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184A - Apparatus for terminal crad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erminal cra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184A
KR20160026184A KR1020140114226A KR20140114226A KR20160026184A KR 20160026184 A KR20160026184 A KR 20160026184A KR 1020140114226 A KR1020140114226 A KR 1020140114226A KR 20140114226 A KR20140114226 A KR 20140114226A KR 20160026184 A KR20160026184 A KR 20160026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ps
terminal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2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1777B1 (en
Inventor
김종곤
엄준회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777B1/en
Priority to PCT/KR2014/010711 priority patent/WO2016032057A1/en
Publication of KR2016002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1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7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old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to a terminal holder which performs a direction guide and a GPS guide. The terminal holder capable of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der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s unit which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which transmits direction guide information by operating a navigation application; an information output unit which outputs generated GPS guide information in the form of display and voice by using the direction guide information and GPS location information for guiding a driving path to a destination; a holder GPS module which outputs GPS location information, which is calculated by receiving GPS data from a GPS satellite, as a form of GPS location information which is calculated in the holder; and a holder control unit which operates any one mode between a terminal-linked mode for outputting direction guid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holder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s unit, or GPS guide information, calculated in the holder GPS module,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when being wirelessly link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through the holder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s unit and a terminal-unlinked mode for outputting the GPS guide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when being not linked wirelessly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Description

단말기 거치대{Apparatus for terminal cradle}Apparatus for terminal cradl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거치하는 단말기 거치대로서, 단말기 거치대를 이용하여 길 안내, GPS 안내를 수행하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old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holder for performing guidance and GPS guidance using a terminal holder.

차량에 설치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를 GPS로부터 수신받아 맵 데이터를 적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의 보급이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에는 그 활용 가능 범위에 따라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네비게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A navigation system that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receives a coordinate signal indica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from the GPS and applies the map data to guide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is popularized. Such a navigation device may be divided into a vehicle-dedicated navigation system and a navigation system driven by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available range.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은 화면이 크기 때문에 시인성이 좋고 접속 케이블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설치 후 차량 내부가 깔끔하게 정리가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용의 네비게이션만의 기능을 사용하기에 성능 대비 가격이 비싸고 사용 빈도나 낮으며 맵 데이터의 업그레이드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스마트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은, 별도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개인이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점에서 설치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 car navigation system has a good visibility because it has a large screen and the connection cable is not required separately,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neatly arranged after the installation. However, since only the navigation function is used, And the upgrade of the map data is not easy. On the other hand, the smartphone navigation system driven by a naviga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has an advantage that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navigation device, and it does not require installation cost because it utilizes a smart phone carried by an individual.

그러나,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화면이 작아 시인성이 나쁜 단점이 있으며, 또한 스마트폰을 차량의 전방에 거치시켜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smartphone naviga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small and visibility is poor, and the smartphone has to be mounted in front of the vehicle.

한국공개특허 10-2014-008446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8446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가 손쉽게 주행 경로 안내를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 거치대에서 길 안내 정보 및 GPS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stand capable of easily recognizing a driving route guidance by a driver.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GPS guidance information in a terminal cradle.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길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는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안내인 길 안내 정보,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GPS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출력 및 음성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GPS 위성으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산출한 GPS 위치 정보를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로서 출력하는 거치대 GPS 모듈;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무선 연동된 경우 상기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길 안내 정보 또는 상기 거치대 GPS 모듈에서 산출한 GPS 안내 정보를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연동 모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 연동되지 않은 경우 상기 GPS 안내 정보를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미연동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로서 동작시키는 거치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a terminal cradle capable of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radle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transmits navigation information through a navigation application; An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d outputting the GPS guide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GPS guide information; A cradle GPS module for receiving the GPS data from the GPS satellite and outputting the calculated GPS position information as cradle-calculated GPS position inform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wirelessly connec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radl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via the information output unit,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wirelessly coupl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radl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terminal uninterrupted mode for outputting the GPS guide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길 안내 정보, GPS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출력 표시창; 및 상기 길 안내 정보, GPS 안내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정보 출력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un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output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guidance information and the GPS guidance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output speaker for outputting the guidance information and the GPS guidance information.

