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099A - 저전력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저전력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099A
KR20210135099A KR1020200053365A KR20200053365A KR20210135099A KR 20210135099 A KR20210135099 A KR 20210135099A KR 1020200053365 A KR1020200053365 A KR 1020200053365A KR 20200053365 A KR20200053365 A KR 20200053365A KR 20210135099 A KR20210135099 A KR 20210135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eriod
wireless communication
external electronic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섭
양성광
윤주환
이정훈
최준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3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5099A/ko
Priority to PCT/KR2021/004814 priority patent/WO2021225300A1/en
Priority to US17/241,215 priority patent/US11864106B2/en
Publication of KR20210135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회로 및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 주기 및 웨이크업(wake up) 구간의 길이를 결정하고, 무선 통신 회로를 웨이크업 구간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transition)시키고, 웨이크업 구간에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 회로를 슬립(sleep) 구간에서 슬립 상태로 천이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저전력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ELECTRONIC DEVICE UTILIZING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 시에, 소모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달과 함께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 기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AR/VR 기기는 HMD(head mount display)와 외부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 또는 보조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HMD는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많은 양의 데이터 및 연산을 처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자체 연산 능력의 한계 및/또는 배터리 크기의 제한으로 인해 HMD는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에 필요한 연산을 처리할 수 있다.
AR/VR 기기 보급 초기에는 빠른 데이터 통신과 HMD에 대한 지속적인 전력을 공급을 위하여, HMD는 유선(예: wired tethering)으로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HMD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 HMD와 외부 전자 장치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여야하고 유선의 양 단자가 각각의 기기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사용자는 불편을 느낄 수 있다.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달로, HMD는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예: wireless tethering)으로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에 기반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HMD는, 고해상도의 영상 컨텐츠 제공을 위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안정적이고 빠른 스루풋(throughput)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높은 스루풋을 지원할 수 있는 WiFi(wireless fidelity) 통신을 이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HMD가 WiFi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기존보다 더 많은 전력 소모가 야기될 수 있다. HMD가 외부 전력 공급원과 연결되지 않은 경우, HMD는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제한된 양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HMD의 동작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더 큰 용량의 배터리가 요구되나, 다양한 제약으로 인해 HMD에 탑재될 수 있는 배터리의 크기 및 용량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HMD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머리)에 부착되어 사용되므로 배터리의 용량을 늘리는데 있어 무게에 대한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AR/VR 기기를 군사 활동과 같은 특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임무 수행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HMD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전제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전력 소모로 인한 배터리 용량 및 크기의 증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MD가 외부 전자 장치와 저전력으로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회로 및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 주기 및 웨이크업(wake up) 구간의 길이를 결정하고, 무선 통신 회로를 웨이크업 구간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transition)시키고, 웨이크업 구간에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 회로를 슬립(sleep) 구간에서 슬립(sleep) 상태로 천이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은,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동작,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 주기 및 웨이크업(wake up) 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동작, 무선 통신 회로를 웨이크업 구간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transition)시키는 동작, 웨이크업 구간에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및 무선 통신 회로를 슬립(sleep) 구간에서 슬립(sleep) 상태로 천이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동작,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 주기 및 웨이크업(wake up) 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동작, 무선 통신 회로를 웨이크업 구간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transition)시키는 동작, 웨이크업 구간에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및 무선 통신 회로를 슬립(sleep) 구간에서 슬립(sleep) 상태로 천이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와 저전력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AR/VR 기기 및 통신 채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HMD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HMD의 저전력 통신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저전력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HMD의 전력 소모를 측정한 표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HMD가 저전력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AR/VR 기기 및 통신 채널을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R/VR 기기는 HMD(head mount display, 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210)(예: 도 1의 전자 장치(102))을 포함할 수 있다. HMD(200)와 외부 전자 장치(210)는 통신 채널(23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채널(230)은 WiFi 통신으로 참조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10)는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WiFi wireless tethering)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HMD(200)는 외부 전자 장치(210)가 제공하는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에 기반하여 통신 채널(230)을 형성할 수 있다.
