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703A - 물저장탱크 - Google Patents

물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703A
KR20160025703A KR1020140112540A KR20140112540A KR20160025703A KR 20160025703 A KR20160025703 A KR 20160025703A KR 1020140112540 A KR1020140112540 A KR 1020140112540A KR 20140112540 A KR20140112540 A KR 20140112540A KR 20160025703 A KR20160025703 A KR 20160025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tank body
water storag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295B1 (ko
Inventor
문성민
김재만
박정철
강상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2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2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물저장탱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탱크본체; 및 상기 탱크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으로 나누는 구획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영역을 이루는 상기 탱크본체의 부분에는 상기 하부영역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유닛이 구비되는 분리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저장탱크{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물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냉각하여 냉수를 만드는 냉각유닛이 분리되도록 하여 세척이 용이한 물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물저장탱크는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물저장탱크는 연결관에 의해서 수도 등의 물공급원에 연결된다. 그리고, 물공급원의 물은 연결관을 통해 물저장탱크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는 처리된 물이 저장되도록 전술한 물저장탱크가 구비된다.
종래 정수기에 구비되는 물저장탱크는 그 내부공간이 복수개의 저장공간, 예컨대 2개의 공간으로 분리되었었다.
그리고, 복수개의 공간 중 하나에는, 예컨대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였고, 다른 하나에는 정수를 냉각한 냉수를 저장하였다.
한편, 물저장탱크에 장시간 물이 저장되면 물때 등이 발생하여 물저장탱크를 세척해야만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이 복수개의 저장공간으로 분리된 물저장탱크는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특히, 냉수를 저장하는 물저장탱크의 공간에는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유닛이 구비되기 때문에, 세척을 위해서 물저장탱크를 분리한다고 하더라도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물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냉각유닛이 물저장탱크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물저장탱크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물저장탱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탱크본체; 및 탱크본체에 구비되어 저장공간을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으로 나누는 구획부재; 를 포함하며, 하부영역을 이루는 탱크본체의 부분에는 하부영역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유닛이 구비되는 분리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물이 저장되는 제1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된 형상의 탱크본체; 탱크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탱크본체와 결합하고, 물이 저장되는 제2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탱크부재; 및 탱크본체에 구비되고, 제1 저장공간의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유닛; 을 포함하며, 탱크본체에는 탱크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분리부가 구비되고, 냉각유닛은 분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리부에는 탱크본체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에는 밀봉부재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본체에는 분리부에서 돌출된 밀봉부재의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는 탱크본체에 형성된 턱부에 올려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부재는 탱크본체에 형성된 턱부에 올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에는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사이에 물이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닛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유닛은 열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유닛이 물저장탱크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저장탱크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를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를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물저장탱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제1실시예
이하, 도1과 도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를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100)는 탱크본체(200)와 구획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본체(200)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탱크본체(200)의 저장공간(S)은 구획부재(300)에 의해서 상부영역(S1)과 하부영역(S2)으로 나뉠 수 있다.
하부영역(S2)을 이루는 탱크본체(200)의 부분에는 분리부(21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분리부(210)는, 예컨대 끼워맞춤이나 나사결합 등에 의해서 하부영역(S2)을 이루는 탱크본체(200)의 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분리부(210)가 하부영역(S2)을 이루는 탱크본체(200)의 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분리부(2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영역(S2)을 이루는 탱크본체(20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지만, 하부영역(S2)을 이루는 탱크본체(200)의 측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분리부(210)에는 밀봉부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210)가 탱크본체(200)에 연결되었을 때, 탱크본체(200)의 저장공간(S), 특히 저장공간(S)의 하부영역(S2)에 저장된 물이 탱크본체(200)와 분리부(210) 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
