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314A -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314A
KR20160017314A KR1020140099918A KR20140099918A KR20160017314A KR 20160017314 A KR20160017314 A KR 20160017314A KR 1020140099918 A KR1020140099918 A KR 1020140099918A KR 20140099918 A KR20140099918 A KR 20140099918A KR 20160017314 A KR20160017314 A KR 20160017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temperature
sensing device
cabin
cab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종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314A/ko
Publication of KR2016001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1Weather houses or other ornaments for indicating humid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센싱 장치는, 하부 폴대에 구비되어 제1 온도습도 센서가 설치되는 제1 탑재대; 상기 하부 폴대에 연결되는 중간 폴대에 구비되어 제2 온도습도 센서가 설치되는 제2 탑재대; 상기 중간 폴대에 연결되는 상부 폴대에 구비되어 제3 온도습도 센서가 설치되는 제3 탑재대; 상기 중간 폴대에 구비되어 풍속 센서가 설치되는 제4 탑재대; 및 상기 하부 폴대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스탠드에 구비되어 전원 장치 및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가 설치되는 제5 및 제6 탑재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탑재대가 선실의 바닥면으로부터 0.1m 위치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및 제4 탑재대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1.0m 위치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3 탑재대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2.0m 위치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습도 센서 및 상기 풍속 센서로부터의 측정된 온도, 습도, 풍속 데이터를 토대로 선급 규정에 따른 선박 실내환경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하고,
또한, 센싱 장치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은, 선급 규정에 따라 선박 실내환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된 복수 개의 선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실에 설치되고, 해당 선실에서 계측이 완료되면 다른 선택된 선실로 이동 설치하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센싱 장치; 상기 선실 사이의 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센싱 장치의 상기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로부터 온도, 습도, 풍속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중계하는 무선 중계부; 상기 선박의 데크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데크 상부의 외부환경정보를 측정하는 기후 파라메터 계측부; 및 상기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로부터 상기 선실 내부의 온도, 습도, 풍속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상기 기후 파라메터 계측부로부터 외부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내장된 계측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선실 내외부에서 동기 계측된 데이터를 토대로 규격을 판단하여 최종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은,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 전원 장치 및 각종 계측기를 거치대에 조합 구성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구축함으로써, 선박의 선실 내부 환경 또는 선박의 선실 외부 환경을 무인 자동 방식으로 계측할 수 있어, DNV 선급 규정에 따른 계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측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Sensing Device and Measur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의 선실 내부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일반 건축물에 비해 기밀성이 매우 높고 항해 중이거나 선상 근무시에는 오랜 시간을 선박의 선실 내부에서만 생활하기 때문에 선박의 선실 내부 공기질은 승선자의 쾌적성뿐만 아니라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노르웨이를 기반으로 한 선급협회인 노르셰베리타스(Det Norske Veritas; 이하 'DNV 선급'이라 칭함)에서는 선박의 선실 내부 환경에 관련하여, 거주 공간별 분류 및 공간별 품질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규정에 의거하여, 선박 실내환경을 측정하고 있다.
DNV 선급 규정에 따라 선박 실내환경을 측정함에 있어서, 측정 선실 수에 따라, 10개 미만일 경우 10개의 선실 모두를 측정하고, 10개에서 40개 사이일 경우 최소 10개 선실에서 측정하고, 41개 이상일 경우 전체 선실의 최소 25% 이상에서 측정해야 한다. 또한, 측정하는 선실은 각 데크 또는 화재구역별로 고르게 분포되도록 해야하고, 덕트의 시작과 끝점은 측정 위치에 포함시켜야 하며, 기후 파라메터는 선박의 대표성을 가지는 곳 예를 들어, 데크 상부에서 측정해야 한다.
선박 실내환경을 측정하는 테스트의 조건에 있어서, 측정은 일반적인 운전상태에서 시행해야 하고, HVAC 설비는 시험 동안 일정한 출력온도로 운전되어야 하고, 공기의 양은 CIBSE Commissioning Code A 또는 동등한 표준이어야 하고, 온도 변화 폭은 1)측정 위치가 공간의 기하학적 중심, 예를 들어 큰 공간에서는 다수의 대표성을 나타내는 공간(작은 선실은 가운데, 큰 선실은 2~3군데)에서 측정해야 하고, 2)HVAC 장치는 온도 규정의 최저최고 온도로 설정한 상태에서 실시해야 하고, 3)고온 시험은 저온 온도 측정 후 2시간 이내 측정해야 하고, 수직 온도 변화율은 지정학적 중심에서 바닥면으로부터 0.1m, 1.0m, 2.0m 각각의 위치에서 측정해야 하고, 대기 속도는 선실의 지정학적 중심 예를 들어, 약 1.0m의 위치에서 측정해야 한다.
