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198A -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및 서버,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및 서버,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198A
KR20160019198A KR1020140103373A KR20140103373A KR20160019198A KR 20160019198 A KR20160019198 A KR 20160019198A KR 1020140103373 A KR1020140103373 A KR 1020140103373A KR 20140103373 A KR20140103373 A KR 20140103373A KR 20160019198 A KR20160019198 A KR 20160019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z
metadata
content
terminal
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영
남윤지
성주원
장두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03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9198A/ko
Publication of KR2016001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2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local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64Quiz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은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문제를 등록받는 단계, 복수의 문제를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단계,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퀴즈 풀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퀴즈 풀이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중 제 1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는 단계,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풀이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는 단계 및 수신한 풀이 결과를 수집하고, 수집한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및 서버,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METHOD AND SERVER FOR COLLECTING METADATA, AND COMPUTER-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및 서버,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란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영화와 방송프로그램과 같은 동영상 컨텐츠와 인터넷 검색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양방향 방송 및 통신 서비스이다. 시청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인터넷 검색은 물론 영화 감상, 홈쇼핑, 홈뱅킹, 온라인 게임, MP3 등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IPTV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TV에서 게임을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09-0085983호에는 맞추기 게임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IPTV가 사용자들의 취향을 파악하고, 사용자들의 취향에 맞추어 컨텐츠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추천하므로, 사용자의 취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평점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사용자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사용자에게 콘텐츠와 관련된 퀴즈 형태의 게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콘텐츠에 대한 선호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및 서버,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들이 퀴즈 게임의 문제를 직접 참여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퀴즈 게임을 통해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및 서버,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문제를 등록받는 단계, 복수의 문제를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단계,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퀴즈 풀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퀴즈 풀이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중 제 1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는 단계,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풀이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는 단계 및 수신한 풀이 결과를 수집하고, 수집한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문제를 등록받는 문제 등록부, 복수의 문제를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관리부,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퀴즈 풀이 요청 및 풀이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 퀴즈 풀이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중 제 1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고,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는 힌트 제공부 및 수신한 풀이 결과를 수집하고, 수집한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프로파일 형성부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메모리 및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유닛은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문제를 등록받고, 복수의 문제를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저장하고,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퀴즈 풀이 요청을 수신하고, 퀴즈 풀이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중 제 1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고,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풀이 결과를 수신하고,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고, 수신한 풀이 결과를 수집하고, 수집한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가 외부 앱스토어로부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외부 앱스토어로부터 암호화 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외부 앱스토어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수행하고, 외부 앱스토어에 대한 신뢰성 검증이 완료되면, 검증 결과를 외부 앱스토어로 전송하고, 외부 앱스토어로부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다운로드된 설치 파일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하고, 설치 파일에 대한 신뢰성이 확인되면, 애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단말에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콘텐츠와 