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493A - 임플란트 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493A
KR20160027493A KR1020140114534A KR20140114534A KR20160027493A KR 20160027493 A KR20160027493 A KR 20160027493A KR 1020140114534 A KR1020140114534 A KR 1020140114534A KR 20140114534 A KR20140114534 A KR 20140114534A KR 20160027493 A KR20160027493 A KR 2016002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abutment
angled
preventing membe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은수
Original Assignee
장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수 filed Critical 장은수
Priority to KR102014011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7493A/ko
Publication of KR2016002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gular adjustment means, e.g. ball and socke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에 결합되며 삽입공이 형성된 앵글드 어버트먼트(angled abutment)와,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되어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하며, 상면에 결합홈이 마련된 어버트먼트 스크류(Abutment screw)와,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인공치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의 삽입공을 통해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결합홈과 체결되어 장착된 후에, 최종인상채득하여 제작되어진 인공치아의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회전을 억제하는 스크류 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장치{Implant apparatus}
본 발명은 인공치아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픽스츄어(Fixture)와 앵글드 어버트먼트(Angled abutment)를 체결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류(Abutment screw)의 상부에 스크류 풀림방지부재를 장착한 후, 인상 채득한 인공치아를 접착하여, 치아 간의 교합력이나 측방압이 인공치아로 작용하여도 어버트먼트 스크류가 이완되거나 풀리지 않는 인공치아용 임플란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주의나 관리소홀로 자연 치아가 부러지거나 치조골로부터 빠지게 되면 음식물을 저작(咀嚼)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부분 치조골에 임플란트(implant) 매식체를 식립한 다음 매식체 상부에 인공치아(crown)를 고정시켜 자연 치아 대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인공치아 시술에 사용되는 종래의 임플란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조골(도시하지 않음.)에 식립할 수 있도록 픽스츄어(1)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를 통한 내부에는 앵글드 어버트먼트(2)를 수용하며, 픽스츄어(1)의 하부 내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어버트먼트 스크류(3)를 이용하여 픽스츄어(1)와 앵글드 어버트먼트(2)를 체결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체결고정된 앵글드 어버트먼트(2)에 인상채득하여 제조된 인공치아(5)를 결합하여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7-0024664호(2007.03.02)가 있다.
한편, 픽스츄어(1)와 앵글드 어버트먼트(2)는 어버트먼트 스크류(3)에 의해 단순 체결되고, 앵글드 어버트먼트(2)의 삽입공에는 솜, 왁스, 부드러운 재질의 레진 등을 채워서 단순히 빈공간을 막아서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음식물을 저작(咀嚼)할 때 발생하는 교합력이나 측방압이 인공치아 또는 앵글드 어버트먼트(2)에 작용되면, 앵글드 어버트먼트(2)가 유동 및 놀림된다.
이에 따라 어버트먼트 스크류(3)가 미세하게 회전하면서 점차 풀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어버트먼트 스크류(3)가 풀린 상태에서 음식물을 저작(咀嚼)하게 되면 작은 교합력이나 측방압에 의해서도 인공치아(5)와 앵글드 어버트먼트(2)가 흔들거리게 되며, 심한 경우 인공치아(5) 또는 앵글드 어버트먼트(2)가 손상되거나 파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픽스츄어(1)가 손상되면서 픽스츄어(1)의 나사홈이 망가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어버트먼트 스크류(3)가 풀리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연구되었으나, 사용상의 편리성, 확실한 효과, 고비용, 여러 임플란트 메이커 제품과의 호환성 등 여러 문제로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인공치아(5) 시술 후에 어버트먼트 스크류(3)가 풀리거나 손상이 발생되면 상부 보철 또는 전체 임플란트를 분리시켜 재 시술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앵글드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풀림을 방지하는 스크류 풀림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체결력보다 큰 교합력이나 측방압이 인공치아에 작용되더라도 어버트먼트 스크류가 이완되거나 풀리는 것이 방지되어 어버트먼트와 인공치아의 손상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임플란트의 수명이 길어지는 인공치아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에 결합되며 삽입공이 형성된 앵글드 어버트먼트(angled abutment)와,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되어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하며, 상면에 결합홈이 마련된 어버트먼트 스크류(Abutment screw)와,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인공치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의 삽입공을 통해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결합홈과 체결되어 장착된 후에, 최종인상채득하여 제작되어진 인공치아의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회전을 억제하는 스크류 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임플란트 장치는,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에 체결되는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에는 돌출부 각진면을 가진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상면에는 외측경사면이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 각진면과 상기 외측경사면의 두면간의 비틀어짐 각도가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의 경사면 각도와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결합홈의 최종적인 체결위치와 각도, 인공치아의 형상 간에 서로 조화롭고 정밀하게 조절과 교체가 가능하도록 여러 각도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장치는,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하단에는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결합홈과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장치는,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상부에 외측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와 어버트먼트 스크류가 체결된 이후에 인상채득하여 제작된 인공치아의 