HMD(200)는 통신 채널(230)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HMD(200)는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R 환경에서, HMD(200)는 사용자에게 가상 환경을 영상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HMD(200)는 가상 환경의 깊이감, 및/또는 현실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의 양은 양안에 동일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보다 방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AR 환경에서, HMD(200)는 사용자에게 실물 환경을 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물 환경에 실물 환경과 연관된 표지(indicator)(예: 그래픽 객체)를 중첩시켜(overlaid)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물 환경과 함께 제공되는 표지에 대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AR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HMD(200)는 사용자의 동작에 응답하여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동작에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210)로 통신 채널(230)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HMD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예: 도 2의 200)는 프로세서(300), 무선 통신 회로(310), 카메라(320), 센서 회로(330), 디스플레이(340) 및/또는 배터리(350)를 포함할 수 있다. HMD(200)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하거나 도 3에 도시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HMD(200)는 카메라(3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예: 도 1의 통신 모듈(190))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예: 도 1의 제1 네트워크(198))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21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는 WiFi 통신(예: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WiFi wireless tethering))일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10)는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HMD(200)는 외부 전자 장치(210)가 제공하는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320)(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320)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회로(330)(예: 도 1의 센서 모듈(176))는 HMD(200)의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회로(330)는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및/또는 자력계를 이용하여 HMD(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방향, 배향(orientation), 속도, 가속도, 및/또는 중력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는 HMD(200)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200)는 사용자에게 AR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렌즈 어셈블리 및 반투명 거울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복수의 정렌즈 및/또는 부렌즈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0)가 제공하는 영상의 광은 렌즈 어셈블리를 통과한 뒤, 반투명 거울에 의해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반투명 거울을 통하여 실물 영상을 볼 수 있다. HMD(200)는 렌즈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340)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실물 영상 위에 함께 제공함으로써, AR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HMD(200)는 사용자에게 VR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340)에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HMD(200)는 가상 환경의 깊이감, 및/또는 현실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340)는 사용자의 양안에 각각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도 3의 다른 구성 요소(예: 무선 통신 회로(310), 카메라(320), 센서 회로(330), 디스플레이(340) 및/또는 배터리(350))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도 1의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300)에 연결된 HMD(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메인 프로세서(예: 도 1의 121)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프로세서(예: 도 1의 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HMD(200)의 다른 구성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프로세서(123)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로 이해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독립적으로 또는 프로세서(300)와 함께 무선 통신 회로(310)와 관련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무선 통신 회로(31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프로세서(123)는 별개로 또는 하나의 칩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무선 통신 회로(31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200)는 다양한 제약으로 인해 많은 양의 데이터 및 연산을 처리할 수 없으므로, HMD(200)의 프로세서(300)의 처리 능력은 외부 전자 장치(21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비하여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HMD(200)는 적은 용량 및 소형의 배터리(350)를 탑재할 수 있으므로, HMD(200)의 프로세서(300)가 많은 양의 데이터 및 연산을 처리하는 경우, HMD(200)의 배터리(350) 발열 문제, 및/또는 사용 시간 단축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300)는 외부 전자 장치(210)의 프로세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데이터 및 연산을 처리할 수 있고 비교적 낮은 성능의 프로세서(예: Lite AP)로 이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도 3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R 환경에서 프로세서(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디스플레이(340)를 이용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한 컨텐츠(예: 표지)를 실물 영상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에게 컨텐츠(예: 표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로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물 영상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물 영상의 데이터를 카메라(320)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실물 영상의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210)로 송신하고, 외부 전자 장치(210)는 이를 처리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HMD(200)를 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와 상호작용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300)는 센서 회로(330)를 이용하여 HMD(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동작에 관련된 데이터(예: 사용자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또는 머리 방향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210)로 송신하고 외부 전자 장치(210)는 이를 처리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기반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VR 환경에서 프로세서(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3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가 양안에 대하여 각기 다른 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외부 전자 장치(210)와 AR 환경에서보다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센서 회로(330)를 이용하여 HMD(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동작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210)로 송신하고 외부 전자 장치(210)는 이를 처리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예: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기반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3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350)(예: 도 1의 배터리(189))는 HMD(2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300), 무선 통신 회로(310), 카메라(320), 센서 회로(330) 및/또는 디스플레이(3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HMD(200)에 적재되는 배터리(350)의 크기 및 용량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배터리(350)의 이러한 제한을 감안하여 제한적 연산만을 수행할 수 있고, 많은 양의 전력 소모를 요구하는 연산은 무선 통신 회로(310)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로 송신하고, 외부 전자 장치(210)가 처리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가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210)는 프로세서(400), 및/또는 무선 통신 회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10)는 스마트 폰 또는 보조 장치로 참조될 수 있다. 보조 장치는 스마트 폰의 일부 기능을 지원(예: 음성 출력 기능, 통신 기능)할 수 있는 장치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무선 테더링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장치는 무선 테더링 기능을 지원하는 컴퓨터 및/또는 스피커로 참조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10)는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10)는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1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210)는 HMD(200)를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일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10)는 외부 전자 장치(210)의 배터리와 HMD(200)를 연결할 수 있는 충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HMD(예: 도 3의 300)는 외부 전자 장치(210)에 보관될 수 있고, 외부 전자 장치(210)의 충전 단자와 연결되어 배터리(350)가 충전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10)는 HMD(200)를 충전하면서 HMD(200)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420)(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는 가입자 식별 모듈(예: 도 1의 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예: 도 1의 198)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도 1의 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외부 전자 장치(210)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420)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HMD(2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는 WiFi 통신으로 참조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10)는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10)는 HMD(200)와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으로 연결되어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도 4의 다른 구성 요소(예: 무선 통신 회로(210) 및/또는 배터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도 1의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400)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2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또는 연산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무선 통신 회로(420)를 이용하여 HMD(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HMD(200)로부터 사용자의 동작에 관련된 데이터 및/또는 HMD(200)가 카메라(320)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HMD(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 회로(420)를 이용하여 HMD(200)로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10)의 프로세서(400)는 배터리의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므로, HMD(200)의 프로세서(300)보다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많은 양의 데이터 및 연산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200)가 제공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연산 중 적어도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210)의 프로세서(40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HMD(200)는 외부 전자 장치(210)와 통신 채널(230)을 통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R 환경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는 HMD(200)의 디스플레이(3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가상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AR 환경에서 컨텐츠는 사용자가 HMD(200)를 통하여 볼 수 있는 실물 영상에 함께 표시될 수 있는 표지로 이해될 수 있다.
