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368A -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방법, 이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 및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방법, 이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 및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368A
KR20160023368A KR1020140109678A KR20140109678A KR20160023368A KR 20160023368 A KR20160023368 A KR 20160023368A KR 1020140109678 A KR1020140109678 A KR 1020140109678A KR 20140109678 A KR20140109678 A KR 20140109678A KR 20160023368 A KR20160023368 A KR 20160023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internet terminal
object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0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3368A/ko
Publication of KR20160023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특정 공간영역에 위치하는 사물인터넷 단말 중에서 선택된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방법, 이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은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을 기준으로 통신 연결이 가능한 사물인터넷 단말로부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 및 단말 고유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를 가시화하여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할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d) 통신 연결된 사물인터넷 단말로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방법, 이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 및 사용자 단말{METHOD FOR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INTERNET OF THINGS DEVICES AND USER DEVICES,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S AND USER DEVICES THEREOF}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공간영역에 위치하는 사물인터넷 단말 중에서 선택된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방법, 이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통신 및 IT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많은 종류의 장치가 널리 보급되었고,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정보에 접근하고 획득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 ITU-T WoT/IoT, ETSI M2M 등이 장치들을 단일의 통신 및 식별 체계 등으로 통합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연결 기술(connectivity technology)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결기술에 따라, 기존의 사물인터넷 단말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웨이로 정보를 전송하고, 일종의 서버에서 이들 정보를 취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사물인터넷 단말의 주위에 있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단말에게 임의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무조건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통신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물인터넷 단말(100)은 주변 환경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고, 이들 단말(100)은 미리 정해져 있는 게이트웨이(110)에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결된다.
사물인터넷 단말(100)이 수집한 정보는 게이트웨이(110)를 통해 서버로 전송되고, 이들 정보는 서버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120)에게 제공된다. 이 방식은 사물인터넷 단말(100)이 수집한 정보가 게이트웨이(110)를 통하여 서버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120)에게 일방적으로 전송되는 단 방향 형태로 동작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통신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변 환경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사물인터넷 단말 (130)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단말(140)에게 정보를 일방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방식은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최근에 제시되고 있는 정보제공 방식으로서, 불특정 사용자들에게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너무 많은 정보 또는 불필요한 정보를 수신해야 할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사물인터넷 단말(130)이 수집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140)에게 일방적으로 전송되는 단 방향 형태로 동작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사용자 단말이 원하는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하여 양방향으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사용자 단말이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수많은 사물인터넷 단말 중에서 원하는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단말은 자신이 보유한 공간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은 자신이 수집한 센싱 정보와 상기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될 대상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정보 교환이 가능한 통신방법과, 이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은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을 기준으로 통신 연결이 가능한 사물인터넷 단말로부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 및 단말 고유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를 가시화하여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할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d) 통신 연결된 사물인터넷 단말로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은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사물인터넷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으로서,
(a)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 및 단말 고유 ID 정보를 공개 API를 통해 통신 커버리지 내의 주변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b) 통신 연결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통신 연결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배경지도 정보, 상기 POI 정보, 상기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단말 고유 ID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할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사물인터넷 단말과 양방향 통신을 위한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기준으로 통신 연결이 가능한 사물인터넷 단말로부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 및 단말 고유 ID 정보를 수신하는 사물인터넷 단말 정보 수신부; 상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를 가시화하여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단말 정보 가시화부; 상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가 가시화된 이미지 상에서 사용자 선택 입력을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단말 선택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사물인터넷 단말로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은 사용자 단말과 양방향 통신을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로서,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 및 단말 고유 ID 정보를 공개 API를 통해 통신 커버리지 내의 주변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공개 API 제공부; 통신 연결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통신 연결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사용자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배경지도 정보, 상기 POI 정보, 상기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단말 고유 ID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할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사물인터넷 단말과 양방향으로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사용자의 홍보 정보를 주변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될 대상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하여 사용자의 홍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단말로부터 정보가 무분별하게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지역의 사물인터넷 단말만을 선택하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업용으로 위치기반 광고 서비스, 실시간 홍보 서비스 등에 활용이 가능하며, 공공기관에서의 공공정보 제공 서비스, 버스 터미널, 지하철 역 등에서의 실시간 노선정보 서비스, 시설물 관리 서비스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인근 영역 내에 있는 불특정 개인 간의 정보 교환 서비스에도 활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통신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통신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정보/단말기 정보 저장부에서 관리되는 공간정보 및 POI 정보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경지도 상에 가시화된 POI 정보, 사용자 단말 위치정보, 사물인터넷 단말 위치정보의 제1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경지도 상에 가시화된 POI 정보, 사용자 단말 위치정보, 사물인터넷 단말 위치정보의 제2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홍보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선택된 사물인터넷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데 요구되는 업무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물인터넷 단말이 사용자의 홍보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들 정보를 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업무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 시스템은 사물인터넷 단말(210,220,230,240,250), 사용자 단말(310,320), 사물인터넷 단말(210,220,230,240,250)과 사용자 단말(310,320) 간의 통신 연결을 위한 무선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사물인터넷 단말(210,220,230,240,250)은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커버리지(410, 420, 430, 440, 450)를 가지고, 커버리지(410, 420, 430, 440, 450) 내의 임의의 단말과 사람의 도움 없이 인터넷 연결되어, 정보를 양방향으로 교환한다.
