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383A -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383A
KR20160017383A KR1020140100637A KR20140100637A KR20160017383A KR 20160017383 A KR20160017383 A KR 20160017383A KR 1020140100637 A KR1020140100637 A KR 1020140100637A KR 20140100637 A KR20140100637 A KR 20140100637A KR 20160017383 A KR20160017383 A KR 20160017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i
server
smartphone
payment
f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관
Original Assignee
비젼팩토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젼팩토리(주) filed Critical 비젼팩토리(주)
Priority to KR1020140100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383A/ko
Publication of KR20160017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시 요금 결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탑승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서는 택시 카드결제기와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달된 정보에 따라 운행요금을 확정하며, 상기 확정된 운행요금을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택시요금은 현금 또는 카드결제방식으로 여러 가지 번거로움이 있는바, 이를 개선한 본 발명은 택시의 요금을 계산하는 택시 미터기와, 상기 택시 미터기에서 계산된 요금을 결제하는 택시용 카드결제기가 구비된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택시용 카드결제기에 탑재되고, 탑승자가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스마트폰의 와이파이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운행기본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운행종료시 택시 미터기에서 계산된 운행요금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와이파이 모듈과; 탑승자의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며, 상기 와이파이 모듈에 로그인하면 스마트폰의 개인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 부터 전송된 운행확정정보에 의해 요금을 결제하는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와이파이로 로그인된 스마트폰의 개인정보와 택시의 운행기본정보를 전달받고, 운행요금이 포함된 운행확정정보를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 및 택시용 카드결제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은 탑승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요금이 결제되므로, 신뢰성과 편이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본운행정보와 운행확정정보를 통해 탑승자의 행적이 명확하게 확인되므로, 이를 미리 지정된 휴대폰으로 발송하여 안심귀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Payment system of taxi fare using for smart phone and it's control process }
본 발명은 택시 요금 결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탑승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서는 택시 미터기에서 계산된 운행요금을 택시용 카드결제기와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며, 상기 운행요금을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시요금은 현금 또는 카드결제기를 통해 결제되므로, 현금으로 소지하지 않는 경우 또는 카드결제기가 고장난 경우에는 택시요금을 결제하지 못하였다.
특히 수수료문제로 인해, 택시 운전자가 카드결제기를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여 대부분의 탑승자는 택시를 잡기전에 자신이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지 체크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교통카드를 이용한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특허출원 제10-2002-0011031호)(이하, '선행발명1'이라 함)은 교통카드로 요금결제를 수행한 후, 요금데이터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다시 데이터수집기를 통해 정보관리컴퓨터를 통해 관리하고, 추후 교통카드를 통해 결제한 택시요금을 교통카드결제원에서 다시 택시회사의 특정계좌로 지불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그러나, 위 선행발명1은 교통카드를 구입해야 하는 전제가 필요하고, 최종 결제를 위해서는 다시 교통카드결제원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휴대폰을 이용한 택시요금 결제방법(특허출원 제10-2006-64606)(이하, '선행발명2'라 함)에서는 택시 미터기에 의해 계산된 택시 운행요금과 결제자 휴대폰 번호를 결제신청단말기에 입력하고 서버의 제어에 따라 결제정보와 승인암호를 교환하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위 선행발명2는 문자전송방식으로 구현되고, 여러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방식으로 결제의 어려움이 오히려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탑승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서는 택시 미터기에서 계산된 운행요금을 택시용 카드결제기와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며, 상기 운행요금을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은 택시의 요금을 계산하는 택시 미터기와, 상기 택시 미터기에서 계산된 요금을 결제하는 택시용 카드결제기가 구비된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택시용 카드결제기에 탑재되고, 탑승자가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스마트폰의 와이파이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운행기본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운행종료시 택시 미터기에서 계산된 운행요금에 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와이파이 모듈과; 탑승자의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며, 