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680A - Pipe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 Google Patents

Pipe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680A
KR20160025680A KR1020140112398A KR20140112398A KR20160025680A KR 20160025680 A KR20160025680 A KR 20160025680A KR 1020140112398 A KR1020140112398 A KR 1020140112398A KR 20140112398 A KR20140112398 A KR 20140112398A KR 20160025680 A KR20160025680 A KR 20160025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tubular material
unit
bea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12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5680A/en
Publication of KR20160025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6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58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104Lasrobot, welding robo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pe welding method comprises: a standard storing step of storing welding conditions to form beads formed into a bead shape formed by being welded on a top of a standard setting pipe while welding a pip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pe; and a welding step of welding the pip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condition application pipe under the stored welding conditions. In addition, a pipe weld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ing unit where a pipe to be welded is supplied; a movable unit formed in the supporting unit to mov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pe; and a welding unit including a welding unit joined to the movable unit and welding the pipe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welding unit, and controlling the welding unit.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osition sensor sensing a position of the welding unit on the pipe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welding conditions of the weld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ensed position of the welding unit.

Description

관형소재 용접방법 및 용접장치{Pipe welding method and apparatus}[0001] PIPE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관형소재 용접방법 및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형소재 상단점에서 하방 용접하여 형성된 비드의 형상과 같은 비드가 형성되는 원주 방향 각각의 위치에서의 용접 조건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관형소재에서 상기 데이터로 용접을 실시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welding a tubular material and a wel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welding a tubular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welding a tubular material, And the welding is performed with the data in the tubular material.

일반적으로 원주용접은 육상이나 해상에 건설되는 원유 또는 천연가스 등과 같은 유체를 수송하기 위한 파이프라인의 용접에 사용된다. 파이프라인에서의 원주 용접은 보통 12m 단위의 관형소재끼리 서로 연결하게 되며, 전체 파이프라인의 길이에 따라서는 수백km 길이가 형성되도록 매우 많은 수의 관형소재에 대하여 용접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In general, circumferential welding is used to weld pipelines to transport fluids such as crude oil or natural gas that are built onshore or offshore. Circumferential welding in pipelines is usually done by connecting tubular materials of 12m in length, and a very large number of tubular materials are welded to form several hundreds of kilometer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entire pipeline.

이와 같은, 관형소재의 용접 연결 공정은 전체적인 프로젝트 공기 단축을 위해서 육상이나 해상에서 작업자의 교대작업을 통해 24시간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In order to shorten the overall project time, the welding connection process of the tubular material is performed 24 hours by the worker's shift work on land or at sea.

이러한 원주용접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접방법은 가스메탈 아크용접방법으로 높은 전류밀도를 얻을 수 있는 세경 용접와이어를 사용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The most commonly used welding method among such circumferential welding is generally used because i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by using a small diameter welding wire which can obtain a high current density by a gas metal arc welding method.

그리고, 원주용접을 위해 용접 토치를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용접하게 된다. 즉, 상기 관형소재를 중심으로 상기 용접 토치의 배치 각도가 변화되면서 용접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용접 토치의 아크에 의해 형성된 용적은 아크에 의한 핀치력 및 중력의 방향에 따라서 변하게 된다.Then, the welding torch is welded while mov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for circumferential welding. That is, the welding is performed while changing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welding torch around the tubular material. At this time, the volume formed by the arc of the welding torch chang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pinch force and gravity by the arc.

일례로, 용접 토치가 관형소재에 대해 상단점인 12시 방향에 위치할 때는 용접 토치의 방향과 중력방향이 일치하는 하방 용접이 실시되기 때문에, 용적이행 경로에 중력에 의한 외란이 없어 문제가 없다.For example, when the welding torch is located at the 12 o'clock position, which is the upper end point of the tubular workpiece, downward welding is perform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welding torch matches the gravity direction, so there is no problem due to gravity disturbance in the volume transfer path .

그러나, 상기 용접 토치가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여, 측부인 3시 또는 9시 방향에 위치하거나 관형소재의 하단점인 6시 방향에 위치하면 용적의 이행방향과 중력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용적의 이행경로가 변화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when the welding torch mov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and is located at the side of 3 o'clock or 9 o'clock, or at the lower end point of the tubular material at 6 o'clock, the direction of gravity does not coincide with the direction of grav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ition route of the "

일례로, 용접 토치가 관형소재에 대해 9시 방향에 위치할 경우에 아크의 핀치력에 의한 힘과 중력에 의한 힘이 동시에 작용하므로 용적이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실제 원주의 용접심을 용접하기 위한 용융풀에는 용융금속이 부족하여 융합불량과 같은 용접결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welding torch is positioned at 9 o'clock with respect to the tubular material, the force due to the pinch force of the arc and the force due to the gravity acts simultaneously, so that the volume moves downward. There is a problem that welding defects such as defective fusion occur due to lack of molten metal in the molten pool.

이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용접과정 중에 작업자가 직접 용접 토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보고 용접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원주방향 전체에 대해 신속하게 균일한 용접비드를 생성시키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며, 용접품질이 보장되지 않는 한계도 있었다.Thus, in the conventional case, there is a limit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quickly generate a uniform welding bea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changing the welding conditions by observing the position where the welding torch is directly installed during the welding process. There was also an unacceptable limit.