상기 거치대 제어부는, 상기 거치대 GPS 모듈이 GPS 위성으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radle control unit may request and receive terminal-calculated GPS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radle GPS module fails to receive GPS data from the GPS satellite.

상기 길 안내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 휴게소 안내 정보, 차선 안내 정보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rest area guidance information, and lane guidance information.

상기 GPS 안내 정보는, 단속 카메라까지의 거리, 현재 속도, 현재 시간, 현재 위치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GPS guidanc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tance to the intermittent camera, a current speed, a current time, and a current position.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단말기 연동 모드, 단말기 미연동 모드에 따라서 점등 형태를 다르게 하여 점등하는 알람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cradle may include an alarm or the like which lights up in different lighting modes according to the terminal interlock mode and the terminal non-interlock mode.

상기 알람등은, 차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점등 온/오프의 점멸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alarm or the like may be characterized by blinking on / off when the vehicle speed exceeds the limit speed.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말기 거치대에서 길 안내 정보 및 GPS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손쉽게 주행 경로 안내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의 거치 여부에 따라 안내 모드를 달리함으로써, 효율적인 주행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travel route guidance by providing the route guide information and the GPS guide information at the terminal cradl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efficient travel route guidance by changing the guide mode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ationed or n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상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길 안내 모드로서 단말기 거치대의 정보 출력부에 길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GPS 안내 모드로서 단말기 거치대의 정보 출력부에 GPS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가 단말기 거치대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채로 단말기 거치대에 이동통신단말기가 거치되었을 경우의 길 안내, GPS 안내를 수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가 단말기 거치대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어 있지만 단말기 거치대에 이동통신단말기가 거치되지 않았을 경우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거치대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한 GPS 안내 정보만을 출력하는 GPS 안내 모드로서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1 is a side view of a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FIG.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terminal holder.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n information output unit of a terminal stand as a route guidanc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GPS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n information output unit of a terminal stand as a GPS guidanc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navig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holder in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mou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operation of a GPS guide mode for outputting only GPS guid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상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구성 블록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의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는, 거치부에 거치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표시되는 전자 지도상에 길 안내 정보를 상세하게 디스플레이하며, 속도 위반, 휴게소 안내 등의 간단한 GPS 안내 정보를 정보 출력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운전자의 주행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네비게이션이 동작되지 않더라도 정보 출력부를 통하여 GPS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운전자가 통화나 다른 용도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더라도 정보 출력부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GPS 안내 정보 등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The terminal cradl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detailed guidance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map display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ationed at a mounting unit, and displays simple GPS guidance information such as speed violation and resting place guidance through an information output unit By displaying, it is possible to help the driver to drive. Even if the navig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operated, the GPS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Even if the driver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call or another purpose, the navigation information such as GPS guide information You can provide them.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80)이 구동되어, 길 안내 정보를 단말기 거치대(200)에 전송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스마트폰 등과 같이 3G, 4G의 무선 이동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디스플레이 수단과 오디오 수단을 구비한다. 이밖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지상파 채널을 통하여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단말기 등도 해당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driven by the navigation application 180 and transmits th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rest 200.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 terminal capable of 3G and 4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a smart phon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n audio unit.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correspond to various oth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terminals capable of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through a terrestrial channel.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RF부(110), 데이터처리부(120), 오디오처리부(130), 표시부(150), 입력부(140),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 단말기 GPS 모듈(170),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80), 단말기 제어부(190)를 포함한다.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n RF unit 110, a data processing unit 120, an audio processing unit 130, a display unit 150, an input unit 140, a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A GPS module 170, a navigation application 180, and a terminal control unit 190.

RF부(110)는 CDMA와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RF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The RF unit 11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CDMA. The RF unit 110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noise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and down-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received signal.

