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315A -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315A
KR20160020315A KR1020140105499A KR20140105499A KR20160020315A KR 20160020315 A KR20160020315 A KR 20160020315A KR 1020140105499 A KR1020140105499 A KR 1020140105499A KR 20140105499 A KR20140105499 A KR 20140105499A KR 20160020315 A KR20160020315 A KR 20160020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module
communication
processo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014B1 (ko
Inventor
김희태
장세영
천봉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014B1/ko
Priority to US14/825,623 priority patent/US10470134B2/en
Priority to EP15180868.0A priority patent/EP2985675B1/en
Publication of KR20160020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8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changing the clock frequency of a controller in the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8Power saving in modem or I/O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데이터 전송과 관련한 활성화 구간의 종료 후 유지 구간 진입 시, 지정된 운용 전원 변경 제어, 운용 클락 변경 제어, 또는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 모듈, 상기 지정된 운용 전원 또는 운용 클락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운용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Controlling Method based on a communication statu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와 관련된다.
기존의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기지국 장치에 접속하고, 기지국 장치와 연결된 서버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 처리와 관련하여, 종래 전자 장치는 서버 장치의 요청 또는 설정된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데이터 송수신 이후 일정 기간 동안 채널을 유지한다. 이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채널 유지에 일정 전원을 소모하게 된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관점에서 볼 때, 전자 장치는 필요 이상의 큰 전원을 소모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를 수행하여 소모 전류를 저감할 수 있는 통신 상태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데이터 전송과 관련한 활성화 구간의 종료 후 유지 구간 진입 시, 지정된 운용 전원 변경 제어, 운용 클락 변경 제어, 또는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 모듈, 상기 지정된 운용 전원 또는 운용 클락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운용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를 수행하여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통신 성능과 관련한 요소들의 상태를 조정하여 특정 통신 상태에 소요되는 전원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상태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상태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상태 제어와 관련한 상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상태 제어와 관련한 상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상태 설정과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소모 전류 저감과 관련한 전자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 100이 기재된다. 상기 전자 장치 100은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디스플레이 150, 및 통신 인터페이스 160, 통신 제어 모듈 17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 100은,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전자 장치 100은 통신 서비스 운용에 있어서, 특정 통신 상태와 관련한 장치 요소를 조정하여 특정 통신 상태에 소요되는 전원을 저감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 100은 통신 채널의 유지 구간(inactivity 구간 또는 제어 신호 송수신 구간) 동안 프로세서나 모뎀의 운용 전원, 운용 클락 또는 안테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유지 구간에 소요되는 전원 소모를 최소화하거나 또는 지정된 전원 값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100은 통신 채널의 상태(예: 송수신 신호의 강도나 세기, 데이터 전송 속도,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에 대응하여 조정되는 요소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통신 서비스 유지를 최적화하면서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162는 전자 장치 100의 통신 서비스 운용과 관련한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채널 운용은 데이터 전송(예: 송신 또는 수신) 상태 등에 따라 활성화 구간, 유지 구간, 대기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타 전자 장치 102는 상기 전자 장치 100과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타 전자 장치 102는 네트워크 162를 통하여 전자 장치 100에 통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메시지 전송을 요청할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 장치 10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00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2 또는 서버 장치 104)에서 실행될 수 있다. 서버 장치 104는 데이터 서비스 지원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 100 또는 타 전자 장치 102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00이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상기 전자 장치 100은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타 전자 장치 102, 또는 서버 장치 104)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예: 타 전자 장치 102, 또는 서버 장치 104)는 상기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전자 장치 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 100은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통신 상태 제어 기능과 관련하여 상기 전자 장치 100의 버스 110은, 예를 들면, 상기 구성요소들 110 내지 160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버스 110은 통신 인터페이스 160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프로세서 120 또는 통신 제어 모듈 1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 에에 따르면, 버스 110은 프로세서 120 또는 통신 제어 모듈 170의 제어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 160에 마련된 다이버시티 모듈 161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제어 모듈 170의 제어 신호를 프로세서 12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20은, 응용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통신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 중앙처리장치(CP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20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120은 통신 제어 모듈 170이 전달한 제어 신호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160의 통신 상태에 대응하여 지정된 운용 전원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서비스 상태에서 활성화 구간, 유지 구간, 대기 구간 등에서 이용되는 프로세서 120의 운용 전원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 120은 운용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예: PMIC)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120은 통신 상태가 유지 구간인 경우 지정된 운용 전원(예: 지정된 전압, 지정된 클락)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120은 통신 제어 모듈 170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통신 상태 별 운용 전원의 제어 또는 안테나 상태 제어는 응용 프로세서 또는 통신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 120의 응용 프로세서는 활성화 구간 처리와 유지 구간 처리를 담당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 120의 통신 프로세서가 유지 구간 처리를 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의 운용 전원 제어 시점은 통신 환경에 따라 또는 다이버시티 모듈 161의 제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 141, 미들웨어 