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258A - Air bag structure for pedestrian - Google Patents

Air bag structure for pedestri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258A
KR20160028258A KR1020140117088A KR20140117088A KR20160028258A KR 20160028258 A KR20160028258 A KR 20160028258A KR 1020140117088 A KR1020140117088 A KR 1020140117088A KR 20140117088 A KR20140117088 A KR 20140117088A KR 20160028258 A KR20160028258 A KR 20160028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airbag
hood
cush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7675B1 (en
Inventor
황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675B1/en
Publication of KR20160028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2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6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05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for moto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structure for a pedestri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bag structure for a pedestrian installed in a vehicle comprises: a hood part finishing an upper portion of an engine room in the vehicle; a cowl cover connected to a windshield glass and extend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od part; an airbag module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hood part, and including a cushion deployed between the hood part and the cowl cover as gas is injected into the inside thereof at the time of an external impact; and a reinforcing frame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hood part in order for the rigidity of the hood part to be reinforced. Therefore, the airbag structure for a pedestrian can fulfill a pedestrian protection function by allowing the cushion in the airbag module to be stably deployed toward the windshield glass.

Description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AIR BAG STRUCTURE FOR PEDESTRIA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ag structure for a pedestrian,

본 발명은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모듈의 쿠션을 안정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airba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destrian airbag structure capable of stably deploying a cushion of an airbag modul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안전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안전장치 중 에어백은 차량에 큰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차내에 구비된 에어백이 전개되어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더 나아가 차량 외부에서 에어백이 전개되어 충돌을 직접적으로 완충시켜 탑승자를 보호하였다. 하지만, 상기의 에어백은 모두 차내의 탑승자만을 보호하므로 보행자와의 충돌시에는 충격으로부터 보행자의 안전은 보호받지 못했다.Generally,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safety devices for protecting the occupant. Among such safety devices, the airbag protects the passenger from impact when the vehicle is subjected to a large impact, and further protects the passenger by directly inflating the collision when the airbag is deployed outside the vehicle. However, since all of the above airbags protect only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safety of the pedestrian is not protected from the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pedestrian.

즉, 차량 운행중 보행자가 정면으로 충돌하게 되면 보행자의 머리가 차량의 후드, 카울, 전방 필라 등 강성이 높은 부분에 직접적으로 부딪치면서 큰 상해를 받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보행자 에어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That is, when the pedestrian collides directly in front of the vehicle, the head of the pedestrian could directly hit the high rigidity area such as the hood, the cowl, and the front pillar of the vehicle, thereby causing a serious injury. Therefore, research on pedestrian airbags that can protect pedestrians is underway.

도 1은 종래의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1 schematically shows a conventional airbag structure for a passenger.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러한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는 충돌센서, 전방감지 센서 등 다양한 센서부, 충돌시 충격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모듈(30)이 카울 탑 커버(20)의 하방에 설치되고,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에어백 모듈(30)의 쿠션이 카울 탑 커버(20)를 찢으면서 윈드 쉴드 글라스(G) 측으로 전개됨으로써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1, the conventional airbag structure for a pedestrian will be described. The structure of the airbag for pedestrians includes various sensors such as a collision sensor and a front sensor, an airbag module 30 that protects a pedestrian from a shock at the time of collision, When the impact is applied, the cushion of the airbag module 30 is deployed toward the windshield glass G while tearing the cowl top cover 20, whereby the impact energy generated due to the collision is reduced And absorbs and protects the pedestrian.