그런데 기존에는 선박의 실내환경을 계측시 계측자가 계측기를 휴대하고 계측함으로써, 계측자의 입회에 따른 선실내 온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선실내 온도 안정화 상태를 계측자의 임의 판단하여 계측이 이루어지고, 외기 온도에 따라 선실내 온도가 DNV 선급 규정에 적합한지 판단하는데, 선실내와 선실외 온도가 동기 계측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계측 정밀도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계측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실내환경을 무인 자동 방식으로 계측함으로써, 계측 정밀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계측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센싱 장치는, 하부 폴대에 구비되어 제1 온도습도 센서가 설치되는 제1 탑재대; 상기 하부 폴대에 연결되는 중간 폴대에 구비되어 제2 온도습도 센서가 설치되는 제2 탑재대; 상기 중간 폴대에 연결되는 상부 폴대에 구비되어 제3 온도습도 센서가 설치되는 제3 탑재대; 상기 중간 폴대에 구비되어 풍속 센서가 설치되는 제4 탑재대; 및 상기 하부 폴대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스탠드에 구비되어 전원 장치 및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가 설치되는 제5 및 제6 탑재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탑재대가 선실의 바닥면으로부터 0.1m 위치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및 제4 탑재대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1.0m 위치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3 탑재대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2.0m 위치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습도 센서 및 상기 풍속 센서로부터의 측정된 온도, 습도, 풍속 데이터를 토대로 선급 규정에 따른 선박 실내환경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폴대, 상기 중간 폴대, 상기 상부 폴대는, 안테나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 폴대는, 상기 하부 폴대에 삽입되어 길이 조절부재에 의해 인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폴대는, 상기 중간 폴대에 삽입되어 길이 조절부재에 의해 인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탠드는, 상기 하부 폴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탠드 고정구; 일측이 상기 스탠드 고정구의 3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 상기 3개의 가이드바 각각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 및 상기 3개의 다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폴대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3개의 다리 각각에는, 바퀴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몸체는, 상기 전원 장치 및 상기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가 설치되는 상기 제5 및 제6 탑재대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 탑재대 각각은, 상기 하부 폴대, 상기 중간 폴대, 상기 상부 폴대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 탑재대 각각은, 상기 하부 폴대, 상기 중간 폴대, 상기 상부 폴대 각각에 연결되는 부분이 90°의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습도 센서 및 상기 풍속 센서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4 탑재대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습도 센서 및 상기 풍속 센서 각각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취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몸체가 상기 하부 폴대의 외주면을 따라 상향 슬라이딩하면 상기 전원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하부 폴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전원차단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센싱 장치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은, 선급 규정에 따라 선박 실내환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된 복수 개의 선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실에 설치되고, 해당 선실에서 계측이 완료되면 다른 선택된 선실로 이동 설치하는 상기 센싱 장치; 상기 선실 사이의 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센싱 장치의 상기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로부터 온도, 습도, 풍속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중계하는 무선 중계부; 상기 선박의 데크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데크 상부의 외부환경정보를 측정하는 기후 파라메터 계측부; 및 상기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로부터 상기 선실 내부의 온도, 습도, 풍속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상기 기후 파라메터 계측부로부터 외부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내장된 계측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선실 내외부에서 동기 계측된 데이터를 토대로 규격을 판단하여 최종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택된 복수 개의 선실은, 상기 선급 규정에 따라, 상기 선실의 수가 10개 미만일 경우 10개의 선실 모두, 10개에서 40개 사이일 경우 최소 10개 선실, 41개 이상일 경우 전체 선실의 최소 25% 이상을 선택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되, 각 데크 또는 화재구역별로 고르게 분포되고, 덕트의 시작과 끝점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중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중계기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환경정보는, 온도, 습도, 풍속, 대기압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후 파라메터 계측부는, 상기 선급 규정에 따라 상기 선박 실내환경 측정 작업시 사용되는 계측장치로 구성되거나, 상기 센싱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은,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 전원 장치 및 각종 계측기를 거치대에 조합 구성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구축함으로써, 선박의 선실 내부 환경 또는 선박의 선실 외부 환경을 무인 자동 방식으로 계측할 수 있어, DNV 선급 규정에 따른 계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측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탑재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전원차단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선박 실내환경 측정이 이루어지는 선박의 객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탑재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전원차단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선박 실내환경 측정이 이루어지는 선박의 객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센싱 장치(10)는, DNV 선급 규정에 따라 선박의 실내환경을 측정함에 있어, 선박(1)의 선실(2) 내부 또는 선박(1)의 선실(2) 외부인 데크(3)에서 무인 자동 방식으로 계측할 수 있도록, 거치대(100), 각종 계측기(200, 300, 400, 500), 전원 장치(600),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700), 전원차단 스위치(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종 계측기(200, 300, 400, 500)는, 제1 온도습도 센서(200), 제2 온도습도 센서(300), 제3 온도습도 센서(400), 풍속 센서(500)일 수 있다.
