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301A -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 Google Patents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301A
KR20160024301A KR1020140110948A KR20140110948A KR20160024301A KR 20160024301 A KR20160024301 A KR 20160024301A KR 1020140110948 A KR1020140110948 A KR 1020140110948A KR 20140110948 A KR20140110948 A KR 20140110948A KR 20160024301 A KR20160024301 A KR 20160024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finishing material
vertical
roof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우
Original Assignee
주신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기업(주) filed Critical 주신기업(주)
Priority to KR102014011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4301A/ko
Publication of KR2016002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2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by locking the edge of one slab or sheet within the profiled marginal portion of the adjacent slab or sheet, e.g. using separate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단의 끝단을 수직 절곡하여 수직절곡단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절곡단의 끌단을 고정단의 반대방향으로 만곡하게 절곡하여 내부에 삽입공간을 가지는 탄성절곡단으로 이루어진 고정구를 구성하고, 넓은 판 형상의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 끝단에 암수형태로 끼움결합되는 수연결단과 암연결단이 각각 형성된 마감재를 구성하되, 상기 수연결단은 수평판의 일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1수직절곡단과, 상기 제1수직절곡단의 끝단을 수평판을 향해 수평 절곡한 수평단과, 상기 수평단의 끝단을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한 경사단과, 상기 경사단의 끝단을 수직 절곡하여 상기 고정구의 삽입공간으로 삽입 끼움결합되는 끼움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연결단은 수평판의 타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2수직절곡단과, 상기 제2수직절곡단의 끝단을 수평판의 반대 방향으로 '∩'형태로 절곡하여 내부에 상기 고정구와 결합된 수연결단이 삽입 끼움결합되는 삽입공간을 가진 삽입단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설치 고정되는 고정구의 삽입공간으로 마감재의 끼움단을 삽입 끼움결합 한 다음, 또 다른 마감재의 삽입공간으로 상기 고정구와 결합된 마감재의 수연결단을 삽입 끼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를 제공함으로써, 종래보다 증대된 고정 결합력을 가지면서 조립 및 교체를 위한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Building finish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보다 증대된 고정 결합력과 함께 조립 및 교체를 위한 해체가 용이한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감재는 전원주택이나 기타의 건축물의 외장패널로서,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어왔다
그리고, 종래의 마감재는 평이음, 돌출이음, 기와가락이음, 계단식이음 및 돔 이음 등의 공법에 의해 조립되어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을 마감하여 왔었다.
하지만, 종래의 마감재 이음 공법들은 이웃하는 마감재가 서로 절첩되어 결합되는 이음구조이기 때문에 시공 후 유지보수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특허문헌1은 길이가 긴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감판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 끝단을 상부로 수직 절곡한 끝단을 클립형태가 되도록 재 절곡하여 삽입단을 형성하고, 상기 마감판넬의 타 끝단은 상부로 수직 절곡하여 연속으로 배치되는 타 마감판넬의 삽입단에 끼움되는 돌기단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단을 형성한 끝단은 수평으로 절곡한 체결단을 구성하여, 상기 마감판넬의 체결단을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과 체결하고, 이웃하는 타 마감판넬의 돌기단의 상부로 삽입단을 올려 넣고 눌러서 가압하면 돌기단이 삽입단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보다 고정 결합력이 증대되고, 동시에 조립 및 교체를 위한 해체가 용이한 마감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1 :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62419호(2012. 06. 14.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종래보다 증대된 고정 결합력을 가지면서 조립 및 교체를 위한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단의 끝단을 수직 절곡하여 수직절곡단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절곡단의 끌단을 고정단의 반대방향으로 만곡하게 절곡하여 내부에 삽입공간을 가지는 탄성절곡단으로 이루어진 고정구를 구성하고, 넓은 판 형상의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 끝단에 암수형태로 끼움결합되는 수연결단과 암연결단이 각각 형성된 마감재를 구성하되, 상기 수연결단은 수평판의 일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1수직절곡단과, 상기 제1수직절곡단의 끝단을 수평판을 향해 수평 절곡한 수평단과, 상기 수평단의 끝단을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한 경사단과, 상기 경사단의 끝단을 수직 절곡하여 상기 고정구의 삽입공간으로 삽입 끼움결합되는 끼움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연결단은 수평판의 타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2수직절곡단과, 상기 제2수직절곡단의 끝단을 수평판의 반대 방향으로 '∩'형태로 절곡하여 내부에 상기 고정구와 결합된 수연결단이 삽입 끼움결합되는 삽입공간을 가진 삽입단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설치 고정되는 고정구의 삽입공간으로 마감재의 끼움단을 삽입 끼움결합 한 다음, 또 다른 마감재의 삽입공간으로 상기 고정구와 결합된 마감재의 수연결단을 삽입 끼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고정구의 가압단에 의해 마감재의 끼움단이 지지 고정되며, 또 다른 마감재의 지지단이 고정구에 결합된 마감재의 수평단을 지지하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증대된 고정 결합력으로 마감재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또 다른 마감재의 지지단이 고정구에 결합된 마감재의 걸림단에 걸림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지지하고 있던 마감재의 수평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또 다른 마감재의 지지단에 고정구에 결합된 마감재의 걸림단의 걸림을 풀 수 있을 정도로 외력을 주어 용이하게 마감재의 조립을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또 다른 마감재의 지지단이 마감재의 수평단을 지지하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증대된 고정 결합력으로 마감재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또 다른 마감재의 지지단이 마감재의 걸림단에 걸림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지지하고 있던 마감재의 수평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또 다른 마감재의 지지단에 마감재의 걸림단의 걸림을 풀 수 있을 정도로 외력을 주어 용이하게 마감재의 조립을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고정구의 