하지만, 상기의 쿠션모듈은 보행자가 충돌됨과 동시에 신속하게 전개되어야 하지만, 후드(10)의 무게 및 관성 저항 등으로 인하여 쿠션이 윈드 쉴드 글라스(G)측으로 전개되지 못하고, 엔진 룸 측으로 전개되어 보행자를 상해할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ushion module must be deployed rapidly at the same time as the collision of the pedestrian, but the cushion can not be deployed toward the windshield glass G due to the weight and inertia resistance of the hood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sibility of injury increas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백 모듈 내의 쿠션이 윈드 실드 글래스 측으로 안정적으로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 보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destrian airbag structure capable of faithfully performing a pedestrian protection function by allowing a cushion in an airbag module to stably deploy toward a windshield glass side .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에 설치되는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엔진룸 상부를 마감하는 후드부; 윈드 쉴드 글라스와 연결되어 상기 후드부의 하부로 연장되는 카울 커버; 상기 후드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 충격시 내부에 가스가 주입됨으로써 상기 후드부와 상기 카울 커버 사이로 전개되는 쿠션을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 상기 후드부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상기 후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bag structure for a pedestrian installed in an automobile, the structure comprising: a hood unit closing an upper portion of an engine room of the automobile; A cowl cover connected to the windshield glass and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hood portion; An airbag modul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od portion and having a cushion deployed between the hood portion and the cowl cover by injecting gas into the interior of the airbag module during an external impact; And a reinforcement fram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od por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hood portion.

또한, 상기 후드부는, 상부패널 및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하부패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The hood portion may include an upper panel and a lower panel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nel, wherein the reinforcing frame has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panel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upper panel, And may be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lower panels.

또한, 일단이 상기 하부패널에 체결되고, 상기 에어백 모듈의 하부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카울 커버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엔진룸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에어백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ba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anel and exte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bag module and has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wl cover to block heat generated in the engine room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airbag .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과 상기 상부패널의 사이에는 마스틱 실러가 도포될 수 있다.A mastic sealer may be applied between the reinforcing frame and the upper panel.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기 하부패널에서부터 상기 카울 커버 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울 커버에 밀착하여 열을 차단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ielding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extending from the lower panel to the cowl cover side;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at an end of the support member and closely contacting the cowl cover to block heat.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에어백 모듈로부터 상기 쿠션이 전개되는 경우에 상기 카울 커버와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Further, the sealing member can be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cowl cover when the cushion is deployed from the airbag module.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모듈을 후드부의 하부에 장착하여 쿠션이 설계된 방향으로 원활히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충돌시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irbag structure for a pedestrian is provided in which an airbag module is mounted to a lower portion of a hood portion so that a cushion can be smoothly deployed in a designed direction, thereby mitigating the impact applied to a pedestrian in a collision.

또한, 에어백 모듈과 엔진룸 공간과를 격리하는 차단부를 설치하여 엔진룸에서 발생하는 열이 에어백 모듈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 blocking portion for isolating the airbag module from the engine room space may be provided to prevent heat generated in the engine room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airbag module.

또한, 에어백 모듈로부터 쿠션 전개시에는 차단부가 카울 커버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에어백 모듈의 상하측 커버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cushion is deployed from the airbag module, the blocking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cowl cover, so that the upper and lower covers of the airbag module can be opened smoothly.

도 1은 종래의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로부터 쿠션이 전개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 conventional pedestrian airbag structure,
2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 of a pedestrian airba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eploying the cushion from the airbag structure for a passenger of Fig. 2;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edestrian airba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2 schematically shows a cross section of a pedestrian airba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는 자동차와 보행자의 충돌시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후드부(110)와 보강 프레임(120)과 카울 커버(130)와 에어백 모듈(140)과 차단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airbag structure for a pedestri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bag structure for minimizing an impact applied to a pedestrian when a vehicle collides with a pedestrian, A reinforcement frame 120, a cowl cover 130, an airbag module 140, and a blocking portion 150.

본 실시예의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100)가 적용되는 자동차는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엔진 등이 수납되는 엔진룸과, 외부환경으로부터 운전자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엔진룸의 후단에 윈드 쉴드 글라스(G)가 경사를 가지며 형성된다.An automobile to which the pedestrian airbag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has an ordinary structure. More specifically, the automobile includes an engine room in which an engine or the like is housed, and an engine room in which an engine room And a windshield glass G is inclined at the rear end.