즉, 복수 번의 관형소재끼리의 용접시마다 작업자가 직접 원주방향 위치에 따른 용접 변수들을 조정하기에는 많은 노력과 번거로움이 발생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In other words,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is deteriorated due to a lot of effort and inconvenience for the operator to directly adjust the welding parameters according to the circumferential position at each welding of the plurality of tubular materials.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관형소재 용접방법 및 용접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researches on a welding method and a welding apparatus of a tubular material have become necessary.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유닛이 관형소재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관형소재를 용접하는 경우에, 중력 및 상기 용접유닛의 이동을 고려하여, 필요로 하는 용접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관형소재 용접방법 및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ubular material welding method capable of securing the required welding quality in consideration of gravity and movement of the welding unit when the welding unit is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and the tubular material is welded And a weld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 용접방법은 기준설정 관형소재의 상단점에 용접되어 형성된 비드 형상과 같은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조건을, 상기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 각 위치에서 용접하면서 저장하는 기준저장단계 및 저장된 상기 용접조건으로 조건적용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 각 위치에서 용접하는 용접수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welding a tubula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welding a bead-like bead formed by welding at a top point of a reference tubular material, And a welding step of welding at the circumferential angular positions of the conditionally applied tubular material with the storage step and the stored welding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 용접방법의 상기 기준저장단계는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를 안착시키는 설정준비단계,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의 상단점에서 용접부로 수직 하방 용접하고, 상기 상단점에서의 비드 형상을 측정하는 상단점 용접단계,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으로 용접부를 이동시키는 설정이동단계,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의 중심점 기준으로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의 상단점에서 회전된 각도를 측정하는 설정위치 감지단계 및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의 상단점에서의 비드 형상과 같은 형상의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조건을 저장하는 용접조건 저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storage step of the method of welding a tubula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tting preparation step of seating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a vertically down welding of the reference tubular material to a welding portion at an upper end point, A set point moving step of moving the welded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workpiece, a step of moving the welded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ference set tubular workpiece, And a welding condition storing step of storing a welding condition in which a bead having a shape such as a bead shape at an upper end point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workpiece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 용접방법의 상기 상단점 용접단계에서 측정된 비드의 형상은 상기 비드의 폭과 깊이이며, 상기 용접조건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용접조건은 용접속도, 용접전압, 용접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the shape of the bead measured in the upper spot welding step of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idth and depth of the bead, and the welding conditions stored in the welding condition storage step include welding speed, , And a welding curr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 용접방법의 상기 용접수행단계는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를 안착시키는 적용준비단계,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의 기준점에서 회전된 각도를 측정하는 적용위치 감지단계, 상기 기준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용접조건 데이터에 따라, 용접부에 의해서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를 용접하는 용접적용단계 및 상기 적용위치 감지단계가 이후에 실시되도록,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용접부를 이동시키는 적용이동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welding a tubula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erforming welding includes a step of preparing an application for placing the conditionally-applied tubular material, A welding position sensing step of measuring an angle of rotation of the tubular material to be welded, a welding position sensing step of measuring a rotated angle, a welding application step of welding the conditionally-applied tubular material by a welding section according to the welding condition data stored in the reference storage step, And an application moving step of moving the welded portio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ditionally applied tubular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 용접장치는 용접되는 관형소재가 제공되는 지지유닛, 상기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게 상기 지지유닛에 제공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관형소재를 용접하는 용접부와, 상기 용접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제공하는 용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형소재를 기준으로 상기 용접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감지된 상기 용접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용접부의 용접조건을 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unit provided with a tubular material to be welded; a mobile unit provided to the support unit to be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A welding unit for welding a tubular material; and a welding unit connected to the welding unit to provi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eld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osition sensing sensor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welding unit with respect to the tubular material, And a controller for adjusting a welding condition of the welded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welded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 용접장치의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관형소재의 위치에 따른 용접조건이 저장되어 제공되며, 상기 용접조건은, 상기 관형소재의 상단점에 용접되어 형성된 비드의 폭 및 깊이와 같은 비드 형상이 형성되는, 상기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 각 위치에서의 용접속도, 용접전압, 용접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ler of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welding cond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ubular material, A welding voltage, and a welding current at angular positions of the tubular material in which bead shapes such as width and depth ar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 용접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형소재의 상단점에서 하단점으로 갈수록 상기 용접부의 용접전압, 용접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unit of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welding voltage and the welding current of the welding portion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upper end point to the lower end point of the tubular material can d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 용접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용접부를 복수 번 회전되게 이동시키며 용접경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unit of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lding unit is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so as to be rotated a plurality of times, and the welding path is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 용접장치의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용접유닛이 결합되는 이동바디, 상기 이동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관형소재에 밀착되는 휠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일단부는 상기 이동바디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지지유닛의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지게 상기 가이드홈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moving unit of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body to which the welding unit is coupled, a driving unit coupled to the moving body and driving the wheel closely attached to the tubular material, And the other end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ion frame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to be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guide frame of the support unit.

본 발명의 관형소재 용접방법 및 용접장치는 기준설정을 위한 관형소재 상단점에서 하방 용접하여 형성된 비드의 형상과 같은 비드가 형성되는 원주 방향 각각의 위치에서의 용접 조건 데이터를 수집하여, 용접실시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welding method and the wel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 welding condition data at respective posit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 beads are formed such as the shape of the bead formed by down welding at the upper end point of the tubular material for the reference setting, It can be done repeatedly.

이에 의해, 상기 용접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용접되는 조건적용 관형소재의 용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by, the welding quality of the conditionally applied tubular material welded by using the welding condition data can be improved.

즉, 관형소재는 고정되고, 용접을 위한 용접부가 상기 관형소재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며 용접되는 경우에도, 상기 용접부의 이동 및 중력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건전한 용접 비드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at is, even when the tubular material is fixed and the welding portion for welding is moved and wel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a sound welding bead can be form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movement and gravity of the welding portion It is.

더욱이, 상기 데이터를 기초로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용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전체 용접 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welding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repeatedly based on the data, and the entire welding process can be shortened to improve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관형소재 용접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형소재 용접장치에서 연결프레임 부분을 도시한 내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관형소재 용접방법을 제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형소재 용접방법에서 기준저장단계의 상세단계를 제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형소재 용접방법에서 용접수행단계의 상세단계를 제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ner side view showing a connecting frame portion in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welding a tubula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detailed steps of a reference storage step in the method of welding a tubula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detailed steps of a welding step in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본 발명의 관형소재(2) 용접방법 및 용접장치는 관형소재(2) 상단점(2a)에서 하방 용접하여 형성된 비드(3)의 형상과 같은 비드(3)가 형성되는 원주 방향 각각의 위치에서의 용접 조건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관형소재(2)에서 상기 데이터로 용접을 실시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The welding method and the wel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bead 3 formed by weld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point 2a of the tubular material 2 is formed at a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 the bead 3 is formed And the welding is performed with the data from the other tubular material (2) on the basis of the welding conditions of the tubular material (2).