관련된 퀴즈 형태의 게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콘텐츠에 대한 선호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및 서버,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퀴즈 게임의 문제를 직접 참여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퀴즈 게임을 통해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및 서버,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퀴즈 풀이 단말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퀴즈를 푸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퀴즈 등록 단말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퀴즈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퀴즈 풀이 단말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퀴즈 등록 단말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에서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타데이터 수집 시스템(1)은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 및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 및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은 메타데이터 수집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메타데이터 수집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 또는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퀴즈를 등록받을 수 있다. 이 때,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퀴즈 등록 단말(121)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기 위해 컨텐츠 검색, 컨텐츠 추천 등과 같은 편의 기능을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선택된 컨텐츠에 대해 메타데이터에 기초한 퀴즈 종류를 퀴즈 등록 단말(121)로 제공하고, 퀴즈 등록 단말(121)로부터 퀴즈 종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퀴즈 등록 단말(121)이 복수의 컨텐츠 중 '왕의 남자'라는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왕의 남자'의 기본정보, 대사정보, 감성정보 및 상황정보를 포함하는 퀴즈 종류를 퀴즈 등록 단말(121)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퀴즈 등록 단말(121)이 퀴즈 종류로서 기본정보 중 출연진 정보를 선택한 경우,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왕의 남자'의 출연진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준기'라는 출연진 정보를 획득하고, '왕의 남자'에서의 '이준기'라는 캐릭터에 관련된 키워드를 퀴즈 등록 단말(121)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퀴즈 등록 단말(121)이 '여자보다 더 예쁜 배우'라는 키워드를 입력한 경우,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이준기가 여자보다 더 예쁜 배우로 나오는 영화는?"과 같은 퀴즈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퀴즈 등록 단말(121)이 퀴즈 종류로 감성정보를 선택한 경우,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여장남자'라는 메타데이터를 보유한 영화를 파악하고, 해당 영화들에 등록된 감성정보(예를 들어, '예뻐요', '난감해요', '용감해요' 등)를 추출하여 퀴즈 등록 단말(121)로 태그 또는 보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감성정보로 '예뻐요'가 등록된 경우, 해당 영화는 감성정보와 매칭되어 퀴즈로 등록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등록된 복수의 문제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퀴즈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등록된 복수의 문제 중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장르가 '히어로'물의 영화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퀴즈 세트로 생성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로부터 퀴즈 풀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퀴즈 풀이 요청은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가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퀴즈 세트를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로 제공하면,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이 복수의 퀴즈 세트 중 어느 하나의 퀴즈 세트의 선택을 받는 것일 수 있다.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퀴즈 풀이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중 제 1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고,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로부터 풀이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이 제 1 메타데이터만으로 퀴즈를 풀지 못하는 경우,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할 수 잇다. 힌트는 예를 들어, 컨텐츠와 관련된 기본정보, 자음힌트, 대사힌트 및 소셜힌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풀이 결과를 수집하고, 정답에 해당하는 풀이 결과에 대해 퀴즈 점수를 산출하여 산출한 퀴즈 점수를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수집한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이 선택한 퀴즈 세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의 풀이 결과에 따른 퀴즈 점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은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퀴즈를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로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은 선택한 컨텐츠를 어떤 종류의 퀴즈로 등록할지에 대해 퀴즈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퀴즈 종류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며 기본정보, 대사정보, 감성정보 및 상황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은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로부터 복수의 퀴즈 세트를 수신하고, 복수의 퀴즈 세트 중 어느 하나의 퀴즈 세트의 선택을 통해 퀴즈 풀이를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로 요청을 할 수 있다.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은 퀴즈 풀이 시,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중 제 1 메타데이터를 힌트로 선택하고, 해당 컨텐츠에 대한 퀴즈를 풀고, 풀이 결과를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의 사용자가 제 1 메타데이터만으로 퀴즈를 풀지 못하는 경우, 제 2 메타데이터를 힌트로 선택하여 풀 수 있다. 이 때, 힌트는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에서 선택한 힌트의 개수에 따라 획득한 점수로부터 소정의 점수가 차감될 수 있다.