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483A - A SYSTEM FOR HEALTH CARE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SYSTEM FOR HEALTH CARE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483A
KR20160017483A KR1020140101073A KR20140101073A KR20160017483A KR 20160017483 A KR20160017483 A KR 20160017483A KR 1020140101073 A KR1020140101073 A KR 1020140101073A KR 20140101073 A KR20140101073 A KR 20140101073A KR 20160017483 A KR20160017483 A KR 20160017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care
information
food
mat
calor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0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71778B1 (en
Inventor
김근홍
전상은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로멜리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로멜리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로멜리아드
Priority to KR102014010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778B1/en
Publication of KR2016001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4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7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care system and a healthcare method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e healthcare system based on the IoT measures dietary intake information including the weight of a meal in real time by using the IoT to perform healthcare to numerically quantify food intake in real time, and allows healthcare via a database for nutritional information and calorie information of a variety of food in real time at any time and place.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A SYSTEM FOR HEALTH CARE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식사량의 무게를 측정하여 칼로리나 식이섭취를 포함한 헬스케어를 수행함으로써, 음식물의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실현하고, 또한 다양한 식품의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헬스케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care system based on Internet (IoT)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lthcare system based on Internet (IoT) which measures the weight of a meal in real time using the Internet of objects and performs healthcare including calorie consumption and dietary inta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realizing self-quantification in real time with respect to intake of nutrients and nutrition information of various foods and a healthcare system through a database of calorie information at any time.

최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음에 따라, 사물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구현을 좀 더 편리하게 수행하고 관리 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s the ser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is being expanded,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hat can more easily perform and manage the service implementation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즉, 사물인터넷을 통한 정보전송, 메시지 처리, 통신 프로토콜 등에 대한 기술의 중요성 부각되고 있으며, 사물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조합하고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새로운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message processing,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like over the Internet has been emphasized, and a new standardization of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combining and transmitting data through the Internet has been proceeding.

일례로 사물인터넷에 관한 기술로 기기상태를 전송하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열악한 환경하에서 대용량 메시징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인스턴트 메신저를 위한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인터넷에서 제한된 성능을 갖는 디바이스들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CoAP(Constrained Environments Application Protocol) 기술 등이 있다. REST는 사물인터넷을 구성하는 기기들의 상태를 전송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인터넷의 정보를 조직하고 전송하는 규칙의 조합을 의미한다. REST는 리소스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상의 문서, 이미지, 서비스와 같은 정보를 지칭하고 클라이언트 서버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리소스의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처리를 지원하는 기술이다. MQTT는 제한된 컴퓨팅 성능과 빈약한 네트워크 연결 환경에서의 동작을 고려하여 설계된 대용량 메시지 전달 프로토콜로서 IBM에 의해 개발되고 OASIS(Organiz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tructured Information Standards)에 의해 사물인터넷 표준 프로토콜로서 선정된 기술이다. XMPP은 인스턴트 메신저를 위한 IETF에서 제정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로서 다수의 클라이언트 간에 Publish/Subscribe 구조를 바탕으로 확장성 있는 XML 기반 실시간 메시지 교환이 가능한 프로토콜이다. 현재 Google, MSN, Yahoo 메신저에서 사용되고 있다. CoAP는 인터넷에서 센서 노드와 같이 제한된 컴퓨팅 성능을 갖는 디바이스들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IETF의 CoRE(Constrained RESTful Environments) 워킹 그룹에서 만들고 있는 응용계층 표준 프로토콜이다. 웹 서비스를 구현함에 있어서 제약이 많은 환경에서 TCP, HTTP와 같은 무거운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없어 웹 서비스를 할 수 있는 가벼운 프로토콜을 목적으로 설계된 기술이다.For example, there are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REST), which transfers device state with technology related to Internet of things,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MQTT), which deals with mass messaging communication protocol under harsh environment, 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XMPP) And Constrained Environments Application Protocol (CoAP) technology for realizing communication of devices having limited performance on the Internet. REST means to transmit the status of the devices constituting the Internet, which means a combination of rules for organiz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REST refers to information such as documents, images, and services on the Internet in the name of a resource, and supports CRUD (Create, Read, Update, Delete) processing of resources in a network environment of a client server. MQTT is a large-capacity message delivery protocol designed considering limited computing performance and operation in a poor network connection environment. It is a technology developed by IBM and selected as an Internet standard protocol by the Organiz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tructured Information Standards (OASIS) . XMPP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protocol established by IETF for instant messengers. It is a protocol that can exchange extensible XML based real time messages based on publish / subscribe structure between multiple clients. It is currently being used by Google, MSN and Yahoo messengers. CoAP is an application-layer standard protocol that is being created in the CoR (Constrained RESTful Environments) working group of IETF to realize communication of devices with limited computing capability, such as sensor nodes, on the Internet. It is a technology designed for lightweight protocol that can do web service because it can not use heavy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TCP and HTTP in a constrained environment to implement web service.

한편, U-헬스 케어 시장의 확대에 따른 자가 수치화(quantified self) 시장의 급속한 성장이 진행되고 있으나, 음식물의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개인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헬스케어에 이용하는 앱이 증가하고 있으며, 자가 수치화 트렌드는 자가 헬스케어를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면서, 동시에 시장 활성화를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을 위한 기술의 개발과 별도로 다양한 분야에서 종래의 인터넷 통신 기술과 센서 기술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구현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기술들이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기반 기술을 통한 음식 섭취량 측정 및 휴대가 간편한 장치의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the rapid growth of the quantified self market due to the expansion of the U-healthcare market is progressing, but the real-time self-quantification of the food consumption has not been done yet. In addition, recently, personal biometric data is collected in real time to be used for healthcare, and the self-quantification trend is promoting the market activation while creating an environment for easy self-care.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the Internet of things, products that implement conventional Internet services and sensor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in various fields, but most technologies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measure the food intake through the Internet based technology and to make it easy to carry.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시된 종래기술로써,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90981호(2014.07.18.)는 웰니스 테스크의 생성, 디스플레이 및 추적에 관한 것으로, 특정한 증상에 대한 의약품을 복용하는 것으로부터 웰니스 목표, 예컨대 체중 감량, 근육량 증가, 건강한 생활습관 등까지 특정 건강 또는 웰니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기록된 패턴을 검사하는 것을 돕는 그래프 및 차트를 생성하고 제공할 수도 있으며, 기록된 패턴에 기초하여 행동 변경을 요구하거나,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따라할 맞춤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0090981 (Apr. 17, 2014) discloses a method for generating, displaying and tracking a wellness task,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and provide graphs and charts that help the user examine the recorded pattern to achieve a particular health or wellness goal, such as weight loss, increased muscle mass, healthy lifestyle, etc., And a system capable of requesting a behavior change 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customized program to be followed by a user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user.

또 다른 선행기술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167930호(2012.07.17.)는 스마트 레인지 및 이의 조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기본조리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인원수에 따른 신규조리정보를 자동 생성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레인지가 해당 음식을 자동 조리함으로써 인원수 변경에 따른 재료의 준비 및 조리시간, 조리방법을 자동으로 제어 및 제공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No. 1167930 (July 17, 2012) discloses a smart range and a method of cooking the same, which uses new basic cook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server to generate new cook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users set by the user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food preparation, cooking time, and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ople by automatically cooking the food by the smart range.

