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294A -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294A
KR20160022294A KR1020157031518A KR20157031518A KR20160022294A KR 20160022294 A KR20160022294 A KR 20160022294A KR 1020157031518 A KR1020157031518 A KR 1020157031518A KR 20157031518 A KR20157031518 A KR 20157031518A KR 20160022294 A KR20160022294 A KR 20160022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event
erroneous operation
mobile device
operation area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찌키앙 다이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22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모바일 장치의 스크린을 오조작 영역과 정상 조작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오조작 영역이 트리거되면 모바일 장치가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측하는 단계; 모바일 장치가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출하면 모바일 장치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모바일 장치가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출되지 않으면 모바일 장치가 오조작 영역을 잠시 감추고 상기 오조작 영역이 다시 트리거될 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즈가 큰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테두리가 좁게 설계되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스크린 테두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오조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모바일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사용자 체험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ISOPERATION ON TOUCHSCREEN EQUIPPE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및 관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모바일 통신이 고속 발전하여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핸드폰, 패드(pad), 노트북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가 끊임없이 나타나고 교체 속도가 빨라지고 보급률도 높아지고 있다. 하드웨어가 발전함에 따라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도 스크린이 커지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삼성 회사가 출시한 노트(note)계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다. 한편 많은 모바일 생산업체들은 제품을 설계할 때 테두리를 좁게 설계하는 추세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품이 가볍고 얇아지고 동일한 사이즈에 보다 큰 면적의 스크린을 설치하여 더 높은 사용자 체험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핸드폰, 패드(pad), 노트북 등과 같은 많은 모바일 장치들은 테두리가 좁게 설계되면 아래 문제점이 나타난다.
정상적으로 언로크한 후 사용자가 한 손이나 두 손으로 테두리가 좁게 설계된 모바일 장치를 쥐거나 잡거나 들 때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스크린을 터치하여 쉽게 오조작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테두리가 좁게 설계되는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의 스크린을 오조작 영역과 정상 조작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오조작 영역이 트리거되면 모바일 장치가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측하는 단계; 모바일 장치가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출하면 모바일 장치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모바일 장치가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출되지 않으면 모바일 장치가 오조작 영역을 잠시 감추고 상기 오조작 영역이 다시 트리거될 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가, 모바일 장치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면 사용자가 이번 스크린 언로크 기간에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모바일 장치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닫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가, 모바일 장치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면 사용자가 이번 및 다음번 스크린 언로크 기간에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오조작 영역을 다시 열 때까지 모바일 장치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 혹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 아니면 모바일 장치가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조작 영역이 스크린 테두리로부터 소정 길이 이내에 있는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의 스크린을 오조작 영역과 정상 조작 영역으로 설정하는 설정 모듈; 상기 오조작 영역이 트리거되면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측하는 검측 모듈; 및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이 검출되면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하고,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이 검출되지 않으면 오조작 영역을 잠시 감추고 상기 오조작 영역이 다시 트리거될 때 디스플레이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서브 모듈; 및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면, 사용자가 이번 스크린 언로크 기간에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닫는 제1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서브 모듈; 및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면 사용자가 이번 및 다음번 스크린 언로크 기간에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오조작 영역을 다시 열 때까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닫는 제2 처리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 혹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 아니면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유지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조작 영역이 스크린 테두리로부터 소정 길이 이내에 있는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린의 테두리가 좁게 설계되어 오조작이 일정한 확율로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양호한 사용자 체험을 구비하고 핸드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상적인 스마트 모바일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UI 인터페이스 레이아웃을 나태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 프레임 지원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중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기능 플러그 인의 관련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조작 영역이 트리거되면 플러그 인이 점선을 디스플레이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조작 영역을 잠시 제거하고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선 박스가 나타난 후의 조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설명 및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의 스크린을 오조작 영역과 정상 조작 영역으로 설정한다(단계101).
상기 오조작 영역이 트리거되면 모바일 장치가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측한다(단계102).
모바일 장치가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출하면 모바일 장치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한다(단계103).
상기 단계103은 모바일 장치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면 사용자가 이번 스크린 언로크 기간에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모바일 장치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닫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103은 모바일 장치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면 사용자가 이번 및 다음번 스크린 언로크 기간에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오조작 영역을 다시 열 때까지 모바일 장치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계103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 혹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 아니면 모바일 장치가 처리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가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출하지 못하였으면 모바일 장치가 오조작 영역을 잠시 감추고 상기 오조작 영역이 다시 트리거될 때 디스플레이한다(단계104).
