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174A -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 Google Patents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174A
KR20160025174A KR1020140112030A KR20140112030A KR20160025174A KR 20160025174 A KR20160025174 A KR 20160025174A KR 1020140112030 A KR1020140112030 A KR 1020140112030A KR 20140112030 A KR20140112030 A KR 20140112030A KR 20160025174 A KR20160025174 A KR 20160025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iddle pipe
opening
valv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7538B1 (ko
Inventor
티엔쳉 첸
선펭 성
Original Assignee
샤먼 밍히 인더스트리 시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먼 밍히 인더스트리 시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샤먼 밍히 인더스트리 시오., 엘티디.
Priority to KR102014011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5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5/143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 A45B25/165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with fluid or electric actuator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를 제공한다.
우산개폐제어변환기구는 나선봉이나 나선봉 위에 있는 너트와 푸시로드가 있고, 푸시로드에 의해 너트와 중관 상단이 연결되어 나선봉 하단이 손잡이 안의 동력원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구동되고, 너트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동력원이 손잡이 위의 버튼에 의해 제어된다. 3단이나 2단의 끈으로 구성된 우산개폐변환기구는 중봉세트의 각 관 부재와 상개폐장치 및 하개폐장치에 의해 우산의 개폐기능이 실현된다.

Description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control mechanism for an automatic collapsible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으로 완전히 펼치고 완전히 접을 수 있는 다단접이식 우산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 변화가 심해서 사람들도 우산을 곁에 두는 습관을 들여서 갑자기 내리는 비로 젖는 일을 방지한다. 그러나 기존의 우산은 손으로 굵은 살 프레임을 특정 위치까지 밀어올려 우산을 펼쳐야해서 갑자기 내리는 폭우에 우산을 펼치는 타이밍을 놓쳐 몸이 젖는 일이 다반사다. 따라서 손잡이에 버튼을 설치하여 버튼만 누르면 자동으로 펼쳐지는 우산이 등장했지만 자동으로 접을 수 없기 때문에 승차시 양손으로 우산을 접고나서야 승차할 수 있어 이 잠깐 사이에도 몸이 쉽게 비에 젖어 버려서 우산 사용이 충분히 편리하지 않다.
또한 기존의 자동 개폐 우산은 사실상 자동으로 우산을 펼치고 반자동으로 접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산을 펼치지 않은 완전한 초기 상태로 접을 수 없고 2차로 힘을 들이고 나서야 우산이 완전히 접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어떻게 손잡이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우산을 전자동으로 완전히 펼치고 접을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과제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신중하게 연구하고 또한 학리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상기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설계가 합리적인 본 발명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 우산을 완전히 펼치고 완전히 접을 수 있는 전자동 우산 제어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은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이며, 손잡이와 중봉세트에 설치되고, 상기 중봉세트는 위에서 아래 순으로 적어도 외관과 중관 및 내관의 세개의 원통이 있고 우산을 개폐제어하는 변환기구는 상기 제어기구가 나선봉과 나선봉에 설치된 너트와 푸시로드를 가지고 푸시로드에서 너트와 중봉세트의 중관 상단을 연결하고, 나선봉은 하단이 손잡이 안의 동력원에 연결되어 동력원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어, 너트가 나선봉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고 동력원이 손잡이에 있는 버튼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우산은 또한 굵은 살 프레임과 상개폐장치, 하개폐장치 및 우산개폐변환기구가 있고, 상기 굵은 살 프레임의 각 작은 살이 각각 대응한 상개폐장치나 하개폐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중봉세트는 외관의 상단 내부에 외관밸브가 고정되고, 하단에 외관고정링이 감설되며, 상기 외관밸브에 중심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외관고정링의 상부가 외관 안에 감설되고, 중관의 상단에 중관밸브가 고정되고, 하단에 중관 고정링이 감설되며, 상기 중관밸브의 하부가 중관 안에 감설되고, 상기 중관 고정링의 상부가 중관 안에 감설되며 내관의 상부에 내관밸브가 고정되어 내관의 하단이 손잡이 위에 고정되고, 상기 상개폐장치는 외관 상단에 고정되어 외관 위에 감설된 하단에서 우산개폐변환기구가 움직이고 상기 하개폐장치가 가동적으로 외관 위에 감설되고, 상기 푸시로드는 하단에 너트가 설치되고 상단이 내관밸브를 걸쳐 중관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푸시로드는 두 개의 대칭하여 설치된 경질봉으로 너트가 그 푸시로드를 통과하여 중관밸브가 연동되어 상하로 움직이고 상기 나선봉의 상단이 내관밸브에 결합된다.