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은 퀴즈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퀴즈를 모두 푼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댓글 또는 별점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은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로부터 퀴즈 점수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문제 등록부(210), 메타데이터 관리부(220), 수신부(230), 힌트 제공부(240), 계산부(250), 점수 제공부(260), 프로파일 형성부(270) 및 추천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문제 등록부(210)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문제를 등록받을 수 있다. 문제 등록부(210)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문제 등록을 위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 때, 문제 등록부(210)는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받기 위해 검색기능, 컴텐츠 추천 서비스 등의 편의 기능을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문제 등록부(210)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퀴즈 종류의 선택을 위한 컨텐츠와 관련된 기본정보, 컨텐츠에 대한 대사정보, 컨텐츠에 대한 감상과 관련된 감성정보 및 육하원칙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상황정보 등을 등록받을 수 있다. 즉, 문제 등록부(210)는 어떤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퀴즈를 등록할 것인지를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이 퀴즈 종류로 컨텐츠와 관련된 기본정보를 선택한 경우, 문제 등록부(210)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기본정보인 제목, 감독, 출연진, 소재, 배경, 장르 등에 기초한 퀴즈를 등록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이 퀴즈 종류로 컨텐츠에 대한 대사정보를 선택한 경우, 문제 등록부(210)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명대사에 기초한 퀴즈를 등록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이 퀴즈 종류로 컨텐츠에 대한 감상과 관련된 감성정보를 선택한 경우, 문제 등록부(210)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컨텐츠의 감상 후의 느낌인 "우울하다", "재밌다", "화끈하다" 등과 같은 감성단어에 기초한 퀴즈를 등록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이 퀴즈 종류로 컨텐츠와 관련된 상황정보를 선택한 경우, 문제 등록부(210)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한 상황정보인 "누구와 보고 싶어요", "언제 보고 싶어요", "어디서 보고 싶어요" 등과 같이 육하원칙에 기초한 퀴즈를 등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 등록부(210)는 퀴즈 등록 단말(121)로부터 "아이언맨(Iron Man)"이라는 컨텐츠를 선택받았다고 가정하자. 이 때, 퀴즈 등록 단말(121)은 "아이언맨"의 기본정보인 감독, 출연진, 소재, 배경, 장르 등과 대사정보, 감성정보, 상황정보 등을 이용하여 퀴즈를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퀴즈 등록 단말(121)이 퀴즈 종류로 "아이언맨"의 기본정보 중 출연진 정보를 선택한 경우, 문제 등록부(210)는 아이언맨의 출연진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라는 출연진에 대한 정보를 퀴즈 등록 단말(120)로 제시할 수 있으며, 문제 등록부(210)는 "아이언맨"에서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캐릭터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퀴즈 등록 단말(121)이 "아이언맨"에서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캐릭터에 대해 "괴짜 히어로 역할"이라는 정보를 입력한 경우, 문제 등록부(210)는 퀴즈 등록 단말(121)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괴짜 히어로로 등장하는 영화는?" 과 같은 퀴즈로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퀴즈 등록 단말(121)이 "아이언맨"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신기한 기술이 많이 등장하는 영화는?"과 같이 영화를 설명하는 정보를 직접 입력한 퀴즈를 수신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문제 등록부(210)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퀴즈 종류를 선택받으면, 선택된 퀴즈 종류와 관련된 제시된 보기 또는 태그를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 제공하고,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복수의 제시된 보기 또는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음으로써, 퀴즈를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보기 또는 태그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이 유사한 영화에 대해 동일한 메타데이터의 종류를 이용하여 퀴즈를 등록한 경우, 많이 입력된 메타데이터가 예시로 제시될 수 있다. 또는, 문제 등록부(210)가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어느 하나의 퀴즈 종류를 선택받으면,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직접 퀴즈 종류와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이 퀴즈 종류로 "아이언맨"에 대한 메타데이터 중 상황정보를 선택한 경우, 문제 등록부(210)는 "아이언맨"과 유사한 메타데이터를 보유한 영화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화에 대해 상황정보로 많이 입력된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로 "여자친구와 첫 데이트 때 보기 좋은 영화"라는 퀴즈를 사용자에게 예시로 제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의 사용자는 예시를 태그하여 퀴즈로 등록할 수 있고, 사용자가 "비 오는 날 우울함을 날려버릴 영화"와 같은 새로운 상황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관리부(220)는 복수의 문제를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관리부(220)는 등록된 복수의 문제로부터 어떤 컨텐츠에 대한 문제인지를 분석하고, 해당 컨텐츠에 대해 입력된 메타데이터가 무엇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관리부(220)는 등록된 복수의 문제 중 중복된 문제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관리부(220)는 등록된 복수의 문제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분석이 완료되면, 중복된 메타데이터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높은 메타데이터를 컨텐츠를 대표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로 선정할 수 있다. 이 때, 메타데이터 관리부(220)는 선정된 메타데이터가 믿을만한 컨텐츠를 대표하는지에 대한 품질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관리부(220)는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의 특징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퀴즈 세트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메타데이터 관리부(220)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메타데이터를 보유한 퀴즈에 대해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이를 통해 퀴즈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 관리부(220)는 장르가 '액션'인, '90년대 영화', 배경이 '뉴욕'인 메타데이터를 보유한 컨텐츠에 대한 퀴즈를 묶어 하나의 퀴즈 세트로 생성할 수 있다.
