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475A -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ing waters surged into a lowered ventilating opening of subwa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ing waters surged into a lowered ventilating opening of sub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475A
KR20160021475A KR1020140106728A KR20140106728A KR20160021475A KR 20160021475 A KR20160021475 A KR 20160021475A KR 1020140106728 A KR1020140106728 A KR 1020140106728A KR 20140106728 A KR20140106728 A KR 20140106728A KR 20160021475 A KR20160021475 A KR 20160021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ventilation
subway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동일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건설(주) filed Critical 동일건설(주)
Priority to KR1020140106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1475A/en
Publication of KR2016002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4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2Gratings; Grid-lik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d prevention apparatus for lowered construction of a subway ventilating opening.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entilation module provided to an upper end part of a subway ventilating opening and formed at the same with or higher than the ground surface and having a central communication unit; a cover module which is a porous plate covering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ventilation module; and a water blocking module coupled to one lower side of the ventilation module to selectively block the communication unit.

Description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ING WATERS SURGED INTO A LOWERED VENTILATING OPENING OF SUBWAY}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merged ventilation duct,

본 발명은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상에서 통행 및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낮춤 시공된 지하철 환기구가 침수될 경우, 환기구 내부로 유체가 과도한 양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mersion prevention device for lowering a subway ventilation h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bmersible ventilation hole for preventing submergence of an excessive amount of fluid into a ventilation hole when the subway ventilation hole is lowered so as not to obstruct passage and view on the ground And to a submergence preventing device for lowering a subway ventilation duct which can be prevented.

도시의 발전이 이어지면서 도심 내부의 고 밀집화가 진행되고, 그에 따라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에 대한 방안으로, 지하시설물의 개발이 늘어나고 있다.As the development of the city continues, the high concentration in the inner city has progressed, and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is increasing as a means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space.

또한, 지하에 건설되는 지하철과 같은 교통수단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transportation such as subways built underground is also increasing.

이러한 지하구조물은 구조물 내부공기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상과 이어진 환기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환기시설은 지면에 설치된 환기구를 통해 지상과 연통되어 있다.These underground structures have ventilation facilities connected to the grou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air inside the structure, and these ventilation facilities are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ventilation openings on the ground.

일반적으로, 지상의 환기구 구조물은 각종 이물질의 유입, 특히 환기구가 설치된 지역이 침수되는 경우에 과도한 양의 유체가 환기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게는 50cm에서 크게는 1.5m가 넘는 높이로 설치되고 있다.In general, the ventilation structure on the ground has a height of more than 1.5 m from 50 cm in order to prevent the inflow of various foreign substances, in particular, when an area where the ventilation hole is flooded is infiltrated with an excessive amount of fluid into the ventilation opening Is being installed.

이러한 환기구 구조물은 일정 면적을 차지하면서, 보행자 또는 다양한 운송수단의 통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ventilation structure occupies a certain area and obstructs the passage of pedestrians or various transportation means.

그리고, 주변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고 주변 상가의 홍보 등에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causing a safety accident and hurting the publicity of the surrounding shopping district by covering the view of the surrounding area.

또한, 주변 주택의 조망권을 침해하는 경우나, 도시 미관을 훼손시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infringing the view of neighboring houses and damaging the beauty of the city.

그에 따라, 환기구 구조물을 낮춤 시공하는 경우에는 환기구 설치지역이 침수될 때 환기구를 통해 지하구조물 내부로 대량의 유체가 유입되어, 인명사고 및 막대한 재산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when the ventilation structure is lowered, a large amount of fluid flows into the underground structur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when the ventilation installation area is submerged, resulting in human accidents and massive property damag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상에서 통행 및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낮춤 시공된 지하철 환기구가 침수될 경우, 환기구 내부로 과도한 양의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n excessive amount of fluid from flowing into a ventilation hole when a subway ventilating hole is flooded, And to provide a submergence preventing device for lowering the subway v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는 지하철의 환기구 상단부에 구비되고, 지면에 비해 같거나 높게 형성되며, 중앙에 연통부가 형성된 환기모듈, 상기 환기모듈의 연통부를 덮는 다공성 플레이트인 커버모듈 및 상기 환기모듈의 하부 일측에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연통부를 차폐하는 차수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mersion prevention apparatus for lowering a subway ventilation duct, the ventilation module including a ventilation modul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 ventilation hole of the subway, A cover module that is a porous plate that covers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ventilation module, and a module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ntilation module and selectively shields the communication portion.