상기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어기구는 우산의 개폐변환기구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우산을 개폐기능을 실현하고,
우산을 펼 때 손잡이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동력원이 구동되어 동력을 출력하고 나선봉에 의해 너트가 위로 이동하면서 푸시로드를 밀어 중관이 내관에 대해 위로 전개하도록 연동되어 중관밸브와 내관 상단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고, 또 내관 끈(drawstring)에 의해 상기 거리변화에 따라 외관고정링이 중관에 대해 위로 이동하도록 연동되고 또 동시에 외관이 중관에 대해 전개되도록 밀려 이때 외관밸브와 중관밸브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 상기의 거리변화에 따라 하개폐장치 끈에 의해 하개폐장치가 외관에 대해 위로 이동되고 하개폐장치가 위로 움직임으로써 굵은 살 프레임이 펼쳐지고 상기 일련의 동기작동에 의해 완전히 우산을 펼치는 기능이 실현된다. 접을 때 다시 손잡이의 버튼을 눌러 동력원을 구동하면 나선봉에 의해 너트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푸시로드를 구동하고 중관이 내관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동시에 중관밸브에 연결된 하개폐장치 끈에 의해 하개폐장치가 외관에 대해 위로 이동하도록 연동되어 굵은 살 프레임이 스프링과 우산천에 의해 접힌다.
혹은 우산을 펼칠 때 손잡이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동력원이 구동되어 동력을 출력하고 동력원에 의해 나선봉이 회전되어 너트가 나선봉을 따라 위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나선봉에 의해 푸시로드에서 중관과 함께 중관밸브가 위로 이동하도록 밀어 중관이 내관에 대해 위로 전개하도록 밀리고 중관 끈의 타단에 의해 상기의 거리변화에 따라 외관이 중관에 대해 위로 이동하도록 당겨지고 즉, 동시에 외관이 중관에 대해 전개되도록 밀리고, 이때 외관밸브와 중관밸브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고 하개폐장치 끈에 의해 하개폐장치가 상기 거리변화에 따라 외관에 대해 위로 이동하도록 당겨지고 하개폐장치가 위로 이동함으로써 굵은 살 프레임이 전개되어 우산이 완전히 펼쳐지는 기능이 실현된다. 접을 때 다시 손잡이의 버튼을 눌러 동력원을 구동하면 역 회전력이 출력되고, 동력원에 의해 나선봉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동되어 너트가 나선봉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나선봉이 푸시로드에서 중관과 함께 중관밸브를 아래로 이동시켜 중관이 내관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여 결합하도록 밀리고, 중관 끈에 의해 외관이 중관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여 결합하며, 굵은 살 프레임이 스프링과 우산천에 의해 접혀서 우산이 완전히 접힌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산 중봉세트에 3단이나 2단의 끈으로 구성된 우산개폐변환기구를 설치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3단이나 2단 끈이 각각 중봉세트에 있는 각 단의 관 부재나 상개폐장치 및 하개폐장치의 연결관계, 또 손잡이의 동력원에 의해 우산개폐 작업 시스템의 나선봉이 회전하도록 구동되고 나선봉 위의 너트가 상하로 이동할 때, 푸시로드를 밀어 중관이 내관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미는 것과 동시에 중봉세트의 각 관 부재와 우산면의 개폐기능이 실현된다. 다단접이식 우산은 완전한 전자동 개폐 기능이 실현되고, 사용상 빠르고 또 더 나은 편리성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특징 및 기술 내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그러한 도면은 참고나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것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도
도 1a는 본 발명의 중관밸브의 분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중관밸브와 푸시로드의 조립도
도 1c는 본 발명의 내관밸브의 분해도
도 1d는 본 발명의 내관밸브의 조립도
도 1e는 본 발명의 나선봉 손잡이의 조립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국부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펼친 상태도
도 3a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3b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접은 상태도