142,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43,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14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널 141, 미들웨어 142, 또는 API 143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상기 커널 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 142, API 143,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또는 메모리 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 141은 상기 미들웨어 142, 상기 API 14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4에서 상기 전자 장치 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널 141은 통신 상태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 100의 운용 전원 제어 또는 안테나 모듈 제어(예: 다이버시티 모듈 161 제어)를 위한 API의 운용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 142는, 예를 들면, 상기 API 14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4가 상기 커널 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 14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 101의 시스템 리소스 (예: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또는 메모리 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에에 따르면, 미들웨어 142는 통신 상태의 변경 예컨대 활성화 구간, 유지 구간, 대기 구간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커널 141에 전달하고, 각 구간 처리와 관련한 API 호출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API 143은,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44가 상기 커널 141 또는 상기 미들웨어 14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 (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API 143는 통신 상태 확인과 관련한 API, 통신 상태에 따른 운용 전원 제어 또는 안테나 모듈 제어와 관련한 API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API 143은 통신 환경을 검사하는 API, 검사 결과에 따라 운용 전원 제어 또는 안테나 모듈 제어를 수행하는 AP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 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상기 전자 장치 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설정과 관련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전원 저감 모드(또는 기능) 또는 속도 개선 모드(또는 기능) 선택과 관련한 입력 신호, 선택된 모드에 따른 세부 모드 선택과 관련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150은 통신 상태에 따라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150은 활성화 구간에서 데이터 송수신과 관련한 화면(예: 데이터 수신 상태 화면, 데이터 송신 상태 화면 등), 활성화 구간 종료에 따른 화면(예: 데이터 수신 완료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150은 유지 구간과 관련한 화면(예: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면 등), 대기 구간과 관련한 화면(예: 슬립 상태에 따른 화면 오프 상태)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150은 통신 설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150은 유지 구간 동안 전자 장치 100의 특정 장치 요소(예: 통신 프로세서(모뎀), 응용 프로세서, RF 관련 모듈(예: 다이버시티 모듈 161))의 운용 전원을 지정된 전원 또는 최소 전원으로 변경하도록 설정하는 설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150은 RF 관련 모듈의 턴-온 상태 또는 턴-오프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0과 외부 전자 장치(예: 타 전자 장치 102 또는 서버 장치 104)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무선 통신(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 162에 연결되어 외부 전자 장치(예: 타 전자 장치 102 또는 서버 장치 104)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모듈,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모듈 등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통신 지원 방식에 따라 복수개의 안테나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다이버시티 모듈 16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특정 통신 방식 지원에 따라 복수개의 안테나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전자 장치 100의 전원 장치로부터 일정 전원을 공급받아 운용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전자 장치 100의 통신 상태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통신 상태가 유지 구간인 경우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턴-오프 상태에서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지정된 특정 안테나가 통신칩과 연결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대기 구간에서도 제어에 따라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유지 구간에서 일정 주기에 따라 턴-온 상태 또는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유지 구간 동안 서버 장치 104에 제어 신호를 송출한 직후 일정 기간 또는 서버 장치 104로부터 일정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주기 동안에는 턴-온 상태를 가지고, 이외의 구간 동안에는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턴-오프 시점은 활성화 구간에서의 통신 환경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활성화 구간에서의 통신 환경이 양호한 상태인 경우(예: 지정된 통신 환경 요소들의 상태 값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다이버시티 모듈 161의 턴-오프 시점은 유지 구간 진입 시점과 동일할 수 있다. 또는 활성화 구간에서의 통신 환경이 불량한 상태인 경우(예: 지정된 통신 환경 요소들의 상태 값이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 다이버시티 모듈 161의 턴-오프 시점은 유지 구간 진입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이 될 수 있다.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통신 상태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운용 전원 또는 안테나 모듈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프로세서 120에 포함되거나 또는 독립적인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버스 110을 통하여 프로세서 120과 통신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프로세서 120과 직접 통신하는 통신 라인을 기반으로 프로세서 120의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어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제어 모듈 170은 상태 처리 모듈 60 및 성능 제어 모듈 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처리 모듈 60은 활성화(Active) 구간 처리 모듈 61, 유지 구간(Inactive) 처리 모듈 63, 대기(Idle) 구간 처리 모듈 65를 포함할 수 있다. 성능 제어 모듈 70은 운용 전원 제어 모듈 71, 운용 클락 제어 모듈 73, 안테나 제어 모듈 75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화 구간은 전자 장치 100과 서버 장치 104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구간일 수 있다. 활성화 구간 처리 모듈 61은 전자 장치 100의 통신 채널 운용 중 활성화 구간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활성화 구간 처리 모듈 61은 외부 전자 장치(예: 타 전자 장치 102 또는 서버 장치 104, 이하 서버 장치 104를 예시하여 설명)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활성화 구간 처리 모듈 61은 서버 장치 104와 통신 채널이 형성된 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지정된 특정 데이터를 서버 장치 104에 요청하여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활성화 구간 처리 모듈 61은 데이터 수신 또는 송신과 관련하여 지정된 송신 전력 레벨 조정에 따라 전력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활성화 구간 처리 모듈 61은 지정된 응답 신호 미수신 상태 또는 수신 신호 세기 변경 등에 따라 송신 전력 레벨을 높이거나 줄일 수 있다. 활성화 구간 처리 모듈 61은 서버 장치 104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메모리 130에 임시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활성화 구간 처리 모듈 61은 서버 장치 104로부터 수신할 데이터의 길이와 전송 속도, 대역폭 등을 고려하여 활성화 구간의 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또는 활성화 구간 처리 모듈 61은 서버 장치 104로부터 수신할 마지막 데이터 패킷을 수신에 따라 활성화 구간 종료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활성화 구간 처리 모듈 61은 활성화 구간이 종료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유지 구간 처리 모듈 63에 전달할 수 있다.