HMD(200)의 프로세서(300)는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및 연산의 처리를 외부 전자 장치(210)의 프로세서(400)와 나누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200)의 프로세서(300)는 비전 프로세싱(vision processing), 비디오 디코딩(video decoding), 및/또는 와핑(warp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10)의 프로세서(400)는 컨텐츠에 대한 렌더링(rendering) 및/또는 비디오 인코딩(video en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HMD(200)에 탑재할 수 있는 배터리의 용량은 제한적이므로, HMD(200)의 프로세서(300)가 많은 양의 데이터 및 연산을 처리할 경우, 배터리(350) 발열 문제 및/또는 HMD(200)의 사용 시간 단축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200)의 프로세서(300)가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및 연산의 처리는 외부 전자 장치(210)의 프로세서(4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할 수 있다. HMD(200) 및 외부 전자 장치(210)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및 연산의 처리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문서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200)의 프로세서(300)는 고해상도의 영상 컨텐츠 제공을 위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안정적이고 빠르게 외부 전자 장치(210)와 송수신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통신 채널(230)은 안정적으로 높은 스루풋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통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채널(230)은 WiFi 통신일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10)는 무선 통신 회로(420)를 이용하여 HMD(200)에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200)의 프로세서(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통신 채널(230)(예: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을 형성하고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방식은 스루풋이 높은 반면, 전력 소모가 큰 통신 방식이므로 HMD(200)의 배터리 발열 및 사용 시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200)는 외부 전자 장치(210)와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채널(230)을 형성하되, 통신을 위하여 무선 통신 회로(310)가 웨이크업 되는 시간 구간을 제한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저전력 통신 방법은 도 5a 내지 5c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HMD의 저전력 통신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예: 도 2의 200)는 통신 채널(예: 도 2의 230)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2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채널(230)은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방식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통신일 수 있다. HMD(200)의 프로세서(300)는 HMD(200)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채널(230)은 TWT(target wake time) 모드를 적용한 WiFi 통신으로 참조될 수 있다. TWT 모드는 차세대 무선랜 방식(예: IEEE 802.11ax)에 적용 가능한 절전(power saving) 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 통신 채널(230)은 외부 전자 장치(210)와 HMD(200)간 Peer to Peer 통신으로써, 도 5a 내지 5c의 TWT 모드는 Peer to Peer 통신에 차세대 무선랜 방식(예: IEEE 802.11ax)에서 규정하는 TWT 모드를 적용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TWT 모드는 HMD(200)의 요청으로 시작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210)가 HMD(200)에 TWT 동작을 요청할 수도 있다. HMD(200)와 외부 전자 장치(210)는 개별적 TWT 합의(individual TWT agreement)를 수행할 수 있다. 합의 과정에서 HMD(200)와 외부 전자 장치(210)은 데이터 송수신 구간(예: 웨이크업 구간(520))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즉, HMD(200)와 외부 전자 장치(210)는 합의 과정에서 최초 슬립 시간 또는 웨이크업(wake up) 시작 시간 중 어느 하나를 공유할 수 있다. 합의에 따라 HMD(200)는 슬립 시간 이후 외부 전자 장치(210)으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고, HMD(200)의 무선 통신 회로(예: 도 3의 310)는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HMD(200)의 프로세서(예: 도 3의 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 구간(예: 웨이크업 구간(520))이 종료되면 무선 통신 회로(310)는 다시 슬립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다음 데이터 송수신 구간은 Individual TWT agreement 과정에서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다음 데이터 송수신 구간은 이전 데이터 송수신 구간에서의 정보 교환을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상술된 HMD(200)의 TWT 모드에서의 동작은 실질적으로 HMD(200)의 프로세서(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HMD(200)는 TWT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배터리(예: 도 3의 350)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HMD(200)의 무선 통신 회로(310)는 데이터 송수신 구간(예: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가 웨이크업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300)는 외부 전자 장치(210)와 통신 채널(230)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는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슬립(sleep)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슬립 상태는 HMD(200)의 무선 통신 회로(예: 도 3의 무선 통신 회로(310))에 저전력이 공급되거나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가 슬립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300)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및/또는 서비스 종류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Individual TWT agreement를 통해 데이터 통신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주기는 무선 통신 회로(310)가 웨이크업 상태에서 동작하다가 지정된 웨이크업 시간(예: 웨이크업 구간(520))이 경과된 후, 슬립 상태로 천이하였다가 지정된 슬립 시간(예: 슬립 구간(530))이 경과하여 다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하는 주기로 참조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데이터 통신 주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통신 주기의 한 주기(예: 도 5a의 제1 시간 구간(510))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동안에 프로세서(300)는 외부 전자 장치(210)와 컨텐츠의 일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프레임은 영상 컨텐츠의 일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HMD(200)가 사용자의 양안에 각기 다른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일 프레임은 좌안 및 우안에 각각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의 일 프레임을 의미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데이터 통신 주기로 할 수 있다. 제1 시간 구간(510)은 데이터 통신 주기의 한 주기에 대응되는 시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제1 시간 구간(510)동안 컨텐츠의 일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무선 통신 회로(310)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는 제1 시간 구간(510) 중 일부 구간에서만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회로(310)는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웨이크업 상태가 되어 동작할 수 있다.