도 4a는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4b는 도 4의 d-d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접은 상태의 국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펼친 상태의 국부 구성도 1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펼친 상태의 국부 구성도 2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펼친 상태의 국부 구성도 3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펼친 상태의 국부 구성도 4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접은 상태의 국부 구성도 1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접은 상태의 국부 구성도 2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접은 상태의 국부 구성도 3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접은 상태의 국부 구성도 4
(도 1 ~ 도 13 참조) 본 발명은 손잡이(G)와 중봉세트(B)에 설치된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를 제공하고 상기 중봉세트(B)는 위에서 아래 순으로 적어도 외관(B1)과 중관(B2) 및 내관(B3)의 3단 원통이 있고,
우산을 개폐 제어하는 변환기구는 상기 제어기구(F)가 나선봉(6)과 나선봉(6)에 설치된 너트(7)와 푸시로드(8)를 가지고, 푸시로드(8)에서 연결 너트(7)와 중봉세트(B)의 중관(B2) 상단을 연결하고 나선봉(6)은 하단이 손잡이(G) 안의 동력원(9)에 연결되어 동력원(9)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고 너트(7)가 나선봉(6)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동력원(9)이 손잡이(G)에 있는 버튼(G1)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에 의하면, 상기 우산은 또 굵은 살 프레임(A0)과 굵은 살 프레임에 고정된 우산천(도시하지 않음), 상개폐장치(C), 하개폐장치(D) 및 우산개폐변환기구(E)가 있다.
상기 굵은 살 프레임(A0)의 각 작은 살(A1)은 각각 대응한 상개폐장치(C)나 하개폐장치(D)에 결합되고 동시에 각 작은 살(A1)에 각각 스프링(A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중봉세트(B)는 외관(B1)의 상단 내부에 외관밸브(1)가 고정되고, 하단에 외관고정링(2)이 감설되고, 상기 외관밸브(1)에 중심관통구멍(11)이 형성되고, 동시에 외관밸브(1)의 상부에 외관 도르래(pulley)(12)가 설치되고, 상기 외관 도르래(12)에 대응한 외관(B1)에 하기의 하개폐장치 끈(E1)을 통과시키기 위한 홈(B11)이 형성된다. 상기 외관고정링(2)은 링형태이며, 그 상부가 외관(B1) 안에 감설되고 하단에 외관(B1)에서 돌출된 돌기(凸緣)(21)가 형성된다.
중관(B2)은 상단에 중관밸브(3)가 고정되고, 하단에 중관 고정링(4)이 감설되며, 상기 중관밸브(3)는 하부가 중관(B2) 안에 감설되고 중간에 중관 도르래(31)가 설치되며, 상기 중관 도르래(31)는 하나 또는 다수로 설치해도 되는데, 여기에서는 하나만 설치한다. 상기 중관 고정링(4)도 링 형태로 상부가 중관(B2) 내에 감설되고 하단에 중관에서 돌출하는 돌기(41)가 형성된다. 또 상기 돌기(41)는 한쪽에 중관 고정링 도르래(42)가 설치되고 중관(B2)에는 중관 고정링 도르래(42)에 대응한 위치에 하기 변환 끈(E2)을 통과시키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내관(B3)은 꼭대기에 내관밸브(5)가 고정되고, 하단이 손잡이(G)에 고정된다.
상기 상개폐장치(C)는 외관(B1)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개폐장치 하부가 외관(B1) 위에 감설되며, 또 외관(B1)의 홈(B11)에 대응한 하기의 하개폐장치 끈(E1)을 통과하기 위한 덮개(C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개폐장치(C)의 하단에 또 스프링(I)이 연결되는데 상기 스프링(I)은 우산이 펼쳐진 상태에서 하개폐장치(D)에 의해 눌리고 압축되어 에너지를 저장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하개폐장치(D)는 가동적으로 외관(B1) 위에 감설된다.
상기 손잡이(G)는 동력원(9)을 수납하는 케이싱이며, 손잡이(G) 케이싱에 동력원(9)을 정회전력이나 역회전력을 출력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버튼(G1)이 설치된다.
도 2 ~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에 따르면, 우산개폐변환기구(E)는 하개폐장치 끈(E1)과 변환 끈(E2) 및 내관 끈(E3)이 포함된다.