상기 오조작 영역은 스크린 테두리로부터 소정 길이 이내에 있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테두리가 좁게 설계되는 트랜드에 맞추는 것으로서 손가락이거나 손바닥이 모바일 장치를 잡을 때 발생하는 무의식적인 오조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특히 일반적인 사이즈가 크고 테두리가 좁게 설계되었으며 조작 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바일 장치에 적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 모듈, 검측 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설정 모듈은 모바일 장치의 스크린을 오조작 영역과 정상 조작 영역으로 설정한다.
상기 검측 모듈은 상기 오조작 영역이 트리거되면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측한다.
상기 처리 모듈은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이 검출되면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하고,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이 검출되지 않으면 오조작 영역을 잠시 감추고 상기 오조작 영역이 다시 트리거될 때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처리 모듈은 제1 판단 서브 모듈, 제1 처리 서브 모듈, 제2 판단 서브 모듈, 제2 처리 서브 모듈 및 유지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그중:
제1 판단 서브 모듈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처리 서브 모듈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면 사용자가 이번 스크린 언로크 기간에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닫는다.
제2 판단 서브 모듈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처리 서브 모듈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면 사용자가 이번 및 다음번 스크린 언로크 기간에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오조작 영역을 다시 열 때까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닫는다.
유지 서브 모듈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 혹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 아니면 처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장치는 손바닥이거나 손가락이 사이즈가 크고 테두리가 좁게 설계된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를 잡을 때 스크린 테두리를 무의식으로 터치하여 발생되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상적인 스마트 모바일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UI 인터페이스 레이아웃을 나태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를 손에 들 때 손에 드는 방식에 따라 오조작이 쉽게 발생하는 영역이 다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직 방향으로 모바일 장치를 손에 들 때 오조작이 가장 쉽게 발생하는 영역은 좌우 및 아래 점선 테두리 근처에 가까운 영역이다. 사용자가 수평 방향으로 모바일 장치를 손에 들 때 오조작이 가장 쉽게 발생하는 영역은 좌우 아래 영역일 수 있고 상하좌우 전체 테두리 영역일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오조작 영역과 정상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점선 박스를 나타내는데 점선 박스 이내는 정상 영역이고 점선 박스 이외는 오조작 영역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장방형 점선 박스로 오조작 영역과 정상 영역을 구분하는데 실제적으로 사용자에게 오조작 영역과 정상 영역을 명확히 알려줄 수 있으면 장방형 실선 박스, 타원형 점선 박스 등 각종 형상과 선의 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오조작 영역의 위치, 사이즈, 형상에 대해 설정 및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 프레임 지원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방법 및 장치는 애프리케이션(Application)층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뷰 유형을 확장하고 홈페이지 프로그램, 애프리케이션 프로그램 등 인터페이스 및 운행 서브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에서 활성화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중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기능 플러그 인의 관련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능 플러그 인의 관련 설정 인터페이스에 세개 옵션 난(欄)과 한개 상태 난(欄)이 있다.
첫 번째 옵션 난은 센서 종류 선택 난으로서 센서 종류 선택과 센서 이네이블 플러그 인을 닫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그중, 모바일 장치가 핸드 모드하에서 RadioGroup 중의 센서를 사용하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속 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를 한번 혹은 몇번 손으로 흔드는 조작에 의해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을 열거나 닫는다)를 선택할 수 있고, 압력 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의 스크린 테두리에 따라 동그라미를 한번 혹은 몇번 긋는 조작에 의해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을 열거나 닫는다)를 선택할 수 있다. 센서 이네이블 플러그 인을 닫는 스위치는 센서 플러그 인 스위치를 강제적으로 열거나 닫기 위한 것으로서 선택된 후 센서 플러그 인 스위치를 강제적으로 열기 위한 강제 온 모드와 센서 플러그 인 스위치를 강제적으로 닫기 위한 강제 오프 모드가 나타난다.
두 번째 옵션 난은 점선 박스 범위 선택 버튼으로서 도 3에서 도시한 점선 박스와 같이 점선 박스의 위치, 사이즈, 폭 등에 대한 선택을 포함한다.