탄성절곡단에 의해 마감재의 끼움단이 지지 고정되며, 또 다른 마감재의 제3경사단이 고정구에 결합된 마감재의 제1경사단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증대된 고정 결합력으로 마감재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또 다른 마감재의 제3경사단이 고정구에 결합된 마감재의 제1경사단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면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지지하고 있던 마감재의 제1경사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또 다른 마감재의 제3경사단에 고정구에 결합된 마감재의 제1경사단에서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 외력을 주어 용이하게 마감재의 조립을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또 다른 마감재의 제3경사단이 고정구에 결합된 마감재의 제1경사단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증대된 고정 결합력으로 마감재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또 다른 마감재의 제3경사단이 마감재의 제1경사단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면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지지하고 있던 마감재의 제1경사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또 다른 마감재의 제3경사단에 마감재의 제1경사단에서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 외력을 주어 용이하게 마감재의 조립을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제2,4실시예는 건축물 지붕이나 외벽에 별도의 고정구 없이 마감재의 고정단으로 체결부재로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마감재의 조립 및 교체를 위한 해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결합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2,3,4실시예에 스노우 가드 수단, 스노우 가드 브라켓을 설치한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2,3,4실시예에 안전고리 장착수단을 설치한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2,3,4실시예에 집광패널을 설치한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A)는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연속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10)와 상기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을 마감해주는 마감재(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10)는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단(11)과, 상기 고정단(11)의 끝단을 수직 절곡한 수직절곡단(12)과, 상기 수직절곡단(12)의 끌단을 고정단(11)의 반대 방향으로 만곡하게 절곡하여 내부에 삽입공간(13a)을 가지는 탄성절곡단(13)과, 상기 탄성절곡단(13)의 끝단을 외측방향으로 만곡하게 절곡한 가압단(1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단(11)은 나사못,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도록 체결구멍(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20)는 넓은 판 형상의 수평판(21)과, 상기 수평판(21)의 양 끝단에 암수형태로 끼움결합되는 수연결단(22)과 암연결단(23)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판(21)은 시공될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강도 보강을 위하여 돌기(21a)와 홈(21b)이 반복적으로 연속 형성되고, 이때 상기 수평판(21)의 양측 끝단에는 공간(21c)이 형성되며, 상기 암연결단(23)이 형성된 공간(21c)으로 고정구(10)의 고정단(11)이 수용된다.
한편, 상기 수연결단(22)은 수평판(21)의 일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1수직절곡단(22a)과, 상기 제1수직절곡단(22a)의 끝단을 수평판(21)을 향해 수평 절곡한 수평단(22b)과, 상기 수평단(22b)의 끝단을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한 경사단(22c)과, 상기 경사단(22c)의 끝단을 수직 절곡하여 상기 고정구(10)의 삽입공간(13a)으로 삽입 끼움결합되는 끼움단(22d)과, 상기 경사단(22c)과 접하는 수평단(22b)의 끝단을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한 걸림단(22e)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암연결단(23)은 수평판(21)의 타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2수직절곡단(23a)과, 상기 제2수직절곡단(23a)의 끝단을 수평판(21)의 반대 방향으로 '∩'형태로 절곡하여 내부에 상기 고정구(10)와 결합된 수연결단(22)이 삽입 끼움결합되는 삽입공간(23b')을 가진 삽입단(23b)과, 상기 삽입단(23b)의 끝단을 삽입공간(23b')을 향해 '∪'형태로 절곡한 지지단(23c)으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상기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된 고정구(10)의 삽입공간(13a)으로 마감재(20)의 끼움단(22d)을 삽입 끼움결합하면, 고정구(10)의 가압단(14)이 수연결단(22)의 끼움단(22d)을 가압하여 고정구(10)의 수직절곡단(12)에 밀착시켜주면서, 동시에 상기 수직절곡단(12)과 제1수직절곡단(22a)도 밀착시켜주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고정구(10)와 결합된 수연결단(22)이 또 다른 마감재(20)의 삽입공간(23b')으로 삽입 끼움결합하게 되면, 암연결단(23)의 지지단(23c)이 수연결단(22)의 수평단(22b)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또 다른 상기 마감재(20)의 지지단(23c)은 고정구(10)와 결합된 수연결단(22)의 걸림단(22e)에 의해 걸림 고정되기 때문에 수연결단(22)의 수평단(22b)에서 이탈되지 않게 해준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B)는 넓은 판 형상의 수평판(31)과, 상기 수평판(31)의 양 끝단에 암수형태로 끼움결합되는 수연결단(32)과 암연결단(33)이 각각 형성된 마감재(3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연결단(32)은 수평판(31)의 일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1수직절곡단(32a)과, 상기 제1수직절곡단(32a)의 끝단을 수평판(31)을 향해 수평 절곡한 수평단(32b)과, 상기 수평단(32b)의 끝단을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한 경사단(32c)과, 상기 경사단(32c)의 끝단을 하부방향으로 수직 절곡한 제2수직절곡단(32d)과, 상기 수직절곡단(32d)의 끝단을 수평 절곡하여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단(32e)과, 상기 경사단(32c)과 접하는 수평단(32b)의 끝단을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한 걸림단(32f)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단(32e)은 나사못,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도록 체결구멍(32e')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연결단(33)은 수평판(31)의 타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3수직절곡단(33a)과, 상기 제3수직절곡단(33a)의 끝단을 수평판(31)의 반대 방향으로 '∩'형태로 절곡하여 내부에 상기 수연결단(32)이 삽입 끼움결합되는 삽입공간(33b')을 가진 삽입단(33b)과, 상기 삽입단(33b)의 끝단을 삽입공간(33b')을 향해 '∪'형태로 절곡한 지지단(33c)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수평판(31)은 시공될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강도 보강을 위하여 돌기(31a)와 홈(31b)이 반복적으로 연속 형성되고, 이때 상기 수평판(31)의 양측 끝단에는 공간(31c)이 형성되며, 상기 암연결단(33)이 형성된 공간(31c)으로 수연결단(32)의 고정단(32e)이 수용된다.