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프로세서(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는 슬립 구간(530)에서 슬립 상태로 천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60FPS(frame per second)인 경우,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는 약 16.66ms가 되어, 데이터 통신 주기는 16.66ms로 결정될 수 있다. HMD(200)와 외부 전자 장치(210)는 16.66ms동안 컨텐츠의 일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간 구간(510)의 길이는 16.66ms가 될 수 있고, 프로세서(300)는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시간(duration time)을 예를 들어, 8ms 이내로 결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는 제1 시간 구간(510)의 슬립 구간(530)이 경과하여 제2 시간 구간(560)에 진입하면 다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WiFi 채널의 QoS(quality of service)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Individual TWT agreement를 통해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기간은 통신 채널(230)의 상태 또는 컨텐츠 bitrate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통신 채널 상태(230)는 예를 들어, 통신 채널(230)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이 깨지거나 에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통하여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손상률 또는 에러 발생률이 높은 경우, 프로세서(300)는 통신 채널(230)의 상태가 불안정한 것으로 판단하여,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기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의 bitrate에 따라 프로세서(300)에 요구되는 최소 스루풋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bitrate가 높을수록 최소 요구 스루풋도 높아질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컨텐츠의 bitrate 및 최소 요구 스루풋에 기반하여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요구 스루풋이 높은 경우, 프로세서(300)가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기간을 짧게 결정하면, 프로세서(300)는 웨이크업 구간(520)동안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모두 송신하거나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00)는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기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의 bitrate,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기간, 및 최소 스루풋에 대한 설명은 도 6에 대한 설명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HMD(200)의 프로세서(300)는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외부 전자 장치(2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슬립 구간(530)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5a에 도시된 바와 달리 HMD(200)와 외부 전자 장치(210)의 데이터 통신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 5b는 도 5a의 제1 시간 구간(510) 및 제2 시간 구간(560)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a와 달리 웨이크업 구간(520)은 복수의 슬롯으로 구획될 수 있다. 웨이크업 구간(520)의 각 슬롯은 업링크(uplink) 구간(522) 또는 다운링크(downlink) 구간(524)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각 슬롯이 어떻게 결정될 것인지와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 통신 시작 전에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는 다운링크 구간(522) 및 업링크 구간(524)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다운링크 구간(522) 및 업링크 구간(524)에서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다운링크 구간(522) 구간에서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디스플레이(예: 도 3의 340)에 표시될 영상,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피드백 및/또는 실물 환경과 연관된 표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업링크 구간(524)에서 외부 전자 장치(210)로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외부 전자 장치(210)로 HMD(2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 이동 방향, 카메라(예: 도 3의 320)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 및/또는 센서 회로(예: 도 3의 330)를 이용하여 감지한 사용자의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컨텐츠를 조작하기 위한 보조 장치(예: 컨트롤러)가 HMD(200)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컨텐츠를 조작하기 위한 보조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무선 통신 회로(310)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HMD(200)가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양은 HMD(200)가 외부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보다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웨이크업 구간(520) 중 다운링크로 할당된 시간 구간은 업링크로 할당된 시간 구간보다 길 수 있다. 도 5b의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슬롯의 할당 및 구간 길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문서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c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회로(310)는 제1 시간 구간(510)의 제1 웨이크업 구간(540)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하다가 제1 슬립 구간(550)에서 슬립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제1 슬립 구간(550)이 경과한 뒤, 무선 통신 회로(310)는 제2 웨이크업 구간(545)에서 다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제2 웨이크업 구간(545)에서 외부 전자 장치(2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는 제2 웨이크업 구간(545)이 경과한 뒤, 제2 슬립 구간(555)에서 다시 슬립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웨이크업 구간(540) 및 제2 웨이크업 구간(545)에서 HMD(2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210)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웨이크업 구간(540)에서 HMD(200)가 외부 전자 장치(210)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2 웨이크업 구간(545)에서 외부 전자 장치(210)가 HMD(200)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웨이크업 구간(540)에서 외부 전자 장치(210)가 HMD(200)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2 웨이크업 구간(545)에서 HMD(200)가 외부 전자 장치(210)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시간 구간(510)의 제1 웨이크업 구간(540) 및 제2 웨이크업 구간(545)에서 HMD(200)가 외부 전자 장치(210)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2 시간 구간(560)의 제1 웨이크업 구간(540) 및 제2 웨이크업 구간(545)에서 외부 전자 장치(210)가 HDM(200)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c의 웨이크업 구간 및 슬립 구간의 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문서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 구간(510)에서 무선 통신 회로(310)는 2번 이상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의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 데이터 통신 주기, 웨이크업 구간의 지속 시간 및/또는 웨이크업 구간의 횟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문서의 실시예가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200)는 무선 통신 회로(310) 및 무선 통신 회로(31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0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통신 채널(230)을 형성하고,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 주기 및 웨이크업(wake up) 구간(520)의 길이를 결정하고, 무선 통신 회로(310)를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transition)시키고,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통신 채널(230)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 회로(310)를 슬립(sleep) 구간(530)에서 슬립(sleep) 상태로 천이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00)는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 회로(310)를 슬립 구간(530)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시킨 뒤, 통신 채널(230)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210)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00)는 통신 채널(230) 상태 또는 상기 컨텐츠의 bitrate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기간(duration)을 결정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이크업 구간(520)은 복수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00)는 외부 전자 장치(210)와 복수의 슬롯에 대한 individual TWT(target wake time) agreement를 수행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00)는 individual TWT agreement에 기반하여 복수의 슬롯 각각이 업링크(uplink)인지 다운링크(downlink)인지 결정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00)는 통신 채널(230)의 QoS(quality of service)에 기반하여,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기간(duration)을 결정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채널(230)은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방식의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200)는 배터리(350)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00)는 HMD(200)가 외부 전자 장치(210)의 케이스에 탑재되고 배터리(350)가 외부 전자 장치(210)의 충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배터리(350)가 충전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저전력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HMD의 전력 소모를 측정한 표이다.
표 1(600)은 HMD(예: 도 2의 200)의 데이터 수신 시의 전력 소모를 측정한 표이고, 표 2(650)는 HMD(200)의 데이터 송신 시의 전력 소모를 측정한 표이다.