사물인터넷 단말(210,220,230,240,250)은 탑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신 연결된 다른 단말과 공유한다.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무선통신(NFC), 센서데이터, 무선네트워크 기술 등이 사물인터넷 단말(210,220,230,240,250)이 다른 단말과 정보를 교환하는데 활용된다.
또한, 사물인터넷 단말(210, 220, 230, 240, 250)은 커버리지(410, 420, 430, 440, 450)에 해당되는 배경지도와 그 배경지도에 포함되는 건물과 상점 등에 대한 POI 정보를 포함한 공간정보와, 단말 고유 ID 정보를 관리한다. 사물인터넷 단말(210, 220, 230, 240, 250)은 자신의 커버리지(410, 420, 430, 440, 450)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310, 320) 또는 다른 사물인터넷 단말(210, 220, 230, 240, 250)과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공간정보와 단말 고유 ID 정보를 양방향으로 교환한다.
사물인터넷 단말(210, 220, 230, 240, 250)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310, 320)은 사물인터넷 단말(210, 220, 230, 240, 250)로부터 공간정보, 단말 고유 ID 정보, 타 사용자들의 홍보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가시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10, 320)은 자신의 홍보 정보를 편집 또는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이를 사물인터넷 단말(210, 220, 230, 240, 250)에 전송하여 타 사용자 단말(310, 32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310, 320)은 자신이 보유한 GPS 센서, 자기 센서가 수집한 센싱정보와, 사물인터넷 단말(210, 220, 230, 240, 250)로부터 수신한 공간정보, 단말 고유 ID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물인터넷 단말을 검색하고 선택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310, 320)은 사진, 동영상, 텍스트, 음성 등을 융합하여 자신의 홍보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 단말(210, 220, 230, 240, 250)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310, 320)은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차량 단말기 등의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디지털 광고판, 디지털 사이니지 등의 고정 단말기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500)은 공간정보/단말 정보 저장부(510), 공개 API 제공부(520), 사용자 정보 저장부(530), 사용자 정보 송신부(540), 연결 사용자 관리부(550), 사용자 정보 수신부(560)로 구성된다.
공간정보/단말 정보 저장부(510)는 사물인터넷 단말의 커버리지에 해당되는 영역에 대한 배경지도 정보, 배경지도 내에 포함되는 POI 정보, 그리고 사물인터넷 단말의 고유 ID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POI 정보는 상점, 건물, 시설물 등에 대한 정보로서 상점, 건물, 시설물의 위치정보, 업종 정보, 상호 정보,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한다.
공간정보/단말 정보 저장부(510)에 저장된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단말 고유 ID 정보는 공개 API 제공부(52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600)로 제공된다.
공개 API 제공부(520)는 무선으로 공개 API 기능을 외부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600)은 이 공개 API 기능을 통하여 공간정보/단말 정보 저장부(510)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지도, POI 정보, 단말 고유 ID 정보를 수신한다.
