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149A - 한의학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한의학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149A
KR20160019149A KR1020140103147A KR20140103147A KR20160019149A KR 20160019149 A KR20160019149 A KR 20160019149A KR 1020140103147 A KR1020140103147 A KR 1020140103147A KR 20140103147 A KR20140103147 A KR 20140103147A KR 20160019149 A KR20160019149 A KR 20160019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patient
body model
treatment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현
Original Assignee
김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현 filed Critical 김준현
Priority to KR102014010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9149A/ko
Publication of KR20160019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의학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1)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주치의 호출 단계; 2) 환부 또는 증상 선택 및 검색 단계; 3) 주치의 상담을 통한 증상 정의 단계 (침술 또는 약제 처방); 4) 상담 완료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진단 및 치료 프로그램은 WHO의 국제표준을 지키는 정확한 경혈과 경락의 위치를 3차원 입체 그래픽 모델에 구현하여, 바로 환자를 보면서 아주 편리하게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국한된 하드웨어 연동에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던 3차원 모델의 한계를 뛰어 넘어 인체 표면의 경혈과 경락 등이 인체 내부의 장기들과 어떻게 연관성을 가지는지 시각적으로 보여주게 되었고, 이것을 바탕으로 환자와 원격지에 있으면서도 서로 동시에 아픈 곳과 치료 할 곳을 바로 알 수 있게 하여, 기존의 2차원 평면으로 타이핑에 의존한 진료프로그램보다 한의학 치료에 있어 전문적이고 체계적이며 최적화된 최초의 U-health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의학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TELEMEDICINE SYSTEM AND METHOD USING 3D HUMAN MODEL BASED ON KOREAN MEDICINE INFORMATION}
본 발명은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진단 및 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한의학 정보를 기반으로 WHO의 국제표준을 지키는 정확한 경혈과 경락의 위치를 3차원 입체 그래픽 모델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국과학기술평가원(KISTEP)에 따르면, 한방치료기술의 과학화를 위한 의학약학통계학 등과의 연계연구가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부족해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평가하였고 단순한 형태의 진단 및 진료목적의 프로그램은 있으나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진단 및 치료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원격영상 진료 시스템이 전무한 상황이다.
미국공개특허 제2013-0151516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격지에 있어서 쉽게 특정한 한의사나 한의원 또는 한방병원에서의 진료나 치료를 받지 못하는 상태를 해결하고, 한방을 누구나 접하고 손쉽게 이해하기 쉽게 할 수 있는 한의학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1) WHO의 국제표준을 지키는 정확한 경혈과 경락의 위치를 3차원 입체 그래픽 모델을 구현하는 단계, 2) 서로 떨어져 있는 의사와 환자가 각각의 디바이스에 동일한 환자정보창, 3차원의 인체모델, 화상 통신창을 동시에 띄워 놓는 단계, 3) 환자가 자신의 정보를 본인 디바이스의 정보창에 입력하면 의사의 디바이스 정보창에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단계, 4) 환자가 본인의 디바이스에 있는 3차원 인체모델에 통증 부위를 표시하면 실시간으로 의사의 디바이스에 있는 3차원 인체 모델에 동일하게 표시되는 단계, 5) 환자가 본인의 디바이스를 통해 의사의 얼굴을 보면서 실시간 화상대화를 하고, 의사도 실시간으로 환자와 화상대화하면서 정보창과 3차원 인체모델을 공유하는 단계, 6) 의사가 3차원 인체 모델에 치료방법을 표시하면 환자의 디바이스에 있는 3차원 인체모델에 실시간으로 똑같이 표시되는 단계, 7) 의사가 정보창에 지시한 내용(치료행위, 처방, 요양방법)이 환자의 디바이스 정보창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든 과정이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의학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정밀하고 정확한 3차원 인체 모델을 통해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하고 공유하여 보다 전문적인 교육 자료로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3차원 인체모델과 그 모델을 이용한 독창적인 플랫폼으로 환자와 의사간의 원격진료가 가능해질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환자와 의사간의 원격진료가 이루어지는 소프트웨어 구성 도면이다.
