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292A -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292A
KR20160019292A KR1020140103881A KR20140103881A KR20160019292A KR 20160019292 A KR20160019292 A KR 20160019292A KR 1020140103881 A KR1020140103881 A KR 1020140103881A KR 20140103881 A KR20140103881 A KR 20140103881A KR 20160019292 A KR20160019292 A KR 20160019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rength
transmission signal
radio access
signal
mobile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9292A/ko
Publication of KR20160019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즉,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된 무선액세스장치와 지하철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승강장에 위치하거나 객차 내 탑승 중인 승객이 양호한 품질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FIXED TYPE WIRELESS ACCESS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된 무선액세스장치와 지하철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 간의 발생하는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탑승 시, 승강장에서 지하철에 탑승 후 목적지 승강장에 하차 시까지 승객이 소지한 단말(예: 스마트 폰)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 Wi-Fi)에 접속하여 웹, 채팅 등의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의 접속은, 지하철 승강장의 벽면이나 기둥의 고정 점에 설치된 무선액세스장치와 지하철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헌데, 이러한 무선액세스장치와, 무선브리지장치는 운용 시, 상호 간에 신호 간섭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처럼 무선액세스장치와 무선브리지장치 간에 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승강장에 위치하거나 객차 내 탑승 중인 승객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된 무선액세스장치와 지하철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승강장에 위치하거나 객차 내 탑승 중인 승객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는, 수신신호 중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하는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는, 기 지정된 허용신호세기를 기초로 변경되며, 상기 변경부는,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경부는,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기 설정된 최저신호세기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된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는,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된 시점 이후,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 미만이거나, 내지는 상기 수신신호 중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되기 이전 시점의 신호세기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에는, 특정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가 지정되며, 상기 확인부는, 상기 특정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수신신호 중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신신호 중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하는 변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는, 기 지정된 허용신호세기를 기초로 변경되며,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기 설정된 최저신호세기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된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는,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된 시점 이후,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 미만이거나, 내지는 상기 수신신호 중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되기 이전 시점의 신호세기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에는, 특정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가 지정되며,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특정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수신신호 중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된 무선액세스장치와 지하철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승강장에 위치하거나 객차 내 탑승 중인 승객이 양호한 품질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액세스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액세스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되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접속 환경을 제공하는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100; 이하, '무선액세스장치'라 칭함) 및 지하철 객차 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접속 환경을 제공하는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200; 이하, '무선브리지장치'라 칭함)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액세스장치(100)는 지하철 승강장의 벽면이나 기둥의 고정 점에 설치되어, 승강장에서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접속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예: AP)를 일컫는다.
이러한, 무선액세스장치(100)는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백홀(Backhaul)에 패킷 전송로를 구현하게 되며, 이처럼 백홀이 광케이블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최대 80Mbp까지의 다운링크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브리지장치(200)는 지하철 객차 내 설치되어, 객차 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접속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무선브리지장치(200)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접속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위 무선액세스장치(100)와 동일하나,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예: WiBro) 신호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점이 존재한다.
참고로,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는, 이동성이 보장되며 기지국 간 핸드오버 기술이 표준에 구현되어 있으며, 이동 시에도 최대 15Mbps까지의 다운링크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무선액세스장치(100)와 무선브리지장치(200) 간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의 경우 모든 일반인에게 사용이 자유로운 ISM 밴드(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를 사용하게 되며, 밴드폭의 제한, 즉 한정된 채널 숫자로 인해 무선액세스장치(100)와 무선브리지장치(200) 간에는 채널을 중복해서 사용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2GHz 대역은 채널 1~14번까지 사용하게 되며, 5GHz 대역의 A~E까지의 5개 채널로 운용될 수 있는데, 각 채널은 서로 약간씩 중복되어 서로 인접한 채널 간에는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지하철의 경우, 각각의 무선브리지장치(200)가 설치된 객차가 10량임을 고려하고, 승강장에는 무선액세스장치(100)가 30개 이상 배치된 것을 고려한다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간에 동일 채널을 사용할 가능성은 매우 높다.
더욱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통신 사업자가 단일 사업자가 아님을 추가 고려한다면, 서로 신호 간섭 가능성이 존재하는 무선액세스장치(100)와 무선브리지장치(200)는 100개 이상이 됨을 예상할 수 있다.
결국, 지하철 내지 승강장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 다수의 무선액세스장치(100)와 무선브리지장치(200)가 존재할 경우, 동일 채널을 사용하는 여러 대 존재할 수 있으며, 동일 채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채널 간 격리된 것이 아니므로 상호 간에 신호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지하철 객차의 경우 각 객차 간의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 각 객차마다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200) 간에 신호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적으나, 지하철이 승강장에 도착하여 객차의 문이 열리는 시점에, 승강장에 설치된 무선액세스장치(100)와,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200) 간에 신호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무선액세스장치(100)와, 무선브리지장치(200) 간의 신호 간섭은 전송속도의 저하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품질 열화를 가져와,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즉, 승강장에 설치된 무선액세스장치(100)의 경우,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200)보다 데이터 전송속도가 빠르며, 신호세기(출력 Power) 또한, 3dB 이상 큰 것이 일반적이다.