거치대(100)는, 제1 온도습도 센서(200), 제2 온도습도 센서(300), 제3 온도습도 센서(400), 풍속 센서(500), 전원 장치(600),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700), 전원차단 스위치(800)가 적재적소에 탑재 또는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며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폴대(110), 스탠드(120), 탑재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폴대(110)는, 원통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 제1 온도습도 센서(200) 및 전원차단 스위치(800)가 설치될 수 있고, 중간에 제2 온도습도 센서(300), 풍속 센서(500)가 설치될 수 있고, 상부에 제3 온도습도 센서(4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폴대(110)는, 하나의 원통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일체형일 수 있으나,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안테나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식으로 구성될 경우, 폴대(110)는, 하부 폴대(111), 중간 폴대(112), 상부 폴대(113)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폴대(111)는 후술할 중간 폴대(112)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스탠드(120)가 결합될 수 있고, 제1 온도습도 센서(200)가 탑재될 수 있는 후술할 탑재대(1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전원차단 스위치(800)가 설치될 수 있다.
중간 폴대(112)는, 하부 폴대(111)의 안쪽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외경과 후술할 상부 폴대(113)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온도습도 센서(300) 및 풍속 센서(500)가 탑재될 수 있는 후술할 탑재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중간 폴대(112)는, 하부 폴대(111)에 삽입되어 길이 조절부재(114)에 의해 인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부 폴대(113)는, 중간 폴대(112)의 안쪽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온도습도 센서(400)가 탑재될 수 있는 후술할 탑재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폴대(113)는, 중간 폴대(112)에 삽입되어 길이 조절부재(114)에 의해 인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스탠드(120)는, 하부 폴대(111)에 결합되어 하부 폴대(111)가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한 삼발이 형상일 수 있으며, 스탠드 고정구(121), 가이드바(122), 다리(123), 슬라이딩 몸체(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탠드 고정구(121)는, 하부 폴대(11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고, 후술할 가이드바(1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바(122)는, 일측이 스탠드 고정구(121)의 3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3개의 가이드바(122) 각각의 타측은 후술할 다리(12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리(123)는, 3개의 가이드바(122) 각각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3개의 다리(123) 각각의 일측은 후술할 슬라이딩 몸체(12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각각의 타측은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바퀴(125)가 부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몸체(124)는, 3개의 다리(123)가 결합되어 하부 폴대(111)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상하 이동에 따라 3개의 다리(123)가 스탠드 형식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한다.
또한, 슬라이딩 몸체(124)는, 전원 장치(600) 및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700)가 탑재될 수 있는 후술할 탑재대(130)가 설치될 수 있다.
탑재대(130)는, 제1 온도습도 센서(200), 제2 온도습도 센서(300), 제3 온도습도 센서(400), 풍속 센서(500), 전원 장치(600),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700)를 탑재 설치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며, DNV 선급 규정에 따른 선박 실내환경 측정에 적합하도록 위치별로 제1 내지 제6 탑재대(131, 132, 133, 134, 135, 136)로 구분하여 설치될 수 있다.
DNV 선급 규정에 따르면, 수직 온도습도 변화율은 지정학적 중심에서 바닥면으로부터 0.1m, 1.0m, 2.0m 각각의 위치에서 측정해야 하고, 대기 속도는 선실의 지정학적 중심 예를 들어, 약 1.0m의 위치에서 측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제1 탑재대(131)는, 바닥면으로부터 0.1m의 위치가 되도록 하부 폴대(1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온도습도 센서(200)가 탑재 설치될 수 있다.