한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105897호(2009.10.07)는 균형잡힌 적정 식사량을 유도하는 식탁과 식판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이 종류별로 균형있게 놓이도록 만들어진 식탁 또는 식판에 음식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음식물 섭취량에 따라 식탁 또는 식판에 놓인 음식물의 무게가 감소하는 것을 무게감지 센서가 감지하여, 즉 식탁 또는 식판의 음식물 무게 감소량이 사용자가 먹은 음식량이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적정량의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105897 (2009.10.07) relates to a table, a plate, and a method for inducing a balanced balanced diet, wherein the weight of the food is set in a table or a plate, The weight sensor senses that the weight of the food placed on the table or the plate is de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food intake, that is, the amount of weight reduction of the food on the table or the plate is the food consumed by the user, And to induce food to be eaten.

상기 선행기술문헌에서 제시된 기술들은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 스마트한 요리를 제공하거나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적정량의 음식을 먹도록 유도하는 것일 뿐,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음식물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기를 바탕으로 헬스케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제시되거나 공개된 바가 없다.The techniques presented in the above prior art documents are intended to manage the health of the user, to provide a smart dish, or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food and to induce the user to eat a proper amount of food. In the present invention, Objects for which technology is required to perform healthcare based on Internet devices are neither presented nor disclosed.

또한 종래의 사물인터넷을 통한 제품으로는, 강아지에 대해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를 장착하고 특정 온도가 넘으면 주인에게 알려주는 것이 있으며, 외출이나 여행이 잦아 고양이의 끼니를 잘 챙겨주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인터넷에 연결된 고양이 급식기를 통해서 급식이 가능하고 웹캠을 통해서 감시를 수행하는 것이 있다. 또한 칫솔에 인터넷 접속 기능이 있어, 인터넷으로 치위생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 있으며, 식물을 인터넷에 연결하여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고자 하는 제품도 출시된 바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roducts through the Internet include a thermometer that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f a dog, and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a certain temperature, the owner informs the owner of the temperature, and those who are unable to take care of the cat's meal It is possible to feed through cat feeder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perform surveillance through a webcam. In addition, the toothbrush has an Internet access function, and there is a technology to transmit the dental hygiene data to the Internet, and a product has been introduced to reduce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by connecting the plant to the Internet.

이러한 제품들은 대부분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송수신을 통해서 식물이나 동물을 대상으로 편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들이다. 최근 들어 이러한 기술을 사람에게 적용하여 고령화 시대에 대처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술들이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지 않고 있어, 그 실용성이 떨어지는 것이 문제이다.Most of these products are intended to perform convenient functions for plants or animals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eed to cope with the aging society by applying such technology to people, but most of the technologies are not configured to perform real-time self-quantification, and their practicality is low.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물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실현할 수 있는 헬스케어 매트를 제공하여, 이를 통해서 수집된 음식물 섭취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식이 조절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care mat capable of realizing self-quantification in real time on food consumption, and provides a system for automatically collec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food intake through the system, And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for enabling execution of the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사용자의 식사량에 대해 실시간으로 식사량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저전력의 근거리통신 수단을 통해 인터넷을 경유하여 단말이나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그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는 헬스케어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easure the weight of a meal in real time with respect to a meal amount of a user and transmit the measured data to a terminal or a server via the Internet via a low-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lthcare mat capable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 기록,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고, 칼로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가져온 정보를 바탕으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lthcare app that receives measured data and performs analysis, recording, and notification services, and provides healthcare services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calorie database.

또한 본 발명은 각 식사 재료의 칼로리 정보와 실측되는 각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를 토대로 각 사용자의 식사량에 따른 칼로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care server that provides a calori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 meal amount of each user on the basis of calorie information of each meal material and information of meal amount of each user to be meas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은,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계측된 정보를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서 인터넷으로 송신하고, 인터넷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측정 조건을 설정하는 헬스케어 매트; 상기 헬스케어 매트와 정보를 송수신하여 식단을 설정하고, 식사량에 따른 알람을 발생하며, 칼로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헬스케어 앱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각 사용자의 다이어트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또한 이들에 각 음식물에 대한 칼로리 정보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된 식이섭취 정보를 자가 수치화하고, 해당 식품의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헬스케어를 실시간으로 언제 어디서나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bject-based health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dietary intake information including weight of a meal amount, transmits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Internet through a local communication means, and transmit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ternet A health care mat for receiving and setting the measurement conditions; A user terminal having a healthcare app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o and from the healthcare mat to set a diet, generates an alarm according to a meal amount, and confirms calories; And a healthcare server for collecting dietary data of each user through the healthcare mat, the healthcare applic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also providing calorie information about each food to the diets by using the measured dietary intake information The nutritional information and the calorie information of the food are stored in a database, and the health care is performed in real time anytime and anywhe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상기 헬스케어 매트의 기능은, 자체에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설정되거나, 외부에서 구동된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설정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설정되며, 상기 헬스케어 매트의 통신수단은, 블루투스, RFID, 지그비, 와이파이, 이더넷,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통신 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서 비콘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상호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net-based health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the healthcare mat may be set up with a display itself or may be set through an externally-driven healthcare application, Wherein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healthcare mat includes at least one of Bluetooth, RFID, ZigBee, WiFi, Ethernet,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beacon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Thereby mutu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상기 헬스케어 앱은, 헬스케어 매트에 직접 설치되거나, 스마트폰, 노트북 PC, 태블릿 PC, 범용 PC, 또는 노트 패드를 포함한 유무선 단말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ealthcar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care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directly on a healthcare mat or installed in a wired /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a notebook PC, a tablet PC, a general purpose PC, or a notepad Is u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상기 헬스케어 앱은, 상기 헬스케어 매트로부터 음식물 섭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헬스케어 서버로부터 음식물에 대한 칼로리 정보를 수집하여, 이들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에 대한 무게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 속도와 섭취한 음식물의 칼로리를 산출하여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in the health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care app collects information on food intake from the healthcare mat, collects calorie information on the food from the healthcare server, The user's food intake rate and the calories of the consumed food are calculated and displayed based 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user's food intak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상기 헬스케어 서버는, 상기 헬스케어 매트나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음식물에 대한 칼로리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헬스케어 매트나 헬스케어 앱에서 요청할 경우, 해당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in the health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care server stores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healthcare mat or the healthcare app in a database, and also collects calorie information about foods from the outside And when it is requested by the healthcare mat or the healthcare app, the calorie information of the food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provided.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방법은, 헬스케어 매트나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식단을 설정하는 단계; 헬스케어 매트를 통해서 섭취한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계측하는 단계; 상기 계측한 정보가 설정치 이상이면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알람을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따른 칼로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소모한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 소모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한 정보를 자가 수치화하고, 해당 식품의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헬스케어를 실시간으로 언제 어디서나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healthcare based on objects, comprising: setting a diet through a healthcare mat or a healthcare application; Measuring the dietary intake information including the weight of the food ingested through the healthcare mat; Sending an alarm through the healthcare app if the measured information is greater than a set value; And checking calori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checking calori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consumed amount of exercise, wherein the measured information is self-quantified, and the nutrition information and the calorie information of the food are stored in a database, Can be performed in real time anytime and anywher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방법에서, 상기 헬스케어 매트는, 음식물 섭취 목표치 설정 및 통신 연결 단계; 음식물 무게 측정을 통한 기준값(초기값) 설정 단계; 음식물 무게의 변화 측정을 통한 음식물 섭취량 측정 단계; 음식물 섭취량의 목표치 도달여부 체크 및 식사 속도 추출 단계; 및 최종 음식물 무게를 측정하여 최종 음식물 섭취량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음식물 섭취량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ealth car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 care mat may include: setting a food intake target value and communicating; Setting a reference value (initial value) by measuring food weight; Measuring food intake through measurement of changes in food weight; Checking whether the food intake has reached the target value and extracting the meal rate; And measuring the final food weight to derive a final food intake amount, wherein the measurement of the food intake amount is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방법에서, 상기 헬스케어 앱은, 헬스케어 앱 활성화 및 식단을 선택하는 단계; 음식물 섭취량을 측정하는 단계; 음식물 섭취량의 목표치 섭취 칼로리 체크 및 음식물 섭취 속도 산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최종 음식물 섭취에 따른 칼로리와 연관된 정보를 표시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헬스케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lthcare method, comprising: selecting a healthcare application activation and a diet; Measuring a food intake; Calculating a target calorie intake and a food intake rate of the food intake;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calories from the end food intake on a display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방법은, 헬스케어 서버를 통해 상기 섭취한 음식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SNS 서버를 통해 상기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lthcar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toring information on an ingested food in a database through a healthcare server; And sharing the information through the SNS server.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계측하여 헬스케어를 수행함으로써, 음식물의 식이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실현하고, 또한 다양한 식품의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언제 어디서나 헬스케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car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lthcar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which are capable of real-time self-measurement of dietary intake of food by measuring dietary intake information including weight of food in real- And also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realizing healthcare in real time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a database of nutrition information and calorie information of various food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의 계측을 통한 헬스케어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신의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사량과 섭취 열량을 산출하여 목표치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에 대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및 헬스케어 서버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및 헬스케어 서버의 처리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앱의 주요 기능을 나타낸 예시도.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ealthcare system through measurement of dietary intake information including weight of foo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target value by calculating a metabolic rate and an intake calorie based on the user's own biometric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real-time self-quantification of food inta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lthcare mat, a healthcare application, and a healthcar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flow of a healthcare mat, a healthcare application, and a healthcar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ain function of a healthcar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object-based Internet-based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의 계측을 통한 헬스케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ealthcare system through measurement of dietary intake information including a weight of foo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스케어 매트(100)를 이용하여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계측하여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게 되면, 스마트폰(200)은 해당 측정으로 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특정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를 포함한 헬스케어에 필요한 정보를 헬스케어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dietary intake information including the weight of the meal amount is measured using the healthcare mat 100 and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200, the smart phone 200 transmits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health care including calorie information of specific foods can be provided from the health care server 300 and provided to the user.