표 1(600)은 HMD(200)가 60FPS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16.66ms의 주기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21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의 전력 소모를 나타낸 것이다. 표 1(600)의 가로 축은 웨이크업 구간(예: 도 5a의 520)의 지속 시간(duration)이고, 표 1(600)의 세로 축은 HMD(200)가 수신하는 컨텐츠의 bitrate이다. 표 1(600)에서 HMD(200)는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데이터 수신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표 1(600)을 참조하면, 10Mbps 컨텐츠의 경우, HMD(200)의 무선 통신 회로(예: 도 3의 310)는 16ms(예: 웨이크업 구간(520))동안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예: 도 3의 300)는 16ms동안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HMD(200)는 243mW의 전력을 소모하여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의 웨이크업 구간(520)이 짧아질수록, 프로세서(300)에 요구되는 최소 스루풋은 높아질 수 있으나 소모 전력은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600)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회로(310)의 웨이크업 구간(520)이 1ms인 경우, 프로세서(300)에 대한 최소 요구 스루풋은 약 166.7Mbps이고, 전력 소모는 15mW일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회로(310)는 저전력 무선 통신(예: 무선 통신 회로(310)가 1ms 동안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을 이용하여 HMD(200)의 전력 소모를 웨이크업 구간(520)이 16ms인 경우에 비해 약 93%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스루풋을 높이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의 조건(예를 들어, QoS)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통신 채널(예: 도 2의 230)의 설정을 변경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10)는 HMD(200)가 수신하는 데이터의 스루풋을 높이기 위하여 WiFi 통신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10)는 데이터 전송 스루풋을 높이기 위하여 MCS(modulation coding scheme)상의 coding rate을 조절하거나 modulation type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의 spatial stream의 개수를 높이거나 guard interval을 줄여 데이터 전송 스루풋을 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10)는 데이터 전송 rate를 높이거나 주파수 대역을 높여(예: channel bonding) 데이터 전송 스루풋을 높일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는 웨이크업 구간(520)이 경과한 뒤, 슬립 상태(예: 도 5a의 슬립 구간(530))로 천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는 슬립 구간(530)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력을 소모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웨이크업 구간(520)이 짧을수록 전력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스루풋을 높이는 것에 비하여 웨이크업 구간(520)을 단축시키는 것이 전력 소모를 더 많이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구간(520)이 16ms인 경우, 10Mbps로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243mW 소모)하다가 1Gbps로 데이터 스루풋을 높여 수신(425mW)하더라도 소모 전력 감소 효과는 약 42.8%이므로, 웨이크업 구간(520)을 제한하는 것이 소모 전력 감소에 더 유리할 수 있다.
표 1(600)을 계속 참조하면, 50Mbps 컨텐츠의 경우, HMD(200)의 무선 통신 회로(310)는 16ms(예: 웨이크업 구간(520))동안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16ms동안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HMD(200)는 234mW의 전력을 소모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무선 통신 회로(310)의 웨이크업 구간(520)이 1ms인 경우, HMD(200)는 27mW의 전력을 소모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는 저전력 무선 통신(예: 1ms 동안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을 이용하여 웨이크업 구간(520)이 16ms일 때의 비해 전력 소모를 약 88% 감소시킬 수 있다.
100Mbps 컨텐츠의 경우, HMD(200)는 무선 통신 회로(310)의 웨이크업 구간(520)이 약 16ms인 경우, 234mW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으나 웨이크업 구간(520)이 2ms인 경우, 53mW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회로(310)는 저전력 무선 통신(예: 2ms 동안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을 이용하여 HMD(200)의 전력 소모를 약 77%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300)는 웨이크업 구간(520)이 2ms인 경우보다 웨이크업 구간(520)이 1ms인 경우, 더 높은 스루풋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구간(520)이 1ms인 경우, 프로세서(300)는 웨이크업 구간(520)이 2ms인 경우보다 2배의 속도로 데이터를 수신하여야 할 수 있다. 그러나,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환경에서, 100Mbps 컨텐츠의 경우, 웨이크업 구간(520)이 2ms인 경우보다 2배의 속도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표 1(600)에서 1ms에 대응하는 부분은 N/A(해당 값 없음)로 표시될 수 있다.
500Mbps 컨텐츠의 경우, HMD(200)는 무선 통신 회로(310)의 웨이크업 구간(520)이 약 16ms인 경우, 274mW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으나 웨이크업 구간(520)이 8ms인 경우, 213mW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회로(310)는 저전력 무선 통신(예: 8ms 동안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을 이용하여 HMD(200)의 전력 소모를 약 22%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300)는 웨이크업 구간(520)이 8ms인 경우보다 웨이크업 구간(520)이 4ms인 경우, 더 높은 스루풋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구간(520)이 4ms인 경우, 프로세서(300)는 웨이크업 구간(520)이 8ms인 경우보다 2배의 속도로 데이터를 수신하여야 할 수 있다. 그러나,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환경에서, 500Mbps 컨텐츠의 경우, 웨이크업 구간(520)이 8ms인 경우보다 2배의 속도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표 1(600)에서 8ms보다 작은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은 N/A(해당 값 없음)로 표시될 수 있다.
1Gbps 컨텐츠의 경우, 프로세서(300)는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환경에서 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없으므로, 무선 통신 회로(310)의 웨이크업 구간(520)이 약 16ms인 경우의 전력 소모만을 알 수 있다. 2Gbps 컨텐츠의 경우, 프로세서(300)는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을 이용하여 16ms동안 2Gbps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 없으므로 전력 소모의 측정이 불가능하다.