제2 탑재대(132)는, 바닥면으로부터 1.0m의 위치가 되도록 중간 폴대(1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온도습도 센서(300)가 탑재 설치될 수 있다.
제3 탑재대(133)는, 바닥면으로부터 2.0m의 위치가 되도록 상부 폴대(113)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온도습도 센서(400)가 탑재 설치될 수 있다.
제4 탑재대(134)는, 제3 탑재대(133)와 유사한 위치인 바닥면으로부터 약 1.0m의 위치가 되도록 중간 폴대(1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풍속 센서(500)가 탑재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제1 내지 제4 탑재대(131, 132, 133, 134) 각각은, 하부 폴대(111), 중간 폴대(112), 상부 폴대(113)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도록 구성하여, 각각의 센서(200, 300, 400, 500)가 각 폴대(111, 112, 113)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온도, 습도, 풍속을 측정함에 있어 각 폴대(111, 112, 113)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더욱 정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4 탑재대(131, 132, 133, 134)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폴대(111, 112, 113)에 연결되는 부분이 90°의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하여, 각 폴대(111, 112, 113)가 펼쳐졌을 때에는 각 센서(200, 300, 400, 5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회동되어 각 폴대(111, 112, 113)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보관을 위해 각 폴대(111, 112, 113)가 접어졌을 때에는 각 폴대(111, 112, 113)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115)에 삽입될 수 있다.
선박의 실내환경 측정에 사용되는 제1 온도습도 센서(200), 제2 온도습도 센서(300), 제3 온도습도 센서(400), 풍속 센서(500) 각각은, 제1 내지 제4 탑재대(131, 132, 133, 134)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제5 및 제6 탑재대(135, 136)는, 스탠드(120)의 슬라이딩 몸체(124)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 장치(600) 및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700)가 탑재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장치(600)는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7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700)는 제1 온도습도 센서(200), 제2 온도습도 센서(300), 제3 온도습도 센서(400), 풍속 센서(500) 각각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취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전원 장치(600) 및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700)는 각 센서(200, 300, 400, 500)와 달리 위치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5 및 제6 탑재대(135, 136)는 제1 내지 제4 탑재대(134)와 같이 각 폴대(111, 112, 113)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차단 스위치(800)는, 선박 실내환경 측정 작업을 완료한 후, 본 실시예의 센싱 장치(10)를 보관하기 위하여 스탠드(120)의 다리(123)를 접을 때, 슬라이딩 몸체(124)가 하부 폴대(111)의 외주면을 따라 상향 슬라이딩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몸체(124)가 전원차단 스위치(800)에 접촉하면 전원 장치(600)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하부 폴대(11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1000)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구축하여 선박(1)의 선실(2) 내부 환경 또는 선박(1)의 선실(2) 외부 환경을 무인 자동 방식으로 계측할 수 있게 하며, 센싱 장치(10), 무선 중계부(1100), 기후 파라메터 계측부(1200), 서버(1300)를 포함한다.
센싱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센싱 장치(10)는, DNV 선급 규정에 따라 선박 실내환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 계측하고자 하는 선실 배정표를 바탕으로 선실(2)을 선택하고, 선택된 선실(2)에 설치할 수 있다.
선실(2)을 선택하는 기준은, DNV 선급 규정에 따르는데, 선실(2)의 수가 10개 미만일 경우 10개의 선실(2) 모두, 10개에서 40개 사이일 경우 최소 10개 선실(2), 41개 이상일 경우 전체 선실의 최소 25% 이상을 선택하되, 각 데크 또는 화재구역별로 고르게 분포되도록 해야하고, 덕트의 시작과 끝점을 포함시켜야 한다.
이러한 센싱 장치(10)는, 선택된 복수 개의 선실(2)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실(2)에 설치될 수 있고, 해당 선실(2)에서 계측이 완료되면 다른 선택된 선실(2)로 이동하여 설치될 수 있다. 센싱 장치(10)의 대수가 많을 경우 선택된 복수 개의 선실(2) 모두에 동시에 설치하여 선박 실내환경을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무선 중계부(1100)는, 복수 개의 선실(2) 사이의 통로(4)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센싱 장치(10)의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700)로부터 온도, 습도, 풍속 등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후술할 서버(1300)로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중계부(1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중계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 중계기는 예를 들어, 무선 AP일 수 있다.