데이터처리부(12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데이터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a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may include a MODEM and a CODEC.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such as voice.

오디오처리부(130)는 데이터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134)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132)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데이터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길 안내가 스피커(134)를 통하여 음성 안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audio processing unit 130 has a function of reproducing a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ing unit through the speaker 134 or transmitting a transmissio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132 to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 Way guidan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voice guidance through the speaker 134. [

입력부(14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로서 동작한다. 이러한 기능키로는 스피커의 온/오프 버튼, 음량조절버튼이 구비된다.The input unit 140 operates as numeric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These function keys include a speaker on / off button and a volume control button.

표시부(150)는 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창으로서, 네비게이션 안내 지도가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안내 지도는, 전자 지도상에 차량의 위치, 경로 방향 등을 표시함으로써 네비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may be a display window such as an LCD or an OLED, and a navigation guidance map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navigation guidance map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can perform navigation by displaying the position and route direction of the vehicle on the electronic map.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과 같이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하는 모듈로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하여 길 안내 정보,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단말기 거치대(2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is a module for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can transmit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the terminal-calculated GPS posi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cradle 200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단말기 GPS 모듈(170)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단말기 GPS 모듈(170)에서 산출한 GPS 위치 정보를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The terminal GPS module 170 receives GPS data from at least three GPS satellites and calculates GPS position information using the GPS data. Hereinafter,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terminal GPS module 17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ll be referred to as terminal-calculated GPS position information.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80)은 네비게이션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아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80)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출고 당시에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으며, 또는 구글 마켓 등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80)이 실행되면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 역시 자동적으로 실행되어, 단말기 거치대(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navigation application 180 is an application program in which navigation is executed, and is an application for receiving a destination from a user and guiding the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The navigation application 180 may be installed at the time of shipp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in the Google market. Also, when the navigation application 180 is executed, the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is also automatically executed to establis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base 200.

단말기 제어부(190)는 RF부(110), 데이터처리부(120), 오디오 처리부(140), 표시부(150), 입력부(140),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 단말기 GPS 모듈(170),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80)을 제어한다. 단말기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80)을 실행시켜 길 안내 정보를 단말기 거치대(200)로 전송한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190)는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단말기 거치대(200)에 전송한다. 이러한 길 안내 정보와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같은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를 통하여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includes an RF unit 110, a data processing unit 120, an audio processing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n input unit 140, a termi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a terminal GPS module 170, And controls the application 180.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executes the navigation application 180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base 200. Also, the terminal control unit 190 transmits the terminal-calculated GPS posi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base 200.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calculation GPS posi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such as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단말기 거치대(200)(mobile terminal cradle)는, 이동통신단말기(100)를 거치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길 안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200)는, 크래들 하우징(210),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 정보 출력부(230), 거치대 GPS 모듈(240), 거치대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알람등(260)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 거치대 GPS 모듈(240), 거치대 제어부(250)는 크래들 하우징(210)의 내부에 회로 칩 형태로 매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정보 출력부(230) 및 알람등(260)은 크래들 하우징(210)의 외부에 노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cradle 200 can receiv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can receiv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5 includes a cradle housing 210, a cradl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n information output unit 230, a cradle GPS module 240, and a cradle control unit 250 . In addition, an alarm 260 may be included. The cradl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the cradle GPS module 240 and the cradle control unit 250 may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circuit chip inside the cradle housing 210.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26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radle housing 210.

