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686A - Touch detec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Touch detec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686A
KR20160021686A KR1020140107306A KR20140107306A KR20160021686A KR 20160021686 A KR20160021686 A KR 20160021686A KR 1020140107306 A KR1020140107306 A KR 1020140107306A KR 20140107306 A KR20140107306 A KR 20140107306A KR 20160021686 A KR20160021686 A KR 20160021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ouch
pads
sensor pads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1099B1 (en
Inventor
정익찬
김준윤
양철승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40107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099B1/en
Publication of KR20160021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6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0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touch detection device. The touch detec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pads made of conducting material; a sensor node in which one portion of at least three sensor pads is disposed; a plurality of signal wires connected to the sensor pads individually; and a touch detection unit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touch based on an output signal from the signal wires. Two sensor pads among the sensor pads included in the sensor node have a shared area. Therefore, when touches occur at different positions even within one sensor node, the different positions can be determined as touch occurrence positions.

Description

터치 검출 장치{TOUCH DETECTING APPARATUS}TOUCH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터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면적이 좁은 터치 발생 수단에 의한 터치일지라도 정확한 터치 발생 지점을 검출해낼 수 있는 터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det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detection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an accurate point of occurrence of a touch even if the touch is generated by a touch generating unit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을 사람의 손가락이나 다른 접촉수단으로 접촉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영상 표시 장치 위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가락 등으로 접촉된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전기적 신호는 입력 신호로서 이용된다. The touch screen panel is a device for inputting a command of a user by touching a character or a figu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with a finger or other contact means of a person, and is attached and us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touch screen panel converts a contact position that is touched by a human finger or the like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electrical signal is used as an input signal.

도 1은 통상적인 터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touch detection apparatus.

도 1에 도시되는 터치 검출 장치는 터치 패널(20)과 구동 장치(30) 및 이 둘을 연결하는 회로 기판(40)을 포함한다.The touch detection device shown in Fig. 1 includes a touch panel 20, a driving device 30, and a circuit board 40 connecting the two.

터치 패널(20)은 기판(21) 위에 형성되며 다각형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센서패드(22) 및 센서패드(22)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배선(23)을 포함한다. The touch panel 2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pads 22 formed on a substrate 21 and arrang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matrix and a plurality of signal wirings 23 connected to the sensor pads 22.

각 신호배선(23)은 한쪽 끝이 센서패드(22)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은 기판(21)의 아래 가장자리까지 뻗어 있다. 센서패드(22)와 신호배선(23)은 커버 유리(50)에 패터닝 될 수 있다.Each signal wiring 23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ensor pad 22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lower edge of the substrate 21. The sensor pad 22 and the signal wiring 23 can be patterned on the cover glass 50. [

구동 장치(30)는 복수의 센서패드(22)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하여 해당 센서패드(22)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터치 발생 여부를 검출해낸다. The driving device 30 sequentially selects a plurality of sensor pads 22 one by one to measure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of the corresponding sensor pad 22, thereby detecting whether or not a touch is generated.

신호배선(23)은 센서패드(22)와 구동 장치(30)를 연결하는데, 이러한 신호배선(23)은 ITO 로 패터닝 될 수 있다. The signal wiring 23 connects the sensor pad 22 and the driving device 30, and this signal wiring 23 can be patterned with ITO.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터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touch detection device shown in Fig. 1. Fig.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패널(20)에는 센서패드(22)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구동 장치(30)는 센서패드(22)들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발생 지점을 판단해낸다. 도 2에서는 센서패드(22)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구동 장치(30)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배선(23)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2, a sensor pad 22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in a touch panel 20, and the driving device 30 drives the touch panel 20 based on an output signal from the sensor pads 22, . In FIG. 2, the signal lines 23 for transmitting output signals from the respective sensor pads 22 to the driving device 30 are omitted.

터치 발생 수단은 센서패드(22)와의 관계에서 터치 정전용량을 형성하기 때문에, 터치가 발생한 센서패드(22)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터치 미발생인 경우와 차이를 보이게 된다. 터치 정전용량은 터치 발생 수단이 센서패드(22)에 닿는 면적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그 면적이 넓을수록 터치 정전용량이 크게 형성되므로, 터치 전후 센서패드(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 차이가 커지게 된다.Since the touch generating means forms the touch capacitance in relation to the sensor pad 22, the output signal from the sensor pad 22 in which the touch occurs is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no touch occurs. The capacitance of the touch capacitance depends on the area of touching the sensor pad 22. The larger the area of the touch capacitance, the larger the capacitance of the touch capacitance. Therefore, the difference in magnitud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pad 22 before and after the touch .

터치 발생 수단이 하나의 센서패드(22)에 대해서만 터치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센서패드(22)가 일정 크기의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행과 열을 이루어 배치되기 때문에 터치 발생 영역은 복수의 센서패드(22)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sensor pads 22 are arranged in a row and a column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touch generating area May be formed to cover the plurality of sensor pads 22.

일 예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치 발생 수단에 의해 형성된 터치 영역(T)이 4개의 센서패드(22_1, 22_2, 22_3, 22_4)를 덮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4개의 센서패드(22_1, 22_2, 22_3, 22_4)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터치 미발생인 경우와 차이를 보이게 된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touch region T formed by the touch generating means covers four sensor pads 22_1, 22_2, 22_3, and 22_4 as shown in FIG. 2, four sensor pads 22_1, 22_2, 22_3, and 22_4) are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the output signal from each of them is not touch generated.

터치 발생 수단과 닿는 면적이 제2 센서패드(22_2)에서 가장 크다고 가정하면, 터치 전후 출력 신호의 차이를 가장 많이 보이는 센서패드는 제2 센서패드(22_2)가 될 것이다. 따라서, 구동 장치(30)는 제2 센서패드(22_2)에서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Assuming that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touch generating means is the largest at the second sensor pad 22_2, the sensor pad having the most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signals before and after the touch will be the second sensor pad 22_2. Accordingly, the driving device 30 determines that the touch has occurred in the second sensor pad 22_2.

이와 같이 종래 터치 검출 방법은 터치 발생 수단이 접촉되는 면적을 기초로 하여 어느 센서패드에 터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Thus, in the conventional touch detection method,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ntact area of the touch generation means that the touch occurred on the sensor pad.

