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555A -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555A
KR20160016555A KR1020150052463A KR20150052463A KR20160016555A KR 20160016555 A KR20160016555 A KR 20160016555A KR 1020150052463 A KR1020150052463 A KR 1020150052463A KR 20150052463 A KR20150052463 A KR 20150052463A KR 20160016555 A KR20160016555 A KR 20160016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tate
motion information
informat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786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18040A1/en
Priority to TW104124447A priority patent/TWI680380B/zh
Priority to US14/813,698 priority patent/US9520047B2/en
Priority to CN201510463653.8A priority patent/CN105323709B/zh
Priority to CN202010425007.3A priority patent/CN111669736B/zh
Priority to EP15179291.8A priority patent/EP2985973B1/en
Publication of KR20160016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555A/ko
Priority to US15/375,506 priority patent/US10147302B2/en
Priority to US16/176,761 priority patent/US11189154B2/en
Priority to KR1020220033606A priority patent/KR20220044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두 디바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보다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단말기가 제공된다. 제 1 단말기는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와, 제 2 단말기로부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 및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둘 이상의 단말기 간의 상태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가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들이 보급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복수의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기를 사용할 때, 복수의 단말기들 사이의 통신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성능에 따라서 단말기에 다양한 센서들이 구비되고 있다. 다양한 센서들이 단말기에 구비됨에 따라서 단말기는 단말기의 상태 내지 단말기 주변 환경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한 기능과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는 두 디바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보다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기와 연동 가능한 제 1 단말기는,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와, 제 2 단말기로부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 및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제 1 단말기가 움직이는 상태를 지시하고,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는 제 2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는 제 2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부는 제 1 단말기에 의해 감지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는 제 2 단말기로부터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제어부는 수신된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 1 단말기에 의해 감지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보정함으로써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제 1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고,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제 2 단말기가 움직이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고, 지정된 입력이 제 1 단말기에 수신된 경우,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기와 연동 가능한 제 1 단말기는,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와, 제 2 단말기로부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 및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제 2 단말기가 움직이는 상태를 지시하고,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는 제 1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지시하는 제 1 단말기의 이동 방향과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지시하는 제 2 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와 연동 가능한 제 2 단말기는,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와,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제 1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단말기로부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2 단말기와 연동 가능한 제 1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제 2 단말기로부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 및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제 1 단말기가 움직이는 상태를 지시하고,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는 제 2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제 2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제 1 단말기에 의해 감지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 2 단말기로부터 더 수신하고,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는, 수신된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 1 단말기에 의해 감지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제 1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고,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제 2 단말기가 움직이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고, 지정된 입력이 제 1 단말기에 수신된 경우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2 단말기와 연동 가능한 제 1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제 2 단말기로부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 및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제 2 단말기가 움직이는 상태를 지시하고,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는 제 1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지시하는 제 1 단말기의 이동 방향과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지시하는 제 2 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와 연동 가능한 제 2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1 단말기로부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2 단말기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2 단말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 예와 관련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간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다른 일부 실시 예와 관련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간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와 관련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간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가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가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에 의해 수행된 동작에 대한 피드백(feedback)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사전 동기화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사전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를 간단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1은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사전 동기화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사전 동기화가 실행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2 단말기에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제 2 단말기에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가 제 2 단말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가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9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0 내지 33은 도 2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를 미아 방지 목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4는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5 내지 38은 도 3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를 미아 방지 목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9은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2 단말기에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0 내지 도 41은 도 39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제 2 단말기에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100)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100)는 센서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제 1 단말기(100)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제 1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적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텔레비전 또는 PC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제 1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센서 정보는 제 1 단말기(100)가 제 1 단말기(100)의 상태 또는 제 1 단말기(100) 주변 환경의 상태를 감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센서 정보는 제 1 단말기(100)의 물리적인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서 생성된 가속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의 구성 및 제 1 센서 정보는 실시 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도 3의 제 2 단말기(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가 근거리에 위치한 경우, 통신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 2 단말기(30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제 2 단말기(300)로부터 제 2 센서 정보 및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센서 정보는 제 2 단말기(300)가 제 2 단말기(300) 또는 제 2 단말기(300) 주변 환경의 상태를 감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센서 정보는 제 2 단말기(300)의 물리적인 움직임을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 가속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상태는 제 2 단말기의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상태는 제 2 단말기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가 제 2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지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 1 단말기(100)의 각 부를 제어하고, 제 1 단말기(100)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 1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상태는 제 1 단말기의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는 제 1 단말기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가 제 1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부(120)에 의해 제 2 센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30)는 수신된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20)에 의해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30)는 별도의 판단 없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20)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의 수신 감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에 따라서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감도가 -100dBm ~ -80dBm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2m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수신 감도가 강해지는 경우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20)는 제 2 단말기(300)로부터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거리에 대한 정보는 제 2 단말기(300)에 의해 감지된 수신 감도나 제 2 단말기(300)에 의해 결정된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 2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거리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 1 단말기(100)에서 측정된 수신 감도 내지 거리 및 제 2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수신 감도 내지 거리의 평균 값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모두와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어떤 동작을 수행할 지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와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어떤 동작을 수행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 1 단말기(100)의 구성부를 제어함으로써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정된 동작은 제 1 단말기(10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된 동작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정보를 다른 장치에 전송하거나, 또는 제 1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제 1 단말기(100)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제 1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적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단말기(100)는 센서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GPS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저장부(170),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이동 통신 모듈(121), 서브 통신 모듈(122) 및 멀티미디어 모듈(1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통신 모듈(122)은 무선 랜 모듈(122-1)과 근거리 통신 모듈(12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23)은 방송 통신 모듈(123-1), 오디오 재생 모듈(123-2) 및 동영상 재생 모듈(12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잇다.