특히, 공개 API 제공부(520)는 배경지도, POI 정보, 단말 고유 ID 정보를 단순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스크립트 형태로 배경지도 및 POI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600)은 스크립트 형태로 전송 받은 배경지도 및 POI 정보와, 센서 등을 통해 수집한 센싱 정보를 매쉬업함으로써, 이들 정보의 가시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530)는 본 사물인터넷 단말(500)과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600)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사용자 홍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여기서, 사용자 홍보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 저장부(5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홍보 정보를 사용자 단말(6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사용자 홍보 정보는 사용자 단말(600)의 사용자가 제공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사용자가 제공한 시간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사용자 홍보 정보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530)에서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송신부(5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다양한 형태의 홍보 정보들을 타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사물인터넷 단말로 무선통신을 통하여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600)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사물인터넷 단말(500)만이 상기 사용자 단말(600)과 통신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정보 송신부(540)를 통해 타 사용자들의 홍보 영상을 사용자 단말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연결 사용자 관리부(550)는 현재 사물인터넷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사용자 단말들의 ID 및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태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연결 여부, 정보 송신 또는 수신 여부, 연결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수신부(560)는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6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홍보 정보들을 수신한다.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 단말에 관한 정보는 연결 사용자 관리부(550)에서 관리되며, 수신된 홍보 정보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530)에 저장되고 관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600)은 사물인터넷 단말 정보 가시화부(610), 사물인터넷 단말 정보 수신부(620), 공간정보/단말 정보 저장부(630), 사물인터넷 단말 선택부(640), 자체 센서 제어부(650), 사용자 정보 편집부(660), 사용자 정보 제공부(670), 사용자 정보 저장부(680)로 구성된다.
사물인터넷 단말 정보 가시화부(610)는 사물 인터넷 단말(5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가시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첫째, 사물인터넷 단말 정보 가시화부(610)는 사물인터넷 단말(500)의 공개 API 제공부(520)로부터 수신된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단말 고유 ID 정보를 사용자에게 가시화하여 제공한다. 이 경우, 사물인터넷 단말 정보 가시화부(610)는 스크립트 형태의 배경지도, POI 정보를 사용자에게 가시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사물인터넷 단말 정보 가시화부(610)는 사물인터넷 단말(500)의 사용자 정보 송신부(540)로부터 수신되는 타 사용자들의 홍보 정보를 사용자에게 가시화하여 제공한다.
사물인터넷 정보 수신부(620)는 사물인터넷 단말(5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공개 API 제공부(520)로부터 수집되는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단말 고유 ID 정보를 수신하며, 또한 사용자 정보 송신부(540)로부터 제공되는 타 사용자 단말기의 홍보 정보를 수신한다.
공간정보/단말 정보 저장부(630)는 다수의 사물인터넷 단말들로부터 제공되는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그리고 단말 고유 ID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사용자 단말(600)은 공간정보/단말기 정보 저장부(630)로부터 기존에 저장된 정보들을 추출하고, 사물인터넷 정보 가시화부(610)를 통하여 이들 정보를 사용자에게 가시화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사물인터넷 단말 선택부(640)에 이들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물인터넷 단말 선택부(640)는 사용자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사물인터넷 단말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600)은 배경지도 정보와 POI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의 홍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영역 내의 특정 사물인터넷 단말을 검색한다.
특히, 사물인터넷 단말을 검색할 때, 자기센서(Compass)와 위치센서(GPS)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6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사물인터넷 단말을 검색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자체 센서 제어부(650)는 사물인터넷 단말 선택부(640)가 사용자가 원하는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자기센서와 위치센서의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 정보 제공부(660)는 사용자가 기존에 제작한 또는 실시간 제작한 자신에 대한 홍보 정보를 사물인터넷 단말에 전송한다. 전송되는 사용자 홍보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음성의 복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편집부(670)는 사용자 단말(600)에서 실시간으로 사용자 자신에 대한 홍보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 정보 편집부(670)는 실시간 수집한 센서정보, 동영상정보, 음성정보, 이미지정보, 텍스트 정보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융합 편집하여 사용자 홍보 정보를 생성한다. 