유지 구간은 활성화 구간이 종료된 이후 구간일 수 있다. 예컨대, 유지 구간은 사용자 기능과 관련한 데이터 이외에 제어 신호가 실시간 또는 간헐적으로 송수신되는 구간일 수 있다. 유지 구간은 예컨대, 서버 장치 104에서 정의한 시간 또는 서버 장치 104와의 프로토콜에서 정의한 시간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유지 구간이 종료되면, 전자 장치 100의 통신 서비스는 대기 구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유지 구간 종료 이전에 데이터 송수신이 요청되면, 전자 장치 100의 통신 서비스는 활성화 구간으로 복귀할 수 있다.
유지 구간 처리 모듈 63은 활성화 구간 처리 모듈 61로부터 활성화 구간 종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유지 구간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유지 구간 처리 모듈 63은 서버 장치 104와의 채널을 지정된 시간 동안(또는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시간 동안) 유지하기 위하여 지정된 제어 신호를 서버 장치 104에 전송하거나, 서버 장치 104가 전송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서버 장치 104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유지 구간 처리 모듈 63은 전자 장치 100의 장치 요소 중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장치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 요소들의 운용 전원을 지정된 전원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지 구간 처리 모듈 63은 안테나 상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지 구간 처리 모듈 63은 성능 제어 모듈 70에 유지 구간 진입에 대한 성능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유지 구간 처리 모듈 63은 지정된 시간 내에 새로운 데이터 전송 요청 또는 데이터 수신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메시지를 활성화 구간 처리 모듈 61에 전달할 수 있다. 유지 구간 처리 모듈 63은 활성화 구간 진입과 관련하여 지정된 운용 전원으로의 복귀를 성능 제어 모듈 70에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유지 구간 처리 모듈 63은 시스템 부하 조절 또는 반복적인 구간 스위칭을 고려하여 유지 구간에서 지정된 시간 경과 후 성능 제어 모듈 70에 성능 조절을 요청할 수 있다. 유지 구간 처리 모듈 63은 유지 구간과 관련하여 프로토콜(또는 서버 장치 104)에서 정의한 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시간 경과에 대한 정보를 대기 구간 처리 모듈 65에 전달할 수 있다.
대기 구간은 유지 구간 종료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이 진입하는 구간 또는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고, 기지국 장치에 캠핑을 완료한 상태일 수 있다. 대기 구간은 데이터 송수신이 없는 구간일 수 있다. 대기 구간 처리 모듈 65는 통신 서비스가 대기 구간에 있는 동안에서의 전자 장치 100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대기 구간 처리 모듈 65는 통신 인터페이스 160에 공급되는 전원을 최소화하고, 주기적인 스케줄링 이벤트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대기 구간은 사용자 입력(예: 웹 브라우저 활성화 요청 또는 통화 기능 활성화 등)이 발생하면 활성화 구간으로의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운용 전원 제어 모듈 71은 상태 처리 모듈 60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운용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운용 전원 제어 모듈 71은 활성화 구간에서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과 관련한 송신 전력 레벨 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운용 전원 제어 모듈 71은 데이터 송신에서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면 그에 따라 송신 전력 레벨을 변경(예: 통신 환경이 양호한 상태(지정된 통신 요소들의 상태 값이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로 변경될수록 송신 전력 레벨을 저감, 통신 환경이 불량한 상태(지정된 통신 요소들의 상태 값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로 변경될수록 송신 전력 레벨을 높임)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운용 전원 제어 모듈 71은 유지 구간 처리 모듈 63의 요청에 대응하여 유지 구간에서의 운용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운용 전원 제어 모듈 71은 통신 상태가 유지 구간이면, 프로세서 120(예: 통신 프로세서 또는 응용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에 유지 구간과 관련하여 지정된 운용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의 통신 서비스는 유지 구간 진입 후 일정 시간 이내에 활성화 구간으로의 변경 요청이 일정 시간 내에 일정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운용 전원 제어 모듈 71은 상술한 반복적 상태에서의 운용 전원의 변경 차이를 줄임으로써, 전자 장치 100의 시스템에 걸리는 전원 변경 차이에 따른 데미지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운용 전원 제어 모듈 71은 유지 구간 진입 후 제1 구간 동안 제1 운용 전원 상태를 가지고, 제2 구간 동안 제2 운용 전원 상태를 가지도록 운용 전원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운용 전원 제어 모듈 71은 유지 구간에서 활성화 구간으로 변경되는 경우, 활성화 구간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운용 전원 제어 모듈 71은 유지 구간에서 대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경우, 대기 구간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운용 클락 제어 모듈 73은 활성화 구간에서 프로세서 120의 클락과 유지 구간에서의 프로세서 120 클락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운용 클락 제어 모듈 73은 활성화 구간에서 제1 크기의 클락으로 프로세서 120이 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운용 클락 제어 모듈 73은 유지 구간에서 제2 크기의 클락(제1 크기보다 낮은 클락)으로 프로세서 120이 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안테나 제어 모듈 75는 통신 상태가 활성화 구간에서 다이버시티 모듈 161에 전원을 공급하여 안테나의 다이버시티 성능을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안테나 제어 모듈 75는 통신 상태가 유지 구간에서 다이버시티 모듈 161을 선택적으로(또는 간헐적으로) 또는 해당 구간 동안 턴-오프시켜 다이버시티 성능 지원을 제한할 수 있다. 안테나 제어 모듈 75는 대기 구간에서 다이버시티 모듈 161을 턴-오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성능 제어 모듈 70은 운용 전원 제어, 운용 클락 제어 또는 안테나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전자 장치 100의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성능 제어 모듈 70은 유지 구간 진입 시 유지 구간에서의 운용 전원 공급과, 클락 변경, 다이버시티 모듈 161의 턴-오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에 따라 또는 통신 환경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성능 제어 모듈 70은 설정에 따라, 유지 구간 진입 후 지정된 유지 구간 전압을 통신 프로세서(또는 응용 프로세서)에 공급함과 아울러 또는 유지 구간 클락 변경 또는 다이버시티 모듈 161을 턴-오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프로세서(또는 응용 프로세서 또는 모뎀 등)가 지정된 전압과 클락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성능 제어 모듈 70은 설정에 따라, 유지 구간 진입 후 지정된 유지 구간 전압 또는 지정된 유지 구간 클락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 프로세서(또는 응용 프로세서)에 공급하고, 지정된 시간(유지 구간 종료 이전) 내에 다이버시티 모듈 161을 턴-오프시킬 수 있다. 