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 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은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심박수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터치 센서, 지문 센서, 홍채 센서, 혈압 센서, 온도 센서, 근육 센서, 기압 센서, 혈당 센서, 뇌파 센서, 및 습도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제 1 단말기(100)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지자기 센서는 제 1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감지되는 지자기의 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제 1 단말기(100)의 회전 운동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심박수 센서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물체가 근접 센서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제 1 단말기(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수단(예를 들어, 손가락 등)이 접촉하였는지 여부와 접촉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지문 센서는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홍채 센서는 사용자의 홍채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혈압 센서는 사용자의 혈압을 검출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제 1 단말기(1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근육 센서는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기압 센서는 제 1 단말기(100) 주변의 기압을 검출할 수 있다. 혈당 센서는 혈액에 포함된 혈당량을 검출할 수 있다. 뇌파 센서는 전극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할 수 있다. 습도 센서는 제 1 단말기(100) 주변의 습도를 검출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이동 통신 모듈(121), 서브 통신 모듈(122) 및 멀티미디어 모듈(12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 2 단말기(300)나 외부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한 이동 통신을 통해서 제 1 단말기(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제 1 단말기에 입력되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휴대폰(도시되지 않음),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 태블릿 PC(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전송을 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브 통신 모듈(122)은 무선 랜 모듈(122-1)과 근거리 통신 모듈(12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랜 모듈(122-1) 만을 포함하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122-2) 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22-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22-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122-1)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이나 다른 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122-1)은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 랜 규격(IEEE 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22-2)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TM),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지그비(Zig-bee) 방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근거리 통신 모듈(122-2)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의 수신 감도(RSSI)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기(300)는 미리 정해진 세기(예를 들어, 21dB)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 1 단말기(100)는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측정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아래 수학식 1에 따라서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 d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c는 전파 속도이며, f는 주파수이고, L은 손실된 신호의 세기를 의미한다. 공기 중에서의 무선 신호의 전파 속도는 정해진 값이다. 주파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정해진 주파수이다. 또한 제 2 단말기(300)가 발생시킨 무선 주파수 신호의 세기와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세기의 차이로부터 손실된 신호의 세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상기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 d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121), 무선 랜 모듈(122) 및 근거리 통신 모듈(12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23)은 방송 통신 모듈(123-1), 오디오 재생 모듈(123-2) 및 동영상 재생 모듈(12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통신 모듈(123-1)은 제어부(130)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를 들어,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모듈(123-2)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모듈(123-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23)은 방송 통신 모듈(123-1)을 제외하고 오디오 재생 모듈(123-1) 및 동영상 재생 모듈(12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23)의 오디오 재생 모듈(123-2) 또는 동영상 재생 모듈(123-3)은 제어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CPU(131), 제 1 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됨 롬(132) 및 제 1 단말기(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제 1 단말기(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제 1 단말기(100)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13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31)는 제 1 단말기(100)의 성능에 따라서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 등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CPU(131), 롬(132) 및 램(13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2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40), 입/출력 모듈(160), 센서부(110), 저장부(170), 전원 공급부(180), 및 디스플레이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GPS 모듈(140)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도시되지 않음)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 위성(도시되지 않음)에서부터 제 1 단말기(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제 1 단말기(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 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제 1 단말기(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않음), 볼륨버튼(도시되지 않음)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121), 서브 통신 모듈(122), 멀티미디어 모듈(123) 또는 카메라 모듈(150) 등으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신호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제 1 단말기(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진동 모터(164)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가 설정된 제 1 단말기(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음성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 모터(164)가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진동 모터(164)는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터치 스크린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제 1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전원 소스(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성 케이블을 통해서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 1 단말기(100)의 저장부(170)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않음)가 충전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제 1 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제 1 단말기(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않음) 또는 디스플레이부(190) 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않음)는 제 1 단말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121), 서브 통신 모듈(122), 멀티미디어 모듈(123),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40), 입/출력 모듈(160), 센서부(110), 디스플레이부(190)의 동작에 대응되도록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어부(13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0), 제어부(130) 내 롬(132), 램(133) 또는 제 1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 1 단말기(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제 1 단말기(100)의 각 부로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0)는 제 1 단말기(100)의 성능에 따라서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을 통한 입력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 입력(예를 들어, 터치스크린과 신체 간의 간격이 1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단말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ultrasound wave)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터치스크린에 의해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X 좌표 및 Y 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9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사용자 입력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2 단말기(300)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2 단말기(300)는 센서부(310), 통신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제 2 단말기(300)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제 2 단말기(30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적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단말기(300)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나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es)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텔레비전 또는 PC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제 2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2 센서 정보는 제 2 단말기(300)가 제 2 단말기(300)의 상태 또는 제 2 단말기(300) 주변 환경의 상태를 감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310)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 2 센서 정보는 제 2 단말기(300)의 물리적인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서 생성된 가속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10)의 구성 및 제 2 센서 정보는 실시 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통신부(320)는 도 1의 제 1 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가 근거리에 위치한 경우, 통신부(3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 1 단말기(10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제 1 단말기(100)에 제 2 센서 정보 및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센서 정보는 제 2 단말기(300)가 제 2 단말기(300) 또는 제 2 단말기(300) 주변 환경의 상태를 감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센서 정보는 제 2 단말기(300)의 물리적인 움직임을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 가속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상태는 제 2 단말기의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상태는 제 2 단말기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가 제 2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지시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제 2 단말기(300)의 각 부를 제어하고, 제 2 단말기(300)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30)는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상태는 제 2 단말기의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상태는 제 2 단말기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가 제 2 단말기(300)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30)가 제 2 상태를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단말기(300)는 통신부(320)를 통해 센서부(310)에서 획득된 제 2 센서 정보를 가공되지 않은 데이터(Raw data)로서 제 1 단말기(100) 내지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한 제 1 단말기(100) 내지 외부 서버가 제 2 상태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320)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의 수신 감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에 따라서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감도가 -100dBm ~ -80dBm인 경우, 제어부(330)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2m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수신 감도가 강해지는 경우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제어부(330)에 의해 결정된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 1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20)는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제 1 단말기(100)에 전송된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에 대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서, 제어부(330)는 수신된 정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알람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 2 단말기(300)는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2 단말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제 2 단말기(300)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제 2 단말기(300)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적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단말기(300)는 센서부(310), 통신부(320), 제어부(330), GPS 모듈(340), 카메라 모듈(350), 입/출력 모듈(360), 저장부(370), 및 전원 공급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이동 통신 모듈(321), 서브 통신 모듈(322) 및 멀티미디어 모듈(323)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통신 모듈(322)은 무선 랜 모듈(322-1)과 근거리 통신 모듈(32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323)은 방송 통신 모듈(323-1), 오디오 재생 모듈(323-2) 및 동영상 재생 모듈(32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잇다. 