크래들 하우징(210)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거치하는 수단이다. 크래들 하우징(210)은 차량 연결부(211) 및 거치 수단부(212)를 구비하여, 거치 수단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를 거치하게 된다. 차량 연결부(211)는 흡착 패드 등으로 구현되어 차량의 유리에 부착되며, 거치 수단부(212)는 탄성력 등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파지할 수 있다. 차량 연결부(211)와 거치 수단부(21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확장암(21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cradle housing 210 is a means for moun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cradle housing 210 includes a vehicle connecting portion 211 and a mounting means portion 212 to mou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using the mounting means.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211 is implemented by an absorbing pad or the like and is attached to the glass of the vehicle, and the mounting means portion 212 can grip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y an elastic force or the like. The vehicle connection portion 211 and the mounting portion 21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extension arm 213 shown in FIG.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는 이동통신단말기(100) 내의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한다.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NFC 모듈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이루어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으로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stand-by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stand-b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may b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or an NFC module, and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s a reference,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is a short-range wireless technology standard for exchanging information by connecting devices to each other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 very short distance of about 10 meters or more.

정보 출력부(230)는, LED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 음성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어, 길 안내 정보 및 GPS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출력 및 음성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정보 출력부(230)는, 네비게이션 정보(길 안내 정보 및 GPS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출력 표시창과, 네비게이션 정보(길 안내 정보 및 GPS 안내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정보 출력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길 안내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안내 정보, 목적지까지의 주행 중에 휴게소 안내 등을 포함하는 안내 정보이다. 즉, 길 안내 정보라 함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80)에서 생성되어 수신한 정보로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 휴게소 안내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 밖에 길 안내 정보는 차선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100m 앞에서 우회전 또는 좌회전을 해야 하는 경우, 1,2차선을 이용하라는 차선 정보 안내를 정보 출력부(23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includes display means such as an LED and audio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udio, and displays and outputs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guidance information and the GPS guidance information. To this end,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includes an information output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navigation information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GPS guidance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output speaker for outputting navigation information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GPS guide information) . Her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guidance information including travel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guidance for a rest area during traveling to a destination, and the like. That i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generated and received by the navigation application 18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uch as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rest area guidance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may include lane guidanc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make a right turn or a left turn before 100 meters ahead, the lane information guidance for using the first and second lanes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

GPS 안내 정보는 현재 위치에서 시설물(예컨대, 단속 카메라 등)까지의 거리, 현재 속도, 시간 등을 포함하는 안내 정보이다. 즉, GPS 안내 정보라 함은,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100)가 거치된 차량의 단속 카메라 등의 위치가 차량 현재 위치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나타내는 시설물 거리 안내 정보,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현재 속도, 현재 시간, 현재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GPS 안내 정보 중에서 단속 카메라까지의 거리를 안내하기 위하여, 단말기 거치대(200)는 단속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단속 카메라의 위치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될 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GPS guide information is guide information including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facility (e.g., intermittent camera, etc.), current speed, time, and the like. That is, the GPS guidanc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can be generated using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The GPS guidance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how far the position of the intermittent camera or the like of the vehicle o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mounted is located away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Distance information, current speed calculated using GPS position information, current time, current position, and the like. For reference, in order to guide the distance from the GPS guidance information to the intermittent camera, the terminal cradle 200 stor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termittent camera.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intermittent camera may be updated when interfac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거치대 GPS 모듈(240)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이하에서는, 단말기 거치대(200)에 마련된 거치대 GPS 모듈(240)에서 산출한 GPS 위치 정보를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
The cradle GPS module 240 receives GPS data from at least three GPS satellites and uses the received GPS data to calculate GPS position information. Hereinafter, GPS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radle GPS module 240 provided in the terminal rest 200 will be referred to as cradle-calculated GPS position information.