상기 후드부(110)는 상술한 엔진룸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하여 엔진룸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엔진룸의 후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부패널(111)과 하부패널(112)을 포함한다.The hood 110 is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engine compartment and includes an upper panel 111 and a lower panel 112 to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engine room, do.

상기 상부패널(111)은 후드부(110)의 외장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하부패널(112)의 상부에 마련된다.The upper panel 111 performs an external function of the hood 110 and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lower panel 112 described later.

상기 하부패널(112)은 상술한 상부패널(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패널(110)과 결합하여 후드부(110)의 전체적인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부재이다. 한편, 하부패널(112)의 양단은 상부패널(111)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부패널(111)과의 사이에서 공간을 형성하도록 중앙부가 만곡되는 형상을 갖는다.The lower panel 112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nel 110 and is joined to the upper panel 110 to reinforce the overall rigidity of the hood portion 110. [ Both ends of the lower panel 112 ar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nel 111 and have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curved so as to form a space with the upper panel 111.

상기 보강 프레임(120)은 상부패널(111)의 강성을 더욱 강화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엔진룸을 보호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에어백 모듈(140)로부터 쿠션(143) 전개시 발생하는 내부 충격으로부터도 후드부(110)를 보호하기 위한 프레임이며, 상부패널(111)과 하부패널(112)의 사이에 설치된다.The reinforcing frame 120 further strengthens the rigidity of the upper panel 111 and protects the engine room from external impacts and also protects the engine room from external shocks from the internal shock generated when the cushion 143 is deployed from the airbag module 140,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anel 111 and the lower panel 112. The upper panel 111 and the lower panel 112 are formed as a frame.

보강 프레임(120)은 일단부는 하부패널(112)의 상면에 장착되고, 타단부는 상부패널(111)의 하면에 장착되어, 실질적으로는 상부패널(111)과 하부패널(112)을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One end of the reinforcing frame 12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112 and the other end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nel 111 to substantially connect the upper panel 111 and the lower panel 112 So as to reinforce it.

한편, 보강 프레임(120)의 적어도 일부영역은 상부패널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서는, 보강 프레임(120)과 상부패널(111)의 사이에 마스틱 실러(121)를 도포함으로써 상부패널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reinforcing frame 120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panel so that the upper panel 111 and the reinforcing frame 120 are coated with a Mastic Seal 121, The rigidity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마스틱 실러(121)는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도포된다.On the other hand, the kind of the Mastic Schiller 1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applied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상기 카울 커버(130)는 후드부(110) 및 윈드 쉴드 글라스(G)의 하부에 설치되어, 엔진룸 내부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차단부(150)와 결합하여, 엔진룸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에어백 모듈(14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The cowl cover 130 is installed under the hood 110 and the windshield glass G so as to block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into the engine room and to engage with the blocking portion 150, Thereby blocking heat generated from the engine room from moving toward the airbag module 140 side.

카울 커버(130)에는 후드부(110)의 하부패널(112)에 마련되는 소정의 실링부재와 밀착하여,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카울 커버(130)의 구조는 자동차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wl cover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sealing member provided on the lower panel 112 of the hood unit 110 to form a protrusion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cowl cover 130. Since the structure of the cowl cover 130 is well known in the automotive technology fiel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카울 커버(130)의 종단부는 한 번 절곡되어 차단부(150) 측으로 연장되며, 절곡되는 카울 커버(130)의 종단부에는 실링부재(152)와 결합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다.The end portion of the cowl cover 130 is bent once to extend toward the blocking portion 150 and a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sealing member 152 is formed at the end portion of the cowl cover 130 that is bent.

상기 에어백 모듈(140)은 하부패널(112)의 하방에 장착되며, 충격시에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용도의 쿠션을 설계된 방향으로 전개시키는 것으로서, 상부커버(141)와 하부커버(142)와 인플레이터(미도시)와 쿠션(143)을 포함한다.The airbag module 140 is installed below the lower panel 112 and develops a cushion for the purpose of alleviating an impact applied to the pedestrian in a designed direction. The upper cover 141 and the lower cover 142, an inflator (not shown), and a cushion 143.