헬스케어 매트(100)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에 대해서 센서(예: 무게센서)(110)를 통해 필요한 음식물정보와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해당 측정치에 대한 정보를 MCU(120)에서 수집하고 이를 BLE 전송(130)을 통해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게 된다.The healthcare mat 100 measures necessary food inform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a sensor (e.g., a weight sensor) 110 for various kinds of foods,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d values in the MCU 120, And transmits the Bluetooth beacon signal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transmission 130. [

센서(110)는 다양한 음식물에 대해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헬스케어 매트 상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간단하게는 하나의 음식물에 대해서 측정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센서를 설치하여 해당 무게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무게정보 취득을 위한 센서의 설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일일이 그 구성을 한정하지 않지만, 다양한 형태와 위치에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의 종류에 있어서도 압력계 등 과 같이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센서이면 족하다.The sensor 110 may be installed at a specific location on the healthcare mat to allow for weight measurement of various foods. Although it is possible to simply measure one food, at least one weight sensor may be installed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weight. Since the sensor for obtaining the weight informa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in various shapes and positions, In the case of a kind of sensor, such as a pressure gauge, which is a means for measuring the weight, it suffices.

상기 센서(110)에는 식사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 이외에도 혈압, 혈당수치, 체중, 맥박 등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기는 헬스케어 매트에 내장되어 있거나 외장형 측정기로부터 블루투스, USB, NFC, RFID, 또는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서 입력받을 수도 있다.The sensor 110 may be provided with a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 blood pressure, a blood glucose level, a body weight, a pulse, etc., in addition to a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meal amount. These meters can be embedded in a healthcare mat or can be input from an external meter via Bluetooth, USB, NFC, RFID, or near-field communication means such as ZigBe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는 PHR(Personal Health Record)과의 인터페이스를 마련하여, 개인의 의료기록을 헬스케어 앱이나 헬스케어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의료기록을 참고한 헬스케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개인 의료정보의 송수신을 통해서 의료 기관과 접속이 가능하게 되고,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또는 헬스케어 서버는 환자와 의사간의 원격진료를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healthcar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face with a PHR (Personal Health Record) to transmit an individual medical record to a healthcare application or a healthcare server, It is possible to do. The healthcare mat, the healthcare app, or the healthcar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rve as an interface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between the patient and the doctor.

구체적으로는, 헬스케어 매트를 통해서 개인의 의료정보와 건강상태를 체크하여 의료 기관에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환자의 얼굴이나 치료받을 부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송신하면, 의사는 이를 바탕으로 진찰하고, 처방할 수 있다. 또한 의료 기관에서 수신한 MRI, CT 등의 영상을 환자가 의료 기관에 전송하거나, 의료 기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와 의사가 마치 한 자리에 마주 앉아 진료를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healthcare mats can be used to check individual medical information and health status, and transmit them to a medical institution. In addition, when a picture of a patient's face or a part to be treated is taken and transmitted through a healthcare application, Based on this, you can consult and prescribe. In addition, by allowing the patient to transmit images such as MRI and CT received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to the medical institution or to view the images stored in the medical institution, the patient and the doctor can sit in the same place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MCU(120)는 무게센서에서 측정된 무게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음식물의 위치와 종류에 대한 설정을 사용자가 간단한 디스플레이 화면(140)을 통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식물의 종류와 해당 음식물이 놓일 장소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MCU(120)는 식사량의 무게정보를 수집하는 것 이외에도 혈압, 혈당수치, 체중, 맥박 등에 대한 측정값을 수집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PHR을 통한 의료기록을 수집하여 BLE 통신을 통해 헬스케어 앱이나 헬스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MCU 120 collects the weigh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However, the MCU 120 may allow the user to perform the setting of the position and the type of the food through the simple display screen 140. That is, the user can set the kind of the food and the place where the food is placed on the display screen. In addition to collecting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food amount, the MCU 120 also collects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level, body weight, pulse, and the like, collects medical records through the PHR, Or to a healthcare server.