여기서, 상기 환기모듈은 상기 지면에 비해 높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환기모듈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환기모듈의 상면과 상기 지면을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module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that connects the upper surface of the ventilation module to the ground on at least a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ventilation module when the ventilation module is formed to protrude higher than the ground surface.

또한, 상기 차수모듈은 상기 커버모듈 및 상기 차수모듈 간의 상기 연통부 공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의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gree module may include a charging unit of a ty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mmunication space between the cover module and the order module.

이때, 상기 환기모듈은 상기 커버모듈 및 상기 차수모듈 간의 상기 연통부 공간이 하부에 비해 상부가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ntilation module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ommunication space between the cover module and the order module is narrower than the lower par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는 상기 차수모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bmergence preventing device for lowering the subway ventilation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modul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ubordinate module.

이때, 상기 동력모듈은 상기 커버모듈에 인접한 곳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구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cover module for sensing an amount of fluid flowing into the ventilation hole.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에 의하면, 지면상에서 통행 및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낮춤 시공된 지하철 환기구가 침수될 경우, 환기구 내부로 과도한 양의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mersion prevention apparatus for lowering the subway ventilation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xcessive amount of fluid from flowing into the ventilation hole when subway ventilation holes lower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passage and field of view on the ground are submerged .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가 환기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flooding prevention device for lowering a subway ventilation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od prevention device for lowering a subway ventilation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oses a ventilation port.
3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submergence preventing device for subway ventilation lower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Moreo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forward, backward, and upward / downward directions are describ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rections indicate relative directions, It is not limited.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1 to 3,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flooding prevention device for lowering a subway ventilation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가 환기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flooding prevention device for lowering a subway ventilation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flooded prevention device for lowering a subway ventilation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flooding prevention device for lowering a subway ventilation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는 환기모듈(100), 커버모듈(200) 및 차수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an embodiment of the immersion prevention apparatus for lowering the subway ventilation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ventilation module 100, the cover module 200, and the order module 300 have.

환기모듈(100)은 지하철과 같은 지하시설물에서 지상까지 연통된 환기구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지면에 비해 같거나 높게 형성되며, 중앙 부위에 상하로 연통된 연통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형태의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module 10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 ventilating opening communicating from an underground facility such as a subway to the ground and is formed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ground surface and a communicat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It is possible to form a frame of the overall shape of the flooding prevention device for lowering the ventilation opening.

이러한 환기모듈(100)은 지상에서 보행자 또는 차량 등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고 주변의 사물이나 경관을 가리지 않도록, 최소 지면과 같은 높이거나 지면에서 과다하게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module 100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such that it does not protrude from the ground so as not to obstruct the passage of a pedestrian, a vehicle,

본 실시예에서는 보행자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계단 정도의 높이인 15cm 정도의 높이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edestrian can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at a height of about 15 cm, which is a height of a step that can be easily raised or lowered. Such a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

또한, 환기모듈(100)이 지면에 비해 높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환기모듈(100)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환기모듈(100)의 상면과 지면을 연결하는 경사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entilation module 100 is formed to be protruded higher than the ground, at least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ventilation module 100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110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ventilation module 100 and the ground can do.

이러한 경사부(110)의 구성은 전술한 환기모듈(100)이 비교적 높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보행자들의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휠체어, 자전거, 유모차 등이 통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10 can prevent inconvenience to the passage of the pedestrian even when the ventilation module 100 described above is formed relatively high, Can be obtained.

전술한 환기모듈(100) 및 경사부(110)는 석재 또는 콘크리트와 같이 상부에 어느 정도의 하중이 실리는 경우에도 이를 지지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module 100 and the inclined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supporting a load such as stone or concrete even when a certain load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It can be varied.

한편, 커버모듈(200)은 전술한 환기모듈(100)의 연통부를 덮는 커버 구조로, 환기구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ver module 200 may have a cover structure for covering the communicating portion of the ventilation module 100, and may be configured as a porous plat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pass so that the venting opening can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이러한 커버모듈(200)은 지면의 보행자 및 사물이 환기구의 내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관통홀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It is advantageous that the cover module 2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o prevent a pedestrian and an object on the ground from falling down into the ventilating hol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모듈(200)이 일반적으로 배수구의 커버에 사용되는 금속재의 그레이팅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석재 플레이트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그 형태 또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ver module 200 is generally formed of a grating of a metallic material used for a cover of a drain hole. However, various materials such as a ston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used, It can be varied.