또 하개폐장치 끈(E1)은 일단이 중관밸브(3) 꼭대기에 고정되고 타단은 외관(B1)을 통해 외관밸브(1)의 외관 도르래(12)를 돌아 하개폐장치(D)에 고정된다.
변환 끈(E2)은 일단이 내관(B1) 상단에 고정되고, 여기에서는 내관밸브(5) 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중관(B2) 저부의 홈(B21)을 통해 중관 고정링(4)의 중관 고정링 도르래(42)를 돌아, 중관(B2)을 통과하고 중관(B2)의 상단에서 나와 외관(B1)을 통과하고 또 외관(B1) 상단에서 나와 외관밸브(1) 위에 고정된다.
내관 끈(E3)은 일단이 내관(B3) 상단에 고정되고, 여기에서는 마찬가지로 내관밸브(5) 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중관(B2)을 통과하여 중관밸브(3)의 중관 도르래(31)를 돈 후, 중관(B2)을 통과하고 또 중관(B2)과 외관(B1) 사이를 통과하여 외관(B1) 하단에 고정되는데 여기에서는 외관고정링(2)의 돌기(21) 위에 고정된다.
변환 끈(E2)의 일단과 내관 끈(E3)의 일단 모두 내관(B3) 상단에 고정되기 때문에 변환 끈(E2)과 내관 끈(E3)은 동일한 연결 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푸시로드(8)의 하단에 너트(7)가 설치되고 상단이 내관밸브(5)를 걸쳐 중관밸브(3) 위에 연결되는데, 푸시로드(8)는 두 개의 대칭한 경질봉, 예컨대 강선(鋼線)으로 너트(7)는 해당 푸시로드(8)를 통해 중관밸브(3)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나선봉(6)은 상단이 내관밸브(5)에 설치되고 내관밸브(5) 위에는 푸시로드(8)를 걸치기 위한 안내조(51)가 형성되고, 이 실시예에 따르면 내관밸브(5)는 양쪽에 푸시로드(8)를 수납하는 안내조(51)가 형성된다.
도 3, 도 3a, 도 3b와 같이, 우산을 펼칠 때 손잡이(G)의 버튼(G1)을 눌러 동력원(9)을 구동하면 정회전력이 출력되고 나선봉(6)이 회전하도록 연동되어 너트(7)가 나선봉(6)을 따라 위로 이동하고 그와 동시에 나선봉(6)이 푸시로드(8)에서 중관(B2)과 함께 중관밸브(3)가 밀려 위로 이동하고 중관(B2)이 내관(B3)에 대해 위로 전개하도록 눌려 중관(B2)이 위로 이동하는 동시에 중관밸브(3)와 내관(B3) 상단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 내관 끈(E3)이 상기의 거리변화에 따라 외관고정링(2)이 중관(B2)에 대해 위로 이동하도록 당겨지고 즉, 동시에 외관(B1)이 중관(B2)에 대해 전개하도록 밀리고, 이때 외관밸브(1)와 중관밸브(3)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 하개폐장치 끈(E1)이 상기의 거리변화에 따라 하개폐장치(D)를 외관(B1)에 대해 위로 이동하도록 당기고 하개폐장치(D)가 위로 이동하여 굵은 살 프레임(A0)을 펼치고 이 일련의 동기 작동으로 완전한 전개기능이 실현된다. 내관밸브(5)에 있는 정위장치의 작용으로 전개한 중관이 내관에 대해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설명해야 할 것은 우산을 펼치는 작동에서 내관 끈(E3)과 하개폐장치 끈(E1)은 주로 우산을 펼치는 작동을 동기시키는 것이고, 변환 끈(E2)은 중관 고정링(4)과 내관(B3) 상단의 거리 단축에 그리고 외관밸브(1)와 내관(B3) 상단의 거리가 길어질 때의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4, 도 4a, 도 4b와 같이 우산을 접을 때 다시 손잡이(G)의 버튼(G1)을 눌러 동력원(9)을 구동하여 역회전력을 출력하고 동력원(9)에 의해 동(動)나선봉(6)이 역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너트(7)가 나선봉(6)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고 아래로 이동하는 동시에 나선봉(6)이 푸시로드(8)에서 중관밸브(3)가 연동되어 너트(7)에 의해 나선봉(8)이 내관(B3)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도록 연동되고 중관(B2)이 내관(B3)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여 결합되고 동시에 하개폐장치(D)가 스프링(I)에 의해 외관(B1)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운동 경향이 나타나고, 중관(B2)이 아래로 이동하는 동시에 중관 고정링(4)과 내관(B3) 상단의 거리가 길어지면 변환 끈(E2)이 외관(1)을 당기고 외관(B1)이 중관(B2)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여 결합하고 중관밸브(3) 위에 연결된 하개폐장치 끈(E1)이 하개폐장치(D)에 대한 당김이 해소되어 하개폐장치(D)가 외관(B1)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고 굵은 살 프레임(A0)이 스프링(A1)과 우산면에 의해 접힘과 동시에 일련의 동기 작동으로 우산이 완전히 접힌다. 또한 이 접히는 작동에서 변환 끈(E2)과 하개폐장치 끈(E1)은 주로 접는 작동을 기동시키며, 내관 끈(E3)은 외관고정링(2)과 중관밸브(3)의 거리가 길어지는 것과 중관밸브(3)와 내관(B3) 상단 사이의 거리 단축에 대응한다.
