A (ko) 재충전 모듈을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 및 유무선 복합 충전 시스템
US20180254663A1 (en) Transceiv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60127982A (ko) 자동 무선 충전이 가능한 유무선 usb 충전기
KR101604228B1 (ko)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
CN102684320B (zh) 一种无线供电装置
US20150372521A1 (en) Portable Power Bank
CN109193889A (zh) 无线充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