표 2(650)는 HMD(200)가 60FPS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16.66ms의 주기로 외부 전자 장치(210)로 송신하는 경우의 전력 소모를 나타낸 것이다. 표 2(650)의 가로 축은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시간(duration)이고, 표 2(650)의 세로 축은 HMD(200)가 송신하는 컨텐츠의 bitrate이다. 표 2(650)에서 HMD(200)는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외부 전자 장치(210)로 데이터 송신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표 2(650)를 참조하면, 10Mbps 컨텐츠의 경우, 무선 통신 회로(예: 도 3의 310)는 약 16ms(예: 제1 시간 구간(510)) 동안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16ms동안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로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HMD(200)는 905mW의 전력을 소모하여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의 웨이크업 구간(520)이 짧아질수록, 프로세서(300)에 요구되는 최소 스루풋은 높아질 수 있으나 소모 전력은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2(650)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회로(310)의 웨이크업 구간(520)이 1ms인 경우, 프로세서(300)에 대한 최소 요구 스루풋은 약 166.7Mbps이고, 전력 소모는 57mW일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회로(310)는 저전력 무선 통신(예: 무선 통신 회로(310)가 1ms 동안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을 이용하여 HMD(200)의 전력 소모를 약 93%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데이터 전송 스루풋을 높이기 위하여 MCS(modulation coding scheme)상의 coding rate을 조절하거나 modulation type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의 spatial stream의 개수를 높이거나 guard interval을 줄여 데이터 전송 스루풋을 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00)는 데이터 전송 rate를 높이거나 주파수 대역을 높여(예: channel bonding) 데이터 전송 스루풋을 높일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는 웨이크업 구간(520)이 경과한 뒤, 슬립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는 슬립 구간(예: 도 5a의 530)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력을 소모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웨이크업 구간(520)이 짧을수록 전력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스루풋을 높이는 것에 비하여 웨이크업 구간(520)을 단축시키는 것이 전력 소모를 더 많이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구간(520)이 16ms인 경우, 10Mbps로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를 송신(905mW 소모)하다가 1Gbps로 데이터 스루풋을 높여 수신(1545mW)하더라도 소모 전력 감소 효과는 약 41.4%이므로, 웨이크업 구간(520)을 제한하는 것이 소모 전력 감소에 더 유리할 수 있다.
표 2(650)를 계속 참조하면, 50Mbps 컨텐츠의 경우, HMD(200)의 무선 통신 회로(310)는 16ms(예: 웨이크업 구간(520))동안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16ms동안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로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HMD(200)는 905mW의 전력을 소모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무선 통신 회로(310)의 웨이크업 구간(520)이 1ms인 경우, HMD(200)는 97mW의 전력을 소모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는 저전력 무선 통신(예: 1ms 동안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을 이용하여 웨이크업 구간(520)이 16ms일 때의 비해 전력 소모를 약 89% 감소시킬 수 있다.
100Mbps 컨텐츠의 경우, HMD(200)는 무선 통신 회로(310)의 웨이크업 구간(520)이 약 16ms인 경우, 905mW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으나 웨이크업 구간(520)이 2ms인 경우, 193mW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회로(310)는 저전력 무선 통신(예: 2ms 동안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을 이용하여 HMD(200)의 전력 소모를 약 78%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300)는 웨이크업 구간(520)이 2ms인 경우보다 웨이크업 구간(520)이 1ms인 경우, 더 높은 스루풋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구간(520)이 1ms인 경우, 프로세서(300)는 웨이크업 구간(520)이 2ms인 경우보다 2배의 속도로 데이터를 송신하여야 할 수 있다. 그러나,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환경에서, 100Mbps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웨이크업 구간(520)이 2ms인 경우보다 2배의 속도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표 2(650)에서 1ms에 대응하는 부분은 N/A(해당 값 없음)로 표시될 수 있다.
500Mbps 컨텐츠의 경우, HMD(200)는 무선 통신 회로(310)의 웨이크업 구간(520)이 약 16ms인 경우, 905mW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으나 웨이크업 구간(520)이 8ms인 경우, 772mW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회로(310)는 저전력 무선 통신(예: 8ms 동안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을 이용하여 HMD(200)의 전력 소모를 약 15%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300)는 웨이크업 구간(520)이 8ms인 경우보다 웨이크업 구간(520)이 4ms인 경우, 더 높은 스루풋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구간(520)이 4ms인 경우, 프로세서(300)는 웨이크업 구간(520)이 8ms인 경우보다 2배의 속도로 데이터를 송신하여야 할 수 있다. 그러나,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환경에서, 500Mbps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웨이크업 구간(520)이 8ms인 경우보다 2배의 속도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표 2(650)에서 8ms보다 작은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은 N/A(해당 값 없음)로 표시될 수 있다.
1Gbps 컨텐츠의 경우, 프로세서(300)는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환경에서 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없으므로, 무선 통신 회로(310)의 웨이크업 구간(520)이 약 16ms인 경우의 전력 소모만을 알 수 있다. 2Gbps 컨텐츠의 경우, 프로세서(300)는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을 이용하여 16ms동안 2Gbps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모두 송신할 수 없으므로 전력 소모의 측정이 불가능할 수 있다.