도 6 ~ 도 1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 의하면, 우산개폐변환기구(H)는 하개폐장치 끈(H1)과 중관 끈(H2)을 포함하고, 상기 하개폐장치 끈(H1)은 일단이 중관밸브(3) 위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관밸브(1)를 통하여 외관 도르래(12)를 걸친 후 외관(B1)에서 나와 하개폐장치(D)에 고정되고, 상기 중관 끈(H2)은 일단이 내관밸브(5) 위에 연결되고 타단은 중관밸브(3)의 중관 도르래(31)를 걸친 후 외관(B1)의 하단에 고정된다.
도 3과 도 6 ~ 도 9와 같이 우산을 펼칠 때 손잡이(G)의 버튼(G1)을 눌러 동력원(9)을 구동하고 정회전력이 출력되어 동력원(9)에 의해 나선봉(6)이 회전하도록 연동되고 너트(7)가 나선봉(6)을 따라 위로 이동하고 그와 동시에 나선봉(6)이 푸시로드(8)에서 중관(B2)과 함께 중관밸브(3)를 위로 이동되게 밀어 중관(B2)이 내관(B3)에 대해 위로 전개하고 중관(B2)이 위로 이동하는 동시에 중관밸브(3)와 내관밸브(5)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 중관 끈(H2)의 타단에 의해 상기 거리변화에 따라 외관(B1)이 중관(B2)에 대해 위로 이동하도록 당겨지고 즉, 동시에 외관(B1)이 중관(B2)에 대해 밀려 전개하고 이때의 외관밸브(1)와 중관밸브(3)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 하개폐장치 끈(H1)에 의해 상기 거리변화에 따라 하개폐장치(D)가 외관(B1)에 대해 위로 이동하도록 당겨지고, 하개폐장치(D)가 위로 이동하여 굵은 살 프레임(A0)이 펼쳐지도록 밀어 이 일련의 동기 작동에 따르면 완전히 펼치는 기능이 실현된다.
도 4와 도 10 ~ 도 13과 같이 접는 작동을 할 때 다시 손잡이(G)의 버튼(G1)을 누르면 동력원(9)이 구동되어 역회전력을 출력하고 동력원(9)에 의해 나선봉(6)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너트(7)가 나선봉(6)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고 그와 동시에 나선봉(6)은 푸시로드(8)에서 중관(B2)과 함께 중관밸브(3)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밀려 중관(B2)이 내관(B3)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여 결합하도록 연동되고, 중관(B2)이 아래로 이동하는 동시에 중관밸브(3)와 내관밸브(5)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고, 상기 거리변화에 따라 중관 끈(H2)의 타단에 의해 외관(B1)이 중관(B2)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도록 당겨지고 외관(B1)이 중관(B2)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여 결합하고 동시에 하개폐장치(D)가 스프링(I)의 회복력에 의해 외관(B1)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운동 경향이 나타나고 굵은 살 프레임(A0)이 스프링(A1)과 우산천에 의해 접히고 외관밸브(1)와 중관밸브(3)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고, 상기 거리변화에 따라 하개폐장치 끈(H1)이 하개폐장치(D)에 의해 당겨지고 이 일련의 동기 작동에 의하면 우산이 완전히 접힌다.
