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511A -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팩 - Google Patents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1511A KR20160021511A KR1020140106833A KR20140106833A KR20160021511A KR 20160021511 A KR20160021511 A KR 20160021511A KR 1020140106833 A KR1020140106833 A KR 1020140106833A KR 20140106833 A KR20140106833 A KR 20140106833A KR 20160021511 A KR20160021511 A KR 201600215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cell
- pcm
- battery pack
- connecting member
-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990 N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153 Hydroxyprop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Natural products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863 hydroxypropyl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0977 hydroxypropyl 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627 regenerated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5608 sulfonated EPD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BFKJFAAPBSQJPD-UHFFFAOYSA-N tetrafluoroethene Chemical group FC(F)=C(F)F BFKJFAAPBSQJP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claims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4 heat shrinka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셀;과 보호회로 모듈(PCM), 및 하기 접속부재들이 결합되도록 상기 PCM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접속부들을 포함하고 있는 PCM 어셈블리;와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보호회로 모듈이 상부에 탑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지셀의 상단 면에 장착되는 절연성 장착부재;와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들과 PCM의 단자 접속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접속부재와 제 2 접속부재; 및 상기 PCM이 탑재된 상태에서 절연성 장착부재를 감싸면서 전지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절연성 캡;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지셀의 전지케이스는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도록 상단이 개방된 구조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방 상단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접속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돌출형 단자에 직접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속부재는 돌출형 단자를 제외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에 직접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접속부재가 접속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의 부위에는, PCM 어셈블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접속부재의 전지셀 접속 단부를 수용하면서 제 2 접속부재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차전지 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전지셀, 보호회로 모듈(PCM) 및 접속부재들을 포함하고 있는 PCM 어셈블리, 및 절연성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지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와 베이스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에는 제 2 접속부재가 접속되는 부위에는 제 2 접속부재의 전지셀 접속 단부가 도입되는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PCM 어셈블리의 유동을 방지하고 전지팩 제조에 소요되는 부재 수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여 전지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에는 각종 가연성 물질들이 내장되어 있어서, 과충전, 과전류, 기타 물리적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발열,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안전성에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에는 과충전 등의 비정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보호회로모듈(PCM)이 전지셀에 접속된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PCM은 용접 또는 솔더링 방식으로 전지셀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전지셀의 일부 전극단자에 클래드(clad)를 부착한 후, 접속부재로서의 니켈 플레이트를 PCM의 접속단자와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각각 용접하는 방식으로, PCM을 전지셀에 연결하여 전지팩을 제조한다.
상기 클래드는, 전지케이스가 알루미늄 캔으로 이루어진 각형 전지셀에서 전지케이스인 양극에 니켈 플레이트를 저항 용접에 의해 결합시킬 때 요구된다.
이를 위해 클래드를 전지케이스의 해당 부위에 부착하고, 그러한 클래드에 니켈 플레이트의 일측 단부를 용접하여야 하지만, 전지셀의 작은 구조로 인해 정밀한 작업으로 진행되어야 하고, 그 만큼 불량의 가능성이 높다. 또한, 클래드의 사용으로 인해 전지팩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전지팩 제조에 사용되는 부재들의 수를 줄여 조립공정을 간소화하고, 조립 과정에서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팩에 소요되는 부재 수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여 전지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팩은,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고, 상단에 전극단자들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를 제어하는 보호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회로 모듈(PCM), 및 하기 접속부재들이 결합되도록 상기 PCM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접속부들을 포함하고 있는 PCM 어셈블리;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보호회로 모듈이 상부에 탑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지셀의 상단 면에 장착되는 절연성 장착부재;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들과 PCM의 단자 접속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접속부재와 제 2 접속부재; 및
