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634A - Glueless locking flooring material - Google Patents

Glueless locking flooring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634A
KR20160020634A KR1020140105210A KR20140105210A KR20160020634A KR 20160020634 A KR20160020634 A KR 20160020634A KR 1020140105210 A KR1020140105210 A KR 1020140105210A KR 20140105210 A KR20140105210 A KR 20140105210A KR 20160020634 A KR20160020634 A KR 20160020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layer
base layer
fibers
non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2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3608B1 (en
Inventor
이주형
김웅길
윤삼훈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105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608B1/en
Publication of KR2016002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6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6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 continuous tongue or gro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bonded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bonded flooring material has excellent rigidity when compared to a thickness, has excellent coupling strength,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property, and has excellent stability for size. The flooring material includes a base material layer formed in a single layer. The base material layer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and an organic fiber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of the flooring material are a first side unit and a second side unit, and the flooring material has a first protrusion unit and a first groove unit on the first side unit. The flooring material has a second groove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unit, and a second protrus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unit on the second side unit.

Description

비접착식 바닥재 {GLUELESS LOCKING FLOORING MATERIAL}Non-adhesive flooring {GLUELESS LOCKING FLOORING MATERIAL}

비접착식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Non-adhesive flooring.

주택 및 오피스 등의 건축물에 사용되는 바닥재는 폴리염화비닐(PVC)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바닥재를 시공함에 있어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재에 홈을 가공하여 바닥재끼리 체결 및 결합함으로써 설치되는 비접착식 바닥재에 관한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비접착식 바닥재는 시공이 간편한 대신 우수한 체결 강도 및 인장 하중이 확보되어야 한다. 한편, 폴리염화비닐 등을 이용한 바닥재는 내열성이 약하기 때문에 열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황, 특히, 온돌 바닥과 같은 경우에 수축이 심하게 일어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섬유 시트 또는 섬유 면포(fiber scrim)를 별도로 제조하여 적층하거나, 수축 현상을 방지하는 첨가제를 도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비접착식 바닥재가 두께 대비 인장 하중 및 체결 강도가 우수하고, 열원에 대한 우수한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Flooring materials used in buildings such as homes and offices may be based on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polyvinyl chloride (PVC). Recently, there has been a rapid growth in the market for a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 which is formed by joining flooring materials by joining and joining flooring materials by forming grooves on the flooring material without using an adhesive in the construction of a flooring material based on a thermoplastic resin. Such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s should be easy to install, but also have excellent fastening strength and tensile load. On the other hand, a flooring material using polyvinyl chloride or the like has a low heat resistance, so that shrinkage may occur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floor heating floor, and in particular, a fiber sheet or a fiber scrim It is common to separately prepare and laminate, or to introduce additives to prevent shrinkage. As described above, it is considered that non-adhesive flooring based on a thermoplastic resin is excellent in tensile load and fastening strength to a thickness and secur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against a heat source.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두께 대비 강성 및 체결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비접착식 바닥재를 제공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adhesive floor material excellent in rigidity and fastening strength to thickness and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단일층으로 형성된 기재층을 포함하는 바닥재이고, 상기 기재층은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내에 분산된 유기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재의 마주보는 양 측면이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이고, 상기 바닥재는 상기 제1 측면부 상에 제1 돌출부 및 제1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재는 상기 제2 측면부 상에 상기 제1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홈부 및 상기 제1 홈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돌출부를 형성하는 비접착식 바닥재를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a base layer formed of a single layer, wherein the base layer comprises a thermoplastic resin and organic fibers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And a bottom portion having a first protrusion and a first groove formed on the first side portion, the bottom portion having a second groove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on the second side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ne groove portion.

상기 바닥재는 총 두께가 약 5.0㎜ 이하일 수 있다.The bottom layer may have a total thickness of about 5.0 mm or less.

상기 기재층은 두께가 약 2.0 ㎜ 내지 약 3.5 ㎜일 수 있다. The substrat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from about 2.0 mm to about 3.5 mm.

상기 기재층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기 섬유를 약 0.1 내지 약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The base layer may contain about 0.1 to about 1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fibers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PVDC),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F), 염소화 폴리염화비닐(CPVC), 폴리비닐알콜(P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폴리비닐부티레이트(PVB),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이들이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chloride (PVC), polyvinylidene chloride (PVDC), polyvinylidene fluoride (PVF),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CPVC), polyvinyl alcohol (PVA), polyvinyl acetat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butyrate (PVB),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 유기 섬유는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크릴계 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rganic fibers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mide fibers, polyolefin fibers, polyester fibers, polyacrylic fibers, polyvinyl alcohol fibers,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 유기 섬유는 평균 직경이 약 2㎛ 내지 약 20㎛일 수 있다. The organic fibers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about 2 [mu] m to about 20 [mu] m.

상기 유기 섬유는 평균 길이가 약 1㎜ 내지 약 50㎜일 수 있다. The organic fibers may have an average length of from about 1 mm to about 50 mm.

상기 기재층은 상기 유기 섬유가 배향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The base layer may be one in which the organic fibers are oriented.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이면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인쇄층 및 표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 backing layer at a lower portion of the base material layer, and may further include a printing layer and a surface layer on the base material layer.