입/출력 모듈(360)은 버튼(361), 마이크(362), 스피커(363), 진동 모터(364), 커넥터(365) 및 키패드(3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은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심박수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터치 센서, 지문 센서, 홍채 센서, 혈압 센서, 온도 센서, 근육 센서, 기압 센서, 혈당 센서, 뇌파 센서, 및 습도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제 2 단말기(300)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지자기 센서는 제 2 단말기(300)의 위치에서 감지되는 지자기의 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제 2 단말기(300)의 회전 운동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심박수 센서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물체가 근접 센서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제 2 단말기(3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수단(예를 들어, 손가락 등)이 접촉하였는지 여부와 접촉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지문 센서는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홍채 센서는 사용자의 홍채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혈압 센서는 사용자의 혈압을 검출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제 2 단말기(3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근육 센서는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기압 센서는 제 2 단말기(300) 주변의 기압을 검출할 수 있다. 혈당 센서는 혈액에 포함된 혈당량을 검출할 수 있다. 뇌파 센서는 전극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할 수 있다. 습도 센서는 제 2 단말기(300) 주변의 습도를 검출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이동 통신 모듈(321), 서브 통신 모듈(322) 및 멀티미디어 모듈(32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 2 단말기(300)나 외부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321)은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한 이동 통신을 통해서 제 2 단말기(3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321)은 제 2 단말기에 입력되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휴대폰(도시되지 않음),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 태블릿 PC(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전송을 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브 통신 모듈(322)은 무선 랜 모듈(322-1)과 근거리 통신 모듈(32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랜 모듈(322-1) 만을 포함하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322-2) 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322-1) 및 근거리 통신 모듈(322-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322-1)은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이나 다른 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322-1)은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 랜 규격(IEEE 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22-2)은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TM),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30)는 근거리 통신 모듈(322-2)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의 수신 감도(RSSI)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는 미리 정해진 세기(예를 들어, 21dB)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 2 단말기(300)는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300)의 제어부(330)는 측정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수학식 1에 따라서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 d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300)는 성능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321), 무선 랜 모듈(322) 및 근거리 통신 모듈(32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323)은 방송 통신 모듈(323-1), 오디오 재생 모듈(323-2) 및 동영상 재생 모듈(32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통신 모듈(323-1)은 제어부(330)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를 들어,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모듈(323-2)은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모듈(323-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323)은 방송 통신 모듈(323-1)을 제외하고 오디오 재생 모듈(323-1) 및 동영상 재생 모듈(32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323)의 오디오 재생 모듈(323-2) 또는 동영상 재생 모듈(323-3)은 제어부(33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CPU(331), 제 2 단말기(3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됨 롬(332) 및 제 2 단말기(3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제 2 단말기(3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제 2 단말기(300)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333)을 포함할 수 있다. CPU(331)는 제 2 단말기(300)의 성능에 따라서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 등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CPU(331), 롬(332) 및 램(33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통신부(320), 카메라 모듈(350), GPS 모듈(340), 입/출력 모듈(360), 센서부(310), 저장부(370), 전원 공급부(380), 및 디스플레이부(390)를 제어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36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361), 마이크(362), 스피커(363), 진동 모터(364), 커넥터(365) 및 키패드(3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361)은 제 2 단말기(3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않음), 볼륨버튼(도시되지 않음)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362)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363)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321), 서브 통신 모듈(322), 멀티미디어 모듈(323) 또는 카메라 모듈(350) 등으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신호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제 2 단말기(3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진동 모터(364)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가 설정된 제 2 단말기(3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음성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 모터(364)가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9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진동 모터(364)는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터치 스크린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365)는 제 2 단말기(3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전원 소스(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커넥터(365)에 연결된 유성 케이블을 통해서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제 2 단말기(300)의 저장부(370)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3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않음)가 충전될 수 있다.
키패드(366)는 제 2 단말기(3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366)는 제 2 단말기(3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않음) 또는 디스플레이부(390) 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3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않음)는 제 2 단말기(3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기(300)가 스마트 워치(smart watch)와 같이 소형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인 경우, 키패드(366)는 제 2 단말기(30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저장부(37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321), 서브 통신 모듈(322), 멀티미디어 모듈(323), 카메라 모듈(350), GPS 모듈(340), 입/출력 모듈(360), 센서부(310), 디스플레이부(390)의 동작에 대응되도록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70)는 제 2 단말기(300) 또는 제어부(33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370), 제어부(330) 내 롬(332), 램(333) 또는 제 2 단말기(3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7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8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제 2 단말기(3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380)는 커넥터(3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제 2 단말기(300)의 각 부로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9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0)는 제 1 단말기(100)의 성능에 따라서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는 통신이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 2 단말기(300)와 페어링(pairing)된 상태일 수 있다. ‘페어링된 상태’는 두 장치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를 인식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의 상태를 지시하는 제 1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S510). S51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센서부를 이용하여 제 1 센서 정보를 획득하고, 제 1 센서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센서 정보가 가속도 값을 포함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가속도 값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가 움직이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제 1 상태를 결정하는 시점의 가속도 값뿐만 아니라 정해진 기간 동안 축적된 가속도 값으로부터 제 1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0초 동안의 가속도 값의 평균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 1 단말기(100)가 움직이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의 상태를 지시하는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S520). S52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로부터 제 2 센서 정보 또는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300)로부터 제 2 센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S510 단계와 유사하게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별도로 제 2 상태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2 센서 정보가 생성되는 대로 계속해서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하거나, 일정한 주기로 생성되는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는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의 다양한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가 움직이고 있는 사용자에게 소지되거나 착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의 소지자가 운전자인지 또는 동승자인지를 지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의 GPS 좌표값의 이동 속도가 운행 중인 상태를 지시하는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단말기(300)가 손목에 착용하는 형태의 스마트 워치이고, 제 2 단말기(300)가 센서부(310)를 통해 감지된 모션이 핸들을 조작하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서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또는 동승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 1 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 결정된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530). 여기서, 제 1 단말기(100)는 실시 예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와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주파수의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거리 정보를 더 고려하여 결정되는 거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 1 단말기(100)는 GPS 모듈(140)에 의해 획득되는 제 1 단말기(100)의 GPS 좌표와 GPS 모듈(340)에 의해 획득되는 제 2 단말기(300)의 GPS 좌표를 이용하여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에 의해 수행될 동작은 실시 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단말기(100)는 S530 단계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분실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가 스마트폰(smart phone)이고, 제 2 단말기(3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인 경우,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으로 멀어짐에 따라 사용자에게 분실/도난 알림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상태는 제 1 단말기(100)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고, 제 2 상태는 사용자가 제 2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있으며 제 2 단말기(100)가 움직이고 있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두고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단말기(100)는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을 넘어섬에 따라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대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상태는 제 1 단말기(100)가 움직이고 있는 상태를 지시하고, 제 2 상태가 사용자가 제 2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을 넘어섬에 따라서 제 1 단말기(100)가 타인에 의해 도난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상태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제 2 단말기(300)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어 있으며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지시하고, 제 1 상태가 제 1 단말기(100)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예를 들어, 3m) 이상이 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가 타인에 의해 도난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 1 상태는 제 1 단말기(100)에 대한 움직임의 패턴을 분석한 결과이고, 제 2 상태는 제 2 단말기(300)에 대한 움직임의 패턴을 분석한 결과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상태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제 2 단말기(300)가 이동하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고, 제 1 상태가 제 1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걸어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가 타인에 의해 도난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 1 단말기(100)가 타인에 의해 도난당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에 도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1 단말기(100)에 저장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정보 보호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제 1 상태 내지 제 2 상태는 사용자가 걷고 있는지 정지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가속도 값의 패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걷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는 반복되는 가속도 값의 크기, 방향 및 주기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걷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 1 센서 정보 또는 제 2 센서 정보 내의 임의의 구간 내에 유사한 형태의 가속도 값의 변화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가지고, 상기 임의의 구간 전체에 대한 분석 결과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 2 단말기(300)의 소지자가 걷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패턴의 크기와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되는 속도의 크기가 걷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크기보다 큰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 2 단말기(300)의 소지자가 달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단말기(100)는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는 속도에 기초하여 수행될 동작을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으로 빠르게 증가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등 제 1 단말기(100)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떨어뜨리는 경우,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매우 빠르게 증가한다. 