상기 PCM이 탑재된 상태에서 절연성 장착부재를 감싸면서 전지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절연성 캡;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지케이스는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도록 상단이 개방된 구조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방 상단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접속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돌출형 단자에 직접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속부재는 돌출형 단자를 제외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에 직접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접속부재가 접속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의 부위에는, PCM 어셈블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접속부재의 전지셀 접속 단부를 수용하면서 제 2 접속부재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지케이스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에 별도의 접속용 만입홈을 형성하는 경우, 별도의 클래드(clad)를 사용하지 않고도 접속부재가 PCM과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바, 클래드 스팟(spot) 용접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전지팩의 조립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용 만입홈이 제 2 접속부재의 전지셀 접속 단부를 고정하기 때문에 PCM 어셈블리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전지팩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PCM에는 접속용 관통구가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 1 접속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속용 관통구를 통해 PCM 어셈블리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PCM의 하단면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상기 전지셀 상에 절연성 장착부재와 PCM 어셈블리를 탑재한 상태에서 PCM의 상부로부터 제 1 접속부재와 전지셀 전극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접속부재는 전지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위가 PCM 어셈블리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PCM 어셈블리의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팩은 PCM을 전지셀 상에 탑재한 상태에서 접속부재에 대한 용접 등을 수행하므로,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접속부재를 전지셀에 연결한 후 PCM을 전지셀 상에 장착하는 종래의 이차전지 팩에 비하여 PCM의 장착 과정에서 접속부재가 절곡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 크게 줄어들어, 이차전지 팩의 단위 부피당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2 접속부재는, PCM 접속 단부, 상기 PCM 접속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로부터 수평 절곡된 전지셀 접속 단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예를 들어, 상기 PCM 접속 단부와 전지셀 접속 단부는 단차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한 구조일 수 있고, 상기 단차부와 전지셀 접속 단부 사이의 절곡 부위에는 잉여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잉여 주름은 전지팩의 제작과정이나 사용 중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외부충격을 PCM에 바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 또는 충격을 한번 더 흡수하여 그 영향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속부재는 음극 접속부재이고, 상기 제 2 접속부재는 양극 접속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형 전지셀은 그것의 상단 면에 돌출된 전극단자와 전지 케이스가 각각 음극과 양극단자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개재되어 상호 절연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음극단자에 연결되는 제 1 접속부재, 및 양극단자를 구성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돌출형 단자를 제외한 상단 면에 연결되는 제 2 접속부재가 상기 PCM 내의 회로들과 상기 전지케이스에 삽입된 전극조립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접속부재와 제 2 접속부재는 전도성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전기 전도성과 전성 및 연성이 좋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접속부재로 사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PCM의 회로들과 전지케이스에 삽입된 전극조립체를 연결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절연성 장착부재는 제 2 접속부재가 전지셀에 연결되는 부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지셀의 상단 면 보다 길이방향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며, 전지셀의 음극단자가 상부로 노출되는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개구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에 전지셀의 케이스 상단 돌출부(‘밀봉된 전해액 주입부’)가 상부로 노출되는 제 2 개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절연성 장착부재가 전지셀의 상단 면 보다 길이방향으로 작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PCM 어셈블리의 일측 단부와 전지셀 상단 면의 일측 단부 사이에 접속부재(A)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케이스의 케이스 본체는 가공상의 용이성과 일정 수준 이상의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므로, 금속 캔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캔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속용 만입홈은 제 2 접속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 20 내지 150%의 깊이로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속용 만입홈은 평면상으로 제 2 접속부재의 전지셀 접속 단부의 크기를 기준으로 100 내지 120%의 넓이로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접속부재의 전지셀 접속 단부는 접속용 만입홈에 도전성 접착제가 도포된 테이프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테이프의 양면에 도포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접착제의 소재는, 예를 들어, 금속이나 탄소 등의 양도체 필러(filler)를 포함하는 에폭시(epoxy) 수지계 접착제, 우레탄(urethane) 수지계 접착제, 아크릴 수지계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제 2 접속부재의 전지셀 접속 단부와 접착된 후에 경화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및 불소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상기 테이프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기재이거나 금속 기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면에는 외장 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전지셀을 보호하고 전기적 절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팩은, 전지셀의 종류 및 외형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각형의 리튬 이차전지를 전지셀로서 포함하는 전지팩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 넷북, 웨어러블 전자기기, 노트북 컴퓨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팩은 전지케이스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에 