이처럼 터치 발생 수단의 단면적이 넓어 터치 발생 영역(T)이 큰 경우에는 그 정확도에 있어서 큰 문제가 없으나, 터치 발생 수단의 단면적이 센서패드(22)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ouch generating means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sensor pad 22, the following problems may occur. .

터치 발생 수단에 의해 제5 센서패드(22_5) 영역에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5 센서패드(22_5)의 영역 중 좌측 상단에 터치가 발생할 수도 있고(Ta), 중심부 근처에 터치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Tb), 우측 가장자리에 터치가 발생할 수도 있다(Tc). 그러나, 이 세가지 경우 모두 터치 발생 수단과 센서패드(22_5) 간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은 동일하기 때문에, 구동 장치(30)는 어느 경우에나 제5 센서 패드(22_5)의 영역에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게 된다. If a touch occurs in the area of the fifth sensor pad 22_5 by the touch generating means, touch may occur at the upper left of the area of the fifth sensor pad 22_5 (Ta) (Tb), and a touch may occur on the right edge (Tc). However, in all three cases, since the capacitances formed between the touch generating means and the sensor pads 22_5 are the same, the driving device 30 judges that a touch is generated in the area of the fifth sensor pad 22_5 in any case I can not help it.

이에 따르면, 3가지의 경우 모두 터치 지점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제5 센서 패드(22_5)의 무게 중심인 중앙부에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터치 정확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this case, although touch points are different in all three cases, it is determined that a touch is gener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fth sensor pad 22_5, which is the center of gravity.

따라서, 손가락 외 단면적이 좁은 터치 발생 도구의 신규 개발 등의 추세에 맞추어, 그 터치 검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touch det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new developments of the touch generation tool with a small finger cross sectional area.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센서 노드 내에서도 서로 다른 지점에 터치가 발생할 때 서로 다른 지점을 터치 발생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it possible to determine different points as touch occurrence points when touches occur at different points within one sensor no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면적이 좁은 터치 발생 수단을 통한 터치 시 그 터치 지점을 정확하게 검출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cisely detect touch points of a touch through a touch generating means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센서 패드; 적어도 3개의 상기 센서 패드의 일부분이 배치되는 센서 노드; 상기 복수의 센서 패드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의 신호배선; 및 상기 복수의 신호배선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터치 발생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노드에 포함된 상기 센서 패드 중 2개의 센서 패드는 공유 영역을 가지는, 터치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nsor pads ar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 sensor nod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at least three sensor pads are disposed; A plurality of signal lin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pads; And a touch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touch occurrence based on an output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signal wirings, wherein two sensor pads of the sensor pads included in the sensor node have a shared area .

상기 센서 노드에는 제1, 제2, 제3 센서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센서 노드는 상기 제1, 제2, 제3 센서패드가 단독으로 배치된 단독 영역과 상기 제1, 제2, 제3 센서 패드 중 2개의 센서 패드 가 함께 배치된 공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node includes a first sensor pad, a second sensor pad, and a third sensor pad. The sensor node includes a single region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nsor pads are disposed, And a shared area in which two sensor pads of the sensor pads are disposed together.

상기 공유 영역은 상기 3개의 센서 패드 중 2개가 선택되는 모든 조합에 대해 구현될 수 있다.The shared area may be implemented for every combination in which two of the three sensor pads are selected.

상기 단독 영역은 복수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ingle reg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lits.

상기 복수의 슬릿은 각각 상기 센서 노드가 배치된 열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열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절곡을 반복하며 연장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lits may extend in a row direction in which the sensor nodes are arranged, and may be repeatedly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olumn direction.

상기 공유 영역에서는, 상기 2개의 센서 패드가 각각 빗살 패턴을 가지며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the shared area, the two sensor pads may b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with a comb pattern.

상기 빗살 패턴은 상기 센서 노드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열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절곡을 반복하며 연장될 수 있다. The comb tooth pattern may extend in the column direction of the sensor node, and may be repeatedly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olumn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센서 노드 내에 서로 다른 센서 패드의 일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센서 노드 내에서도 서로 다른 터치 발생 지점을 정확히 검출해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art of different sensor pads are arranged in one sensor nod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different touch points in one sensor no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센서 노드 내에서도 터치 발생 지점을 정확히 검출해낼 수 있기 때문에, 단면적이 좁은 터치 발생 수단의 이용이 가능해진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generation point can be accurately detected even in one sensor node, so that the touch generation means having a narrow cross-sectional area can be used.

도 1은 종래의 터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센서 패드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센서 패드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센서 패드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touch detection apparatus.
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touch detection device of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ouch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sensor pads in a touch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ouch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sensor pads in a touch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sensor pads in a touch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는 터치 패널(100)과 구동부(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touch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touch panel 100 and a driver 200.

터치 패널(100)은 복수개의 행과 열을 이루며 배치되는 복수개의 센서 노드(110)를 포함한다. 각각의 센서 노드(110)는 원, 사각형 또는 이와는 다른 다각형의 정형화된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센서 노드(110)가 하나의 열을 이룰 수 있다. The touch panel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10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Each sensor node 110 may have a regular shape of a circle, a square, or another polygon, and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10 may form a single row.