거치대 제어부(250)는, 단말기 연동 모드, 단말기 미연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안내 모드로서 정보 출력부(230)를 통하여 출력하는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블루투스 연결) 여부에 따라서 다음 두 가지 형태로서 동작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단말기 거치대(200)간의 근거리 무선 연동 여부에 따라 정보 출력부(230)에서 출력되는 정보 출력 형태가 단말기 연동 모드 또는 단말기 미연동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하면, 거치대 제어부(25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무선 연동된 경우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수신한 길 안내 정보 또는 거치대 GPS 모듈(240)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GPS 안내 정보를 정보 출력부(230)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연동 모드,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간에 무선 연동되지 않은 경우 단말기 거치대의 거치대 GPS 모듈(240)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GPS 안내 정보를 정보 출력부(230)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미연동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The cradle control unit 250 output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as any one of a terminal interlocking mode and a terminal noninterlaced mode. The cradle control unit 250 operates in two forms depending on whether a short- . That is, the information output form output from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may be determined to be the terminal interlock mode or the terminal non-interlock mode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 cradle 200 are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wirelessly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via the base station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the base station control unit 250 may receive the information received via the base station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 GPS receiver module 230 for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PS module 220 and outputting GPS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PS module 220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The mobile terminal can operate as any one of the terminal uninterrupted modes in which GPS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mobile terminal 240 is output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

단말기 연동 모드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와 단말기 거치대(200)의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간에 근거리 무선 링크가 연결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단말기 연동 모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80)은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에 연동된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길 안내 정보를 전송하며, 단말기 거치대(200)의 거치대 제어부(250)는 정보 출력부(23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단말기 연동 모드로서 정보 출력부(230)에 길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다. 단말기 연동 모드로 동작시에 정보 출력부(230)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방향을 간략하게 표시하여,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주행 경로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terminal interlocking mode refers to a state where a short-range wireless link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cradl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of the terminal cradle 200. The navigation application 18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interlocked with the termi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The base station control unit 250 may output the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as a terminal interlocking mode. When operating in the terminal interlocking mode,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may briefly display the traveling route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so that the driver can intuitively know the traveling route.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단말기 거치대(200)간의 근거리 무선 연동이 이루어지는 단말기 연동 모드에는, 거치대 제어부(250)는 수신한 길 안내 정보 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GPS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 연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목적지 설정이 있는 경우 주행 경로를 안내하거나 휴게소 등을 안내하거나 차선 정보를 안내하는 길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속도, 현재 위치, 현재 시간 등을 표시하거나 단속 카메라가 근접하는 경우에 단속 카메라 경고 표시하는 GPS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참고로, GPS 안내 정보는 거치대 GPS 모듈(240)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GPS 안내 정보가 해당될 수 있으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GPS 안내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연동 모드로 동작시에 길 안내 정보가 아닌 GPS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80)에서 보내주는 표시 명령 정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interlocking mod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 cradl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hort distance wireless connection mode, the cradl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terminal interlocking mode to output the received direction information or the GPS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itself . For example, in the case of traveling on a road, when there is a destination setting, it is possible to guide a driving route, guide a rest area, or output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guide lane information. Also,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current speed, the current position, the current time, and the like, or GPS guide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intermittent camera warning when the intermittent camera is approaching. For reference, the GPS guide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the GPS guide information calculated by itself in the cradle GPS module 240, or the GPS gui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correspond to the GPS guide information. Also, when GPS navigation information other than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terminal interlocking mode, 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y the display command information sent from the navigation application 18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참고로, 도 8은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단말기 거치대(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동된 채로 단말기 거치대에 이동통신단말기(100)가 거치되었을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표시창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안내 지도가 표시되고, 단말기 거치대의 정보 출력부(230)를 통하여 길 안내 정보 또는 GPS 안내 정보가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8(a)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거치된 상태로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한 길 안내 정보가 정보 출력부(230)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8(b)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거치된 상태로 휴게소 거리를 나타내는 GPS 안내 정보가 정보 출력부(230)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8(c)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거치된 상태로 단속 카메라 거리와 제한 속도를 나타내는 GPS 안내 정보가 정보 출력부(230)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navigating through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terminal mount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short- A guidance map is displayed and the guidance information or the GPS guidance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of the terminal cradle. 8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tationary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8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GPS guid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sting place distance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tationary, 100 is mounted o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The GPS gui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termittent camera distance and the speed limit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FIG.