세 번째 옵션 난은 점선 박스를 자동적으로 감추는 시간 버튼으로서 1~10s인 10개 선택항을 포함하고, 즉 상기 기능 플러그 인의 소정된 시간을 선택한다.
네 번째 상태 난은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의 상태 난으로서 "플러그 인 운행 상태 표시"이다. 선택된 후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이 백그라운드에서 운행하는 기간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의 표식(예를 들어 카툰 아이콘)은 도 3에서 도시한 상태 통지 난에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플러그 인이 운행 상태이면 상태 통지 난에서 실체 표식을 표시하고, 현재 플러그 인이 잠시 닫는 상태이면 상태 통지 난에서 허상 표식을 표시하며, 현재 플러그 인이 영구히 닫는 상태이면 상태 통지 난에서 상기 표식을 표시하지 않는다. 상태 통지 난에서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의 표식을 표시하면 상태 통지 난을 풀 다운하여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을 클릭할 수 있다. 그때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을 잠시 닫는 옵션 (즉, 스크린이 로크되기 전에 이 플러그 인 기능을 잠시 오프한다)과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을 영구히 닫는 옵션의 2개 옵션이 나타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 2개 옵션을 통해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을 잠시 닫거나 영구히 닫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바일 장치가 기능 세팅을 증가할 수 있다. 주로 하기 내용을 포함한다. a) 센서는 가속 센서 (모바일 장치를 손으로 흔드는 등 조작)를 사용하나 압력 센서 (모바일 장치 스크린 테두리에 따라 동그라미를 긋는 등 조작)를 사용하는가 혹은 시스템이 해당 기능 옵션의 온/오프를 직접 선택; b) 점선 박스의 위치, 사이즈, 폭에 대한 선택; c) 점선 박스가 자동 감추는 시간 1~10s. 사용자가 선택한 후 모방일 장치가 세팅을 조작 시스템에 저장하여 모바일 장치가 세팅을 수시로 읽을 수 있다.
모바일 장치가 뷰 유형의 기능을 확장하고, 즉 기능 플러그 인 하나를 증가한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의 작동 방식은 상기 첫 번째 옵션 난으로 설정된다. 가속 센서를 선택하려면 "모바일 장치를 몇번 손으로 흔든다"라는 것과 같은 설정된 방식에 따라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을 열거나 닫아야 하고, 압력 센서를 선택하려면 "모바일 장치 스크린 테두리에 따라 왕복 한번 긋거나 스크린 중간에서 동그라미 2개를 긋는다"라는 것과 같은 설정된 방식에 따라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을 열거나 닫아야 한다. 또한 점선 박스의 위치 (오조작을 방지하는 범위가 선택됨)와 점선 박스 자동 감추는 시간도 각각 상기 두 번째와 세 번째 옵션 난에서 설정된다. 해당 플러그 인이 작동되면 모바일 장치 스크린이 언로크된 후 오조작 영역에 압력 센서로부터 전달된 해당 기능을 닫는 것이 아닌 조작이 존재하는지 수시로 감시하는데 압력 센서로부터 전달된 해당 기능을 닫는 것이 아닌 조작이 검출되면 테두리가 좁게 설계되어 발생한 오조작일 수 있어서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을 통하여 스크린에 점선 박스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조작 영역이 트리거되어 플러그 인이 점선을 디스플레이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해당 점선 박스는 스크린이 언로크되고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이 열린 후 오조작 영역에 오조작과 같은 스크린 조작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나타나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점선 박스 범위 이외로부터 스크린 테두리까지의 영역이 오조작 영역, 즉, 오조작을 방지하는 범위이다.
사용자는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이 디스플레이한 점선 박스를 확실히 오조작이므로 무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소정된 시간 (즉, 세 번째 옵션 난에서 설정한 점선 박스 자동 감추는 시간, 예를 들어 2s)이 지나도 상기 점선 박스에 대한 조작을 하지 않으면 모바일 장치의 점선 박스에 대한 자동감추는 기능이 트리거된다. 사용자는 오조작 영역을 풀기 위해 수동으로 점선 박스를 스크린 테두리로 그어버릴 수도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스크린이 로크되기 전에 사용자는 상기 오조작 영역의 제한을 받지 않고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의 오조작 영역은 다음번 스크린 언로크 후 계속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조작 영역을 잠시 제거하고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점선박스를 터치하여 누르고 스크린 테두리로 움직이면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스크린이 로크되기 전에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타 방식으로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을 직접 닫을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소정된 시간 내에서의 조작이 잘못된 조작이면 조작이 정확하거나 조작이 없이 소정된 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오조작 영역을 계속 감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선 박스가 나타난 후의 조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가 정상적으로 조작될 경우 스크린이 언로크되고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이 열리는 기간에 오조작 영역에서 오조작과 같은 스크린 조작이 검출되면 미리 설치된 내용에 따라 스크린에 점선 박스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S801).
