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351A -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351A
KR20160015351A KR1020160009575A KR20160009575A KR20160015351A KR 20160015351 A KR20160015351 A KR 20160015351A KR 1020160009575 A KR1020160009575 A KR 1020160009575A KR 20160009575 A KR20160009575 A KR 20160009575A KR 20160015351 A KR20160015351 A KR 20160015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hopping mall
affiliate
information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3001B1 (ko
Inventor
김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09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0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or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특정 상품을 구매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제휴업체 서버로 전송하거나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와 연동함으로써, 전자상거래에서의 온라인/오프라인(Online/Offline) 상품을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으며, 치킨집 같은 소규모 소매점에서도 간단한 앱(App)을 만들어 배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PRODUCT ODER SERVICE SYSTEM IN THE ELECTRONIC COMMERCE USING SMART PHO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와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에서의 온라인/오프라인(Online/Offline) 상품을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전자상거래의 비중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상거래는 생활용품, 가정용품, 전자제품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상품 영역에까지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전자상거래의 발달 계기는 통신 네트워크의 발달에 힘입은 바 크지만, 무엇보다도 판매자와 구매자가 전통적인 상거래 시스템에서는 얻지 못했던 또 다른 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면도 적지 않게 작용하고 있다.
즉, 판매자는 매장과 물품 보관을 위한 별도의 대형창고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만큼 시설자금이 절약되어 이것을 제품 가격에 반영할 수 있는 한편,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번거롭게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 편리하게 쇼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을 더 싼 값에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전자상거래란 재화나 서비스의 거래에 있어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문서 교환 등 전자적 방식에 의해 처리되는 거래를 말한다.
이러한 전자상거래는 현실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거래와 유사하게, 상거래 주체들이 모두 참여하게 된다. 가장 간단한 전자상거래의 경우, 물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상점(cyber mall), 상점에서 물건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 제품에 대한 금전관계에 관여하는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 등이 전자상거래에서 거래의 주체가 된다.
상기 전자상거래의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소비자는 컴퓨터 등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기로 가상 상점에 접속하여 쇼핑을 한다. 구매를 원하는 제품을 발견하면 가상상점에 구매의사를 전달하고, 예컨대 신용카드번호 및 비밀번호와 같은 결재수단을 제공한다.
가상 상점은 고객이 제시한 신용카드번호 및 비밀번호를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에 조회하고 대금지급을 요청한다.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가 대금을 가상 상점에 지급하면 가상 상점은 제품을 고객에게 배달함으로써 구매과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현재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전자상거래 쇼핑몰들은 여러 가지의 다양한 제품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인터넷 상에서 바로 주문이 가능하게 하여 소비자의 소비생활을 편하게 만들어 주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컴퓨터 등이 비치된 장소를 찾아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한 후 주문을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소비자의 개인 정보 내지 결제 정보 등을 컴퓨터 상에서 입력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전화 등으로 주문을 하는 경우에는 상담원이 근무하는 시간 내에만 주문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 및 공간상의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간 및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상시 소지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이용해 언제든지 주문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는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도록 하고, 판매자는 상담원 고용이나 가상 상점의 운영비용 등을 절약하여 더욱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물건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하는, 보다 신규하고 진보한 주문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온라인/오프라인(Online/Offline) 상품을 주문할 경우, 종래에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옥션 앱과 피자헛 앱) 별도로 실행하여 구매(예컨대, 옥션 앱 이용)하고, 따로 주문(예컨대, 피자헛 앱 이용)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예컨대, 제휴업체 앱(App)(예컨대, 피자헛 앱)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구매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오픈마켓 앱(App)(예컨대, 옥션 앱)을 통하여 할인 쿠폰이 적용된 상품을 구매한 후, 다시 제휴업체 앱을 실행하여 구매한 쿠폰의 번호를 입력한 다음 배송지 정보를 입력한 후 주문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로를 거치는 경우 오픈마켓 앱을 통한 결제와 쿠폰번호를 암기하고, 제휴업체 앱에 여러 개인정보를 다시 입력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11-011678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와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에서의 온라인/오프라인(Online/Offline) 상품을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스마트폰; 상기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휴업체를 통해 등록된 고유 상품번호를 갖는 특정 상품을 구매하도록 제공되는 쇼핑몰 서버; 및 고유 상품번호를 갖는 특정 상품을 상기 쇼핑몰 서버에 등록하는 제휴업체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휴업체를 통해 등록된 고유 상품번호를 갖는 특정 상품을 구매 및 결제할 경우,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는 특정 상품을 구매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제휴업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휴업체 서버에서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 및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상품에 대한 주문을 접수하고 배송처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휴업체 서버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해당 구매자가 구매한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완료를 확인하기 위한 구매 완료 알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서비스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 상품번호는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고유번호, 