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849A -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 및 중계기 - Google Patents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 및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849A
KR20160020849A KR1020140106104A KR20140106104A KR20160020849A KR 20160020849 A KR20160020849 A KR 20160020849A KR 1020140106104 A KR1020140106104 A KR 1020140106104A KR 20140106104 A KR20140106104 A KR 20140106104A KR 20160020849 A KR20160020849 A KR 20160020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iguration
uplink
subframe
downlin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343B1 (ko
Inventor
김진수
정호석
임지성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스티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스티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케이에스티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40106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3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2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은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 및 중계기{METHOD AND RELAY FOR SWITCHING BETWEEN DOWNLINK AND UPLINK}
본원은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 및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시분할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3GPP LTE/LTE-A TDD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사이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가 스위칭되며,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을 위한 송수신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분할 프레임 구조가 어떤 유형인지 알 필요가 있다. 이 때, 3GPP LTE/LTE-A TDD시스템의 경우, 7가지의 서로 다른 유형의 시분할 프레임 구조가 존재하고, 여기에 각각의 프레임 구조와 관련된 18가지(일반 주기적 전치부호와 관련된 10가지와 확장된 주기적 전치부호와 관련된 8가지의 합)의 서로 다른 유형의 스페셜 서브프레임(SSF: Special Subframe) 구조까지 고려하면, 총 126 가지의 서로 다른 시분할 프레임 구조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현재 기지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가 어떤 것인지 알아야 통신이 가능하므로,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을 셀 전체에 브로드캐스팅하면, 시스템 정보 블록을 수신 및 디코딩하여 기지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를 알아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3년 11월 6일자로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10-2013-0046607호에는 기지국에서 전송한 시스템 정보 블록을 사용자 단말이 수신 및 디코딩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중계기를 이용한 통신의 경우, 중계기 역시 기지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를 알 필요가 있다. 다만, 이를 위해 중계기가 사용자 단말과 같이 시스템 정보 블록의 디코딩에 필요한 모든 기능 및 리소스를 갖추도록 한다면, 중계기의 시스템 복잡도는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중계기의 가격 경쟁력 역시 낮아질 수 있다.
본원은 전술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계기에서 시분할 프레임 구조를 알기 위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별도로 수신하거나, 수신한 정보를 디코딩하지 않고도, 기지국 신호 자체 특성을 이용하여 기지국이 사용하고 있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중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신호로부터 간단하게 파악 가능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하여,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중 하나 이상을 알아 내고, 이에 기초하여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는 방법 및 중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신호 내의 업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과, 다운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을 구분하기 위한 방식을 특정함으로써,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역으로 유추할 수 있는 방법 및 중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는 중계기에 의하여 수행되며,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은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구분되되,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기 신호는 주요 동기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이차 동기 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은 상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임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은 상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심볼의 주기적 전치부호(CP: Cyclic Prefix)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에 기초하여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는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신호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중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 신호 판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되, 상기 중계기는 상기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계기는 상기 프레임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는 중계기에 의하여 수행되며,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복수의 유형 중 상기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어느 하나의 유형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중계기에서 시분할 프레임 구조를 알기 위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별도로 수신하거나, 수신한 정보를 디코딩하지 않고도, 신호 자체 특성을 이용하여 기지국이 사용하고 있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낮은 복잡도와 저가 생산을 가능하도록 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 및 중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호로부터 간단하게 파악 가능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하여,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중 하나 이상을 알아 내고, 이에 기초하여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는 방법 및 중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신호 내의 업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과, 다운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심볼을 구분하기 위하여,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을 특정함으로써,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역으로 유추할 수 있는 방법 및 중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지국, 중계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5d는 프레임의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서로 다른 유형 또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7b, 8a 및 8b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서로 다른 유형 또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은 기지국(10), 중계기(20), 사용자 단말(30) 및 사용자 단말(40)을 포함한다. 다만,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며,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통신 시스템(1)은 기지국(10) 또는 중계기(20)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제어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1)의 일 예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이며, 3GPP LTE 시스템은 E-UTMS(Evolve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각각 OFDMA 및 SC-FDMA를 채용할 수 있다. LTE-A(LTE-Advanced) 시스템은 LTE 시스템의 진화이며, LTE 시스템과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가질 수 있다. 또한, LTE 시스템은 3GPP TS 릴리즈(Release) 8에 기반한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 각각은 LTE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 및 LTE-A TDD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 TDD 시스템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원의 통신 시스템(1)은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것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0)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0)은 일반적으로 셀(cell)이라고 불리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11)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지국(10)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30) 또는 사용자 단말(4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을 말하며, eNB(evolved Node 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N(Access Network) 등의 용어로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10)은 사용자 단말(30) 또는 사용자 단말(40)과의 연결성(connectivity), 관리(management), 제어 및 자원 할당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 또는 사용자 단말(4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AT(Access Termina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도 있다.