실시간 사용자 홍보 정보 생성도 가능하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680)는 사용자가 생성한 자신의 홍보 정보의 지속적인 사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들 정보의 저장 및 관리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정보/단말 정보 저장부에서 관리되는 공간정보 및 POI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물인터넷 단말(500)의 배경지도 정보는 이차원 (2D) 기반으로 저장 및 관리되며, 상기 배경지도 정보와 함께 해당 배경지도 내에 포함되어 있는 POI 정보가 공간정보로서 저장 및 관리된다. 이때, 상기 배경지도 정보는 특정 사물인터넷 단말의 통신 가능 영역인 커버리지에 해당하는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상기 배경지도 정보가 이차원 기반으로 생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차원 기반 혹은 이차원과 삼차원의 융합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사물인터넷 단말은 고유의 커버리지를 가지는데, 각각의 커버리지에 해당하는 배경지도 정보 및 이에 속하는 POI 정보가 각 사물인터넷 단말의 공간정보로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경지도 상에 가시화된 POI 정보, 사용자 단말 위치정보, 사물인터넷 단말 위치정보의 제1 및 제2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경지도 위에 POI 정보,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그리고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가 가시화되어 제공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가시화된 정보를 직접보고 사용자 단말에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자신이 연결하고자 하는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가시화된 정보들은 확대, 축소,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 7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특정 각도 정보가 지정되면, 자기센서와 위치센서가 수집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진행 방향 또는 정면 방향을 기준으로 특정 각도 내에 속하는 사물인터넷 단말 또는 POI 정보만 가시화되어 제공되는 예가 도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가시화된 사물인터넷 단말 중에서 원하는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자세가 변경됨에 따라, 또는 입력되는 각도의 크기가 변경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다른 각도 영역 내에 속하는 사물인터넷 단말을 가시화하여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들 사물인터넷 단말 중에서 원하는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홍보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선택된 사물인터넷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데 요구되는 업무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새로운 사물인터넷 단말 선택을 위한 옵션정보를 입력한다(S710). 입력되는 옵션 정보에는 사용자 단말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특정 각도 범위 또는 특정 영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옵션정보 입력을 생략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을 기준으로 연결 가능한 인근의 모든 사물 인터넷 단말이 선택 대상이 된다. 입력된 옵션정보에 따라 자체 센서 제어부(650)는 자기센서와 위치센서의 동작을 제어(활성화)한다.
이후, 입력되는 옵션 정보에 따라 사물인터넷 단말 정보 가시화부(610)는 사물인터넷 단말(500)의 공개 API 제공부(520)로부터 수신된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단말 고유 ID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그리고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를 가시화하여 제공한다.
사용자는 표출된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 위치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을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한다(S730).
이후,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사물인터넷 단말로부터 배경지도, POI 정보, 단말기 위치 및 고유 ID 정보 또는 다른 사용자들의 홍보 정보를 수신한다(S740). 수신된 정보들은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의 공간정보/단말기 정보 저장부(630)에 저장되며, 상황에 따라서 사물인터넷 단말 정보 가시화부(6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출되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사물인터넷 단말에 자신의 홍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자신의 새로운 홍보 정보를 생성한다(S750). 사용자 단말은 자신의 홍보 정보가 이미 생성되어 있는 경우, 저장된 홍보 정보를 읽어 올 수 있다.
신규 생성 또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680)에서 검색된 사용자의 홍보 정보가 선택된 사물인터넷 단말로 송신된다(S760).
생성된 홍보 정보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680)에 사용자 선택사항에 따라 저장될 수 있다(S77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물인터넷 단말이 사용자의 홍보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들 정보를 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업무 흐름도이다.
사물인터넷 단말은 자신의 공간정보/단말기 정보 저장부(510)로부터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자신의 위치정보와 단말 고유 ID 정보를 추출한다(S850).
추출된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 위치정보, 단말 고유 ID 정보를 공개 API를 통하여 통신 커버리지 내의 주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한다(S860). 사용자 단말은 사물인터넷 단말이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후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홍보 정보를 이 정보를 제공한 사물인터넷 단말을 이용하여 타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지를 결정한다.
이외에도 사물인터넷 단말은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사용자 홍보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S810).
이후, 사물인터넷 단말은 자신의 연결 사용자 관리부(550)를 이용하여 연결된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유지 관리한다(S820).
수신된 사용자들의 홍보 정보는 사물인터넷 단말 내의 사용자 정보 저장부(530)에 저장되고 관리된다(S830).