상품코드, 주문옵션코드, 할인정보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문에 필요한 구매자 정보는 상기 쇼핑몰 서버의 구매자 정보 DB에 미리 저장되며, 배송지 주소, 받는 사람 및 연락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휴업체 서버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품구매 확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해당 제휴업체 서버로 결제된 특정 상품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전송할 경우, 구매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결제된 특정 상품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구매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자동 입력되도록 한 후, 해당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자동 입력된 특정 상품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제휴업체 서버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쇼핑몰 서버 및 제휴업체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을 서비스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제휴업체 서버를 통해 고유 상품번호를 갖는 특정 상품을 상기 쇼핑몰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계(a)에서 등록된 고유 상품번호를 갖는 특정 상품을 구매 및 결제하는 단계; (c) 상기 쇼핑몰 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특정 상품을 구매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제휴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휴업체 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 및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상품에 대한 주문을 접수하고 배송처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제휴업체 서버는, 상기 단계(c)에서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해당 구매자가 구매한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완료를 확인하기 위한 구매 완료 알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서비스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에서, 상기 고유 상품번호는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고유번호, 상품코드, 주문옵션코드, 할인정보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주문에 필요한 구매자 정보는 상기 쇼핑몰 서버의 구매자 정보 DB에 미리 저장되며, 배송지 주소, 받는 사람 및 연락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해당 제휴업체 서버로 결제된 특정 상품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전송할 경우, 구매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결제된 특정 상품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구매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자동 입력되도록 한 후, 해당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자동 입력된 특정 상품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제휴업체 서버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제휴업체 서버는, 상기 단계(c)에서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품구매 확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술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폰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특정 상품을 구매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제휴업체 서버로 전송하거나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와 연동함으로써, 전자상거래에서의 온라인/오프라인(Online/Offline) 상품을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으며, 치킨집 같은 소규모 소매점에서도 간단한 앱(App)을 만들어 배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폰, 온라인 쇼핑몰 서버 및 제휴업체 서버간에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스마트폰(100-1 내지 100-N), 쇼핑몰 서버(200) 및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계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계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은 개방형 운영체계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계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은 예컨대, 앱 스토어(App Store)를 통해 오픈마켓인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옥션 앱)과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예컨대, 패션업체 앱, 피자, 치킨 등의 배달업체 앱, 마트 앱 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및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각각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은 통신망(10)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 및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와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통신망(1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WiFi, Wibro,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넷(Internet)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의 임의의 구매자가 후술하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 및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스마트폰(100-1 내지 100-N)과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 및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은 통신망(10)을 통하여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한 유무선 통신 처리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의 상품이나 다양한 서비스 등의 매매 중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구매자는 자신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을 통하여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의 서비스 이용 고객으로서 회원 가입할 수 있고, 회원 가입된 구매자가 등록하는 구매자 정보 등이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의 구매자 정보 DB(21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는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휴업체를 통해 등록된 고유 상품번호를 갖는 특정 상품을 구매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고유 상품번호는 예컨대,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고유번호, 상품코드, 주문옵션코드, 할인정보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구매자가 자신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휴업체를 통해 등록된 고유 상품번호를 갖는 특정 상품을 구매 및 결제할 경우,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에서는 특정 상품을 구매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주문에 필요한 구매자 정보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의 구매자정보 DB(210)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예컨대, 배송지 주소, 받는 사람 및 연락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통신망(10)을 통하여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여 제휴업체와 구매자간의 상품 매매를 중계하는 서버인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는, 통신망(10)을 통하여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로부터 판매자가 판매하는 