또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0) 또는 사용자 단말(40)은 다양한 형태의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TV 장치,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TV 장치의 일 예에는 스마트 TV, IPTV 셋톱박스 등이 포함되고, 컴퓨터의 일 예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 포함되고,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30) 또는 사용자 단말(40)은 LTE를 지원하는 LTE 단말 또는 LTE와 LTE-A 모두를 지원하는 LTE-A 단말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중계기(Relay, 20)는 기지국(10)과 사용자 단말(30)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기기를 말하며, RN(Relay Node), 리피터(repeater), 중계국 등의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 30) 또는 사용자 단말(40) 각각은 기지국(10)과 직접 통신하는 단말인지, 아니면 중계기(20)를 통해 통신하는 단말인지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은 중계기(20)와 통신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중계기 단말(relay UE)이라고 불릴 수 있다. 반면, 사용자 단말(40)은 기지국(10)과 직접 통신하는 단말로서, 매크로 단말(macro UE)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10)에서 사용자 단말(30) 또는 사용자 단말(40)로의 통신을 의미하고, 상향링크(Uplink, UL)는 사용자 단말(30) 또는 사용자 단말(40)에서 기지국(10)으로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기지국, 중계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10)과 사용자 단말(30) 사이에 중계기(20)가 위치하는 경우, 하향링크는 기지국(10)에서 중계기(2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30)로의 통신을 의미하고, 상향링크는 사용자 단말(30)에서 중계기(20)를 경유하여 기지국(10)으로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백홀(backhaul) 링크는 기지국(10)과 중계기(20) 간의 링크를 의미하고, 백홀 하향링크는 기지국(10)에서 중계기(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백홀 상향링크는 중계기(20)에서 기지국(10)으로의 통신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액세스(access) 링크는 중계기(20)와 사용자 단말(30) 간의 링크를 의미하고, 액세스 하향링크는 중계기(20)에서 사용자 단말(3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액세스 상향링크는 사용자 단말(30)에서 중계기(20)로의 통신을 의미할 수도 있다.
중계기(2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통해 기지국(10)과 사용자 단말(30)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고, 결정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중계기(2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통해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복수의 유형 중 기지국(10)과 사용자 단말(30)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유형을 결정하고, 결정한 어느 하나의 유형에 기초하여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중계기(20)는 신호 내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중계기(20)는 프레임 내 복수의 서브프레임(subframe)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0 내지 9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2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 파워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중계기(2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검출하고, 검출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동기 신호는 주요 동기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이차 동기 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한다.
중계기(20)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하는 것( 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 이외에도, 프레임 내 스페셜 서브프레임(SSF, Special Subframe)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중계기(20)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중계기(20)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함에 있어서,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심볼은 심볼 0 내지 심볼 13을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심볼은 심볼 0,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20)는 복수의 심볼의 주기적 전치부호(CP: Cyclic Prefix)의 유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에 기초하여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은 확장된(Extended) 주기적 전치부호 유형 및 일반(Normal) 주기적 전치부호 유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중계기(20)은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 별도의 시스템 정보 또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지 않고도, 트랜스페이런트하게(transparently) 기지국(10)이 사용자 단말(30)과의 통신을 위해 결정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지국(10)과 사용자 단말(3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도 1 및 2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계기(20)는 통신부(210), 기준 신호 판단부(230),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 및 스위칭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계기(20)의 구성은 도 3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기지국(1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10)의 신호는 기지국(10)에 의해 발생되어, 기지국(10)으로부터 발송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신호는 기지국(10)의 셀 영역 내에 있는 모든 장치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기준 신호 판단부(230)는 기지국(10)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신호 판단부(230)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 파워가 검출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상기 기준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는 기지국(10) 신호의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스위칭부(270)는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칭부(270)는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에 기초하여 송수신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송수신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스위칭 신호는 기지국(20)의 내부 또는 외부의 모듈 중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을 위해 필요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서,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을 위해 필요한 모듈의 일 예는 통신부(210), 도 4의 전송부(241), 도 4의 수신부(242) 및 도 4의 메모리(280)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계기(20)는 통신부(210), 동기 신호 검출부(220), 기준 신호 판단부(230),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 스위칭부(270) 및 메모리(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역시 도 3과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계기(20)의 구성은 도 4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 통신부(210), 기준 신호 판단부(230),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 및 스위칭부(270) 각각에 대한 설명 중 생략된 내용은 앞서 도 3을 통한 각각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통신부(210)는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의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통신부(210)는 