각각의 센서 노드(110)는 복수개의 서브 영역(a, b, c)으로 나뉘는데, 각각의 서브 영역(a, b, c)에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서로 다른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일부분이 하나의 센서 노드(110)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센서 노드(110)가 사각형 형태로 구현되고 제1 센서 노드(110_1)가 3개의 서브 영역(a, b, c)으로 나뉠 때, 제1 서브 영역(a)에는 제1 센서 패드(111_1)의 일부가 배치되고, 제2 서브 영역(b)에는 제2 센서 패드(111_2)의 일부가 배치되며, 제3 서브 영역(c)에는 제3 센서 패드(111_3)의 일부가 배치된다. 제1 센서 패드(111_1)의 나머지 일부는 제1 센서 노드(110_1)와 열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센서 노드(110_2) 및 제3 센서 노드(110_3)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센서 패드(111_2)도 일부는 제1 센서 노드(110_1)의 서브 영역(b)에 배치되지만, 나머지 일부는 제2 센서 노드(110_2) 및 그와 인접한 또 다른 센서 노드에 걸쳐 배치된다. 제3 센서 패드(111_3)도 마찬가지이다. Each of the sensor nodes 1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regions a, b, and c. In each of the sub regions a, b, and c, different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At least a part of which is disposed. Preferably, at least a portion of at least thre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are disposed in one sensor node 11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each sensor node 110 is implement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first sensor node 110_1 is divided into three sub-areas a, b, and c, A part of the first sensor pad 111_1 is disposed in the sub region a and a part of the second sensor pad 111_2 is disposed in the second sub region b, And a part of the sensor pad 111_3 is disposed. The remaining part of the first sensor pad 111_1 is disposed in the second sensor node 110_2 and the third sensor node 110_3 adjacent to the first sensor node 110_1 in the column direction. Likewise, a part of the second sensor pad 111_2 is also arranged in the subarea b of the first sensor node 110_1, while the remaining part is disposed over the second sensor node 110_2 and another sensor node adjacent thereto do. The same applies to the third sensor pad 111_3.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들이 각각 3개의 센서 노드에 걸쳐 배치된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 일 뿐이며, 하나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는 둘 이상의 센서 노드에 걸쳐 배치되면 족하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one sensor pad 111_1, 111_2, and 111_3 are disposed over three sensor nodes, respectively.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it is enough if one sensor pad 111_1, 111_2, 111_3 is disposed over two or more sensor nodes.

예를 들면, 하나의 센서 노드(110)에 배치되는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개수와 하나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가 걸쳐 있는 센서 노드(110)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 노드(110_1)에 배치되는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개수는 3개이고, 각각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가 걸쳐 있는 센서 노드(110)의 수 또한 3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열을 이루는 센서 노드(110)의 개수와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개수는 동일해진다. For example, the number of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disposed in one sensor node 110 and the number of sensor nodes 110 spanning on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are the same .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disposed in the first sensor node 110_1 is three and the number of the sensor nodes 110 in which the respective sensor pads 111_1, 111_2, There may also be three. Accordingly, the number of the sensor nodes 110 forming one row becomes equal to the number of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각각의 센서 노드(110)에 배치된 복수개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들 중 하나는 신호배선(120)를 통해 구동부(200)와 연결된다.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disposed in each sensor node 11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00 through the signal wiring 120. [

이에 따라, 각각의 센서 노드(110)는 하나씩의 신호배선(120)을 통해 구동부(200)와 연결되는 형태가 되며, 하나의 열을 이루는 센서 노드(110)의 개수, 하나의 열을 이루는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개수, 하나의 열과 구동부(220)를 연결하는 신호배선(120)의 개수는 모두 동일해질 수 있다. Accordingly, each sensor node 11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00 through one signal line 120, and the number of the sensor nodes 110 forming one row, The number of the pads 111_1, 111_2, and 111_3, and the number of the signal lines 120 connecting one row and the driver 220 may all be the same.

그러나, 이러한 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센서패드(111_1, 111_2, 111_3)의 크기, 형상에 따라 하나의 열을 이루는 센서패드(111_1, 111_2, 111_3)의 개수가 하나의 열을 이루는 센서 노드(110)의 개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신호배선(120)의 개수도 마찬가지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this example is only one example, and the number of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constituting one row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May not coincide with the number of sensor nodes 110.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signal wirings 120 may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도 3에 도시된 터치 검출 장치의 구조에 따르면, 하나의 센서 노드(110)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터치 발생 시, 각 위치에 따라서 상이한 지점에의 터치로 인식함으로써, 터치 검출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touch det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3, when a touch is generated at different positions within one sensor node 110, the touch detection is recognized as a touch at a different point depending on each position,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한편, 구동부(200)는 터치 검출부(210), 터치 정보 처리부(220), 메모리(230), 제어부(24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직접회로(IC)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검출부(210), 터치 정보 처리부(220), 메모리(230), 제어부(240)는 각각 분리되거나, 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00 may include a touch detection unit 210, a touch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a memory 230, a control unit 240,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integrated circuit (IC) chips. The touch detection unit 210, the touch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the memory 230, and the control unit 240 may be separated, or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터치 검출부(210)는 신호배선(120)과 연결된 복수의 스위치, 복수의 커패시터 및 복수의 임피던스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검출을 위해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를 선택하기 위한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검출부(210)는 멀티플렉서를 통해 특정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를 선택하고, 해당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통해 터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The touch detection unit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es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120, a plurality of capacitors and a plurality of impedance elements and may include a multiplexer for selecting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for touch detection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ouch detection unit 210 selects specific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through the multiplexer and detects whether or not the touch is selected through signals output from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는 터치 발생 수단과의 관계에서 터치 정전용량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터치 정전용량에 따라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는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상이하므로, 그 출력 신호 검출을 통해 해당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에 대한 터치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터치 검출부(210)는 제어부(240)로부터 신호를 받아 터치 검출을 위한 회로들을 구동하고, 터치 검출 결과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터치 검출부(210)는 증폭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출력 신호 차이를 변환 및 증폭 또는 디지털화하여 메모리(230)에 기억시킬 수 있다.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form a touch capacitance in relation to the touch generating means. Since the signals output from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ouch capacitance,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are touched through signal detection. The touch detection unit 210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40, drives circuits for touch detection, and outputs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touch detection result. The touch detection unit 210 may include an amplifier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may convert, amplify or digitize output signal differences of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and store them in the memory 230. [

터치 정보 처리부(220)는 메모리(230)에 기억된 디지털 전압을 처리하여 터치 여부, 터치 면적 및 터치 좌표 등의 필요한 정보를 생성한다.The touch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processes the digital voltage stored in the memory 230 to generate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touch state, touch area, and touch coordinates.

제어부(240)는 터치 검출부(210) 및 터치 정보 처리부(220)를 제어하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펌 웨어를 통해 정해진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touch detection unit 210 and the touch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and may include a micro control unit (MCU), and may perform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through the firmware.

메모리(230)는 터치 검출부(210)로부터 검출된 전압 변화의 차이에 기초한 디지털 전압과 터치 검출, 면적 산출, 터치 좌표 산출에 이용되는 미리 정해진 데이터 또는 실시간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The memory 230 stores the digital voltage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voltage change detected from the touch detection unit 210, predetermined data used for touch detection, area calculation, touch coordinate calculation, or data received in real time.