상기 기재층은 인장 하중이 약 30 kgf 이상일 수 있다. The base layer may have a tensile load of at least about 30 kgf.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하나의 바닥재 및 다른 하나의 바닥재의 길이방향(long side) 체결 강도가 약 200N 이상일 수 있다.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may have a long side fastening strength of about 200N or more of one floor material and the other floor material.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하나의 바닥재 및 다른 하나의 바닥재의 폭방향(short side) 체결 강도가 약 200N 이상일 수 있다.
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 may have a short side bonding strength of about 200N or more of one flooring material and the other flooring material.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두께 대비 우수한 강성을 나타내며, 바닥재 간의 체결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 exhibits excellent rigidity with respect to thickness, excellent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looring materials, and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접착식 바닥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하나의 비접착식 바닥재가 다른 하나의 비접착식 바닥재와 체결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상기 기재층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non-adhesive floor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Fig. 3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non-stick floor is fastened with another non-stick floor.
4 schematically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substrate layer.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taken along its lengthwise direc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which: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Only.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도면의 특정 부분 또는 두께가 확장되어 표현되었으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ertain parts or thicknesses of the drawings have been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단일층으로 형성된 기재층을 포함하는 바닥재이고, 상기 기재층은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내에 분산된 유기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재의 마주보는 양 측면이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이고, 상기 바닥재는 상기 제1 측면부 상에 제1 돌출부 및 제1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재는 상기 제2 측면부 상에 상기 제1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홈부 및 상기 제1 홈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돌출부를 형성하는 비접착식 바닥재를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oring comprising a substrate layer formed of a single layer, wherein the substrate layer comprises a thermoplastic resin and organic fibers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Wherein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groove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on the second side portion and a second groove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on the second side portion, And a second projecting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접착식 바닥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시공하는 것으로, 도 1을 참조할 때, 마주보는 양 측면이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이며, 구체적으로 2면의 제1 측면부 및 2면의 제2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명세서에서 '길이'는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긴 측면을 의미하고, '폭'은 상대적으로 더 짧은 측면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상기 '길이' 및 '폭'은 임의로 지칭할 수 있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non-adhesive floor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is applied without using an adhesive. Referring to FIG. 1, the opposite side surfaces are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Specifically,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of the two surfaces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of the two surfaces . ≪ / RTI > Referring to FIG. 1, 'length' herein refers to a relatively longer side of the first side and second side, and 'width' refers to a relatively shorter side. If the lengths of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are the same, the 'length' and the 'width' may be arbitrarily referred to.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복수의 비접착식 바닥재가 연결되어 시공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하나의 바닥재의 제1 측면부가 다른 하나의 바닥재의 제2 측면부와 결합하여 길이방향(long side) 또는 폭방향(short side)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may be construc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non-adhesive floor materials. Specifically, the first side portion of one bottom material may be combined with the second side portion of the other bottom material to form a long side or a short side side.

도 2는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상기 제1 측면부(110)는 제1 돌출부(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부(120)는 상기 제1 돌출부(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제2 홈부(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110)는 상기 제1 돌출부(10)가 상기 바닥재의 내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제1 홈부(1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부(120)는 상기 제1 홈부(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제2 돌출부(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돌출부(10)는 상기 제2 홈부(20)와 결합하고, 상기 제1 홈부(11)는 상기 제2 돌출부(21)와 결합하여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가 접착제 없이 연결 및 시공될 수 있고, 우수한 체결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specifically showing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 the first side portion 110 includes a first protrusion 10, and the second side portion 120 includes a second groove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10 20). The first side part 110 includes a first groove part 11 at an end of the first projecting part 10 that extends inwardly of the bottom member and the second side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groove part 1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21). The first protrusion 10 engages with the second groove 20 and the first groove 11 engages with the second protrusion 21 so that the non-adhesive flooring can be connected and constructed without an adhesive , An excellent fastening strength can be secured.

도 3은 하나의 비접착식 바닥재가 다른 하나의 비접착식 바닥재와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체결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를 참조할 때,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의 제1 돌출부(10)는 다른 하나의 비접착식 바닥재의 제2 홈부(20)와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의 제1 홈부(11)는 다른 하나의 비접착식 바닥재의 제2 돌출부(21)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비접착식 바닥재가 체결 및 결합되어 접착제 없이 시공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우수한 강성 및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Fig. 3 schematically shows a shape in which one non-stick floor is fastened to the other non-stick floor in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projection 10 of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can be fastened to the second groove portion 20 of the other non-adhesive floor material, and the first groove portion 11 of the non- And can be fastened to the second projection 21 of the other non-adhesive floor material. In this way, a plurality of non-adhesive flooring members can be fastened and bonded to each other to enable construction without an adhesive, and at the same time excellent rigidity and durability can be realized.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홈부는 용도에 따라 체결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제1 홈부 및 제2 돌출부의 경우에도 이와 같다.
In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to improve the fastening strength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nd the same applies to the first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접착제 없이 시공되는 것으로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접착식 바닥재에 비해 온도 변화에 의한 치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 is applied without an adhesive, and it is an important problem to secure dimensional stability due to temperature change as compared with the adhesive flooring material fixed by an adhesive.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는 내열성이 약하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사용하는 바닥재의 경우, 치수 안정성 및 내열성 확보를 위하여 복수의 기재층 사이에 섬유 시트 또는 섬유 면포를 적층한다. 다만, 복수의 기재층 사이에 섬유 시트 또는 섬유 면포를 적층하여 바닥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조 공정상 별도의 합판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바닥재의 제조 비용이 많이 들며 제품의 전체적인 두께를 두껍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바닥재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재층의 두께를 감소시킬 경우, 상기 섬유 시트 또는 섬유 면포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가공 불량률을 증가시키며, 바닥재의 뒤틀림, 편차 또는 크랙 발생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Generally, thermoplastic resins have low heat resistance. Therefore, in the case of a floor material using a substrate layer containing the same, a fiber sheet or a fiber cloth is laminated between a plurality of base layers in order to ensure dimensional stability and heat resistance. However, in the case of producing a floor material by laminating a fiber sheet or a fiber cloth between a plurality of base layers, a separate laminating equipments are requir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floor material is increased and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product is increased do.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a plurality of base layers is reduced in order to form the thickness of the bottom material, the fiber sheet or the fiber cloth or the like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increase the defective processing rate, and problems such as distortion, ≪ / RTI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단일층으로 형성된 기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은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내에 분산된 유기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이 '단일층으로 형성된 것'은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 내에 기재층의 역할을 하는 층이 단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To solve this problem, the non-adhesive flooring includes a base layer formed of a single layer, and the base layer may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and organic fibers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The base layer is formed as a single layer, which means that the layer serving as the base layer is formed in only one layer in the non-adhesive flooring.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가 단일층으로 형성된 기재층을 포함함으로써 얇은 두께로 제조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감소하며, 유통 및 시공에 있어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 can be made to have a thin thickness by including the base layer formed of a single layer,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a favorable effect in distribution and construction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 기재층은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내에 분산된 유기 섬유를 포함하며, 이로써 별도의 섬유 면포 또는 섬유 시트를 제조하거나 적층하지 않고 우수한 치수 안정성 및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더 우수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Further, the base layer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and organic fibers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whereby it is possible to secure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heat resistance without preparing or laminating a separate fiber base paper or fiber sheet, The strength can be secured. In addition, manufacturing costs and manufacturing time can be saved.