물론 헬스케어 매트의 음식물 무게측정을 위한 설정은 헬스케어 매트의 설정치는 스마트폰을 통해서 변경하거나 새로이 설정할 수도 있다. 헬스케어 매트에서 설정치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고, 스마트폰에서 헬스케어 매트의 설정치를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설정을 위한 수단은 헬스케어 매트에 구비되거나 스마트폰을 통한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설정은 간단한 설정은 헬스케어 매트에 구비하도록 하고, 좀 더 복잡한 설정은 스마트폰에서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설정을 위한 수단은 헬스케어 매트나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설정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설정을 위한 수단이 필요치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Of course, the setting for the weight measurement of the healthcare mat can be changed or changed by the smartphone through the setting of the healthcare mat. It is also possible to set or change the setting value in the healthcare mat, or to set or change the setting value of the healthcare mat in the smartphone. Therefore, the means for the setting may be provided on the healthcare mat or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set through a smart phone. In addition, the setting may be such that the simple setting is provided in the healthcare mat, and the more complicated setting is performed in the smartphone. Therefore, the means for the setting can be provided at any one of the healthcare mat and the smartphon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pparatus having the means for setting these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user. In some cases, a means for setting may not be necessary.

상기 설정이 필요한 정보에 대해서도 헬스케어 매트상의 음식물의 위치나 종류를 포함해서, 헬스케어 매트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사용자 정보(ID, 이름, 나이, 성별, 몸무게, 등), 통신을 위한 정보(접속 포트, 통신 수단, 패스워드, 등)를 포함하여 다양한 설정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Information (ID, name, age, sex, weight, etc.) necessary for using the healthcare mat,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port , Communication means, password, etc.) may be required.

BLE 전송(130)은 비콘(beacon)을 송수신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헬스케어 매트와 스마트폰 사이의 통신을 위한 수단이다. 헬스케어 매트는 음식물의 무게 정보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스마트폰에서 음식물의 섭취 속도와 섭취량을 산출하도록 하고, 스마트폰은 헬스케어 매트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설정하거나, 특정 정보를 요청하는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BLE transmission 130 is a means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healthcare mat and the smartphon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eacon to perform near-field communication. The healthcare mat periodically transmits information on dietary intake including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food, so that the smartphone can calculate the rate and amount of food intake, and the smartphone sets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use the healthcare mat, And transmit the requesting beacon signal.

여기서 헬스케어 매트는 비록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갖춘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헬스케어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스마트폰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예컨대 식당에 미리 설치된 헬스케어 매트를 구비한 식탁을 통해서 헬스케어 서버(300)과 접속하여(예: 로그인) 자신이 필요한 음식물 정보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자신의 칼로리 정보를 헬스케어 매트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자신의 식사량과 섭취한 음식물의 칼로리 량을 체크할 수 있다.Here, the healthcare mat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healthcare server 300 by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a gateway having a Bluetooth interface, even if the user does not have a smartphone. In this case, even if the smartphone is not provided, the user can access the healthcare server 300 (for example, login) through a dining table equipped with a healthcare mat pre-installed in a restaurant and transmit dietary information including the necessary food information And displays his / her calorie information on the display of the healthcare mat in real time so as to check his or her meal amount and the calorie amount of the ingested food in real time.

여기서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단은 근거리 통신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중거리나 장거리 유무선 통신 수단을 포괄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통신수단은 블루투스, RFID, 지그비, 와이파이, 4G, 이더넷 등 통신 수단의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Here, the mean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is not limited to short-range communication, but it is possible to utilize medium-range or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omprehensively as needed. That is, the communication means is not limited to the kinds of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RFID, ZigBee, WiFi, 4G, and Ethernet.

헬스케어 매트(100)는 그 설치되는 장소와 인프라에 따라서, MCU(120)에는 별도의 OS가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앱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보다 다양한 다이어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The healthcare mat 10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OS in the MCU 120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and infrastructure of the healthcare mat 100 so as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the application, have.

물론 스마트폰(200)에는 헬스케어 서버(300)에서 다운로드받은 헬스케어 앱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서 주변의 헬스케어 매트를 스캔하여 자신이 사용하는 스마트 매트와 연결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스마트 매트에서 전송되어 오는 정보를 수집하여 헬스케어 서버(300)로 제공받은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와 조합하여 사용자의 칼로리 관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양한 식품의 영양정보 및 칼로리 정보를 서버를 통해서 제공받아 헬스케어가 이루어진다.Of course, the smart phone 200 is installed with a healthcare application downloaded from the healthcare server 300, and can scan the surrounding healthcare mats and connect to the smart mats used by the user. In add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mat in real time is collected and combined with calorie information of the food provided to the healthcare server 300, thereby enabling calorie management of the user. That is, nutritional information and calorie information of various foods stored in the database are provided through a server, and health care is performed.

또한 상기 스마트폰은 별도의 서버와 접속할 필요 없이, 바로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자신의 헬스케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식품의 영양정보 및 칼로리 정보를 스마트폰에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이를 이용하여 헬스케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can perform its own healthcare through a healthcare app directly without connecting to a separate server. In this case, the nutrition information and the calorie information of the food are stored in the smartphone in advance, and the health care can be performed using the information.

그러나 헬스케어 서버(300)와 연결하여 SNS와 연계된 다양한 형태의 식이조절 빅 데이터 시스템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식단을 관리하고, 헬스케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SNS와 연계하면 기본적인 영양정보나 칼로리 정보 이외에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SNS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경험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기본정보에는 포함되지 않는 음식물 정보와 칼로리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특정 음식물에 대한 부가적인 부작용이나 연관되는 음식물과의 작용 관계를 통해 각 개인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하여 식이조절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보는 한 시점에서 모든 정보가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새로운 정보로 진화해 가므로, 사용자는 항상 새로운 음식물과 칼로리 정보를 획득하여 자신의 헬스케어에 활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However,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healthcare server 300 to manage diets more efficiently through various types of dietary control big data system associated with the SNS, and to perform health care. In other words, in connection with SNS, it is possible to utilize various experience information obtained from other users through SNS in addition to basic nutrition information and calorie information. In other words, food information and calorie information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basic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d dietary control can be performed considering the adverse side effects on specific foods, It is because. Because this information does not complete all the information at a single point but evolves into new information continuously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user must always obtain new food and calorie information and use it in his / her own health care.

헬스케어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음식물 정보와 해당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를 기본적으로 제공하지만, 이외에도 음식물들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및 지병의 유무에 따라 해당 음식물이 미칠 수 있는 전문가의 임상자료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이어트를 위한 특화된 시스템을 서버에 구현한 것이다. 그 밖에도, 헬스케어 서버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타 SNS 서버(400)와 접속하여 상호 교류할 수 있다.The healthcare server 300 basically provides various kinds of food information and calorie information of the food to the user. However, the healthcare server 300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oods, Because it can contain clinical data of experts, it is a server-specific system for dieting. In addition, the healthcare server can exchange information held by the healthcare server with other SNS server 400 and exchange with each other.

