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066A -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 방법 및 사용자 장비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 방법 및 사용자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066A
KR20160019066A KR1020157035334A KR20157035334A KR20160019066A KR 20160019066 A KR20160019066 A KR 20160019066A KR 1020157035334 A KR1020157035334 A KR 1020157035334A KR 20157035334 A KR20157035334 A KR 20157035334A KR 20160019066 A KR20160019066 A KR 20160019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master
master user
group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 구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1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04L67/1051Group master selection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32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for defining a routing cluster members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사용자 장비(UE)가 개시되며, 상기 장치는 UE로부터 UE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UE 파라미터 획득 유닛; 상기 UE 파라미터들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은, 데이터 스트림 중심에 대한 UE의 근접도에 기초하여 마스터 UE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터 UE 결정 유닛 - 상기 마스터 UE는 관련 기반구조에 접속되고, 다른 UE들에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공함 -; 및 상기 마스터 U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제어 시그널링을 UE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용량 및 사용자 형평성 양자를 고려하면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가능하게 하여, 자원 이용률을 개선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 방법 및 사용자 장비{DEVICE, METHOD AND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 방법 및 사용자 장비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술, 마이크로 전자 기술 및 컴퓨터 기술의 빠른 개발에 따라, 이동 통신이 매우 발달하고 이용되어 왔으며, 글로벌 정보 네트워크가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 네트워크 생성 네트워크(NGN)를 향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차세대 네트워크의 중요한 특징은 복수의 무선 통신 기술의 공존에 의해 형성되는 이종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이다. 이종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무선 기술, 커버리지, 네트워크 아키텍처, 네트워크 성능 등과 관련하여 풍부한 암시적 의미들을 갖는다. 커버리지 관점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광역 네트워크(WAN), 도시 영역 네트워크(MAN), 근거리 네트워크(LAN),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관점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점 대 다점(PMP)의 단일 홉 네트워크, 다중 홉 네트워크, 메시 네트워크, 애드혹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들은 도처에서 함께 풍부한 콘텐츠를 갖는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지리 분포에서 입체 커버리지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종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밀도 및 네트워크 레이아웃 복잡성을 증가시키며, 따라서 사용자의 대역폭 요구와 무선 자원들의 희귀성 간의 충돌을 악화시킨다.
위의 상황들을 고려하여, 현대의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통신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구조로서 사용되는 매크로 기지국(MBS)에 기초하는 소형 기지국(SBS)의 개념을 더 도입한다. 소형 기지국은 소형 셀에 대한 신호 커버리지를 제공하며, 피코 셀을 커버하는 피코 기지국(PBS) 및 펨토 셀을 커버하는 펨토 기지국(FBS)으로 더 분류될 수 있다. 소형 기지국은 근거리 내의 사용자들에게 높은 품질의 신호 액세스를 제공하고, 매크로 기지국의 부하를 등화하여 네트워크의 전체 용량을 개선하는 것을 의도한다. 그러나, 기반구조로서의 소형 기지국은 유연성이 부족한 특성을 갖고, 고정 위치, 제한된 커버리지 밀도 및 신호 범위에 의해 제한되며, 많은 수의 사용자가 소형 기지국의 신호 커버리지 밖에 모일 때, 소형 기지국은 유용성을 잃는다.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의 커버리지의 연속 확장에 따라, 그의 지능화 및 데이터 처리 능력이 점점 더 증가하여, 사용자 장비가 기반구조에 대한 보완물로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처리 능력의 향상은 그와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들의 다양화를 촉진하며,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킹 모드의 복잡성을 점점 더 악화시킨다.
기반구조에 대한 보완물로서 사용되는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킹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반면, 관리의 복잡성을 악화시킨다. 기존의 기술은 위의 네트워킹 모드들에서의 상황들의 일부에 대한 선택 및 관리를 제안하였으며, 이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네트워킹 선택을 행하거나 링크 품질에 따라 네트워킹 선택을 행한다. 그러나, 기존 기술의 문제는 첫째는 전술한 다양한 네트워킹 노드들의 계획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 전혀 존재하지 않고, 둘째는 사용자 장비의 역할 차이에 의해 유발되는 형평성 문제를 고려하는 기술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일부 양태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간단한 요약이 아래에 제공된다. 그러나, 이 요약은 본 발명을 포괄적으로 설명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본질적인 또는 중요한 컴포넌트들 또는 범위를 정의하는 것을 의도하지도 않으며, 본 발명의 일부 개념들을 설명하는 목적을 위한 것일 뿐이고, 따라서 나중에 설명되는 더 상세한 설명의 서론으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위의 상황들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현대의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적응성 동적 네트워크 계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방법은 네트워킹 결정 스킴을 지정할 때 네트워크 용량 증가로부터 시작하고, 사용자 장비의 네트워킹 자발성, 데이터 처리 능력 및 분포 특징을 함께 고려하면서, (특히, 데이터 전송의 상황에 대해) 상이한 네트워킹 모드들에서의 사용자 장비의 역할 차이들도 고려하여 사용자들 간의 형평성을 보증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을 책임지기 위한 사용자 장비의 자발성을 크게 촉진하고, 사용자 장비가 기반구조에 대한 보완물로서 사용되는 개념의 실용성을 개선하며, 방법의 이용에 의한 네트워크 용량의 증가의 가능성을 보증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가 제공되며, 장치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유닛;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근접도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 -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관련 기반구조에 접속되고,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송함 -; 및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제어 시그널링을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따른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상기 중심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근접도를 지시하는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모듈; 및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내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전송의 양,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전송에 성공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송 확률 및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송 능력을 지시하는 전송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송 특징 파라미터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특징 파라미터 계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모듈은 상기 전송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내의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를 그룹화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그룹화 컴포넌트; 사용자 장비의 각각의 그룹 내에서 이 그룹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와 그의 관련 기반구조 사이의 링크 품질에 따라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컴포넌트; 및 각각의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세트 중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이 그룹 내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그와 관련된 기반구조 사이의 위치 정보에 따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화 컴포넌트는 상기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에 의해 장치 대 장치 상호접속 및/또는 점 대 다점 상호접속의 설정이 지시되고 동일한 상호접속 식별자를 갖는 상기 사용자 장비를 제1 타입 그룹으로서 분할하고, 상기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에 의해 다른 사용자 장비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는 것으로 지시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를 제2 타입 그룹으로서 분할하고, 상기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에 의해 기반구조를 통해서만 액세스되는 것으로 지시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를 제3 타입 그룹으로서 분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그룹에 대해,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화 컴포넌트는 지역 분포에 따라 상기 기반구조의 커버리지를 복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각각의 섹터 내의 사용자 장비가 하나의 그룹으로서 분할되게 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컴포넌트는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세트를 섹터 단위로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 그룹에 대해,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는 이 그룹 내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이 그룹 내의 모든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기반구조 간의 거리들에 따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타입 그룹에 대해,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는 이 그룹 내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이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세트와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기반구조 간의 거리들에 따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는 각각의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세트 중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통신 링크 상의 전송 부하에 따라 계산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특징 파라미터 계산 모듈은 각각의 그룹 내의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전송 특징 파라미터를 상기 그룹화된 사용자 장비에 기초하여 계산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상기 장치는 적어도 상기 전송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상기 관련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 및 상기 기반구조와 통신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킹 제어 시그널링을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도 제공되며, 방법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근접도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결정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 -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관련 기반구조에 접속되고,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송함 -; 및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제어 시그널링을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는 통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도 제공되며, 사용자 장비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에서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를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이 상기 사용자 장비가 마스터 사용자 장비라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통신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와 기반구조 사이에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측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장치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 요청의 수신시에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장치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이 상기 사용자 장비가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라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 및/또는 관련 기반구조와 통신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근접도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결정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 -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관련 기반구조에 접속되고,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송함 -; 및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제어 시그널링을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는 통신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기계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도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근접도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결정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 -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관련 기반구조에 접속되고,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송함 -; 및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제어 시그널링을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는 통신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기계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도 제공된다.