도 4는 상기 기재층(1)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100)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상기 기재층(1)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기재층(1)은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내에 분산된 유기 섬유(A)를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내에 상기 유기 섬유(A)가 고르게 분산됨으로써 별도의 섬유 시트 또는 섬유 면포 없이도 우수한 치수 안정성 및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Fig. 4 schematically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base layer 1, and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base layer 1 when the non-adhesive flooring 100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ase layer (1) comprises a thermoplastic resin and organic fibers (A)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and the organic fibers (A) are evenly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And heat resistance can be ensured.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총 두께가 약 5.0㎜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4.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바닥재의 총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유통 및 시공 과정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상기 기재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범위의 두께에서도 우수한 가공 강도 및 체결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 may have a total thickness of about 5.0 mm or less, specifically about 4.0 mm or less. When the total thickness of the bottom material satisfies the above range, easiness of distribution and construction can be ensur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saved. In addition,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can secure excellent working strength and bonding strength even in the above range of thickness by including the base layer.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할 때,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100)는 제조 시 상기 제1 측면부(110)에 상기 제1 돌출부(10) 및 제1 홈부(11)를 제조해야 하고, 상기 제2 측면부(120)에 상기 제2 홈부(20) 및 제2 돌출부(21)를 제조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100)는 직육면체 형태의 시트를 제조한 후에 상기 제1 측면부(110) 및 제2 측면부(120)에 각 형상에 부합하는 제1 돌출부(10), 제1 홈부(11), 제2 홈부(20) 및 제2 돌출부(21)를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를 상기 범위의 얇은 두께로 제조하면서 우수한 가공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2 and 3, 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 100 is required to manufacture the first protrusion 10 and the first groove portion 11 in the first side portion 110 at the time of manufacture, The second groove portion 20 and the second projection portion 21 should be manufactur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120. Specifically,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100 includes a first protruding portion 10 and a first protruding portion 10 that are formed in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11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120, respectively, 11, the second trench 20, and the second projection 21,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i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secure an excellent processing strength while manufacturing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to a thin thickness in the above range.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재가 복수의 기재층 및 그 사이에 형성된 섬유 면포 또는 섬유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 그 두께는 얇게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바닥재의 두께를 얇게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기재층의 두께를 감소시킬 경우, 돌출부 및 홈부 등의 가공영역을 가공할 때 섬유 면포 또는 섬유 시트가 노출되어 일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돌출부 및 홈부를 체결할 때 맞춤성의 불량을 가져오며 체결 강도의 저하를 유발한다. 또한, 섬유 면포 또는 섬유 시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바닥재의 시공 이후 사용 중에 뒤틀림, 편차, 크랙 발생 등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ottom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layers and a fiber base fabric or a fiber sheet formed therebetween, the thickness thereof may be difficult to realize thinly. Further, when the thickness of a plurality of base layers is reduced in order to realize a thin thickness of such a bottom material,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fiber cloth or a fibrous sheet is exposed and some tearing may occur when the working region such as a protruding portion and a groove portion is processed. In addition, this causes defects in fitting property wh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are fastened, resulting in lowering of the fastening strength. Further, the fiber fabric or fiber shee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may cause problems such as distortion, deviation, cracks, etc. during us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ing.

이에 대하여,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100)는 단일층으로 형성된 상기 기재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범위의 두께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돌출부(10), 제1 홈부(11), 제2 홈부(20) 및 제2 돌출부(21)를 가공하기 위한 우수한 강도를 확보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을 통하여 상기 범위의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사용 중에 우수한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contrast, 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 100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 thickness in the above range by including the base material layer formed as a single layer. In spite of this thin thickness, the first projection 10, the first groove portion 11 ), The second groove portion 20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21 can be secured and the defect rate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excellent strength and rigidity during use despite the thinness of the above range through the base layer.

도 4를 참조할 때, 상기 기재층(1)은 그 두께(d1)가 약 2 ㎜ 내지 약 4 ㎜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d1)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의 전체 두께를 두껍지 않게 하면서도 우수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우수한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base layer 1 may have a thickness d1 of about 2 mm to about 4 mm. When the thickness (d1) of the base layer satisfies the above range, excellent strength can be ensured while not thickening the entire thickness of 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 and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can be realiz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접착식 바닥재를 상기 길이방향(long side)으로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할 때,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100)는 상기 기재층(1)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1)의 하부에 이면층(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재층(1)의 상부에 인쇄층(3) 및 표면층(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non-adhesive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ong side. 5,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100 includes the base layer 1, and may further include a back layer 2 at the bottom of the base layer 1, 1, a printing layer 3 and a surface layer 3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인쇄층(3)은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에 심미적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각종 문양 및 도안으로 형성되거나, 음각 또는 양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그라비아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printing layer 3 imparts an aesthetic effect to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The printing layer 3 may be formed of various patterns or patterns on the base layer, or may be embossed or embossed. Also, they are manufactured using various colors and can be manufactured by a gravure printing or screen printing method.

상기 인쇄층(3)은 상기 기재층(1)과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기재층(1)과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inting layer 3 may include the same thermoplastic resin as the base layer 1, and in this case, the adhesion with the base layer 1 is improved, and the durability of the non-adhesive flooring can be improved.

상기 표면층(4)은 상기 인쇄층(3)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의 내스크래치성 및 표면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urface layer 4 protects the print layer 3, thereby improving scratch resistance and surface properties of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층(4)은 투명한 수지로 형성되며,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PVB 폴리비닐부티랄(PVB)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urface layer 4 is formed of a transparent resin, and the kind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surface layer 4 may be formed of a resin such as a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a urethane (meth) acrylate resin, , Silicone (meth) acrylate resin, (PVB polyvinyl butyral (PVB) resin,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 표면층(4)은 필요에 따라, 표면을 자외선에 의해 경화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더 좋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f necessary, the surface layer 4 can be cured by ultraviolet rays, and in this cas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the wear resistance can be obtained.

상기 이면층(2)은 상기 기재층(1) 하부에 위치하여 구조의 평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가 휘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ck layer 2 is positioned below the base layer 1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from bending or twisting.

구체적으로, 상기 이면층(2)은 열가소성 수지 및 탄석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탄석을 약 100 내지 약 3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ackside layer 2 may include thermoplastic resin and talc, and about 100 to about 300 parts by weight of the talc may be included in 100 weight parts of the thermoplastic resin.

상기 이면층(2)은 상기 기재층(1)과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이면층과 상기 기재층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backside layer 2 may include the same thermoplastic resin as the base layer 1, and in this case, the adhesion between the backside layer and the base layer may be improve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non-adhesive flooring.