수신부(230)는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로부터 퀴즈 풀이 요청 및 풀이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230)에서 수신한 퀴즈 풀이 요청은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퀴즈 세트 중 어느 하나의 퀴즈 세트를 선택받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신부(230)에서 수신한 풀이 결과는 퀴즈 풀이 단말(130)의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유추한 컨텐츠의 제목일 수 있다. 또한, 수신부(230)는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로부터 해당 컨텐츠에 대한 평점, 댓글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힌트 제공부(240)는 퀴즈 풀이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중 제 1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힌트 제공부(240)는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의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힌트는 컨텐츠와 관련된 기본정보, 자음힌트, 대사힌트 및 소셜힌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퀴즈의 정답이 영화 '변호인'인 경우, '변호인'과 관련된 기본정보로서, 출연자 정보로 송광호, 임시완 등, 감독 정보로 양우석, 배경으로 부산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변호인'과 관련된 자음힌트로 'ㅂㅎㅇ'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변호인'과 관련된 대사힌트로 "대한민국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변호인'과 관련된 소셜힌트로 "지금은 볼 수 없는 그 분이 그립습니다"를 제공할 수 있다.
계산부(250)는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풀이 결과를 정답 또는 오답으로 구분하고, 정답에 해당하는 풀이 결과에 대해 퀴즈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부(250)는 수신한 풀이 결과를 퀴즈의 난이도, 힌트의 사용 여부, 힌트의 사용 개수 등을 반영하여 퀴즈 풀이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점수 제공부(260)는 산출한 점수를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점수 제공부(260)는 퀴즈 풀이의 총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퀴즈 풀이에 대한 점수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로파일 형성부(270)는 수신한 풀이 결과를 수집하고,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수집한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 형성부(270)는 퀴즈 풀이 단말(131)이 선택한 퀴즈 세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퀴즈 세트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에 대한 기본정보로서, 선호 장르, 선호 배우, 선호 감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파일 형성부(270)는 풀이 결과에 따른 퀴즈 점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프로파일 형성부(270)는 풀이 결고에 따른 퀴즈 점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이해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파일 형성부(270)는 퀴즈 풀이 단말(131)로부터 입력받은 컨텐츠에 대한 평점 및 댓글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에 대한 평점 및 댓글은 신뢰도가 높은 정보로 사용자 프로파일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프로파일 형성부(270)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부터 등록된 복수의 문제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동일한 메타데이터를 보유한 컨텐츠에 대해 퀴즈를 많이 등록한 경우, 프로파일 형성부(270)는 사용자가 해당 메타데이터를 보유한 컨텐츠를 선호하는 것으로 프로파일링할 수 있다. 해당 사용자가 '스릴러' 장르의 영화에 대한 퀴즈를 많이 등록한 경우, 프로파일 형성부(270)는 해당 사용자가 '스릴러' 장르를 선호하는 것으로 프로파일링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타데이터 중 인물을 이용한 퀴즈를 많이 등록한 경우, 프로파일 형성부(270)는 사용자가 영화 선택 시, 인물 정보를 고려하여 영화를 선택하는 것으로 프로파일링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프로파일 형성부(270)는 각각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통합하여 하나의 사용자 프로파일로 생성할 수 있으며, 퀴즈 세트 풀이 결과에 따른 퀴즈 점수와 평점이 높을수록, 퀴즈 풀이 단말(131)의 사용자가 퀴즈 세트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보유한 컨텐츠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프로파일링할 수 있다.
추천부(280)는 프로파일 형성부(270)에서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에 대한 사용자 프로파일이 형성되면,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퀴즈 등록 단말(121)이 '스릴러' 장르의 영화에 대한 퀴즈를 많이 등록한 경우, 프로파일 형성부(270)는 해당 사용자가 '스릴러' 장르를 선호하는 것으로 프로파일링하고, 추천부(280)는 해당 사용자에게 '스릴러'장르의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문제를 등록받고, 복수의 문제를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저장하고,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로부터 퀴즈 풀이 요청을 수신하고, 퀴즈 풀이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중 제 1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고,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로부터 풀이 결과를 수신하고,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고, 수신한 풀이 결과를 수집하고, 수집한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퀴즈 풀이 단말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퀴즈를 푸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퀴즈 풀이 단말(13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복수의 퀴즈 세트 중 어느 하나의 퀴즈 세트를 선택한다(S310). 