도 4는 도 3의 센서 노드(110)에서 터치 검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제1 내지 제3 센서패드(111_1, 111_2, 111_3)들의 무게 중심이 각각 제1 내지 제3 센서 노드(110_1, 110_2, 110_3) 내에 존재한다.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ouch detection method in the sensor node 110 of FIG. In FIG. 4, the centers of gravity of the first through third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exist in the first through third sensor nodes 110_1, 110_2, and 110_3, respectively.

도 4를 참조하여 제1 센서 노드(110_1) 내의 영역에 다양한 형태로 터치가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4, it is assumed that a touch occurs in various areas in the first sensor node 110_1.

먼저, 제1 센서 패드(110_1)와 제2 센서 패드(110_2)의 경계인 제1 영역(T1)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에는 터치 발생 수단과 제1 센서 패드(111_1) 사이, 터치 발생 수단과 제2 센서 패드(111_2) 모두에 터치 정전용량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는 신호배선(120)을 통해 구동부(200)와 연결되는데, 제1 영역(T1)에의 터치 발생에 의해 제1 센서 패드(111_1)와 제2 센서 패드(111_2)에서 터치 미발생 시와 상이한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나, 제1 터치 영역(T1)이 덮는 면적이 제1 센서 패드(111_1)에서 더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터치 발생 전후의 출력 신호 크기의 차이는 제1 센서 패드(111_1)에서 더 크게 나타난다. 그 출력 신호 크기의 차이는 터치 발생 수단과 센서 패드 간 접촉되는 면적에 비례할 것이다. 이에 따라 구동부(200)는 제1 센서 노드(110_1) 내에서 제1 센서 패드(111_1)와 제2 센서 패드(111_2)의 경계 지점이되, 제1 센서 패드(111_1)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위치에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터치 발생 위치로서 판단된 지점과 제1 센서 패드(111_1)와 제2 센서 패드(111_2)의 경계 지점까지의 거리는 터치 발생 수단이 제1 센서 패드(111_1)를 덮는 면적과 제2 센서 패드(111_2)를 덮는 면적 간의 차이에 비례한다. 즉, 구동부(200)는 제1 센서 패드(111_1)의 무게 중심(T1’)에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센서 노드(110_1) 내의 영역에 있어서도 정확한 터치 발생 지점을 찾아내게 된다. First, when a touch occurs in the first region T1, which is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nsor pad 110_1 and the second sensor pad 110_2, the touch generating means and the first sensor pad 111_1, Touch capacitances are formed in all the sensor pads 111_2.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00 through the signal line 120. When the first sensor pad 111_1 is touched by generation of a touch to the first region T1, And the second sensor pad 111_2. However, since the area covered by the first touch area T1 is larger in the first sensor pad 111_1, the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before and after the touch is generated is larger in the first sensor pad 111_1. The difference in output signal magnitude will be proportional to the area of contact between the touch generating means and the sensor pad.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200 is a boundary point between the first sensor pad 111_1 and the second sensor pad 111_2 in the first sensor node 110_1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relatively closer to the first sensor pad 111_1 It is possible to judge that a touch has occurred.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at which the touch generating position is determined and the boundary point between the first sensor pad 111_1 and the second sensor pad 111_2 is determined by the area of the second sensor pad 111_2 Lt; RTI ID = 0.0 > area). ≪ / RTI > That is, the driver 200 does not determine that a touch occurs in the center of gravity T1 'of the first sensor pad 111_1, but also finds an accurate touch point in the first sensor node 110_1 .

다음으로, 터치 발생 영역이 제1 센서 패드(111_1), 제2 센서 패드(111_2), 제3 센서 패드(111_3) 모두를 일부 덮는 제2 터치 영역(T2)인 경우를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에는 제2 터치 영역(T2)이 자치하는 면적이 제2 센서 패드(111_2)에서 제일 넓으므로, 최종적으로 판단되는 터치 발생 위치는 제1 센서 패드(111_1), 제2 센서 패드(111_2), 제3 센서 패드(111_3)가 맞닿아 있는 영역이되, 제2 센서 패드(111_2) 쪽으로 일부 치우친 지점이 될 수 있다. Next, it is assumed that the touch generation region is a second touch region T2 covering a part of the first sensor pad 111_1, the second sensor pad 111_2, and the third sensor pad 111_3.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sensor area 111_2 has the largest area occupied by the second touch area T2, the touch occurrence position finally determined is the first sensor pad 111_1, the second sensor pad 111_2, And the third sensor pad 111_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ay be a point deviated partly toward the second sensor pad 111_2.

마지막으로, 터치 발생 영역이 제1 센서 패드(111_1)와 제3 센서 패드(111_3)를 덮는 제3 터치 영역(T3)인 경우를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에는 제3 터치 영역(T3)이 자치하는 면적이 제1 센서 패드(111_1)보다 제3 센서 패드(111_3)에서 더 넓으므로, 최종적으로 터치 발생 위치로 판단되는 지점은 제1 센서 패드(111_1)와 제3 센서 패드(111_3)의 경계 영역이되, 제3 센서 패드(111_3) 쪽으로 일부 치우친 지점이 될 수 있다. Finally, it is assumed that the touch generation region is a third touch region T3 covering the first sensor pad 111_1 and the third sensor pad 111_3. In this case, the area occupied by the third touch area T3 is wider at the third sensor pad 111_3 than at the first sensor pad 111_1, 111_1 and the third sensor pad 111_3 and may be a point deviated to some extent toward the third sensor pad 111_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센서 노드(110_1) 내에서 터치가 발생하더라도 어느 위치에 터치가 발생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지점에서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된다. 즉, 하나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가 여러 센서 노드(110_1, 110_2, 110_3)에 걸쳐서 배치되고, 하나의 센서 노드(110_1, 110_2, 110_3)에는 복수개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센서 노드(110_1) 내에서도 어떠한 영역에 터치가 발생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지점에서의 터치로 인식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touch occurs in one sensor node 110_1, it is finally determined that a touch occurs at different points depending on whether a touch occurs at a certain position. That is, on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are disposed over the sensor nodes 110_1, 110_2, and 110_3, and a plurality of sensor pads 111_1, 111_2, 111_3 are disposed in the sensor node 110_1. Therefore, even in one sensor node 110_1, a touch at different points is recognized according to which area the touch is generated.