또한, 헬스케어 매트는 음식물 무게센서의 위치에 따른 음식물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음식물의 종류나 위치에 따라 식단을 꾸밀 수 있고, 이러한 사항은 복잡하므로 음식물 위치를 자동으로 기억하거나 추적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맞춤형 식단을 제시하고 그 섭취결과를 기록함으로써, 음식물 섭취에 대한 자가 수치화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lthcare mat can set the type of foo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od weight sensor, and can decorate the food according to the type and position of the food. Since the matters are complicated, the position of the food can be automatically memorized or tracked have. Through this, a personalized diet can be presented to the user and the result of the ingestion can be recorded, thereby realizing the self-evaluation of the food intake.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로컬 센서노드와 통신함으로써, 원격지에서 보다 편리하게 헬스케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헬스케어 매트위에 올려놓은 식사량의 무게를 측정해서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으로 전송해 주는 게 가능하다. 예를 들어 헬스케어 매트에서는 음식물의 무게 변화를 1초 단위로 측정하고 측정된 누적 데이터를 5초에 한 번씩 스마트폰에서 요청하면 보내줄 수도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에 누적된 데이터는 식사가 끝나면 헬스케어 서버로 정보가 업로드되어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local sensor node using the local communication means,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healthcare service more conveniently at the remote place. To do thi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food placed on the healthcare mat and transmit it to the smartphone in real time. For example, a healthcare mat may measure the change in weight of food in 1-second increments and send the measured cumulative data once every 5 seconds on a smartphone. The data accumulated in the smartphone can be monitored at the remote site after the information is uploaded to the healthcare server after the mea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신의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사량과 섭취 열량을 산출하여 목표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target value by calculating a metabolic rate and an intake calorie based on the user's own biometric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여 스마트폰에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음식물을 섭취하였을 경우 칼로리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음식물 섭취량을 측정하여 1일 기초대사량과 평균 섭취 열량(칼로리)을 산출하여 건강한 식이요법을 위한 섭취 열량의 목표치를 보여준다.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를 선택하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해당 음식물의 그램(g)당 칼로리에 대한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특정 사용자의 칼로리 맵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칼로리 목표치를 세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칼로리 권장 목표치에 도달하기 전 사용자에게 알람을 주어 섭취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식사량은 식사를 함에 따라 음식물의 무게가 감소하는 량을 측정하여 이에 따른 섭취 속도를 알려준다. 또한 자이로센서, 만보기, 진동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고, 사용자가 일이나 운동을 통해 소모한 칼로리를 안내한다.As shown in FIG. 2, a user collects his or her biometric data and records the biometric data on a smart phone, and provides a calorie map when various foods are consumed based on the collected biometric data. In other words, based on the user's biometric data, the daily intake of food is measured to calculate the basic metabolic rate and the average calorie intake (calorie) to show the target value of the calorie intake for a healthy diet. If you select the type of food you are going to ingest, you can retrieve calorie data per gram (grams) of the food through the database and provide a calorie map of a specific user in real time. The user can set the calorie target and allow the user to be given an alarm to adjust the intake before reaching the calorie recommended target. The amount of food is measured by the amount of weight of the food as it is consumed, and the rate of intake is indicated. It also measures the activity of the user through a gyro sensor, pedometer, vibration sensor, or a combination of these, and guides the calories consumed by the user through work or exercis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에 대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음식물 섭취에 대한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사물인터넷 기기를 통해서 수행하고자 한다. 종래의 피트니스 밴드 제품의 자가 수치화 기능 중 음식물 섭취에 대한 정보를 자가 수치화하는 기능은 수기로 정보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피트니스나 헬스 케어 분야에서 탄수화물 섭취 관리는 매우 중요하나 자가 수치화가 되지 않고 있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real-time self-quantification of food inta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e will perform real-time self-quantification of food consumption through internet devices. The self-quantification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fitness band product is a function of self-quantifying information on the consumption of food, which is required to input information by hand. Thus, in the fitness and healthcare sectors, carbohydrate intake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but not self-assessed.

본 발명에서는 헬스케어 매트를 이용하여 실시간 자가 수치화를 수행하고자 하며, 그 절차로서 먼저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식단을 설정한다(S110). 다음으로 다이어트 메트를 통해서 사용자의 식사량을 측정한다(S120). 헬스케어 매트의 플레이트에 올라가는 다양한 음식물에 대해 실시간으로 칼로리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측정한 식사량이 설정치 이상이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송출한다(S130). 또한 무게 보정 기능을 통해 정확한 데이터의 측정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서 식사 방법이나 환경에 따른 무게의 변동을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알고리즘은 식사 속도, 음식물의 종류, 식사 중에 새로운 음식물이 추가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그때 마다 음식물과 칼로리의 매칭을 수행하여 칼로리를 산출해 내는 것을 말한다. 또한 헬스케어 매트는 접이형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간편한 휴대가 가능하고,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원격 모니터링을 통해 내가 섭취하는 식사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식이 조절 프로그램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섭취한 음식물에 따른 칼로리를 확인하고 소모한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의 소모를 확인한다(S140). 이렇게 산출되거나 수집된 칼로리 정보는 헬스케어 서버를 통해 상기 수집 혹은 산출된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헬스케어 매니저에 상기 정보를 제공한다(S150). 그리고 상기 데이터는 소셜 기능을 이용하여 SNS 서버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S160).In the present invention, real-time self-quantification is performed using a healthcare mat. First, the user sets a diet through the healthcare app of the smartphone (S110). Next, the meal amount of the user is measured through the diet mat (S120). It is possible to measure calories in real time for various foods on the plate of a healthcare mat. If the measured food amount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an alarm is sent to the user (S13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ccurate data through the weight correction function.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use an algorithm for correcting the variation of the weight depending on the eating method or the environment. That is, the algorithm refers to calculating the calories by performing matching between food and calorie each time considering a meal speed, a type of food, and a case where new food is added during a meal. In addition, the healthcare mat is configured as a foldable type, which makes it easy to carry and ensure mo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anytime and anywhere. In addition, remote monitoring allows me to check the amount of food I eat, so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dietary control progra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calories of the foods consumed in real time and to consume the calories consumed according to the consumed amount of exercise (S140). The calorie information calculated or collected is stored in the database and collected by the healthcare server and provided to the healthcare manager (S150). The data can be shared through the SNS server using the social function (S160).

지금까지 수행한 절차에 따라 헬스케어 매트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스마트폰의 헬스케어 앱을 통하거나 혹은 직접적으로 헬스케어 서버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사물인터넷 기술을 사용하여 음식물 섭취에 따른 칼로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가 수치화할 수 있는 것이며, 자가 수치화된 정보는 사용자 개인의 헬스 케어, 다이어트, 혹은 피트니스 등의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cedure that has been performed so far,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healthcare mat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through the healthcare app of the smartphone or directly through the healthcare server. This process can be used to quantify calorie information in real time using food internet technology, and self-quantified information can be used for personal healthcare, diet, or fitness.

지금까지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은 헬스케어 매트(100), 헬스케어 앱(200), 및 헬스케어 서버(300)으로 구성되며, 헬스케어 매트만 구비하여도 일정 부분의 다이어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헬스케어 앱과 헬스케어 서버를 구비할수록 더욱 더 정교하고 세련된 헬스케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bject-based healthca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ealthcare mat 100, a healthcare application 200, and a healthcare server 300, and even if only a healthcare mat is provided, , But the more health care apps and healthcare servers are provided, the more sophisticated and sophisticated health care functions can be provided.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및 헬스케어 서버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ealthcare mat, a healthcare application, and a healthcar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헬스케어 매트는 이전에서 설명하였듯이 센서모듈, 통신 인터페이스, 무게변화 측정부, PHR 인터페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의 제어를 총괄적으로 수행할 펌웨어가 더 포합될 수 있다. 펌웨어는 일종의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헬스케어 매트의 전체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와 결합하여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프로그램된 것이므로, 사용자가 각 헬스케어 매트의 펌웨어를 갱신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식사량의 무게정보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수집하는 전자저울 이외에도 혈압, 혈당수치, 체중, 맥박 등을 각각 측정하는 측정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First, the healthcare mat may include a sensor module, a communication interface, a weight change measuring unit, a PHR interface, or a combination thereof as described above, and may further incorporate firmware for performing control over the control modules. Firmware is a kind of control function, and the entire hardware of the healthcare mat is programmed to work in combination with the software, so the user can update the firmware of each healthcare mat. The senso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meter for measuring a blood pressure, a blood glucose level, a body weight, a pulse and the like in addition to an electronic balance for collecting dietary intake information including weight information of a meal amount.