압력 센서나 가속 센서가 소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어떠한 후속 조작이 있는가를 검측한다(단계S802). 어떠한 조작도 없으면 단계S803을 수행하고, 조작이 있으면 단계S804를 수행한다.
조작이 없을 경우는 테두리가 좁게 설계되어 발생한 오조작, 예를 들어 손바닥이거나 손가락의 오조작으로 인정할 수 있고 그때 점선 박스를 잠시 닫아서 점선 박스를 잠시 감출수 있다(단계S803).
압력 센서나 가속 센서가 검출한 사용자의 후속 조작이 오조작 영역을 잠시 제거하기 위한 조작, 즉,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조작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점선 박스를 누르고 스크린 테두리로 움직인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804). 오조작 영역을 잠시 제거하기 위한 조작이면 단계S806을 수행하고, 오조작 영역을 잠시 제거하기 위한 조작이 아니면 단계S805를 수행한다.
압력 센서거나 가속 센서가 검출한 사용자의 후속 조작이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을 닫기 위한 조작, 즉,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조작 (모바일 장치를 흔드는 조작, 혹은 스크린 테두리에 따라 왕복 한번 긋거나 동그라미 2개를 연속하여 긋는 조작 등)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805).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을 닫기 위한 조작이면 단계S807을 수행하고, 해당 기능 플러그 인을 닫기 위한 조작이 아니면 단계S802로 돌아간다.
오조작 영역을 잠시 제거하고 사용자가 현재 사용을 완성할 때까지 기다려서 스크린을 로크한다(단계S806).
점선 박스를 영구히 감춘다. 즉,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닫는다(단계S807).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오조작 영역을 다시 열 때까지 사용자의 후속 사용 기간에 점선 박스가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재 사이즈가 큰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테두리가 좁게 설계되는 상황에서 손가락이거나 손바닥이 모바일 장치를 드는 기간에 스크린 테두리 부분에서 오조작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존 스마트 폰, 패드(pad), 노트북 등 모바일 장치의 센서와 기능 풀러그 인을 활용하여 모바일 장치가 간단하고 신속한 조작을 통해 오조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좋은 사용자 체험을 구비한다.
상기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여러가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모든 변화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모바일 장치의 스크린을 오조작 영역과 정상 조작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오조작 영역이 트리거되면 모바일 장치가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측하는 단계;
    모바일 장치가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출하면 모바일 장치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모바일 장치가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출되지 않으면 모바일 장치가 오조작 영역을 잠시 감추고 상기 오조작 영역이 다시 트리거될 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가,
    모바일 장치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면 사용자가 이번 스크린 언로크 기간에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모바일 장치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닫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가,
    모바일 장치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면 사용자가 이번 및 다음번 스크린 언로크 기간에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오조작 영역을 다시 열 때까지 모바일 장치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 혹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 아니면 모바일 장치가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조작 영역이 스크린 테두리로부터 소정 길이 이내에 있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모바일 장치의 스크린을 오조작 영역과 정상 조작 영역으로 설정하는 설정 모듈;
    상기 오조작 영역이 트리거되면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을 검측하는 검측 모듈; 및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이 검출되면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에 따라 해당 처리를 수행하고, 소정된 시간 내에 후속 트리거 사건이 검출되지 않으면 오조작 영역을 잠시 감추고 상기 오조작 영역이 다시 트리거될 때 디스플레이하는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서브 모듈; 및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면 사용자가 이번 스크린 언로크 기간에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닫는 제1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서브 모듈; 및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면 사용자가 이번 및 다음번 스크린 언로크 기간에 전체 스크린에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오조작 영역을 다시 열 때까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닫는 제2 처리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후속 트리거 사건이 상기 오조작 영역을 잠시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 혹은 상기 오조작 영역을 영구히 해소하기 위한 트리거 사건이 아니면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유지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조작 영역이 스크린 테두리로부터 소정 길이 이내에 있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57031518A 2013-06-21 2014-05-16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222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248489.XA CN104238793B (zh) 2013-06-21 2013-06-21 一种防止触摸屏移动设备误操作的方法及装置
CN201310248489.X 2013-06-21
PCT/CN2014/077727 WO2014201927A1 (zh) 2013-06-21 2014-05-16 一种防止触摸屏移动设备误操作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294A true KR20160022294A (ko) 2016-02-29

Family

ID=5210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518A KR20160022294A (ko) 2013-06-21 2014-05-16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975499B1 (ko)
KR (1) KR20160022294A (ko)