또는 성능 제어 모듈 70은 설정에 따라, 유지 구간 진입 시 제1 구간(유지 구간 종료 이전) 동안에 지정된 제1 유지 구간 전압 또는 제1 유지 구간 클락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 프로세서(또는 응용 프로세서)에 공급하고, 다이버시티 모듈 161을 턴-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성능 제어 모듈 70은 제1 구간이 경과하면, 제2 구간(제1 구간 이후부터 유지 구간 종료 전)에 제2 유지 구간 전압(예: 제1 유지 구간 전압보다 낮고 대기 구간 전압보다 큰 전압) 또는 제2 유지 구간 클락(예: 제1 유지 구간 클락보다 낮고 대기 구간 클락보다 큰 클락)을 통신 프로세서에 공급하면서, 다이버시티 모듈 161을 턴-오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성능 제어 모듈 70은 제1 구간 및 제2 구간에서 다이버시티 모듈 161을 턴-오프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성능 제어 모듈 70은 제1 구간에서 다이버시티 모듈 161을 턴-오프 상태로 조정하고, 제2 구간에서 다이버시티 모듈 161을 턴-온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제2 구간 종료 후 성능 제어 모듈 70은 다이버시티 모듈 161을 턴-오프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성능 제어 모듈 70은 통신 환경에 따라 운용 전원 제어, 운용 클락 제어 또는 안테나 제어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성능 제어 모듈 70은 활성화 구간에서의 통신 환경이 설정 값 이상인 경우(예: 통신 환경이 양호한 경우) 제1 크기의 운용 전압 또는 제1 크기의 운용 클락 공급, 또는 다이버시티 모듈 161의 턴-오프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성능 제어 모듈 70은 활성화 구간에서의 통신 환경이 설정 값 이하인 경우(예: 통신 환경이 불량한 경우) 제2 크기(제1 크기보다 큰)의 운용 전압 또는 운용 클락 공급, 또는 다이버시티 모듈 161의 턴-오프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를 기반으로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통신 상태 제어 예컨대, 유지 구간에서 소모되는 전자 장치 100의 소모 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데이터 전송과 관련한 활성화 구간의 종료 후 유지 구간 진입 시, 지정된 운용 전원 변경 제어, 운용 클락 변경 제어 또는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 모듈, 상기 지정된 운용 전원 또는 운용 클락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운용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유지 구간 진입 후 채널 유지와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운용되는 최소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통신 제어 모듈은 디폴트로 설정된 유지 구간 전류(예: 120mA)보다 낮은 유지 구간 전류(예: 해당 전자 장치 100의 장치 요소들에 의해 결정되는 채널 유지 구간에서 제어 신호 송출과 관련한 일정(또는 최소) 전류 값, 예: 90mA)를 프로세서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유지 구간 진입 후 제1 시간(유지 구간 내에서의 일정 시간) 동안 제1 크기의 운용 전원을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고, 상기 제1 시간 경과 후 제2 시간(제1 시간 경과 후 대기 구간 진입 이전까지의 시간) 동안 제2 크기의 운용 전원을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유지 구간에서의 상기 운용 전원, 상기 운용 클락, 또는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 동작 상태 제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변경 순서, 변경 시점, 또는 변경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또는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에 따라 상기 설정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의 상태 값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를 제1 운용 전원 또는 제1 운용 클락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제1 운용 전원 또는 제1 운용 클락 적용 동작에서,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을 턴-오프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의 상태 값이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를 상기 제2 운용 전원(제1 운용 전원보다 큰) 또는 상기 제2 운용 클락(제1 운용 클락보다 큰)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제2 운용 전원 또는 제2 운용 클락 적용 동작에서,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을 턴-온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유지 구간에서의 상기 운용 전원, 상기 운용 클락, 또는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적용 여부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또는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에 따라 상기 적용 여부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운용 전원, 상기 운용 클락,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적용 여부, 변경 순서, 변경 시점, 또는 변경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 구간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상태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상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동작 301에서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활성화 구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제어 모듈 17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서버 장치 104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서버 장치 104로부터 데이터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303에서, 통신 제어 모듈 170은 유지 구간 진입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특정 파일의 마지막 패킷의 수신을 통해 유지 구간 진입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제어 모듈 170은 지정된 시간 동안 데이터 송수신이 없는 경우 또는 지정된 제어 신호(데이터 전송 완료를 안내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유지 구간 진입을 확인할 수 있다. 유지 구간 진입 상태가 아니면, 통신 제어 모듈 170은 동작 301 이전으로 분기하여 활성화 구간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활성화 구간이 종료되고 통신 상태가 유지 구간으로 진입하면, 동작 305에서, 통신 제어 모듈 170은 운용 전원, 운용 클락 또는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제어를 수행하여, 지정된 소모 전원 값으로 통신 상태의 전원 값을 저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통신 프로세서(또는 모뎀 등)에 공급되는 전원을 지정된 크기로 제한하거나, 통신 프로세서의 운용 클락을 지정된 크기로 제한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제어 모듈 170은 유지 구간 동안 다이버시티 모듈 161이 턴-오프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상태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상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동작 401에서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활성화 구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활성화 구간 종료 여부 또는 유지 구간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활성화 구간이 유지되는 동안 동작 401 상태에서와 같이 활성화 구간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활성화 구간이 종료되면(또는 유지 구간에 진입하면), 동작 405에서 통신 제어 모듈 170은 설정 또는 통신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제어 모듈 170은 소모 전류 저감과 관련한 설정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은 운용 전원 제어 설정, 운용 클락 제어 설정, 다이버시티 모듈 161의 턴-온/턴-오프 제어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활성화 구간 동안의 통신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제어 모듈 170은 유지 구간 진입 직전의 활성화 구간 통신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활성화 구간의 평균 통신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활성화 구간 동안의 또는 활성화 구간 종료 직전의 수신 신호 세기, 전송 속도,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 환경 지표로 획득할 수 있다.