무선 중계부(1100)는, 선실(2)의 수가 적고 구조가 복잡하지 않을 경우에는 센싱 장치(10)의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700)에서 서버(1300)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통로(4)에 설치할 필요가 없지만, 일반적으로 선박(1)은 일반 건축물에 비해 기밀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원활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후 파라메터 계측부(1200)는, 선박(1)의 대표성을 가지는 곳, 예를 들어 데크(3)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센싱 장치(10)를 이용하여 선박(1)의 선실(2) 내부 환경을 측정하는 동안에 실시간으로 선박(1)의 외부, 즉 데크(3) 상부의 외부환경정보를 측정하여 후술할 서버(13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서버(1300)에 전송하는 외부환경정보는, 온도, 습도, 풍속, 대기압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후 파라메터 계측부(1200)는, DNV 선급 규정에 따라 선박 실내환경 측정 작업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측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10)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1300)는, 사무실에 설치된 중앙 단말기 또는 통로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싱 장치(10)의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700)로부터 선실(2) 내부의 온도, 습도, 풍속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저장하고, 기후 파라메터 계측부(1200)로부터 외부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저장하고, 내장된 계측 프로그램에 의해 선실(2) 내외부에서 동기 계측된 데이터를 토대로 규격을 판단하여 최종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0)는 최종 결과 데이터를 모니터를 통해 계측자가 볼 수 있게 하고, 저장된 최종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 보고서 작성 또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계측 프로그램은, DNV 선급 규정에 따라 만들어진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700), 전원 장치(600) 및 각종 계측기(200, 300, 400, 500)를 거치대(100)에 조합 구성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구축함으로써, 선박(1)의 선실(2) 내부 환경 또는 선박(1)의 선실(2) 외부 환경을 무인 자동 방식으로 계측할 수 있어, DNV 선급 규정에 따른 계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측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선박 2: 선실
3: 데크 4: 통로
10: 센싱 장치 100: 거치대
110: 폴대 111: 하부 폴대
112: 중간 폴대 113: 상부 폴대
114: 길이 조절부재 115: 홈
120: 스탠드 121: 스탠드 고정구
122: 가이드바 123: 다리
124: 슬라이딩 몸체 125: 바퀴
130: 탑재대 131: 제1 탑재대
132: 제2 탑재대 133: 제3 탑재대
134: 제4 탑재대 136: 제5 탑재대
136: 제6 탑재대 200: 제1 온도습도 센서
300: 제2 온도습도 센서 400: 제3 온도습도 센서
500: 풍속 센서 600: 전원 장치
700: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 800: 전원차단 스위치
1000: 계측 시스템 1100: 무선 중계부
1200: 기후 파라메터 계측부 1300: 서버

Claims (18)

  1. 하부 폴대에 구비되어 제1 온도습도 센서가 설치되는 제1 탑재대;
    상기 하부 폴대에 연결되는 중간 폴대에 구비되어 제2 온도습도 센서가 설치되는 제2 탑재대;
    상기 중간 폴대에 연결되는 상부 폴대에 구비되어 제3 온도습도 센서가 설치되는 제3 탑재대;
    상기 중간 폴대에 구비되어 풍속 센서가 설치되는 제4 탑재대; 및
    상기 하부 폴대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스탠드에 구비되어 전원 장치 및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가 설치되는 제5 및 제6 탑재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탑재대가 선실의 바닥면으로부터 0.1m 위치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및 제4 탑재대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1.0m 위치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3 탑재대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2.0m 위치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습도 센서 및 상기 풍속 센서로부터의 측정된 온도, 습도, 풍속 데이터를 토대로 선급 규정에 따른 선박 실내환경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폴대, 상기 중간 폴대, 상기 상부 폴대는,
    안테나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폴대는,
    상기 하부 폴대에 삽입되어 길이 조절부재에 의해 인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폴대는,
    상기 중간 폴대에 삽입되어 길이 조절부재에 의해 인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하부 폴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탠드 고정구;
    일측이 상기 스탠드 고정구의 3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
    상기 3개의 가이드바 각각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 및
    상기 3개의 다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폴대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다리 각각에는,
    바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몸체는,
    상기 전원 장치 및 상기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가 설치되는 상기 제5 및 제6 탑재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탑재대 각각은,
    상기 하부 폴대, 상기 중간 폴대, 상기 상부 폴대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탑재대 각각은,