그리하여, 상기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마감재(30)의 고정단(32e)을 설치 고정하고, 또 다른 마감재(30)의 삽입공간(33b')으로 상기 마감재(30)의 수연결단(32)을 삽입 끼움결합하는 것이다.
그러면, 또 다른 상기 마감재(30)의 지지단(33c)이 상기 마감재(30)의 수평단(32b)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며, 동시에 상기 마감재(30)의 제2수직절곡단(32d)과 또 다른 상기 마감재(30)의 제3수직절곡단(33a)이 밀착된다.
또한, 또 다른 상기 마감재(30)의 암연결단(33)의 지지단(33c)은 상기 마감재(30)의 수연결단(32)의 걸림단(32f)에 의해 걸림 고정되기 때문에 수연결단(32)의 수평단(32b)에서 이탈되지 않게 해준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C)는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연속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70)와 상기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을 마감해주는 마감재(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70)는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단(71)과, 상기 고정단(71)의 끝단을 수직 절곡한 수직절곡단(72)과, 상기 수직절곡단(72)의 끝단을 고정단(71)의 반대 방향으로 만곡하게 절곡하여 내부에 삽입공간(73a)을 가지는 탄성절곡단(7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단(71)은 나사못,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도록 체결구멍(7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80)는 넓은 판 형상의 수평판(81)과, 상기 수평판(81)의 양 끝단에 암수형태로 끼움결합되는 수연결단(82)과 암연결단(83)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판(81)은 시공될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강도 보강을 위하여 돌기(81a)와 홈(81b)이 반복적으로 연속 형성되고, 이때 상기 수평판(81)의 양측 끝단에는 공간(81c)이 형성되며, 상기 암연결단(83)이 형성된 공간(81c)으로 고정구(70)의 고정단(71)이 수용된다.
한편, 상기 수연결단(82)은 수평판(81)의 일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1수직절곡단(82a)과, 상기 제1수직절곡단(82a)의 끝단을 수평판(81)을 향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한 제1경사단(82b)과, 상기 제1경사단(82b)의 끝단을 상부 방향으로'
Figure pat00001
'형태로 절곡하여 상기 고정구(70)의 삽입공간(73a)으로 삽입 끼움결합되는 끼움단(82c)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암연결단(83)은 수평판(81)의 타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2수직절곡단(83a)과, 상기 제2수직절곡단(83a)의 끝단을 수평판(81)의 반대 방향으로 '∩'형태로 절곡하여 내부에 상기 고정구(70)와 결합된 수연결단(82)이 삽입 끼움결합되는 삽입공간(83b')을 가진 삽입단(83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수직절곡단(83a)은 '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삽입단(83b)의 끝단을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한 제2경사단(83c)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단(83c)의 끝단을 제1경사단(82b)에 걸림 고정되도록 경사지게 절곡한 제3경사단(83d)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설치 고정된 고정구(70)의 삽입공간(73a)으로 마감재(80)의 끼움단(82c)을 삽입 끼움결합하면, 고정구(70)의 탄성절곡단(73)이 벌어지면서 끼움단(82c)을 가압하여 고정구(70)의 수직절곡단(72)에 밀착시켜준다.