CN (1) CN104238793B (ko)
WO (1) WO20142019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0531A (zh) * 2015-01-23 2015-08-05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触摸屏系统
CN104932821A (zh) * 2015-06-02 2015-09-23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操作界面的显示方法及智能终端
US10387704B2 (en) * 2015-06-29 2019-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the touchscreen display of a mobile device
CN105094543B (zh) * 2015-07-09 2018-11-0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操作指令输入方法及装置
CN105204865A (zh) * 2015-10-14 2015-12-30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实现当前窗口关闭的方法及装置、移动终端和电脑终端
CN106612360A (zh) * 2015-10-27 2017-05-03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误拨电话检测方法及移动终端
CN105867825A (zh) * 2016-04-12 2016-08-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控设备防止误操作的方法、装置及终端
KR102006561B1 (ko) 2016-06-30 2019-08-01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 스크린 가장자리의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CN106598430A (zh) * 2016-11-28 2017-04-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移动终端防止误操作的方法
CN106773631B (zh) * 2017-01-12 2023-03-28 余喜云 一种可防金属指针误触亮屏的智能手表
WO2019047075A1 (zh) * 2017-09-06 2019-03-14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终端防误触的控制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144328A (zh) * 2018-10-15 2019-0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边缘防误触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10297565B (zh) * 2019-06-28 2023-04-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触控组件的控制方法
CN112416155B (zh) * 2019-08-21 2024-04-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报点输出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2527A2 (en) * 2008-12-30 2011-11-02 France Telecom User interface to provide enhanced control of an application program
KR101624218B1 (ko) * 2009-09-14 201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69655B1 (ko) * 2009-09-25 2014-03-0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입력 수신 장치, 입력 수신 방법, 기록 매체, 및 이동 통신 단말기
CN102117140A (zh) * 2009-12-30 2011-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触摸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2375579B (zh) * 2010-08-10 2013-12-04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大触摸屏的输入方法及装置
KR101855250B1 (ko) * 2010-11-03 2018-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02346596B (zh) * 2011-11-14 2013-11-13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触摸操作处理方法和终端
CN102830844A (zh) * 2012-08-17 2012-12-19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触摸屏防误操作方法、触摸屏及移动终端
CN102902478B (zh) * 2012-09-10 2015-12-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防止误触发的方法、装置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38793A (zh) 2014-12-24
EP2975499A4 (en) 2016-06-08
EP2975499B1 (en) 2021-09-29
CN104238793B (zh) 2019-01-22
EP2975499A1 (en) 2016-01-20
WO2014201927A1 (zh)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2294A (ko) 터치 스크린 모바일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78687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897613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403025B1 (ko)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 및 터치 오동작 방지 방법
JP577992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957834B2 (ja) 携帯情報端末、タッチ操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544375B (zh) 觸控功能辨識方法及電子裝置
EP303792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1048401B2 (en) Device,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gesture based scrolling
RU2015104787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риложением посредством распознавания нарисованного от руки изображения
KR101413286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잠금 해제 장치와 방법
KR20150012300A (ko) 터치 스크린의 오조작 방지방법, 터치 스크린, 이동단말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4007930A (zh) 一种移动终端及其实现单手操作的方法和装置
JP201204318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56334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500024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zooming action
JP5875456B2 (ja) タッチパネル誤操作防止入出力装置
TW201741814A (zh) 視窗控制方法及行動終端
CN103927054B (zh) 一种显示操作界面的方法、装置及触摸屏终端
JPWO2011152335A1 (ja) タッチパネル入力を用いた電子機器及びそれによる操作受付方法
CN103870158A (zh)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2693064B (zh) 一种终端退出保护屏幕的方法及系统
KR101285613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홀드 제어장치 및 방법
WO2012098360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improved lock management and user interaction
EP2631754B1 (en) Peekable user interface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