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714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714A
KR20160025714A KR1020140112784A KR20140112784A KR20160025714A KR 20160025714 A KR20160025714 A KR 20160025714A KR 1020140112784 A KR1020140112784 A KR 1020140112784A KR 20140112784 A KR20140112784 A KR 20140112784A KR 20160025714 A KR20160025714 A KR 20160025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llow
connection
battery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진
이영재
이성근
강순선
Original Assignee
(주)오렌지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렌지파워 filed Critical (주)오렌지파워
Priority to KR1020140112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5714A/ko
Priority to US15/326,034 priority patent/US20170207433A1/en
Priority to PCT/KR2015/007053 priority patent/WO2016017958A1/ko
Priority to EP15787120.3A priority patent/EP3018732A4/en
Priority to CN201580000698.XA priority patent/CN105684189A/zh
Publication of KR20160025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형 이차전지의 전극 구조와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는 복수개의 중공형 이차전지의 내부 중공을 상호 연통할 수 있도록 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는 중공형 전지의 내부 중공까지 원하는 냉각 매체를 순환시킬 수 있어 이차 전지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A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형 이차전지의 전극 구조와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는 복수개의 중공형 이차전지의 내부 중공을 상호 연통할 수 있도록 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는 중공형 전지의 내부 중공까지 원하는 냉각 매체를 순환시킬 수 있어 이차 전지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 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폴리머) 이차 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차 전지의 내부에는 각종 가연성 물질들이 내장되어 있어서, 과충전, 과전류, 기타 물리적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발열,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안전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에는 과충전, 과전류 등의 비정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 보호회로모듈(Protection Circuit Moudule: PCM) 등과 같은 안전소자들이 전지 셀에 접속된 상태로 구성된다.
이차 전지는 그것이 사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전지 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또는 다수의 단위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 모듈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소형 디바이스는 전지 셀 1 개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한 반면에,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DVD(portable DVD), 소형 PC,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과 같은 중형 또는 대형 디바이스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복수의 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 모듈의 사용이 요구된다.
전지 모듈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단위 전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 형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어 팩'에 보호회로 등을 접속시킨 '소프트 팩'을 완성하고, 그러한 '소프트 팩'을 하드 케이스로 패킹한 구조이다.
단위 전지로서 각형 또는 파우치형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넓은 면들이 서로 대면하도록 단위 전지들을 적층한 후 전극 단자들을 버스 바 등의 접속부재에 의해 단위 전지들을 연결한다. 따라서, 육면체 구조의 입체형 전지 모듈(전지 팩)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각형 또는 파우치형 전지가 단위 전지로서 유리하다.
반면에, 원통형 전지는 일반적으로 각형 및 파우치형 전지에 비해 전기 용량이 높지만, 원통형 전지의 외형적 특성상 전술한 바와 같은 적층 구조의 배열이 어렵다. 그러나, 전지 모듈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선형 또는 판상형 구조일 때 각형 또는 파우치형보다 원통형 전지는 구조적인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종래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DVD, 소형 PC 등의 경우에는 다수의 원통형 전지들을 병렬 및 직렬방식으로 연결한 코어 팩을 전지 모듈(전지팩)의 제조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한 코어 팩으로는, 예를 들어, 2P(병렬)-3S(직렬)의 선형 구조, 2P-3S의 판상형 구조, 2P-4S의 선형 구조, 2P-4S의 판상형 구조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병렬방식의 연결구조는 전극 단자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워통형 전지들을 그것의 측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하여 접속부재로 용접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병렬방식의 원통형 전지들을 "뱅크(bank)"로 칭하기도 한다.
직렬방식의 연결구조는, 서로 반대 극성의 전극 단자들이 연속되도록 둘 또는 그 이상의 원통형 전지들을 길게 배열하거나 또는 전극 단자들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한 후 접속부재로 용접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원통형 전지들의 전기적 연결에는 일반적으로 니켈 플레이트 등과 같은 얇은 판상형 접속부재가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지팩 및 그 제조 방법, 전지팩의 단위 전지들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재(컨넥터)에 대해서는,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7-0057346호, 제10-2008-0015156호, 제10-2009-0118197호, 및 제10-2007-008154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들에 있어서, 다수의 원통형 전지들의 전극 단자들 중 금속 플레이트와 같은 판상형 접속부재를 용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지만, 이와 같은 용접 과정은 원통형 전지들의 구조적 특성상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작업 공정으로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특히, 코어 팩의 구조가 변경될 때마다 그에 대응하는 새로운 구조의 금속 플레이트가 요구되며, 결과적으로 전극 단자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공정 역시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다수의 원통형 전지들에서 과열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냉각시키기 위한 구조를 지니고 있지 않으므로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KR10-2011-0094415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지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중공형 이차전지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중공형 전지 내부 중공을 전체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중공형 전지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이 효과적인 유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내부 중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중공형 이차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단자 연결부; 중공형 전지의 중공과 대응하여 상기 단자연결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홀; 상기 단자 연결부의 관통홀 주변부에서 수직 연장되어 중공형 전지의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 접속부; 상기 단자 연결부 및 단자 접속부 주변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이차 전지는 상호 끼워맞춤이 가능한 대응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단자부 및 제 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접속부는 상기 제 1 단자부와 대응되는 제 1 단자 접속부 또는 상기 제 2 단자부와 대응되는 제 2 단자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부는 제 1 단자 접속부와 제 2 단자 접속부를 교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이웃하는 단자 접속부의 관통홀을 연통시키는 유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유로층은 상기 단자 연결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부는 상기 단자 연결부의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2 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 1 면에 형성되는 단자 접속부는 상기 제 1 단자 접속부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는 단자 접속부는 제 2 단자 접속부를 