따라서, 이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떨어뜨리는 상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임의의 구간 동안에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빠르게 증가하고,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제 1 센서 정보로부터 결정된 제 1 상태가 제 1 단말기에 큰 충격량이 가해졌음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떨어뜨린 것으로 판단하고 제 2 단말기(300)에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떨어뜨렸음을 알리는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단말기(300)에 표시된 알림 메시지를 통해서 제 1 단말기(100)를 떨어뜨렸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분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전술된 또는 후술될 실시 예에 있어서, 임계값은 특정 값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정 범위를 임계값이라고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임계값은 2m일 수도 있으며, 1.5m 내지 2.5m의 범위를 임계값이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란 의미는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 되는 결과를 도출하는 다양한 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란 의미는 두 단말기 사이의 신호 세기가 임계값 이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란 의미는 제2 단말기(300)가 발생시킨 무선 주파수 신호의 세기와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세기의 차이로부터 획득된 손실된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계산을 통하여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직접적으로 도출되지 않더라도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변수들(예로, 수학식 1의 L 값)을 이용하여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지가 예측되면, 이는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것을 판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단말기(100)는 S530 단계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기초하여 미아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3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인 경우, 사용자는 제 2 단말기(300)를 아이에게 착용시키고, 아이의 부모인 사용자는 제 1 단말기(100)를 소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을 넘어섰을 때, 제 2 상태가 제 2 단말기(300)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고 있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아무 동작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 1 상태는 제 1 단말기(100)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고, 제 2 상태는 제 2 단말기(300)가 움직이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 1 상태와 제 2 상태가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단말기(100)는 S530 단계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기초하여 사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 동기화’는 제 1 단말기(100)가 제 2 단말기(300)의 상태를 계속해서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는 제 1 단말기(100)가 정지된 상태를 지시하고, 제 2 상태는 제 2 단말기(300)가 움직이는 상태를 지시하며,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사전 동기화를 시작할 수 있다. 즉, 제 2 단말기(3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정지된 상태로 놓여진 제 1 단말기(100)에 접근함에 따라서 제 1 단말기(100)는 사전 동기화를 시작할 수 있다. 또는, 제 1 상태가 제 2 단말기(3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방향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제 1 단말기(100)를 제 1 단말기(100)를 파지하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사전 동기화를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파지하였는지 여부는 제 1 단말기(100)의 터치 센서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방향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는 동작을 취하는지 여부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제 1 단말기(100)가 회전하는지를 감지한 정보가 제 1 센서 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는, 모션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안면이 제 1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향하도록 하는 모션을 인식한 정보가 제 1 센서 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단말기(100)는 S530 단계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통신 연결을 유지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을 넘어선 값을 정해진 기간 동안 유지하는 경우, 제 2 상태에 따라서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통신 연결을 유지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제 2 상태가 사용자가 제 2 단말기(300)를 소지하거나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에 대한 통신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상태가 사용자가 제 2 단말기(300)를 소지하거나 착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에 대한 통신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단말기(300)를 소지하거나 착용하고 있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기(300)에 포함된 심박수 센서,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뇌파 센서 및 온도 센서와 같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제 2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제 2 단말기(300)를 소지하거나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센서부(310)를 통해서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뇌파 정보 또는 체온 등이 획득되는 경우, 제 2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제 2 단말기(300)를 소지하거나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 2 단말기(300)를 파지함에 따라서 제 2 단말기(300)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접촉이 인식되는 경우, 제 2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제 2 단말기(300)를 소지하거나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단말기(100)는 S530 단계에서 두 단말기 간의 거리에 따라서 스피커(163)를 통해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나 진동 모터(164)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단말기 간의 거리가 멀수록 스피커(163)를 통해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 2 단말기(300)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이고, 제 1 단말기(100)는 TV와 같이 음향 컨텐트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말기(100)가 음향 컨텐트를 재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2 단말기(300)를 착용하고 정지해 있는 제 1 단말기(100)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재생되는 음향 컨텐트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 1 단말기(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이고, 제 2 단말기(300)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가 착용한 제 2 단말기(300)에 대한 제 2 상태가 정지한 상태를 지시하고, 제 1 단말기(100)에 대한 제 1 상태가 이동 중인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2 단말기(300)는 제 1 단말기(100)에 대한 분실 가능성을 알리기 위해 진동 모터(364)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단말기(300)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100)는 S530 단계에서, 두 단말기 간의 거리 및 제1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단말기 간의 거리가 임계 값 이상인 상태에서, 제1 상태가 제1 단말기(100)가 충격을 받은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00)가 바닥에 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100)의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피에조 센서 등과 같은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하여 제1 단말기(100)의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가 충격을 받은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함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단말기(100)가 바닥에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00)가 떨어졌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2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S600).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TM),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기(100)는 센서부(110)를 이용하여 제 1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10). 또한, 제 2 단말기(300)는 센서부(310)를 이용하여 제 2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15). 이후, 제 1 단말기(100)는 획득된 제 1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S620).
제 2 단말기(300)는 S615 단계에서 획득된 제 2 센서 정보를 제 1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S630). 여기서, 제 2 단말기(300)는 S615 단계에서 제 2 센서 정보가 획득되는 대로 제 1 단말기(100)로 획득된 제 2 센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 2 단말기(300)는 정해진 주기마다 누적된 제 2 센서 정보를 압축하여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S640). 또한,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S650).
이후,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 제 1 상태 정보 및 제 2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660).
도 7은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S700).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TM),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기(100)는 센서부(110)를 이용하여 제 1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10). 또한, 제 2 단말기(300)는 센서부(310)를 이용하여 제 2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15). 이후, 제 1 단말기(100)는 획득된 제 1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S720). 또한, 제 2 단말기(300)는 획득된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S725).
이후, 제 2 단말기(300)는 S725 단계에서 결정된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 1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S730). 제 2 단말기(300)는 주기적으로 제 2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 1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S730 단계에서 제 2 단말기(300)는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제 2 센서 정보를 제 1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제 2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후,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S740). 여기서, 제 1 단말기(100)는 실시 예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 사이에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거리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 제 1 상태 정보 및 제 2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750).
도 8은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 1 단말기(100)는 센서부(110)를 이용하여 제 1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10). 또한, 제 2 단말기(300)는 센서부(310)를 이용하여 제 2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15).
제 1 단말기(100)는 획득된 제 1 센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800)로 전송할 수 있다(S820). 또한 제 2 단말기(300)는 획득된 제 2 센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800)로 전송할 수 있다(S830). 이후, 클라우드 서버(800)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S840).
또한,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면(S850),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와 제 1 단말기(10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S860). 또한, 제 1 단말기(100)는 클라우드 서버(800)로부터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S870).