한편, 차수모듈(300)은 전술한 환기모듈(100)의 하부 일측에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환기모듈(100)의 연통부를 차폐하는 구성으로, 연통부의 면적보다 비교적 큰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gree module 300 may be formed of a plate having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communicating part,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ventilation module 100 and to selectively shield the communicating part of the ventilation module 100 have.

본 실시예에서 차수모듈(300)은 전술한 환기모듈(100)의 하부 측부에 힌지(310)를 통해 결합된 플레이트의 형태로 구성되며, 힌지(310)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선택적으로 환기모듈(100)의 연통부를 개폐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rder module 30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t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above-described ventilation module 100 through a hinge 310 and rotates about the hinge 310 and selectively connects the ventilation module 100 can be opened and closed.

이러한 차수모듈(300)은 전술한 커버모듈(200)을 통하여 환기구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이 일정 수준을 넘을 경우, 전술한 환기모듈(100)의 연통부를 폐쇄하여 과도한 양의 유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ventilation opening through the cover module 200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the degree module 300 closes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ventilation module 100 to prevent excessive inflow of the fluid. can do.

또한, 차수모듈(300)은 전술한 커버모듈(200) 및 차수모듈(300) 사이의 연통부 공간을 채우는 충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der module 300 may include a charging unit 320 that fills the communication space between the cover module 200 and the order module 300 described above.

충전부(320)는 커버모듈(200) 및 차수모듈(300) 사이의 연통부 공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모듈(200) 및 차수모듈(300) 사이의 빈 공간을 모두 채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3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mmunication space between the cover module 200 and the order module 300 so that the empty space between the cover module 200 and the order module 300 can be filled May be advantageous.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가 적용된 환기구가 설치된 장소가 침수되는 경우, 차수모듈(300)을 이용하여 환기모듈(100)의 연통부를 폐쇄하는데, 이때, 환기구 및 차수모듈(300)의 면적이 클 수록 환기모듈(100) 연통부 공간의 내부에 차오른 물에 의한 압력은 크게 증가하게 되어 차수모듈(300)에 큰 부담이 가해질 수 있다.The ventilation module 100 is closed by using the order module 300 when the place where the ventilation hole for applying the submergence ventilation lower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s flooded, 300 increases, the pressure of the water inside the ventilation space of the ventilation module 100 increases greatly, which may place a heavy burden on the order module 300.

따라서, 충전부(320)의 구성을 통해, 환기구의 상부에 존재하는 물의 양을 줄여 차수모듈(3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order module 300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present in the upper part of the ventilation hol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part 320. [

또한, 이러한 충전부(320)는 차수모듈(300)에 결합되어 함께 힌지(310)를 기준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차수모듈(30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충전부(320)가 환기모듈(100)의 일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기모듈(100)의 연통부를 폐쇄했을 때 충전부(320)의 형태가 상부로 갈 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harging unit 320 is coupled to the order module 30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hinge 310, when the charging unit 320 rotates in a part of the ventilation module 100 during the rotation of the order module 300, It may be advantageous that the shape of the charging part 320 is formed to be narrowed toward the upper part when the communication part of the ventilation module 100 is closed.

따라서, 전술한 커버모듈(200) 및 차수모듈(300) 사이의 연통부 공간이 하부에 비해 상부가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충전부(320)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advantageous that the communication space between the cover module 200 and the order module 300 is formed to have a narrower upper portion than that of the lower portion, and the charging portion 320 corresponding to this type is formed.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환기구가 침수되었을 때 차수모듈(300)을 이용하여 환기구를 폐쇄하더라도 차수모듈(300)에 걸리는 물의 압력을 줄일 수 있으며, 차수모듈(30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환기모듈(100)과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ventilation hole is closed by using the order module 300 when the ventilation hole is submerged, the pressure of the water applied to the order module 300 can be reduced. In the course of the rotation of the order module 300,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전술한 구성의 차수모듈(300)은 환기구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완벽히 차단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order module 300 of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may not completely block the fluid flowing into the ventilator.