복수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전지의 제 1 단자는 상기 내부 중공부 주변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내부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제 1 접속 단자는 상기 중공형 전지의 제 1 내부 단자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 1 접속 내부 단자와 상기 제 2 내부 단자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제 1 접속 외부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전지의 제 2 단자는 중공부 주변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내부단자; 및 상기 제 1 내부단자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외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제 2 접속 단자는 상기 중공형 전지의 제 2 내부 단자; 및 제 2 외부 단자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전지간 전기적으로 직렬연결 또는 병렬연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되는 중공형 전지의 내부 중공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어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연결되는 중공형 전지 각각의 내부 중공까지 냉각 또는 난방을 위해 필요한 유체를 공급, 순환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커넥터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4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내부 중공을 포함하고, 전극 구조가 상호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끼워맞춤이 가능한 단자조립체를 포함하는 중공형 이차전지, 즉,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대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자가 2014년 7월 14일에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10-2014-0088175의 중공형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중공형 전지는 젤리롤 전극조립체의 일 측면에 연결되는 제 1 단자부, 상기 젤리롤 전극조립체의 타 측면에 연결되는 제 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조립체의 제 1 단자부 및 제 2 단자 조립체의 제 2 단자부는 상호 끼워맞춤이 가능한 대응 구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한민국 특허 10-2014-008817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자부는 제 1 단자 플레이트; 상기 단자 플레이트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젤리롤의 내부 중공부와 대응하는 제 1 단자부 관통공; 상기 제 1 단자부 관통공 주변부로부터 상기 단자 플레이트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내부단자; 상기 제 1 내부단자와 소정거리 이격되는 상기 제 1 단자 플레이트의 외주변으로부터 상기 제 1 단자 플레이트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외부단자; 및 상기 제 1 단자플레이트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단자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자부는 제 2 단자 플레이트; 상기 제 2 단자 플레이트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젤리롤의 내부 중공부와 대응하는 제 2 단자부 관통공; 상기 제 2 단자부 관통공 주변부으로부터 상기 제 2 단자 플레이트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내부단자; 상기 제 2 내부단자와 소정거리 이격되는 상기 제 2 단자 플레이트의 외주변으로부터 상기 제 2 단자 플레이트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외부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공형 전지(200)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구체적으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자 연결부(420); 중공형 전지의 중공과 대응하여 상기 단자연결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홀(310, 320); 상기 단자 연결부 관통홀 주변부에서 수직 연장되어 중공형 전지의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 접속부(421, 422, 423); 상기 단자 연결부 및 단자 접속부 주변부를 커버하는 커버부(410); 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공형 전지의 제 1 단자는 상기 내부 중공부 주변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내부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제 1 접속 단자는 상기 단자 연결부(420)에서 연장되는 단자 접속부로서, 상기 중공형 전지의 제 1 내부 단자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 1 접속 내부 단자(421)와 상기 제 2 내부 단자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제 1 접속 외부 단자(4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형 전지의 제 2 단자는 중공부 주변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내부단자; 및 상기 제 1 내부단자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외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제 2 접속 단자(423)는 상기 단자 연결부(420)에서 연장되고, 상기 중공형 전지의 제 2 내부 단자; 및 제 2 외부 단자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상기 접속 단자 모듈은 중공형 전지의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 접속부(421, 422, 423); 상기 복수개의 단자 접속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 접속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단자 연결부(420); 및 상기 단자 연결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관통홀(310, 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으로 숫자에 제한없이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부(420) 및 단자 접속부는 연결하고자 하는 중공형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 도전성을 가진 재료이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부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접속부와 제 2 단자 접속부를 교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커넥터와 같이 제 1 단자 접속부와 제 2 단자 접속부를 교대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커넥터는 이웃하는 단자 접속부의 관통홀을 연통시키는 유로층(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유로층은 상기 단자 연결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관통홀을 연통시키는 부위 외에 형성되는 유로층 형성 부재(430)에 의하여 유로가 형성되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홀로부터 유로층을 관통하여 인접한 전지의 관통홀과 상호 연통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도 4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전지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 교대로 포함하는 제 1 단자 접속부 및 제 2 단자 접속부에 의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면서 전기적으로는 직렬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유로 형성층(4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층(440)에 의해 수평으로 연결되는 중공형 전지의 중공이 상호 연결되면서 전체적인 유로 순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410)은 상기 복수개의 접속 단자 모듈간 및 상기 복수개의 접속 단자 모듈과 외부를 절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특별한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었다. 본원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4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속 단자 모듈의 표면에 형성되는 피복층 형태 이거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상기 접속 단자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 부피를 차지하는 하우징 형태(410') 이거나 제한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7 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었다. 도 5 내지 도 7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부는 상기 단자 연결부의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2 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 1 면에 형성되는 단자 접속부는 상기 제 1 단자 접속부(421, 422)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는 단자 접속부는 제 2 단자 접속부(423)를 복수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 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중공형 전지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 수평으로 복수개의 전지를 원하는 숫자대로 연결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전지간 병렬로 연결되면서, 제 1 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이 제 2 면까지 연결되면서 복수개의 전지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게 된다.