본 기술은 네트워크의 에어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지 않고서, 즉 무선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인지 또는 애드혹 네트워크 등인지에 관계없이,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네트워킹 모드가 동시에 공존하는지에 관계없이, 무선 네트워크 네트워킹을 관리하기 위한 범용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충분히 개시하는 데 사용되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공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도면 전반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첨부 도면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형성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더 예시하고, 본 발명의 원리 및 장점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도면들에서: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 복수의 네트워킹 모드가 공존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내에 포함된 네트워킹 요청 시그널링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b는 네트워킹 모드가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일 때의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요청 시그널링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 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 내의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모듈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그룹화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 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의 기능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 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에서의 상세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단계에서의 상세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 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에서의 상세한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방법의 처리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개인용 컴퓨터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간명화를 위해, 실용적인 구현들의 모든 특징들이 설명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개발자의 특정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구현마다 다를 것인 시스템 및 비즈니즈 관련 제한 조건들에 따르기 위해, 임의의 그러한 실용적인 구현의 개발 동안 다양한 구현 고유 결정이 행해져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더욱이, 그러한 개발 노력은 매우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본 발명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는 단지 일상적인 작업일 수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해법들과 밀접하게 관련된 장치 구조들 및/또는 프로세스 단계들만이 도면들에 도시되며, 본 발명과 덜 관련된 다른 상세들은 그러한 불필요한 상세들로 인해 본 발명을 불명확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된다는 점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먼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일례가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되며,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일부 개념들의 간단한 소개가 주어진다. 도 1은 복수의 네트워킹 모드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 공존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모드들 및 기능들에 따라, 사용자 장비는 다음과 같이 더 분류될 수 있다.
a) 네트워크 사용자 장비(nUE): 그를 직접 서빙하는 기반구조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기반구조를 통해 통신함, 예를 들어 nUE1 및 nUE2.
b) 마스터 사용자 장비(mUE):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송함. 예를 들어, mUE1은 MBS와 sUE1 간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이는 중계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mUE2는 SBS와 sUE2 간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mUE3은 sUE3, sUE4 및 sUE5와의 PMP 상호접속을 형성하고, 여기서 mUE3은 다른 사용자 장비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고, mUE3은 PMP 상호접속을 유지하기 위해 MBS와의 무선 시그널링 링크를 유지하며; mUE4는 sUE6과의 장치 대 장치(D2D) 상호접속을 형성하고, sUE6과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고, mUE4는 D2D 상호접속을 유지하기 위해 MBS와의 무선 시그널링을 유지한다.
c)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sUE): 전술한 sUE1 내지 sUE5와 같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통신하거나, 다른 사용자 장비와의 D2D 상호접속을 형성하며,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는 전술한 sUE6과 같이 D2D 상호접속을 유지하기 위해 기반구조와의 무선 시그널링 링크의 유지를 담당한다.
임의의 사용자 장비가 다수의 역할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mUE1은 기반구조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MBS와의 데이터 접속을 직접 행할 때 네트워크 사용자 장비로서 사용되며, MBS와 sUE1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할 때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중계 네트워크, D2D 상호접속 및 PMP 상호접속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킹 모드가 공존하며, 따라서 네트워크 동작 조건들의 그리고 사용자 장비의 요구들, 처리 능력들 및 기능들의 변화들에 따라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수행하여, 높은 네트워크 용량 및 사용자 장비 간의 형평성을 보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200)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유닛(202),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204) 및 통신 유닛(20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유닛(202)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수행할 때 필요한 파라미터를 지시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 링크를 설정할 때 필요한 전통적인 서비스 요구 파라미터들,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들 및 링크 품질 측정 및 피드백 관련 파라미터들에 더하여,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는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발행된 네트워킹 요청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 장비의 절대 위치를 나타내는 경도 및 위도 값들일 수 있고, 사전 결정된 좌표계 내의 사용자 장비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값들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위치 정보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센서에 의해 GPS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측정(예로서, 삼각 측정)에 의해서도 획득될 수 있다. 장치(200)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위치 정보 요청을 개시할 수 있거나, 피드백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위치 정보가 필요할 때 네트워크 측정을 개시한다.
네트워킹 요청 시그널링은 상이한 네트워킹 모드들 사이에서 선택 및 스위칭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킹 요청 시그널링을 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상이한 네트워킹 모드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네트워크 구조의 동적 조정을 구현하여 네트워크 자원들에 대한 이용률을 개선할 수 있다. 일례로서, 네트워킹 요청 시그널링의 포맷의 일례가 아래에서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내에 포함된 네트워킹 요청 시그널링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킹 요청 시그널링은 4개의 서브필드, 즉 시그널링 타입, 사용자 장비 식별자(ID), 네트워킹 모드 및 선택 모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필드에 의해 표현되는 의미들은 아래에서 각각 상세히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시그널링 타입은 시그널링을 네트워킹 요청 시그널링으로서 식별한다.
사용자 장비 ID는 시그널링을 개시하는 사용자 장비를 식별하며, 사용자 장비 ID는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글로벌 고유 식별자이다.
네트워킹 모드는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방식을 식별하며, "기반구조만을 통한 액세스", "다른 사용자 장비를 통해 액세스 가능" 및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을 포함할 수 있고, 디폴트 값은 "기반구조만을 통한 액세스"이고, 이는 본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호환을 목적으로 한다. 네트워킹 모드가 "기반구조만을 통한 액세스" 또는 디폴트 값일 때, 이것은 사용자 장비가 기반구조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만을 지원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킹 모드가 "다른 사용자 장비를 통해 액세스 가능"일 때, 이것은 사용자 장비가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기반구조와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킹 모드를 지원하고, 이러한 사용자 장비가 마스터 사용자 장비 또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킹 모드가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일 때, 이것은 사용자 장비가 다른 사용자 장비와 D2D 상호접속 또는 PMP 상호접속을 설정하기를 원하고, 이러한 사용자 장비가 마스터 사용자 장비 또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네트워킹 모드가 "기반구조만을 통한 액세스"인 사용자 장비의 경우, 그의 네트워킹 절차는 종래 기술에서의 네트워킹 절차와 동일하며, 여기서는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아래의 설명은 주로 네트워킹 모드가 "다른 사용자 장비를 통해 액세스 가능" 및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인 사용자 장비를 목표로 한다.