또한, 상기 이면층(2)은 그 두께가 상기 인쇄층(3) 및 표면층(4)의 총 두께와 유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 차이가 약 0.3㎜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2㎜일 수 있다. 상기 이면층(2)의 두께와 상기 인쇄층(3) 및 표면층(4)의 총 두께의 차이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가 휘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면층(2)의 두께와 상기 인쇄층(3) 및 표면층(4)의 총 두께가 동일한 경우,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Further, the thickness of the back layer 2 may be similar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print layer 3 and the surface layer 4, for example, the difference may be about 0.3 mm or less, for example, 0.2 mm Lt; / RTI >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back layer 2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print layer 3 and the surface layer 4 satisfies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from bending or twisting. Concretely, when the thickness of the back layer 2 is equal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print layer 3 and the surface layer 4, this effect can be maximized.

도 5를 참조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총 두께(d2)가 약 5.0㎜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4.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바닥재의 총 두께(d2)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약하고, 유통 및 시공 과정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1)을 통하여 상기 범위의 두께에서도 우수한 가공 강도 및 체결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s described above,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may have a total thickness d2 of about 5.0 mm or less, specifically about 4.0 mm or less. The total thickness (d2) of the bottom material satisfies the above range,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saved and the ease of distribution and construction can be ensured. In addition, excellent work strength and fastening strength can be secured through the base layer 1 even in the above-mentioned range of thickness.

상기 기재층(1)은 열가소성 수지 및 유기 섬유(A)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기 섬유를 약 0.1 내지 약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섬유가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바닥재의 내열성 및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인장 하중 및 체결 강도의 향상 효과를 구현하기 어려우며, 약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The base layer 1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and an organic fiber (A). Specifically, about 0.1 to about 1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fiber may be included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When the organic fib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about 0.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and rigidity of the flooring material can not be obtained and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ensile load and the fastening strengt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orkability is lowered.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PVDC),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F), 염소화 폴리염화비닐(CPVC), 폴리비닐알콜(P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폴리비닐부티레이트(PVB),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이들이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for example, polyvinyl chloride (PVC), polyvinylidene chloride (PVDC), polyvinylidene fluoride (PVF),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CPVC), polyvinyl alcohol (PVA) But are not limited to,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acetate (PVAc), polyvinyl butyrate (PVB),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nd combinations thereof.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이거나, 폴리염화비닐(PVC) 및 폴리비닐부티레이트(PVB)가 혼합된 수지일 수 있고, 이 경우 가공성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polyvinyl chloride (PVC), or a resin mixed with polyvinyl chloride (PVC) and polyvinyl butyrate (PVB). In this case, a favorable effect can be obtained in terms of workability.

상기 유기 섬유(A)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내에 분산된 상태로 상기 기재층(1)에 포함될 수 있고, 이는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organic fiber (A) may be contained in the base material layer (1) in a state of being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which can improve the strength of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섬유는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크릴계 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rganic fibers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mide fibers, polyolefin fibers, polyester fibers, polyacrylic fibers, polyvinyl alcohol fibers, and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나일론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레핀계 섬유는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에틸렌(PE) 섬유, 테프론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크릴계 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섬유, 모다크릴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lyamide-based fibers may includ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omatic polyamide fibers, nylon fibers,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polyolefin-based fibers may include polypropylene (PP) fibers, polyethylene (PE) Teflon fibers, and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the polyacrylic fib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crylonitrile (PAN) fiber, modacryl fiber, and combinations thereof.

예를 들어, 상기 유기 섬유는 폴리아미드계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닥재의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 향상 효과가 큰 장점을 얻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organic fibers may include polyamide-based fibers, and specifically include aromatic polyamide fiber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obtain a great advantage of improving the mechanical strength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bottom material.

상기 유기 섬유는 평균 직경이 약 2㎛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섬유의 평균 직경이 약 2㎛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의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인장 하중 및 체결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구현하기 어렵고, 약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닥재의 제조 과정에서 분산성 및 가공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The organic fibers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about 2 [mu] m to about 20 [mu] m. Whe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organic fibers is less than about 2 탆,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and improving the tensile load and the fastening strength. When the average diameter is more than about 20 탆, The dispersibility and processability can be lower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또한, 상기 유기 섬유는 평균 길이가 약 1㎜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섬유의 평균 길이가 약 1㎜ 미만인 경우에는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구현하기 어렵고, 약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닥재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내에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섬유 자체의 꼬임 현상이 발생하여 바닥재의 내구성 및 강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the organic fibers may have an average length of about 1 mm to about 50 mm. When the average length of the organic fibers is less than about 1 mm,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imensional stability. When the average length of the organic fibers is more than about 50 mm, the fibers are not uniformly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floor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urability and the strength of the bottom material may be lowered.

상기 기재층은 열가소성 수지 및 유기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 섬유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내에 분산되어 배향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기 섬유가 배향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기재층을 포함하는 비접착식 바닥재는 우수한 내열성 및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The base layer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and an organic fiber, and the organic fiber is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to have an orientation property. Since the organic fibers have an orientation property,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including the base layer can realize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상기 유기 섬유가 배향성을 가진다는 것은 모든 유기 섬유가 평행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섬유재가 임의의 특정한 일 방향에 대하여 방향성을 가지면서 배열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The fact that the organic fibers have orientation does not mean that all the organic fibers are parallel, but means that the fibers are arranged with directionality in any one specific direction.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를 참조할 때, 상기 기재층(1)의 유기 섬유는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100)의 길이방향(long side)으로 배향성을 가질 수 있고, 이로써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우수한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 and 5, the organic fibers of the substrate layer 1 may have an orientation on the long side of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100,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can be realized.

상기 기재층은 휘발성이 낮은 액상의 용제로서, 열가소성 수지에 부드러운 물성을 부가시켜 가공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바닥재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ase layer is a liquid solvent having low volatility. The bas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plasticizer which facilitates processing by imparting soft physical properties to the thermoplastic resin and imparts flexibility to the bottom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가소제는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비프탈레이트계인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지방족 이염기산 에스테르계인 디옥틸아디페이트(DO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asticiz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isononyl phthalate (DINP), dioctyl phthalate (DOP), biphthalate-based dioctyl terephthalate (DOTP), aliphatic dibasic acid ester-based dioctyl adipate (DOA) And the like.