도 2는 한의학적 3차원 인체 모델 "The Meridian" mobile-application을 의사와 환자가 원하는 디바이스에 설치하여 실시간 원격진료가 이루어지고 있는 사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 WHO의 국제표준을 지키는 정확한 경혈과 경락의 위치를 3차원 입체 그래픽 모델을 구현.
- 3차원 인체모델로 환자나 한의사가 원하는 부위를 정밀하게 선택할 수 있는 선택영역 분리기술 ;원하는 부위가 정밀하게 경혈과 같이 선택되어서 화면에 동시에 보여질 수 있는 기술
- 특정 표적 디바이스를 연결 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 이메일 주소나 IP또는 Mac address를 통한 단말기대 단말기의 연결
- U-Health 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및 데이터 서버구축 기술: 해당 서버가 제3 지역에 설치 되는 것은 아직은 불법이므로 최대한 의사의 기기 또는 병원이나 의원에 서버가 존재하여 기록 저장
- 플렛폼간 범용성 확대하기 위한 특화된 크로스 플랫폼 기술: 멀티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기의 OS에 따른 각각의 개발이 필요
- 부상 부위를 촬영 및 화상통신을 위환 카메라 기술 및 입출력 기술: 멀티플랫폼의 OS기별로 구현된 후에 해당 기기마다 있는 카메라 파트의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3차원인체모델과 같이 연동시키는 방법
- 원격 진단을 채팅, 메시지 전송 등 네트워크 서비스를 우리제품에 적용: 당사 제품에 즉시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E-mail이나 전화통화 등 별도의 의사소통수단을 거치지 않아도 바로 원격진료와 차팅(Charting)이 가능
- 데이터 저장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 기술: 데이터 저장 시에 카테고리별로 저장 가능
1. WHO의 국제표준을 지키는 정확한 경혈과 경락의 위치를 3차원 입체 그래픽 모델을 구현한다.
2. 서로 떨어져 있는 의사와 환자가 각각의 디바이스에 동일한 환자정보창, 3차원의 인체모델, 화상 통신창을 동시에 띄워 놓는다.
3. 환자가 자신의 정보를 본인 디바이스의 정보창에 입력하면 의사의 디바이스 정보창에 실시간으로 나타난다.
4. 환자가 본인의 디바이스에 있는 3차원 인체모델에 통증 부위를 표시하면 실시간으로 의사의 디바이스에 있는 3차원 인체 모델에 동일하게 표시된다.
5. 환자가 본인의 디바이스를 통해 의사의 얼굴을 보면서 실시간 화상대화를 하고, 의사도 실시간으로 환자와 화상대화하면서 정보창과 3차원 인체모델을 공유한다.
6. 의사가 3차원 인체 모델에 치료방법을 표시하면 환자의 디바이스에 있는 3차원 인체모델에 실시간으로 똑같이 표시된다.
7. 의사가 정보창에 지시한 내용(치료행위, 처방, 요양방법)이 환자의 디바이스 정보창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8. 이 모든 과정은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도 1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환자와 의사간의 원격진료가 이루어지는 소프트웨어 구성 도면이다.
먼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주치의 리스트가 있는지 확인한다.
주치의가 없는 경우에는 주치의 등록을 받는다.
주치의가 새로 등록되었거나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치의를 호출한다.
다음으로 환부(아픈 부위) 및 증상을 선택하면, 해당 증상에 대한 검색이 수행된다.
이후 주치의와 화상 채팅 등을 통해 상담을 하게 되면, 이 과정에서 환자 차팅(환자 병력 DB 기록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침술 및 실제 진료가 필요한지 판단에 따라 협약 약체저 예약이 수행될 수 있으며, 실제 진료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증상에 대한 정의 및 상담 완료를 수행한다.
도 2는 한의학적 3차원 인체 모델 "The Meridian" mobile-application을 의사와 환자가 원하는 디바이스에 설치하여 실시간 원격진료가 이루어지고 있는 사진이다.
