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634A - 원예용 다중날 가위 - Google Patents

원예용 다중날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634A
KR20160019634A KR1020140104123A KR20140104123A KR20160019634A KR 20160019634 A KR20160019634 A KR 20160019634A KR 1020140104123 A KR1020140104123 A KR 1020140104123A KR 20140104123 A KR20140104123 A KR 20140104123A KR 20160019634 A KR20160019634 A KR 20160019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cutting
coupled
blad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만
Original Assignee
김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만 filed Critical 김용만
Priority to KR102014010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9634A/ko
Publication of KR2016001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1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f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번에 여러개의 피절단물을 커팅할 수 있도록 한 원예용 다중날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한쌍의 핸들(11,12)에 각각 연결부(13,14)를 통해 연장되는 절단날(15,16)이 힌지축(21)에 의해 교차 결합되어 회전 작동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1)에 결합되어 한쌍의 절단날(15,16) 사이에 다수의 절단공간(8)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날(30), 상기 고정날(30)의 후방에 구비되며, 고정날(30)의 길이방향으로 작동로(41)가 형성되는 작동지지체(40), 상기 연결부(13,14)에 일측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51,52) 결합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작동로(4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작동로(41) 상에 힌지축(54) 결합되는 한쌍의 링크체(50,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다중날 가위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원예용 다중날 가위{SCISSORS HAVING MULTI CUTTER}
본 발명은 원예용 다중날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에 여러개의 피절단물을 커팅할 수 있도록 한 원예용 다중날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위는 나뭇가지 등을 절단하는 전지가위나 헝겊이나 함석 등을 절단하는 함석가위, 머리카락 등을 절단하는 미용가위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가위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회전축을 따라 회동하는 한쌍의 몸체부를 압축하여 피절단물을 커팅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통상적인 가위의 일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21001호에서는 후단측에 손잡이가 연장 형성된 두 가위날을 축핀을 중심으로 교차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 가압작동으로 두 가위날의 내측단이 밀착 접촉되어 교차작동하면서 과수, 원예작물 등의 가지를 절단 작동하는 전정가위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통상적인 가위는 두 가위날 사이에 나뭇가지나 줄기 등의 피절단물의 정확한 위치 절단을 위해 하나의 피절단물 만을 위치시켜 절단할 수 밖에 없고, 혹여 두 가위날 사이에 다수의 피절단물을 위치시키게 된다면 작업자가 원하는 부위에 절단을 하기 어렵고,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집중력과 시간을 요하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예로서 공개특허 제10-2011-0112602호에서는 한쌍의 절단날을 갖는 다수의 가위세트와, 상기 절단날과 절단날의 연결부에 삽입되는 하나의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에 끼워지는 다수의 볼트 및 상기 다수의 볼트 사이의 힌지핀에 끼워지는 와셔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의 볼트 각각에 가위세트 각각이 체결되어 다수의 가위세트가 결합된 다중날 이,미용가위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다중날 가위는 일반 가위부재들을 단순히 상,하로 결합하여 하나의 피절단물에 다수의 커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피절단물에 다수 커팅이 되게 구성되어 주로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꾸미기 위한 헤어커팅시 사용되는 것이며, 한번의 커팅으로 다수의 피절단물을 원하는 부위에 커팅하기 힘든 단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21001호 공개특허 제10-2011-011260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다수의 절단공간을 확보하여 한번에 여러개의 나뭇가지나 줄기 등과 같은 피절단물을 원하는 부위에 커팅할 수 있도록 한 원예용 다중날 가위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쌍의 핸들(11,12)에 각각 연결부(13,14)를 통해 연장되는 절단날(15,16)이 힌지축(21)에 의해 교차 결합되어 회전 작동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1)에 결합되어 한쌍의 절단날(15,16) 사이에 다수의 절단공간(8)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날(30), 상기 고정날(30)의 후방에 구비되며, 고정날(30)의 길이방향으로 작동로(41)가 형성되는 작동지지체(40), 상기 연결부(13,14)에 일측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51,52) 결합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작동로(4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작동로(41) 상에 힌지축(54) 결합되는 한쌍의 링크체(50,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다중날 가위로 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원예용 다중날 가위는 고정 구비되는 고정날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양측에 구비되는 절단날을 구비하여 그 사이에 다수의 절단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한번에 여러개의 나뭇가지나 줄기 등과 같은 피절단물을 원하는 부위에 커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횡방향으로 다수의 절단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하나의 절단공간이 존재하는 기존의 가위에서처럼 피절단물의 원하는 부위에 정확한 커팅을 하면서도 한번에 다수의 피절단물을 자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예용 다중날 가위의 펼친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예용 다중날 가위의 접힌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 결합 상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단날 및 고정날 상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예시도