동작 407에서,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확인된 정보에 대응하여 조정 요소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제어 모듈 170은 프로세서 120의 운용 전원 크기, 프로세서 120의 클락 크기, 다이버시티 모듈 161의 턴-온/턴-오프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 또는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409에서, 통신 제어 모듈 170은 결정에 따른 성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제어 모듈 170은 설정에 따라 또는 통신 환경에 따라 유지 구간 동안 프로세서 120의 운용 전원 크기를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제어 모듈 170은 유지 구간 동안 프로세서 120 운용 전원을 지정된 크기로 변경하고, 프로세서 120의 운용 클락 크기를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제어 모듈 170은 다이버시티 모듈 161을 턴-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제어 모듈 170은 운용 전원의 크기 또는 운용 클락의 크기에 따라 다이버시티 모듈 161의 턴-온 상태 구간의 크기와 턴-오프 상태 구간의 크기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성능 제어 이후, 통신 제어 모듈 170은 리턴 동작에서 상황에 따른 통신 상태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제어 모듈 170은 데이터 송수신이 요청되면, 동작 401로 분기하여 활성화 구간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제어 모듈 170은 시간이 경과하면, 대기 상태 천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상태 제어와 관련한 상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은 통신 서비스 운용과 관련하여 유지 구간 5A, 활성화 구간 5B, 유지 구간 5C, 대기 구간 5D를 가질 수 있다.
유지 구간 5A는 통신 채널 형성 후, 데이터 전송 직전 유지 구간일 수 있다. 또는 유지 구간 5A는 최초 유지 구간으로서 디폴트로 설정된 제1 크기의 운용 전원 또는 제1 크기의 운용 클락으로 프로세서 120이 운용되는 구간일 수 있다. 유지 구간 5A에서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턴-온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설정에 따라 유지 구간 5A에서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활성화 구간 5B는 유지 구간 5A 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 요청에 따라 제2 크기(제1 크기보다 큰)의 운용 전원 또는 운용 클락으로 프로세서 120이 운용되는 구간일 수 있다. 활성화 구간 5B에서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턴-온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유지 구간 5C는 활성화 구간 5B 종료 후 진입 구간일 수 있다. 유지 구간 5C에서 프로세서 120은 제3 크기(제1 크기보다 작은)의 운용 전원 또는 운용 클락으로 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크기의 운용 전원에 따른 소모 전류가 120mA인 경우, 제3 크기의 운용 전원에 따른 소모 전류는 90mA일 수 있다. 제1 크기의 운용 클락이 800mHz인 경우, 제2 크기의 운용 클락인 600mHz일 수 있다. 유지 구간 5C는 서버 장치 104에서 정의한 시간 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일정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유지 구간 5C에서 데이터 송수신 요청이 발생하면, 프로세서 120은 활성화 구간 5B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대기 구간 5D는 유지 구간 5C 종료에 따라 진입되는 구간일 수 있다. 대기 구간 5D는 통신 서비스가 종료되고, 통신 인터페이스 160이 슬립 상태에 진입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상태 제어와 관련한 상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은 활성화 구간 6A, 유지 구간 6B, 유지 구간 6C, 대기 구간 6D을 가질 수 있다.
활성화 구간 6A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는 구간일 수 있다. 활성화 구간 6A에서 전자 장치 100의 응용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 운용과 관련한 데이터의 수신과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활성화 구간 6A에서 전자 장치 100의 응용 프로세서는 데이터 업로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은 송신되는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 마지막 패킷의 확인 또는 지정된 패킷의 수신 또는 통신 상태 등의 모니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활성화 구간 종료를 확인할 수 있다.
유지 구간 6B는 활성화 구간 6A 종료에 따라 진입되는 구간일 수 있다. 예컨대, 유지 구간 6B는 활성화 구간 6A 종료 직후 지정된 일정 시간 구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유지 구간 6B에서 프로세서 120은 활성화 구간 6A에서의 운용 전원 또는 운용 클락보다 적어도 하나가 작은 운용 전원 또는 운용 클락으로 운용될 수 있다. 유지 구간 6B에서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턴-온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유지 구간 6C는 유지 구간 6B의 완료에 따라 진입되는 구간일 수 있다. 유지 구간 6C에서 프로세서 120은 유지 구간 6B에서의 운용 전원 또는 운용 클락보다 적어도 하나가 작은 운용 전원 또는 운용 클락으로 운용될 수 있다. 유지 구간 6C에서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유지 구간 6C에서 데이터 송수신 요청(또는 활성화 구간 진입으로의 요청)이 발생하면, 프로세서 120은 활성화 구간 6A에서의 세팅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120은 유지 구간 6B의 세팅으로 지정된 시간 동안 동작한 후 활성화 구간 6A 세팅으로 동작할 수 있다.