즉, 본 발명의 관형소재(2) 용접방법 및 용접장치는 기준설정을 위한 관형소재(2) 상단점(2a)에서 하방 용접하여 형성된 비드(3)의 형상과 같은 비드(3)가 형성되는 원주 방향 각각의 위치에서의 용접 조건 데이터를 수집하여, 용접실시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welding method and the welding apparatus of the tubular material (2)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ch that the bead (3) such as the shape of the bead (3) formed by weld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point (2a) of the tubular material The welding condition data at each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be collected and the welding can be repeatedly performed.

이에 의해, 상기 용접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용접되는 조건적용 관형소재(2)의 용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welding quality of the tubular material 2 to be welded using the welding condition data.

즉, 관형소재(2)는 고정되고, 용접을 위한 용접부(31)가 상기 관형소재(2)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며 용접되는 경우에도, 상기 용접부(31)의 이동 및 중력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건전한 용접 비드(3)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even when the tubular material 2 is fixed and the welding portion 31 for welding is moved and wel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2, the tubular material 2 is not affected by the movement and gravity of the welding portion 31 It is possible to form a healthy weld bead 3.

더욱이, 상기 데이터를 기초로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용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전체 용접 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Moreover, welding can be rapidly performed repeatedly on the basis of the data, thereby shortening the entire welding process and improving productivity.

구체적으로는, 도 3은 본 발명의 관형소재(2) 용접방법을 제시한 순서도로써, 이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2) 용접방법은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에 용접되어 형성된 비드(3) 형상과 같은 비드(3)가 형성되는 용접조건을, 상기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 각 위치에서 용접하면서 저장하는 기준저장단계(S1) 및 저장된 상기 용접조건으로 조건적용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 각 위치에서 용접하는 용접수행단계(S2)를 포함할 수 있다.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welding a tubular material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method of welding a tubular material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tubular material 2, A reference storage step S1 for storing a welding condition in which a bead 3 such as a shape of a bead 3 formed by welding to an upper end 2a of the tubular material 2 is formed while welding at an angular position of the tubular material 2, And a welding performing step (S2) of welding at the circumferential angular positions of the conditionally applied tubular material (2) with the stored welding conditions.

즉, 건전한 비드(3)를 형성하기 위한 기준을 저장하기 위해서, 시험 용접을 기준설정 관형소재(2)에 실시하고, 그에 따라 저장된 용접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른 관형소재(2)인 조건적용 관형소재(2)에 용접을 실시하여 건전한 용접 비드(3)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in order to store the reference for forming the healthy bead 3, test welding is performed on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The welded bead 3 can be formed by performing welding on the workpiece 2.

상기 기준저장단계(S1)는 관형소재(2)의 원주방향으로 건전한 비드(3)를 형성하기 위한 조건을 도출하는 단계로써, 우선 기준설정을 위한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에서 용접을 실시한다. The reference storage step S1 is a step of deriving a condition for forming a healthy bead 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2. The reference storage step S1 is a step for obtaining the condition for forming the bead 3 sound- Perform welding.

여기서,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에서의 용접은 중력 방향과 같은 하방 용접이기 때문에, 원하는 용접품질의 건전한 비드(3)를 형성하게 되는바, 이와 같은 비드(3)의 형상을 용접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기준으로 설정한다.Since the welding at the upper end point 2a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is a downward weld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 sound bead 3 having a desired welding quality is formed. Is set as a reference for deriving the welding condition.

즉,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에서 형성된 비드(3)의 형상과 같은 비드(3)가 형성되도록,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위치에서의 용접조건을 저장하는 것이다.That is to say that the bead 3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such that the bead 3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bead 3 formed at the upper end point 2a of the reference tubular workpiece 2, And the welding conditions at the time of welding.

이와 같이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원주방향의 각 위치는 상기 상단점(2a)을 0도로 하여 1도 마다 저장할 수도 있고, 0.5도 마다 저장하는 등으로,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중심점(2b)을 기준으로 분할 각도로 설정된 위치에서의 용접조건을 저장하는 것이다.Thu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be stored every 1 degree by storing the upper end point 2a at 0 degree, And the welding conditions at the position set at the division angle with reference to the center point 2b of the welding point.

이러한 기준저장단계(S1)는 다시 세부적인 단계로, 설정준비단계(S11), 상단점 용접단계(S12), 설정이동단계(S13), 설정위치 감지단계(S14), 용접조건 저장단계(S15)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reference storage step S1 is a detailed step which includes a setting preparation step S11, an upper spot welding step S12, a setting shifting step S13, a setting position sensing step S14, a welding condition storage step S15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용접수행단계(S2)는 상기 기준저장단계(S1)에서 저장된 용접조건을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The welding step S2 is a step of performing welding using the welding conditions stored in the reference storage step S1.

여기서,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와 다른 관형소재(2)에 용접조건을 적용하는 것인바,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와 구분하기 위해서, 상기 기준저장단계(S1)에서 저장된 용접 조건이 적용되는 관형소재(2)는 조건적용 관형소재(2)로 정의한다.In order to distinguish the reference tubular material 2 from the reference tubular material 2 and to apply the welding conditions to the tubular material 2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tubular material 2, The tubular material (2)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defined as the condition-applied tubular material (2).

그리고, 상기 용접수행단계(S2)는 상기 기준저장단계(S1)에서 저장된 용접조건을 적용하기 위해서,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 각 위치에 따른 용접조건을 적용하여 용접을 실시하게 된다.The welding step S2 is performed by applying welding conditions according to circumferential angular positions of the tubular material 2 to apply the welding conditions stored in the reference storage step S1 do.