별도의 접속용 만입홈을 형성하는 경우, 별도의 클래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접속부재가 도전성 접착제가 도포된 테이프에 의해 PCM과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이차전지 팩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팩은, 별도의 클래드 없이도 전지셀에 대한 PCM의 전기적 접속이 달성되므로, 제조공정이 간소하여 원재료와 인원을 절감할 수 있어 제조비 절감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PCM 어셈블리가 전지셀에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B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전성 접착제가 양면에 도포된 테이프에 의해 PCM 접속 단부가 접속용 만입홈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이차전지 팩을 조립하는 일련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모식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PCM 어셈블리가 전지셀에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B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전성 접착제가 양면에 도포된 테이프에 의해 PCM 접속 단부가 접속용 만입홈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이차전지 팩을 조립하는 일련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모식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팩의 분해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차전지 팩(100)은,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전지셀(110), 과충전 등의 비정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PCM 어셈블리(120), 상부에 PCM 어셈블리(120)가 탑재되며 전지셀(110)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114)에 장착되는 절연성 장착부재(130), PCM 어셈블리(120)가 탑재된 상태에서 절연성 장착부재(130)를 감싸면서 전지셀(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절연성 상단 캡(140), 전지셀(1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절연성 하단 캡(150), 및 전지셀(110) 케이스의 외면을 감싸며 부착되는 외장 필름(16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지셀(110)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114)에는 전지케이스와 절연된 상태에서 상부로 돌출된 돌출형 단자(112)가 형성되어 있고, 음극단자에 해당하는 돌출형 단자(112)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양극단자를 형성한다. 또한, 금속볼 및 고분자 수지 등에 의해 밀봉된 전해액 주입부(116)가 평면상 원형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단 면(114)의 일측에는 제 2 접속부재(12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접속용 만입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용 만입홈(111)에 제 2 접속부재(123)가 장착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절연성 장착부재(130)는 접착 방식으로 전지셀(110)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114)에 탑재되어 결합되며, 전지셀(110)의 돌출된 돌출형 단자(112)가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절연성 장착부재(130)의 중앙 부위에 제 1 개구(132)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 부위에는 전지셀(110)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114)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제 2 개구(134)가 형성되어 있다.
PCM 어셈블리(120)에는 제 2 접속부재(123)가 하면에 결합되어 있고, 용접용 관통구(122)가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상단 캡(140)은 PCM 어셈블리(120)가 탑재된 상태에서 절연성 장착부재(130)를 감싸면서 전지셀(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전지셀(110)의 상단부 외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하향 연장되어 있고, 상단 면 일측에는 A/S 라벨(142)이 부착되어 있다.
전지케이스의 외면에는 외부와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하고 제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외장 필름(160)이 부착되어 있다. 열수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외장 필름(160)은 튜브 형태로 제조되어 전지셀(110)을 감싼 후 열을 가하여 전지셀(110) 케이스 표면에 수축되면서 밀착되는 구조로 부착된다.
도 2에는 PCM 어셈블리가 전지셀에 결합된 구조의 일부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A-B에 대한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전성 접착제가 양면에 도포된 테이프에 의해 PCM 접속 단부가 접속용 만입홈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PCM 어셈블리(120)의 하면에는 제 1 접속부재(121) 및 제 2 접속부재(123)가 결합되어 있다. 전지셀(110)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접속부재(123)는 PCM 접속 단부(127), 상기 PCM 접속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단차부(125), 및 단차부(125)로부터 수평 절곡된 전지셀 접속 단부(124)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전지셀 접속 단부(124)는 PCM 어셈블리(120)의 외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단차부(125)와 전지셀 접속 단부(124) 사이의 절곡 부위에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도록 잉여 주름(1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접속부재(121)는 용접용 관통구(도 1: 122)를 완전히 밀폐하는 형태로 PCM 어셈블리(120)의 하면에 SMT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제 2 접속부재(123)의 접속 단부(124)를 전지셀(110)의 양극단자인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114)에 형성된 접속용 만입홈(111)에 도전성 접착제(210)가 양면에 도포된 도전성 테이프(200)에 의해 접합시키고, 제 1 접속부재(128)는 전지셀(110)의 음극단자인 돌출형 단자(112)에 연결되므로써, 전지셀(110)과 PCM 어셈블리(120)가 상호간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도 1의 이차전지 팩을 조립하는 일련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모식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는 전지셀(110)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114)에 절연성 장착부재(130)를 결합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도 5에서, 절연성 장착부재(130)는 전지셀(110)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114)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전지셀(110)의 돌출형 단자(112)는 절연성 장착부재(130)의 제 1 개구(132)를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전지셀(110)의 밀봉된 전해액 주입부(116)는 제 2 개구(134)를 관통하여 절연성 장착부재(130)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다.