대기 구간 6D는 유지 구간 6C 종료에 따라 진입되는 구간일 수 있다. 유지 구간 6C가 종료되면, 지정된 대기 구간에서의 전원, 클락을 기반으로 프로세서 120이 운용될 수 있다. 다이버시티 모듈 161은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은 데이터 전송과 관련한 활성화 구간의 종료 후 유지 구간 진입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유지 구간 진입 시, 프로세서의 지정된 운용 전원 변경 제어, 상기 프로세서의 운용 클락 변경 제어, 또는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유지 구간 진입 후 채널 유지와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운용되는 최소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유지 구간 진입 후 제1 시간 동안 제1 크기의 운용 전원을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동작, 상기 제1 시간 경과 후 제2 시간 동안 제2 크기의 운용 전원을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또는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에 따라 상기 유지 구간에서의 상기 운용 전원, 상기 운용 클락, 또는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의 변경 순서 또는 변경 시점, 또는 변경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또는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의 상태 값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상태 값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를 제1 운용 전원 또는 제1 운용 클락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을 턴-오프 상태로 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또는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의 상태 값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상태 값이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를 상기 제2 운용 전원 또는 상기 제2 운용 클락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을 턴-온 상태로 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또는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에 따라 상기 유지 구간에서의 상기 운용 전원, 상기 운용 클락, 또는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적용 여부를 다르게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운용 전원, 상기 운용 클락,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적용 여부, 변경 순서, 변경 시점, 또는 변경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 구간별로 다르게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상태 설정과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은 701 상태에서와 같이 통신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 100은 통신 설정 기능과 관련한 아이콘이나 메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은 해당 아이콘이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701 상태와 같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701 상태의 화면은 예컨대, 전원 저감 모드 항목 710 또는 속도 개선 모드 항목을 포함하는 통신 설정 화면일 수 있다. 전원 저감 모드 항목 710은 유지 구간에서의 소모 전류를 저감하는 모드일 수 있다. 속도 개선 모드 항목은 통신 상태의 유지 구간 동안 제어 신호 송신과 관련한 전원 및 클락을 기반으로 프로세서 120을 운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속도 개선 모드 항목은 통신 채널을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최소의 전원 또는 클락으로 프로세서 120을 운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은 통신 설정 화면에서 전원 저감 모드 항목 710 선택에 대응하여 703 상태에서와 같이 전원 저감 모드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할 수 있다. 전원 저감 모드 설정 화면은 디폴트 모드 항목 또는 통신 환경에 따른 조정 모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디폴트 모드 항목은 설계 방식에 따라 유지 구간 동안 지정된 유지 구간 전압 또는 클락을 공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통신 환경에 따른 조정 모드 항목은 활성화 구간에서의 통신 환경에 따라 조정하는 항목을 다르게 정하는 항목일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 100은 활성화 구간에서의 통신 환경에 따라 운용 전원, 운용 클락, 다이버시티 모듈 161의 턴-오프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적용 여부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환경에 따른 조정 모드 항목은 통신 환경에 따라 단계적 조정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 100은 해당 항목 선택 시, 운용 전원, 운용 클락, 다이버시티 모듈 161의 턴-오프 제어들의 순서를 일정 시간 단위로 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은 유지 구간 진입 시 활성화 구간보다 작은 제1 운용 전원을 프로세서 120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시간 경과 후, 전자 장치 100은 프로세서 120의 클락을 활성화 구간에서의 클락 크기보다 작은 제1 운용 클락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제2 시간(제1 시간 경과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전자 장치 100은 다이버시티 모듈 161을 턴-오프할 수 있다. 제3 시간 경과 후 전자 장치 100은 대기 시간 진입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은 운용 전원, 운용 클락, 다이버시티 모듈 161의 턴-오프의 조정 순서를 해당 요소들에 의한 소모 전류 변화에 따라 또는 통신 환경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은 해당 설정과 관련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150에 출력하고, 사용자 설정 변경에 따라 적용 요소들의 개수와 순서, 크기 등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컨대, 전원 저감 모드 설정 화면은 운용 전원, 운용 클락, 다이버시티 모듈 161의 전원 공급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소모 전류 저감과 관련한 전자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801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0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 801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810, 통신 모듈 82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824, 메모리 830, 센서 모듈 840, 입력 장치 850, 디스플레이 860, 인터페이스 870, 오디오 모듈 880, 카메라 모듈 891, 전력 관리 모듈 895, 배터리 896, 인디케이터 897, 및 모터 89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 810은,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 8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 810은,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810은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 810은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8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AP 810은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820은, 도 1의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8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821, Wi-Fi 모듈 823, BT 모듈 825, GPS 모듈 827, NFC 모듈 8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 8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모듈 8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8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 8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 8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821은 상기 AP 810이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8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 823, 상기 BT 모듈 825, 상기 GPS 모듈 827 또는 상기 NFC 모듈 8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821, Wi-Fi 모듈 823, BT 모듈 825, GPS 모듈 827 또는 NFC 모듈 8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C(integrated chip)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829는,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829는,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821, Wi-Fi 모듈 823, BT 모듈 825, GPS 모듈 827 또는 NFC 모듈 8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824는,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 (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830(예: 메모리 130)은,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832 또는 외장 메모리 8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 8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SSD(solid state dri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8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8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 801과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8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 8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8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840A, 자이로 센서 840B, 기압 센서 840C, 마그네틱 센서 840D, 가속도 센서 840E, 그립 센서 840F, 근접 센서 840G, 컬러 센서 840H(예: RGB 센서), 생체 센서 840I, 온/습도 센서 840J, 조도 센서 8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8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 8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electromyography) 센서, EEG(electroencephalogram) 센서, ECG(electrocardiogram)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8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 801은 AP 8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 8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AP 810이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 84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 850은,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 8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854, 키(key) 8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8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852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 852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 패널 852는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 8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시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856은,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입력 장치 858은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 801에서 마이크 (예: 마이크 8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860(예: 디스플레이 150)은 패널 862, 홀로그램 장치 864, 또는 프로젝터 8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86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15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862는,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862는 상기 터치 패널 852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로그램 장치 8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866은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8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860은 상기 패널 862, 상기 홀로그램 장치 864, 또는 프로젝터 866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870은,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872, USB 8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876, 또는 D-sub(D-subminiature) 87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87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16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870은,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8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8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880은, 예를 들면, 스피커 882, 리시버 884, 이어폰 886, 또는 마이크 8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8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예: LED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모듈 895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8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관리 모듈 895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8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896은,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897은 상기 전자 장치 801 혹은 그 일부(예: AP 8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터 898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장치 801은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 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모듈 91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0)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또는 바다(bada) 등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 910은 OS와 어플리케이션 970을 포함할 수 있다. OS는 커널 920, 미들웨어 930, API 9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모듈 9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preload) 되거나, 서버(예: 서버 장치 104)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다.