퀴즈 풀이 단말(131)의 사용자는 선택된 퀴즈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퀴즈를 리모컨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푼다(S320). 이 때, 퀴즈 풀이 단말(131)의 사용자는 정답과 관련된 힌트를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로 요청할 수 있다(S330). 이 때, 퀴즈 풀이 단말(131)이 정답과 관련된 힌트를 요청한 경우(S331), 퀴즈 풀이 단말(130)은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로부터 힌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으며(S332), 힌트를 요청하지 않고 퀴즈 풀이를 할 수도 있다(S333). 퀴즈 풀이 단말(131)이 퀴즈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퀴즈에 대한 풀이를 완료한 경우, 퀴즈 풀이 단말(131)은 정답을 맞춘 퀴즈에 대한 점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350). 이 때, 퀴즈 풀이 단말(131)이 퀴즈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퀴즈에 대한 풀이를 완료하지 않은 경우, 퀴즈 풀이 단말(131)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퀴즈 풀이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S342).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퀴즈 등록 단말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퀴즈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퀴즈 등록 단말(121)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410). 퀴즈 등록 단말(121)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해 제시할 퀴즈의 종류를 선택한다(S420). 이 때, 퀴즈의 종류는 영화 감독, 출연진, 소재, 배경, 장르, 감성 정보, 상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퀴즈 등록 단말(121)은 선택된 퀴즈 종류에 따라 제시된 퀴즈의 보기를 선택할 수 있다(S430). 이 때, 퀴즈 등록 단말(121)에 제시된 퀴즈의 보기 중 사용자가 원하는 보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S431), 퀴즈 등록 단말(121)의 사용자는 블랭크(blank)에 퀴즈 등록을 위한 입력을 직접할 수 있다(S432). 퀴즈 등록 단말(121)에 제시된 퀴즈의 보기 중 사용자가 원하는 태그 또는 보기가 존재하는 경우(433), 퀴즈 등록 단말(121)의 사용자는 제시된 태그 또는 보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퀴즈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S440).
도 5a 내지 도 5b는 퀴즈 풀이 단말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퀴즈 풀이 단말(131)의 사용자가 퀴즈를 푸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퀴즈 풀이 단말(131)의 사용자가 퀴즈 세트로 "40대 직장인 남자 선호 영화"(510)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퀴즈 풀이 단말(131)에 표시된 컨텐츠와 연관된 이미지만으로 컨텐츠의 제목을 유추해낼 수 있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맞춰볼게요'(520)를 통해 컨텐츠의 제목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와 연관된 이미지 만으로 답을 유추해 내기 어려운 경우, 퀴즈 풀이 단말(131)의 사용자는 퀴즈 풀이 단말(131)을 통해 힌트 보기(530)를 요청할 수 있다. 힌트 보기(530)는 명대사(531a), 소셜힌트(532a), 기본정보(533a), 자음힌트(534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명대사(531a)를 선택한 경우, 퀴즈 풀이 단말(131)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의 10점을 차감한 후, 디스플레이에 "넌 신을 믿어?"(531b)와 같은 명대사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셜힌트(532a)를 선택한 경우, 퀴즈 풀이 단말(131)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의 10점을 차감한 후, 디스플레이에 "홍콩 느와르의 시작이죠"(532b)와 같은 컨텐츠와 연관된 소셜힌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본정보(533a)를 선택한 경우, 퀴즈 풀이 단말(131)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의 10점을 차감한 후, 디스플레이에 "오우삼 감독"(533b)와 같은 컨텐츠와 연관된 기본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음힌트(534a)를 선택한 경우, 퀴즈 풀이 단말(131)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의 40점을 차감한 후, 디스플레이에 "ㅇㅇㅂㅅ"(534b)와 같은 컨텐츠의 자음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퀴즈 풀이 단말(131)의 사용자가 퀴즈의 힌트를 모두 사용하였는데도, 정답을 유추해내지 못하거나, 해당 퀴즈를 포기하려고 하는 경우, 퀴즈 풀이 단말(131)은 사용자로부터 스킵(540)을 입력받은 후, 다음 퀴즈로 진행할 수 있다.
도 5b는 퀴즈 풀이 단말(131)이 디스플레이에 퀴즈 점수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퀴즈 풀이 단말(131)은 컨텐츠의 제목(550)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영화 한줄평(560) 및 별점(570)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퀴즈 풀이 단말(131)은 퀴즈 풀이 점수에 대한 총점(580)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정답을 맞춘 퀴즈 풀이에 대해 상세 점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퀴즈 등록 단말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퀴즈 등록 단말(121)이 "캡틴 아메리카"라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퀴즈를 등록한다고 가정하자.