절연성 장착부재(130)의 길이(I)는 전지셀(110) 상단의 길이(L)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구조에 의해 노출된 전지셀(110)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114)의 일부 부위(L1)에 제 2 접속부재(도 1: 123)의 접속을 위한 접속용 만입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용 만입홈(111)의 길이(L1)는 제 2 접속부재(123)의 전지셀 접속 단부(124)의 크기(도 2: W)를 기준으로 110%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5의 구조에 PCM 어셈블리(120)를 결합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바,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접속부재(123)를 접속용 만입홈(111)에 위치시킨 후 도전성 접착제(210)가 도포된 도전성 테이프(200)를 도포하여 접촉시키고, 제 1 접속부재(121)를 전지셀(110)의 돌출형 단자(도 5: 112)에 위치시킨 후, 용접에 의해 상호간 전기적 접속 및 기계적 연결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도 7에는 도 6의 구조에 절연성 상단 캡(140)을 결합한 구조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도 7을 참조하면, 절연성 상단 캡(140)에는 절연성 장착부재(도 5: 130)의 체결홈(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절연성 상단 캡(140)의 체결구(도시하지 않음)를 절연성 장착부재(도 5: 130)의 체결홈(도시하지 않음)에 삽입하여 상호간 기계적 체결을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지케이스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에 별도의 접속용 만입홈을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클래드(clad)를 사용하지 않고도 접속부재가 PCM과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바, 클래드 스팟(spot) 용접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전지팩의 조립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접속용 만입홈이 제 2 접속부재의 전지셀 접속 단부를 고정하기 때문에 PCM 어셈블리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전지팩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2)
-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고, 상단에 전극단자들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를 제어하는 보호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회로 모듈(PCM), 및 하기 접속부재들이 결합되도록 상기 PCM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접속부들을 포함하고 있는 PCM 어셈블리;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보호회로 모듈이 상부에 탑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지셀의 상단 면에 장착되는 절연성 장착부재;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들과 PCM의 단자 접속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접속부재와 제 2 접속부재; 및
상기 PCM이 탑재된 상태에서 절연성 장착부재를 감싸면서 전지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절연성 캡;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지케이스는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도록 상단이 개방된 구조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방 상단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접속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돌출형 단자에 직접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속부재는 돌출형 단자를 제외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에 직접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속부재가 접속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면의 부위에는, PCM 어셈블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접속부재의 전지셀 접속 단부를 수용하면서 제 2 접속부재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CM에는 접속용 관통구가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 1 접속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속용 관통구를 통해 PCM 어셈블리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PCM의 하단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 상에 절연성 장착부재와 PCM 어셈블리를 탑재한 상태에서 PCM의 상부로부터 제 1 접속부재와 전지셀 전극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부재는 전지셀 접속 단부가 PCM 어셈블리의 상부로부터 노출될 수 있도록 PCM 어셈블리의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부재는, PCM 접속 단부, 상기 PCM 접속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로부터 수평 절곡된 전지셀 접속 단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CM 접속 단부와 전지셀 접속 단부는 단차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와 전지셀 접속 단부 사이의 절곡 부위에는 잉여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재는 음극 접속부재이고, 상기 제 2 접속부재는 양극 접속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재와 제 2 접속부재는 각각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장착부재는 제 2 접속부재가 전지셀에 연결되는 부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지셀의 상단 면 보다 길이방향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며, 전지셀의 음극단자가 상부로 노출되는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개구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에 전지셀의 케이스 상단 돌출부(‘밀봉된 전해액 주입부’)가 상부로 노출되는 제 2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의 케이스 본체는 금속 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속용 