더불어, 상기 고정구(70)와 결합된 수연결단(82)이 또 다른 마감재(80)의 삽입공간(83b')으로 삽입 끼움결합하게 되면, 암연결단(83)의 제3경사단(83d)이 수연결단(82)의 제1경사단(82b)을 밀착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암연결단(83)의 제3경사단(83d)은 수연결단(82)의 제1경사단(82b)에 경사지게 걸림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D)는 넓은 판 형상의 수평판(91)과, 상기 수평판(91)의 양 끝단에 암수형태로 끼움결합되는 수연결단(92)과 암연결단(93)이 각각 형성된 마감재(9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연결단(92)은 수평판(91)의 일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1수직절곡단(92a)과, 상기 제1수직절곡단(92a)의 끝단을 수평판(91)을 향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한 제1경사단(92b)과, 상기 제1경사단(92b)의 끝단을 상부 방향으로 '
Figure pat00002
'형태로 절곡한 끼움단(92c)과, 상기 끼움단(92c)의 끝단을 수평 절곡하여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단(92d)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단(92d)은 나사못,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되도록 체결구멍(92d')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연결단(93)은 수평판(91)의 타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2수직절곡단(93a)과, 상기 제2수직절곡단(93a)의 끝단을 수평판(91)의 반대 방향으로 '∩'형태로 절곡하여 내부에 상기 수연결단(92)이 삽입 끼움결합되는 삽입공간(93b')을 가진 삽입단(93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수직절곡단(93a)은 '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삽입단(93b)의 끝단을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한 제2경사단(93c)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단(93c)의 끝단을 제1경사단(92b)에 걸림 고정되도록 경사지게 절곡한 제3경사단(93d)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평판(91)은 시공될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강도 보강을 위하여 돌기(91a)와 홈(91b)이 반복적으로 연속 형성되고, 이때 상기 수평판(91)의 양측 끝단에는 공간(91c)이 형성되며, 상기 암연결단(93)이 형성된 공간(91c)으로 수연결단(92)의 고정단(92d)이 수용된다.
그리하여, 상기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마감재(90)의 고정단(92d)을 설치 고정하고, 또 다른 마감재(90)의 삽입공간(93b')으로 상기 마감재(90)의 수연결단(92)을 삽입 끼움결합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암연결단(93)의 제3경사단(93d)이 수연결단(92)의 제1경사단(92b)을 밀착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암연결단(93)의 제3경사단(93d)은 수연결단(92)의 제1경사단(92b)에 경사지게 걸림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A)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10)의 고정단(11)은 나사못,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구멍(11a)에 삽입하여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밀착시켜 설치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10)는 지붕이나 외벽에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간격으로 시공하며 시공 간격은 마감재(20)의 폭에 맞도록 시공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0)의 삽입공간(13a)으로 마감재(20)의 끼움단(22d)을 삽입 끼움 결합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구(10)의 가압단(14)이 끼움단(22d)을 가압하여 고정구(10)의 수직절곡단(12)에 밀착시켜 고정시켜준다. 물론, 상기 제1수직절곡단(22a)도 수직절곡단(12)에 밀착된다.
여기서, 또 다른 상기 마감재(20)의 삽입단(23b)을 상기 고정구(10)와 결합된 마감재(20)의 수연결단(22)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또 다른 상기 마감재(20)의 삽입공간(23b')으로 고정구(10)와 결합된 마감재(20)의 수연결단(22)을 삽입 끼움 결합시킨다.
이때, 또 다른 상기 마감재(20)의 삽입단(23b)은 마감재(20)의 수연결단(22)의 경사단(22c)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다가, 또 다른 상기 마감재(20)의 지지단(23c)이 상기 마감재(20)의 수연결단(22)의 걸림단(22e)을 지났을 때, 원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귀되어 마감재(20)의 수연결단(22)의 수평단(22b)을 또 다른 상기 마감재(20)의 지지단(23c)이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수직절곡단(23a)은 변형되지 않으면서 경사단(22c)에 의해 삽입단(23b)만 변형되기 때문에, 마감재(20)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해준다.
또한, 상기 마감재(20)의 끼움단(22d)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된 고정구(10)의 가압단(14)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며, 또 다른 상기 마감재(20)의 지지단(23c)은 마감재(20)의 수평단(22b)을 수직 형태의 가압력으로 지지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A)는 종래보다 증대된 고정 결합력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A)는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종래보다 증대된 고정 결합력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상기 마감재(20)의 지지단(23c)은 고정구(10)와 결합된 마감재(20)의 걸림단(22e)에 의해 걸림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지지하고 있던 마감재(20)의 수평단(22b)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지지단(23c)과 가압단(14)에 의해 마감재(20)들의 틈새를 밀착시켜 막아주기 때문에, 이물질이나 수분이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또 다른 상기 마감재(20)의 지지단(23c)에 고정구(10)에 결합된 마감재(20)의 걸림단(22e)의 걸림을 풀 수 있을 정도로 외력을 주게 되면, 고정구(10)에 결합된 마감재(20)의 경사단(22c)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용이하게 마감재(20)들의 조립을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마감재(20)들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B)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마감재(30)의 고정단(32e)은 나사못,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구멍(32e')에 삽입하여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밀착시켜 설치 고정한다.
그리고, 또 다른 상기 마감재(30)의 삽입공간(33b')으로 마감재(30)의 수연결단(32)을 삽입 끼움 결합한다.