이후, 제 1 단말기(100)는 S860 단계에서 결정된 거리, S870 상태에서 수신된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880).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는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는 AP(access point)없이 직접 통신하는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는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 중 애드 혹(Ad-hoc) 방식, 블루투스(BluetoothTM)통신 방식,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는 게이트웨이(1000)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는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 중 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방식,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홈 네트워크나 근거리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게이트웨이(1000)는 AP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는 클라우드 서버(1100)와 유, 무선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는 클라우드 서버(1100)로 센서 정보를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 1 상태와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스마트폰(smartphone)일 수 있으며, 제 2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1200)가 2m인 경우를 임계값으로 하여, 거리(1200)가 2m인 경우를 기준으로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 2 단말기(300)는 제 1 상태, 제 2 상태 및 거리(1200)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하지 않고 이동하면,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다. 이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0)인 스마트폰이 정지한 상태에서 제 2 단말기(300)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래의 위치(1300)로부터 이동함에 따라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예를 들어, 2m) 보다 멀어지면, 제 1 단말기(100)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대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단말기(100)의 상태를 지시하는 제 1 상태는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기(300)의 상태를 지시하는 제 2 상태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모드는 디스플레이, 센서부 및 통신부 등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하지 않는 상태는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스마트폰이 이동하는 상태는 사용자가 아닌 타인에 의해 스마트폰이 이동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상태가 움직임이 감지되는 상태이고, 제 2 상태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인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0)가 본래의 위치(1400)에서 이동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예를 들어, 2m) 보다 멀어졌을 때, 제 1 상태가 움직임이 감지되는 상태이고, 제 2 상태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인 경우, 제 2 단말기(300)에 도난 방지 알람 메시지(141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도난 방지 알람 메시지(1410)는 제 1 단말기(100)가 전송한 메시지이거나, 또는 제 2 단말기(300)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일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15a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보다 멀어진 경우,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제 1 상태는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상태를 지시하고, 제 2 상태는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두 단말기(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중 적어도 하나에 알람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의 상태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제 1 상태는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고, 제 2 상태는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의 상태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제 1 상태는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상태를 지시하고, 제 2 상태는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단말기(300)에 알람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1 상태와 제 2 상태가 모두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두 단말기의 움직임이 없음에도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변화된 것은 제 1 상태, 제 2 상태 또는 단말기들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오류가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 2 단말기(300)는 제 1 상태, 제 2 상태, 및 단말기들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도 15b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보다 멀어진 경우,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가 타인에 의해 도난당한 경우,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보다 멀어지고, 제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제2 단말기(300)의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300)에 분실/도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2 단말기(300)는 분실/도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는 저장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정보 보호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를 두고 이동하는 경우,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보다 멀어지고, 제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고, 제2 단말기(300)의 움직임은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300)로, 제1 단말기(100)가 대기 모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대기 모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2 단말기(300)는 대기 모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대기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가 타인에 의해 도난당한 경우,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보다 멀어지고, 제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제2 단말기의 움직임도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300)로 분실/도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2 단말기(300)는 도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는 저장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정보 보호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보다 멀어진 경우, 제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고, 제2 단말기(300)의 움직임 또한 감지되지 않은 상태이면, 이 것은, 제1 단말기(100)의 상태, 제2 단말기(300)의 상태 또는 단말기들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오류가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 2 단말기(300)는 제 1 단말기(100)의 상태, 제 2 단말기(100)의 상태, 및 단말기들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도 1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100)가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의 상태를 지시하는 제 1 상태를 결정하고(S1610), 제 2 단말기(300)의 상태를 지시하는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S1620). 여기서, 제 1 상태는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상태는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기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움직이는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30).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다시 업데이트할 수 있다(S1610, S1620).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두 단말기 간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S1630), 제 1 단말기(100)는 제 1 상태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가 움직이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40).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2 상태에 기초하여 제 2 단말기(300)가 움직이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50). 여기서, 제 2 상태가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알람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1660). 또한, 제 1 단말기(100)는 알람 메시지를 제 2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S1665). 반면에, 제 2 상태가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에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670).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인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2 상태에 기초하여 제 2 단말기(300)가 움직이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55). 여기서, 제 2 상태가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1680). 반면에, 제 2 상태가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S1610 단계부터 프로세스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 S1640, 단계 S1650 및 단계 S1655에서,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된다는 것은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 2 단말기(300)의 소지자의 소정의 움직임이 감지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제 1 센서 정보에 따라 결정된)에 포함되는 제 1 단말기(100)가 움직이는 방향, 속도, 움직이는 패턴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소지하고 걷는 경우에 나타나는 움직임의 방향, 속도 및 패턴과 유사한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S164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S1650 단계 및 S1655 단계에서 제 2 상태에 포함된 정보가 소지자의 소정의 움직임을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100)가 제 2 단말기(300)의 착용 상태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S1710). 이후,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제 2 센서 정보 또는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S1720).
이후,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730). 여기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S173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정해진 기간 동안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상태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S1720 단계를 다시 수행함으로써 제 2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 아닌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S1720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주기적으로 제 2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2 상태에 기초하여 제 2 상태가 사용자가 제 2 단말기(300)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상태가 제 2 단말기(300)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S1720 단계를 다시 수행함으로써 제 2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말기는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S1720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주기적으로 제 2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제 2 상태가 제 2 단말기(300)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에 대한 통신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S1750).
도 1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100)에 의해 수행된 동작에 대한 피드백(feedback)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 1 단말기(100)는 도 5의 S530 단계에서 수행된 제 1 단말기(100)의 동작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810). 제 1 단말기(100)는 실시 예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직접 응답을 수신하는 방법, 사용자의 간접 응답을 수신하는 방법 및 주변 환경을 인지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직접 응답을 수신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마이크(16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나 카메라 모듈(150)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피드백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간접 응답을 수신하는 방법은, 제 1 단말기(100)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 2 단말기(300)가 알람 메시지를 출력한 이후, 센서부(110)에 포함된 심박수 센서, 혈압 센서, 근육 센서, 및 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심박수, 혈압, 근육의 움직임, 뇌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주변 환경을 인지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마이크(162)를 이용하여 주변 소음을 인식하거나, 센서부(110)의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주변 조도를 인식하거나, GPS 모듈(140)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획득된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820).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 2 단말기(300)가 S530 단계에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한 경우,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작은 추가 알람 메시지를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 2 단말기(300)에 출력되도록 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S1810 단계에서 획득된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810 단계에서 획득된 생채 신호가 변화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긴장한 것으로 판단하고 추가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진동의 세기나 음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 2 단말기(300)에 알람 메시지를 출력한 경우, S1810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메뉴 선택 입력이나 음성 등에 따라서 제 2 단말기(300)가 아닌 다른 단말기에 추가 알람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알람 메시지가 출력된 경우, 자동차에 구비된 스피커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알람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를 분실함에 따라서 제 2 단말기(300)가 분실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였으나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예를 들어, 제 2 단말기(300)와 차량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서 추가적으로 분실에 대한 알람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단말기(100)는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주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추가 알림 메시지의 형태나 내용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가 도난 알림 메시지인 경우, 추가 알림 메시지는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 2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피드백 정보는 주변 소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소음의 크기가 큰 경우, 알람 메시지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알람 메시지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경우), 진동의 세기를 증가시키거나(알람 메시지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경우), 또는 짧은 주기로 알람 메시지를 복수회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9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가 사전 동기화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 1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파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910). 제 1 단말기(100)를 파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사전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를 간단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 1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2000)가 위치한 면에 카메라(2010)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000)가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도록 제 1 단말기(100)를 파지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카메라(20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카메라(2010)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인식을 수행한 결과, 촬영된 영상에 사용자의 안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파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 1 단말기(100)는 터치 센서(2020)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파지함에 따라 터치 센서(2020)에 접촉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를 터치 센서(2020)를 통해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파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파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920), 제 1 단말기(100)는 제 1 상태 정보 및 제 2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1930). 여기서, 제 1 단말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말기(300)로부터 제 2 센서 정보를 수신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말기(300)로부터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800)로부터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21은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사전 동기화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S2110). 이후, 제 1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제 2 단말기(300)와 제 1 단말기(10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S2120). 여기서,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후,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보다 큰 경우(S2130), 제 1 단말기(100)는 주기적으로 S2120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S2120단계에서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S2130), 제 1 단말기(100)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2140). 예를 들어,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22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제 2 단말기(3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 1 단말기(100)에 다가가 제 1 단말기(100)를 파지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는 서로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사전 동기화를 위하여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S2140 에서, 제 1 단말기(1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제 1 단말기(100)는 제 1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제 2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140 이후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와 제 1 단말기(100) 사이의 거리를 다시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S2150), 제 1 단말기(100)는 단계 S2140을 수행함으로써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가 근접해 있는 동안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반대로, 산출된 거리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S2150),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에 대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S2160).