상기 상부커버(141)는 후술하는 하부패널(142)의 하방에 장착되고, 하부커버(142)와 결합하여, 평상시에 인플레이터(미도시)와 쿠션(143)을 보호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상부커버(141)와 하부커버(142) 사이의 공간 개방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보강 프레임(120)이 흡수하여, 주위 구성요소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부커버(141)는 보강 프레임(120)의 하방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cover 141 is mounted below the lower panel 142 and is coupled with the lower cover 142 to form a space for protecting the inflator (not shown) and the cushion 143 at normal times. The upper cover 141 is reinforced so that the reinforcing frame 120 absorbs impact generated when the space is opened between the upper cover 141 and the lower cover 142 to minimize damage to surrounding components.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frame 120. [

상기 하부커버(142)는 상술한 상부커버(141)와 결합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만곡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외부 충격시 인플레이터(미도시)로부터 가스가 주입되는 쿠션(143)이 전개될 수 있도록, 하부커버(142)는 상부커버(141)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다.The lower cover 142 is coupled to the upper cover 141 and has a curved shape to form a space therein. The lower cover 142 is hinged to the end of the upper cover 141 so that the cushion 143 for injecting gas from the inflator (not shown) can be deployed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상기 인플레이터(미도시)는 상부커버(141)와 하부커버(14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납되어 후술하는 쿠션(143)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부재이다.The inflator (not shown) is hous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cover 141 and the lower cover 142 and is a member for injecting gas into a cushion 143 described later.

상기 쿠션(143)은 상부커버(141)와 하부커버(14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납되며,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인플레이터(미도시)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윈드 쉴드 글라스(G) 측으로 전개됨으로써, 충돌 후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2차 충격을 최소화하는 부재이다.The cushion 143 is hous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cover 141 and the lower cover 142.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he cushion 143 receives gas from the inflator (not shown) And is a member that minimizes the secondary impact applied to the pedestrian after collision.

이때, 쿠션(143)은 상부커버(141)와 하부커버(142) 내부에서 힌지 결합 구조의 맞은 편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cushion 143 is installed in the upper cover 141 and the lower cover 142 so as to be deploy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inge connection structure.

상기 차단부(150)는 엔진룸에서 발생하는 열이 에어백 모듈(140)에 직접적으로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의 부재로서, 지지부재(151)와 실링부재(152)를 포함한다.The blocking unit 150 includes a support member 151 and a sealing member 152 for blocking heat generated in the engine room from directly reaching the airbag module 140.

상기 지지부재(151)는 일단은 하부패널(112)에 장착되되, 타단은 카울 커버(130)의 단부와 연결되어, 엔진룸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에어백 모듈(14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차단한다.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151 is attached to the lower panel 112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5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w cover 130 to substantially preven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engine room from moving toward the airbag module 140 do.

한편,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51)의 일단부는 소정의 체결부재를 통하여 에어백 모듈(140), 하부패널(112) 및 보강 프레임(120)의 단부와 동시에 체결되어, 고정된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151 is fastened and fixed at the same time with the ends of the airbag module 140, the lower panel 112, and the reinforcement frame 120 through a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상기 실링부재(152)는 지지부재(151)의 타단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카울 커버(130)의 단부와 밀착함으로써, 열 이동 경로를 차단한다. 다만, 이러한 실링부재(152)는 단부에 홈이 형성되어 카울 커버(130)에 밀착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sealing member 15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15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portion of the cowl cover 130 to thereby block the heat transfer path. However, this sealing member 152 has a structur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at an end portion and is closely attached to the cowl cover 130.