또한 도 9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단말기 거치대(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동되어 있지만 단말기 거치대(200)에 이동통신단말기(100)가 거치되지 않았을 경우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마찬가지로, 도 9(a)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한 길 안내 정보가 정보 출력부(230)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9(b)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로 휴게소 거리를 나타내는 GPS 안내 정보가 정보 출력부(230)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9(c)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로 단속 카메라 거리를 나타내는 GPS 안내 정보가 정보 출력부(230)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not mounted on the terminal base 200 alth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terfaced with the terminal base 200 in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9A shows a state in which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not stationary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9 (b)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GPS guidance information indicating a resting place distance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in a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not mounted, and FIG. 9 (c)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GPS guid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peed limit camera distance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in a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not mounted.

결국, 단말기 연동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표시되는 길 안내 정보를 분배하여 단말기 거치대(200)의 정보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게 되어, 화면 영역의 최적화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좁은 화면에 표시되는 여러 정보 중에서 시인성이 필요한 중요한 길 안내 정보(방향, 거리 등)는 단말기 거치대(200)의 정보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거치대(200)의 정보 출력부(230)에 표시되는 길 안내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화면 영역이 최적화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terminal operates in the terminal interlocking mode, it can distribut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output it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of the terminal cradle 200, Visibility can be improved. For example, among various information displayed on a narrow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mportant route guidance information (direction, distance, etc.) requiring visibility can be output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of the terminal rest 200 have. Therefore, sinc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of the terminal base 200 does not ne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screen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be optimized .

한편,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블루투스 연결) 여부에 따른 두 번째 형태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지 않아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길 안내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단말기 미연동 모드의 동작 형태이다. The second mode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 mod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oes not receive route guidance information beca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not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 non- Operation mode.

단말기 미연동 모드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와 단말기 거치대(200)의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간에 근거리 무선 링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 데이터 통신이 단절된 상태이다. 단말기 미연동 모드에서는, 거치대 제어부(250)는 거치대 GPS 모듈(240)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GPS 안내 정보를 정보 출력부(23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단말기 미연동 모드로서 정보 출력부(230)에 GPS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GPS 안내 정보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위치에서 단속 카메라까지의 거리가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단속 카메라는 차량 등의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지를 단속하는 카메라이다. 또한 GPS 안내 정보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속도, 현재 시간,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The terminal unlinked mode is a state in which the data communication is disconnected because the short-range wireless link is not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tand-b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of the terminal stand 200. In the terminal non-interworking mode, the cradle control unit 250 can output the GPS guid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radle GPS module 240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GP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as a terminal non-interworking mode. The GPS guidance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intermittent camera as shown in Fig. 7 (a). Here, the intermittent camera is a camera that interrupts whether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or the like exceeds the limit speed. In addition, the GPS guidance information can display the current speed, current time, and current position as shown in Fig. 7 (b).

따라서 이러한 단말기 미연동 모드인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거치 여부와 관계없이, 거치대 제어부(250)는, 정보 출력부(230)를 통하여 자체적으로 생성한 GPS 안내 정보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단말기 미연동 모드인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거치대(200)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한 GPS 안내 정보만을 출력하는 단말기 미연동 모드로서 동작하도록 한다. 즉, 도 10(a)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블루투스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속 카메라까지의 거리 및 규정 속도를 나타내는 GPS 안내 정보가 정보 출력부(230)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10(b)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블루투스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 속도, 현재 시간,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GPS 안내 정보가 정보 출력부(230)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Accordingly,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non-linked mode, the cradle control unit 250 can output only the GPS guid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regardless of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ationary or not. That is, whe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not connected, the terminal cradle 200 operates as a terminal-unlinked mode in which only the GPS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erminal cradle 200 is output as shown in FIG. 10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GPS guid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istance from the intermittent camera to the intermittent camera in the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not connected to the Bluetooth and the specified speed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10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GPS guid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speed, current time, and current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30 in a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not connected to the Bluetooth.