일반적인 지하시설물의 경우, 별도의 배수시설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우수와 같은 유체가 유입되는 것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을 수 있다.In the case of general underground facilities, since there is a separate drainage facility, problems may not occur due to the inflow of fluids such as ordinary rain.

하지만, 차수모듈(300)이 보다 효율적으로 차수모듈(300) 및 환기모듈(100)이 접하는 면에 유체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도 적용 가능할 수 있다.However, it is also applicable that the order module 300 further includes a sealing member so as to block the flow of the fluid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order module 300 and the ventilation module 100 more efficientl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는, 전술한 차수모듈(30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mmersion prevention apparatus for lowering the subway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module 400 that provides power to the order module 300 described above.

동력모듈(400)은 차수모듈(300)이 전술한 바와 같이 환기구를 폐쇄할 때, 차수모듈(300)이 힌지(31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power module 400 may provide the power that the order module 300 rotates about the hinge 310 when the order module 300 closes the vent as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를 동력모듈(400)로 이용하고, 모터 및 차수모듈(300)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환기모듈(100)의 하부에 구비된 도르래(410)를 거쳐, 차수모듈(300)의 힌지(310) 결합부의 타측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motor is used as the power module 400 and a cable connecting the motor and the order module 300 is connected to the power module 400 through a sheave 410 provided below the ventilation module 10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hinge 310 coupling portion.

즉, 모터가 회전하면서 케이블을 감으면, 차수모듈(300)에 연결된 케이블이 당겨지고, 차수모듈(300)의 힌지(310) 결합부 타측은 환기모듈(100) 하부의 도르래(410)와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차수모듈(300)이 환기모듈(100)의 연통부를 폐쇄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motor rotates, the cable connected to the order module 300 is pulled and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art of the hinge 310 of the order module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pulley 410 below the ventilation module 100 The degree module 300 can close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ventilation module 100. [

또한, 이러한 동력모듈(400)은 주변부 유체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부(4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wer module 40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420 for sensing the amount of peripheral fluid.

센서부(420)는 전술한 커버모듈(200)에 인접한 곳에 구비되어, 환기구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42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over module 200 to sense the amount of fluid flowing into the ventilation hole.

일반적으로, 환기구가 설치된 지하시설물의 내부에도 배수시설이 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우수의 경우에는 환기구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환기구 내부에 유체의 유입이 발생하였다는 이유로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를 이용하여 환기구를 반드시 폐쇄해야 하는 필요는 없을 수 있다.Generally, since a drainage facility is provided inside an underground facility having a ventilation hole, there is no problem even when the ventilation hole is introduced into the ventilation hole in case of normal storability. Therefore, since the inflow of fluid into the ventilation hole occurs, It may not be necessary to close the ventilation opening by using a flooding prevention device for lowering the ventilation opening.

따라서, 별도의 센서부(420)를 구비하여 환기구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여, 별도의 제어부(430)로 측정값을 전송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nsor unit 420 may be provided to measure the amount of fluid flowing into the ventilation hole, and the measured valu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parate controller 430.

제어부(430)는 유체의 양을 판단하고, 일반적인 우수의 양을 초과하는 양의 유체 유입이 발생하면, 환기구가 설치된 지역이 침수됐다고 판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를 이용하여 환기구를 폐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30 determines the amount of the fluid and determines that the area where the ventilation hole is installed is determined to be flooded if a fluid inflow of a quantity exceeding a general amount of abundance occurs and the flooding prevention device The ventilation opening can be closed.

이러한 경우, 별도의 날씨 모니터링 및 매 상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의 조정에 대한 수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rouble of adjusting the immersion prevention apparatus for the subway ventilation lower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weather monitoring and the situation.

전술한 모든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를 통하여, 기존에 지면에서 높이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던 환기구를 낮춤 시공하여, 보행자 및 다양한 운송수단 등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고, 주변 사람들의 시야를 가리지 않으며, 도시 미관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rough the immersion prevention device for lowering the subway ventilation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ower the ventilating hole, which is installed in the form of protruding height from the ground, to obstruct the passage of pedestrians and various transportation mean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visibility of people around them is not obstructed, and the beauty of the city is further improved.