예를 들어,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또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상기 가소제가 유기 섬유의 분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기재층을 포함하는 비접착식 바닥재의 인장 하중을 증가시키고,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asticizer may include dioctyl phthalate (DOP) or dioctyl terephthalate (DOTP), in which case the plasticizer may improve the dispersing effect of the organic fibers, The tensile load of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including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can be increased and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can be ensured.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열가소성 수지 및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함유함으로써 제1 측면부에 제1 돌출부 및 제1 홈부를 가공하고 제2 측면부에 제2 홈부 및 제2 돌출부를 가공하기에 적합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상기 기재층을 함유함으로써 두께 대비 우수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includes a base layer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and organic fibers so as to have a strength suitable for processing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first projection on the first side face and for processing the second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on the second side face . In addition,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can secure a superior strength to the thickness by containing the base layer.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은 인장 하중이 약 30 kgf 이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50 kgf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인장 하중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기재층을 포함하는 비접착식 바닥재가 우수한 체결 강도를 나타낼 수 있고, 우수한 강도 및 강성을 나타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ase layer may have a tensile load of at least about 30 kgf, for example, at least about 50 kgf. When the tensile load of the base layer satisfies the above range,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including the base layer can exhibit excellent bonding strength and exhibit excellent strength and rigidity.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하나의 바닥재가 다른 하나의 바닥재와 체결 및 결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하나의 바닥재의 제1 돌출부는 다른 하나의 바닥재의 제2 홈부와 체결되고, 하나의 바닥재의 제1 홈부는 다른 하나의 바닥재의 제2 돌출부와 체결된다. 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flooring material is fastened to and joined to the other flooring material. Specifically, the first projection of one flooring material is fastened to the second groove part of the other flooring material, And is fastened to the second projection of the other flooring.

이 때, 상기 하나의 바닥재와 다른 하나의 바닥재의 길이방향(long side) 체결 강도는 약 200N 이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380N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바닥재와 다른 하나의 바닥재의 폭방향(short side) 체결 강도는 약 200N 이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420N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바닥재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체결 강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가 접착제 없이 시공됨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내구성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ng side coupling strength of the one bottom material and the other bottom material may be about 200N or more, for example, about 380N or more. In addition, the short side tightening strength of the one bottom material and the other bottom material may be about 200N or more, for example, about 420N or more. The bonding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material satisfies the above range, so that the excellent durability and rigidity can be ensured even though the non-adhesive floor material is applied without the adhesive.

상기 '체결 강도'는 하나의 바닥재를 다른 하나의 바닥재와 체결시킨 후 인장력을 가하여 두 바닥재가 분리되는 순간에 상기 인장력의 크기를 의미하며, 이 값이 클수록 두 바닥재가 단단하게 결합됨을 알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의 체결 강도는 두 바닥재의 길이방향(long side)의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체결한 후, 인장력을 가한 경우의 체결 강도를 의미하고, 상기 폭방향의 체결 강도는 두 바닥재의 폭방향(short side)의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체결한 후, 인장력을 가한 경우의 체결 강도를 의미한다.
The 'clamping strength' means the magnitude of the tensile force at the moment when two flooring members are separated by applying a tensile force after one floor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other flooring member. It can be seen that the larger the value, the more firmly the two flooring members are bonded . The fastening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eans a fastening strength in the case of applying a tensile force after fastening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of the long side of the two bottoms, Means the fastening strength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after fastening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of the short side.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상기 기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은 열가소성 수지에 유기 섬유를 혼합 및 분산시켜 조성물을 제조한 후에 이를 열-압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압착은 카렌더 공정 또는 프레스 공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은 카렌더 공정을 통하여 열-압착되어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유기 섬유가 배향성을 갖기 용이하며,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의 대량 생산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 includes the base material layer, and the base material layer can be produced in the following manner. Specifically, the base layer may be prepared by mixing and dispersing organic fibers in a thermoplastic resin to prepare a composition, followed by thermo-compression. At this time, the heat-pressing may be performed by a calendering process or a pressing process. For example, the base layer can be produced by heat-pressing through a calendering process. In this case, the organic fibers are easy to be oriented and advantageous for mass production of the non-adhesive flooring.

또한, 상기 기재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안정제, 착색제, 충전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base layer may contain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bilizers, colorants, fillers, and combinations thereof, if necessary.

상기 안정제는 열가소성 수지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Ba/Zn계 스테아린산, Ca/Zn계 스테아린산, Tin계 스테아린산, 납계 스테아린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Ba/Zn계 스테아린산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기재층의 점도 안정성 및 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The stabilizer improves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thermoplastic resin. The stabil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Ba / Zn stearic acid, Ca / Zn stearic acid, Tin stearic acid, lead stearic acid,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composition may include Ba / Zn-based stearic acid. In this cas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viscosity stability and thermal stability of the base layer can be realized.

상기 충전제는 바닥재의 강도, 내열성 및 내구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탈크(talc), 플라이애쉬(Fly ash), 고로슬래그(Blast Furnace Slag)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ller is added to increase the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of the bottom material and to reduce the cost. The type of the fill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alc, fly ash, blast furnace slag ),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 착색제는 바닥재의 용도에 따라, 미적 효과 및 실용적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첨가되어 색깔을 내는 염료나 안료를 의미하며, 상기 바닥재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염료,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loring agent means a coloring dye or pigment added to realize aesthetic effect and practical effect depending on the use of the flooring material. The flooring material may include various dyes, pigments and mixtures thereof depending on the use thereof .

상기 기재층이 열가소성 수지 자체에 유기 섬유가 혼합 및 분산된 조성물로부터 형성됨으로써,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가 상기 기재층을 단일층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제조 시 불량률을 감소시키며, 내구성 및 내열성 향상의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The base layer is formed from a composition in which the organic fibers are mixed and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itself, so that the non-adhesive flooring can include the base layer as a single layer, thereby reducing the defective ratio at the time of production and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Can be easily implemen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intended to illustrate or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hereto.