도 6a는 퀴즈 등록 단말(120)이 퀴즈 등록을 위해 컨텐츠와 관련된 감성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퀴즈 등록 단말(121)은 "영화에서 어떤 감정을 느끼나요?"(610)와 같은 예시 문제에 "이 영화는 OO"라는 답을 할 수 있다. 이 때, 공란(611)에는 사용자가 직접 제시된 태그 중 어느 하나의 태그를 선택하여 퀴즈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끈하다', '따뜻하다', '우울하다'와 같은 복수의 태그(620)가 제시된 경우, 사용자는 '화끈하다'와 같은 어느 하나의 태그를 선택하고, 입력완료(630)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퀴즈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도 6b는 퀴즈 등록 단말(121)이 퀴즈 등록을 위해 컨텐츠와 관련된 상황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퀴즈 등록 단말(121)은 "캡틴 아메리카"라는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누구랑 보기 좋은 영화인가요?"(630)와 "언제 보기 좋은 영화인가요?"(650)와 같은 예시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누구랑 보기 좋은 영화인가요?"(630)에 "OO와 보고 싶어요"의 공란(631)에 태그를 선택함으로써, 퀴즈를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여자친구', '썸남썸녀', '부모님'과 같은 복수의 태그(640)가 제시된 경우, 사용자는 '여자친구'(641)와 같은 어느 하나의 태그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언제 보기 좋은 영화인가요?"(650)에 "OO에 보기 좋아요"의 공란(651)에 태그를 선택함으로써, 퀴즈를 등록할 수 있다. '크리스마스', '비오는 날', '우울한 날'과 같은 복수의 태그(660)가 제시된 경우,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태그를 선택하고, 입력완료(670)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상황정보를 포함하는 퀴즈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도 6c는 사용자가 퀴즈 등록 단말(121)을 이용하여 퀴즈를 직접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도 6b에서 제시된 복수의 태그 중 사용자가 원하는 태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OO에 보기 좋아요"의 공란(680)에 '첫 데이트 날'이라고 직접 상황정보를 입력하고, 입력완료(690)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상황정보를 포함하는 퀴즈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에서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에 의해 수행되는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수집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수집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에 의해 수행되는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710에서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문제를 등록받는다. 이 때,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12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기본정보, 컨텐츠에 대한 대사정보, 컨텐츠에 대한 감상과 관련된 감성정보 및 육하원칙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상황정보 중 하나 이상을 등록받을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복수의 문제를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저장한다. 단계 S730에서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로부터 퀴즈 풀이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S740에서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퀴즈 풀이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중 제 1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한다. 단계 S750에서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로부터 풀이 결과를 수신한다. 단계 S760에서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한다. 이 때, 힌트는 컨텐츠와 관련된 기본정보, 자음힌트, 대사힌트 및 소셜힌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770에서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수신한 풀이 결과를 수집하고, 수집한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이 때, 사용자 프로파일은 복수의 퀴즈 풀이 단말(130)이 선택한 퀴즈 세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은 풀이 결과에 따른 퀴즈 점수에 기초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등록된 복수의 문제 중 중복된 문제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퀴즈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생성된 복수의 퀴즈 세트 중 어느 하나의 퀴즈 세트의 선택을 통해 퀴즈 풀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는 퀴즈 풀이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풀이 결과를 정답 또는 오답으로 구분하는 단계, 정답에 해당하는 풀이 결과에 대해 퀴즈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한 점수를 퀴즈 풀이 단말(130)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7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을 통해 설명된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110)에 의해 수행되는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
120: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
130: 퀴즈 풀이 단말
210: 문제 등록부
220: 메타데이터 관리부
230: 수신부
240: 힌트 제공부
250: 계산부
260: 점수 제공부
270: 프로파일 형성부
280: 추천부

Claims (20)

  1.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문제를 등록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문제를 상기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단계;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퀴즈 풀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퀴즈 풀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중 제 1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풀이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풀이 결과를 수집하고, 상기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수집한 풀이 결과 및 상기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부터 등록된 복수의 문제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복수의 문제 중 중복된 문제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문제를 등록받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기본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대사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감상과 관련된 감성정보 및 육하원칙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상황정보 중 하나 이상을 등록받는 것인,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에 대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이 형성되면,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퀴즈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퀴즈 풀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상기 생성된 복수의 퀴즈 세트 중 어느 하나의 퀴즈 세트를 선택받는 것인,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상기 퀴즈 풀이 단말이 선택한 퀴즈 세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형성된 것인,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트는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기본정보, 자음힌트, 대사힌트 및 소셜 힌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수신한 풀이 결과를 정답 또는 오답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정답에 해당하는 상기 풀이 결과에 대해 퀴즈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점수를 상기 퀴즈 풀이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상기 풀이 결과에 따른 퀴즈 점수에 기초하여 형성된 것인,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10.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문제를 등록받는 문제 등록부;