내측경사면과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외측경사면이 서로 면접하여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장치는,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는 손잡이 부위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 부위의 상면에는 일정각도로 다른 색으로 칠해진 면이 있는 체결공구의 일부가 체결되는 공구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공구끼움홈에 상기 체결공구의 일부가 결합되어 회전하면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의 삽입공에서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를 장착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용 임플란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앵글드 어버트먼트(angled Abutment)를 픽스츄어(Fixture)에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류(Abutment screw)의 풀림을 방지하는 스크류 풀림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체결력보다 큰 교합력이나 측방압이 인공치아에 작용되더라도 어버트먼트 스크류가 이완되거나 풀리는 것이 방지되어 어버트먼트와 인공치아의 손상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임플란트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상면에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하단에는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결합홈에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결합돌기가 끼워져 체결되어,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체결 정도를 향상시켜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풀림을 보다 확고히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결합돌기 및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결합홈의 평단면이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 및 스크류 풀림방지부재가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해 앵글드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서 분리하기 쉬워 삽입공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와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재삽입이나 설치 역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회전을 억제하는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구조 및 장착방법이 간단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간단한 구조에 따라 여러 임플란트 메이커와 호환성을 가지며, 제조가 용이하고, 구강 내의 시술이 편리하며, 시술 후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인공치아용 임플란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인공치아용 임플란트의 구성을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일 구성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용 임플란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와 임플란트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일 구성 예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용 임플란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와 임플란트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픽스츄어(Fixture)와 앵글드 어버트먼트(angled Abutment)를 체결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류(Abutment screw)의 상부에 스크류 풀림방지부재를 장착한 후, 인상 채득한 인공치아를 고정하여, 치아 간의 교합력이나 측방압이 인공치아로 작용하여도 어버트먼트 스크류가 이완되거나 풀리지 않는 인공치아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용 임플란트는 픽스츄어(10), 앵글드 어버트먼트(20), 어버트먼트 스크류(30) 및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 인공치아(50)를 포함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픽스츄어(10)는 치조골에 식립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은 원통형으로 표면에는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중간부에서 하단부의 표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10)는 상측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측면을 통한 내부에는 앵글드 어버트먼트(20) 및 어버트먼트 스크류(3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공간은 단턱으로 구획되어, 상,하부로 구획되는데, 하부공간에는 내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여, 추후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스크류(30)의 하부와 나사결합되고, 상부공간에는 앵글드 어버트먼트(20)의 하부가 끼워져 수용된다.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20)는 인공치아가 결합고정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내부를 관통하는 삽입공(21)을 가진 원통형으로 구성하나, 상부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삽입공(21)의 내부에는 어버트먼트 스크류(30)의 상부인 헤드가 안착되는 단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해 먼저 치조골에 픽스츄어(10)가 설치되면,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20)의 하부가 상기 픽스츄어(10)의 상부공간에 수용되도록 위치한 후,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20)의 삽입공(21)을 통해 어버트먼트 스크류(30)를 상기 픽스츄어(10)의 하부공간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픽스츄어(10)에 앵글드 어버트먼트(2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후 인상채득하여 제조된 인공치아(50)를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20)에 결합하는 것으로 인공치아 임플란트의 시술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치아 간의 교합력이나 측방압이 인공치아에 작용되더라도 어버트먼트 스크류(30)가 이완되어 나사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한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를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는 앵글드 어버트먼트(20)에 형성된 삽입공(21)을 통해 장착되면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의 하부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30)의 상면과 면접하고,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20)의 상부에 고정되는 인공치아(50)의 내면과 상면이 밀착되어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30)의 회전을 억제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는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20)의 삽입공(21)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공(21)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면(41)과 결합돌기(42)를 형성한다.