이러한 용접수행단계(S2)는 다시 세부적인 단계로, 적용준비단계(S21), 적용위치 감지단계(S22), 용접적용단계(S23), 적용이동단계(S24)로 구분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welding step S2 is a detailed step and can be divided into an application preparation step S21, an application position sensing step S22, a welding application step S23 and an application moving step S24.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관형소재(2) 용접방법에서 기준저장단계(S1)의 상세단계를 제시한 순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2) 용접방법의 상기 기준저장단계(S1)는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를 안착시키는 설정준비단계(S11),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에서 용접부(31)로 수직 하방 용접하고, 상기 상단점(2a)에서의 비드(3) 형상을 측정하는 상단점 용접단계(S12),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으로 용접부(31)를 이동시키는 설정이동단계(S13),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중심점(2b) 기준으로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에서 회전된 각도를 측정하는 설정위치 감지단계(S14) 및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에서의 비드(3) 형상과 같은 형상의 비드(3)가 형성되는 용접조건을 저장하는 용접조건 저장단계(S15)를 포함할 수 있다.FIG.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tailed steps of the reference storage step S1 in the welding method of the tubular material 2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in the method of welding the tubular material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storage step S1 includes a setting preparation step S11 for placing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and a vertical preparation welding step from the upper point 2a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to the welding part 31, A top point welding step S12 of measuring the shape of the bead 3 at the top point 2a, a setting moving step S13 of moving the welding part 3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A set position sensing step S14 of measuring an angle of rotation of the reference point setting tubular material 2 at an upper end point 2a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with reference to a center point 2b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2, the beads 3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bead 3 at the upper end point 2a of the weld bead And a key storage step (S15).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2) 용접방법의 상기 상단점 용접단계(S12)에서 측정된 비드(3)의 형상은 상기 비드(3)의 폭(3a)과 깊이(3b)이며, 상기 용접조건 저장단계(S15)에서 저장된 용접조건은 용접속도, 용접전압, 용접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bead 3 measured in the upper spot welding step S12 of the welding method of the tubular material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width 3a of the bead 3 and the depth 3b ), And the welding conditions stored in the welding condition storage step (S15) are welding speed, welding voltage, and welding current.

즉, 상기 기준저장단계(S1)의 구체적인 단계로써, 설정준비단계(S11), 상단점 용접단계(S12), 설정이동단계(S13), 설정위치 감지단계(S14), 용접조건 저장단계(S15)가 있을 수 있다.
That is, as a concrete step of the reference storage step S1, a setting preparation step S11, an upper spot welding step S12, a setting moving step S13, a setting position sensing step S14, a welding condition storage step S15 ).

상기 설정준비단계(S11)는 상기 기준저장단계(S1)에서 건전한 비드(3)를 형성하는 용접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기준설정 관형소재(2)를 준비하는 단계이다.The setting preparation step S11 is a step of preparing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to derive the welding conditions for forming the healthy bead 3 in the reference storage step S1.

즉,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는 관형소재 용접장치(1)가 제공하는 지지유닛(10) 등에 안착되어 용접을 위한 준비를 실시하게 된다.
That is,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is seated on the support unit 10 or the like provided by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1 and is ready for welding.

상기 상단점 용접단계(S12)는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에 용접 비드(3)를 형성하게 용접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에서의 용접은 관형소재 용접장치(1)에서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부(31)가 중력 방향과 같은 수직 하방으로 용접을 실시하기 때문에, 용접품질이 보증되는 건전한 용접 비드(3)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upper spot welding step S12 is a step of performing welding so as to form the welding bead 3 at the upper end point 2a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 Here, welding at the upper end point 2a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is performed because the welding portion 31 performing welding in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1 performs welding in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such as gravity direc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sound weld bead 3 whose welding quality is guaranteed.

또한, 상기 상단점(2a)에서 형성된 비드(3)의 형상을 측정하여 이후에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며 용접시의 용접 조건을 도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bead 3 formed at the upper end point 2a is measured and then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ference tubular workpiece 2 to derive welding conditions at the time of welding.

여기서 측정되는 상기 비드(3)의 부분은 폭(3a)과 깊이(3b)이며, 다른 부분의 형상에 대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에 대한 측정도 실시할 수 있다.
The portion of the bead 3 measured here is the width 3a and the depth 3b, and if measurement of the shape of the other portion is necessary, the measurement can also be performed.

상기 설정이동단계(S13)는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에서 용접을 실시한 후에,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용접부(31)를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중심점(2b)에서 이동된 각도에 따른 용접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이동을 실시하는 단계인 것이다.The setting movement step S13 is a step of moving the welding portion 3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after welding at the upper end point 2a of the reference tubular material 2 . That is, the movement is performed to derive the welding condition according to the angle moved at the center point 2b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

여기서, 상기 용접부(31)를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지지유닛(10)에서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며, 이동 구동력을 가지고 있는 이동유닛(20)에 의해서 실시될 수 있다.
Here, the movement of the welded part 31 may be performed by the mobile unit 20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0 and has a movement driving force.

상기 설정위치 감지단계(S14)는 상기 설정이동단계(S13)에 의해서 이동된 상기 용접부(31)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로써,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의 각 위치에서의 용접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인 것이다.The setting position sensing step S14 is a step of sensing the position of the welded part 31 moved by the setting movement step S13, And collecting data on the position for deriving the condition.

여기서, 상기 설정위치 감지단계(S14)에서 감지하는 위치는 상기 관형소재(2)의 중심점(2b)을 기준으로, 상기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을 0도로 할 때, 이격된 각도의 위치가 될 수 있다.
Here, the position sensed in the setting position sensing step S14 is a position where the upper end 2a of the tubular material 2 is set to 0 degre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2b of the tubular material 2, It can be the position of an angle.

상기 용접조건 저장단계(S15)는 이동된 상기 용접부(31)에 의해서,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에 대하여 용접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용접조건을 저장하는 단계이다.The welding condition storage step (S15) is a step of welding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by the moved welding portion (31) and storing the welding condition accordingly.

여기서, 상기 용접부(31)에 의해서 실시되는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비드(3)는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에서 형성된 비드(3)와 같은 비드(3)가 형성되게 용접을 실시하게 된다. The bead 3 formed by the welding performed by the welding portion 31 is formed so that the bead 3 like the bead 3 formed at the upper end point 2a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2 is formed Welding is performed.

그리고, 상기 비드(3)를 형성하는 경우에 도출되는 용접조건으로는 용접속도, 용접전압, 용접전류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비드(3)의 형상에 영향을 미치는 용접조건이 있으면 그와 같은 조건도 저장되는 상기 용접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The welding conditions derived from forming the beads 3 may be a welding speed, a welding voltage, and a welding current. If there is a welding condition affecting the shape of the bead 3, May also correspond to the welding conditions being stored.