다양한 판매상품들을 등록 받고, 등록 받은 다양한 판매상품들을 통신망(10)에 연결된 웹서버(Web Server)(미도시)를 통해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으로 제공하여 구매자가 필요한 판매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쇼핑몰 운영에 필요한 웹 페이지를 관리한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는 기본적으로 판매상품 리스트 중에서 구매자가 구입 결정하여 선택한 판매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으며, 결제된 판매상품에 대해서는 구매자에게 배송될 수 있도록, 판매자에게 결제된 판매상품에 대한 안내를 통보하는 등 배송에 필요한 과정과 배송중인 판매상품의 위치 추적이나 결과 등이 조회될 수 있도록 처리하고 필요한 웹 페이지를 관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을 통하여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여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상품이나 서비스 등의 일반적인 매매, 경매, 역경매, 흥정 등을 중계하는 서버인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는, 통신망(10)을 통하여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로부터 판매자가 판매하는 다양한 판매상품들이나 서비스 등을 등록 받고, 등록 받은 다양한 판매상품들이나 서비스 등을 통신망(10)을 통하여 구매자의 스마트폰(100-1∼100-N)으로 제공하여 구매자가 필요한 판매상품이나 서비스 등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의 웹서버는 통신망(10)을 통해 구매자 스마트폰(100-1 내지 100-N) 및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와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를 서로 연결시켜주며, 특정의 웹 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의 다양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에 구비된 구매자 정보 DB(210)는 회원 가입된 구매자가 등록하는 구매자 정보, 예를 들어, 구매자 회원 ID, 패스워드, 연락처, 장바구니 정보, 입찰 중인 상품정보, 낙찰된 상품정보, 흥정중인 상품정보, 결제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배송정보, 구매결정 여부 정보, 및 단골매장에 대한 상품정보들 등을 기록/관리하는 DB로서,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에 의해 해당 정보들이 독출되거나 새로운 구매자 정보들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에 구비된 상품정보 DB(220)는 다양한 판매상품들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DB로서,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에 의해 해당 정보들이 독출되거나 새로운 판매상품 정보들로 갱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DB들(210 및 220)은 예컨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는 고유 상품번호를 갖는 특정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에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 및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상품에 대한 주문을 접수하고 배송처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구매자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설치된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해당 구매자가 구매한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완료를 확인하기 위한 구매 완료 알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서비스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구매자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으로 상품구매 확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를 통해 고유 상품번호를 갖는 특정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에 등록한다(S100).
이때, 상기 고유 상품번호는 예컨대,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고유번호, 상품코드, 주문옵션코드, 할인정보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 구매자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계S100에서 등록된 고유 상품번호를 갖는 특정 상품을 구매 및 결제한다(S200).
그런 다음,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S200에서 특정 상품을 구매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로 전송한다(S300).
이때, 상기 주문에 필요한 구매자 정보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의 구매자 정보 DB(210)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예컨대, 배송지 주소, 받는 사람 및 연락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에,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를 통해 상기 단계S300에서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 및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상품에 대한 주문을 접수하고 배송처리 서비스를 수행한다(S400).
상기 단계S400에서,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는 상기 단계S300에서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해당 구매자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설치된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해당 구매자가 구매한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완료를 확인하기 위한 구매 완료 알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서비스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S400에서,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는 상기 단계S300에서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해당 구매자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으로 상품구매 확인 알림 메시지를 예컨대,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형태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계S300에서,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는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에 직접 전송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구매자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결제된 특정 상품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구매자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설치된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자동 입력되도록 한 후, 해당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자동 입력된 특정 상품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가 후술하는 도 3의 설명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폰, 온라인 쇼핑몰 서버 및 제휴업체 서버간에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에서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리스팅(listing)하는데, 이 때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고유번호를 함께 등록한다(S10).
예컨대, 제휴업체인 피자헛(Pizza hut)이 할인된 피자 메뉴를 온라인 쇼핑몰인 옥션(Auction)에 리스팅하면서 상품 정보에 피자헛 앱 고유번호를 함께 등록함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에서는 상기 단계S10에서 리스팅 된 상품에 대한 모든 정보를 앱 주문 코드로 코드화한다(S20).
이때, 상기 앱 주문 코드는 예컨대, 앱 코드(피자헛 앱 고유번호), 앱 내 상품코드(옥션 앱 내 상품코드), 주문옵션코드(선택적) 및 할인정보코드(선택적)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구매자는 자신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주문에 필요한 정보들(예컨대, 배송지 주소, 받는 사람, 연락처 등 즉, 회원 ID 정보)을 기록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주문에 필요한 정보들은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의 구매자 정보 DB(210)에 저장된다.