환언하면, 종래의 터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는 하나의 센서 노드에 하나씩의 센서 패드만이 배치되므로, 센서 노드 내의 어떠한 영역에 터치가 발생하더라도 모두 해당 센서 노드의 중심점이 터치 발생 지점으로 인식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센서 노드 내일지라도 터치가 발생하는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지점을 터치 발생 지점으로 인식하게 되고, 그 인식되는 터치 지점은 실제의 터치 발생 지점과 최대한 근접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conventional touch detection apparatus, since only one sensor pad is disposed in one sensor node, the center point of the corresponding sensor node is recognized as a touch generation point regardless of any area in the sensor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one sensor node, a different point is recognized as a point of occurrence of a touch according to a point at which a touch occurs, and the recognized point of touch can be as close as possible to an actual point of occurrence of a touch.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센서 패드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sensor pads in a touch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센서 노드(110_1)에 3개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적어도 일부 부분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 노드(110_1) 내의 영역을 9개의 부분(a, b, c, d, e, f, g, h, i)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면, a, d, e, g, 총 4개의 영역에는 제1 센서 패드(111_1)의 일부분이 배치되고, c 영역에는 제2 센서 패드(111_2)의 일부분이 배치되며, i 영역에는 제3 센서 패드(111_3)의 일부분이 배치된다. 또한, b 영역에는 제1 센서 패드(111_1)의 일부분과 제2 센서 패드(111_2)의 일부분이 함께 배치되며, h 영역에는 제1 센서 패드(111_1)와 제3 센서 패드(111_3)의 일부분이 함께 배치된다. 그리고, f 영역에는 제2 센서 패드(111_2)와 제3 센서 패드(111_3)의 일부분이 함께 배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5, at least some of the thre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are disposed in one sensor node 110_1. D, e, g, and a total of four regions (a, b, c, d, e, f, g, h, i) A portion of the first sensor pad 111_1 is disposed in the region, a portion of the second sensor pad 111_2 is disposed in the region c, and a portion of the third sensor pad 111_3 is disposed in the i region. A portion of the first sensor pad 111_1 and a portion of the second sensor pad 111_2 are disposed together in the region b and a portion of the first sensor pad 111_1 and the third sensor pad 111_3 is disposed in the region h . A portion of the second sensor pad 111_2 and the third sensor pad 111_3 are disposed in the f region.

종합해보면, 하나의 센서 노드(110_1)에 3개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일부분이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센서 노드(110_1)를 센서 노드의 모양을 축소해 놓은 복수개의 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일부의 영역에서는3개의 센서 패드(111_1) 중 2개의 센서 패드 일부분에 함께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In summary, a portion of thre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is disposed in one sensor node 110_1, and one sensor node 110_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in which the shape of the sensor node is reduced And in some of the three sensor pads 111_1, some of the two sensor pads may be disposed together.

2개의 센서 패드 일부분이 함께 배치되어 있는 영역(b, f, h)은 공유 영역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공유 영역(b, f, h)에는 빗살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센서 패드가 서로 접속되지 않게 교호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반대로, 일부 영역(a, c, d, e, g, i)에서는 제1 내지 제3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가 각각 단독으로 배치되는데, 이러한 영역(a, c, d, e, g, i)을 단독 영역으로 칭할 수 있다. The two areas (b, f, h) where two sensor pads are disposed together may be referred to as a shared area. In this shared area (b, f, h) So that it can be alternately arranged. Conversely, the first through third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are individually disposed in some areas (a, c, d, e, g, g, i) can be referred to as a single area.

공유 영역(b, f, h)들 내에서는 하나의 센서 노드(110_1)에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되는 3개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 중 2개씩의 모든 조합이 배치될 수 있다. 환언하면, 공유 영역(b, f, h)은 3개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 중 2개가 선택되는 모든 조합에 대해 구현될 수 있다. All combinations of two of the thre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disposed in one sensor node 110_1 may be disposed in the shared areas b, f, and h. In other words, the shared areas b, f, and h can be implemented for all combinations in which two of the thre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are selected.

b 영역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해당 영역에서 제1 센서 패드(111_1) 및 제2 센서 패드(111_2)는 모두 빗살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센서 패드(111_1)의 빗살 패턴 사이사이에 제2 센서 패드(111_2)의 빗살 패턴이 배치되어 있다. the first sensor pad 111_1 and the second sensor pad 111_2 are formed in a comb pattern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the second sensor pad 111_1 and the second sensor pad 111_2 are formed in a comb tooth pattern between the comb tooth patterns of the first sensor pad 111_1. A comb pattern of the sensor pad 111_2 is disposed.