도 5는 본 발명의 관형소재(2) 용접방법에서 용접수행단계(S2)의 상세단계를 제시한 순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2) 용접방법의 상기 용접수행단계(S2)는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2)를 안착시키는 적용준비단계(S21),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2)의 중심점(2b)을 기준으로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2)의 기준점에서 회전된 각도를 측정하는 적용위치 감지단계(S22), 상기 기준저장단계(S1)에서 저장된 용접조건 데이터에 따라, 용접부(31)에 의해서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2)를 용접하는 용접적용단계(S23) 및 상기 적용위치 감지단계(S22)가 이후에 실시되도록,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용접부(31)를 이동시키는 적용이동단계(S24)를 포함할 수 있다.FIG.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tailed steps of the welding step S2 in the welding method of the tubular material 2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in the method of welding the tubular material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erforming the welding step S2 includes a preparation step S21 of placing the conditionally-applied tubular material 2, a step of preparing the conditionally applied tubular material 2 with reference to the center point 2b of the conditionally- A welding position sensing step S22 of measuring an angle of rotation at a reference point and a welding operation of welding the conditionally applied tubular material 2 by a welding part 31 according to the welding condition data stored in the reference storage step S1 And an application moving step (S24) of moving the welding part (3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ditionally applied tubular material (2) so that the step (S23) and the applying position sensing step (S22) .

즉, 상기 용접수행단계(S2)는 구체적인 단계로써, 적용준비단계(S21), 적용위치 감지단계(S22), 용접적용단계(S23), 적용이동단계(S24)가 있을 수 있다.
That is, the welding step S2 may be an application preparation step S21, an application position sensing step S22, a welding application step S23, and an application moving step S24.

상기 적용준비단계(S21)는 저장된 용접조건에 따라서 상기 용접수행단계(S2)를 수행하기 위해 조건적용 관형소재(2)를 준비하는 단계이다.The application preparation step S21 is a step of preparing the conditionally applied tubular material 2 to perform the welding step S2 according to the stored welding conditions.

즉,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2)는 관형소재 용접장치(1)가 제공하는 지지유닛(10) 등에 안착되어 용접을 위한 준비를 실시하게 된다.
That is, the conditionally-applied tubular material 2 is seated on the support unit 10 or the like provided by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1 and is ready for welding.

상기 적용위치 감지단계(S22)는 상기 기준저장단계(S1)에서 저장된 용접조건에 따른 용접을 실시하기 위해서, 용접위치로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이다.The application position sensing step S22 is a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welding position has been moved to the welding position in order to perform welding according to the welding condition stored in the reference storage step S1.

즉, 상기 적용위치 감지단계(S22)는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2)의 중심점(2b)을 기준으로 상단점(2a)을 0도로 할 때, 이격된 각도를 감지하는 단계이다.That is, the application position sensing step S22 is a step of sensing a spaced angle when the upper end point 2a is set to 0 degre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2b of the condition-applied tubular material 2. [

이러한,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관형소재 용접장치(1)의 위치감지센서(32a)에 의해서 실시될 수 있으며, 일례로써,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을 수 있다.
Such position sensing may be performed by the position sensor 32a of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1, and may be, for example, a gyroscope or the like.

상기 용접적용단계(S23)는 상기 적용위치 감지단계(S22)에서 감지된 위치에 따른 용접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지된 위치게 맞는 용접조건으로 용접을 실시하는 단계이다.The welding application step (S23) is a step of performing welding according to the sensed position matching welding condition using the welding condition data according to the position sensed at the application position sensing step (S22).

즉, 상기 기준저장단계(S1)에서 실시한 위치에 따른 용접조건을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2)의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용접조건으로 용접을 실시하는 것이다.That is, the weld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s in the reference storage step (S1) are welded under the same welding conditions at the same position of the conditional tubular material (2).

이에 의해, 필요로 하는 용접품질을 제공하는 건전한 용접비드(3)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form a sound weld bead 3 that provides the required weld quality.

상기 적용이동단계(S24)는 상기 용접적용단계(S23)에서 용접이 실시되면, 다음 위치로 상기 용접부(31)를 이동시키는 단계이다.The application moving step S24 is a step of moving the welding part 31 to the next position when the welding is performed in the welding application step S23.

즉,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으로 설정된 각도에 따라 일정 각도씩 상기 용접부(31)를 이동시키는 단계인 것이다. 여기서, 설정된 각도는 1도 설정될 수도 있고, 0.5도가 설정될 수도 있는데, 이는 필요로 하는 용접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welding portion 31 is mov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ccordance with an angle se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dition-applied tubular material 2. Here, the set angle may be set to 1 degree or 0.5 degree, which is preferably set to an angle which can ensure the required welding quality.

그리고, 상기 적용이동단계(S24)는 상기 적용위치 감지단계(S22)가 이후에 실시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용이동단계(S24)에서 이동된 위치가 어느 위치인지 다시 상기 적용위치 감지단계(S22)에서 감지를 실시하고, 용접적용단계(S23)에서 다시 용접을 실시하며, 다시 상기 적용이동단계(S24)로 돌아오게 된다.The application moving step S24 may be provided so that the application position sensing step S22 may be performed later. That is, the application position sensing step S22 senses the position of the moved position in the application movement step S24, the welding is performed again in the welding application step S23, (S24).

이에 의해서, 마지막 용접조건 적용위치에 돌아오게 되면 용접은 마무리되게 된다.
As a result, when the weld is returned to the last welding condition applying position, the welding is finished.