만입홈은 제 2 접속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 20 내지 150%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속용 만입홈은 평면상으로 제 2 접속부재의 전지셀 접속 단부의 크기를 기준으로 100 내지 120%의 넓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부재의 전지셀 접속 단부는 접속용 만입홈에 도전성 접착제가 도포된 테이프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테이프의 양면에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및 불소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제 2 접속부재의 전지셀 접속 단부와 접착된 후에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면에는 외장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각형의 리튬 이차전지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팩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 넷북, 웨어러블 전자기기, 또는 노트북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6833A KR101770330B1 (ko) | 2014-08-18 | 2014-08-18 |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6833A KR101770330B1 (ko) | 2014-08-18 | 2014-08-18 |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1511A true KR20160021511A (ko) | 2016-02-26 |
KR101770330B1 KR101770330B1 (ko) | 2017-08-22 |
Family
ID=5544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6833A KR101770330B1 (ko) | 2014-08-18 | 2014-08-18 |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033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42659A (ko) * | 2016-06-20 | 2017-12-28 | 한국광기술원 | 전지용 셀의 접합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전지 셀의 제조방법 |
US11302977B2 (en) | 2017-09-25 | 2022-04-12 | Lg Energy Solution, Ltd. |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connection slo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3635A (ko) | 2022-05-24 | 2023-12-01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심플 배터리팩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2677B1 (ko) * | 2004-06-25 | 2006-01-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101030906B1 (ko) * | 2009-06-18 | 2011-04-2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US9130224B2 (en) * | 2009-07-06 | 2015-09-08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pack |
-
2014
- 2014-08-18 KR KR1020140106833A patent/KR10177033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42659A (ko) * | 2016-06-20 | 2017-12-28 | 한국광기술원 | 전지용 셀의 접합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전지 셀의 제조방법 |
US11302977B2 (en) | 2017-09-25 | 2022-04-12 | Lg Energy Solution, Ltd. |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connection slo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0330B1 (ko) | 2017-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7870B1 (ko) |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 |
US9219266B2 (en) | Secondary battery pack of novel structure | |
KR100846956B1 (ko) | 보호회로 모듈을 갖는 이차전지 | |
KR101671371B1 (ko) | 비돌출 구조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팩 | |
KR101023922B1 (ko) | 원통형 이차전지 팩 | |
US20140023885A1 (en) | Secondary battery pack | |
KR101438439B1 (ko) |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 |
KR101650030B1 (ko) | 보호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 |
KR20130030285A (ko) | 이차전지 팩 | |
KR101198026B1 (ko) |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 |
KR101684349B1 (ko) |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팩 | |
KR20090039503A (ko) | 우수한 에너지 밀도의 이차전지 팩 및 그것을 위한 pcm어셈블리 | |
JP2015510233A (ja) | 新規な構造の二次電池パック | |
KR101770330B1 (ko) |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팩 | |
KR20170040636A (ko)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101531323B1 (ko) | 단자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101750486B1 (ko) |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팩 | |
EP2779270A1 (en) | Embedded battery cell having novel structure | |
KR20090055699A (ko) | 신규한 구조의 pcm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팩 | |
KR101778671B1 (ko) | 클래드가 제거된 이차전지 팩 | |
KR101770331B1 (ko) | 접속용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팩 | |
KR101692822B1 (ko) | 단일 프레임 구조의 전지팩 | |
KR101794943B1 (ko) | 체결 돌기 및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팩 | |
KR101750480B1 (ko) | 기계적 체결 방식의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팩 | |
KR101794942B1 (ko) | 체결부재 및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