본 발명의 원예용 다중날 가위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예용 다중날 가위의 펼친상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원예용 다중날 가위의 접힌상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 결합 상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절단날 및 고정날 상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원예용 다중날 가위는 한번에 여러개의 나뭇가지나 줄기 등과 같은 피절단물을 커팅할 수 있도록 하는 원예용 다중날 가위에 관한 것으로, 한쌍의 핸들(11,12)에 각각 연결부(13,14)를 통해 연장되는 절단날(15,16)이 힌지축(21)에 의해 교차 결합되어 회전 작동되는 통상의 가위를 개량하여 만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구조와 같은 통상의 가위의 구성에 고정날(30), 작동지지체(40) 및 링크체(50,6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가위는 도 1에서처럼 한쌍의 핸들(11,12)과 절단날(15,16)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13,14) 부위에서 힌지축(21)에 의해 교차 결합되어 핸들(11,12)과 절단날(15,16)이 회전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날(30)은 상기 힌지축(21)에 결합되어 한쌍의 절단날(15,16) 사이에 다수의 절단공간(8)이 형성되도록 고정 구비된다.
상기 한쌍의 절단날(15,16)은 상호간에 마주하는 측에서 교차 접촉되면서 피절단물이 커팅되기 때문에 마주하는 상호 내측에만 날부(15a,16a)가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고정날(30)은 한쌍의 절단날(15,16)의 중간측 사이에 고정되어 각 날부(15a,16a)에 각각 마주하여 피절단물이 커팅되게 해야 하므로, 도 4에서처럼 고정날(30)의 양측에 각각 날부(30a,30b)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날(30)이 결합된 힌지축(21)을 중심으로 고정날(30)의 반대편인 후방측에는 작동지지체(40)가 구비된다.
작동지지체(40)는 고정날(30)에 일체 또는 분리형성되어 고정날(30)의 후방에 고정 구비되며, 고정날(3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형태의 작동로(41)가 형성된다. 이때 작동로(41)는 도 3에 도시된 것 처럼 하나의 장공 또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다른 실시예로서 2개의 작동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실시예는 후술되는 링크체(50,6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작동로(41)는 반드시 고정날(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설계구조에 따라 경사지게 또는 만곡지게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작동로(41)에는 한쌍의 연결부(13,14)에 각각 힌지축(51,52) 결합된 링크체(50,60)가 힌지축(54)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체(50,60)는 핸들(11,12)과 절단날(15,16)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13,14)에 일측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51,52) 결합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작동로(4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작동로(41) 상에 힌지축(54) 결합되게 한다. 이때 링크체(50,60)의 길이는 동일하게 구성되며, 길이가 각각 다를 경우의 구성은 다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이때 링크체(50,60)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힌지축(54)은 하나 또는 각각의 힌지축으로 형성 가능하나, 작동로(41) 상에 결합된 힌지축(54)이 양측 링크체(50,60)에 하나로 결합되어 동시 작동되도록 구성되게 함이 작동상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상기 작동로(41)를 2개의 상호 평행한 작동로로 형성할 경우, 링크체(50,60)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힌지축(54)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하여 개별 구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동작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보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날(30)을 중심으로 양측에 절단날(15,16)이 위치되어 양측 절단날(15,16)의 날부(15a,16a)와 고정날(30)의 날부(30a,30b)가 마주한 상태에서 회전작동에 의해 마주하는 상호간에 겹쳐지면서 작동된다.
상기 작동은 도 5의 (a)에 일예시로서 도시된 것처럼 2개의 줄기(6)가 준비된 상태에서, 양측 절단날(15,16)과 고정날(30) 사이의 절단공간에 2개의 줄기(6)가 각각 위치되게 한 후, 도 5의 (b)에서처럼 양측 절단날(15,16)을 회전 작동시켜 각 절단날(15,16)이 고정날(30)에 겹쳐지게 하게 되면 2개의 줄기(6)가 동시에 커팅된다.
이와 같이 양측 절단날(15,16) 사이에 고정날(30)을 구비하여 2개의 절단공간을 형성하게 되면 하나의 절단공간이 존재하는 기존의 가위에서처럼 피절단물의 원하는 부위에 정확한 커팅을 하면서도 한번에 2개의 피절단물을 자를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서 원예용 다중날 가위를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에서처럼 3중날 가위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3중날 가위의 구성을 변형하여 4중, 5중 또는 그 이상의 다중날 가위를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중심날의 구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3중, 5중 또는 그 이상의 홀수날로 구성될 수 있는 가위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링크체(50,60)의 길이를 각각 다르게 구비하게 되면, 짧은 링크체에 연결된 절단날이 긴 링크체에 연결된 절단날 보다 고정날에 접촉을 먼저하게 되므로, 순차적인 절단이 가능한 구조로 변경할 수 있다.
11, 12: 핸들 13, 14: 연결부
15, 16: 절단날 21: 힌지축
30: 고정날 40: 작동지지체
41: 작동로 50, 60: 링크체
51, 52: 힌지축 54: 힌지축