상기 하면(41)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30)의 상단인 헤드와 면접되어,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가 고정됨은 물론,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30)와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하면(41)의 형상을 본 발명에서는 평면, 원추형으로 기재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30)의 헤드와 면접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면(41)에는 더욱 견고한 고정 및 회전 억제를 위해 결합돌기(42)가 형성되는데, 먼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30)의 상면에 결합홈(31)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의 하단인 하면(41)에는 상기 결합홈(31)과 상응하는 결합돌기(42)를 형성하여,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30)의 결합홈(31)에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의 결합돌기(42)가 끼워져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42) 및 결합홈(31)은 그 평단면이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육각형 또는 팔각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30)의 헤드에는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결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결합홈(31)과 상응하는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의 결합돌기(42) 역시, 육각형 또는 팔각형으로 형성해 서로 간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가 확고하게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3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가 더욱더 어버트먼트 스크류(30)의 회전을 억제하고, 서로 조화롭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의 상부가 일측 또는 여러측으로 경사진 외측경사면(43)을 형성하는데,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20)의 상부에 고정되는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가 장착되는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의 상부는 외측경사면(43)을 형성하고 이후에 인상채득 되어서 제작된 임플란트 인공치아(50) 내부에는 상기 외측경사면에 상응하는 내측경사면(51)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경사면(51) 및 외측경사면(43)이 서로 면접하여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30)의 회전을 억제함과 동시에 서로 조화롭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측경사면(51) 및 외측경사면(43)의 경사각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치아의 구조와 앵글드 어버트먼트(20)의 경사각및 임플란트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의 길이나 형상, 크기도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20)나 추후 접착되는 인공치아(50)와 조화를 이루도록 길이나 형상, 크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제작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의 상면에는 공구끼움홈(44)을 형성하여,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의 공구끼움홈(44)에 공구의 일부가 체결되어,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20)의 삽입공(21)에서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를 장착 또는 제거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인공치아(50)의 내측면과 면접하는 스크류 풀림방지장치(40)의 상면에는 체결드라이버의 팁이 끼워져 체결하도록 공구끼움홈(44)을 형성한다.
이때 공구끼움홈(44)의 그 평단면 역시, 육각형, 팔각형,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십자형, 일자형 등 공구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의 공구끼움홈(44)은 인공치아 보철물 제작을 위한 인상채득시 솜이나 왁스, 소프트레진 등을 채워서, 인공치아(50)의 내측경사면(51) 제작이 간편하고, 정밀한 인공치아 보철물 제작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어버트먼트 스크류(30) 및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가 서로 연동될 수 있기에, 추후 인공치아 보철물을 제거하고 앵글드 어버트먼트(20)를 분리할 때,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와 어버트먼트 스크류(30)가 서로 연동하여 한번에 작동되어, 앵글드 어버트먼트(20)를 분리하기 쉬워 삽입공(21)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와 어버트먼트 스크류(30)의 재삽입이나 설치 역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예시한 것과 같이, 앵글드 어버트먼트(20)와 어버트먼트 스크류(30)에 체결되는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의 결합돌기(42)에 있는 돌출부각진면(45)과 외측경사면(43)의 두면간의 비틀어짐 각도가 임플란트의 앵글드 어버트먼트(20)의 경사면 각도와 어버트먼트 스크류 결합홈(31)의 최종적인 체결위치와 체결각도, 인공치아(50)의 형상 간에 서로 조화롭고 정밀하게 조절과 교체가 가능하도록 여러 가지 다양한 각도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6에 있는 (a)과 (d)는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 스크류 풀림방지부재(40)이나 외측경사면(43)과 돌출부 각진면(45)과의 두면간의 비틀림 각도는 다르게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두면간의 비틀림 각도는 체결공구 손잡이(60)에 일정 간격, 일정 각도마다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해진 줄을 형성하여 외측경사면(43)과의 위치와 거리를 비교하여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픽스츄어