선택 모드는 "네트워크 할당" 및 "사용자에 의한 의무 지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의 디폴트 값은 "네트워크 할당"이다. 선택 모드가 "네트워크 할당" 또는 디폴트 값일 때, 이것은 사용자 장비가 예를 들어 장치(200)에 의해 발행되는 네트워킹 결정 결과를 지원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선택 모드가 "사용자에 의한 의무 지정"일 때, 이것은 사용자 장비가 그 자신과 관련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연관 관계를 지정한다는 것을, 즉 사용자 장비가 자신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인지 또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인지를 지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의 설명은 주로 선택 모드가 "네트워크 할당"인 사례를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킹 모드가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인 사용자 장비의 경우, 동일 상호접속에 합류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요청 시그널링을 장치(200)로 전송해야 한다. 유사하게, 네트워킹 모드가 "다른 사용자 장비를 통해 액세스 가능"인 사용자 장비의 경우, 중계 노드로서의 소정 사용자 장비를 통해 기반구조에 액세스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장비의 그룹은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요청 시그널링을 장치(200)로 전송해야 한다. 도 3b는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요청 시그널링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요청 시그널링은 3개의 서브필드, 즉 시그널링 타입, 사용자 장비 ID 및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그널링 타입은 이러한 시그널링을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요청 시그널링으로서 식별하고, 사용자 장비 ID는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요청 시그널링을 발행하는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글로벌 고유 식별자이며,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는 사용자 장비가 합류하기를 원하는 상호접속에 할당된 글로벌 고유 식별자이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발행된 네트워킹 요청 시그널링 내의 상이한 네트워킹 모드들에 따라,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유닛(202)은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를 상이한 방식들로 획득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선택 모드가 "네트워크 할당"인 사용자 장비의 경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흐름은 다음과 같을 수 있는데, 즉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에 처음 액세스하거나 네트워킹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 필요할 때 네트워킹 요청 시그널링을 예를 들어 장치(200)로 전송하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유닛(202)은 네트워킹 요청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를 사용자 장비로부터 획득한다.
게다가, 네트워킹 모드가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또는 "다른 사용자 장비를 통해 액세스 가능"이고, 구체적으로 선택 모드가 "네트워크 할당" 또는 "사용자에 의한 의무 지정"인지에 따라 접속된 객체에 대한 예상들을 갖는 사용자 장비의 경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흐름은 다음과 같다.
● 선택 모드가 "네트워크 할당"일 때, 먼저, 임시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만 사용되는 (즉,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을 개시하는 데에만 사용되고, 상호접속이 설정된 후에 실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는 다른)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킹 요청 시그널링을 장치(200)로 전송하며, 장치(200)는 글로벌 고유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를 이 상호접속에 할당하고, 이것을 임시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한다. 이 임시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수신된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를 이러한 상호접속에 합류하기를 원하는 다른 사용자 장비로 발행하는데, 예를 들어 수신된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를 오프라인 개인간 상호작용 방식으로 또는 방송 방식으로 발행한다. 이러한 상호접속에 합류하기를 원하는 다른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를 획득한 후에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요청 시그널링을 장치(200)로 전송한다(도 3b 참조). 따라서,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유닛(202)은 이러한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요청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며, 장치(200)는 상호접속 객체들의 하나의 그룹으로서의 이러한 사용자 장비와의 후속 네트워킹 동작을 수행한다.
● 선택 모드가 "사용자에 의한 의무 지정"일 때, 먼저,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킹 요청 시그널링을 장치(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장비는 의무적으로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지정되며, 장치(200)는 이러한 상호접속에 대해 글로벌 고유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를 할당하고, 이러한 상호접속에 합류하기를 원하는 다른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요청 시그널링을 장치(200)로 전송하며(도 3b 참조), 따라서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유닛(202)은 이러한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요청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장치(200)는 이러한 장비를 이러한 상호접속에서의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로서 간주한다. 네트워킹 모드가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인 사용자 장비의 경우, 이러한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접속을 직접 설정하기 시작하며, 네트워킹 모드가 "다른 사용자 장비를 통해 액세스 가능"인 사용자 장비의 경우, 장치(200)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대해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구조를 선택하고, 최종적으로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기반구조와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계 네트워크가 설정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204)은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에 대한 사용자 장비의 근접도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관련 기반구조에 접속되고,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송한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주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반면에 D2D 상호접속 및/또는 PMP 상호접속에서 기반구조와의 더 적은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가지므로,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은 이 위치에 위치하는 사용자 장비가 다른 네트워킹된 사용자 장비에 대한 최적의 공평한 채널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하며, 중계 네트워크의 경우,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기반구조 간의 링크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를 전송하기도 하므로,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은 이 위치에 위치하는 사용자 장비가 기반구조와 다른 네트워킹된 사용자 장비 사이의 최적의 공평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은 실제의 지리 위치 중심과 다르며, 채널 품질, (기반구조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링크 상에 통신 부하 및 각각의 사용자 장비의 지리 위치 등과 관련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204)은 전술한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사용자 장비를 획득된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할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204)의 기능 구성의 일례가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 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204)은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모듈(402)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모듈(4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모듈(402)은 획득된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따라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에 대한 사용자 장비의 근접도를 지시하는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모듈(404)은 획득된 분포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모듈(402)의 기능 구성의 일례가 아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 내의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모듈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모듈(402)은 사용자 장비 그룹화 컴포넌트(502),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컴포넌트(504) 및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5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그룹화 컴포넌트(502)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내의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에 따라 사용자 장비를 그룹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장비 그룹화 컴포넌트(502)는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가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즉, D2D 상호접속 및/또는 PMP 상호접속의 설정)을 지시하는 대상인 사용자 장비를 제1 타입 그룹으로 분할하고,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가 "다른 사용자 장비를 통해 액세스 가능"을 지시하는 대상인 사용자 장비를 제2 타입 그룹으로 분할하고,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가 "기반구조만을 통한 액세스"를 지시하는 대상인 사용자 장비를 제3 타입 그룹으로 분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타입 그룹 및 제2 타입 그룹은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에 따라 더 분할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타입 그룹 또는 제2 타입 그룹 내의 동일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를 갖는 사용자 장비는 하나의 그룹으로 분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타입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의 파라미터를 갖지 않는 사용자 장비는 지역 분포에 따라 더 분할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전송이 아마도 기반구조 및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로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링크가 기반구조로부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로의 직접 링크보다 양호하고, 링크 품질이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거리와 관련될 때만 네트워크 처리량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결정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질 때, 그러한 전송은 적합하지 않다.
이를 고려하여, 바람직하게, 사용자 장비 그룹화 컴포넌트(502)는 기반구조의 커버리지를 지역 분포에 따라 복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각각의 섹터 내의 사용자 장비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할되게 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링크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 동일 섹터 내의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대한 데이터 전송만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례로서, 사용자 장비 그룹화 컴포넌트(502)는 종래 기술의 일반 3-섹터 분할 방법을 이용하여 기반구조의 커버리지를 3개의 섹터로 동등하게 분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 그룹화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MBS)에 의해 커버되는 매크로 셀 및 소형 기지국(SBS)에 의해 커버되는 소형 셀은 각각 3개의 섹터로 분할된다.