다음으로 헬스케어 앱(200)은 통신 기능을 통해서 송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에서 이 데이터를 받아서 원하는 칼로리 관리 및 헬스케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WiFi(와이파이)나 4G 등의 통신 수단은 단말인 스마트폰의 네트워크 연결 조건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 조건을 선택하여, 예컨대 헬스케어 매트와는 블루투스를 통해서 접속하고, 헬스케어 서버와는 와이파이나 4G와 같은 통신 수단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헬스케어 앱은 헬스케어 매트에서 측정된 음식물의 무게에 대한 변화를 헬스케어 서버로부터 추출한 음식물에 따른 칼로리 정보와 매칭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양을 칼로리로 환산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칼로리에 대한 설정치와 비교하여 알람을 발생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Next, the healthcare application 200 can receive the data from the application program (app) us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function, and perform the desired calorie management and the health care function. Here, th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WiFi (Wi-Fi) or 4G selects the most efficien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dition according to the network connection condition of the smart phone as the terminal, connects to the healthcare mat through Bluetooth, 4G. ≪ / RTI > The healthcare app running on the smartphone matches the change in the weight of the food measured in the healthcare mat with the calori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ood extracted from the healthcare server to convert the amount of food consumed by the user into calories, And generates an alarm in comparison with the set value for the set calorie.

헬스케어 서버(300)는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혹은 다어어트 매트를 통해서 수집된 각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 정보와 섭취한 음식물 정보를 토대로 각 사용자마다 몸무게, 섭취한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The healthcare server 300 stores and stores user data including the weight and the calorie information of the consumed food for each user based on the food intake information of each user collected through the healthcare application or the datar mat, Management.

각 사용자는 고유의 식별정보를를 가지며, 헬스케어 매트의 경우에도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진다. 또한 상기 헬스케어 서버는 소셜 서비스를 통해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다른 SNS 서버와 공유하기도 하지만, 외부 SNS 서버로부터 음식물 정보를 수집하기도 한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빅데이터로 활용되는 로우 데이터가 되고, 이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Each user ha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even in the case of a healthcare mat, ha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so, the healthcare server may share the information held by the healthcare server with another SNS server through a social service, but collects food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NS server.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stored in a database and becomes raw data used as big data, and it is processed to provide desired information to a user.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및 헬스케어 서버의 처리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to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flow of a healthcare mat, a healthcare application, and a healthcar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스케어 매트에서는 통신연결이나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거나 측정하기 위한 위치와 같이 필요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S210). 다음으로 상기 설정치에 따라 최초 무게를 먼저 측정하게 된다(S220). 이렇게 하면 최초 무게가 측정되고, 이를 기준값 설정 데이터라고 보면 된다. 다음으로 무게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목표치 도달 여부를 검토하고 이로부터 식사 속도에 대해서도 그 데이터를 산출하게 된다(S230). 이와 같이 음식물 무게 변화 및 음식물의 변화 속도를 통해 최종적으로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서 전송할 데이터를 도출하여 스마트 앱이나 스마트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5 to 7, the healthcare mat can set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a communication connection or a position for measuring or measuring the weight of food (S210). Next, the initial weight is measured first according to the set value (S220). This way, the initial weight is measured and this is the reference value setting data. Next, the weight is continuously measured, and through this, the target value is examined whether or not the target value has been reached, and the data is also calculated for the meal rate from this (S230). In this way, the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means is finally derived through the weight change of the food and the speed of the change of the food, and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mart app or the smart server.

스마트 앱에서는 먼저 앱을 활성화하고 사용자가 원하거나 시스템에서 추천한 식단을 선택하게 된다(S310). 선택된 식단에 따라 식사량이 측정된다(S320). 다음으로 설정된 목표 칼로리와 섭취한 칼로리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음식물의 섭취 속도를 산출하여 화면에 표시해준다(S330). 또한 단말의 화면에는 스마트 앱을 통해서 산??나 최종 결과 및 연관 데이터를 표시한다(S340).In the smart app, first, the user activates the app and selects a menu that the user wants or recommends from the system (S310). The amount of food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selected diet (S320). Next, the target calorie set and the calories consumed are checked in real time, and the food intake rate is calcul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S330). In addition, the terminal displays final results and related data through a smart app (S340).

헬스케어 서버(300)의 경우, 먼저 헬스케어 앱이나 헬스케어 매트에 접속한다(S410). 접속한 후에는 상기 헬스케어 매트나 헬스케어 앱이 접속하기 시작했다는 정보를 로그에 남긴다. 즉 로그인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식사가 시작되었다는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S420). 다음으로 식사 종료 시 식사과정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기록하게 된다(S430). 즉, 식사 과정에서 어떤 음식물의 무게가 얼마나 빨리 줄어드는지 모든 정보를 취합하여 기록한다. 다음으로 헬스케어 서버는 헬스나 헬스케어에 대한 관리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SNS를 통해서 공유한다(S440).In the case of the healthcare server 300, the user first accesses the healthcare application or the healthcare mat (S410). After the connection, the information that the healthcare mat or healthcare app has started to access logs in the log. That is, login information is recorded. In add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eal has started is recorded (S420). Next, the data of the meal process is collected and recorded at the end of the meal (S430). In other words, collect and record all information about how quickly the weight of a food decreases in the course of a meal. Next, the healthcare server provides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healthcare or healthcare, and also share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SNS (S440).

본 발명에서는 헬스케어 매트와 관련하여 무게를 특정할 수 있는 그릇 받침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그릇 받침은 무게 센서와 상기 무게센서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한 다양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헬스케어 매트는 그 케이스를 실리콘 재질의 받침으로 x 자형의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휴대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shape of a bowl support that can specify the weight in relation to the healthcare mat. In addition, the bowl rest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includes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including a weight sensor and a low-power Bluetooth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obtained from the weight senso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lthcare mat is made of an x-shaped folding type of a case made of a silicone material to improve portab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는 다른 건강 계측용 기기와 호환이 되도록 블루투스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면, 종래의 건강관련 기기 회사(예: Fitbit)와 제휴를 통해 해당 회사의 앱에서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healthcar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Bluetooth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so as to be compatible with other health measurement devices. For example, a healthcar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company's app through cooperation with a conventional health-related device company (e.g., Fitbit).