상기 커널 920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 921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9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 921은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 921은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 923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 930은,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9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 9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API 960을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970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미들웨어 930(예: 미들웨어 142)은 런타임 라이브러리 9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 941,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 942, 멀티미디어 매니저(multimedia manager) 943,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944,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 9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 946, 패키지 매니저(package manager) 947, 연결 매니저(connectivity manager) 948,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949,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 950, 그래픽 매니저(graphic manager) 951, 또는 보안 매니저(security manager) 9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런타임 라이브러리 935는,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9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런타임 라이브러리 9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매니저 941은,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9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매니저 94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매니저 943은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리소스 매니저 944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9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파워 매니저 945는, 예를 들면,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매니저 946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9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매니저 947은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매니저 948은, 예를 들면,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통지 매니저 949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매니저 950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매니저 951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매니저 95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필요한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0)가 전화 기능을 포함한 경우, 상기 미들웨어 930은 상기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telephony mana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 930은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기능의 조합을 형성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 930은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 930은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API 960(예: API 143)은,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tizen)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970(예: 어플리케이션 144)은, 예를 들면, 홈 971, 다이얼러 972, SMS/MMS 973, IM(instant message) 974, 브라우저 975, 카메라 976, 알람 977, 컨택트 978, 음성 다이얼 979, 이메일 980, 달력 981, 미디어 플레이어 982, 앨범 983, 또는 시계 984, 건강 관리(health care)(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 제공(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970은 상기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0)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2)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설명의 편의 상,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2)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2)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 (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970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2)의 속성(예: 전자 장치의 속성으로서, 전자 장치의 종류가 모바일 의료 기기)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97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 장치 104 또는 전자 장치 102)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970은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제3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 910의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운영 체제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모듈 9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모듈 91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예: AP 81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모듈 910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 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130이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는, 데이터 전송과 관련한 활성화 구간의 종료 후 유지 구간 진입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유지 구간 진입 시, 프로세서의 지정된 운용 전원 변경 제어, 상기 프로세서의 운용 클락 변경 제어, 또는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과 관련한 활성화 구간의 종료 후 유지 구간 진입 시, 지정된 운용 전원 변경 제어, 운용 클락 변경 제어, 또는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 모듈;
    상기 지정된 운용 전원 또는 운용 클락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운용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유지 구간 진입 후 채널 유지와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운용되는 최소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유지 구간 진입 후 제1 시간 동안 제1 크기의 운용 전원을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고,
    상기 제1 시간 경과 후 제2 시간 동안 제2 크기의 운용 전원을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또는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에 따라 상기 유지 구간에서의 상기 운용 전원, 상기 운용 클락, 또는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의 변경 순서 또는 변경 시점, 또는 변경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설정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또는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의 상태 값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를 제1 운용 전원 또는 제1 운용 클락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을 턴-오프 상태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또는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의 상태 값이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를 상기 제2 운용 전원 또는 상기 제2 운용 클락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을 턴-온 상태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또는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에 따라 상기 유지 구간에서의 상기 운용 전원, 상기 운용 클락, 또는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적용 여부를 다르게 설정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모듈은
    상기 운용 전원, 상기 운용 클락,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적용 여부, 변경 순서, 변경 시점, 또는 변경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 구간별로 다르게 설정하는 전자 장치.