도 1은 본 발명의 관형소재 용접장치(1)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관형소재 용접장치(1)에서 연결프레임(23) 부분을 도시한 내측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inner side view showing a connecting frame 23 portion in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 용접장치(1)는 용접되는 관형소재(2)가 제공되는 지지유닛(10), 상기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게 상기 지지유닛(10)에 제공되는 이동유닛(20) 및 상기 이동유닛(20)에 결합되며 상기 관형소재(2)를 용접하는 용접부(31)와, 상기 용접부(31)와 연결되어 상기 용접부(31)를 제어하는 제어부(32)를 제공하는 용접유닛(3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관형소재(2)를 기준으로 상기 용접부(3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32a) 및 감지된 상기 용접부(3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용접부(31)의 용접조건을 조정하는 컨트롤러(32b)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unit 10 provided with a tubular material 2 to be welded, A welding unit 31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20 and provided to the supporting unit 10 to move the tubular material 2 to be moved to the welding unit 31, And a control unit 32 for controlling the welding unit 31. The control unit 32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welding unit 31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welding unit 31 based on the tubular material 2, And a controller 32b for adjusting the welding conditions of the welding portion 31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nsing portion 32a and the detected welding portion 31.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 용접장치(1)의 상기 컨트롤러(32b)에는 상기 관형소재(2)의 위치에 따른 용접조건이 저장되어 제공되며, 상기 용접조건은, 상기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에 용접되어 형성된 비드(3)의 폭(3a) 및 깊이(3b)와 같은 비드(3) 형상이 형성되는, 상기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 각 위치에서의 용접속도, 용접전압, 용접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2b of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weld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ubular material 2, At the circumferential angular position of the tubular material 2 in which the shape of the bead 3 such as the width 3a and the depth 3b of the bead 3 welded to the upper end 2a of the tubular material 2 is formed The welding speed, the welding voltage, and the welding curr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 용접장치(1)의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에서 하단점(2c)으로 갈수록 상기 용접부(31)의 용접전압, 용접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part 32 of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point 2a to the lower end point 2c of the tubular material 2 The welding voltage, and the welding current are gradual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 용접장치(1)의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용접부(31)를 복수 번 회전되게 이동시키며 용접경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part 32 of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welding part 3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2 so as to be rotated plural tim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형소재 용접장치(1)의 상기 이동유닛(20)은 상기 용접유닛(30)이 결합되는 이동바디(21), 상기 이동바디(21)에 결합되며, 상기 관형소재(2)에 밀착되는 휠을 구동시키는 구동부(22) 및 일단부는 상기 이동바디(21)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지지유닛(10)의 가이드프레임(12)에 형성된 가이드홈(12a)에 끼워지게 상기 가이드홈(12a)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연결프레임(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unit 20 of the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oving body 21 to which the welding unit 30 is coupled, A driving part 22 for driving a wheel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ubular material 2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moving body 2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guide groove 12 formed in the guide frame 12 of the supporting unit 10 And a connection frame 23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12a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a.

즉, 전술한 관형소재(2) 용접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관형소재 용접장치(1)를 제시한 것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ubular material welding apparatus 1 for carrying out the above-mentioned welding method of the tubular material (2).

상기 지지유닛(10)은 상기 관형소재(2)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지지유닛(10)은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3)와 상기 베이스(13)와 결합되며, 상기 관형소재(2)의 곡면인 외면이 접하여 안착되는 안착대(11)를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후술할 이동유닛(20)이 가이드되며 이동되는 가이드프레임(12)을 제공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ubular material 2 is seated and supported. That is, the support unit 10 includes a base 13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and a seat base 11 coupled to the base 13 and having an outer surface, which is a curved surface of the tubular material 2,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guide frame 12 in which the mobile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is guided and moved.

즉, 후술할 이동유닛(20)이 가이드되며, 이동되는 짧은 원통형의 가이드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상기 이동유닛(20)의 연결프레임이 걸려서 가이드되는 가이드홈(12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guide unit 12 can be provided with a short cylindrical guide frame to be guided and guided by a mobile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guide groove 12a is formed in the guide frame to guide the connection frame of the mobile unit 20 It can be.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12a)은 후술할 상기 이동유닛(20)의 연결프레임(23) 타단부에 돌출형성된 탭이 삽입되게 내측에 상기 가이드홈(12a)의 입구면적보다 넓은 중공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Here, the guide groove 12a is formed with a hollow that is wider than an entrance area of the guide groove 12a so as to insert a protruded tab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frame 23 of the mobile unit 20 .

상기 이동유닛(20)은 후술할 용접유닛(30)이 결합되어 제공되며, 상기 용접유닛(30)을 상기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moving unit 20 is provided with a welding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can serve to move the welding unit 3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2. [

이를 위해, 상기 이동유닛(20)은 후술할 용접유닛(30)이 결합되며, 구동부(22), 연결프레임(23)이 제공되는 이동바디(21)를 제공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obile unit 20 may be provided with a moving body 21 to which a welding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and to which a driving unit 22 and a connecting frame 23 are provided.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20)은 구동을 위한 구동부(22)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22)는 모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22)는 상기 고나형소재(2)에 밀착하여 제공되는 휠과 기어 결합하여, 상기 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등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The mobile unit 20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22 for driving, and the driving unit 22 may be provided with a motor or the like. That is, the driving unit 22 can be provided as a motor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wheel by gear-engaging with a wheel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hull-shaped material 2. [

특히, 상기 지지유닛(10)의 가이드프레임(12)에서 슬라이딩 되는 연결프레임(23)이 제공되어, 상기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을 가이드 받을 수도 있다.In particular, a connection frame 23 sliding on the guide frame 12 of the support unit 10 may be provided to guide movement of the tubular material 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23)은 일단부는 상기 이동바디(21)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지지유닛(10)의 가이드프레임(12)에 끼워져 가이드되게 제공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onnection frame 23 is coupled to the moving body 21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frame 23 is inserted into the guide frame 12 of the support unit 10 so as to be guided.

즉, 상기 가이드프레임(12)에 형성된 가이드홈(12a)에 상기 연결프레임(23)의 타단부가 이탈하지 않고 끼워져 가이드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frame 23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a formed in the guide frame 12 without being detached, and guided.

이를 위해, 상기 연결프레임(23)의 타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홈(12a) 내측에 돌출 형성된 탭이 제공될 수 있다. To this end, a tab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12a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frame 23. [

더하여, 상기 돌출된 탭에는 롤러가 결합되어 제공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프레임(12)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제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ed tabs may be provided so as to be combined with the rollers, thereby reducing the friction with the guide frame 12.

또한, 상기 이동유닛(20)은 상기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번 회전되게 이동되어 여러 겹의 비드(3)가 형성되게 용접경로가 형성되게 이동하며 용접시킬 수도 있다. 즉, 멀티패스용접(multi path welding)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Also, the moving unit 20 may be moved and rotated so as to be rotated several tim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2 so as to form a plurality of beads 3. That is, multi-path welding can be performed.