수신부(211) 및 전송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11)는 기지국(10) 또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데이터, 신호 또는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부(212)는 기지국(10) 또는 사용자 단말(30)로 데이터, 신호 또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신부(211) 및 전송부(212)의 동작은 스위칭부(270)의 제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a 내지 5d는 프레임의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5d의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3GPP LTE/LTE-A 시스템의 TDD(Time Division Duplex)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a를 참조하면,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은 서브프레임 0 내지 서브프레임 9인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은 2개의 반 프레임(half-frame)으로 구성되며, 반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a를 참조하면, 하나의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 ms이고, 반 프레임의 길이는 5ms이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또한, 도 5a를 참조하면, Ts를 기준 단위로 하여, 하나의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307200Ts로, 반 프레임의 길이는 153600Ts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30720Ts로,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15360Ts로 각각 표현될 수도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하나의 서브프레임 및 슬롯은 복수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슬롯은 일반(Normal) 주기적 전치부호(CP, Cyclic Prefix)에서 7개의 심볼로 구성될 수 있고, 확장된(Extended) 주기적 전치부호(CP)에서 6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심볼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주기적 전치부호를 갖는 서브프레임은 심볼 0 내지 심볼 14인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확장된 주기적 전치부호를 갖는 서브프레임은 심볼 0 내지 심볼 12인 1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그 유형에 따라 상향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 하향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SSF, Special Subfram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향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만 사용되고, 하향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도 5d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d를 참조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GP(Guard Period, 보호구간) 및 UpPTS(Uplink Pliot Time Slot)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DwPTS는 다운링크를 위해 사용되고, UpPTS는 업링크를 위해 사용되며, GP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보호구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DwPTS는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 등에 사용될 수 있고, UpPTS는 기지국(10)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될 수 있고, GP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보호구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서로 다른 유형 또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 예를 들어, 시분할 통신 시스템(1)은 7개의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uplink downlink configuration)들(또는 7가지 유형의 시분할 프레임 구조)을 지원한다. 여기서, D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U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S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DwPTS, GP, UpPTS 각각에 대응하는 필드들을 포함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0, 서브프레임 5는 반드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어야만 하고, 서브프레임 2는 반드시 업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어야만 하고, 서브프레임 1은 스페셜 서브프레임이어야만 한다. 반면, 서브프레임 3, 4, 7, 8, 9는 몇몇 개의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들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 될 수도 있고, 다른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들에서는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6은 몇몇 개의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들에서 스페셜 서브프레임들이 될 수도 있고, 다른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들에서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된 소정 모듈(예를 들어, 모뎀 모듈)을 통해 기지국(10)에 의해 생성되고,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중계기(20)의 경우 상기 모듈(예를 들어, 모뎀 모듈)을 탑재하고 있지 않는 경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알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해야만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중계기(20)가 별도의 시스템 정보 블록의 수신 및 디코딩 없이 기지국(20)의 신호만으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획득하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기지국(10)의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동기 신호는 주요 동기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이차 동기 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PSS 검출부(221) 및 SSS 검출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기 신호 검출부(220)에 의해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겠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SS는 PSS 검출부(221)의해 검출되고, SSS는 SSS 검출부(222)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다.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기지국(10)의 신호로부터 주요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기지국(10)이 송신하는 다운링크 신호(예를 들어, 다운링크 3GPP LTE/LTE-A 신호)에는 실제 설정된 대역폭과 상관없이 항상 중앙 대역폭(예를 들어, 중앙 1.4MHz 대역폭) 안에 PSS 신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이러한 PSS신호를 통하여 (또는 PSS 신호화의 상관관계(correlation)를 통하여) 5ms 단위로 기지국(10)과 시간 동기를 얻을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TDD(Time Division Duplex)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PSS는 서브프레임 1의 슬롯 2의 세 번째 심볼과 서브프레임 6의 슬롯 12의 세 번째 심볼에 포함될 수 있다. 즉, PSS는 5ms 단위로 전송되며, 이를 통해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5ms 단위로 기지국(10)과 시간 동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PSS가 검출된 시점을 기준으로 복수의 서브프레임 또는 복수의 슬롯 각각을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도 6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1은 항상 스페셜 서브프레임이며, PSS는 서브프레임 1의 DwPTS의 일부로서 전송될 수 있는 반면, 서브프레임 6은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PSS는 서브프레임 6의 일부 또는 서브프레임 6의 DwPTS의 일부로서 전송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0, 1, 2 및 6에서 서브프레임 6은 스페셜 서브프레임이고,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3 내지 5에서 서브프레임 6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다.