사물인터넷 단말은 자신의 사용자 정보 저장부(530)에 관리되고 있는 다양한 사용자 홍보 정보를 외부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한다(S840). 송신된 홍보 정보들은 사용자 단말의 사물인터넷 단말기 정보 수신부(620)로 전달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을 기준으로 통신 연결이 가능한 사물인터넷 단말로부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 및 단말 고유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를 가시화하여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할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d) 통신 연결된 사물인터넷 단말로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통신 연결이 가능한 사물인터넷 단말로부터 공개 API를 통해 상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배경지도 및 POI 정보를 스크립트 형태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스크립트 형태로 전송 받은 배경지도 및 POI 정보와, 센서를 통해 수집한 센싱 정보를 매쉬업(mesh up)하여 가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특정 각도 정보가 지정되면, 자기센서와 위치센서가 수집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행 방향 또는 정면 방향을 기준으로 특정 각도 내에 속하는 사물인터넷 단말 또는 POI 정보만 가시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가 가시화된 이미지 상에서 사용자 선택 입력을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실시간 수집한 센서정보, 동영상정보, 음성정보, 이미지정보,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편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e) 통신 연결된 사물인터넷 단말과 통신 연결된 타 사용자 단말의 제2 사용자 홍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
  9.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사물인터넷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으로서,
    (a)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 및 단말 고유 ID 정보를 공개 API를 통해 통신 커버리지 내의 주변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b) 통신 연결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통신 연결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배경지도 정보, 상기 POI 정보, 상기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단말 고유 ID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할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하는 것
    인 사물인터넷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지도 정보는,
    상기 사물인터넷 단말의 통신 커버리지에 해당되는 영역에 대한 배경지도 정보인 것
    인 사물인터넷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홍보 정보와 함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제공하는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시간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사물인터넷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d) 통신 연결된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된 제2 사용자 홍보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방법.
  13. 사물인터넷 단말과 양방향 통신을 위한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기준으로 통신 연결이 가능한 사물인터넷 단말로부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 및 단말 고유 ID 정보를 수신하는 사물인터넷 단말 정보 수신부;
    상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를 가시화하여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단말 정보 가시화부;
    상기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가 가시화된 이미지 상에서 사용자 선택 입력을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단말 선택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사물인터넷 단말로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단말 정보 수신부는,
    선택된 사물인터넷 단말과 통신 연결된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제2 사용자 홍보 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
    인 사용자 단말.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단말 정보 가시화부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특정 각도 정보가 지정되면, 자기센서와 위치센서가 수집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행 방향 또는 정면 방향을 기준으로 특정 각도 내에 속하는 사물인터넷 단말 또는 POI 정보만 가시화하여 제공하는 것
    인 사용자 단말.
  16. 사용자 단말과 양방향 통신을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로서,
    배경지도 정보, POI 정보,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 및 단말 고유 ID 정보를 공개 API를 통해 통신 커버리지 내의 주변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공개 API 제공부;
    통신 연결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제1 사용자 홍보 정보를 통신 연결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사용자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배경지도 정보, 상기 POI 정보, 상기 사물인터넷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단말 고유 ID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할 사물인터넷 단말을 선택하는 것
    인 사물인터넷 단말.
KR1020140109678A 2014-08-22 2014-08-22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방법, 이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 및 사용자 단말 KR20160023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678A KR20160023368A (ko) 2014-08-22 2014-08-22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방법, 이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 및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678A KR20160023368A (ko) 2014-08-22 2014-08-22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방법, 이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 및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368A true KR20160023368A (ko) 2016-03-03

Family

ID=5553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678A KR20160023368A (ko) 2014-08-22 2014-08-22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방법, 이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 및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33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23A (ko) * 2017-02-17 2018-08-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차량에서의 IoT 통신 연결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23A (ko) * 2017-02-17 2018-08-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주행차량에서의 IoT 통신 연결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76209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location-oriented information
US9013505B1 (en) Mobile system representing virtual objects on live camera image
KR101510623B1 (ko) 박람회 및 전시장에서의 전시 안내 시스템 및 그 안내 방법
US10568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mall cell based augmented reality
KR101373007B1 (ko) 주변 기기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16314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들
JP2016004571A (ja) 関心地点情報をプッシュ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200234502A1 (en) Social Media 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icrolocation
JP2003111128A (ja) 現在位置特定方法、現在位置情報提供方法、移動経路案内方法、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端末
JP4053462B2 (ja) 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413605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0198A (ko) 전시 안내 장치, 전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단말 장치와 전시 안내 방법
CN107205219A (zh) 用于定位的方法和设备
JP4710217B2 (ja)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方法、情報提示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2946476A (zh) 一种快速定位的方法及装置
KR20130020060A (ko) 정보 제공 시스템, 이동통신단말 및 방법
JP2009232203A (ja) 位置誘導システムおよび方法および携帯電話端末およびルート情報配信サーバ
KR20160023368A (ko) 사물인터넷 단말과 사용자 단말간의 양방향 통신방법, 이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 및 사용자 단말
KR20130068463A (ko) 위치 기반 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역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54663B1 (ko) 정보 제공을 위한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정보 이용 방법
KR102269223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WO2021090219A1 (en) 3d video generation for showing shortest path to destination
KR101298071B1 (ko) 목적지 경로안내방법 및 시스템
KR102332165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KR102313071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