이후에, 구매자는 자신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옥션 앱)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계S10에서 리스팅 된 상품들 중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예컨대, 피자헛 쿠폰)을 구매하고 결제한다(S30).
이때, 상기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에서는 구매자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조회하여, 해당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예컨대, 피자헛 앱)이 없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설치 안내를 수행하고, 구매자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해당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설치된 경우, 구매자는 상기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알림(Notification) 서비스 고유번호를 확인하고 결제를 완료한다.
그런 다음,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에서는 제휴업체 API를 통해 해당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로 결제된 상품에 대한 앱 주문 코드, 결제확인키 및 알림 서비스 고유번호를 전송한다(S40).
이후에,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에서는 해당 구매자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설치된 해당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제 완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50).
다음으로, 구매자는 자신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설치된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알림(Notification)을 확인한다(S60). 이때, 상기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으로 앱 주문 코드와 결제 확인키를 제공하고, 상기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의 구매자 정보 DB(210)를 이용하여 상기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요로 하는 추가 정보를 상기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주문에 필요한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예컨대, 구매자가 자신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온라인 쇼핑몰인 옥션(Auction)에서 상품을 구매 및 결제하면, 온라인 쇼핑몰 서버(200)에서는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예컨대, 피자헛 서버)로 알림 서비스 고유번호(앱 주문 코드+단말기 고유번호)를 전송한 후, 제휴업체 서버(300-1 내지 300-N)에서는 해당 구매자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으로 상품구매 확인 푸시알림(SMS 등)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해당 구매자는 자신의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설치된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예컨대, 피자헛 앱) 서비스를 실행한 후(또는 자동 실행됨), 상기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알림 서비스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구매자 상품을 파악하고, 옥션 배송지로 주문받기 버튼(옥션-피자헛 주소공유)을 선택한 다음, 해당 구매자가 주문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한 후 주문 버튼을 누르면 주문이 완료된다.
즉,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 및 결제하기만 하면,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주문이 완료된다. 즉, 구매자는 상기 단계S30만 실행하고 이후 해당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에서 나타난 주문 내역만 확인하면 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100-1 내지 100-N)에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인 옥션 앱(App)을 포탈화할 수 있다. 예컨대, 작은 패션업체, 피자, 치킨 등의 배달업체, 작은 마트 등 인지도가 떨어지는 앱을 대상으로 마케팅하여 옥션에 상품을 리스팅할 수 있으며, 구매자는 항상 사용하는 옥션 앱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 해당 제휴업체 앱을 자동 실행하여 배송을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1 내지 100-N : 스마트폰,
200 : 온라인 쇼핑몰 서버,
300-1 내지 300-N : 제휴업체 서버

Claims (12)

  1. 제휴업체 서버를 통해 등록된 고유상품번호를 갖는 특정 상품을 구매하도록 제공되는 쇼핑몰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고유상품번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코드화하고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스마트폰에 제공하고, 상기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안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고유상품번호를 포함하는 알림 서비스 고유번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조회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휴업체를 통해 등록된 고유상품번호를 갖는 특정 상품을 구매 및 결제할 경우,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는 특정 상품을 구매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제휴업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주문을 상기 제휴업체 서버에 전송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휴업체 서버가 상기 결제 관련 정보 및 해당 구매자 정보를 바탕으로 배송처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휴업체 서버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해당 구매자가 구매한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완료를 확인하기 위한 구매 완료 알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상품번호는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고유번호, 상품코드, 주문옵션코드, 할인정보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에 필요한 구매자 정보는 상기 쇼핑몰 서버의 구매자 정보 DB에 미리 저장되며, 배송지 주소, 받는 사람 및 연락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휴업체 서버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품구매 확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해당 제휴업체 서버로 결제된 특정 상품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전송할 경우,
    구매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결제된 특정 상품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구매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자동 입력되도록 한 후, 해당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자동 입력된 특정 상품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제휴업체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7. 쇼핑몰 서버 및 제휴업체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및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을 서비스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제휴업체 서버를 통해 고유 상품번호를 갖는 특정 상품을 상기 쇼핑몰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유 상품 번호는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코드화되고,
    (b)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계(a)에서 등록된 고유 상품번호를 갖는 특정 상품을 구매 및 결제하는 단계;
    (c) 상기 쇼핑몰 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특정 상품을 구매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제휴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제휴업체 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 및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상품에 대한 주문을 접수하고 배송처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설치 안내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고유번호를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제휴업체 서버는, 상기 단계(c)에서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해당 구매자가 구매한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완료를 확인하기 위한 구매 완료 알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고유 상품번호는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고유번호, 상품코드, 주문옵션코드, 할인정보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주문에 필요한 구매자 정보는 상기 쇼핑몰 서버의 구매자 정보 DB에 미리 저장되며, 배송지 주소, 받는 사람 및 연락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해당 제휴업체 서버로 결제된 특정 상품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전송할 경우,
    구매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결제된 특정 상품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구매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자동 입력되도록 한 후, 해당 제휴업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자동 입력된 특정 상품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해당 제휴업체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제휴업체 서버는, 상기 단계(c)에서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와 함께 주문에 필요한 해당 구매자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품구매 확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방법.