상기 용접유닛(30)은 상기 관형소재(2)에 대하여 용접을 실시하는 부분으로, 이를 위해 상기 용접유닛(30)은 상기 이동유닛(20)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용접부(31), 제어부(32)를 제공할 수 있다.The welding unit 30 is a part for performing welding with respect to the tubular material 2. To this end, the welding unit 30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moving unit 20, The control unit 32 can be provided.

상기 용접부(31)는 상기 관형소재(2)에 대하여 직접 용접을 실시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어부(32)에 의해서 용접조건이 조정되어 용접을 실시하게 된다.The welding portion 31 is a portion for directly welding the tubular material 2, and the welding condition is adjusted by the control portion 32 to perform welding.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용접부(31)에 대한 용접조건을 조정하고, 상기 이동유닛(20)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유닛(20)의 이동 위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32)는 위치감지센서(32a), 컨트롤러(3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2 may adjust welding conditions for the welding unit 3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20 to adjust the moving position of the moving unit 20. For this, the controller 32 may include a position sensor 32a and a controller 32b.

상기 위치감지센서(32a)는 상기 용접부(31)의 위치가 상기 관형소재(2)의 중심점(2b)을 기준으로 상단점(2a)에서 이격된 각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감지센서(32a)로는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을 수 있다.The position sensing sensor 32a may sense the position of the welding portion 31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2b of the tubular material 2 from the upper end 2a. The position sensor 32a may be a gyroscope or the like.

상기 컨트롤러(32b)는 상기 용접부(31) 및 위치감지센서(32a)와 연결되어, 상기 관형소재(2)의 위치에 따른 용접조건을 적용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2b may be connected to the welding portion 31 and the position sensing sensor 32a to control application of welding condition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ubular material 2. [

즉, 상기 컨트롤러(32b)는 상기 이동유닛(20)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유닛(20)이 상기 관형소재(2)의 중심점(2b)을 기준으로 상단점(2a)에서 이격된 각도에 따른 위치를 상기 위치감지센서(32a)에서 데이터를 받고, 그에 따른 용접조건으로 상기 용접부(31)를 조정하여 용접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ntroller 32b is connected to the mobile unit 20 so that the mobile unit 20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that is spaced from the top point 2a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2b of the tubular material 2, Receiving the data from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32a, and adjusting the welding portion 31 according to the welding conditions to perform welding.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32b)가 조정하는 용접조건은 전술한 관형소재(2) 용접방법과 같은 것으로, 상기 관형소재(2)의 상단점(2a) 용접 비드(3)와 같은 형상의 비드(3)가 형성되는 비드(3)의 폭(3a)과 깊이(3b)가 형성되는 용접조건인 용접속도, 용접전압, 용접전류를 상기 관형소재(2)의 원주 방향 각 위치에서 맞게 조정하여 상기 용접부(31)를 조정하는 것이다.
The welding condition to be adjusted by the controller 32b is the same as the welding method of the tubular material 2 described above and the bead 3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welding bead 3 at the upper end point 2a of the tubular material 2 The welding speed, the welding voltage, and the welding current, which are the welding conditions in which the width 3a and the depth 3b of the bead 3 in which the beads 3 are formed are formed at the angular positions of the tubular material 2, (31).

다르게는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이동유닛(20)에 의한 이동속도인 용접속도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관형소재(2)의 상단점(2a)에서 하단점(2c)으로 갈수록, 상기 용접부(31)에 인가되는 용접전압 및 용접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점점 커지도록 제어하며 용접을 실시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2 maintains the welding speed at a moving speed by the moving unit 20 constant, and as it goes from the upper end point 2a to the lower end point 2c of the tubular material 2,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welding so that at least one of the welding voltage and the welding current applied to the welding wire 31 is gradually increased.

이에 의한 경우에도, 건전한 용접 비드(3)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관형소재(2)의 측면에서는 용접방향과 중력방향이 서로 다르게 되며, 용융된 용접소재가 아래로 흐르기 대문에, 더 많은 용접소재를 용융시키면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상기 용접 전압 또는 용접전류를 점점 크게 형성하면 용접 비드(3)를 어느 정도 건전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Ev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orm a sound weld bead 3. That is, since the welding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gravit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e side of the tubular material 2 and the molten welding material flows downward, more welding material must be melted while moving, The weld bead 3 can be formed to some extent soundly.

1 : 관형소재 용접장치 2 : 관형소재
3 : 비드 10: 지지유닛
11: 안착대 12: 가이드프레임
13: 베이스 20: 이동유닛
21: 이동바디 22: 구동부
23: 연결프레임 30: 용접유닛
31: 용접부 32: 제어부
1: Tubular material welding device 2: Tubular material
3: bead 10: support unit
11: seat base 12: guide frame
13: Base 20: Mobile unit
21: moving body 22: driving part
23: connection frame 30: welding unit
31: welding section 32:

Claims (9)