한편, 단말기 미연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거치대 제어부(250)는,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 또는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작 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거치대의 GPS 모듈을 저가의 제품으로 구현할 경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가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보다 더 정확하기 때문에,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가 아닌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안 된 경우에는, 거치대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참고로,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할 시에는, 단속 카메라와 같은 시설물의 위치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시설물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시설물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operating in the terminal non-interworking mode, the cradle control unit 250 can generate GPS guidance information using the cradle-calculated GPS position information or the terminal-calculated GPS position information. When terminal-calculated GPS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GPS-derived GPS lo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to generate GPS guide information. When the GPS module of the cradle is implemented as a low-cost product to lower the production cost, since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more accurate than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radle, And generates guidance information. However, if the terminal-calculated GPS loca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GPS guid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using the location-based GPS location information. Wh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not establish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GPS guide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cradle-calculated GPS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radle itself. For reference, when generating the GPS guidanc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specific facility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by utilizing the facility location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point of facilities such as the intermittent camera.

한편, 단말기 거치대(200)와 이동통신단말기(100)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 완료되면, 거치대 제어부(25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GPS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그 후, 지속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한다.When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mpleted between the terminal cradle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cradle control unit 250 requests the terminal 100 to calculate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and updates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do. Thereafter, the mobile station 100 continuously receives and updates the terminal-calculated GPS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한편, 단말기 거치대(200)에는, 단말기 연동 모드, 단말기 미연동 모드, 과속 여부에 따라서 점등 형태를 다르게 하여 점등하는 알람등(26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연동 모드에서는 파란색으로 점등하며, 단말기 미연동 모드에서는 빨간색의 점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알람등(260)은 차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점등 온/오프의 점멸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GPS 위치 정보로부터 차량 속도를 계산하여, 차량 속도가 현재 도로에서의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점멸 동작을 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 현재 속도를 색상 구분을 통하여 정속/과속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현재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정속인 경우에는 알람등(260)을 초록색으로 표시하며, 반대로 차량 현재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한 과속인 경우에는 알람등(260)을 빨간색으로 점멸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cradle 200 may include an alarm 260 that lights up in different lighting modes according to the terminal interlocking mode, the terminal noninterconnecting mode, and the overspeed state. For example, it may be lit in blue in the terminal interlocking mode and red in the terminal interlocking mode. The alarm lamp 260 may be turned on / off to warn the user if the vehicle speed exceeds the limit speed. Calculates the vehicle speed from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a blinking operation to warn the user when the vehicle speed exceeds the limit speed on the current road. Therefore, the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can be visually displayed through the color classification. For example, when the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is a constant speed that does not exceed the limit speed, the alarm lamp 260 is displayed in green. On the contrary, if the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exceeds the limit speed, As shown in FIG.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0:이동통신단말기 200:단말기 거치대
210:크래들 하우징 220: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
230:정보 출력부 240:거치대 GPS 모듈
260:알람등
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erminal holder
210: cradle housing 220:
230: Information output unit 240: Cradle GPS module
260: Alarm light

Claims (7)