도 5에서는 하나의 센서 노드(110_1) 내의 영역을 센서 노드(110_1)를 축소해 놓은 모양의 9개의 영역, 구체적으로는, 3×3의 영역(a, b, c, d, e, f, g, h, i)으로 나누어, 1 열의 영역(a, d, g)과 2행 2열의 영역(e)에는 제1 센서 패드(111_1)가 배치되고, 1행 3열의 영역(c)과 3행 3열의 영역(i)에는 각각 제2 센서 패드(111_2)와 제3 센서 패드(111_3)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또한, 1행 2열의 영역(b)에는 제1 센서 패드(111_1)와 제2 센서 패드(111_2)가 함께 배치되고, 3행 2열의 영역(h)에는 제1 센서 패드(111_1)와 제3 센서 패드(111_3)가 함께 배치되며, 2행 3열의 영역(f)에는 제2 센서 패드(111_2)와 제3 센서 패드(111_3)가 함께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각각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들은 터치 패널 구현 시 그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 동일한 형태를 가져야 하는데, 이에 따라, 제1 센서 노드(110_1)와 열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센서 노드(110_2) 및 제3 센서 노드(110_3)에서는 제1 센서 노드(110_1)에서의 배치 형태와 좌우 대칭 회전된 형태로 배치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 노드(110_2)도 제1 센서 노드(110_1)와 동일하게 3×3의 영역으로 나눈다면, 3열 영역, 2행 2열의 영역에는 제2 센서 패드(111_2)가 배치되고, 3행 1열에는 제1 센서 패드(111_1)가 배치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1행 1열에는 또 다른 센서 패드가 배치될 것이다. 한편, 3행 2열의 영역에서는 제2 센서 패드(111_2)와 제1 센서 패드(111_1)가 함께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동일하게, 제3 센서 노드(110_3)도 제1 센서 노드(110_1)와 동일하게 3×3의 영역으로 나눈다면, 3열 영역, 2행 2열의 영역에는 제3 센서 패드(111_3)가 배치되고, 1행 1열에는 제1 센서 패드(111_1)가 배치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3행 1열에는 또 다른 센서 패드가 배치될 것이다. 한편, 1행 2열의 영역에서는 제3 센서 패드(111_2)와 제1 센서 패드(111_1)가 함께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센서 노드씩 번갈아 가면서 좌우 대칭 회전된 형태로 센서 패드 배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열에서 홀수번째 센서 노드들의 센서 패드 배치 형태가 동일한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마찬가지로 짝수번째 센서 노드들의 센서 패드 배치 형태가 또한 동일한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5, the sensor nodes 110_1 are divided into nine regions, that is, 3x3 regions (a, b, c, d, e, f, the first sensor pad 111_1 is arranged in the area (a, d, g) of one row and the area (e) of the second row and the second column, And the second sensor pad 111_2 and the third sensor pad 111_3 are disposed in the area (i) of the third row. The first sensor pad 111_1 and the second sensor pad 111_2 are disposed together in the area b o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column and the first sensor pad 111_1 and the third sensor pad 111_1 are disposed in the area h of the third row and the second column. The sensor pad 111_3 is arranged together and the second sensor pad 111_2 and the third sensor pad 111_3 are arranged together in the area f in the second row and the third column. Each of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must have the same shape for ease of manufacture when the touch panel is implemented. Accordingly, the second sensor node 110_2 adjacent to the first sensor node 110_1 in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third sensor node 110_3 are arranged in a symmetrical manner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in the first sensor node 110_1. Specifically, if the second sensor node 110_2 is divided into 3 × 3 regions as in the first sensor node 110_1, the second sensor pad 111_2 is disposed in the third column region and the second row and second column regions And the first sensor pad 111_1 is disposed in the third row and the first column.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nother sensor pad will be arranged in the first row and the first column.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ensor pad 111_2 and the first sensor pad 111_1 may be disposed together in the third row and the second column. Similarly, if the third sensor node 110_3 is divided into 3 × 3 regions as in the first sensor node 110_1, the third sensor pad 111_3 is disposed in the third column region and the second row and second column regions , And the first sensor pad 111_1 is disposed in the first row and the first column. Further, although not shown, another sensor pad will be disposed in the third row and the first column. On the other hand, the third sensor pad 111_2 and the first sensor pad 111_1 may be disposed together in the area o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colum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arrangement of the sensor pads may be changed in a symmetrical manner with each sensor node being alternately turned. That i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sensor pads of the odd-numbered sensor nodes in one column is the same pattern, and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sensor pads of the even-numbered sensor nodes is also the same pattern.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센서 노드(110_1, 110_2, 110_3) 내에 복수개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 일부분이 배치되는 것으로 족하다. 또한, 하나의 센서 노드(110_1, 110_2, 110_3) 내의 영역을 센서 노드(110_1, 110_2, 110_3)와 동일하되 그 크기가 축소된 복수개의 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가 함께 배치되면 바람직하다.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is only one embodimen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plurality of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is disposed in one sensor node 110_1, 110_2, and 110_3 It suffices. When the sensor nodes 110_1, 110_2, and 110_3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hat are the same as the sensor nodes 110_1, 110_2, and 110_3 and are reduced in size, (111_1, 111_2, 111_3) are disposed together.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터치 검출 장치의 터치 검출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ouch detection method of the touch det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5 in brief.

종래 기술과 같이 하나의 센서 노드(110_1)에 하나의 센서 패드만이 배치되어 있다면, ‘T1’ 또는 ‘T2’ 지점에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모두 센서 노드(110_1)의 중심에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는 터치 발생이 하나의 센서 패드에만 이루어지고, 해당 센서 패드의 무게 중심은 센서 노드(110_1)의 중심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If only one sensor pad is disposed in one sensor node 110_1 as in the related art, it is determined that a touch occurs at the center of the sensor node 110_1 when a touch occurs at a point 'T1' or 'T2' . This is because the touch generation is performed on only one sensor pad,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nsor pad is the same as the center of the sensor node 110_1.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T1’ 지점에 터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제1 센서 노드(110_1) 내의 영역 중 제1 센서 패드(111_1)와 제2 센서 패드(111_2)의 경계의 영역에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T2’ 지점에 터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제1 센서 노드(110_1) 내의 영역 중 제1 센서 패드(111_1)와 제3 센서 패드(111_3)의 경계의 영역에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센서 노드(110_1) 내의 영역에서도 터치 발생 위치에 따라 터치 발생 지점 판단을 정확하게 해낼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ouch occurs at the 'T1' point, the area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nsor pad 111_1 and the second sensor pad 111_2 in the area within the first sensor node 110_1 When a touch occurs at a point 'T2', it is determined that a touch occurs in the reg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nsor pad 111_1 and the third sensor pad 111_3 in the area within the first sensor node 110_1 It can be determined that a touch has occurred.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oint of occurrence of the touch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occurrence even in the area within one sensor node 110_1.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센서 패드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sensor pads in a touch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실시예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하나의 센서 노드(110_1)에 3개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적어도 일부 부분이 배치된다. 센서 노드(110_1)를 센서 노드(110_1)의 축소된 모양으로 3×3 형태로 나누었을 때, 도 5와 동일하게 a, d, e, g, 총 4개의 영역에는 제1 센서 패드(111_1)의 일부분이 배치되고, c 영역에는 제2 센서 패드(111_2)의 일부분이 배치되며, i 영역에는 제3 센서 패드(111_3)의 일부분이 배치된다. 또한, b 영역에는 제1 센서 패드(111_1)의 일부분과 제2 센서 패드(111_2)의 일부분이 함께 배치되며, h 영역에는 제1 센서 패드(111_1)와 제3 센서 패드(111_3)의 일부분이 함께 배치된다. 그리고, f 영역에는 제2 센서 패드(111_2)와 제3 센서 패드(111_3)의 일부분이 함께 배치되어 있다. 7, at least some of the thre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are disposed in one sensor node 110_1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When the sensor node 110_1 is divided into a 3 × 3 shape in a reduced shape of the sensor node 110_1, the first sensor pad 111_1 is provided in four regions a, d, e, and g, A portion of the second sensor pad 111_2 is disposed in the c region, and a portion of the third sensor pad 111_3 is disposed in the i region. A portion of the first sensor pad 111_1 and a portion of the second sensor pad 111_2 are disposed together in the region b and a portion of the first sensor pad 111_1 and the third sensor pad 111_3 is disposed in the region h . A portion of the second sensor pad 111_2 and the third sensor pad 111_3 are disposed in the f region.