이때, 또 다른 상기 마감재(30)의 삽입단(33b)이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 설치된 마감재(30)의 수연결단(32)의 경사단(32c)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다가, 또 다른 상기 마감재(30)의 지지단(33c)이 상기 마감재(30)의 수연결단(32)의 걸림단(32f)을 지났을 때, 원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귀되어 마감재(30)의 수연결단(32)의 수평단(32b)을 또 다른 상기 마감재(30)의 지지단(33c)이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수직절곡단(33a)은 변형되지 않으면서 경사단(32c)에 의해 삽입단(33b)만 변형되기 때문에, 마감재(30)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해준다.
또한, 또 다른 상기 마감재(30)의 지지단(33c)은 마감재(30)의 수평단(32b)을 수직 형태의 가압력으로 지지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B)는 종래보다 증대된 고정 결합력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수직절곡단(32d)과 제3수직절곡단(33a)은 서로 밀착 되어진다.
즉, 상기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B)는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증대된 고정 결합력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상기 마감재(30)의 지지단(33c)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된 마감재(30)의 걸림단(32f)에 의해 걸림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지지하고 있던 마감재(30)의 수평단(32b)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더불어, 상기 지지단(33c)에 의해 마감재(30)들의 틈새를 밀착시켜 막아주기 때문에, 이물질이나 수분이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상기 마감재(30)의 지지단(33c)에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결합된 마감재(30)의 걸림단(32f)의 걸림을 풀 수 있을 정도로 외력을 주게 되면, 상기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 결합된 마감재(30)의 경사단(32c)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용이하게 마감재(30)들의 조립을 해체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건축물 지붕이나 외벽에 별도의 고정구 없이 마감재(30)의 고정단(32e)으로 체결부재로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마감재(30)의 조립 및 교체를 위한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C)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구(70)의 고정단(71)은 나사못,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구멍(71a)에 삽입하여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70)는 지붕이나 외벽에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간격으로 시공하며, 시공 간격은 마감재(80)의 폭에 맞도록 시공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70)의 삽입공간(73a)으로 마감재(80)의 끼움단(82c)을 삽입 끼움 결합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구(70)의 탄성절곡단(73)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마감재(80)의 끼움단(82c)을 가압하며, 동시에 상기 끼움단(82c)은 고정구(70)의 수직절곡단(72)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또 다른 상기 마감재(80)의 삽입단(83b)을 상기 고정구(70)와 결합된 마감재(80)의 수연결단(82)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또 다른 상기 마감재(80)의 삽입공간(83b')으로 고정구(70)와 결합된 마감재(80)의 수연결단(82)을 삽입 끼움 결합시킨다.
그리고, 또 다른 상기 마감재(80)의 삽입단(83b)은 마감재(80)의 끼움단(82c) 경사면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다가, 또 다른 상기 마감재(80)의 제3경사단(83d)이 마감재(80)의 제1경사단(82b) 위치에 도달했을 때 원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제2수직절곡단(83a)은 '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마감재(80)의 수연결단(82)과 결합되는 또 다른 상기 마감재(80)의 암연결단(83)의 탄성을 배가시켜준다.
즉, 상기 수연결단(82)과 암연결단(83)의 고정 결합력을 배가시켜주는 것이다.
그러면, 또 다른 상기 마감재(80)의 제3경사단(83d)은 마감재(80)의 제1경사단(82b)을 밀착 지지하면서 동시에 제1경사단(82b)에 경사진 상태로 걸림 고정되어,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때, 상기 제2수직절곡단(83a)과 제2경사단(83c)은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삽입공간(83b')이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또 다른 상기 마감재(80)의 암연결단(83)과 마감재(80)의 수연결단(82)의 고정 결합을 용이하게 해준다.
여기서, 상기 제2수직절곡단(83a)은 변형되지 않으면서 끼움단(82c)의 경사면에 의해 삽입단(83b)만 변형되기 때문에, 마감재(80)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해준다.
더불어, 상기 탄성절곡단(73)과 제3경사단(83d)에 의해 마감재(80)들의 틈새를 밀착시켜 막아주기 때문에, 이물질이나 수분이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마감재(80)의 끼움단(82c)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된 고정구(70)의 탄성절곡단(73)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되면서 고정되며, 또 다른 상기 마감재(80)의 제3경사단(83d)은 마감재(80)의 제1경사단(82b)을 경사진 형태의 가압력으로 지지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C)는 종래보다 증대된 고정 결합력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C)는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증대된 고정 결합력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상기 마감재(80)의 제3경사단(83d)에 마감재(80)의 제1경사단(82b)에서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 외력을 주게 되면, 고정구(70)에 결합된 마감재(80)의 끼움단(82c)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용이하게 마감재(80)들의 조립을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마감재(80)들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D)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마감재(90)의 고정단(92d)은 나사못,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구멍(92d')에 삽입하여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설치 고정한다.
그리고, 또 다른 상기 마감재(90)의 삽입공간(93b')으로 마감재(90)의 수연결단(92)을 삽입 끼움 결합한다.
이때, 또 다른 상기 마감재(90)의 삽입단(93b)이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 설치된 마감재(90)의 끼움단(92c)의 경사면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다가, 또 다른 상기 마감재(90)의 제3경사단(93d)이 마감재(90)의 제1경사단(92b) 위치에 도달했을 때 원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제2수직절곡단(93a)은 '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마감재(90)의 수연결단(92)과 결합되는 또 다른 상기 마감재(90)의 암연결단(93)의 탄성을 배가시켜준다.