또한, 위의 그룹화 동작은 사용자 장비를 물리적으로 그룹화하지 않으며, 전술한 제1 타입 그룹, 제2 타입 그룹 및 제3 타입 그룹은 가상 분할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개념들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컴포넌트(504)는 사용자 장비의 각각의 그룹 내에서 이 그룹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와 그의 관련 기반구조 간의 링크 품질에 따라 한 세트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타입 그룹에서, 동일한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를 갖는 그룹에 대해, 소정의 노드를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갖는 D2D 또는 PMP 네트워크가 구성될 것이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다른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와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거나, 다른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대한 데이터 전송의 수행을 담당하면서 기반구조와의 양호한 시그널링 링크를 유지하여 상호접속을 유지한다. 제2 타입 그룹에서는, 기반구조와 마스터/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 중계 네트워크가 구성될 것이며,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기반구조 사이의 링크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자체에 대한 통신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대한 데이터도 전송하며, 따라서 비교적 높은 링크 품질을 보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가 마스터 사용자 장비인 이전의 조건은 기반구조에 대한 양호한 품질의 링크를 갖는 것이다.
일례로서, 바람직하게,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컴포넌트(504)는 제1/제2 타입 그룹 내에서 다음의 방식으로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세트를 결정할 수 있는데, 즉 사용자 장비가 위치하는 지역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에 대해 최상의 채널 품질을 갖는 기반구조가 선택되며, 따라서 동일한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를 갖는 사용자 장비 및 이러한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기반구조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할되고, 동일 지역 내에 위치하고 동일 기반구조와 관련되는,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 ID"의 파라미터를 갖지 않는 사용자 장비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할되며, 또한 각각의 그룹 내의 관련 기반구조와 관련하여 사전 결정된 채널 품질 임계치 이상의 채널 품질을 갖는 사용자 장비가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세트 내에 추가된다.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506)는 각각의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세트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이 그룹 내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그와 관련된 기반구조 사이의 위치 정보에 따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타입 그룹에 대해,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506)는 이 그룹 내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이 그룹 내의 모든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기반구조 사이의 거리들에 따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제2 타입 그룹에 대해,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506)는 이 그룹 내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이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세트가 아닌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기반구조 사이의 거리들에 따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일반적으로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사용자 장비이므로, 사용자 장비의 분포 특징 파라미터의 계산은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통신 링크의 전송 부하도 고려해야 한다. 바람직하게,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506)는 각각의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세트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통신 링크 상의 전송 부하에 따라 계산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구체적인 절차가 아래에서 일례로서 주어질 것이다.
일례로서, 사용자 장비의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인덱스는 아래의 식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가중된 근접 중심성이다.
Figure pct00001
구체적으로, WCC(UEi)는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UEi)의 가중된 근접 중심성을 나타내고, n은 계산 공식과 관련된 관련 사용자 장비, 기지국 및 관련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 자체를 포함하는 노드들의 총 수를 나타내고, 거리(UEi, UEj)는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의 위치 정보에 따라 획득될 수 있는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UEi)와 네트워크 노드(UEj) 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βj는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UEi)와 네트워크 노드(UEj) 간의 링크의 통신 페이로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UEj)에 할당된 가중치이다. 가중된 근접 중심성의 값이 작을수록, 사용자 장비가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에 더 가깝다는 것을, 즉 사용자 장비가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되기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지시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 타입 그룹에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기 위한 근거는 각각의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가 최적의 공평한 채널 품질을 가능한 한 많이 획득하는 것을 보증하는 것이므로, 가중된 근접 중심성을 계산할 때,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UEi)와 그룹 내의 (다른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세트가 아닌 다른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모든 다른 사용자 장비 및 관련 기반구조 사이의 거리 및 통신 페이로드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복수의 기반구조가 존재할 때, 현재 관련된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기반구조만이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제1 타입 그룹에서,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주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반구조와의 더 적은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가지므로, 계산을 간소화하기 위해, 가중치 βj의 설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가정될 수 있는데, 즉 네트워크 노드(UEj)가 기반구조인 경우, 가중치 βj는 1/n으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가중치 가중치 βj는 1로 설정된다.
한편, 제2 타입 그룹에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기 위한 근거는 기반구조와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의 최적의 공평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한 한 많이 제공하는 것이므로, 가중된 근접 중심성을 계산할 때,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UEi)와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세트가 아닌 사용자 장비는 물론, 기반구조 사이의 거리 및 통신 페이로드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2 타입 그룹에서,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기반구조 간의 링크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의 전송뿐만 아니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의 전송도 담당하므로, 계산을 간소화하기 위해, 가중치 βj의 설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가정될 수 있는데, 즉 네트워크 노드(UEj)가 기반구조인 경우, 가중치 βj는 n으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가중치 가중치 βj는 1로 설정된다.
위에서 주어진 가중된 근접 중심성 계산 방식은 한정이 일례일 뿐이며,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위의 계산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일례로서, 사용자 장비의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측정하기 위한 인덱스, 즉 유효 링크 도량형 그래프 내의 인접 변들의 가중치들의 최대 합을 갖는 정점도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대해, 예를 들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멤버 노드들 간의 거리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평균값을 거리 임계치(Dth)로서 그리고 이러한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이러한 멤버 노드들을 정점들로서 이용하면, 2개의 정점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거리가 거리 임계치(Dth)보다 작은 경우, 한 변이 이러한 2개의 정점 사이에 연결되고, 그의 가중치는
Figure pct00002
j로 설정되며, 따라서 이러한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관한 유효 링크 도량형 그래프가 얻어진다.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정점과 연결된 변들의 가중치들의 합을 측정 인덱스로서 이용할 경우에 변들의 가중치들의 합이 클수록, 이것은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에 더 가깝고, 따라서 이 그룹 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이기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지시한다. 제1/제2 타입 그룹에 대해,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멤버 노드들을 선택하고 변 가중치
Figure pct00003
j를 설정하기 위한 규칙은 전술한 가중된 근접 중심성을 계산할 때 가중치 βj를 설정하는 규칙과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 반복 설명은 행해지지 않는다.