분리부(21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21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부(210)의 끼움홈(210a)에 밀봉부재(211)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탱크본체(200)에는 삽입홈(20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삽입홈(200a)에는 분리부(210)에서 돌출된 밀봉부재(211)의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분리부(210)의 탱크본체(200)에의 연결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분리부(210)와 탱크본체(200) 사이의 밀봉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분리부(210)와 탱크본체(200) 사이를 밀봉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리부(210)와 탱크본체(20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분리부(210)에는 냉각유닛(4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부(210)에 구비되는 냉각유닛(400)에 의해서 저장공간(S)의 하부영역(S2)에 저장된 물이 냉각될 수 있다. 즉, 냉수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냉각유닛(400)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410)를 유동하는 냉매와 저장공간(S)의 하부영역(S2)에 저장된 물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저장공간(S)의 하부영역(S2)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어 냉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부(210)에 냉각유닛(400)이 구비되기 때문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210)를 탱크본체(200)에서 분리하는 것에 의해서 냉각유닛(400)도 탱크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탱크본체(200)의 저장공간(S)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탱크본체(200)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탱크본체(200)에는 턱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탱크본체(200)의 턱부(200)에는 구획부재(300)가 올려질 수 있다.
한편, 탱크본체(200)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입부(I)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부(I)에 구비되는 밸브(V)를 조작하여 물공급원의 물이 탱크본체(200)의 저장공간(S)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탱크본체(200)에는 물배출부(O)가 연결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물배출부(O)가 저장공간(S)의 상부영역(S1)과 하부영역(S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물배출부(O)에 구비되는 밸브(V)를 조작하여, 저장공간(S)의 상부영역(S1)에 저장된 냉각되지 않은 물이나, 저장공간(S)의 하부영역(S2)에 저장된 냉각유닛(400)에 의해서 냉각된 물, 즉 냉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탱크본체(200)의 개방된 상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CV)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구획부재(300)는 탱크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획부재(300)는 탱크본체(200)에 형성된 턱부(220)에 올려져서 탱크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부재(300)에 의해서 탱크본체(200)의 저장공간(S)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영역(S1)과 하부영역(S2)으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영역(S1)에는 냉각유닛(400)에 의해서 냉각되지 않은 물이 저장되고 하부영역(S2)에는 냉각유닛(400)에 의해서 냉각된 물, 즉 냉수가 저장될 수 있다.
구획부재(300)에는 연통구멍(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구멍(310)을 통해 상부영역(S1)과 하부영역(S2) 사이에 물이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부(I)를 통해 저장공간(S)의 상부영역(S1)에 물이 공급된다고 하더라도, 구획부재(300)의 연통구멍(310)을 통해 저장공간(S)의 하부영역(S2)에도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영역(S2)에 물이 채워진 후에 상부영역(S1)에 물이 채워질 수 있다.
또한, 구획부재(300)가 물의 부력에 의해서 뜨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 도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100)는 도1과 도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물저장탱크(100)와는 냉각유닛(400)이 열전모듈(42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과 도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의 냉각유닛(400)은 열전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모듈(420)은 전기가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의 인가에 의한 열전달에 의해서 냉각되는 열전모듈(420)의 냉각측을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210)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저장공간(S)의 하부영역(S2)에 저장된 물을 냉각할 수 있다.
열전모듈(420)의 냉각측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분리부(210)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콜드싱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분리부(2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열전모듈(420)의 가열측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싱크(43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히트싱크(430)에는 냉각팬(4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모듈(420)의 가열측이 냉각되어 열전모듈(420)에 의한 저장공간(S)의 하부영역(S2)에 저장된 물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 도4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와 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를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100)는 도1과 도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물저장탱크(100)와는 제1 저장공간(S2')을 구비하는 탱크본체(2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제2 저장공간(S1')을 구비하는 탱크부재(300)가 탱크본체(200)에 결합하여, 저장공간(S)을 구비하는 물저장탱크(100)를 이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과 도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의 탱크본체(200)는 물이 저장되는 제1 저장공간(S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탱크부재(300')는 제2 저장공간(S1')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탱크부재(300')가 탱크본체(2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탱크본체(2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탱크부재(3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에 형성된 턱부(220)에 올려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저장공간(S)을 구비하는 물저장탱크(100)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저장공간(S1')을 구비하는 탱크부재(300')를 제1 저장공간(S2')을 구비하는 탱크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물저장탱크(100)의 저장공간(S)의 세척이 더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I)는 탱크본체(200)와 탱크부재(300')에 모두 연결되어, 탱크본체(200)에 구비된 제1 저장공간(S2')에 물이 먼저 공급된 후, 탱크부재(300')에 구비된 제2 저장공간(S1')이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를 사용하면, 냉각유닛이 물저장탱크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물저장탱크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고,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탱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물저장탱크 200 : 탱크본체
200a : 삽입홈 210 : 분리부
210a : 끼움홈 300 : 구획부재
300 : 탱크부재 310 : 연통구멍
400 : 냉각유닛 410 : 증발기
420 : 열전모듈 430 : 히트싱크
440 : 냉각팬 I : 물유입부
O : 물배출부 V : 밸브
CV : 덮개 S1 : 상부영역
S2 : 하부영역 S1' : 제2 저장공간
S2' : 제1 저장공간