도 7의 실시예가 도 5와 다른 점은 서로 다른 센서 패드가 함께 배치되어 있는 공유 영역(b, f, h)에서 각 센서 패드의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는 해당 공유 영역(b, f, h)에서 2개의 센서 패드가 모두 빗살 패턴으로 형성되어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구현되었으나, 도 7에서는 각각의 빗살 패턴들이 톱날 패턴으로 형성된다. The embodiment of FIG. 7 is different from that of FIG. 5 in the form of sensor pads in shared areas (b, f, h) where different sensor pads are arranged together. 5, two sensor pads are formed in comb tooth patterns in the corresponding shared areas b, f, and h, and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However, in FIG. 7, each comb tooth pattern is formed as a saw tooth pattern .

먼저, 센서 노드(110_1) 내의 영역 중 1행 2열의 영역(b)을 참조하면, 제1 센서 패드(111_1)와 제2 센서 패드(111_2)가 모두 빗살 패턴으로 형성되되, 해당 빗살 패턴은 톱날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빗살 패턴이 센서 노드(110_1)의 열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0°<θ<90°)로 절곡을 반복하며 연장될 수 있다. 제1 센서 패드(111_1)의 빗살 패턴이 톱날 패턴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센서 패드(111_1)의 빗살 패턴 사이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되는 제2 센서 패드(111_2)의 빗살 패턴 또한 이와 대응되도록 톱날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referring to the area (b) o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column of the area in the sensor node 110_1, the first sensor pad 111_1 and the second sensor pad 111_2 are formed in a comb pattern, Pattern. Specifically, each comb pattern can be extended by repeating b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0 DEG < < 90 DEG) with respect to the column direction of the sensor node 110_1. The comb tooth patterns of the first sensor pads 111_1 are formed in the saw tooth pattern so that the comb tooth patterns of the second sensor pads 111_2 interposed between the comb tooth patterns of the first sensor pads 111_1 are also matched with the comb tooth patterns of the second sensor pads 111_1, Pattern is preferably formed.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장치 위에 적층되거나 내부에 내장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 편광판, 기판, 액정층, 픽셀 층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픽셀 층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층의 면(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컬러 필터를 의미하며, 적색, 녹색, 청색(이하, R, G, B이라 함)의 화소 단위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컬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touch panel may be stacked on or embedded in the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backlight, a polarizing plate, a substrate, a liquid crystal layer, a pixel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 G, and B), and colors can be implement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units of red, green, and b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 G, and B) pixels.

픽셀 층은 R, G, B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데, 상부 터치 패널에 배치된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빗살 패턴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면, 각 빗산 패턴이 R, G, B 서브 픽셀과 중첩되는 면적이 각 영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로 인해, 픽셀 각각은, 각 픽셀 위에 중첩된 신호배선(120)의 광투과율에 따라 각 픽셀이 발생시키는 색온도에 차이를 보이게 되고, 색감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도 7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R, G, B 서브 픽셀의 방향과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빗살 패턴이 일정 각도씩 절곡을 반복하며 연장됨에 따라 각 빗살 패턴과 R, G, B 서브 픽셀이 서로 중첩되는 면적에 큰 차이가 없게 된다. 따라서, 영역에 따른 색온도 차이 및 색감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The pixel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including R, G, and B subpixels. When the comb tooth patterns of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disposed on the upper touch panel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The area overlapping with the R, G, and B subpixels varies depending on each region. As a result, each of the pixels exhibits a difference in color temperature caused by each pixel according to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ignal wiring 120 superimposed on each pixel, and a color difference occu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As the comb pattern of the R, G, and B sub pixels and the comb tooth patterns of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repeatedly bend at certain angles, the comb pattern and the R, G, and B sub pixels overlap each other There is no big difference. Accordingly, the color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gion can be minimized.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센서 패드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sensor pads in a touch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도 7과 동일한 패턴으로 센서 노드(110_1, 110_2, 110_3)에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들이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are disposed in the sensor nodes 110_1, 110_2, and 110_3 in the same pattern as in FIG.

도 7과 다른 점은 각각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는 복수개의 슬릿(L)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The difference from FIG. 7 is that each of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includes a plurality of slits L.

제1 센서 노드(110_1)에 대해서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노드(110_1) 내에서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들이 단독으로 배치되는 단독 영역(a, c, d, e, g, i)이 있는데, 이러한 단독 영역에 배치되는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에 슬릿(L)이 형성될 수 있다. C, d, e, g, and g in which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are disposed in the sensor node 110_1,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i, and slits L may be formed in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disposed in such a single region.

도 8에서는 슬릿(L)이 공유 영역(b, f, h)에서의 센서 패드 패턴, 즉, 톱날 패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즉, 슬릿(L)이 열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열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0°<θ<90°)로 절곡을 반복하며 연장되는 패턴이 예시되었다.In FIG. 8, the slit L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ensor pad pattern, that is, the saw blade pattern, in the shared areas (b, f, h). That is, a pattern in which the slit L is extended in the column direction and repeatedly b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0 DEG < < 90 DEG) with respect to the column direction is exemplified.

슬릿(L)의 폭은 공유 영역(b, f, h)에서 센서 패드들 간의 간격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dth of the slit L is preferably equal to the spacing between the sensor pads in the shared areas b, f, h.