따라서, 실링부재(152)는 카울 커버(130)와는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단순히 접촉하여 열 이동을 차단하며,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에어백 모듈(140)로부터 쿠션(143) 전개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실링부재(152)는 카울 커버로부터 신속하게 접촉 해제된다.
Accordingly, when the shock is generated from the outside, the sealing member 152 smoothly moves from the airbag module 140 to the cushion 143 without any fixing means separate from the cowl cover 130 The sealing member 152 is quickly disengaged from the cowl cover.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edestrian airbag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도 2의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로부터 쿠션이 전개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eploying the cushion from the airbag structure for a passenger of Fig. 2;

자동차 운행 중에 보행자와의 충돌이 일어나면, 후드에 충격이 가해지고, 인플레이터로부터 쿠션(143) 내로 가스가 신속하게 공급된다. 공급되는 가스에 의하여 쿠션(143)의 부피가 커지면서, 상부커버(141)와 하부커버(142)를 개방함과 동시에 후드부(110)와 카울 커버(130) 사이 공간으로 전개된다.When a collision with a pedestrian occur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 impact is applied to the hood, and gas is quickly supplied from the inflator into the cushion 143. The upper cover 141 and the lower cover 142 are opened while the volume of the cushion 143 is increased by the supplied gas and the space between the hood 110 and the cow cover 130 is developed.

종래의 경우 에어백 모듈이 카울 커버의 하단에 설치되어, 쿠션이 카울 커버의 강성을 이겨내지 못하는 경우에는 윈드 쉴드 글라스 방향으로 전개되지 못하였으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143)이 후드부(110)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쿠션(143)의 전개를 저지하는 구조물이 없고, 하부패널(112)이 쿠션(143)의 전개경로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쿠션(143)의 원활한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cushion can not overcome the rigidity of the cowl cover, the airbag module can not be deployed in the direction of the windshield glass.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wer panel 112 serves to guide the deployment path of the cushion 143 so that the smooth deployment of the cushion 143 is prevented Lt; / RTI >

또한, 보강 프레임(120) 및 여기에 도포되는 마스틱 실러(121)가 상부패널(111)과 하부패널(112)의 사이에 마련되어 후드부(110)의 전체적인 강성이 보강됨으로써, 보행자와의 충돌로 인한 외부 충격 및 쿠션(143) 전개시의 내부 충격으로 인한 후드부(110)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The reinforcement frame 120 and the Mastic shear 121 applied thereto ar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anel 111 and the lower panel 112 to reinforce the overall rigidity of the hood part 110, And the breakage of the hood part 110 due to the internal impact at the time of developing the cushion 143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10 : 후드부 120 : 보강 프레임
130 : 카울 커버 140 : 에어백 모듈
150 : 차단부
110: hood part 120: reinforcing frame
130: a cowl cover 140: an airbag module
150:

Claims (6)

자동차에 설치되는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엔진룸 상부를 마감하는 후드부;
윈드 쉴드 글라스와 연결되어 상기 후드부의 하부로 연장되는 카울 커버;
상기 후드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 충격시 내부에 가스가 주입됨으로써 상기 후드부와 상기 카울 커버 사이로 전개되는 쿠션을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
상기 후드부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상기 후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
A pedestrian airbag structure for a vehicle, comprising:
A hood unit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engine room of the automobile;
A cowl cover connected to the windshield glass and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hood portion;
An airbag modul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od portion and having a cushion deployed between the hood portion and the cowl cover by injecting gas into the interior of the airbag module during an external impact;
And a reinforcing fram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od por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hood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는, 상부패널 및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하부패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od portion includes an upper panel and a lower panel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nel,
Wherein the reinforcing frame has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panel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upper panel and being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panel and the lower panel.
청구항 2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하부패널에 체결되고, 상기 에어백 모듈의 하부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카울 커버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엔진룸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에어백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And a blocking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anel at one end and exte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bag module and has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wl cover to thereby prevent heat generated in the engine room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airbag The airbag structure for a pedestria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과 상기 상부패널의 사이에는 마스틱 실러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mastic sealer is applied between the reinforcing frame and the upper pane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하부패널에서부터 상기 카울 커버 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울 커버에 밀착하여 열을 차단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cut-
A support member extending from the lower panel to the cowl cover side;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at an end of the support member and closely contacting the cowl cover to block hea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에어백 모듈로부터 상기 쿠션이 전개되는 경우에 상기 카울 커버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aling member releases contact with the cowl cover when the cushion is deployed from the airbag module.
KR1020140117088A 2014-09-03 2014-09-03 Air bag structure for pedestrian KR1016376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088A KR101637675B1 (en) 2014-09-03 2014-09-03 Air bag structure for pedestri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088A KR101637675B1 (en) 2014-09-03 2014-09-03 Air bag structure for pedestri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258A true KR20160028258A (en) 2016-03-11
KR101637675B1 KR101637675B1 (en) 2016-07-07