여기서,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를 잠시 내려놓더라도 근거리 무선 통신이 종료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단계 S2130의 임계값과 단계 S2150의 임계값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단계 S2130의 임계값보다 단계 S2150의 임계값이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2130에서는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를 모두 소지하는 상태를 인지하기 위하여 임계값이 50cm일 수 있다. 또한, 단계 S2150에서는 제 2 단말기(3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00) 주변에 있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유지하기 위하여 임계값이 10m일 수 있다.
도 2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2 단말기(300)에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단말기(100)가 타인에게 도난된 경우, 제 1 단말기(100)를 통해서 사용자의 중요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단말기(300)에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24 내지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제 2 단말기에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단계 S2310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제 1 단말기(100)는 단계 S2310에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제 1 상태, 제 2 상태 및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S2320).
이후 단계 S2330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단계 S2330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가 도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건이 주어짐에 따라서 제 2 상태가 사용자가 이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지시하고, 제 1 상태는 사용자가 걸어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면 제 1 단말기(100)가 도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S2320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도 24는 제 1 단말기(100)가 휴대전화기이고, 제 2 단말기(300)는 사용자(2410)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단말기인 경우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 1 단말기(100)가 타인(2420)에 의해 도난 당한 경우,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2400)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타인(2420)이 제 1 단말기(100)를 들고 이동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를 통해 획득될 수 있는 움직임의 패턴이 제 1 단말기(100)를 들고 이동함에 따라 감지되는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 거리(2400)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고,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가 제 1 단말기(100)가 제 2 단말기(300)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거나, 제 2 단말기(300)가 이동하고 있지 않음에도 제 1 단말기(100)가 이동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가 타인(2420)에 의해 도난 당한 것일 수 있다.
S2330 단계에서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또는 제 1 단말기(100)가 도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중요 기능에 대응되는 입력으로 지정된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40). 중요 기능에 대응되는 입력으로 지정된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제 1 단말기(100)에 수신된 입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입력이 사진 정보를 열람하고자 하는 입력인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에서 사진 열람이 시도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제 2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단말기(300)에 표시된 메시지를 통해서 개인 정보 열람이 시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2340에서 언급된 지정된 입력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를 참조하면, 타인(2420)에 의해 도난된 상태인 제 1 단말기(100)에 타인(2420)이 잠금 화면을 해제하기 위한 터치 패턴(2500)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상태, 제 2 상태 및 두 단말기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가 도난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에 “휴대폰에 잘못된 패턴이 입력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2510)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2410)는 제 2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2510)를 통해서 타인(2420)에 의해 제 1 단말기(100)에 잠금 화면을 해제하려는 시도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가 제 2 단말기(300)로 메시지(2510)를 전송하는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 2 단말기(300)에 메시지(2510)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 1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이나 인터넷 등의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 2 단말기(300)에 메시지(2510)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른 예로서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지정된 입력은 제 1 단말기(100)를 통해서 사용자(2410)의 개인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2410)의 개인 정보는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 메시지, 사용자(2410)에 대한 금융 정보,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인(2420)이 금융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선택하면(제 1 단말기(100)가 도난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 1 단말기(100)는 “개인 정보에 대한 접근이 시도 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2610)를 제 2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가 제 2 단말기(300)로 메시지(2610)를 전송하는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도 2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100)가 제 2 단말기(30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단말기(100)는 제 1 상태, 제 2 상태 및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이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인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단말기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두 단말기 간의 거리,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이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인 경우, S2710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단말기를 선택(즉, 검색)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 1 단말기(100)는 단말기들(300-1, 300-2, 300-3) 중에서 사용자(2810)가 현재 사용 중인 단말기를 선택(즉,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들(300-1, 300-2, 300-3)은 제 1 단말기(100)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들(300-1, 300-2, 300-3)은 제 1 단말기(100)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단말기들 또는 제 1 단말기(100)가 연결된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단말기들(300-1, 300-2, 300-3)은 제 2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S271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단말기들(300-1, 300-2, 300-3)에 사용자(2810)가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를 검색한다는 정보를 나타내는 검색 신호를 단말기들(300-1, 300-2, 300-3)에 전송할 수 있다. 검색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2810)가 현재 사용 중인 단말기(300-1)는 사용자(2810)가 현재 단말기(300-1)를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제 1 단말기(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S271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검색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단말기들(300-1, 300-2, 300-3)에 접근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단말기들(300-1, 300-2, 300-3)을 분석하고, 각 단말기들(300-1, 300-2, 300-3) 중에서 사용자(2810)가 사용 중인 단말기(300-1)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PnP (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통해 UPnP 서비스가 지정되고, UPnP 서비스에 등록된 단말기는 현재 사용자가 사용 중인 단말기로 간주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대상인 현재 사용자가 사용 중인 단말기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제 1 단말기(100)가 접근 가능한 공유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공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 중인 단말기를 검색할 수도 있다. 또는,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가 보유하고 있는 단말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단말기를 스캔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단말기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이후, 제 1 단말기(100)는 S2710 단계에서 선택된 단말기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2720).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다른 단말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다른 단말기에 알림 메시지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
도 29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100)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30 내지 33은 도 2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를 미아 방지 목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다만, 도 30 내지 도 33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먼저, S291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의 상태를 지시하는 제 1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상태는,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의 이동 방향,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 또는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의 패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상태는 제 1 센서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예로, 제1 단말기(100)의 GPS 모듈(140) 또는 센서부(110)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제 1 단말기(1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GPS 모듈(140)을 이용하는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주기적으로 제 1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 1 단말기(100)는 이벤트 발생 시에 제1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제 1 단말기(100)에 대해 발생되는 동작 내지 사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 1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기(100)의 위치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주기적으로 제1 단말기(100)의 방위각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기(100)는 이벤트 발생 시에 제1 단말기(100)의 방위각을 획득할 수 있다. 방위각은, 예로, 지구 자기장의 N극이 향하는 방향과 제1 단말기(100)가 향하는 방향과의 사이각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단말기(100)의 방위각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S2920 단계에서, 제 2 단말기(300)는 제 2 단말기(300)의 상태를 지시하는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상태는, 예를 들어, 제 2 단말기(300)의 이동 방향,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 또는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의 패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2 상태는 제 2 센서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단말기(300)는, 예로, 제2 단말기(300)의 GPS 모듈(340) 또는 센서부(310)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3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단말기(300)가 GPS 모듈(340) 또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은 전술한 제1 단말기(100)에서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과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2930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3은 제 1 사용자(3010)가 휴대폰인 제 1 단말기(100)를 소지하고, 제 2 사용자(303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제 2 단말기(300)를 착용하고 있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제 1 단말기(100)는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3020)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거리(3020)가 임계값(3025)(예를 들어, 5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3025)은 제 1 단말기(100)에 사용자가 입력한 값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두 단말기 간의 거리(3020)가 임계값(3025)보다 작은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임의의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S291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 2 사용자(3030)가 제 1 사용자(3010) 주변의 임계값 이내에 있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동작 이외의 추가적인 동작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두 단말기 간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S2940단계에서 제 2 상태가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지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 2 사용자(3030)가 이동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 1 단말기(100)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임의의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S291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 2 상태가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S2950 단계에서 제 1 상태가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지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된다는 것은 제 1 센서 정보 또는 제 2 센서 정보가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단말기가 움직이는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으며,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2960).