위에서 주어진 유효 링크 도량형 그래프를 설정하는 방식은 한정이 아니라 일례일 뿐이며,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전술한 특정 상세들을 변경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거리 임계치(Dth)는 노드들 간의 최소 거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설정된 거리 값 등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 장비의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위에서 주어졌지만, 이들은 한정이 아니라 예들일 뿐이며,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분포 파라미터를 계산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방식들이 본 발명의 원리의 범위 내에 속하는 한은 이러한 방식들을 채택할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해야 한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204)의 기능 구성의 다른 예가 아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 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의 기능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204)은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모듈(702), 전송 특징 파라미터 계산 모듈(704)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모듈(706)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모듈(702)의 기능 구성은 도 4-6을 참조하여 전술한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모듈(402)의 기능 구성과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의 상세들이 반복되지 않는다. 전송 특징 파라미터 계산 모듈(704)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모듈(706)의 기능 구성들의 예들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유닛(202)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는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전송의 양, 사용자 장비가 전송에 성공할 것을 지시하는 전송 확률 및 사용자 장비의 전송 능력을 지시하는 전송 레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UEi)의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전송의 양(di)은 예를 들어 사전 결정된 기간 동안의 사용자 장비의 평균 전송량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전송 확률(pi)은 사용자 장비(UEi)가 전송에 성공할 확률을 나타내며, 이는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전송의 양의 도함수 파라미터이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임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해,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전송의 양이 전송량의 사전 결정된 임계치(dth)보다 큰 경우, 사용자 장비는 상을 받고, 즉 사용자 장비의 전송 확률이 증가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자 장비는 벌을 받고, 즉 사용자 장비의 전송 확률이 감소된다. 즉, 더 많은 전송 작업을 책임지는 사용자 장비는 또한 통신 서비스에서 전송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유휴 시간에 데이터 전송 작업을 능동적으로 책임지기 위한 사용자 장비의 자발성을 유리하게 자극하여, 적절한 자원 구성을 촉진한다.
각각의 사용자 장비(UEi)의 전송량(di) 및 전송 확률(pi) 양자의 초기 값들이 0인 경우, 네트워크 상태가 변할 때, 각각의 사용자 장비의 새로운 전송량(di')이 사전 결정된 시간(T)마다 계산되고, 전송 확률(pi')이 갱신되며, 구체적인 갱신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을 수 있는데: 유닛으로 분할된 그룹에 대해, 변경 속도(즉, 전송 확률을 조정하는 속도)가 δ이고, 사용자 장비의 총 수가 nUE이고, 전송량이 사전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고 상을 받는 사용자 장비의 수가 nre인 것으로 가정하면, 벌을 받는 사용자 장비의 수는 nUE-nre이고, 따라서 상을 받는 사용자 장비에 대해, 갱신 전송 확률은
Figure pct00004
이고, 벌을 받는 사용자 장비에 대해, 갱신 전송 확률은
Figure pct00005
이다.
사용자 장비(UEi)의 전송 레벨(li)은 사용자 장비의 전송 능력을 나타내며,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처리 능력, 전기량 등의 팩터들의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복수의 레벨로서 정량화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송 레벨의 한 가지 정의 방법은 레벨이 낮을수록 전송 능력이 강한 것일 수 있다.
위에서 주어진 사용자 장비의 전송량, 전송 확률 및 전송 레벨의 계산 방법들은 한정이 아니라 예들일 뿐이며,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다른 방식들로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전송 특징 파라미터 계산 모듈(704)은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전송의 양, 사용자 장비가 전송에 성공할 것을 지시하는 전송 확률 및 사용자 장비의 전송 능력을 지시하는 전송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장비의 전송 특징 파라미터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송 특징 파라미터 계산 모듈(704)은 위에서 그룹화된 사용자 장비에 따라 각각의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의 전송 특징 파라미터를 계산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송 특징 파라미터의 도입은 사용자 장비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획득할 때 형평성을 보증하고, 사용자 장비의 역할 차이를 고려하며, 이는 데이터 전송을 책임지기 위한 사용자 장비의 자발성을 유리하게 자극하여, 네트워크 용량의 개선을 촉진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모듈(706)은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모듈(702)에 의해 획득된 분포 특징 파라미터 및 전송 특징 파라미터 계산 모듈(704)에 의해 계산된 전송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모듈(706)은 네트워크 성능의 상이한 최적화 목표들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용량의 최대화가 최적화 목표인 경우,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모듈(706)은 분포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가중된 근접 중심성의 오름차순으로 또는 유효 링크 도량형 그래프의 인접 변들의 가중치들의 합의 내림차순으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형평성의 최대화가 최적화 목표인 경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전송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전송 확률 또는 전송 레벨의 오름차순으로 선택되며; 네트워크 용량 및 사용자 형평성 양자가 고려되는 경우, 분포 특징 파라미터 및 전송 특징 파라미터가 공동으로 고려되는데, 예를 들어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가중된 근접 중심성과 전송 확률의 곱의 오름차순으로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수는 네트워크 성능의 최적화 목표들 및 네트워크 모드 요구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 장비의 각각의 그룹에 대해 하나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만이 선택되며, 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이 그룹 내의 다른 사용자 장비 간의 그리고 다른 사용자 장비와 기반구조 간의 통신을 담당한다.
위로부터 알 수 있듯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모듈(706)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할 때 네트워크 용량 및 사용자 형평성 양자가 고려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장비가 기반구조에 대한 보완물로서 사용되는 개념의 실용성을 개선하고, 자원 이용률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통신 유닛(206)은 결정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은 네트워크의 무선 링크들의 구성을 결정하는 데에, 즉 각각의 사용자 장비 간의 그리고 사용자 장비와 기반구조 간의 통신을 위한 라우트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가 아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800)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유닛(802),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804),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806) 및 통신 유닛(808)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유닛(802)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804)의 기능 구성들은 각각 도 2-7을 참조하여 전술한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유닛(202)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204)의 기능 구성들과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들의 상세들이 설명되지 않는다.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806) 및 통신 유닛(808)의 기능 구성들의 예들이 각각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806)은 결정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적어도 상기 전송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관련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 및 기반구조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그룹화된 사용자 장비 각각에 대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804)이 그룹 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결정한 후, 제1 타입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해, 이 그룹 내의 모든 사용자 장비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된다.