주요 동기 신호는 시간 도메인에서 서브프레임, 슬롯 및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의 동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주요 동기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의 채널 대역폭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주파수 도메인의 채널 대역폭의 중앙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주요 동기 신호는 168개의 셀 그룹 아이디 별로 존재하는 3개의 셀 아이디인 PSI(Physical layer Cell Identities)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기지국(10)의 신호로부터 이차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동기 신호 검출부(220)는 이차 동기 신호를 통하여 10 ms 단위로 기지국(10)과의 정확한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 동기를 잡을 수 있으며, 추가로 기지국(10)의 최종 셀 아이디를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 동기 신호는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의 동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168개의 셀 그룹 아이디를 포함하므로, 이차 동기 신호를 통해 10 ms 단위의 정확한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 동기를 잡을 수 있으며, 주요 동기 신호와 이차 동기 신호를 이용하면, 168개의 셀 그룹 아이디와 3개의 셀 아이디의 조합인 504개의 최종 셀 아이디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최종 셀 아이디가 결정되면, 기지국(10)이 하향 통신에서 사용하는 기준 신호(RS, Reference Signal)와 기준 신호의 리소스 (Resource) 위치(예를 들어,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심볼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TDD(Time Division Duplex)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SSS는 서브프레임 0의 슬롯 1의 마지막 심볼 및 서브프레임 5의 슬롯 11의 마지막 심볼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서브프레임 0과 5는 모두 다운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기준 신호 판단부(230)는 기지국(10)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신호 판단부(230)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준 신호 판단부(230)가 복수의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0 내지 서브프레임 9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9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최종적으로 기지국(10)이 사용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통상 . 3GPP LTE/LTE-A에서 사용되는 TDD 프레임 구조의 경우 하향 신호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서만 기준 신호가 전송이 되므로 10 ms 한 프레임 내의 10개의 서브프레임 위치에서 해당 서브프레임에 대한 기준 신호의 존재 유무를 사용하여 별도의 시스템 정보 블록 디코딩 없이도 기지국(10)이 사용하고 있는 TDD 프레임 구조의 파악이 가능하다.
기준 신호 판단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 파워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주요 동기 신호를 통하여 5ms 단위로 기지국(10)과의 시간 동기가 획득될 수 있으므로, 프레임 또는 특정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0, 1 또는 6)의 시작 시점은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시작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차 동기 신호를 통해 10 ms 단위로 기지국(10)과의 정확한 프레임 동기가 가능하고, 최종 Cell ID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실제로 기지국(10)이 하향 통신에서 사용하는 기준 신호와 기준 신호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며, 기준 신호 판단부(230)는 기지국(10)이 송신하는 신호에서 기준 신호, 구체적으로, 신호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는 기준 신호 판단부(2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기지국(10)과 사용자 단말(30)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0 내지 서브프레임 9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9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최종적으로 기지국(10)이 사용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통해 예시하면,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는 기지국(10)의 신호의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9 모두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0 내지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6 중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 5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르게 예시하면,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250)는 기지국(10)의 신호의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및 서브프레임 9에만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을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0 내지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6 중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 2로 결정할 수 있다.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신호 또는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프레임(또는 무선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심볼은 심볼 0 내지 심볼 13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심볼은 심볼 0,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 7b, 8a 및 8b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서로 다른 유형 또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및 7b를 참조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일반 주기적 전치부호(CS)의 경우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9까지 총 10개로 구분되며, 확장된 주기적 전치부호(CS)의 경우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7까지 총 8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8a는 일반 주기적 전치부호에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9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내 각 심볼이 하향링크를 위한 심볼 D(또는 DwPTS)인지, 상향링크를 위한 심볼 U(또는 UpPTS)인지, 보호구간을 위한 심볼 G(또는 GP)인지에 따라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심볼 중 심볼 4(또는 심볼 3), 심볼 7(또는 심볼 6) 및 심볼 11 각각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심볼 4(또는 심볼 3), 심볼 7(또는 심볼 6) 및 심볼 11 각각이 D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4가지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를 위한 심볼 D에서만 기준 신호가 검출된다는 특정을 이용한 것이다.