    상기 복수의 문제를 상기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관리부;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퀴즈 풀이 요청 및 풀이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퀴즈 풀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중 제 1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고, 상기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는 힌트 제공부; 및
    상기 수신한 풀이 결과를 수집하고, 상기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수집한 풀이 결과 및 상기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부터 등록된 복수의 문제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프로파일 형성부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관리부는 등록된 복수의 문제 중 중복된 문제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인,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등록부는,
    상기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기본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대사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감상과 관련된 감성정보 및 육하원칙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상황정보를 등록받는 것인,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에 대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이 형성되면,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 추천하는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메타데이터의 특징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퀴즈 세트로 생성하는 것이되,
    상기 퀴즈 풀이 요청은,
    상기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상기 생성된 복수의 퀴즈 세트 중 어느 하나의 퀴즈 세트를 선택받는 것인,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상기 퀴즈 풀이 단말이 선택한 퀴즈 세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형성된 것인,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힌트는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기본정보, 자음힌트, 대사 힌트 및 소셜힌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수신한 풀이 결과를 정답 또는 오답으로 구분하고,
    상기 정답에 해당하는 상기 풀이 결과에 대해 퀴즈 점수를 산출하는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한 점수를 상기 퀴즈 풀이 단말로 제공하는 점수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상기 풀이 결과에 따른 퀴즈 점수에 기초하여 형성된 것인, 메타데이터 수집 서버.
  20.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문제를 등록받고,
    상기 복수의 문제를 상기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저장하고,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퀴즈 풀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퀴즈 풀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중 제 1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고,
    상기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풀이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풀이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메타데이터를 힌트로서 제공하고,
    상기 수신한 풀이 결과를 수집하고, 상기 퀴즈 풀이 단말로부터 수집한 풀이 결과 및 상기 복수의 퀴즈 등록 단말로부터 등록된 복수의 문제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40103373A 2014-08-11 2014-08-11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및 서버,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60019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373A KR20160019198A (ko) 2014-08-11 2014-08-11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및 서버,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373A KR20160019198A (ko) 2014-08-11 2014-08-11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및 서버,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198A true KR20160019198A (ko) 2016-02-19

Family

ID=5544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373A KR20160019198A (ko) 2014-08-11 2014-08-11 메타데이터 수집 방법 및 서버,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91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396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 notification
JP5987227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基盤のtv放送コンテンツ共有方法及びtv放送コンテンツ共有サーバ、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基盤のtv放送コンテンツ共有サービスを受信する方法及びtvデバイス
US92355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recommendations
US1067420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a preferred viewpoint for media assets
EP26526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items in media data and delivery of information related thereto
US2016018295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media assets
US976294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a display device for media consumption
US201500326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Event Feedback
US201603450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emporally popular content for presentation on a common display
US119369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 user preference for a participant from a competition event
CN103686344A (zh) 增强视频系统及方法
US2015034812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urchasing opportunities based on location-specific biometric data
US2014037945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impact of an advertisement
JP200505771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1183024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ambiguating user input based on detection of ensembles of items
JP2007129531A (ja) 番組提示システム
KR20140059110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CN112507163A (zh) 时长预测模型训练方法、推荐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08534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 media asset from an ambiguous audio indicator
Cohn My TiVo thinks I’m gay: Algorithmic culture and its discontents
Yaqoub et al. Pandemic impacts on cinema industry and over-the-top platforms in China
US20150082344A1 (en) Interior permanent magnet motor
KR20120025881A (ko)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에 관련된 증강 콘텐츠를 개인용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3637A (ko) 사용자의 감성에 기반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US2016012779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complimentary or conflicting avat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