도 1a, 도 1b 같이, 상기 두 실시예에 따르면, 중관밸브(3)가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게다가 푸시로드(8)에 맞는 구멍(32)이 형성되는데 플라스틱 재질이면 푸시로드(8)와 구멍(32)의 내용수명을 향상시키기위해 구멍(32)에 금속링(33)을 설치하여, 푸시로드(8)의 곡선 부분과 금속링(33)이 접촉하여 푸시로드(8)와 구멍(32)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마모로 틈이 커지고 또 틈이 커짐으로써 푸시로드(8)의 토크(torque)가 커져 쉽게 파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중관밸브(3)에 끈이 고정되는 고정구멍(34)에 일단면에 안내원호변(351)이 있는 금속원통(35)을 설치하는데, 이는 끈이 고정구멍(34)의 가장자리로 인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끈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도 1c, 도 1d와 같이, 상기 내관밸브(5)도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위에 끈이 관설되기 위한 고정구멍(52)이 형성되는데, 플라스틱 재질이면 고정구멍(52)에도 일단면에 안내원호면(531)이 있는 금속관(53)을 설치하여 마찬가지로 끈이 고정구멍(52)의 가장자리에 의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끈의 내용수명을 향상시킨다. 또한 내관밸브(5)의 측벽에 내관(B3)의 상단에 맞게 직접 홈(54)이 형성되는 경우, 내관(B3)에 구멍(B31)을 뚫어 퇴피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도 1e와 같이 나선봉(6)의 하단에서 동력원(9)의 위쪽에 고무 패킹이나 고무 패드와 같은 연질 패드(61)가 설치되어 너트(7)가 나선봉(6)의 하단으로 이동할 때, 동력원(9)의 출력축에 대한 충격을 흡수해도 좋고, 이렇게 하면 동력원이 보호되어 완충제동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우산의 중봉세트(B)에 3단이나 2단의 끈으로 구성된 우산개폐변환기구(E, F)를 설치하여 3단이나 2단의 끈이 각각 중봉세트(B)의 각 관 부재와 상개폐장치(C) 및 하개폐장치(D)의 연결관계를 이용하여 손잡이(G)의 동력원(9)을 구동하는 우산개폐 작업 시스템(F)의 나선봉(6) 회전으로 나선봉(6) 위의 너트(7)가 상하로 이동할 때, 푸시로드(8)를 밀어 중관(B2)이 내관(B3)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밈과 동시에, 중봉세트(B)의 각 관 부재와 우산면에 의해 펼치거나 접는 기능이 실현된다. 다단접이식 우산은 완전히 전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빠르게 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 진보적이고 더 실용적으로 법에 따라 특허 청구를 출원한다.
이상은 단지 본 발명의 더 나은 실시예이며, 본 발명은 그것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관한 특허 청구 범위 및 명세서의 내용에 기초한 등가의 변경 또는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 내에 포함된다.