일 예로, 일반 주기적 전치부호에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 모두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4를 포함하는 그룹 2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 및 심볼 7에서만 기준 신호가 검출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1 내지 3, 6 내지 8을 포함하는 그룹 1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에서만 기준 신호가 검출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9를 포함하는 그룹 3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 모두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및 5를 포함하는 그룹 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0(또는 심볼 1, 또는 심볼 2)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8, 심볼 9, 심볼 10 중 적어도 하나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그룹 1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1, 6에 대응하는 그룹 1-1,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2, 7에 대응하는 그룹 1-2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3, 8에 대응하는 그룹 1-3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도 8b는 확장 주기적 전치부호에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7은 스페셜 서브프레임 내 각 심볼이 하향링크를 위한 심볼 D(또는 DwPTS)인지, 상향링크를 위한 심볼 U(또는 UpPTS)인지, 보호구간을 위한 심볼 G(또는 GP)인지에 따라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심볼 중 심볼 4(또는 심볼 3), 심볼 7(또는 심볼 6 또는 심볼 5) 및 심볼 9 각각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심볼 4(또는 심볼 3), 심볼 7(또는 심볼 6 또는 심볼 5) 및 심볼 9 각각이 D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4가지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를 위한 심볼 D에서만 기준 신호가 검출된다는 특정을 이용한 것이다.
일 예로, 확장 주기적 전치부호에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9 모두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3을 포함하는 그룹 2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 및 심볼 7에서만 기준 신호가 검출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1, 2, 5 및 6을 포함하는 그룹 1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에서만 기준 신호가 검출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7을 포함하는 그룹 3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9 모두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및 4를 포함하는 그룹 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0(또는 심볼 1, 또는 심볼 2)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8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그룹 1을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1에 대응하는 그룹 1-1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2, 5 및 6에 대응하는 그룹 1-2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일반 확장된 전치부호의 사용률이 높으므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또는 심볼 0,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빠르게 결정할 수도 있으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주기적 전치부호가 일반(Normal)인지 확장(Extended)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특정 심볼들에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복수의 심볼의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을 확장된(Extended) 주기적 전치부호 유형 및 일반(Normal) 주기적 전치부호 유형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결정된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에 기초하여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260)는 주기적 전치부호가 일반(Normal)인 경우,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또는 심볼 0,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결정하되, 주기적 전치부호가 확장(Extended)인 경우,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9(또는 심볼 0,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9)에서 기준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SSF의 경우에도 RS 신호의 특정 시간적 위치에서의 RS 신호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여 10개의 SSF 프레임 구조를 4개의 그룹으로 분리하여 결정 하는 것이 가능하다. RS 존재 유무는 RS 코드와의 Correlation을 통하여 판단 가능하며, 10가지 SFF 구성을 RS의 시간적 위치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하여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다만, 3GPP LTE/LTE-A의 RS는 매 OFDM 심볼마다 전송되지 않으므로(예를 들어, 하향링크를 위한 심볼과 GP에서는 RS가 전송되지 않음), OFDM Symbol 단위로 설정되는 모든 SSF 종류를 RS만 가지고 추정하는 것은 어려우며, 앞서 설명된 4가지(또는 그룹)의 경우로만 추정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SSF의 결정을 위하여 CP (Cyclic Prefix)를 사용 가능하며, 이 때, 이미 정확한 하향 타이밍을 확보한 상태이므로 상향에서 올라오는 주변 단말들의 신호들이 다수 존재하더라도 하향 CP correlation 값은 여기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며, 충분한 긴 시간동안 CP correlation을 각 OFDM 심볼마다 측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SSF 구성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스위칭부(270)는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칭부(270)는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수신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송수신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이 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 또는 TDD 프레임 구조의 유형)은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 또는 TDD 프레임 구조의 유형) 0 내지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또는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 또는 TDD 프레임 구조의 유형) 6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은 일반 주기적 전치부호에 대응하는 일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일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9, 및 확장된 주기적 전치부호에 대응하는 확장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확장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7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280)는 데이터, 정보 또는 신호를 저장한다. 일 예로, 메모리(280)는 검출한 PSS, SSS를 저장하고, 결정한 다운링크 업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저장하고, 측정된 주기적 전치부호 및 그 결과 등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메모리(280)의 일 예에는 중계기(2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20)는 하드웨어 부(Unit)를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10)의 신호에서 PSS Correlation을 통하여 1차 동기를 잡은 후, 이를 기반으로 SSS, RS, CP 등등의 Correlation을 위하여 알고리즘에서 필요로 하는 특정 위치 또는 시간의 수신 데이터를 메모리(280)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 프로세스(도시되지 않음) 또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읽어 SW적으로 SSS, RS, CP 등에 대한 Correlation을 계산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구조를 통하여 메모리(280)에 저장하는 데이터의 양을 최소로 하여 필요한 메모리 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속신호처리가 필요하지 않는 부분을 SW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복잡도가 매우 낮은 저가의 경쟁력 있는 중계기(20)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위한, 중계기(20)의 각부의 특성을 예시하면, 도 4를 통해 설명된 중계기(20)의 각 부 중, 통신부(210), PSS 검출부(211), 메모리(280)는 하드웨어 부이며, 나머지는 제어 프로세스에 포함된 스프트웨어적인 부(Unit)일 수 있다.