<제조예>
<Production Example>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One

폴리염화비닐(PVC) 수지(LG 화학社, LS100) 및 폴리비닐부티레이트(PVB) 수지(스크랩社, 재생 PVB 수지)를 95 : 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대하여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Dupont社, Kevlar) 0.5 중량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에 가소제(NEO-T, 애경) 22 중량부, 탄산칼슘 270 중량부를 더 혼합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혼합기(banbury mixer)로 3분 내지 4분 정도 혼련한 후, 이를 카렌더 공정을 이용하여 160℃ 내지 180℃에서 열-압착함으로써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내에서 배향성을 가지는 기재층을 제조하였다.
A thermoplastic resin containing a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LS100) and a polyvinyl butyrate (PVB) resin (Scrap Co., Ltd., regenerated PVB resin) in a weight ratio of 95: 5, And 0.5 part by weight of an anionic aromatic polyamide fiber (Dupont, Kevlar). To the composition, 22 parts by weight of a plasticizer (NEO-T, APEX) and 27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were further mixed. The above composition is kneaded in a banbury mixer for about 3 minutes to about 4 minutes and then heat-pressed at 160 ° C to 180 ° C using a calender process so that the aromatic polyamide fiber is orient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 2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내열성 나일론 섬유 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고내열성 나일론 섬유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내에서 배향성을 가지는 기재층을 제조하였다.
Heat resistant nylon fiber was orient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5 parts by weight of high heat-resistant nylon fiber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3 3

폴리염화비닐(PVC) 수지(LG 화학社, LS100) 및 폴리비닐부티레이트(PVB) 수지(스크랩社, 재생 PVB 수지)를 95 : 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대하여 가소제(NEO-T, 애경) 22 중량부 및 탄산칼슘 2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혼합기(banbury mixer)로 3분 내지 4분 정도 혼련한 후, 이를 카렌더 공정을 이용하여 160℃ 내지 180℃에서 열-압착함으로써 기재층을 제조하였다.
A thermoplastic resin containing a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LS100) and a polyvinyl butyrate (PVB) resin (Scrap Co., Ltd., regenerated PVB resin) in a weight ratio of 95: 5, , 22 parts by weight of an adherend plasticizer (NEO-T, aekyung) and 27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The above composition was kneaded in a banbury mixer for about 3 minutes to about 4 minutes, and then the base layer was formed by hot pressing at 160 ° C to 180 ° C using a calender process.

<실시예 및 비교예>
&Lt;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

실시예Example 1: 4.0T  1: 4.0T 비접착식Non-adhesive 바닥재의 제조 Manufacture of flooring

상기 제조예 1의 기재층을 3.36 ㎜의 두께로 제조하였고,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롤 합판 방법으로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를 포함하는 이면층을 0.25 ㎜의 두께로 합판하였다. 이어서,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롤 합판 방법으로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를 포함하는 인쇄층을 0.09 ㎜의 두께로 합판하며,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 롤 합판 방법으로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0.30 ㎜의 두께로 적층하여 총 두께가 4.0㎜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바닥재의 제1 측면부에 제1 돌출부 및 제1 홈부를 가공하고, 제2 측면부에 제2 홈부 및 제2 돌출부를 가공하여 총 두께가 4.0㎜인 비접착식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The base layer of Production Example 1 was prepared to a thickness of 3.36 mm, and a back layer containing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was laminated to the bottom of the base layer by a roll plywood method to a thickness of 0.25 mm. Subsequently, a print layer containing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was laminated on the base layer by a roll plywood method to a thickness of 0.09 mm, and a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Was laminated to a thickness of 0.30 mm to prepare a flooring material having a total thickness of 4.0 mm. Subsequently,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were processed on the first side portion of the bottom material,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were processed on the second side portion to produce a non-adhesive flooring having a total thickness of 4.0 mm.

실시예Example 2: 3.2T  2: 3.2 T 비접착식Non-adhesive 바닥재의 제조 Manufacture of flooring

상기 제조예 1의 기재층을 2.56㎜의 두께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총 두께가 3.20㎜인 비접착식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A non-adhesive flooring having a total thickness of 3.20 m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base layer of Production Example 1 was produced to have a thickness of 2.56 mm.

실시예Example 3: 3.2T  3: 3.2 T 비접착식Non-adhesive 바닥재의 제조 Manufacture of flooring

상기 제조예 2의 기재층을 2.56㎜의 두께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총 두께가 3.2㎜인 비접착식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A non-adhesive flooring having a total thickness of 3.2 m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base layer of Production Example 2 was produced to a thickness of 2.56 mm.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섬유 면포 함유 바닥재의 제조  1: Manufacture of flooring containing fiber cloth

상기 제조예 2의 기재층을 1.86㎜의 두께로 제조하여 제1 기재층을 마련하였고,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롤 합판 방법으로 PVC 재질의 이면층을 0.25㎜의 두께로 합판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1 기재층의 상부에 직경이 14㎛인 유리 섬유를 이용하여, 홀 간격인 4㎜인 메쉬(mesh)형태로 제조된 유리 섬유 면포(Glass fiber scrim)를 적층하였다. 상기 유리 섬유 면포의 상부에 상기 제조예 2의 기재층을 1.5 ㎜의 두께로 적층하여 제2 기재층을 합판 하였다. 이어서,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롤 합판 방법으로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를 포함하는 인쇄층을 0.09 ㎜의 두께로 합판 하였다.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 롤 합판 방법으로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0.3 ㎜의 두께로 적층하여 총 두께가 4.0㎜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바닥재의 제1 측면부에 제1 돌출부 및 제1 홈부를 가공하고, 제2 측면부에 제2 홈부 및 제2 돌출부를 가공하여 총 두께가 4.0㎜인 비접착식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The base layer of Production Example 2 was prepared to a thickness of 1.86 mm to provide a first base layer and a back layer of PVC was laminated to the bottom of the base layer by a roll plywood method to a thickness of 0.25 mm. Next, a glass fiber scrim made in the form of a mesh having a hole interval of 4 mm was laminated on the first base layer using glass fibers having a diameter of 14 탆. The base layer of Production Example 2 was laminated on the glass fiber mat with a thickness of 1.5 mm to laminate the second base layer. Subsequently, a print layer containing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was laminated on the base layer to a thickness of 0.09 mm by a roll plywood method. A surface layer including a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was laminated on the print layer by a roll plywood method to a thickness of 0.3 mm to prepare a bottom layer having a total thickness of 4.0 mm. Th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first groove portion were machined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were machined on the second side portion to produce a non-adhesive floor material having a total thickness of 4.0 mm.