환자는 환부를 정확히 표시할 수 있으며 의사는 환자의 증상에 따라 원거리에서도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치료행위, 처방, 요양방법을 지시하여 치료가 가능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한의학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원격진료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WHO의 국제표준을 지키는 정확한 경혈과 경락의 위치를 3차원 입체 그래픽 모델을 구현하는 단계,
2) 서로 떨어져 있는 의사와 환자가 각각의 디바이스에 동일한 환자정보창, 3차원의 인체모델, 화상 통신창을 동시에 띄워 놓는 단계,
3) 환자가 자신의 정보를 본인 디바이스의 정보창에 입력하면 의사의 디바이스 정보창에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단계,
4) 환자가 본인의 디바이스에 있는 3차원 인체모델에 통증 부위를 표시하면 실시간으로 의사의 디바이스에 있는 3차원 인체 모델에 동일하게 표시되는 단계,
5) 환자가 본인의 디바이스를 통해 의사의 얼굴을 보면서 실시간 화상대화를 하고, 의사도 실시간으로 환자와 화상대화하면서 정보창과 3차원 인체모델을 공유하는 단계,
6) 의사가 3차원 인체 모델에 치료방법을 표시하면 환자의 디바이스에 있는 3차원 인체모델에 실시간으로 똑같이 표시되는 단계, 그리고
7) 의사가 정보창에 지시한 내용(치료행위, 처방, 요양방법)이 환자의 디바이스 정보창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한의학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원격진료 방법.
KR1020140103147A 2014-08-11 2014-08-11 한의학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9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147A KR20160019149A (ko) 2014-08-11 2014-08-11 한의학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147A KR20160019149A (ko) 2014-08-11 2014-08-11 한의학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149A true KR20160019149A (ko) 2016-02-19

Family

ID=5544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147A KR20160019149A (ko) 2014-08-11 2014-08-11 한의학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91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2528A (zh) * 2016-03-17 2016-08-10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一种数字人体经络穴位模型的显示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222A (ko) 2013-12-06 2015-06-16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펌웨어 다운로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222A (ko) 2013-12-06 2015-06-16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펌웨어 다운로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2528A (zh) * 2016-03-17 2016-08-10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一种数字人体经络穴位模型的显示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 et al. Metaverse and virtual health care in ophthalmology: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US114130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client deployment of augmented reality instrument tracking
TW201935490A (zh) 用於患者參與之系統及方法
US20190051215A1 (en) Training and testing system for advanced image processing
Georgiou et al. 5G use in healthcare: the future is present
Pfeiffer et al. IMHOTEP: virtual reality framework for surgical applications
Zeiger et al. Use of mixed reality visualization in endoscopic endonasal skull base surgery
Ngwa et al. The use of health-related technology to reduce the gap between developed and undeveloped regions around the globe
JP2012161605A (ja) リモートアクセス可能な携帯型撮像システム
Shono et al. Microsurgery simulator of cerebral aneurysm clipping with interactive cerebral deformation featuring a virtual arachnoid
US11925418B2 (en) Methods for multi-modal bioimaging data integration and visualization
US11361867B2 (en) Pathways for treating patients
Snyderman et al. The making of a skull base team and the value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the management of sinonasal and ventral skull base malignancies
Bailo et al. Telemedicine applications in the Era of COVID-19: telesurgery issues
Sánchez-Margallo et al. Use of natural user interfaces for image navigation during laparoscopic surgery: initial experience
Gasmi et al. Augmented reality, virtual reality and new age technologies demand escalates amid COVID-19
Mendez et al. Point-of-care programming for neuromodulation: a feasibility study using remote presence
KR20200068992A (ko) 전자 차트 관리 장치, 전자 차트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heccucci et al. The metaverse in urology: ready for prime time. The ESUT, ERUS, EULIS, and ESU perspective
Beyar et al. Robotics, imag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catheterisation laboratory: Cath lab robotics, imaging, and AI
Javaid et al. Virtual reality (VR) applications in cardiology: a review
KR102227833B1 (ko)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Stredney et al. Translating the simulation of procedural drilling techniques for interactive neurosurgical training
KR20160019149A (ko) 한의학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Priya et al. From Vision to Reality: Virtual Reality’s Impact on Baffle Planning in Congenital Heart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