또한 무게 데이터의 보정을 위해서 그릇을 누르거나 들었다 내려놓는다든지 아니면 그릇에 새로운 음식물을 추가한다든지 여러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이를 위한 규칙적인 패턴을 추출하여 해당 행위에 대한 인식을 수행한다. 즉, 헬스케어 매트에 그릇이 놓인 장소가 지나치게 무게가 상승하여 도저히 음식물의 무게로 인정하기 어려운 경우이거나, 음식물이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늘어나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음식물이 그릇을 포함하여 완전히 그 무게가 제로로 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그 이전에 감지하였던 무게 정보를 복구하여 다음부터는 신뢰할 수 없는 정보로 취급하여 칼로리 계산을 하지 않는다. 즉, 무게가 최초 무게보다 더 무거워 졌을 경우, 무게 데이터가 하향 곡선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전에 측정한 무게보다 올라갔을 때, 무게가 0이 되었을 경우, 또는 뷔페, 초밥 등 특수한 경우에 헬스케어 앱에서 모드 선택을 통해 지속적으로 해당 무게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Also, there are various possibilities such as pressing a bowl, lifting and dropping a bowl for calibration of weight data, or adding new food to a bowl, so that a regular pattern for this is extracted and the recognition of the action is performed. That is, if the place where the bowl is placed on the healthcare mat is too heavy to recognize as the weight of the food, or if it is proved that the food does not decrease but rather grows, , The weight information previously detected is restored and treated as unreliable information from the next time, so that calorie counting is not performed. In other words, if the weight is heavier than the initial weight, the weight data should be downwardly curved. If the weight is higher than the previous weight, the weight becomes zero, or in special cases such as buffet or sushi, The weight data can be continuously measured through selection.

근거리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BLE, 블루투스 4.0)을 이용하여 전력소모량을 낮출 수 있으나, 이러한 통신 방식은 날로 새롭게 개선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헬스케어 매트가 특정 근거리 통신 수단만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효율적인 통신 방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using low-power Bluetooth (BLE, Bluetooth 4.0) in short-range communication, since the communication method is newly improved, the healthcare ma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ort- It is desirable to be designed so as to be able to accommodate an efficient communication method of the type.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매트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은 3V 리튬전지(동전형)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지에 대한 교환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LE와 MCU의 경우 3V로 구동이 가능하지만, 무게 센서의 경우 새로운 전원을 설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게 센싱 방식으로는 로드셀, 커패시터, FSR, 기타 압력센서 중 효율적인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ower source required for the healthcar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3V lithium battery (coin type), and the exchange signal for the battery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display. For example, BLE and MCU can be driven at 3V, but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and use a new power supply for the weight sensor. The weight sensing method can be applied to load cell, capacitor, FSR and other pressure sensor efficiently.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앱의 주요 기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exemplary functions of a healthcar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먼저 헬스케어 앱은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와 목표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다이어트를 위한 프로그램 강도를 지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체중을 94Kg에서 74Kg으로 감량하고자 할 경우 이에 대한 프로그램을 설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무게측정 디바이스인 헬스케어 매트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취득하여 칼로리 정보를 전환하여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 한다.First, the healthcare app provides an interface to set basic information and goals for the user. That is, the program intensity for the diet can be designated. For example, when the weight is to be reduced from 94 kg to 74 kg, a program for the program is set. Next, the data received from the healthcare mat, which is a weight measuring device, is acquired, and the calorie information is converted and displayed on the smartphone.

스마트폰 앱의 주요 기능으로는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 기록,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폰에 저장된 전화번호 상의 친구 또는 소셜 네트워크상의 친구와 공유 할 수 있는 SNS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칼로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음식물과 관련한 칼로리 정보를 가져와서, 기본 정보와 헬스케어 매트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헬스케어를 수행한다. 즉, 입력되는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식사 속도를 체크하고, 자이로, 만보기 등과 같은 다른 앱과의 연동을 통해서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를 측정하고, 이를 반영하여 헬스케어를 총괄적으로 수행한다.Key features of smartphone apps include receiving measured data and providing analysis, recording, and notification services. It also includes an SNS feature that you can share with friends on your phone number stored on your smartphone or with friends on your social network. The calorie database also provides calorie information related to food and performs healthcare based on basic information an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healthcare mat. That is, based on the input measurement data, the user checks the meal speed, measures the calorie consumption of the user through interlocking with other applications such as gyro, pedometer, etc., and performs the health care in a comprehensive manner by reflecting the calorie consump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식사량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무게를 측정하여 칼로리를 관리하도록,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및 헬스케어 서버를 제공하여, 실제 사용자가 식사하는 양을 실시간으로 수치화하여 해당 식사에 대한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헬스케어가 이루어지도록, SNS와 연계된 식이조절 빅데이터 시스템을 통해 효율적인 식단을 제공하는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care mat, a healthcare app, and a healthcare server so as to manage the calorie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user's food in real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fficient diet through a dietary-controlled big data system associated with SNS so that a database for nutrition information and calorie information is constructed and collected and healthcare is performed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the point.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헬스케어 매트 110: 무게센서
120: MCU 130: BLE 통신
140: 디스플레이 150: PHR 인터페이스
200: 헬스케어 앱(사용자 단말) 400: SNS 서버
300: 헬스케어 서버
100: Health care mat 110: Weight sensor
120: MCU 130: BLE communication
140: Display 150: PHR interface
200: Health care app (user terminal) 400: SNS server
300: Healthcare server

Claims (9)