<평가 >
<Evaluation>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One: 기재층의The base layer 인장 하중의 측정 Measurement of tensile load

상기 제조예 1 내지 3 의 기재층을 모두 2㎜의 두께로 제조하였고, 폭 20㎜ 및 길이 150㎜인 샘플을 제작하였다. 상기 샘플에 대하여, 인장 시험기(M350-5kN, Testometric)를 이용하여 인장 속도 200㎜/min에서 각각의 인장 하중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All the base layers of Production Examples 1 to 3 were prepared to a thickness of 2 mm, and samples having a width of 20 mm and a length of 150 mm were produced. The tensile load of each sample was measured at a tensile speed of 2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M350-5kN, Testometric)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바닥재의 체결 강도의 측정 2: Measurement of bonding strength of flooring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비접착식 바닥재에 대하여, 폭 100㎜ 및 길이 100㎜인 샘플을 제작하였다. 상기 샘플에 대하여, 하나의 바닥재의 제1 측면부를 다른 하나의 바닥재의 제2 측면부와 결합하여 체결시킨 후 인장 시험기(M350-5kN, Testometric)를 이용하여 길이방향(long side)의 체결 강도 및 폭방향(short side)의 체결 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샘플에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인장 속도 0.5㎜/min의 인장력을 가하여 두 바닥재가 분리되는 순간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각각 길이방향의 체결 강도 및 폭방향의 체결 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A sample having a width of 100 mm and a length of 100 mm was prepared for 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s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For the sample, the first side portion of one bottom material was joined with the second side portion of the other bottom material, and the fastening strength and width of the long side were measured using a tensile tester (M350-5kN, Testometric) And the fastening strength of the short side was measured. Specifically, a tensile force of 0.5 mm / min was applied to the samp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to measure the tensile force at the moment when the two floor materials were separated, and the fastening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astening strength in the width direction were measured, 1.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3: 바닥재의 치수 안정성의 측정 3: Measurement of dimensional stability of flooring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비접착식 바닥재에 대하여, 각각 폭 150㎜ 및 길이 1,219㎜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상온에서 상기 샘플의 길이 및 폭을 측정하여 각각 초기 치수를 확정하였다. 이 후, 상기 샘플을 80℃에서 6시간 보관하고, 다시 상온에서 2시간 보관한 후에 길이 및 폭을 측정하여 각각 후기 치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초기 치수 및 후기 치수를 바탕으로, 하기 일반식 1에 의하여 바닥재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치수 변화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치수 변화율이 작을수록 치수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Samples having a width of 150 mm and a length of 1,219 mm were prepared for 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s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respectively. The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ample wer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to determine initial dimensions, respectively. Thereafter, the sample was stored at 80 DEG C for 6 hours, and t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Then, the length and width were measured, and the respective late dimensions were measured. Based on the initial dimensions and the latter dimensions, the dimensional change ratio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ooring material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1). It can be seen that the smaller the dimensional change ratio is, the better the dimensional stability is.

[일반식 1][Formula 1]

치수 변화율(%) = (후기 치수 - 초기 치수)/ 초기 치수 x 100
Dimensional change ratio (%) = (Later dimension - Initial dimension) / Initial dimension x 100

기재층의
인장하중[kgf]
The base layer
Tensile load [kgf]
체결강도[N]Fastening strength [N] 치수 변화율[%]Dimensional change rate [%]
길이방향
(long side)
Lengthwise
(long side)
폭방향
(short side)
Width direction
(short side)
길이방향
(long side)
Lengthwise
(long side)
폭방향
(short side)
Width direction
(short side)
실시예 1Example 1 5757 450450 450450 0.050.05 0.060.06 실시예 2Example 2 5757 380380 420420 0.050.05 0.040.04 실시예 3Example 3 4444 350350 410410 0.070.07 0.080.08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4343 350350 400400 0.070.07 0.080.08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열가소성 수지 및 유기 섬유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 기재층의 인장하중이 50 kgf 이상으로 나타난바, 동일 두께 또는 더 얇은 두께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예 1에 비하여 더 높은 인장 하중을 나타냄을알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비접착식 바닥재는 비교예 1에 비하여 두께 대비 우수한 강성 및 체결 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In Examples 1 to 3, a base layer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and an organic fiber was contained, and the tensile load of the base layer was 50 kgf or more. As a result, in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s of Examples 1 to 3 exhibit excellent stiffness and bonding strength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1.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상기 기재층을 단일층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실시예 1 및 2를 참조할 때 2 이상의 기재층과 별도의 유리 섬유 면포를 포함하는 비교예 1에 비하여 동일 두께 또는 더 얇은 두께에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체결 강도가 더 우수하고,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의 경우에도 비교예 1에 비하여 더 얇은 두께임에도 불구하고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체결강도 및 치수안정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제조 시 불량률을 감소시키면서도 우수한 물성을 구현함을 알 수 있다.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3, the base layer was included as a single layer, and in Examples 1 and 2,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1 comprising two or more base layers and a separate glass fiber base cloth, Or the thinner the thickness, the better the fastening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nd the better the dimensional stability is. It can also be seen that, even in the case of Example 3, the bonding strength and the dimensional stability are similar or better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1, even though the thickness is thinner. Thus, it can be seen that Examples 1 to 3 exhibit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while reducing the defective ratio in the production.

한편,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기재층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며, 실시예 3은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섬유 중 하나인 나일론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2의 경우, 실시예 3에 비하여 더 우수한 체결 강도 및 치수안정성을 구현함을 알 수 있는바, 유기 섬유가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두께 대비 우수한 체결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을 구현함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layers of Examples 1 and 2 include aromatic polyamide fibers, and Example 3 includes nylon fibers which are one of aliphatic polyamide fibers. In Examples 1 and 2, more excellent bonding strength and dimensional stability are realized as compared with Example 3. As a result, when organic fibers include aromatic polyamide fibers, excellent bonding strength and dimensional stability compared to the thickness .

상기 비접착식 바닥재는 열가소성 수지 및 유기 섬유를 한 층 안에 모두 포함하는 기재층을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제조 과정에서 비접착 시공을 위한 구성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을 통하여 비교적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강성 및 체결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non-adhesive flooring material includes a base layer including a thermoplastic resin and an organic fiber in one layer, thereby facilitating the construction of the non-adhesive constructio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ing the defective rate. In addition, through the base layer, excellent rigidity and fastening strength can be realized in spite of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nd an effect of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can be obtained.