상기 와이파이 모듈에 로그인하면 스마트폰의 개인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 부터 전송된 운행확정정보에 의해 요금을 결제하는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와이파이로 로그인된 스마트폰의 개인정보와 택시의 운행기본정보를 전달받고, 운행요금이 포함된 운행확정정보를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 및 택시용 카드결제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은 탑승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의 운행요금이 결제되므로, 운전자의 임의조작을 방지하여 택시요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온라인 결제를 지원하여 요금결제의 편이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에 저장된 기본운행정보와 운행확정정보를 통해 탑승자의 행적이 명확하게 확인되므로, 이를 미리 지정된 휴대폰으로 문자발송하여 안심귀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은 탑승객이 스마트폰으로 구동하는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다 간편하게 택시요금 결제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특히, 은행 및 카드사를 포함하는 금융권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앱카드의 부가서비스로 탑재하여 탑승자의 요금결제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운행정보에 따라 정확한 택시요금결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시용 카드결제기(10)에 탑재되고, 탑승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을 구동하면 스마트폰의 와이파이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택시의 정보와 현재 위치 및 시간이 포함하는 운행기본정보를 서버(30)로 송신하는 와이파이 모듈(11)과; 탑승자의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며, 상기 와이파이 모듈에 로그인하면 스마트폰의 개인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하고, 운행종료시 택시의 운행확정정보를 서버(30)로부터 전달받는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과; 상기 와이파이로 로그인된 스마트폰의 개인정보와 택시의 운행기본정보를 전달받고, 운행종료시 결제에 필요한 운행확정정보를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 및 택시용 카드결제기(10)로 전송하는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은 탑승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에 별도로 설치하는 것으로서, 설치단계에서 개인정보(이름, 전화번호, 결제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도1에 표시된 원번호(①∼⑧)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진행순서에 따라 기재한 것으로, 이하 번호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동일번호는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며,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따라 일부 순서의 변동 또는 상이함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상기 택시에 설치되는 와이파이모듈은 탑승자가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을 켜면, ① 탑승자 스마트폰의 와이파이를 강제적으로 온(ON)으로 전환시키고, 택시의 기본정보(운전자, 택시번호)와 탑승자의 스마트폰에 저장된 개인정보(탑승자, 결제정보)를 매칭(matching)시키기 위해 별도의 인증코드를 자동으로 부여하게 된다.
상기 인증코드에 따라 탑승자의 스마트폰은 자동으로 서버(30)에 로그인하게 되며, 상기 서버(30)에서는 ② 스마트폰의 개인정보를 전달받고, ③ 택시의 기본운행정보를 전달받고, 요금 결제를 대기하게 된다. 상기 기본운행정보란 택시번호, 운전자, 출발시간, 출발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요금결제를 위한 시작점이 된다.
운전자가 목적지에 도착시 수동으로 도착버튼을 누르면 택시 미터기(12)에서 계산된 ④운행요금이 서버(30)에 전송되는데, 이 경우 택시의 도착시간 및 도착위치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운행요금은 택시 미터기(12)에서 시간거리병산제에 의해 운행에 소요된 시간 및 거리에 의해 자동 계산된다.
이어서, 서버(30)에서는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 및 택시용 카드결제기(10)에 ⑤ 운행확정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운행확정정보란 운행요금, 도착시간, 도착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요금결제를 위한 종점이 된다.
즉, 상기 서버(30)에서는 탑승자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이 로그인한 시간 및 현재위치를 포함하는 운행기본정보와, 택시 미터기(12)에서 전달된 운행요금과 운행종료에 의한 택시 도착시간 및 도착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확정정보를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 및 택시용 카드결제기(1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에 표시된 택시요금을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결제버튼을 클릭함으로써 ⑥ 택시요금 결제가 가능하게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은 은행 및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앱카드에 탑재되는 부가서비스로 제공되고, 탑승자가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에서 결제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택시 운행요금이 은행자동이체 또는 카드결제중 어느 하나를 통해 지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결제신호가 금융서버(40)로 전송되면, 금융서버(30)에서는 결제가능여부를 판단하여 ⑦승인번호를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 및 서버(30)에 전송한다.
상기 금융서버(30)란, 은행 또는 카드사를 포함하는 금융권에서 전자결제를 위해 별도로 운영하는 전산센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결제 가능여부에 따라 승인 또는 거절신호를 발송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서버(30)에서는 상기 승인번호가 도착하면 다시 택시의 카드결제기(10)에 ⑧결제승인완료신호를 전송하여 택시요금의 결제가 마무리된다.