제2 타입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804)이 이 그룹 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결정한 후,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806)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결정할 수 있는데: 이 그룹 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아닌 다른 각각의 사용자 장비와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링크 품질이 측정되고, 링크 품질이 이 사용자 장비와 기반구조 간의 링크 품질보다 낮은 경우, 이러한 사용자 장비는 기반 구조를 통해 직접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것으로 결정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나머지 사용자 장비에 대해, 최적화 목표가 네트워크 성능인 경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대한 링크 품질의 내림차순으로 선택되고, 최적화 목표가 사용자 형평성인 경우, 관련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전송 확률의 내림차순으로 선택되고, 네트워크 성능 및 사용자 형평성 양자가 고려되는 경우, 채널 품질 및 전송 특징 파라미터가 공동으로 고려되는데, 예를 들어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채널 품질과 전송 확률의 곱의 내림차순으로 선택되며, 최적화 목표가 네트워크 용량의 최대화인 경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각각의 사용자 장비가 기반구조를 통해 직접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것에 비해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될 때의 네트워크의 용량의 증가량의 내림차순으로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되는 사용자 장비의 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책임 능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계산될 수 있거나, 시스템에 의해 사전 설정된 임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타입 그룹 및 제2 타입 그룹 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아닌 다른 사용자 장비 및 제3 타입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가장 적합한 기반구조들은 종래 기술의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와 각각의 기반구조 간의 링크 품질 및 이용 가능한 무선 자원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 장비는 선택된 기반구조들을 통해 직접 네트워크에 접속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방식들의 예들이 위에서 제공되었지만, 이들은 한정이 아니라 예들일 뿐이며,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네트워크 성능의 구체적인 최적화 목표들에 따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어서, 통신 유닛(806)은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수신된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에 따라 네트워킹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은 네트워킹될 사용자 장비의 역할 할당(네트워크 사용자 장비, 마스터 사용자 장비 또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및 사용자 장비 간의 그리고 사용자 장비와 기반구조 간의 통신 라우트의 선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수신된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포함하는) 최상의 통신 라우트를 선택하여, 네트워크 용량을 증가시키고, 통신 품질을 개선하고, 자원 이용률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네트워크 계획의 특정 구현 절차가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이것은 한정이 아니라 일례일 뿐이며,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상기 스킴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항상 동일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에 합류하는 사용자 장비, 예로서 사무실 내의 빈번한 데이터 교환으로 인해 설정되는 작업 그룹 내의 복수의 개인용 컴퓨터, 또는 집에서 데이터 자원들을 공유하는 복수의 단말기 장치(예로서, 스마트폰, 개인 휴대 단말기(PDA), 태블릿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등)에 대해, 네트워킹 모드는 또한 이력 정보(즉, 이러한 사용자 장비의 역할 할당 및 통신 라우트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네트워크 할당의 가속화가 촉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의 기능 구성들의 예들이 도 1-8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이것은 한정이 아니라 일례일 뿐이며,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필요에 따라 상기 구조를 변경, 예를 들어 소정의 기능 유닛들을 추가 또는 생략하거나 기능 유닛들을 결합할 수 있으며, 모든 이러한 변형들은 본 기술의 실질적인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에 대응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도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의 처리 예가 도 9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의 처리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900)은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단계(S902),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S904) 및 통신 단계(S90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단계(S902)에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가 획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는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킹 요청 시그널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절차는 위의 장치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이 반복되지 않는다. 이어서, 처리는 단계 S904로 진행한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S904)에서,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에 대한 사용자 장비의 근접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관련 기반구조에 접속되고,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송한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S904)에서의 상세한 처리의 일례가 도 10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에서의 상세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S904)는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단계(S1002)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S10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단계(S1002)에서,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에 대한 사용자 장비의 근접도를 지시하는 분포 특징 파라미터가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단계(S1002)에서의 상세한 처리의 일례가 도 11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단계에서의 상세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단계(S1002)는 사용자 장비 그룹화 단계(S1102),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S1104) 및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단계(S1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장비 그룹화 단계(S1102)에서,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내의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그룹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장비 그룹화 단계(S1102)에서,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가 "사용자 장비 상호접속"을 지시하고, 동일 상호접속 ID를 갖는 사용자 장비는 제1 타입 그룹으로 분할되고,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가 "다른 사용자 장비를 통해 액세스 가능"을 지시하는 사용자 장비는 제2 타입 그룹으로 분할되며,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가 "기반구조를 통해서만 액세스"를 지시하는 사용자 장비는 제3 타입 그룹으로 분할된다. 이어서, 처리는 단계 S1104로 진행한다.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S1104)에서, 사용자 장비의 각각의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세트가 이 그룹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와 그의 관련 기반구조 사이의 링크 품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처리는 단계 S1106으로 진행한다.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단계(S1106)에서, 각각의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세트 각각의 분포 특징 파라미터가 이 그룹 내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그와 관련된 기반구조 사이의 위치 정보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단계(S1106)에서, 제1 타입 그룹에 대해,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분포 특징 파라미터는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이 그룹 내의 모든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기반구조 사이의 거리들에 따라 계산될 수 있으며, 제2 타입 그룹에 대해,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분포 특징 파라미터는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이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세트가 아닌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기반구조 사이의 거리들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구체적인 절차는 장치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설명이 반복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 장비의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획득한 후, 처리는 단계 S1004로 진행한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S1004)에서, 분포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S904)에서의 상세한 처리의 다른 예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에서의 상세한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S904)는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단계(S1202), 전송 특징 파라미터 계산 단계(S1204)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S12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단계(S1202)에서의 처리는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단계(S1002)에서의 처리와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상세들이 반복되지 않는다. 전송 특징 파라미터 계산 단계(S1204)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S1206)에서의 처리의 예들이 아래에서 각각 상세히 설명된다.
전송 특징 파라미터 계산 단계(S1204)에서, 사용자 장비의 전송 특징 파라미터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내에 포함되는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전송의 양, 사용자 장비가 전송에 성공할 것을 나타내는 전송 확률 및 사용자 장비의 전송 능력을 지시하는 전송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이어서, 처리는 단계 S1206으로 진행한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S1206)에서,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분포 특징 파라미터 및 전송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용량 및 사용자 형평성 양자가 고려되며, 따라서 자원 이용률의 개선이 촉진된다.
이어서,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결정한 후, 처리는 단계 S906으로 진행한다.
통신 단계(S906)에서, 결정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이 사용자 장비로 전송된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수신된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에 따라 네트워킹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의 처리의 일례가 도 1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1300)은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단계(S1302),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S1304),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S1306) 및 통신 단계(S130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단계(S1302)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S1304)에서의 처리는 도 9-12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단계(S902)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S904)에서의 처리와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들의 상세들이 반복되지 않는다.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S1306) 및 통신 단계(S1308)에서의 처리가 아래에서 각각 상세히 설명된다.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S1306)에서, 결정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가 적어도 전송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관련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 및 기반구조와 통신한다.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절차는 위의 장치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는다.
이어서, 처리는 단계 S1308로 진행한다.
통신 단계(S1308)에서, 결정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이 사용자 장비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의 예들이 도 9-1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흐름도들이 예시적일 뿐이며, 상이한 실제 응용들 및 구체적인 요구들에 따라 위의 방법 흐름들에 대한 대응하는 변경들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은 위의 장치 실시예에 대응하고, 따라서 방법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부분들은 장치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이 반복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의 기능 구성의 일례가 도 1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1400)는 통신 유닛(1402) 및 제어 유닛(1404)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1402)은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를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상기 장치(200 또는 800)으로 전송하고, 장치(200 또는 800)로부터 대응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킹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할 때, 사용자 장비(1400)는 먼저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를 통신 유닛(1402)을 통해 장치(200 또는 800)로 전송하고, 장치(200 또는 800)가 수신된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따라 네트워킹 결정을 행한 후에 장치(200 또는 800)로부터 대응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1404)은 장치(200 또는 8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이 사용자 장비(1400)가 마스터 사용자 장비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에 통신 유닛(1402)을 제어하여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그리고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와 기반구조 사이에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장치(200 또는 8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이 사용자 장비(1400)가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 제어 유닛(1404)은 통신 유닛(1402)을 제어하여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 및/또는 관련 기반구조와 통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의 기능 구성의 일례가 도 1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1500)는 측위 유닛(1502), 통신 유닛(1504) 및 제어 유닛(1506)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1506)의 기능 구성은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어 유닛(1404)의 기능 구성과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상세가 설명되지 않는다. 측위 유닛(1502) 및 통신 유닛(1504)의 기능 구성들의 예들이 아래에서 각각 상세히 설명된다.