식사량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계측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서 인터넷으로 송신하고, 인터넷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계측 조건을 설정하는 헬스케어 매트;
상기 헬스케어 매트와 정보를 송수신하여 식단을 설정하고, 식사량에 따른 알람을 발생하며, 칼로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헬스케어 앱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헬스케어 매트, 헬스케어 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각 사용자의 다이어트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또한 이들에 각 음식물에 대한 칼로리 정보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한 식이섭취 정보를 자가 수치화하고, 해당 식품의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헬스케어를 실시간으로 언제 어디서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A health care mat for measuring dietary intake information including a weight of a meal amount, transmitting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Internet through a local communication means,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ternet, and setting measurement conditions;
A user terminal having a healthcare app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o and from the healthcare mat to set a diet, generates an alarm according to a meal amount, and confirms calories; And
And a healthcare server that collects dietary data of each user through the healthcare mat, the healthcare applic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also provides calori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diets to the user,
Wherein the measured dietary intake information is self-quantified, and the nutrition information and the calorie information of the food are stored in a database so that the health care can be performed at any time in real ti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매트의 기능은,
자체에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설정되거나, 외부에서 구동된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설정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설정되며,
상기 헬스케어 매트의 통신수단은,
블루투스, RFID, 지그비, 와이파이, 이더넷,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통신 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서 비콘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상호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unction of the healthcare mat may include,
Or may be set through an externally driven healthcare applic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healthcare mat includes:
And a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Bluetooth, RFID, ZigBee, Wi-Fi, Ethernet,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ransmits and receives beacon signals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to transmit and receive mutual information. Healthcare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앱은,
헬스케어 매트에 직접 설치되거나,
스마트폰, 노트북 PC, 태블릿 PC, 범용 PC, 또는 노트 패드를 포함한 유무선 단말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lthcare app,
Installed directly on a healthcare mat,
And is installed and used in a wired /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a notebook PC, a tablet PC, a general purpose PC, or a notepa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앱은,
상기 헬스케어 매트로부터 음식물 섭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헬스케어 서버로부터 음식물에 대한 칼로리 정보를 수집하여,
이들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에 대한 무게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 속도와 섭취한 음식물의 칼로리를 산출하여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lthcare app,
Collecting information on food intake from the healthcare mat,
Collecting calorie information about foods from the healthcare server,
Wherein the weight of the user's food intake is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food intake rate and the calorie of the food consumed by the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서버는,
상기 헬스케어 매트나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음식물에 대한 칼로리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헬스케어 매트나 헬스케어 앱에서 요청할 경우, 해당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lthcare server includes: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healthcare mat or the healthcare application is stored in a database, the calorie information about the food is collected from the outside and stored in the database,
Wherein the calorie information of the food is extracted from a database and provided when requested by the healthcare mat or the healthcare app.
헬스케어 매트나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식단을 설정하는 단계;
헬스케어 매트를 통해서 섭취한 음식물의 무게를 포함한 식이섭취 정보를 계측하는 단계;
상기 계측한 정보가 설정치 이상이면 헬스케어 앱을 통해서 알람을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따른 칼로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소모한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 소모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한 식이섭취 정보를 자가 수치화하고, 해당 식품의 영양 정보 및 칼로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헬스케어를 실시간으로 언제 어디서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방법.
Setting a diet through a healthcare mat or a healthcare app;
Measuring dietary intake information including the weight of the food ingested through the healthcare mat;
Sending an alarm through the healthcare app if the measured information is greater than a set value; And
Checking the calorie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checking calori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consumed amount of exercise,
Wherein the measured dietary intake information is self-quantified, and nutrition information and calorie information of the food are stored in a database so that healthcare can be performed at any time in real tim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매트는,
음식물 섭취 목표치 설정 및 통신 연결 단계;
음식물 무게 측정을 통한 기준값(초기값) 설정 단계;
음식물 무게의 변화 측정을 통한 음식물 섭취량 측정 단계;
음식물 섭취량의 목표치 도달여부 체크 및 식사 속도 추출 단계; 및
최종 음식물 무게를 측정하여 최종 음식물 섭취량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음식물 섭취량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health care mat
Establishing food intake goals and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s;
Setting a reference value (initial value) by measuring food weight;
Measuring food intake through measurement of changes in food weight;
Checking whether the food intake has reached the target value and extracting the meal rate; And
And measuring a final food weight to derive a final food intake amount, wherein the measurement of the food intake amount is perform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앱은,
헬스케어 앱 활성화 및 식단을 선택하는 단계;
음식물 섭취량을 측정하는 단계;
음식물 섭취량의 목표치 섭취 칼로리 체크 및 음식물 섭취 속도 산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최종 음식물 섭취에 따른 칼로리와 연관된 정보를 표시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헬스케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healthcare app,
Activating a healthcare app and selecting a meal;
Measuring a food intake;
Calculating a target calorie intake and a food intake rate of the food intake; And
And display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calories associated with the ingestion of the final food on a display user terminal.
청구항 6에 있어서,
헬스케어 서버를 통해 상기 섭취한 음식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SNS 서버를 통해 상기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Storing information on the consumed food in a database through a healthcare server; And
And sharing the information through the SNS server. ≪ Desc / Clms Page number 19 >
KR1020140101073A 2014-08-06 2014-08-06 A SYSTEM FOR HEALTH CARE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 KR1016717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73A KR101671778B1 (en) 2014-08-06 2014-08-06 A SYSTEM FOR HEALTH CARE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73A KR101671778B1 (en) 2014-08-06 2014-08-06 A SYSTEM FOR HEALTH CARE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483A true KR20160017483A (en) 2016-02-16
KR101671778B1 KR101671778B1 (en) 2016-11-02

Family

ID=5544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073A KR101671778B1 (en) 2014-08-06 2014-08-06 A SYSTEM FOR HEALTH CARE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77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846A1 (en) * 2016-07-20 2018-01-25 정광철 Smart tray for measuring food intake and weight change, and weigh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KR20180011640A (en) * 2016-07-25 2018-02-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BEACON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SMART DEVICES BASED ON CoAP MESSAGE
KR20180071786A (en) * 2016-12-20 2018-06-28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anonymizing user information of Healthcare Smart Home
WO2019059500A1 (en) * 2017-09-21 2019-03-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maintaining healthy lifestyle for patient with schizophrenia in conjunction with app installed in smartphone
IT202100021500A1 (en) * 2021-08-06 2023-02-06 Pico Ideas Srls Power parameters evalu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093B1 (en) 2016-12-20 2018-02-02 주식회사 쿨시스템 Memb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user wellness dat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9742A (en) * 2008-08-05 2010-02-18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Eating/drinking managing/analyzing system for customer in restaurant
KR20140089729A (en) * 2013-01-07 2014-07-1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Automatic calorie caculation method using food image and feeding behavior managing system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9742A (en) * 2008-08-05 2010-02-18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Eating/drinking managing/analyzing system for customer in restaurant
KR20140089729A (en) * 2013-01-07 2014-07-1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Automatic calorie caculation method using food image and feeding behavior managing system using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846A1 (en) * 2016-07-20 2018-01-25 정광철 Smart tray for measuring food intake and weight change, and weigh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US11443844B2 (en) 2016-07-20 2022-09-13 Kwang-Cheol Jeong Smart tray for measuring food intake and weight change, and weigh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KR20180011640A (en) * 2016-07-25 2018-02-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BEACON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SMART DEVICES BASED ON CoAP MESSAGE
KR20180071786A (en) * 2016-12-20 2018-06-28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anonymizing user information of Healthcare Smart Home
WO2019059500A1 (en) * 2017-09-21 2019-03-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maintaining healthy lifestyle for patient with schizophrenia in conjunction with app installed in smartphone
IT202100021500A1 (en) * 2021-08-06 2023-02-06 Pico Ideas Srls Power parameters evalu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778B1 (en)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778B1 (en) A SYSTEM FOR HEALTH CARE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
CN100517345C (en) Managing system and managing method of organism information
AU2016343818B2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latform designed for digital health management and support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CN108141714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sonalized, automatic construction of peer-derived messages for mobile health applications
CN104867081B (en) A kind of intelligent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2448538B (en)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diagnostic and/or treatment signals to enhance obesity treatments
JP2020184349A (en) Health tracking device
US937514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12639989B (en) Background annotation of medical data
US20100145209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amount of exercise, system for measuring amount of exercise, and method for measuring amount of exercise
KR102004438B1 (en)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based on collecting user’s health habit information
JP6394149B2 (en) Life activity analysis device, life activity analysis system, life activity analysis method and program
Reza et al. Development of android based pulse monitoring system
Tsao et al. An IoT-based smart system with an MQTT broker for individual patient vital sign monitoring in potential emergency or prehospital applications
JP2014074976A (en) Exercise support system
Sayeed et al. Bluetooth Low Energy (BLE) based portable medical sensor kit platform with cloud connectivity
TWM548864U (en) Pointized health management system
KR20190007609A (en) Interactive health manigement system and method base on internet of things
JP2007286947A (en) Health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JP2005157985A (en) Foodstuff providing system
Georgi et al. Wellness sensors and proprietary protocols, a solution for health monitoring?
KR20160038114A (en) Smart measurement system for ubiquitous health care, control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application saved in th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being combined with hardware
JP7395187B2 (en) Management systems and programs
WO2021210209A1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KR20130049236A (en) Obesity management system, and a server and application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e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