기준설정 관형소재의 상단점에 용접되어 형성된 비드 형상과 같은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조건을, 상기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으로 용접하면서 저장하는 기준저장단계; 및
저장된 상기 용접조건으로 조건적용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며 용접하는 용접수행단계;
를 포함하는 관형소재 용접방법.
A reference storage step of storing a welding condition in which a bead such as a bead shape formed by welding at a top point of a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is formed while wel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And
A welding performing step of mov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to be welded under the stored welding condition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저장단계는,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를 안착시키는 설정준비단계;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의 상단점에서 용접부로 수직 하방 용접하고, 상기 상단점에서의 비드 형상을 측정하는 상단점 용접단계;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으로 용접부를 이동시키는 설정이동단계;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의 중심점 기준으로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의 상단점에서 회전된 각도를 측정하는 설정위치 감지단계; 및
상기 기준설정 관형소재의 상단점에서의 비드 형상과 같은 형상의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조건을 저장하는 용접조건 저장단계;
를 포함하는 관형소재 용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erence storage step may include:
A setting preparation step of seating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Welding an upper end point of the reference tubular workpiece to a welded portion vertically downward and measuring a bead shape at the upper end point;
A setting moving step of moving the welding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A set position sensing step of measuring an angle rotated at an upper end point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on the basis of a center point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And
A welding condition storing step of storing a welding condition in which a bead having the same shape as a bead shape at the upper end point of the reference setting tubular material is form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점 용접단계에서 측정된 비드의 형상은 상기 비드의 폭과 깊이이며,
상기 용접조건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용접조건은 용접속도, 용접전압, 용접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소재 용접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hape of the bead measured in the upper spot welding step is the width and depth of the bead,
Wherein the welding conditions stored in the welding condition storage step are welding speed, welding voltage, and welding curr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수행단계는,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를 안착시키는 적용준비단계;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의 기준점에서 회전된 각도를 측정하는 적용위치 감지단계;
상기 기준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용접조건 데이터에 따라, 용접부에 의해서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를 용접하는 용접적용단계; 및
상기 적용위치 감지단계가 이후에 실시되도록, 상기 조건적용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용접부를 이동시키는 적용이동단계;
를 포함하는 관형소재 용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forming of the welding comprises:
An application preparation step for seating the conditionally applied tubular material;
An application position sensing step of measuring an angle of rotation at a reference point of the conditionally-applied tubular material based on a center point of the conditionally-applied tubular material;
A welding application step of welding the conditionally-applied tubular material by a welding section according to the welding condition data stored in the reference storage step; And
An application moving step of moving the welding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ditionally applied tubular material so that the application position sensing step is performed lat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용접되는 관형소재가 제공되는 지지유닛;
상기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게 상기 지지유닛에 제공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관형소재를 용접하는 용접부와, 상기 용접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제공하는 용접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형소재를 기준으로 상기 용접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감지된 상기 용접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용접부의 용접조건을 조정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관형소재 용접장치.
A support unit provided with a tubular material to be welded;
A moving unit provided on the support unit so as to be mov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And
A welding unit coupled to the moving unit and adapted to weld the tubular material; and a control unit coupled to the welding unit to provi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elding unit;
/ RTI >
Wherein,
A position sensing sensor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welded portion based on the tubular material; And
A controller for adjusting a welding condition of the welded portion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welded portion;
A tubular material weld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관형소재의 위치에 따른 용접조건이 저장되어 제공되며,
상기 용접조건은, 상기 관형소재의 상단점에 용접되어 형성된 비드의 폭 및 깊이와 같은 비드 형상이 형성되는, 상기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 각 위치에서의 용접속도, 용접전압, 용접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소재 용접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ler is provided with stored weld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ubular material,
Wherein the welding condition is a welding speed, a welding voltage, and a welding current at an angular position of the tubular material, wherein a bead shape such as a width and a depth of a bead welded to the upper end point of the tubular material is formed, A tubular material weld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형소재의 상단점에서 하단점으로 갈수록 상기 용접부의 용접전압, 용접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소재 용접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rein at least one of a welding voltage and a welding current of the welding por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an upper end point to a lower end point of the tubular workpie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형소재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용접부를 복수 번 회전되게 이동시키며 용접경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소재 용접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elding path while rotating the welding 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material so as to be rotated plural tim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용접유닛이 결합되는 이동바디;
상기 이동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관형소재에 밀착되는 휠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일단부는 상기 이동바디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지지유닛의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지게 상기 가이드홈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연결프레임;
을 포함하는 관형소재 용접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bile unit includes:
A moving body to which said welding unit is coupled;
A driving unit coupled to the moving body and driving a wheel closely attached to the tubular material; And
A connecting fram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oving body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to be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guide frame of the supporting unit;
Wherein the tubular material is welded.
KR1020140112398A 2014-08-27 2014-08-27 Pipe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600256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398A KR20160025680A (en) 2014-08-27 2014-08-27 Pipe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398A KR20160025680A (en) 2014-08-27 2014-08-27 Pipe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560A Division KR20160085736A (en) 2016-06-30 2016-06-30 Pipe weld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680A true KR20160025680A (en) 2016-03-09

Family

ID=5553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398A KR20160025680A (en) 2014-08-27 2014-08-27 Pipe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568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9042A (en) * 2019-06-24 2019-12-10 泉州市燃气有限公司 Welding equipment with shading structure for natural gas pipeline maintenance
CN113146116A (en) * 2021-01-22 2021-07-23 张小燕 Portable welding platform of natural gas l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9042A (en) * 2019-06-24 2019-12-10 泉州市燃气有限公司 Welding equipment with shading structure for natural gas pipeline maintenance
CN110549042B (en) * 2019-06-24 2021-05-07 泉州市燃气有限公司 Welding equipment with shading structure for natural gas pipeline maintenance
CN113146116A (en) * 2021-01-22 2021-07-23 张小燕 Portable welding platform of natural gas l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55828B2 (en) Measurement system, pipe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joining pipe sections
RU2692540C2 (en) Internal welding machine with laser measuring system for pipelines
US7815093B2 (en) Guiding device
KR100909596B1 (en) Automatic overlay welding apparatus of long pipe
US200100172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pipes together
US10369668B2 (en) Welding system
CN103990932A (en)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flange with pipe
CN104364047A (en) Device for connecting the ends of pipes made of steel by means of an orbital welding process
KR101725626B1 (en) Coordinates Marking Machine On A Pipe Surface
KR102120414B1 (en) Wdelding automation system using welding part geometry measurement and 3D coordinate and wdelding method using the same
JP5997100B2 (en) Steel pipe pile manufacturing method
KR20160025680A (en) Pipe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6494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elding tower support cap
CN102226694A (en) Steel pipe circular cross section contour detection apparatus of electric power steel pipe tower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KR20160085736A (en) Pipe welding apparatus
JP2005219125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attaching welding material on annular finished surface machined on spherical wall
JP201004401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al steel pipe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hape
KR101469422B1 (en) Welding System for Pipes and Method Therewith
CN104251885A (en) Adjustment method of position deviation of welded pipe welding line and ultrasonic flaw detection dolly
KR101573476B1 (en) Automatic overlay welding apparatus for diameter changable pipe
KR101224878B1 (en) Orbital welding device with a inclinometer and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method thereof
CN202083375U (en) Contour detecting device for circular section of steel tube of steel tube tower of power tower
JP3943380B2 (en) Arc welding control method and arc welding apparatus
JP5901285B2 (en) Welding torch position calibration method and copy welding apparatus
JPH0663750A (en) Groove shape detector in submerged arc welding for thick steel pl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