측위 유닛(1502)은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측위 유닛(1502)은 GPS 측정 또는 네트워크 측정(예로서, 삼각 측량)을 통해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4와 관련하여 전술한 통신 유닛(1402)의 기능에 더하여, 통신 유닛(1504)은 장치(200 또는 800)에 의해 전송된 위치 정보 요청의 수신시에 사용자 장비(1500)의 위치 정보를 장치(200 또는 800)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은 네트워킹될 사용자 장비에 대한 역할 할당(마스터 사용자 장비,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또는 네트워크 사용자 장비) 및 최상의 통신 라우트 선택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수신된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에 따라 네트워킹 동작을 완료하여, 네트워크 용량의 향상, 통신 성능의 개선 및 사용자 형평성의 최대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장비가 기반구조에 대한 보완물로서 사용되는 개념의 실용성을 향상시켜, 다양한 사용자 요구들 및 유연한 네트워킹 모드를 갖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실행될 때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기계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실행될 때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기계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따라서, 기계 판독 가능 명령어 코드들을 저장하는 상기 프로그램 제품을 보유하는 저장 매체도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포함된다. 저장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저장 카드, 메모리 막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구나, 전술한 일련의 프로세스들 및 장치들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에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전용 하드웨어 구조를 갖는 컴퓨터, 예로서 도 16에 도시된 범용 개인용 컴퓨터(1600)에 설치되며, 이 컴퓨터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때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에서, 중앙 처리 유닛(CPU)(1601)은 판독 전용 메모리(ROM)(1602)에 저장되거나 저장부(1608)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603) 내로 로딩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이 RAM 내에는 CPU(1601)가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도 필요에 따라 저장된다.
CPU(1601), ROM(1602) 및 RAM(1603)은 버스(1604)를 통해 서로 접속되며, 이 버스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605)도 접속된다.
다음의 컴포넌트들, 즉 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1606); 디스플레이, 예로서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등,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출력부(1607);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저장부(1608);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예로서 LAN 카드, 모뎀 등을 포함하는 통신부(1609)가 입출력 인터페이스(1605)에 접속된다. 통신부(1609)는 네트워크, 예로서 인터넷을 통해 통신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드라이브(1610)도 필요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1605)에 접속된다. 이동식 매체(1611), 예로서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이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161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로부터 인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저장부(1608)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이 소프트웨어에서 수행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예로서 인터넷 등, 또는 저장 매체, 예로서 이동식 매체(1611) 등으로부터 설치된다.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그러한 저장 매체가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장치와 별개로 배포되는 도 16에 도시된 이동식 매체(1611)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이동식 매체(1611)의 예는 (플로피 디스크(등록상표)를 포함하는) 자기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및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미니 디스크(MD)(등록상표)를 포함하는) 광자기 디스크 및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를 포함하는 장치와 함께 사용자에게 배포되는 ROM(1602), 저장부(1608) 내에 포함된 하드 디스크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의 단계들은 시간순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는 점에 더 유의해야 한다. 단계들 중 일부는 동시에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응용 예
위의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아래의 개인 네트워크의 네트워킹 관리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멀티미디어 오락 장치(예로서, 텔레비전, 게임 플레이어, 오디오/비디오 플레이어, 스마트폰), 사무실 장치(예로서,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등), 저장 및 백업 장치(예로서, 백업 저장 어레이 등), 네트워크 액세스 장치(예로서, 라우터 등)를 포함하는 가족 오락 환경 및 사무실 환경 양자 내의 개인용 전자 장치들의 양은 점점 증가한다. 개인용 장치들의 양의 급격한 증가는 데이터 갱신 및 동기화에 대해 큰 문제를 유발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점점 더 인기 있는 방법은 데이터를 클라우드 측에 저장하고 처리하는 것이며, 개인용 전자 장치는 국지적 저장소를 제공하지 않지만, 고속 통신 링크 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클라우드 측과 데이터를 교환한다. 집 또는 사무실에서의 레이아웃은 항상 매우 복잡하고, 사용자 장비의 위치는 자주 변하므로, 장치들 간에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의 유효성 및 성능을 보증하기 어렵다. 동적 네트워킹 계획 기능이 클라우드 측 상의 액세스 포인트 내에 내장되고, 각각의 장치의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가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 장비를 통해 액세스 가능"으로 설정되는 경우, 각각의 장치의 상태에 따라 네트워킹을 유연하게 수행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충분히 보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로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유닛;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근접도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 -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관련 기반구조에 접속되고,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송함 -; 및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제어 시그널링을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
    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따른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상기 중심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근접도를 지시하는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모듈; 및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내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전송의 양,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전송에 성공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송 확률 및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송 능력을 지시하는 전송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송 특징 파라미터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특징 파라미터 계산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모듈은 상기 전송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내의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를 그룹화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그룹화 컴포넌트;
    사용자 장비의 각각의 그룹 내에서 이 그룹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와 그의 관련 기반구조 사이의 링크 품질에 따라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컴포넌트; 및
    각각의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세트 중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이 그룹 내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그와 관련된 기반구조 사이의 위치 정보에 따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
    를 더 포함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화 컴포넌트는 상기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에 의해 장치 대 장치 상호접속 및/또는 점 대 다점 상호접속의 설정이 지시되고 동일한 상호접속 식별자를 갖는 상기 사용자 장비를 제1 타입 그룹으로서 분할하고, 상기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에 의해 다른 사용자 장비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는 것으로 지시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를 제2 타입 그룹으로서 분할하고, 상기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에 의해 기반구조를 통해서만 액세스되는 것으로 지시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를 제3 타입 그룹으로서 분할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 그룹에 대해,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화 컴포넌트는 지역 분포에 따라 상기 기반구조의 커버리지를 복수의 섹터로 분할하여 각각의 섹터 내의 사용자 장비가 하나의 그룹으로서 분할되게 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컴포넌트는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세트를 섹터 단위로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그룹에 대해,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는 이 그룹 내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상기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이 그룹 내의 모든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기반구조 간의 거리들에 따라 계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타입 그룹에 대해,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는 이 그룹 내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이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세트와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기반구조 간의 거리들에 따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는 각각의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세트 중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통신 링크 상의 전송 부하에 따라 계산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특징 파라미터 계산 모듈은 각각의 그룹 내의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전송 특징 파라미터를 상기 그룹화된 사용자 장비에 기초하여 계산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전송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상기 관련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 및 상기 기반구조와 통신하며,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킹 제어 시그널링을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획득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중심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근접도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결정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 -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관련 기반구조에 접속되고,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송함 -; 및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제어 시그널링을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는 통신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에 따른 통신 데이터 스트림의 상기 중심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근접도를 지시하는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단계; 및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내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전송의 양,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전송에 성공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송 확률 및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송 능력을 지시하는 전송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송 특징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전송 특징 파라미터 계산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에서,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또한 상기 전송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선택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 획득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 내의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를 그룹화하는 사용자 장비 그룹화 단계;
    사용자 장비의 각각의 그룹 내에서 이 그룹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와 그의 관련 기반구조 사이의 링크 품질에 따라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세트를 결정하는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 및
    각각의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세트 중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를 이 그룹 내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그와 관련된 기반구조 사이의 위치 정보에 따라 계산하는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 그룹화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에 의해 장치 대 장치 상호접속 및/또는 점 대 다점 상호접속의 설정이 지시되고 동일한 상호접속 식별자를 갖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또한 제1 타입 그룹으로서 분할되고, 상기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에 의해 다른 사용자 장비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는 것으로 지시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제2 타입 그룹으로서 분할되고, 상기 네트워킹 모드 파라미터에 의해 기반구조를 통해서만 액세스되는 것으로 지시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제3 타입 그룹으로서 분할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그룹에 대해,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단계에서, 이 그룹 내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는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이 그룹 내의 모든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기반구조 간의 거리들에 따라 계산되며,
    상기 제2 타입 그룹에 대해,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 계산 단계에서, 이 그룹 내의 각각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분포 특징 파라미터는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이 그룹 내의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세트와 다른 사용자 장비는 물론, 이 후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기반구조 간의 거리들에 따라 계산되는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전송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상기 관련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 및 상기 기반구조와 통신하며,
    상기 통신 단계에서, 상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킹 제어 시그널링이 상기 사용자 장비로 더 전송되는 방법.