때문에, 지하철이 승강장에 도착하여 객차의 문이 열리는 경우, 승강장에 설치된 무선액세스장치(100)의 전송신호가 객차 내로 유입되어, 무선브리지장치(200)와 신호 간섭을 일으키게 되며, 이는 신호 대 간섭 비(SINR)를 저하시켜, 무선브리지장치(200)를 통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중인 단말에서의 서비스 속도를 현저하게 떨어뜨리게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무선액세스장치(100)와 무선브리지장치(200)의 발생하는 신호 간섭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장에 설치된 무선액세스장치(100)는 승강장 기둥면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로 인해 그 안테나 방사패턴(①)이 객차 내부를 향하게 되어 객차 문이 열리게 되면, 객차 내로 무선액세스장치(100)의 전송신호가 유입되게 된다.
또한,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200)는 객차 내 벽면에 부착되어 있어 그 안테나 방사패턴(②)도 승객이 앉아있는 좌석 위를 지향하게 되어, 승객이 소지한 단말은 그 위치가 무선액세스장치(100)의 안테나 방사패턴(①)과, 무선브리지장치(200)의 안테나 방사패턴(②)이 중첩된 영역(③)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러한 안테나 방사패턴 간 중첩된 영역(③)에서는 신호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장에 설치된 무선액세스장치(100)의 신호세기가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200)의 신호세기보다 커질 경우, 신호 간섭뿐만 아니라 무선브리지장치(200)에 접속중인 승객 단말이 무선액세스장치(100)로 변경 접속되어, 승객 단말에서 이용 중이던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단절되는 문제 또한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승강장에 설치된 무선액세스장치(100)와,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200)의 수신단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객 단말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뿐만 아니라, 인접한 타 무선액세스장치 또는 타 무선브리지장치로부터 전송된 전송신호(SSID)를 수신신호로서 함께 수신하게 된다.
헌데, 기존 무선액세스장치(100)와 무선브리지장치(200)에서는 인접한 타 무선액세스장치 또는 승강장으로 진입한 지하철 객 차내 무선브리지장치(200)의 전송신호가 별도로 검출되지 않으며, 더욱이 전송신호의 신호세기(전송 출력)를 변경하는 것 또한 지원하지 않아 신호 간섭이 발생하여도 이를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된 무선액세스장치(100)와 지하철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200)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액세스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액세스장치(100)는 지하철 승강장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확인하는 확인부(110), 및 지하철 승강장에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하는 변경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무선액세스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지하철 승강장에서 승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 및 타 무선액세스장치 또는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를 수신신호로서 수신하는 수신부(130) 및 지하철 승강장에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1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확인부(110), 변경부(120), 수신부(130) 및 전송부(140)를 포함하는 무선액세스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그 일부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확인부(110)는 수신신호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110)는 수신부(130)를 통해 지하철 승강장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 중, 지하철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에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Service Set Identifier)가 포함된다.
이에 확인부(110)는 전송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확인하여 승강장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 중, 지하철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승강장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 중, 지하철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한다는 것은, 승강장에 지하철이 진입하였으며, 진입 후 객차의 문의 열린 경우를 의미한다 할 것이다.
한편, 승강장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에는,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뿐만 아니라, 타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식별하기 위해선 무선액세스장치(100)와 무선브리지장치(200)를 구분할 수 있는 고유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가 예컨대, "무선액세스장치 -> Wi-Fi_Platform", "무선브리지장치 -> Wi-Fi_Train" 등으로 사전에 지정되어 있음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변경부(120)는 지하철 승강장에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경부(120)는 승강장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 중,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지하철 승강장에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하게 된다.
이때, 변경부(120)는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하게 되며, 측정된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기 지정된 허용신호세기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하여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한다.
여기서, 허용신호세기는 지하철이 지하철 승강장에 진입하여, 객차 문이 열린 경우를 상정하여 지정된 신호세기라 할 수 있는데,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를 초과한다는 것은, 지하철이 승강장에 진입하여 객차 문이 열린 경우를 의미하게 된다.
결국, 변경부(120)는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를 초과함에 따라 지하철이 승강장에 진입 후 객차 문이 열린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승강장에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기 설정된 최저신호세기로 낮아지도록 변경하여, 전송부(140)로 하여금 전송신호를 최저신호세기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전송된 전송신호가 객차 내로 유입되어 무선브리지장치(200)와의 신호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최저신호세기는, 무선액세스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전송신호가 객차 내로 유입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지정된 신호세기이며, 그 크기는 정의에 따라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으며, 심지어 전송신호를 아예 전송하지 않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변경부(120)는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된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되기 이전 시점의 신호세기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러한, 신호세기의 복귀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된 시점 이후,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허용신호세기 미만이거나, 내지는 승강장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 중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허용신호세기 미만이거나, 내지는 승강장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 중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객차 문이 닫혔거나, 지하철이 승강장을 벗어나 더 이상의 신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음을 의미하게 된다.