공유 영역(b, f, h)에는 2개씩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들이 교호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형성되게 된다. 단독 영역(a, c, d, e, g, i)에 슬릿(L)이 형성되되 그 슬릿(L)의 폭을 상기 공유 영역(b, f, h)에서 2개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 간 간격과 동일하게 한다면, 단독 영역(a, c, d, e, g, i)과 공유 영역(b, f, h)이 동일한 패턴을 가지게 된다.Since two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shared areas b, f, and h,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The slits L are formed in the single regions a, c, d, e, g and i, and the width of the slits L is set to two sensor pads 111_1 and 111_2 , And the shared areas b, f, and h have the same pattern, if they are the same as the inter-cell spacing a, c, d, e, g and i.

이에 따르면, 단독 영역(a, c, d, e, g, i)과 공유 영역(b, f, h) 간 광투과 특성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적층될 시 그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light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ingle areas a, c, d, e, g, and i and the shared areas b, f, h are minimized, the visibility when stacked on the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have.

시인성 향상을 위해 공유 영역(b, f, h)에서 2개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가 빗살 형태로 교호적으로 배치된다면, 단독 영역(a, c, d, e, g, i)에서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에도 직선 형태의 슬릿(L)이 형성되어야 바람직할 것이다. (A, c, d, e, g, i) are arranged alternately in the comb shape in the shared areas (b, f, h)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ts L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are also formed on the sensor pads 111_1, 111_2, 111_3 in the sensor pads 111_1, 111_2, 111_3.

즉, 단독 영역(a, c, d, e, g, i)에서의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에 형성되는 슬릿(L)의 패턴은 공유 영역(b, h, f)에 배치되는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연장 패턴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히다.That is, the patterns of the slits L formed in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in the individual regions a, c, d, e, g, and i are disposed in the shared regions b, h,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extending pattern of the sensor pads 111_1, 111_2, 111_3.

이 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와 연결되는 신호 배선(120) 또한 공유 영역(b, h, f)에 배치되는 센서 패드(111_1, 111_2, 111_3)의 연장 패턴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ignal wiring 120 connected to each of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is also an extension of the sensor pads 111_1, 111_2, and 111_3 disposed in the shared areas b, h, It is preferable to form it in the same manner as the patter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터치 패널
110: 센서 노드
111: 센서 패드
120: 신호배선
200: 구동부
210: 터치 검출부
220: 터치정보 처리부
230: 메모리
240: 제어부
100: Touch panel
110: sensor node
111: Sensor pad
120: Signal wiring
200:
210:
220: Touch information processor
230: Memory
240:

Claims (7)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센서 패드;
적어도 3개의 상기 센서 패드의 일부분이 배치되는 센서 노드;
상기 복수의 센서 패드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의 신호배선; 및
상기 복수의 신호배선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터치 발생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노드에 포함된 상기 센서 패드 중 2개의 센서 패드는 공유 영역을 가지는, 터치 검출 장치.
A plurality of sensor pad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 sensor nod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at least three sensor pads are disposed;
A plurality of signal lin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pads; And
And a touch detection section for detecting a touch occurrence based on an output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signal wirings,
Wherein two sensor pads of the sensor pads included in the sensor node have a shared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에는 제1, 제2, 제3 센서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센서 노드는 상기 제1, 제2, 제3 센서패드가 단독으로 배치된 단독 영역과 상기 제1, 제2, 제3 센서 패드 중 2개의 센서 패드 가 함께 배치된 공유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검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node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sensor pads,
Wherein the sensor node includes a touch area including a single area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nsor pads are independently disposed, and a shared area in which two sensor pads of the first, second,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영역은 상기 3개의 센서 패드 중 2개가 선택되는 모든 조합에 대해 구현되는 터치 검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red region is implemented for every combination in which two of the three sensor pads are selec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독 영역은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는 터치 검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ingle region includes a plurality of slit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릿은 각각 상기 센서 노드가 배치된 열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열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절곡을 반복하며 연장되는, 터치 검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slits extend in a row direction in which the sensor nodes are arranged, and repeatedly ben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olumn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영역에서는, 상기 2개의 센서 패드가 각각 빗살 패턴을 가지며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터치 검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hared area, the two sensor pads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with a comb patter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 패턴은 상기 센서 노드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열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절곡을 반복하며 연장되는, 터치 검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mb tooth pattern extends in a row direction of the sensor node and repeatedly bend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olumn direction.

KR1020140107306A 2014-08-18 2014-08-18 Touch detecting apparatus KR1016310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306A KR101631099B1 (en) 2014-08-18 2014-08-18 Touch det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306A KR101631099B1 (en) 2014-08-18 2014-08-18 Touch detec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686A true KR20160021686A (en) 2016-02-26
KR101631099B1 KR101631099B1 (en) 2016-06-16

Family

ID=5544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306A KR101631099B1 (en) 2014-08-18 2014-08-18 Touch detec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09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849A (en) * 2009-06-16 2010-12-24 남동식 Touch panel 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849A (en) * 2009-06-16 2010-12-24 남동식 Touch panel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099B1 (en)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8035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having dummy pixel eletrodes in a bezel region
US10712878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JP6549976B2 (en) Touch detec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US10338738B2 (en)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07783689B (en) Driver chip, circuit film, chip-on-film type driver circuit, and display device
KR20190054948A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JP2018181203A (en) Display device
CN110045885A (en) Use the capacitive sensing of matrix electrodes pattern
JP2009163739A (en) Position sensing display
EP3951566A1 (en) Touch control substrate, touch control device, and touch-control detection method
KR101603961B1 (en) Touch detecting apparatus
US9927916B2 (en) Touch detection device with sensor pads having bar-shaped strips
JP5475498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KR101502910B1 (en) Touch detecting apparatuse for improving visualbility and touch detecting
KR101461928B1 (en) Touch detecting apparatuse for improving visualbility
KR101631099B1 (en) Touch detecting apparatus
KR101707391B1 (en) Touch detecting apparatus for hybrid scan type touch detecting
JP2011238146A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equipped therewith
US20170185219A1 (en) Touch screen display device
WO2014178577A1 (en) Touch detection device
KR101687218B1 (en) Flexible touch detecting apparatuse for improving visualbility
KR101621277B1 (en) Touch detecting apparatus
KR101520724B1 (en) Touch detecting apparatuse for improving accuracy of touch detecting
KR101585919B1 (en) Touch detecting apparatus
KR20150025832A (en) Touch detecting apparatuse for improving touch detec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