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아이(즉, 제 2 사용자(3030))가 멀어지고 있으니 아이의 위치를 확인하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 1 사용자(3010)는 정지한 상태에서, 제 2 사용자(3030)가 이전의 위치(3100)로부터 한 방향(3102)으로 이동하면,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3025) 이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사용자(3010)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 2 사용자(3030)가 제 1 사용자(3010)로부터 멀어질 수 있으므로, 제 1 단말기(3010)는 미아 방지를 위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S295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S2955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의 이동 방향이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방향이 동일하다는 의미는 이동 방향이 유사하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의 이동 방향이 동일한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임의의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S291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도 32는 제 2 사용자(3030)가 이전의 위치(3220)로부터 한 방향(3222)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제 1 사용자(3010)로부터 제 2 사용자(3030)까지의 거리가 임계값(3025)보다 큰 상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제 1 사용자(3010)가 본래의 위치(3210)로부터 이동한 방향(3212)이 제 2 사용자(3030)가 이동하는 방향(3222)과 동일한 경우, 제 1 사용자(3010)와 제 2 사용자(3030)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제 1 단말기(100)가 미아 방지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S2955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의 이동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2960). 도 33을 참조하면, 도 33은 제 2 사용자(3030)가 이전의 위치(3320)로부터 한 방향(3322)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제 1 사용자(3010)로부터 제 2 사용자(3030)까지의 거리가 임계값(3025)보다 큰 상태를 도시한다. 제 1 사용자(3010)가 본래의 위치(3310)로부터 이동하고 있는 방향(3312)과 제 2 사용자(3030)가 본래의 위치(3320)로부터 이동하고 있는 방향(3322)이 다르므로, 제 1 단말기(100)는 제 1 사용자(3010)에게 미아 방지를 위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도 34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1 단말기(100)가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35 내지 도 3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주변의 조도에 따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를 미아 방지 목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낮에는 밝기 때문에, 제1 단말기(100)를 가진 부모로부터 제2 단말기(300)를 가진 아이가 멀어져도, 부모는 아이의 위치를 잘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큰 조도 값을 갖는 낮에는 제1 단말기(200)와 제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의 임계 값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밤에는 어둡기 때문에, 제1 단말기(100)를 가진 부모와 제2 단말기(300)를 가진 아이가 조금만 멀어져도, 부모는 아이의 위치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작은 조도 값을 갖는 밤에는 제1 단말기(200)와 제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의 임계 값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아이가 부모로부터 조금만 떨어져도 부모에게 알림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먼저, S341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100)의 상태를 지시하는 제 1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S3420 단계에서, 제 2 단말기(300)는 제 2 단말기(300)의 상태를 지시하는 제 2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430에서, 제1 단말기(100)는 센서부(110)의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0) 주변의 조도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2 단말기(300)가 센서부(310)의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100) 주변의 조도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440에서, 제1 단말기(100)는 결정된 조도 값에 따른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의 임계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에서 결정된 조도 값이 100룩스 이하인 경우,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의 임계 값은 5m가 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기(100)에서 결정된 조도 값이 10룩스 이하인 경우,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의 임계 값은 4m가 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기(100)에서 결정된 조도 값이 1룩스 이하인 경우,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의 임계 값은 3m가 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00) 주변의 조도 값 및 제2 단말기(300) 주변의 조도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임계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00) 주변의 조도 값 및 제2 단말기(300) 주변의 조도 값 중에서 작은 값, 평균 값, 또는 미디안 값에 기초하여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단말기(300)가 제1 단말기(100) 주변의 조도 값 및 제2 단말기(300) 주변의 조도 값 중에서 작은 값을 선택하거나, 평균 값을 선택하거나, 미디안 값을 선택하고, 선택된 값을 제1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450에서, 단계 S3440 에서 임계 값이 결정된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두 단말기 간의 거리가 임계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5는 결정된 임계 값이 3m이며, 제1 사용자(3510)가 휴대폰인 제1 단말기(100)를 소지하고, 제2 사용자(353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제2 단말기(300)를 착용하고 있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제1 단말기(100)는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3520)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3520)가 임계값(3525)(예를 들어, 3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두 단말기 간의 거리(3520)가 임계값(3525)보다 작은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임의의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S341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두 단말기 간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S3460단계에서 제 2 상태가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지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 2 사용자(3530)가 이동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 1 단말기(100)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기(100)는 임의의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S341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 2 상태가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지시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S3470 단계에서 제 1 상태가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지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300)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3480).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아이(즉, 제 2 사용자(3530))가 멀어지고 있으니 아이의 위치를 확인하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제 1 사용자(3510)는 정지한 상태에서, 제 2 사용자(3530)가 이전의 위치(3500)로부터 한 방향(3602)으로 이동하면, 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3525) 이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사용자(3510)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 2 사용자(3530)가 제 1 사용자(3510)로부터 멀어질 수 있으므로, 제 1 단말기(3510)는 미아 방지를 위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S347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S3475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의 이동 방향이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방향이 동일하다는 의미는 이동 방향이 유사하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의 이동 방향이 동일한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임의의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S341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도 37은 제 2 사용자(3530)가 이전의 위치(3720)로부터 한 방향(3722)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제 1 사용자(3510)로부터 제 2 사용자(3530)까지의 거리가 임계값(3525)보다 큰 상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제 1 사용자(3510)가 본래의 위치(3710)로부터 이동한 방향(3712)이 제 2 사용자(3530)가 이동하는 방향(3722)과 동일한 경우, 제 1 사용자(3510)와 제 2 사용자(3530)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제 1 단말기(100)가 미아 방지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S3475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300)의 이동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3480). 도 38을 참조하면, 도 38은 제 2 사용자(3530)가 이전의 위치(3820)로부터 한 방향(3822)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제 1 사용자(3510)로부터 제 2 사용자(3530)까지의 거리가 임계값(3525)보다 큰 상태를 도시한다. 제 1 사용자(3510)가 본래의 위치(3810)로부터 이동하고 있는 방향(3812)과 제 2 사용자(3530)가 본래의 위치(3820)로부터 이동하고 있는 방향(3822)이 다르므로, 제 1 단말기(100)는 제 1 사용자(3510)에게 미아 방지를 위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도 39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제 2 단말기(300)에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를 떨어뜨린 경우, 사용자가 착용 또는 소지한 제2 단말기(300)에 알림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를 떨어뜨리기 전에,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를 대비하는 동작(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의 백업 데이터가 저장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0 내지 도 41은 도 39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제2 단말기(300)에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단계 S3910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300)와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300)는 단계 S3920에서 연결된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3930에서,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단계 S3940에서,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는 속도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300) 사이의 증가되는 속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단계 S3950에서,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00)의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00)에서 실행 중인 데이터(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1 단말기(100)에서 사용자가 입력 중인 정보 등을 제1 단말기(100)의 저장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기(100)는 상기 정보들을 제2 단말기(300)에게 제공하거나, 제1 단말기(100)의 외부 장치(예로, 클라우드 장치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가 휴대 전화기이고, 제2 단말기(300)는 사용자(4010)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단말기인 경우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0에서,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를 떨어뜨리는 경우,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4020)가 빠르게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4020)가 증가되는 속도가 임의의 값 이상인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00)의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단말기(100)의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다.