Claims (8)

  1. 단자 연결부;
    중공형 전지의 중공과 대응하여 상기 단자연결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홀;
    상기 단자 연결부 관통홀 주변부에서 수직 연장되어 중공형 전지의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 접속부;
    상기 단자 연결부 및 단자 접속부 주변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이차 전지는 상호 끼워맞춤이 가능한 대응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단자부 및 제 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접속부는 상기 제 1 단자부와 대응되는 제 1 단자 접속부 또는 상기 제 2 단자부와 대응되는 제 2 단자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부는 제 1 단자 접속부와 제 2 단자 접속부를 교대로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이웃하는 단자 접속부의 관통홀을 연통시키는 유로층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층은 상기 단자 연결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부는 상기 단자 연결부의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2 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 1 면에 형성되는 단자 접속부는 상기 제 1 단자 접속부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는 단자 접속부는 제 2 단자 접속부를 복수개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전지의 제 1 단자는
    상기 내부 중공부 주변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내부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제 1 접속 단자는
    상기 중공형 전지의 제 1 내부 단자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 1 접속 내부 단자와 상기 제 2 내부 단자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제 1 접속 외부 단자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전지의 제 2 단자는
    중공부 주변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내부단자; 및
    상기 제 1 내부단자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외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제 2 접속 단자는 상기 중공형 전지의 제 2 내부 단자; 및 제 2 외부 단자 사이에 삽입되는 것인 커넥터


KR1020140112784A 2014-07-31 2014-08-28 커넥터 KR20160025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784A KR20160025714A (ko) 2014-08-28 2014-08-28 커넥터
US15/326,034 US20170207433A1 (en) 2014-07-31 2015-07-08 Hollow core secondary battery and connector therefor
PCT/KR2015/007053 WO2016017958A1 (ko) 2014-07-31 2015-07-08 중공형 이차전지 및 중공형 이차전지용 커넥터
EP15787120.3A EP3018732A4 (en) 2014-07-31 2015-07-08 Hollow type secondary battery and connector for hollow type secondary battery
CN201580000698.XA CN105684189A (zh) 2014-07-31 2015-07-08 中空型二次电池和用于其的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784A KR20160025714A (ko) 2014-08-28 2014-08-28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714A true KR20160025714A (ko) 2016-03-09

Family

ID=5553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784A KR20160025714A (ko) 2014-07-31 2014-08-28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57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9394A (zh) * 2018-10-15 2021-07-23 电力系统股份有限公司 电化学储存装置的热管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4415A (ko) 2010-02-16 2011-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전지팩 및 이에 사용되는 컨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4415A (ko) 2010-02-16 2011-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전지팩 및 이에 사용되는 컨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9394A (zh) * 2018-10-15 2021-07-23 电力系统股份有限公司 电化学储存装置的热管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10051B (zh) 电池组
US8114536B2 (en) Frame member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EP2615666B1 (en) Battery pack with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CN110832664A (zh) 电池模块和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
KR101502901B1 (ko) 전지 팩
KR102444124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2905824B1 (en) Battery pack
KR101440890B1 (ko) 전지 팩
KR20150048501A (ko) 배터리 팩
EP2763208B1 (en) Battery pack
EP2849251B1 (en) Battery pack
WO2018179734A1 (ja) 電池パック
KR10246056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430619B1 (ko) 전지 팩
KR20210113864A (ko) 버스바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170027546A (ko) 전지팩의 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US20120028082A1 (en) Battery pack
KR20170021561A (ko) 배터리 팩
KR101913375B1 (ko) 배터리 모듈
KR20160059165A (ko) 절연 및 열용융성 수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05990601B (zh) 电池组
KR101502899B1 (ko) 전지 팩
KR101502900B1 (ko) 전지 팩
KR20160025714A (ko) 커넥터
KR20150069136A (ko) 과전압 방지 단자 접속부재들을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