Claims (4)

  1. 한쌍의 핸들(11,12)에 각각 연결부(13,14)를 통해 연장되는 절단날(15,16)이 힌지축(21)에 의해 교차 결합되어 회전 작동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1)에 결합되어 한쌍의 절단날(15,16) 사이에 다수의 절단공간(8)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날(30);
    상기 고정날(30)의 후방에 구비되며, 고정날(30)의 길이방향으로 작동로(41)가 형성되는 작동지지체(40);
    상기 연결부(13,14)에 일측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51,52) 결합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작동로(4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작동로(41) 상에 힌지축(54) 결합되는 한쌍의 링크체(50,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다중날 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41) 상에 결합된 힌지축(54)은 양측 링크체(50,60)에 하나로 결합되어 동시 작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다중날 가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41)는 2개의 평행한 작동로로 형성되어 링크체(50,60)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힌지축(54)이 각각 개별 구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다중날 가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체(50,60)는 각각 길이를 다르게 구성되게 하여 짧은 링크체에 연결된 절단날이 긴 링크체에 연결된 절단날 보다 고정날에 접촉이 먼저되게 함으로써 순차적인 절단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다중날 가위.
KR1020140104123A 2014-08-12 2014-08-12 원예용 다중날 가위 KR20160019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123A KR20160019634A (ko) 2014-08-12 2014-08-12 원예용 다중날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123A KR20160019634A (ko) 2014-08-12 2014-08-12 원예용 다중날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634A true KR20160019634A (ko) 2016-02-22

Family

ID=5544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123A KR20160019634A (ko) 2014-08-12 2014-08-12 원예용 다중날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963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001Y1 (ko) 2006-04-28 2006-07-07 김상석 거푸집용 아웃코너 패널 조립체
KR20110112602A (ko) 2010-04-07 2011-10-13 전응봉 다중날 이ㆍ미용가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001Y1 (ko) 2006-04-28 2006-07-07 김상석 거푸집용 아웃코너 패널 조립체
KR20110112602A (ko) 2010-04-07 2011-10-13 전응봉 다중날 이ㆍ미용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185B1 (ko) 이중 모드 래칫 전정기
US9603310B2 (en) Lopping shears with offset blade
KR20160019634A (ko) 원예용 다중날 가위
US1299100A (en) Shears.
CN105532275A (zh) 一种单手操作的园林工具剪
KR101416802B1 (ko) 전지 가위
CN202310662U (zh) 修枝剪
JP2010227067A (ja) 樹木造形用円形中空回転刃部品
CN206227076U (zh) 植物切割装置和修剪机刀片组件
US4097945A (en) Folding garden tool
US20140013516A1 (en) Gardening Implement
US20090044413A1 (en) Multipurpose gardening shears
US1648984A (en) Pruning shears
KR20160001276A (ko) 고소작업용 전지가위
CN204721899U (zh) 枝秆剪
KR20100010629U (ko) 높이조절기능을 가진 다목적 양손가위
KR20110008301U (ko) 원예용 양손 가위
JP3212267U (ja) 高枝切り鋏
US2497999A (en) Hedge trimmer
KR200320206Y1 (ko) 다중날 가위
CN211531929U (zh) 一种内曲刃园艺剪
JP3242508U (ja)
RU2420947C2 (ru) Секатор садово-кабельный
KR20210001479U (ko) 재단 가능한 재료의 테두리 및 중앙부를 선택적으로 재단할 수 있는 가위
KR200155081Y1 (ko) 화훼용 전정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