즉, 상기 수연결단(92)과 암연결단(93)의 고정 결합력을 배가시켜주는 것이다.
그러면, 또 다른 상기 마감재(90)의 제3경사단(93d)은 마감재(90)의 제1경사단(92b)을 밀착 지지하면서 동시에 제1경사단(92b)에 경사진 상태로 걸림 고정되어,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때, 상기 제2수직절곡단(93a)과 제2경사단(93c)은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삽입공간(93b')이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또 다른 상기 마감재(90)의 암연결단(93)과 마감재(90)의 수연결단(92)의 고정 결합을 용이하게 해준다.
여기서, 상기 제2수직절곡단(93a)은 변형되지 않으면서 끼움단(92c)의 경사면에 의해 삽입단(93b)만 변형되기 때문에, 마감재(90)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해준다.
더불어, 상기 제3경사단(93d)에 의해 마감재(90)들의 틈새를 밀착시켜 막아주기 때문에, 이물질이나 수분이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또 다른 상기 마감재(90)의 제3경사단(93d)은 마감재(90)의 제1경사단(92b)을 경사진 형태의 가압력으로 지지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D)는 종래보다 증대된 고정 결합력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D)는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증대된 고정 결합력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상기 마감재(90)의 제3경사단(93d)에 마감재(90)의 제1경사단(92b)에서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 외력을 주게 되면, 마감재(90)의 끼움단(92c)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용이하게 마감재(90)들의 조립을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건축물 지붕이나 외벽에 별도의 고정구 없이 마감재(90)의 고정단(92d)으로 체결부재로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마감재(90)들의 조립 및 교체를 위한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3,4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A)(100B)(100C)(100D)의 상부에는 스노우 가드 수단(40)을 구성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상기 마감재(20)(30)(80)(90)의 암연결단(23)(33)(83)(93)을 감싸주는 좌,우 수직브라켓(41)(42)을 체결볼트로 체결한 연결부재(43)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43)의 좌,우 수직브라켓(41)(42)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43a)으로 스노우 가드바(44)를 삽입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3)들의 사이에는 스노우 가드바(44)를 탄발 삽입해주는 요홈부(45a)와, 상기 요홈부(45a) 하부 양측에 외측으로 대향되게 탄발 벌어지는 탄발편(45b)을 일체 절곡 형성한 스노우 가드 브라켓(45)를 더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스노우 가드 수단(40)과 스노우 가드 브라켓(45)으로 건축물의 지붕 위의 눈이 한꺼번에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해 주는 것이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3,4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A)(100B)(100C)(100D)의 상부에는 신체와 연결된 안전고리를 걸어 사용하기 위한 안전고리 장착수단(50)을 구성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상기 마감재(20)(30)(80)(90)의 암연결단(23)(33)(83)(93)을 감싸주는 좌,우 수직브라켓(51)(52)과, 상기 좌,우 수직 브라켓(51)(52) 상부에 수평 설치되는 수평 브라켓(53)을 체결볼트로 체결한 연결부재(54)를 상,하, 좌,우 대향 위치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54)의 수평 브라켓(53) 상부에 "X"자형으로 앙카 브라켓(55)을 연결하여 상기 앙카 브라켓(55) 중앙에 지붕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신체와 연결된 안전고리를 걸어 사용하기 위한 안전링(56)을 설치한다.
이는, 상기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건축물의 지붕에서 작업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더불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3,4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100A)(100B)(100C)(100D)의 상부에는 상기 수평 브라켓(53)에 설치되는 앙카 브라켓(55) 대신 태양광 집광을 위한 집광패널(60)을 결합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고정구 11 : 고정단
12 : 수직절곡단 13 : 탄성절곡단
14 : 가압단 20 : 마감재
21 : 수평판 22 : 수연결단
22a : 제1수직절곡단 22b : 수평단
22c : 경사단 22d : 끼움단
22e : 걸림단 23 : 암연결단
23a : 제2수직절곡단 23b : 삽입단
23b' : 삽입공간 23c : 지지단
30 : 마감재 31 : 수평판
32 : 수연결단 32a : 제1수직절곡단
32b : 수평단 32c : 경사단
32d : 제2수직절곡단 32e : 고정단
32f : 걸림단 33 : 암연결단
33a : 제3수직절곡단 33b : 삽입단
33b' : 삽입공간 33c : 지지단
70 : 고정구 71 : 고정단
72 : 수직절곡단 73 : 탄성절곡단
73a : 삽입공간 80 : 마감재
81 : 수평판 82 : 수연결단
82a : 제1수직절곡단 82b : 제1경사단
82c : 끼움단 83 : 암연결단
83a : 제2수직절곡단 83b : 삽입단
83b' : 삽입공간 83c : 제2경사단
83d : 제3경사단 90 : 마감재
91 : 수평판 92 : 수연결단
93 : 암연결단 92a : 제1수직절곡단
92b : 제1경사단 92c : 끼움단
92d : 고정단 93a : 제2수직절곡단
93b : 삽입단 93b' : 삽입공간
93c : 제2경사단 93d : 제3경사단
100A, 100B, 100C, 100D :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Claims (13)

  1.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단(11)의 끝단을 수직 절곡하여 수직절곡단(12)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절곡단(12)의 끌단을 고정단(11)의 반대 방향으로 만곡하게 절곡하여 내부에 삽입공간(13a)을 가지는 탄성절곡단(13)으로 이루어진 고정구(10)를 구성하고,