그리고, 날씨에 따라 환기구의 개폐를 조작하는 수고를 줄이면서, 환기구가 설치된 지역이 침수되는 경우에도 환기구 내부로 과도한 양의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xcessive amount of fluid from flowing into the ventilation opening, even when the area where the ventilation opening is flooded is reduced while reducing the trouble of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ntilation opening depending on the weather.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환기모듈
110 : 경사부
200 : 커버모듈
300 : 차수모듈
310 : 힌지 320 : 충전부
400 : 동력모듈
410 : 도르래 420 : 센서부
100: ventilation module
110:
200: Cover module
300: Order module
310: Hinge 320:
400: Power module
410: pulley 420: sensor unit

Claims (6)

지하철의 환기구 상단부에 구비되고, 지면에 비해 같거나 높게 형성되며, 중앙에 연통부가 형성된 환기모듈;
상기 환기모듈의 연통부를 덮는 다공성 플레이트인 커버모듈; 및
상기 환기모듈의 하부 일측에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연통부를 차폐하는 차수모듈;
을 포함하는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
A ventilation module which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 ventilation hole of the subway and is formed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ground surface and having a communicating portion at the center;
A cover module which is a porous plate covering the communication part of the ventilation module; And
A module modul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ventilation module and selectively shielding the communication portion;
To prevent submersible venti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모듈은,
상기 지면에 비해 높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환기모듈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환기모듈의 상면과 상기 지면을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ntilation module includes:
Wherein the ventilation module further comprises an inclined portion that connects the upper surface of the ventilation module to the ground on at least a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ventilation module when the ventilation module is protruded higher than the groun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모듈은,
상기 커버모듈 및 상기 차수모듈 간의 상기 연통부 공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의 충전부를 포함하는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And a charger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mmunication space between the cover module and the order modu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모듈은,
상기 커버모듈 및 상기 차수모듈 간의 상기 연통부 공간이 하부에 비해 상부가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ventilation module includes:
Wherein the communication space between the cover module and the order module is formed to be narrower in the upper part than in the lower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모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듈;
을 더 포함하는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wer module for providing pow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said order module;
The submergence prevention device for lowering the subway ventilation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모듈은,
상기 커버모듈에 인접한 곳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구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지하철환기구 낮춤시공을 위한 침수방지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wer modul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cover module for sensing an amount of fluid flowing into the ventilating opening.
KR1020140106728A 2014-08-18 2014-08-18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ing waters surged into a lowered ventilating opening of subway KR201600214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728A KR20160021475A (en) 2014-08-18 2014-08-18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ing waters surged into a lowered ventilating opening of sub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728A KR20160021475A (en) 2014-08-18 2014-08-18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ing waters surged into a lowered ventilating opening of subw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475A true KR20160021475A (en) 2016-02-26

Family

ID=5544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728A KR20160021475A (en) 2014-08-18 2014-08-18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ing waters surged into a lowered ventilating opening of sub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147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9086B2 (en) Automatic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ventilation ducts
KR101171101B1 (en) an apparatus for preventing inundation of a ventilating opening of subway
KR102292098B1 (en) Transformer for being laid underground with waterproof function and cooling function
US9004814B2 (en) Passive underground flood protection
KR102127145B1 (en) Device for being laid underground
US20110268506A1 (en) Flood defens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70307237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having waterproof function
EP2852507B1 (en) Device for inductive transfer of electrical energy
US20090283459A1 (en)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undersea freshwater resurgences
JP5746948B2 (en) Evacuation building
KR102047325B1 (en) the watertight door structure using a buoyancy
KR101143759B1 (en) Draining apparatus for electric power manhole
JP2001032621A (en) Waterproof door
KR101661513B1 (en) Manhole Apparatus of Water Supply with Safety Function
KR20160021475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ing waters surged into a lowered ventilating opening of subway
KR101763771B1 (en) Underground Drainage and Ventilation System of Underground Power Line
KR101596785B1 (en) A backdraft manhole cover of rainwater detention
KR100654756B1 (en) Structure of drainpipe protection flowing backward
KR101868124B1 (en) Electric manhole for protecting electric leakage
KR101622904B1 (en) Pump gate with vibration measuring device
KR20180057428A (en) Backflow prevention cover and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596466B1 (en) Flood protection device and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station including the same
KR101355539B1 (en) coffering apparatus of subway vents
CN214089973U (en) Double-deck open cut tunnel and watertight door structure of two-deck empty cabin manhole thereof
KR102572830B1 (en) Valve chamber for water supply and drainage being waterproof and removable mois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