A0 굵은 살 프레임
A1 작은 살 프레임
A2 스프링
B 중봉세트
B1 외관
B11 홈
B2 중관
B21 홈
B3 내관
C 상개폐장치
D 하개폐장치
E 우산개폐변환기구
E1 하개폐장치 끈
E2 변환 끈
E3 내관 끈
F 제어기구
G 손잡이
G1 버튼
H 우산개폐변환기구
H1 하개폐장치 끈
H2 중관 끈
I 스프링
1 외관밸브
11 중심관통구멍
12 외관 도르래
2 외관고정링
21 돌기
3 중관밸브
31 중관 도르래
32 구멍
33 금속링
34 고정구멍
35 금속원통
351 안내원호변
4 중관 고정링
41 돌기
42 중관 고정링 도르래
5 내관밸브
51 안내조
52 고정구멍
53 금속관
531 안내원호변
54 홈
6 나선봉
61 연질 패드
7 너트
8 푸시로드
9 동력원

Claims (10)

  1. 손잡이와 중봉세트에 설치되고,
    상기 중봉세트는 위에서 아래 순으로 적어도 외관과 중관 및 내관의 세 개의 원통이 있고,
    우산을 개폐제어하는 변환기구는 상기 제어기구가 나선봉과 나선봉에 설치된 너트와 푸시로드를 가지고, 푸시로드에서 너트와 중봉세트의 중관 상단을 연결하고, 나선봉은 하단이 손잡이 안의 동력원에 연결되어 동력원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어, 너트가 나선봉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고,
    동력원이 손잡이에 있는 버튼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우산은 또한 굵은 살 프레임과 상개폐장치, 하개폐장치 및 우산개폐변환기구가 있고,
    상기 굵은 살 프레임의 각 작은 살이 각각 대응한 상개폐장치나 하개폐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중봉세트는 외관의 상단 내부에 외관밸브가 고정되고, 하단에 외관고정링이 감설되며, 상기 외관밸브에 중심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외관고정링의 상부가 외관 안에 감설되고,
    중관의 상단에 중관밸브가 고정되고, 하단에 중관 고정링이 감설되며, 상기 중관밸브의 하부가 중관 안에 감설되고, 상기 중관 고정링의 상부가 중관 안에 감설되며,
    내관 상부에 내관밸브가 고정되어 내관의 하단이 손잡이 위에 고정되고,
    상기 상개폐장치는 외관 상단에 고정되어 외관 위에 감설된 하단에서 우산개폐변환기구가 움직이고,
    상기 하개폐장치가 가동적으로 외관 위에 감설되고,
    상기 푸시로드는 하단에 너트가 설치되고 상단이 내관밸브를 걸쳐 중관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푸시로드는 두 개의 대칭하여 설치된 경질봉으로 너트가 그 푸시로드를 통과하여 중관밸브가 연동되어 상하로 움직이고,
    상기 나선봉의 상단이 내관밸브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개폐변환기구는 하개폐장치 끈과 변환 끈 및 내관 끈이 있고, 하개폐장치 끈은 일단이 중관밸브 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외관을 통해 외관 도르래를 돌아 하개폐장치에 고정되고, 변환 끈은 일단이 내관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중관 저부를 통해 중관 고정링의 중관 고정링 도르래를 돌아 중관을 관통하고, 또 중관의 상단에서 나와 외관을 통과하고 또 외관 상단에서 나와 외관 상부에 고정되고, 내관 끈은 일단이 내관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중관을 통과하여 중관밸브의 도르래를 돌아 중관과 외관 사이를 통과하여 외관 하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다단 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개폐변환기구는 하개폐장치 끈과 중관 끈이 있고, 상기 하개폐장치 끈은 일단이 중관밸브 위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관 도르래를 걸쳐 외관에서 나와 하개폐장치에 고정되고, 상기 중관 끈은 일단이 내관밸브 위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관밸브의 가동 도르래를 돌아 외관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밸브는 상단에 외관 도르래가 설치되고, 상기 외관 도르래에 대응한 외관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개폐장치 끈이 관설되고, 상기 중관밸브의 중부에 중관 도르래가 설치되고, 상기 중관 고정링의 하단에 돌기가 형성되어 중관 밖으로 돌출되고, 또 상기 돌기의 한쪽에 중관 고정링 도르래가 설치되고 또 중관에서 중관 고정링 도르래에 대응한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변환 끈이 통과되고, 상기 상개폐장치는 외관의 홈에 대응하여 덮개가 형성되고, 내관 끈은 일단이 내관 상단에 고정되어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내관밸브 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중관을 통해 중관밸브의 중관 도르래를 돌아 중관에서 나와, 또 중관과 외관 사이를 통과하여 외관 하단에 고정되고, 여기에서는 외관고정링의 돌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밸브는 상부에 외관 도르래가 설치되고, 상기 외관 도르래에 대응한 외관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개폐장치 끈이 나오고, 상기 중관밸브는 중부에 중관 도르래가 설치되고, 상기 중관 고정링은 하단에 중관 밖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며, 또 상기 돌기는 한쪽에 중관 고정링 도르래가 설치되고 중관에서 중관 고정링 도르래에 대응한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변환 끈이 나오고 상기 상개폐장치에서 외관의 홈에 대응한 덮개가 형성되고, 상기 중관 끈은 일단이 내관밸브 위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관밸브의 중관 도르래를 걸쳐 외관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개폐장치는 