2,20: 앵글드 어버트먼트
21: 삽입공
3,30: 어버트먼트 스크류
31: 결합홈
40: 스크류 풀림방지부재
41: 하면
42: 결합돌기
43: 외측경사면
44: 공구끼움홈
45: 돌출부 각진면
5,50: 인공치아
51: 내측경사면
60: 체결공구 손잡이

Claims (5)

  1.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에 결합되며 삽입공이 형성된 앵글드 어버트먼트(angled abutment)와,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되어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하며, 상면에 결합홈이 마련된 어버트먼트 스크류(Abutment screw)와,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인공치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의 삽입공을 통해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결합홈과 체결되어 장착된 후에, 최종인상채득하여 제작되어진 인공치아의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회전을 억제하는 스크류 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에 체결되는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에는 돌출부 각진면을 가진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상면에는 외측경사면이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 각진면과 상기 외측경사면의 두면간의 비틀어짐 각도가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의 경사면 각도와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결합홈의 최종적인 체결위치와 각도, 인공치아의 형상 간에 서로 조화롭고 정밀하게 조절과 교체가 가능하도록 여러 각도로 제작된 임플란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하단에는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결합홈과 끼워져 체결되도록 한 임플란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상부에 외측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와 어버트먼트 스크류가 체결된 이후에 인상채득하여 제작된 인공치아의 내측경사면과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의 외측경사면이 서로 면접하여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의 회전을 억제한 임플란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는 손잡이 부위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 부위의 상면에는 일정각도로 다른 색으로 칠해진 면이 있는 체결공구의 일부가 체결되는 공구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공구끼움홈에 상기 체결공구의 일부가 결합되어 회전하면 상기 앵글드 어버트먼트의 삽입공에서 상기 스크류 풀림방지부재를 장착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임플란트 장치.
KR1020140114534A 2014-08-29 2014-08-29 임플란트 장치 KR20160027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534A KR20160027493A (ko) 2014-08-29 2014-08-29 임플란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534A KR20160027493A (ko) 2014-08-29 2014-08-29 임플란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493A true KR20160027493A (ko) 2016-03-10

Family

ID=5553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534A KR20160027493A (ko) 2014-08-29 2014-08-29 임플란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74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4318B2 (en) Dental anchor apparatus and method
US10617493B2 (en) Detachable implant-coupling prosthesis
EP2934367B1 (en) Abutment
KR101714974B1 (ko) 나사풀림방지 구조를 갖춘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CA2988567C (en) Screwless dental implant connection
KR20160029875A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치과용 풀림방지부재
KR200455126Y1 (ko) 나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US20210038348A1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WO2013186764A1 (en) Triple lock abutment system
KR20080112896A (ko) 임플란트의 나사풀림방지구
US20050136380A1 (en) Endosseous dental implant
KR20130141291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120017951A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JP6639286B2 (ja) 貫通固定される多数の義歯
KR101662279B1 (ko) 임플란트의 풀림방지구조
US20080057477A1 (en) Dental implant screw system
KR101134343B1 (ko) 포스트 스크루 및 그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 스크루용 리무버 드라이버
KR20160027493A (ko) 임플란트 장치
EP3169267B1 (en) Overdenture retention implant
CN106559981B (zh) 基台以及基台组装体
JP2015146927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101632612B1 (ko)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체결스크류
KR101072274B1 (ko) 분리형 치과용 임플란트
KR20170060539A (ko)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체결스크류
KR102208556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