Family

ID=5558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088A KR101637675B1 (en) 2014-09-03 2014-09-03 Air bag structure for pedestria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67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2716A (en) * 2017-05-12 2018-11-28 Jaguar Land Rover Ltd A hood for a vehicle
CN109955912A (en) * 2019-04-18 2019-07-02 黄河科技学院 A kind of buffer structure of car engine cover
WO2020126505A1 (en) * 2018-12-20 2020-06-25 Psa Automobiles Sa Motor vehicle bonnet with an airbag arran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40620B2 (en) * 1980-06-23 1989-08-30 Sybron Corp
JP2003089333A (en) * 2001-09-18 2003-03-25 Toyota Motor Corp Hood air ba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0620B2 (en) * 2005-06-21 2008-08-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Hood airba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40620B2 (en) * 1980-06-23 1989-08-30 Sybron Corp
JP2003089333A (en) * 2001-09-18 2003-03-25 Toyota Motor Corp Hood air bag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2716A (en) * 2017-05-12 2018-11-28 Jaguar Land Rover Ltd A hood for a vehicle
GB2562716B (en) * 2017-05-12 2020-02-12 Jaguar Land Rover Ltd A hood for a vehicle
WO2020126505A1 (en) * 2018-12-20 2020-06-25 Psa Automobiles Sa Motor vehicle bonnet with an airbag arrangement
CN113242817A (en) * 2018-12-20 2021-08-10 标致雪铁龙汽车股份有限公司 Motor vehicle cover with an airbag module
CN109955912A (en) * 2019-04-18 2019-07-02 黄河科技学院 A kind of buffer structure of car engine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675B1 (en)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7132B2 (en) Vehicle safety device protecting pedestrians and cyclists
KR102454012B1 (en) Side airbag device
US8424905B2 (en) Interior trim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US5190314A (en) Glove box structure of vehicle
KR101356155B1 (en) Apparatus for spread air bag exterior of vehicle
RU2418698C2 (en) Device with air cushion for device designed to rule out car passenger displacement in car accident
JP2004168111A (en) Pedestrian protecting device
KR20080080222A (en) Hood airbag device for use in a vehicle
KR101637675B1 (en) Air bag structure for pedestrian
US20030146606A1 (en) Vehicle occupants protection system
KR20080042612A (en) Dynamic ramp apparatus for curtain airbag in automobile
JP2006205934A (en) Air bag and non-occupant protection device
EP2886399B1 (en) Pedestrian air-bag for vehicle
JP5987849B2 (en)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device and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KR20130012730A (en) A hood airbag apparatus
KR20150145118A (en) Airbag apparatus for Pedestrian Protection
KR20080017726A (en) Active hood system of automobile
JP4548151B2 (en) Airbag device
KR102362316B1 (en) Hook airbag apparatus
KR101731807B1 (en) A hood airbag apparatus
KR20130009326A (en) A hood airbag apparatus
KR100580015B1 (en) Apparatus for guiding expansion of curtain airbag
KR101251754B1 (en) Cover structure of air-bag
KR100419735B1 (en) A Support Device for Center-Pillar-Trim in Vehicles
KR20160029299A (en) Hood Airba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