한편, 상기 와이파이 모듈은 택시용 카드결제기(10)에 직접 장착되거나 또는 카드결제기(10)의 입력단자에 삽입 결합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글(dongle)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글방식으로 구현되면, 기존의 택시용 카드결제기(10)를 대체하지 않고 일부 변경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흐름도에 따른다.
먼저,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이 실행(S10)되면 스마트폰의 와이파이가 온(ON)시키고, 택시의 와이파이 모듈에서 스마트 폰에 인증코드를 부여하는 단계(S11)가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탑승자는 와이파이를 오프(off)상태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와이파이를 강제적으로 온(on)으로 전환시키는 동작이 수행되며, 이는 와이파이의 인증코드를 통해 양자를 서로 매칭시키는 사전작업이다.
이어서, 상기 부여된 인증코드에 의해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에서는 자동으로 서버(30)에 접속(S12)하게 된다. 상기 서버(30)는 택시회사 등 외부의 별도 전산센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택시요금의 투명한 결제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접속단계에서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에서는 소유자(탑승자)의 개인정보를 서버(30)로 전송(S13)하게 되는데, 상기 개인정보는 스마트폰번호, 결제에 필요한 카드정보 등이 포함되며,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주민번호 등은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송된 개인정보는 택시요금 결제시 1회만 사용되고 바로 서버(30)에서 삭제조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이 서버(30)에 접속과 동시에 택시의 와이파이 모듈(11)에서 택시의 운행기본정보를 서버(30)로 전송(S14)하게 된다.
이는 택시의 요금결제을 위한 기본데이터로 적용되며, 후술하는 안심귀가서비스의 기본데이터로도 활용된다.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하여 운전자가 택시 미터기(12)에 구비된 지불버튼을 누르면 상기 도착신호 및 운행요금은 서버(30)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30)에서는 도착신호에 따라 운행확정정보를 택시용 카드결제기(10) 및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에 전달(S15)되고, 상기 운행확정정보는 택시용 카드결제기(10)와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에 결제정보가 표시(S16)된다.
본 발명에서는 탑승자의 편의성을 위해 현금결제와 온라인결제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며, 탑승자가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을 통해 결제를 인증(S20)하면 금융서버(40)에서는 승인번호를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 및 서버(30)로 전송하고 서버(30)에서는 택시용 카드결제기(10)로 다시 결제승인신호를 전송(S21)하며, 결제를 부인하면 현금으로 결제(S22)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본원발명은 스마트폰 보유자가 택시에 탑승한 시점 및 위치, 택시에서 내린 시점 및 위치를 미리 지정한 휴대폰에 문자발송(S30)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심귀가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는 서버(30)에 택시의 운행기본정보와 운행확정정보가 저장됨으로서 가능한 것이며, 상기 지정된 휴대폰의 번호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의 설정모드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택시용 카드결제기 11 : 와이파이 모듈
12 : 택시 미터기
20 :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
30 : 서버 40 : 금융서버
50 : 지정된 휴대폰

Claims (6)

  1. 택시의 요금을 계산하는 택시 미터기와, 상기 택시 미터기에서 계산된 요금을 결제하는 택시용 카드결제기가 구비된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택시용 카드결제기(10)에 탑재되고, 탑승자가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을 구동하면 스마트폰의 와이파이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운행기본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하고, 운행종료시 택시 미터기(12)에서 계산된 운행요금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하는 와이파이 모듈(11)과;
    탑승자의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며, 상기 와이파이 모듈(11)에 로그인하면 스마트폰의 개인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하고, 서버(30)로 부터 전송된 운행확정정보에 의해 요금을 결제하는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과;
    상기 와이파이로 로그인된 스마트폰의 개인정보와 택시의 운행기본정보를 전달받고, 운행요금이 포함된 운행확정정보를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 및 택시용 카드결제기(10)로 전송하는 서버(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11)은 택시 카드결제기(10)에 직접 장착되거나 또는 택시 카드결제기(10)의 입력단자에 삽입 결합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글(dongle)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기본정보는 탑승한 택시의 번호와 현재 위치 및 출발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운행확정정보는 택시 미터기에서 계산된 운행요금과 택시의 도착위치 및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은 은행 및 카드사를 포함하는 금융권에서 제공하는 앱카드에 탑재되는 부가서비스로 제공되고,
    탑승자가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의 결제확인버튼을 클릭하면 금융권에서 운영하는 금융서버(40)를 통해 택시 운행요금이 결제승인되고, 승인번호가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 및 서버(30)로 전송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
  5.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이 실행되는 단계(S10);
    택시의 와이파이 모듈(11)에서 스마트폰의 와이파이를 온(ON)시키고, 스마트 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에 인증코드를 부여하는 단계(S11);