도 6의 표 1(600) 및 표 2(650)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이며,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환경에서 보다 빠른 속도를 지원하는 경우, 최소 요구 스루풋 및/또는 웨이크업 구간(520)은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HMD가 저전력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동작 700을 참조하면, HMD(예: 도 2의 200)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210)와 통신 채널(예: 도 2의 230)을 형성할 수 있다. 통신 채널(230)은 WiFi 통신 방식(예: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통신 채널(230)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으나, 전자 장치의 큰 전력 소모를 야기할 수 있는 통신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동작 710에서, HMD(200)의 프로세서(예: 도 3의 300)는 무선 통신 회로(예: 도 3의 310)를 이용하여 통신 채널(230)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HMD(200) 는 외부 전자 장치(210)와 데이터 통신 시에,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TWT 모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200)는 외부 전자 장치(210)와 합의 과정(예: individual TWT agreement)에서 최초 슬립 시간 또는 웨이크업(wake up) 시작 시간 중 어느 하나를 공유할 수 있다. 합의에 따라 HMD(200)는 슬립 시간 이후 외부 전자 장치(210)으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고, HMD(200)의 무선 통신 회로(예: 도 3의 310)는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HMD(200)의 무선 통신 회로(예: 도 3의 310)는 협의된 시간 및 주기에만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200)의 무선 통신 회로(예: 도 3의 310)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경우에만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하고, 나머지 시간 구간에서 슬립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웨이크업 구간(예: 도 5a의 520)에서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슬립 구간(예: 도 5a의 530)에서 무선 통신 회로(예: 도 3의 310)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지 않게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을 위한 HMD(200)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전에,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데이터 통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데이터 통신 주기, 웨이크업 구간(520)의 길이 및/또는 슬립 상태로 천이 시점에 대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주기는 컨텐츠의 종류(예: 프레임 레이트) 및/또는 서비스 종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서비스 종류는 HMD(200)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210)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종류에 기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웨이크업 구간(예: 도 5a의 520)이 복수의 슬롯으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슬롯이 업링크인지 다운링크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TWT 모드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주기, 웨이크업 구간(520)의 길이 및/또는 슬립 상태로 천이 시점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때에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무선 통신 회로(310)는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데이터 통신 주기로 할 수 있고, 데이터 통신 주기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예: 도 5a의 웨이크업 구간(510))동안 컨텐츠의 일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21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60FPS인 경우,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는 약 16.66ms가 되어, 데이터 통신 주기는 16.66ms로 결정될 수 있다. HMD(200)와 외부 전자 장치(210)는 1초 동안 60개의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고, 16.66ms 이내에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완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310)는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시간은 8ms 이내로 결정될 수 있다. 웨이크업 구간(520)의 길이는 WiFi 채널의 QoS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문서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가 45FPS인 경우, 데이터 통신 주기는 22.2ms로,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가 95FPS인 경우, 데이터 통신 주기는 10.5ms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데이터 통신 중인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가 변경되는 경우, 그에 따라 데이터 통신 주기 및 웨이크업 구간(520)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무선 통신 회로(310)는 슬립 구간(530)에서 슬립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10)는 슬립 상태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전력을 소모하지 않거나 웨이크업 상태보다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동작 720 및 730은 순차적으로 한번씩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데이터 통신 주기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510)동안 프로세서(300)가 웨이크업 상태에서 통신하고, 슬립 상태로 천이하였다가 다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동작 720 및/또는 730은 여러 번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310)는 지정된 주기로 웨이크업 상태와 슬립 상태를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 구간(예: 도 5a의 510)에서 웨이크업 상태를 수행한 뒤 슬립 상태로 천이한 경우, 제2 시간 구간(예: 도 5a의 560)이 시작되면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제2 시간 구간(560)의 웨이크업 구간(520)동안 다음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HMD(200))의 운용 방법은,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통신 채널(230)을 형성하는 동작,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 주기 및 웨이크업(wake up) 구간(520)의 길이를 결정하는 동작, 무선 통신 회로(310)를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transition)시키는 동작,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통신 채널(230)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및 무선 통신 회로(310)를 슬립(sleep) 구간(530)에서 슬립(sleep) 상태로 천이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HMD(200))의 운용 방법은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무선 통신 회로(310)를 슬립 구간(530)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시킨 뒤, 통신 채널(230)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HMD(200))의 운용 방법은 통신 채널 상태 또는 컨텐츠 bitrate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기간(duration)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웨이크업 구간(520)은 복수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전자 장치(예: HMD(200))는 외부 전자 장치(210)와 복수의 슬롯에 대한 individual TWT(target wake time) agreement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HMD(200))의 운용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210)와 individual TWT agreement에 기반하여 복수의 슬롯 각각이 업링크(uplink)인지 다운링크(downlink)인지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HMD(200))의 운용 방법은, 통신 채널(230)의 QoS(quality of service)에 기반하여,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기간(duration)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HMD(200))와 외부 전자 장치(210) 사이의 통신 채널(230)은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방식의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HMD(200))의 운용 방법은, 배터리(350)를 포함하고, 전자 장치(예: HMD(200))가 외부 전자 장치(210)의 케이스에 탑재되고 배터리(350)가 외부 전자 장치(210)의 충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배터리(350)가 충전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300))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무선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통신 채널(230)을 형성하는 동작,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 주기 및 웨이크업(wake up) 구간(520)의 길이를 결정하는 동작, 무선 통신 회로(310)를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transition)시키는 동작,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통신 채널(230)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및 무선 통신 회로(310)를 슬립(sleep) 구간(520)에서 슬립(sleep) 상태로 천이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300))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웨이크업 구간(520)에서 외부 전자 장치(2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무선 통신 회로(310)를 슬립 구간(520)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시킨 뒤, 통신 채널(230)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10)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300))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통신 채널(230) 상태 또는 컨텐츠 bitrate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웨이크업 구간(520)의 지속 기간(duration)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채널(230)은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방식일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 주기 및 웨이크업(wake up) 구간의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상기 웨이크업 구간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transition)시키고,