    넓은 판 형상의 수평판(21)과, 상기 수평판(21)의 양 끝단에 암수형태로 끼움결합되는 수연결단(22)과 암연결단(23)이 각각 형성된 마감재(20)를 구성하되,
    상기 수연결단(22)은 수평판(21)의 일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1수직절곡단(22a)과, 상기 제1수직절곡단(22a)의 끝단을 수평판(21)을 향해 수평 절곡한 수평단(22b)과, 상기 수평단(22b)의 끝단을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한 경사단(22c)과, 상기 경사단(22c)의 끝단을 수직 절곡하여 상기 고정구(10)의 삽입공간(13a)으로 삽입 끼움결합되는 끼움단(22d)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연결단(23)은 수평판(21)의 타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2수직절곡단(23a)과, 상기 제2수직절곡단(23a)의 끝단을 수평판(21)의 반대 방향으로 '∩'형태로 절곡하여 내부에 상기 고정구(10)와 결합된 수연결단(22)이 삽입 끼움결합되는 삽입공간(23b')을 가진 삽입단(23b)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설치 고정되는 고정구(10)의 삽입공간(13a)으로 마감재(20)의 끼움단(22d)을 삽입 끼움결합 한 다음, 또 다른 마감재(20)의 삽입공간(23b')으로 상기 고정구(10)와 결합된 마감재(20)의 수연결단(22)을 삽입 끼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단(22d)을 가압하여 수직절곡단(12)에 밀착시켜주도록, 상기 탄성절곡단(13)의 끝단을 외측방향으로 만곡하게 절곡하여 가압단(1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단(22b)을 지지하도록 삽입단(23b)의 끝단을 삽입공간(23b')을 향해 '∪'형태로 절곡하여 지지단(23c)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23c)이 걸림되도록 경사단(22c)과 접하는 수평단(22b)의 끝단을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하여 걸림단(22e)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5. 넓은 판 형상의 수평판(31)과, 상기 수평판(31)의 양 끝단에 암수형태로 끼움결합되는 수연결단(32)과 암연결단(33)이 각각 형성된 마감재(30)를 구성하되,
    상기 수연결단(32)은 수평판(31)의 일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1수직절곡단(32a)과, 상기 제1수직절곡단(32a)의 끝단을 수평판(31)을 향해 수평 절곡한 수평단(32b)과, 상기 수평단(32b)의 끝단을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한 경사단(32c)과, 상기 경사단(32c)의 끝단을 하부방향으로 수직 절곡한 제2수직절곡단(32d)과, 상기 수직절곡단(32d)의 끝단을 수평 절곡하여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단(32e)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연결단(33)은 수평판(31)의 타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3수직절곡단(33a)과, 상기 제3수직절곡단(33a)의 끝단을 수평판(31)의 반대 방향으로 '∩'형태로 절곡하여 내부에 상기 수연결단(32)이 삽입 끼움결합되는 삽입공간(33b')을 가진 삽입단(33b)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마감재(30)의 고정단(32e)을 설치 고정하고, 또 다른 마감재(30)의 삽입공간(33b')으로 상기 마감재(30)의 수연결단(32)을 삽입 끼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단(32b)을 지지하도록 삽입단(33b)의 끝단을 삽입공간(33b')을 향해 '∪'형태로 절곡하여 지지단(33c)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33c)이 걸림되도록 경사단(32c)과 접하는 수평단(32b)의 끝단을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하여 걸림단(32f)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8.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단(71)의 끝단을 수직 절곡하여 수직절곡단(72)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절곡단(72)의 끝단을 고정단(71)의 반대 방향으로 만곡하게 절곡하여 내부에 삽입공간(73a)을 가지는 탄성절곡단(73)으로 이루어진 고정구(70)를 구성하고,
    넓은 판 형상의 수평판(81)과, 상기 수평판(81)의 양 끝단에 암수형태로 끼움결합되는 수연결단(82)과 암연결단(83)이 각각 형성된 마감재(80)를 구성하되,
    상기 수연결단(82)은 수평판(81)의 일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1수직절곡단(82a)과, 상기 제1수직절곡단(82a)의 끝단을 수평판(81)을 향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한 제1경사단(82b)과, 상기 제1경사단(82b)의 끝단을 '
    Figure pat00003
    '형태로 절곡하여 상기 고정구(70)의 삽입공간(73a)으로 삽입 끼움결합되는 끼움단(82c)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연결단(83)은 수평판(81)의 타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2수직절곡단(83a)과, 상기 제2수직절곡단(83a)의 끝단을 수평판(81)의 반대 방향으로 '∩'형태로 절곡하여 내부에 상기 고정구(70)와 결합된 수연결단(82)이 삽입 끼움결합되는 삽입공간(83b')을 가진 삽입단(83b)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설치 고정되는 고정구(70)의 삽입공간(73a)으로 마감재(80)의 끼움단(82c)을 삽입 끼움결합 한 다음, 또 다른 마감재(80)의 삽입공간(83b')으로 상기 고정구(70)와 결합된 마감재(80)의 수연결단(82)을 삽입 끼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절곡단(83a)은 ' 〉'형태로 절곡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83b)의 끝단을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하여 제2경사단(83c)을 형성하고, 상기 제2경사단(83c)의 끝단을 제1경사단(82b)에 걸림 고정되도록 경사지게 절곡하여 제3경사단(83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11. 넓은 판 형상의 수평판(91)과, 상기 수평판(91)의 양 끝단에 암수형태로 끼움결합되는 수연결단(92)과 암연결단(93)이 각각 형성된 마감재(90)를 구성하되,