도 9는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도 9의 동작 흐름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원이 도 9의 동작으로 제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9단계 S901 내지 S909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단계 S901내지 단계 S905 및 단계 S909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01에서 중계기(20)는 기지국(10)의 신호를 이용하여 주요 동기 신호(PSS)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902에서 중계기(20)는 주요 동기 신호가 검출된 경우 단계 S903을 수행하도록 하고, 주요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다시 단계 S901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903에서 중계기(20)는 기지국(10)의 신호를 이용하여 이차 동기 신호(SSS)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904에서 중계기(20)는 이차 동기 신호가 검출된 경우 단계 S905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차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다시 단계 S901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05에서 중계기(20)는 동기 신호 및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906에서 중계기(20)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이 결정된 경우 단계 S907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차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다시 단계 S901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07에서 중계기(20)는 주기적 전치부호 및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908에서 중계기(20)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이 결정된 경우 단계 S909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차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다시 단계 S901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909에서 중계기(20)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이 때, 중계기(20)는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을 위해 송수신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의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은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된 중계기(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된 기지국(20)에 관한 내용은 도 10의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1001에서 중계기(20)는 기지국(1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002에서 중계기(20)는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003에서 중계기(20)는 판단 결과에 따라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004에서 중계기(20)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다운링크과 업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1002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은 단계 S1001 이후에,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구분될 수 있고, 단계 S1002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1002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 파워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은 단계 S1003 이후에, 프레임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단계 S1004는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은 단계 S1003이후에,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미도시)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미도시) 이후에, 복수의 심볼의 주기적 전치부호(CP: Cyclic Prefix)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미도시)는 결정된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에 기초하여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단계 S1001에서 중계기(20)는 기지국(1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002에서 중계기(20)는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003에서 중계기(20)는 판단 결과에 따라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복수의 유형 중 기지국(10)과 사용자 단말(30)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004에서 중계기(20)는 결정된 어느 하나의 유형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다운링크과 업링크를 스위칭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01 내지 S1004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전술한 업링크 다운링크 스위칭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통신 시스템
10: 기지국
20: 중계기
30: 사용자 단말
210: 통신부
220: 동기 신호 검출부
230: 기준 신호 판단부
250: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
260: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
270: 스위칭부
280: 메모리

Claims (18)

  1. 중계기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구분되되,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시작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서로 구분되는 것이되,
    상기 시작 시점은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 파워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상기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0 내지 서브프레임 9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9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주요 동기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이차 동기 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임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것인,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복수의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인,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볼은 심볼 0 내지 심볼 13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심볼은 심볼 0, 심볼 4, 심볼 7 및 심볼 11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심볼의 주기적 전치부호(CP: Cyclic Prefix)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에 기초하여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인,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전치부호의 유형은 확장된(Extended) 주기적 전치부호 유형 및 일반(Normal) 주기적 전치부호 유형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은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0 내지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6 중 어느 하나이되,
    상기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은 일반 주기적 전치부호에 대응하는 일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일반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9, 및 확장된 주기적 전치부호에 대응하는 확장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0 내지 확장된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7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송수신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송수신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것인, 방법.