    상기 하부 폴대, 상기 중간 폴대, 상기 상부 폴대 각각에 연결되는 부분이 90°의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습도 센서 및 상기 풍속 센서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4 탑재대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습도 센서 및 상기 풍속 센서 각각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몸체가 상기 하부 폴대의 외주면을 따라 상향 슬라이딩하면 상기 전원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하부 폴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전원차단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14. 선급 규정에 따라 선박 실내환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된 복수 개의 선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실에 설치되고, 해당 선실에서 계측이 완료되면 다른 선택된 선실로 이동 설치하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센싱 장치;
    상기 선실 사이의 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센싱 장치의 상기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로부터 온도, 습도, 풍속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중계하는 무선 중계부;
    상기 선박의 데크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데크 상부의 외부환경정보를 측정하는 기후 파라메터 계측부; 및
    상기 무선 데이터 취득장치로부터 상기 선실 내부의 온도, 습도, 풍속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상기 기후 파라메터 계측부로부터 외부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내장된 계측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선실 내외부에서 동기 계측된 데이터를 토대로 규격을 판단하여 최종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복수 개의 선실은,
    상기 선급 규정에 따라, 상기 선실의 수가 10개 미만일 경우 10개의 선실 모두, 10개에서 40개 사이일 경우 최소 10개 선실, 41개 이상일 경우 전체 선실의 최소 25% 이상을 선택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되, 각 데크 또는 화재구역별로 고르게 분포되고, 덕트의 시작과 끝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중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중계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환경정보는,
    온도, 습도, 풍속, 대기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후 파라메터 계측부는,
    상기 선급 규정에 따라 상기 선박 실내환경 측정 작업시 사용되는 계측장치로 구성되거나, 상기 센싱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KR1020140099918A 2014-08-04 2014-08-04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KR20160017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918A KR20160017314A (ko) 2014-08-04 2014-08-04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918A KR20160017314A (ko) 2014-08-04 2014-08-04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314A true KR20160017314A (ko) 2016-02-16

Family

ID=5544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918A KR20160017314A (ko) 2014-08-04 2014-08-04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3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7512A (zh) * 2016-12-28 2017-05-10 北京诺创科技有限公司 一种质量检测装置及其在婴儿保育设备中的应用
KR101962767B1 (ko) * 2018-08-27 2019-03-27 명신정보통신 주식회사 중계기 설치용 폴 구조체
CN110412313A (zh) * 2019-08-24 2019-11-05 大连理工大学 一种船舶真风测量装置的标定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7512A (zh) * 2016-12-28 2017-05-10 北京诺创科技有限公司 一种质量检测装置及其在婴儿保育设备中的应用
KR101962767B1 (ko) * 2018-08-27 2019-03-27 명신정보통신 주식회사 중계기 설치용 폴 구조체
CN110412313A (zh) * 2019-08-24 2019-11-05 大连理工大学 一种船舶真风测量装置的标定方法
CN110412313B (zh) * 2019-08-24 2020-07-14 大连理工大学 一种船舶真风测量装置的标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3327B2 (en) Commissioning tool, commissioning system and method of commissioning a number of wireless nodes
WO2018040603A1 (zh) 粉尘传感器、终端、校准粉尘传感器的方法及设备
KR20160017314A (ko)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KR20170057597A (ko)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US10067233B2 (en) Illuminance measuring system
CN102175228B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测距方法
CN104613872A (zh) 一种用于测量工业机器人重复定位精度的测试系统
KR20030023872A (ko) 위성위치측정시스템
Anagnostopoulos et al. Accuracy enhancements in indoor localization with the weighted average technique
KR20130066354A (ko) 사용자 단말의 맵매칭 방법 및 장치
JP5668558B2 (ja) 無線環境調査装置および電波強度測定端末
US201901706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as sensing and monitoring
CN105323794B (zh) 一种确定接入点位置的方法及装置
US20080178694A1 (en) Dynamic environment measurements
CN106332106A (zh) 一种无线模拟信号测试系统
KR20170057860A (ko)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26213A (ko) 무선 환경 데이터 수집 비행체 및 시스템
KR100597385B1 (ko) 골프장의 측정정보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732870B1 (ko) 드론을 이용한 네트워크 최적 위치 탐색 시스템
CN106767670A (zh) 光电吊舱安装偏角辅助标校装置
JP2016070838A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350926B1 (ko) 영상처리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 이미지인식용 영상처리장치
KR20170116424A (ko) 드론에서의 실내 위치 기반 무인 전파측정 장치 및 방법
KR20090009279U (ko)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복수개의 공기질 센서 모듈들을구비하는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CN206421023U (zh) 一种基于可见光通信的定位导航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