이동통신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길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는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안내인 길 안내 정보,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GPS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출력 및 음성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GPS 위성으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산출한 GPS 위치 정보를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로서 출력하는 거치대 GPS 모듈;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무선 연동된 경우 상기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길 안내 정보 또는 상기 거치대 GPS 모듈에서 산출한 GPS 안내 정보를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연동 모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 연동되지 않은 경우 상기 GPS 안내 정보를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미연동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로서 동작시키는 거치대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1. A terminal holder for hol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riving the navigation application and transmitting the guidance information;
An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d outputting the GPS guide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GPS guide information;
A cradle GPS module for receiving the GPS data from the GPS satellite and outputting the calculated GPS position information as cradle-calculated GPS posi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wirelessly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radle-b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utputs the received guidance information through the cradle-b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the GPS guid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radle- And a terminal uninterrupted mode for outputting the GPS guide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길 안내 정보, GPS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출력 표시창; 및
상기 길 안내 정보, GPS 안내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정보 출력 스피커;
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 information output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guidance information and the GPS guidance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output speaker for outputting the guidance information and the GPS guidance information;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제어부는,
상기 거치대 GPS 모듈이 GPS 위성으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2]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when the cradle GPS module fails to receive the GPS data from the GPS satellite, the cradle GPS module requests and receives the terminal calculated GPS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 안내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 휴게소 안내 정보, 차선 안내 정보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oute guid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rest area guidance information, and lane guidance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PS 안내 정보는,
단속 카메라까지의 거리, 현재 속도, 현재 시간, 현재 위치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istance to the intermittent camera, a current speed, a current time, and a current loc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단말기 연동 모드, 단말기 미연동 모드에 따라서 점등 형태를 다르게 하여 점등하는 알람등;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Th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larm that lights up in different lighting modes according to the terminal interlocking mode and the terminal noninterconnecting m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람등은, 차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점등 온/오프의 점멸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The terminal cradle of claim 1, wherein the alarm or the like flashes on / off when the vehicle speed exceeds the limit speed.
KR1020140114226A 2014-08-29 2014-08-29 Apparatus for terminal cradle KR1022317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226A KR102231777B1 (en) 2014-08-29 2014-08-29 Apparatus for terminal cradle
PCT/KR2014/010711 WO2016032057A1 (en) 2014-08-29 2014-11-07 Navigation guidance device and terminal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226A KR102231777B1 (en) 2014-08-29 2014-08-29 Apparatus for terminal cra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184A true KR20160026184A (en) 2016-03-09
KR102231777B1 KR102231777B1 (en) 2021-03-24

Family

ID=5553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226A KR102231777B1 (en) 2014-08-29 2014-08-29 Apparatus for terminal cra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77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093A (en) 2018-04-06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porting device for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and portable air ca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202Y1 (en) * 2006-12-04 2008-01-29 조수환 Cradle for Ca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80003616U (en) * 2007-02-24 2008-08-28 김봉수 Structure of standing connector
KR20120034986A (en) * 2010-10-04 2012-04-13 임재중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with indicator of direction
KR20140084461A (en) 2012-12-26 2014-07-07 제이와이커스텀(주) Car Navigation and Smart Phone linkage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202Y1 (en) * 2006-12-04 2008-01-29 조수환 Cradle for Ca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80003616U (en) * 2007-02-24 2008-08-28 김봉수 Structure of standing connector
KR20120034986A (en) * 2010-10-04 2012-04-13 임재중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with indicator of direction
KR20140084461A (en) 2012-12-26 2014-07-07 제이와이커스텀(주) Car Navigation and Smart Phone linkage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093A (en) 2018-04-06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porting device for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and portable air ca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777B1 (en)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022B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649643B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1578501B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US8788204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data providing device and in-vehicle device
KR20120049674A (en) Guiding route providing system and car-audio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315501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rtable processing devices
US20110106444A1 (en) Mobile object position detecting device
US20170139205A1 (en) Head-up display system, head-up display device and navigation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1625617B1 (en) System for providing signal waiting tim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167797A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serving power
KR101427717B1 (en) Taxi call service system using display communicating with smart mobile device and method using these
KR20170015585A (en) Navigation system using of bluetooth low energy beacon device, and thereof service method
JP2006242888A (en) Navigation system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26184A (en) Apparatus for terminal cradle
KR20160065723A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6031707A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TW201516987A (en) Traffic sign green light zone display system and mobile device applicable to the system
KR100902477B1 (en) Method and Navig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Volume of Voice Guidance Message, and Navigation Service System therefor
KR101856255B1 (en) Navigation display system
KR101712272B1 (en) Traffic safety signs for car accidents relay with a beacon
KR20100082230A (en) Navig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guiding movement thereof
KR102174799B1 (en) Apparatus for navigation information
KR20040063517A (e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of Drive
KR20160026182A (en) Terminal cradle
KR20050098147A (en) Road guidance apparatus for the bli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