  18.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비로서,
    사용자 장비 파라미터를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이 상기 사용자 장비가 마스터 사용자 장비라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통신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와 기반구조 사이에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측위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장치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 요청의 수신시에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장치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그널링이 상기 사용자 장비가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라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 및/또는 관련 기반구조와 통신하게 하는 사용자 장비.
KR1020157035334A 2013-06-09 2014-06-06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 방법 및 사용자 장비 KR201600190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231334.5A CN104244264B (zh) 2013-06-09 2013-06-09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方法和用户设备
CN201310231334.5 2013-06-09
PCT/CN2014/079311 WO2014198197A1 (zh) 2013-06-09 2014-06-06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方法和用户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066A true KR20160019066A (ko) 2016-02-18

Family

ID=5202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334A KR20160019066A (ko) 2013-06-09 2014-06-06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 방법 및 사용자 장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187842B2 (ko)
EP (1) EP3010270B1 (ko)
JP (2) JP6424887B2 (ko)
KR (1) KR20160019066A (ko)
CN (2) CN109905838A (ko)
WO (1) WO20141981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5838A (zh) * 2013-06-09 2019-06-18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CN105992246B (zh) * 2015-01-30 2021-01-08 索尼公司 通信设备和通信方法
CN108605219B (zh) 2016-03-29 2022-05-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确定设备到设备通信的传输资源的方法和装置
EP3524029B1 (en) * 2016-10-26 2021-12-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s and methods arranged to support user communication device group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0637814B2 (en) * 2017-01-18 2020-04-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munication routing based on physical status
CN106603722B (zh) * 2017-01-22 2020-06-09 杭州迪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管理设备的确定方法及装置
CN109150681B (zh) * 2018-09-07 2021-03-16 深圳市雷赛控制技术有限公司 Rtex总线组网方法及系统
WO2020140290A1 (zh) * 2019-01-04 2020-07-09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通信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0566B2 (ja) * 2000-07-06 2008-10-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通信方法、無線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通信端末、およびブルートゥース端末
KR100594051B1 (ko) * 2004-11-2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효율적인 간섭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CN101316433B (zh) * 2007-06-01 2011-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ofdma系统的组网方法
CN100548071C (zh) * 2007-09-18 2009-10-07 北京邮电大学 基于中继技术的多频点td-scdma组网及通信的实现方法
CN101415180B (zh) * 2008-11-28 2010-08-11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数据的发送方法、装置及通信系统
KR101613848B1 (ko) * 2009-09-10 2016-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가조직 네트워크에서 셀 식별자 할당 방법 및 장치
JP5665578B2 (ja) * 2010-03-03 2015-02-04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1909345B (zh) * 2010-08-03 2013-03-27 清华大学 一种广域传感器网络的多跳动态自组网方法
CN102387578A (zh) 2010-09-03 2012-03-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资源调度的方法及装置
KR20140044355A (ko) * 2011-06-01 2014-04-14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소형 노드 디바이스들을 이용한 모바일 통신에서의 향상된 로컬 액세스
KR101948937B1 (ko) * 2011-10-05 2019-02-15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초기 위치 결정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30048547A (ko) * 2011-11-02 2013-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qi를 이용한 위치 기반의 라우팅 장치 및 방법
CN102625325B (zh) 2012-03-13 2016-01-20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部署方法和无线接入点
WO2013162345A1 (ko) * 2012-04-27 2013-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대-장치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054990A1 (en) * 2012-10-05 2014-04-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network assiste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40321355A1 (en) * 2013-04-30 2014-10-30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Relay us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the infrastructure-based communication system
CN109905838A (zh) * 2013-06-09 2019-06-18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98197A1 (zh) 2014-12-18
JP7007252B2 (ja) 2022-01-24
CN104244264B (zh) 2019-05-03
US20160119854A1 (en) 2016-04-28
JP2016523472A (ja) 2016-08-08
JP2019041398A (ja) 2019-03-14
JP6424887B2 (ja) 2018-11-21
CN104244264A (zh) 2014-12-24
CN109905838A (zh) 2019-06-18
US10791495B2 (en) 2020-09-29
EP3010270A4 (en) 2016-11-02
EP3010270B1 (en) 2020-04-01
US10187842B2 (en) 2019-01-22
EP3010270A1 (en) 2016-04-20
US20190124581A1 (en)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725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装置、方法及びユーザ機器
JP7003937B2 (ja) スペクトル管理装置、方法、地理的位置データベース及びサブシステム
KR101465639B1 (ko) 무선 통신들을 위해 스펙트럼을 결정하고 할당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US20130157676A1 (en) Control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JPWO2008004561A1 (ja) 無線基地局、負荷分散装置、集中制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負荷分散方法及び負荷分散プログラム
US201500324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Controlled Cost Based Network and Path Selection across Multiple Networks
TW200818945A (en) Load balancing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network hotspots
US8971904B2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e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emtocells and methods for resource allocation using the same
US11528198B2 (en) Augmented/mixed reality virtual venue pipeline optimization
Tyagi et al. Cognitive radio-based clustering for opportunistic shared spectrum access to enhance lifetime of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630563B1 (ko) 스펙트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338534B (zh)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WO2017031636A1 (zh) 一种无线回程连接的建立方法及装置
WO2013135087A1 (zh) 一种动态家庭基站网络的频谱分配方法
JP2019502331A (ja) ネットワーク管理側及びユーザー装置側の装置及び方法、中央管理装置
KR101568081B1 (ko)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d2d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
Chen et al. Spectrum-aware routing in discontinuou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based cognitive radio ad hoc networks
Nguyen et al. SDN-based Wi-Fi Direct clustering for cloud access in campus networks
CN107071911B (zh) 一种基于最大snr的虚拟小区载波分配方法
Zhou et al. Trajectory-based reliable content distribution in D2D-based cooperative vehicular networks: A coalition formation approach
WO2015109731A1 (zh) 一种异构网络容量估计方法和系统
WO2023208043A1 (zh) 用于无线通信系统的电子设备、方法和存储介质
CN105379388B (zh) 一种基站间协作方法和设备
Shi et al. LOMA Map for Location based Resource Management and Data Transmission in future RAN
CN104540174B (zh) 基于动态协作的QoS敏感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