Claims (10)

  1.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탱크본체; 및
    상기 탱크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으로 나누는 구획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영역을 이루는 상기 탱크본체의 부분에는 상기 하부영역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유닛이 구비되는 분리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물저장탱크.
  2. 물이 저장되는 제1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된 형상의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상기 탱크본체와 결합하고, 물이 저장되는 제2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탱크부재; 및
    상기 탱크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저장공간의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탱크본체에는 상기 탱크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분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분리부에 결합되는 물저장탱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에는 상기 탱크본체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가 구비되는 물저장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에는 상기 밀봉부재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물저장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에는 상기 분리부에서 돌출된 상기 밀봉부재의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물저장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탱크본체에 형성된 턱부에 올려지는 물저장탱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재는 상기 탱크본체에 형성된 턱부에 올려지는 물저장탱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에는 상기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사이에 물이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는 물저장탱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KR1020140112540A 2014-08-27 2014-08-27 물저장탱크 KR102224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540A KR102224295B1 (ko) 2014-08-27 2014-08-27 물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540A KR102224295B1 (ko) 2014-08-27 2014-08-27 물저장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703A true KR20160025703A (ko) 2016-03-09
KR102224295B1 KR102224295B1 (ko) 2021-03-09

Family

ID=5553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540A KR102224295B1 (ko) 2014-08-27 2014-08-27 물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2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7556U (ko) * 1974-10-07 1976-04-08
JPS59124871U (ja) * 1983-02-07 1984-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熱交換装置
KR20070102195A (ko) * 2006-04-14 2007-10-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통용 누름판
KR20110135897A (ko) * 2011-10-27 2011-12-2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KR20120076943A (ko) * 2010-12-30 2012-07-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상하 분리형 탱크구조
KR20140056745A (ko) * 2012-10-31 2014-05-12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의 냉수 저장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7556U (ko) * 1974-10-07 1976-04-08
JPS59124871U (ja) * 1983-02-07 1984-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熱交換装置
KR20070102195A (ko) * 2006-04-14 2007-10-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통용 누름판
KR20120076943A (ko) * 2010-12-30 2012-07-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상하 분리형 탱크구조
KR20110135897A (ko) * 2011-10-27 2011-12-2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KR20140056745A (ko) * 2012-10-31 2014-05-12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의 냉수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295B1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12956A (zh) 冷水箱
KR20160025703A (ko) 물저장탱크
US9914096B2 (en) Integrated waterway assembly of a reverse osmosis water filtration device
CN205841970U (zh) 一种分质自清洗滤水龙头
KR101765666B1 (ko) 상하 분리형 탱크구조
CN109549478A (zh) 水处理装置
CN209396923U (zh) 一种免安装便携式冷热一体纯水机
KR101744554B1 (ko) 물탱크
KR20160022709A (ko) 정수기용 필터 연결장치
KR20150024578A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KR20180060285A (ko) 냉수기
CN109467148A (zh) 一种免安装便携式冷热一体纯水机
KR102303481B1 (ko) 물저장탱크
CN202834212U (zh) 一种新型两用净水龙头
KR101478298B1 (ko) 배수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정수기용 노즐
CN206130117U (zh) 恒温沐浴器的前端过滤结构
RU2015140831A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KR20150144405A (ko) 물저장탱크
KR102383886B1 (ko) 정수기용 퇴수장치
KR101693803B1 (ko) 열전형 정수기용 냉각 탱크
KR102193471B1 (ko) 수처리장치
CN103519699B (zh) 用于咖啡机的转换阀体
KR101348829B1 (ko) 냉장고용 일체형 정수모듈
KR102464172B1 (ko)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ITMI20001616A1 (it) Filtro carburante per motori diesel a cartuccia intercambia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