  11. 데이터 전송과 관련한 활성화 구간의 종료 후 유지 구간 진입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유지 구간 진입 시, 프로세서의 지정된 운용 전원 변경 제어, 상기 프로세서의 운용 클락 변경 제어, 또는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유지 구간 진입 후 채널 유지와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운용되는 최소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유지 구간 진입 후 제1 시간 동안 제1 크기의 운용 전원을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동작;
    상기 제1 시간 경과 후 제2 시간 동안 제2 크기의 운용 전원을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또는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에 따라 상기 유지 구간에서의 상기 운용 전원, 상기 운용 클락, 또는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의 변경 순서 또는 변경 시점, 또는 변경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또는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의 상태 값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상태 값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를 제1 운용 전원 또는 제1 운용 클락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을 턴-오프 상태로 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또는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의 상태 값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상태 값이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를 상기 제2 운용 전원 또는 상기 제2 운용 클락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을 턴-온 상태로 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의 신호 수신 세기, 전송 속도, 또는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에 따라 상기 유지 구간에서의 상기 운용 전원, 상기 운용 클락, 또는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적용 여부를 다르게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운용 전원, 상기 운용 클락, 상기 다이버시티 모듈의 동작 상태의 변경 적용 여부, 변경 순서, 변경 시점, 또는 변경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 구간별로 다르게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1020140105499A 2014-08-13 2014-08-13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172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499A KR102172014B1 (ko) 2014-08-13 2014-08-13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4/825,623 US10470134B2 (en) 2014-08-13 2015-08-13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EP15180868.0A EP2985675B1 (en) 2014-08-13 2015-08-13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499A KR102172014B1 (ko) 2014-08-13 2014-08-13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315A true KR20160020315A (ko) 2016-02-23
KR102172014B1 KR102172014B1 (ko) 2020-10-30

Family

ID=5388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499A KR102172014B1 (ko) 2014-08-13 2014-08-13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70134B2 (ko)
EP (1) EP2985675B1 (ko)
KR (1) KR1021720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9077A1 (en) * 2012-01-20 2013-07-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signal at user equipment in a multi-t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72014B1 (ko) * 2014-08-13 2020-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383099B1 (en) * 2017-03-31 2019-04-24 Intel IP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data
US10237830B1 (en) 2017-08-31 2019-03-19 Google Llc Dynamic battery power management
EP3808136B1 (en) * 2018-08-07 2022-06-29 Google LLC Determining a resource control state based on a power status
KR20210135099A (ko) * 2020-05-04 2021-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07349A (ko) * 2020-07-10 2022-01-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517A (ko) * 1998-06-11 2000-01-15 서정욱 전파환경의 변화에 따른 전송율 가변 방법
KR20100044268A (ko) * 2007-09-17 2010-04-29 인텔 코오퍼레이션 전력 관리를 위한 버퍼링 기술
KR20130009845A (ko) * 2010-04-30 2013-01-23 애플 인크. 이동 통신 장치에서 배터리 자원을 절감시키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8720A (en) * 1996-02-23 1998-11-17 Teletransactions, Inc. Transceiver control with sleep mode operation
JPH1093605A (ja) * 1996-05-13 1998-04-10 Toshiba Corp ケーブ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とその伝送路開閉装置、加入者装置、アダプタ装置および流合雑音監視分析装置
US6965588B2 (en) 2001-11-29 2005-11-15 Motorola, Inc. Method for expediting transitions between states of operation in communications equipment
JP4193589B2 (ja) * 2003-05-28 2008-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及びそのアンテナ切替方法
US8175534B2 (en) 2004-09-03 2012-05-08 Cisco Technology, Inc. RF-aware packet filtering in radio access networks
JP4484666B2 (ja) * 2004-10-28 2010-06-1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無線放送受信機
EP2252105B1 (en) * 2005-03-28 2020-01-15 Sony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handover controlling method,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mobile terminal
US20070140143A1 (en) 2005-12-19 2007-06-21 Harris John M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a communication link in a network
US7710987B2 (en) 2006-12-14 2010-05-04 Motorola, Inc. Efficient transitions between operating stat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175661B2 (en) * 2007-09-03 2012-05-08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power saving in wireless network
US8116404B2 (en) * 2007-10-10 2012-02-14 Intel Corporation Diversity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WO2009132425A1 (en) * 2008-04-29 2009-11-05 Jamie Hackett Wireless control system using variable power dual modulation transceivers
EP2398285B1 (en) 2010-06-18 2016-11-16 Alcatel Lucent Power saving
CN101950198A (zh) * 2010-09-30 2011-01-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无线上网功能的电子阅读器及其资源节约方法
US8964611B2 (en) 2010-11-15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Data resume indicator for mobile device power conservation
US8856570B2 (en) 2011-08-31 2014-10-07 Broadcom Corporation Energy efficiency ethernet with low power active idle transmission mode
KR102071550B1 (ko) * 2013-03-06 2020-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절감을 위한 이동용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172014B1 (ko) * 2014-08-13 2020-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246267B1 (ko) * 2014-11-25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517A (ko) * 1998-06-11 2000-01-15 서정욱 전파환경의 변화에 따른 전송율 가변 방법
KR20100044268A (ko) * 2007-09-17 2010-04-29 인텔 코오퍼레이션 전력 관리를 위한 버퍼링 기술
KR20130009845A (ko) * 2010-04-30 2013-01-23 애플 인크. 이동 통신 장치에서 배터리 자원을 절감시키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5675B1 (en) 2019-05-22
EP2985675A1 (en) 2016-02-17
KR102172014B1 (ko) 2020-10-30
US10470134B2 (en) 2019-11-05
US20160050712A1 (en)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803B1 (ko)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64710B1 (ko)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08997B1 (ko)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0797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using plural processors
US20170185134A1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60060855A (ko)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76149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60031357A (ko)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172014B1 (ko)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27757A (ko) 전자 장치 내의 발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454292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9001445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0931322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18008704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 방법
US1096320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US1030531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electronic device
KR10255793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1057327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current consumption by electronic device
US10701636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2185182B1 (ko)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70289487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514835B2 (en) Method of shift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KR102329763B1 (ko) 통신 전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622172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o the method
KR20160109237A (ko)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