단계 S3960에서,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300)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3970에서,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300)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100)가 바닥에 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가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3970에서, 제2 단말기(300)는 제1 단말기(100)가 떨어진 것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를 바닥에 떨어뜨린 경우, 제1 상태는 제1 단말기(300)가 바닥에 떨어져 제1 단말기(300)에 충격량이 가해졌음을 지시하고, 제2 상태는 제2 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4010)가 이동 중이거나 또는 멈춰있는 상태를 지시하고, 이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사용자(4010)가 제 1 단말기(100)를 떨어뜨린 것으로 판단하고 제 2 단말기(300)에 사용자(4010)가 제 1 단말기(100)를 떨어뜨렸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2 단말기(300)가 사용자(4010)가 제 1 단말기(100)를 떨어뜨린 것으로 판단하고 제 1 단말기(100)가 떨어졌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RAM과 같은 휘발성 및 ROM 과 같은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저장 매체는 ROM, RAM, 플래시 메모리,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제 2 단말기와 연동 가능한 제 1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상기 제 1 단말기가 움직이는 상태를 지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제 2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 1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 2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단말기에 의해 감지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제 1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거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기에 의해 감지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보정함으로써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제 1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제 1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제 2 단말기가 움직이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제 1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고, 지정된 입력이 상기 제 1 단말기에 수신된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 1 단말기.
  7. 제 2 단말기와 연동 가능한 제 1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상기 제 2 단말기가 움직이는 상태를 지시하고,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 1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지시하는 제 2 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 1 단말기.
  10. 제 1 단말기와 연동 가능한 제 2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제 1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2 단말기.
  11. 제 2 단말기와 연동 가능한 제 1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상기 제 1 단말기가 움직이는 상태를 지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제 2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 2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에 의해 감지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더 수신하고,
    상기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거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기에 의해 감지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제 1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제 2 단말기가 움직이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고, 지정된 입력이 상기 제 1 단말기에 수신된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 방법.
  17. 제 2 단말기와 연동 가능한 제 1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상기 제 2 단말기가 움직이는 상태를 지시하고,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어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제 2 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어 방법.
  20. 제 1 단말기와 연동 가능한 제 2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50052463A 2014-07-31 2015-04-14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60016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7868 WO2016018040A1 (en) 2014-07-31 2015-07-28 A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104124447A TWI680380B (zh) 2014-07-31 2015-07-29 終端及其控制方法
US14/813,698 US9520047B2 (en) 2014-07-31 2015-07-30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based on a state of the terminal
CN201510463653.8A CN105323709B (zh) 2014-07-31 2015-07-31 终端和控制终端的方法
CN202010425007.3A CN111669736B (zh) 2014-07-31 2015-07-31 第一电子设备和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EP15179291.8A EP2985973B1 (en) 2014-07-31 2015-07-31 Theft protection by a distance-based notification
US15/375,506 US10147302B2 (en) 2014-07-31 2016-12-12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based on a state of the terminal
US16/176,761 US11189154B2 (en) 2014-07-31 2018-10-31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based on a state of the terminal
KR1020220033606A KR20220044169A (ko) 2014-07-31 2022-03-17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8646 2014-07-31
KR1020140098646 2014-07-31
KR1020140152084 2014-11-04
KR20140152084 2014-11-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606A Division KR20220044169A (ko) 2014-07-31 2022-03-17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555A true KR20160016555A (ko) 2016-02-15

Family

ID=5535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463A KR20160016555A (ko) 2014-07-31 2015-04-14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16555A (ko)
TW (1) TWI68038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486A (ko) * 2016-06-29 2018-01-08 (주)매직에코 단말기의 센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58141A (ko) * 2016-11-23 2018-05-31 오진석 분실 스마트폰 위치 알림 시스템
WO2023085848A1 (ko) * 2021-11-12 2023-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웨어러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5733B2 (en) * 2015-09-02 2018-12-04 Qualcomm Incorporated Auto-calibrating light sensor data of a mobile device
CN111596967A (zh) * 2020-04-27 2020-08-28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应用功能配置方法、终端设备、服务器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6125B2 (en) * 2006-04-14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Distance-based association
TWI530703B (zh) * 2011-02-23 2016-04-2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定位方法
CN102289626A (zh) * 2011-08-18 2011-12-21 韦春 一种主动安全保护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系统
US20140045463A1 (en) * 2012-08-10 2014-02-13 Silverplus, Inc.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486A (ko) * 2016-06-29 2018-01-08 (주)매직에코 단말기의 센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58141A (ko) * 2016-11-23 2018-05-31 오진석 분실 스마트폰 위치 알림 시스템
WO2023085848A1 (ko) * 2021-11-12 2023-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웨어러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80380B (zh) 2019-12-21
TW201606566A (zh)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4169A (ko)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1677642B1 (ko) 스마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상황 모니터링 방법
KR101760911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16555A (ko)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EP3293603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247170B1 (en) Mobile terminal
KR2017003947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76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1881423B (zh) 限制功能使用授权方法、装置、系统
US20150017963A1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KR2015012364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470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1314205B (zh) 即时通信匹配的方法、装置、系统、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40100051A (ko) 이동 단말기
KR20140019978A (ko) 이동 단말기
CN116097667A (zh) 通过使用uwb和ar来搜索丢失装置的方法及其设备
KR10158721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wlan 애드혹 연결 방법
KR20170006537A (ko)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9914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dicting user's intent
KR20160097914A (ko) 스마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N113052408B (zh) 一种社区聚合的方法及装置
KR2017009729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1670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8377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01205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