    상기 부여된 인증코드에 의해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에서 서버(30)에 접속하는 단계(S12);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에서 소유자의 개인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S13);
    택시의 와이파이 모듈(11)에서 택시의 운행기본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S14);
    서버(30)에서 택시용 카드결제기(10) 및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에 운행확정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15);
    택시용 카드결제기(10)와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에 결제정보가 표시되는 단계(S16);
    탑승자가 결제를 인증(S20)하면 금융서버(40)에서는 승인번호를 스마트폰의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 및 서버(30)로 전송하고 서버(30)에서는 택시 카드결제기(10)로 다시 결제승인 완료신호를 전송(S21)하며, 결제를 부인하면 현금으로 결제(S22)되는 단계;
    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에서는 택시의 운행기본정보 또는 운행확정정보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택시요금 결제 어플리케이션(20)에서 미리 지정된 휴대폰(50)으로 문자발송하여 탑승자의 안심귀가를 보조할 수 있도록 단계(S3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40100637A 2014-08-05 2014-08-05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7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637A KR20160017383A (ko) 2014-08-05 2014-08-05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637A KR20160017383A (ko) 2014-08-05 2014-08-05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383A true KR20160017383A (ko) 2016-02-16

Family

ID=5544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637A KR20160017383A (ko) 2014-08-05 2014-08-05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3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873B1 (ko) * 2016-06-15 2016-09-08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스마트폰/택시미터기 연동을 통한 차량 상태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택시 차량 운행 시스템
KR20190054504A (ko) 2017-11-13 2019-05-22 주한서 택시 단말기를 이용한 택시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873B1 (ko) * 2016-06-15 2016-09-08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스마트폰/택시미터기 연동을 통한 차량 상태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택시 차량 운행 시스템
KR20190054504A (ko) 2017-11-13 2019-05-22 주한서 택시 단말기를 이용한 택시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2722B (zh) The use of smart cars in the service point to pay the system and methods
AU2017279737B2 (en) Taximeter, system and method for a taxi
KR101556950B1 (ko) 주차장 관리 방법, 휴대 단말 및 주차장 관리 시스템
CN103839159A (zh) 一种车辆支付系统
WO2020027265A1 (ja) 充電制御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充電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
US201601631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arking process of a vehicle in a parking zone which is subject to charges, and for managing a counting process for paying parking charges
KR101704464B1 (ko) 모바일 차량의 요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7383A (ko) 스마트폰용 택시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8181197A (ja) Etcアダプタカード、etc車載機、携帯端末および課金処理システム
KR20070080364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택시 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6301B1 (ko)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하이패스 서비스 시스템
JP2001134793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用の車載器
KR101888661B1 (ko) 유료도로 통행료 지불을 위한 이동통신방식의 가상영업소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1784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arking meter payment
US202001844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Funds to a Pre-Paid Account
KR101263445B1 (ko) 차량용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34177B1 (ko) 모바일 주차요금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50298A (ko) 지문을 이용한 결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결제 중계 서버
KR102350701B1 (ko) 주차료 정산 방법
KR101333128B1 (ko) 앱의 백그라운드 실행 기능을 이용한 usim정보 변경내역 안내 시스템
AU2016101587A4 (en) Device and system for a taxi
AU2016225875B2 (en) Device and system for a taxi
KR20150014524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택시 요금 결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중계 서버
KR20150101950A (ko) 마이크로 sd카드를 이용한 nfc 결제 방법 및 시스템
AU2013203727B2 (en) Device and system for a tax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72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02

Effective date: 2019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