    상기 수연결단(92)은 수평판(91)의 일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1수직절곡단(92a)과, 상기 제1수직절곡단(92a)의 끝단을 수평판(91)을 향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한 제1경사단(92b)과, 상기 제1경사단(92b)의 끝단을 '
    Figure pat00004
    '형태로 절곡한 끼움단(92c)과, 상기 끼움단(92c)의 끝단을 수평 절곡하여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단(92d)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연결단(93)은 수평판(91)의 타 끝단을 수직 절곡한 제2수직절곡단(93a)과, 상기 제2수직절곡단(93a)의 끝단을 수평판(91)의 반대 방향으로 '∩'형태로 절곡하여 내부에 상기 수연결단(92)이 삽입 끼움결합되는 삽입공간(93b')을 가진 삽입단(93b)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마감재(90)의 고정단(92d)을 설치 고정하고, 또 다른 마감재(90)의 삽입공간(93b')으로 상기 마감재(90)의 수연결단(92)을 삽입 끼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절곡단(93a)은 ' 〉'형태로 절곡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93b)의 끝단을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하여 제2경사단(93c)을 형성하고, 상기 제2경사단(93c)의 끝단을 제1경사단(92b)에 걸림 고정되도록 경사지게 절곡하여 제3경사단(93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1020140110948A 2014-08-25 2014-08-25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160024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948A KR20160024301A (ko) 2014-08-25 2014-08-25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948A KR20160024301A (ko) 2014-08-25 2014-08-25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301A true KR20160024301A (ko) 2016-03-04

Family

ID=5553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948A KR20160024301A (ko) 2014-08-25 2014-08-25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43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188A (ko) * 2016-11-22 2018-05-30 스카이패널 주식회사 방수부재가 구비된 지붕판넬조립체
KR20190108676A (ko) 2018-03-15 2019-09-25 주식회사 진솔이앤지 태양광패널 결합용 브라켓
KR20200113335A (ko) *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삼우이앤아이 조립성 향상과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건축용 루프 패널
KR20220134144A (ko) * 2021-03-26 2022-10-05 유재욱 건축물의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2419A (ko) 2010-12-06 2012-06-14 주신기업(주)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2419A (ko) 2010-12-06 2012-06-14 주신기업(주)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188A (ko) * 2016-11-22 2018-05-30 스카이패널 주식회사 방수부재가 구비된 지붕판넬조립체
KR20190108676A (ko) 2018-03-15 2019-09-25 주식회사 진솔이앤지 태양광패널 결합용 브라켓
KR20200113335A (ko) *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삼우이앤아이 조립성 향상과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건축용 루프 패널
KR20220134144A (ko) * 2021-03-26 2022-10-05 유재욱 건축물의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7917B1 (en) Adjustable hanger bars with detachment stop
KR20160024301A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JP5756355B2 (ja) 外壁板の横ずれ防止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
US7716892B2 (en) Ceiling panel system
KR20080026074A (ko) 천장 마감용 티바 행거/티바 클립 행거/엔바 행거/ 엠바행거
KR101650145B1 (ko) 마감패널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JP2010174613A (ja) 建築物仕上げパネルの連結構造
KR20170037058A (ko) 비닐하우스용 패드 일체형 골조 및 패드 일체형 골조 고정장치
US20090113845A1 (en) Sheet metal section for dry construction
JP5606959B2 (ja) 屋根上取付具およびその屋根上取付具を用いた屋根上取付物品の取付構造
JP2005343573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
RU2322554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перевернутых тавровых балок
JP4654218B2 (ja) 折版屋根材の固定金具
JP5999771B2 (ja) 屋根用設置物の取付け具およびその取付け具を用いた屋根用設置物の取付け方法
JP2005164178A (ja) アルミニウム製防護屋根
JP2020186637A (ja) タイル取付用ブラケットレ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乾式タイルの施工法並びに乾式タイル壁面構造
KR20170046533A (ko) 천장패널 고정구
JP5619043B2 (ja) 屋根上取付具
KR200473294Y1 (ko) 연결쇠를 포함하는 등기구 프레임 코너부 결합구조
JP5637942B2 (ja) 屋根上取付具
JP6583919B2 (ja) 折板屋根施工用タイトフレーム
KR200371856Y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20190019276A (ko) 지붕 고정장치
KR101662780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JP5606958B2 (ja) 屋根上取付具およびその屋根上取付具を用いた屋根上取付物品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