하단에 또한 스프링이 연결되는데, 상기 스프링은 우산이 펼쳐진 상태에서 스프링이 하개폐장치에 의해 눌려 압축 에너지를 저장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밸브 위에 푸시로드를 걸치기위한 안내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봉는 하단에서 동력원의 위쪽에 경질 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관밸브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게다가 푸시로드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에 금속링이 설치되며 또 중관밸브 고정 끈의 고정구멍에서 그 일단면에 안내원호변을 갖는 금속원통이 있고, 상기 내관밸브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위에 끈이 관설되기 위한 고정구멍이 있어 그 일단면에 안내원호변을 갖는 금속관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밸브의 측벽에 직접 내관의 상단에 맞게 홈이 형성되어 내관에 대해 구멍을 뚫어 퇴피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 및 하는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KR1020140112030A 2014-08-27 2014-08-27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KR101617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030A KR101617538B1 (ko) 2014-08-27 2014-08-27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030A KR101617538B1 (ko) 2014-08-27 2014-08-27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174A true KR20160025174A (ko) 2016-03-08
KR101617538B1 KR101617538B1 (ko) 2016-05-02

Family

ID=5553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030A KR101617538B1 (ko) 2014-08-27 2014-08-27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5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5900A (zh) * 2016-03-14 2016-08-03 太阳城(厦门)户外用品科技股份有限公司 全自动开收伞
CN109247676A (zh) * 2018-09-03 2019-01-22 深圳市宝电工业技术有限公司 机械伞
CN110074528A (zh) * 2018-12-30 2019-08-02 福建舒雨伞业有限公司 一种两折中棒的三折电动伞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607B1 (ja) 1999-05-20 2000-07-24 福太洋傘工廠股ふん有限公司 多段折畳み式自動開閉傘
TWM385259U (en) 2010-03-08 2010-08-01 xian-rong Chen Safe and effective bounce-prevention device for auto open/close umbrella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5900A (zh) * 2016-03-14 2016-08-03 太阳城(厦门)户外用品科技股份有限公司 全自动开收伞
CN109247676A (zh) * 2018-09-03 2019-01-22 深圳市宝电工业技术有限公司 机械伞
CN109247676B (zh) * 2018-09-03 2024-02-02 深圳市宝电工业技术有限公司 机械伞
CN110074528A (zh) * 2018-12-30 2019-08-02 福建舒雨伞业有限公司 一种两折中棒的三折电动伞
CN110074528B (zh) * 2018-12-30 2024-04-12 福建舒雨伞业有限公司 一种两折中棒的三折电动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538B1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7788C (en) Multi-folded full-automatic opening-closing umbrella
KR101617538B1 (ko) 전자동 다단접이식 우산의 제어기구
JP3165214U (ja) 自動車に使用する雨よけデバイス
US10028557B1 (en) Automatic reverse multi-folding umbrella
KR20070116782A (ko)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개폐기구를 가진 접는 우산
KR20140051097A (ko) 우산
US8505564B2 (en) Automatic folding/unfolding umbrella
US20080190469A1 (en) Electrical Umbrella and Canopy Mechanism
US9282793B2 (en) Control mechanism of full-automatic multi-folded umbrella
KR101053923B1 (ko) 핸즈프리 우산
US8726920B2 (en) Telescopic tube structure for automatic umbrellas
CN106037191A (zh) 一种带收纳筒的折叠伞
CN203182188U (zh) 多折全自动伞
CN205082824U (zh) 一种反向闭合伞
KR200462709Y1 (ko) 자동 개폐 우산 중봉의 안전한 신축 제어구조
CN202959126U (zh) 自动伞的撑张省力结构
CN209883254U (zh) 机械伞
JP6109120B2 (ja) 全自動多段折り畳み傘の制御機構
JP2004121328A (ja) ワンタッチ式折畳傘
KR102502772B1 (ko) 자동우산
TWM503792U (zh) 全自動多摺傘的控制機構
CN209573543U (zh) 伞杆及电动伞
TWI703266B (zh) 具有打氣功能的傘具
TWI381960B (zh) 轎車式車架
KR101771668B1 (ko) 접철식 커버가 구비되는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