    상기 웨이크업 구간에서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슬립(sleep) 구간에서 슬립 상태로 천이시키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웨이크업 구간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상기 슬립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시킨 뒤,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통신 채널 상태 또는 상기 컨텐츠의 bitrate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웨이크업 구간의 지속 기간(duration)을 결정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간은 복수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복수의 슬롯에 대한 individual TWT(target wake time) agreement를 수행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ndividual TWT agreement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슬롯 각각이 업링크(uplink)인지 다운링크(downlink)인지 결정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채널의 QoS(quality of service)에 기반하여, 상기 웨이크업 구간의 지속 기간(duration)을 결정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방식의 무선 통신인,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케이스에 탑재되고 상기 배터리가 외부 전자 장치의 충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동작;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 주기 및 웨이크업(wake up) 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상기 웨이크업 구간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transition)시키는 동작;
    상기 웨이크업 구간에서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슬립(sleep) 구간에서 슬립 상태로 천이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간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상기 슬립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시킨 뒤,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통신 채널 상태 또는 상기 컨텐츠 bitrate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웨이크업 구간의 지속 기간(duration)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간은 복수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복수의 슬롯에 대한 individual TWT(target wake time) agreement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individual TWT agreement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슬롯 각각이 업링크(uplink)인지 다운링크(downlink)인지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의 QoS(quality of service)에 기반하여, 상기 웨이크업 구간의 지속 기간(duration)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방식의 무선 통신인,
    방법.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케이스에 탑재되고 상기 배터리가 외부 전자 장치의 충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동작;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 주기 및 웨이크업(wake up) 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상기 웨이크업 구간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transition)시키는 동작;
    상기 웨이크업 구간에서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슬립(sleep) 구간에서 슬립(sleep) 상태로 천이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구간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상기 슬립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천이시킨 뒤,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9. 제17 항에 있어서,
    통신 채널 상태 또는 상기 컨텐츠 bitrate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웨이크업 구간의 지속 기간(duration)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방식의 무선 통신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00053365A 2020-05-04 2020-05-04 저전력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35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365A KR20210135099A (ko) 2020-05-04 2020-05-04 저전력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PCT/KR2021/004814 WO2021225300A1 (en) 2020-05-04 2021-04-16 Electronic device utilizing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US17/241,215 US11864106B2 (en) 2020-05-04 2021-04-27 Electronic device utilizing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365A KR20210135099A (ko) 2020-05-04 2020-05-04 저전력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099A true KR20210135099A (ko) 2021-11-12

Family

ID=7829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365A KR20210135099A (ko) 2020-05-04 2020-05-04 저전력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64106B2 (ko)
KR (1) KR20210135099A (ko)
WO (1) WO2021225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25764A (zh) * 2020-10-16 2023-06-2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投屏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7152B (zh) * 2007-11-12 2014-01-15 马维尔国际有限公司 活动空闲通信系统
EP2238758A4 (en) 2008-01-24 2013-12-18 Micropower Technologies Inc VIDEO DISTRIBUTION SYSTEMS USING WIRELESS CAMERAS
US8203985B2 (en) * 2008-12-31 2012-06-19 Intel Corporation Power saving in peer-to-peer communication devices
KR101619960B1 (ko) 2009-12-29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965351B2 (en) 2011-07-14 2015-02-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fficient battery utilization during content delivery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KR101836385B1 (ko) 2011-11-14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20150085587A (ko) * 2014-01-16 2015-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7895B1 (ko) 2014-03-04 2015-07-17 한국과학기술원 와이파이 무선 접근 지점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슬립 방법 및 장치
KR102172014B1 (ko) * 2014-08-13 2020-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986502B2 (en) * 2015-12-15 2018-05-29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Distributed sleep management for battery powered multi-hop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KR20170126295A (ko) *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6931285B2 (ja) 2017-01-11 2021-09-01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用アタッチメント
KR102607647B1 (ko) * 2017-01-24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 방법
US10620697B2 (en) * 2018-09-27 2020-04-14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anagement for virtual reality devices
KR20210051048A (ko) 2019-10-29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45243A1 (en) 2021-11-04
WO2021225300A1 (en) 2021-11-11
US11864106B2 (en)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875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재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EP41815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US11481020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rocess and method thereof
KR20210101696A (ko) 버퍼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3000522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ffering virtual reality service
KR102579700B1 (ko)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4144744A (zh) 基于电子装置中的发热来控制数据吞吐量的电子装置和方法
US11330651B2 (en) Electronic devic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864106B2 (en) Electronic device utilizing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US202300202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for data communication in electronic device
US11800453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network on basis of Wi-Fi direct protocol, and method related thereto
KR20210158626A (ko) 전송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949376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11943639B2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rescheduling over wireless chan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20050610A (ko)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059276A (ko) 전자 장치 표면의 온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895286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of multiple applications with low latency
KR102030703B1 (ko) 분할형 스마트폰
US20220343829A1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40055585A (ko) 가비지 컬렉션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20054003A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30057225A (ko) 무선 통신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40080058A (ko)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트래킹 정보에 기반하여 렌더링을 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008193A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들의 동작 방법
KR20230012350A (ko) 주변 장치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였을 때 화면을 빠르게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