100: 비접착식 바닥재
110: 제1 측면부
120: 제2 측면부
10: 제1 돌출부
11: 제1 홈부
20: 제2 홈부
21: 제2 돌출부
1: 기재층
2: 이면층
3: 인쇄층
4: 표면 보호층
A: 유기 섬유
d1: 기재층의 두께
d2: 비접착식 바닥재의 두께
100: Non-adhesive flooring
110: first side portion
120: second side portion
10: first protrusion
11: first groove
20: second groove
21: second protrusion
1: substrate layer
2: backside layer
3: Printing layer
4: Surface protective layer
A: Organic fiber
d1: thickness of the base layer
d2: thickness of non-adhesive flooring

Claims (14)

단일층으로 형성된 기재층을 포함하는 바닥재이고,
상기 기재층은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내에 분산된 유기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재의 마주보는 양 측면이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이고,
상기 바닥재는 상기 제1 측면부 상에 제1 돌출부 및 제1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재는 상기 제2 측면부 상에 상기 제1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홈부 및 상기 제1 홈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돌출부를 형성하는
비접착식 바닥재.
A flooring comprising a substrate layer formed as a single layer,
Wherein the base layer comprises a thermoplastic resin and organic fibers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Wherein the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bottom material are a first side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side surface portion,
Wherein the bottom member forms a first projection and a first groove on the first side surface,
Wherein the bottom member has a second groove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jection portion and a second projection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portion on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Non adhesiv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총 두께가 5.0㎜ 이하인
비접착식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oring has a total thickness of 5.0 mm or less
Non adhesiv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두께가 2.0 ㎜ 내지 3.5 ㎜인
비접착식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layer has a thickness of 2.0 mm to 3.5 mm
Non adhesiv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기 섬유를 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는
비접착식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layer contains 0.1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fibers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Non adhesiv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PVDC),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F), 염소화 폴리염화비닐(CPVC), 폴리비닐알콜(P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폴리비닐부티레이트(PVB),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이들이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접착식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chloride (PVC), polyvinylidene chloride (PVDC), polyvinylidene fluoride (PVF),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CPVC), polyvinyl alcohol (PVA), polyvinyl acetat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butyrate (PVB),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nd combinations thereof
Non adhesiv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섬유는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크릴계 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접착식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ganic fibers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mide fibers, polyolefin fibers, polyester fibers, polyacrylic fibers, polyvinyl alcohol fibers, and combinations thereof
Non adhesiv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섬유는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를 포함하는
비접착식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ganic fiber comprises an aromatic polyamide-based fiber
Non adhesiv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섬유는 평균 직경이 2㎛ 내지 20㎛인
비접착식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fibers have an average diameter of 2 to 20 [micro] m
Non adhesiv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섬유는 평균 길이가 1㎜ 내지 50㎜인
비접착식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fibers have an average length of 1 mm to 50 mm
Non adhesiv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상기 유기 섬유가 배향성을 갖는
비접착식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layer is a layer in which the organic fibers are oriented
Non adhesiv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이면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인쇄층 및 표면층을 더 포함하는
비접착식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cking layer under the substrate layer,
Further comprising a printing layer and a surface layer on the base layer
Non adhesiv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인장 하중이 30 kgf 이상인
비접착식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layer has a tensile load of 30 kgf or more
Non adhesiv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바닥재 및 다른 하나의 바닥재의 길이방향(long side) 체결 강도는 200N 이상인
비접착식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ng side fastening strength of one flooring material and the other flooring material is not less than 200 N
Non adhesiv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바닥재 및 다른 하나의 바닥재의 폭방향(short side) 체결 강도는 200N 이상인
비접착식 바닥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ort side tightening strength of one flooring material and the other flooring material is not less than 200 N
Non adhesive flooring.
KR1020140105210A 2014-08-13 2014-08-13 Glueless locking flooring material KR1020736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210A KR102073608B1 (en) 2014-08-13 2014-08-13 Glueless locking flooring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210A KR102073608B1 (en) 2014-08-13 2014-08-13 Glueless locking flooring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634A true KR20160020634A (en) 2016-02-24
KR102073608B1 KR102073608B1 (en) 2020-03-03

Family

ID=5544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210A KR102073608B1 (en) 2014-08-13 2014-08-13 Glueless locking flooring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60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037U (en) * 1993-01-25 1994-08-12 東リ株式会社 Stone tiles
JP2007107241A (en) * 2005-10-13 2007-04-26 Toppan Cosmo Inc Floor decorated material
JP2014074269A (en) * 2012-10-03 2014-04-24 Toppan Cosmo Inc Floor panel materi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037U (en) * 1993-01-25 1994-08-12 東リ株式会社 Stone tiles
JP2007107241A (en) * 2005-10-13 2007-04-26 Toppan Cosmo Inc Floor decorated material
JP2014074269A (en) * 2012-10-03 2014-04-24 Toppan Cosmo Inc Floor panel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608B1 (en)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1647B2 (en) Thermoplastic single ply membrane
KR101455956B1 (en) Flooring material and the method for the same
US6468643B1 (en) Laminated product
CN117124678A (en) Waterproof panel,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anel and panel obtained by said process
CN1362326A (en) Laminated product with surface protective layer
US10947742B2 (en) Recyclable synthetic resin t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00061959A1 (en) Multilayer composite material having light-transmission and tensile properties
KR102260182B1 (en) coating composition of building membrane structures
KR102013169B1 (en)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neer using the same
KR20160020634A (en) Glueless locking flooring material
JP6331005B2 (en) Surface protection film for wall covering and wall covering using the same
WO2015002355A1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hot-melt film
KR101242387B1 (en) Polyvinylcloride Composition for Decoration Sheet and Decoration Sheet Using the Same
KR102265627B1 (en) building membrane structures with improvement of anti-soiling and weatherability, durability, adhesion force
CN210454041U (en) Composite glass magnesium board
KR20040095835A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oor covering material and the floor covering material by the method
KR101193870B1 (en) A roofing sheet having good anti-contaminating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JP6772423B2 (en) Tarpaulin
KR20160100427A (en) Flooring material
JP2005335336A (en) Horizontal design embossed decorative sheet and horizontal design embossed decorative panel
CN210821268U (en) Army green PVC/TPU high-resistance composite film
CN211441456U (en) Compound case infantees of multilayer PVC membrane
KR20180110874A (en) Waterproof pvc composite sheets
KR101139257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bric wall and a fabric wall thereof
KR102064349B1 (en) Flooring material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