결국, 변경부(120)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된 시점 이후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허용신호세기 미만이거나, 내지는 승강장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 중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 시점 이전의 신호세기로 복귀시킴으로써, 지하철이 승강장을 벗어난 이후에 승강장에서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액세스장치(100)에 의하면, 무선액세스장치(100)가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승강장에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함으로써, 무선액세스장치(100)와 무선브리지장치(200) 간의 신호 간섭이 최소화됨에 따라, 지하철 객차 내 고정위치에서 무선브리지장치(20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는 고객이 지하철 운행중 또는 승강장에 정차한 상태와 무관하게 장시간 양호한 품질의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액세스장치에서 이루어지는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수신부(130)는 지하철 승강장에서 승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 및 타 무선액세스장치 또는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를 수신신호로서 수신한다(S110).
그리고 나서, 확인부(110)는 수신부(130)를 통해 지하철 승강장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 중, 지하철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0-S130).
이때, 확인부(110)는 지정된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수신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확인하여 승강장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 중, 지하철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런 다음, 변경부(120)는 승강장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 중,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지하철 승강장에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한다(S140-S170).
이때, 변경부(120)는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를 초과함에 따라 지하철이 승강장에 진입 후 객차 문이 열린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승강장에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기 설정된 최저신호세기로 낮아지도록 변경하여, 전송부(140)로 하여금 전송신호를 최저신호세기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전송된 전송신호가 객차 내로 유입되어 무선브리지장치(200)와의 신호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변경부(120)는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된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되기 이전 시점의 신호세기로 복귀시킨다(S160, S180-S190).
이때, 변경부(120)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된 시점 이후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허용신호세기 미만이거나, 내지는 승강장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 중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 시점 이전의 신호세기로 복귀시킴으로써, 지하철이 승강장을 벗어난 이후에 승강장에서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액세스장치(100)에 동작 방법에 의하면, 무선액세스장치(100)가 무선브리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승강장에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함으로써, 무선액세스장치(100)와 무선브리지장치(200) 간의 신호 간섭이 최소화됨에 따라, 지하철 객차 내 고정위치에서 무선브리지장치(20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는 고객이 지하철 운행중 또는 승강장에 정차한 상태와 무관하게 장시간 양호한 품질의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된 무선액세스장치와 지하철 객차 내 설치된 무선브리지장치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무선액세스장치
110: 확인부 120: 변경부
130: 수신부 140: 전송부
200: 무선브리지장치

Claims (10)

  1.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에 있어서,
    수신신호 중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하는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는,
    기 지정된 허용신호세기를 기초로 변경되며,
    상기 변경부는,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기 설정된 최저신호세기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된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는,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된 시점 이후,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 미만이거나, 내지는 상기 수신신호 중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되기 이전 시점의 신호세기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에는,
    특정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가 지정되며,
    상기 확인부는,
    상기 특정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수신신호 중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6.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수신신호 중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하는 변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는,
    기 지정된 허용신호세기를 기초로 변경되며,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를 기 설정된 최저신호세기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된 전송신호의 신호세기는,
    상기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된 시점 이후,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의 신호세기가 상기 허용신호세기 미만이거나, 내지는 상기 수신신호 중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최저신호세기로 변경되기 이전 시점의 신호세기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에는,
    특정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가 지정되며,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특정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수신신호 중 상기 이동형 무선액세스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40103881A 2014-08-11 2014-08-11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19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881A KR20160019292A (ko) 2014-08-11 2014-08-11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881A KR20160019292A (ko) 2014-08-11 2014-08-11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292A true KR20160019292A (ko) 2016-02-19

Family

ID=5544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881A KR20160019292A (ko) 2014-08-11 2014-08-11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92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144B1 (ko) SUDA(Shared User Equipment-side Distributed Antenna, 사용자 단말기 측 공유 분산 안테나) 시스템 제어장치
US10356628B2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program, and terminal apparatus
CN110547016B (zh) 电子装置、无线通信设备和无线通信方法
CN102769912B (zh) 应用于wlan的报文传输方法及装置、网络设备
JP6504318B2 (ja) 電子機器、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EP3089514B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device and apparatus for handing over a mobile device
US90602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cover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69063A (ko) 비 면허 대역을 이용하여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
CN105027604A (zh) 用于无线nlos回程的保护系统
US877475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signal sharing
EP2819318B1 (en) Repeate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system
Zhao et al. LTE-M system performance of integrated services based on field test results
KR20160021218A (ko) Dsrc 동작에 순응하기 위한 프레임간 간격 적응화
US98257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receiving radio signals
Song et al. Study on coexistence and anti-interference solution for subway CBTC system and MiFi devices
KR20160019292A (ko) 고정형 무선액세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701009B1 (ko) 애드혹 기반의 단거리전용통신을 이용한 무선중계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920486B1 (ko) 듀얼 무선 백홀 시스템
KR101141515B1 (ko) 엘리베이터 통신 중계 시스템
CN103379648A (zh) 中继协调调度方法和装置
US2015028080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facilitating portable device communications
KR20100015087A (ko) 통신 거리의 확장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US11432173B2 (en) Radio scanner mounted in a radio-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ructure
EP3192315B1 (en) Determining a position of a wireless device
KR100903556B1 (ko) 지하철을 위한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