  15.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중계기에 있어서,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신호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중계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판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되
    상기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구분되는 것인, 중계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결정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구성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결정된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것인, 중계기.
  18. 중계기에서,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유형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프레임 내에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시분할 프레임 구조의 복수의 유형 중 상기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어느 하나의 유형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40106104A 2014-08-14 2014-08-14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 및 중계기 KR101706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104A KR101706343B1 (ko) 2014-08-14 2014-08-14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 및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104A KR101706343B1 (ko) 2014-08-14 2014-08-14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 및 중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849A true KR20160020849A (ko) 2016-02-24
KR101706343B1 KR101706343B1 (ko) 2017-02-14

Family

ID=5544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104A KR101706343B1 (ko) 2014-08-14 2014-08-14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 및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3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655A (ko) * 2018-05-31 2019-12-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심볼 단위 상/하향 링크 신호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중계 장치
WO2020009540A1 (ko) * 2018-07-05 2020-01-09 주식회사 쏠리드 중계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97863A (ko) * 2019-02-08 2020-08-2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5g nr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 장치 및 동기 검출 방법
US11240087B2 (en) 2018-07-05 2022-02-01 Solid, Inc. Repeat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3991323A4 (en) * 2019-09-13 2023-06-21 CommScope Technologies LLC REPEATER SYSTEM FOR USE WITH A NEW 5G RADIO BASE STATION THAT USES TIME-DIVISION DUPLEX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2032A1 (ko) * 2012-01-29 201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KR20140087189A (ko) * 2012-12-28 2014-07-09 (주)에프알텍 시분할 방식 기반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중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2032A1 (ko) * 2012-01-29 201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KR20140087189A (ko) * 2012-12-28 2014-07-09 (주)에프알텍 시분할 방식 기반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중계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655A (ko) * 2018-05-31 2019-12-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심볼 단위 상/하향 링크 신호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중계 장치
WO2020009540A1 (ko) * 2018-07-05 2020-01-09 주식회사 쏠리드 중계기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240087B2 (en) 2018-07-05 2022-02-01 Solid, Inc. Repeat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200097863A (ko) * 2019-02-08 2020-08-2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5g nr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 장치 및 동기 검출 방법
EP3991323A4 (en) * 2019-09-13 2023-06-21 CommScope Technologies LLC REPEATER SYSTEM FOR USE WITH A NEW 5G RADIO BASE STATION THAT USES TIME-DIVISION DUPLEX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343B1 (ko)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4419B (zh) Iab无线网络的初始接入和无线电资源管理
US99484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on channe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93567B1 (ko) 동기 신호를 송신/수신하기 위한 송신기, 수신기, 및 방법
US9392563B2 (en) Frequency synchronization method for nodes in a downlink 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scenario
KR101706343B1 (ko)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스위칭하는 방법 및 중계기
CN109923844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初始接入信号的方法和装置
US10034253B2 (en) Cell search procedure frame format
CN103125144A (zh) 网络同步的确定
AU20143290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mapping for coverage enhancements of broadcast channels
KR20150135268A (ko) 통신 디바이스 및 방법
US10356737B2 (en) Cell search procedure frame format
KR20150135272A (ko) 인프라 장비,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EP3499763B1 (en) Synchronous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KR10197346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구조 및 그 정보 전송 방법
US201302429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Mechanis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110112582A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KR20220127187A (ko) 제어정보 수신 장치 및 방법, 신호 측정 장치 그리고 위치 측정 서버 및 방법
US20210297912A1 (en) Automatic neighbor relationships for a 5g air interface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interfaces
KR20230038700A (ko) 협대역 비지상 네트워크들에 대한 빔 재선택
CN115462011A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初始接入的下行链路信号的传输的方法和装置
WO2023087137A1 (en) Changing synchronization cases for vehicle-to-everything deployments
US12010049B2 (en) Mixed-waveform communications
USRE49578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on channe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17808A (ko)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한 릴레이 동작 방법 및 장치
US20220200746A1 (en) Mixed-waveform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