KR1020160009575A 2016-01-26 2016-01-26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3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575A KR101963001B1 (ko) 2016-01-26 2016-01-26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575A KR101963001B1 (ko) 2016-01-26 2016-01-26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166A Division KR101609909B1 (ko) 2013-11-21 2013-11-21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284A Division KR102250072B1 (ko) 2019-03-19 2019-03-19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351A true KR20160015351A (ko) 2016-02-12
KR101963001B1 KR101963001B1 (ko) 2019-03-28

Family

ID=5535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575A KR101963001B1 (ko) 2016-01-26 2016-01-26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0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332A (ko) * 2016-06-09 2017-12-19 네이버 주식회사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0174260A1 (en) * 2019-02-27 2020-09-03 Ramirez Vivian Enabling a customer to utilize a customer computing device to shop in an electronic commerce platform
JP7320155B1 (ja) * 2022-12-23 2023-08-02 PayPay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436A (ko) * 2000-12-11 2001-03-05 백운하 인터넷을 이용한 판매, 결제 및 인증 시스템
KR20100030218A (ko) * 2008-09-10 2010-03-18 이기설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50121A (ko) * 2008-11-05 2010-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방법, 쇼핑몰 서버 및 쇼핑몰 시스템
KR20100050816A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주소록을 이용한 개인 정보 자동 입력 방법 및 그시스템
KR20110116784A (ko) 2010-04-20 2011-10-26 (주)온디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09909B1 (ko) * 2013-11-21 2016-04-07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436A (ko) * 2000-12-11 2001-03-05 백운하 인터넷을 이용한 판매, 결제 및 인증 시스템
KR20100030218A (ko) * 2008-09-10 2010-03-18 이기설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50121A (ko) * 2008-11-05 2010-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방법, 쇼핑몰 서버 및 쇼핑몰 시스템
KR20100050816A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주소록을 이용한 개인 정보 자동 입력 방법 및 그시스템
KR20110116784A (ko) 2010-04-20 2011-10-26 (주)온디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09909B1 (ko) * 2013-11-21 2016-04-07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332A (ko) * 2016-06-09 2017-12-19 네이버 주식회사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0174260A1 (en) * 2019-02-27 2020-09-03 Ramirez Vivian Enabling a customer to utilize a customer computing device to shop in an electronic commerce platform
JP7320155B1 (ja) * 2022-12-23 2023-08-02 PayPay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001B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90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0072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5877474B2 (ja) 販売者近傍におけるユーザデバイスを介した取引
KR101591245B1 (ko) 와이파이망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가상화폐 결제시스템
US11227253B2 (en) Product delivery service system in the electronic commerce using smart phone and method thereof
JP2014520301A (ja) 販売地点でのバーコードレジ
KR101740121B1 (ko) 해외 선불화폐로 결제한 자금에 대한 실시간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09936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실시간 상품 주문 및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6300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3364A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할인쿠폰 자동 적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3918A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42937A (ko) 전자상거래에서의 리스 상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3172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할인쿠폰 자동 적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2765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간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373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할인쿠폰 자동 적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4537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할인쿠폰 자동 적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7511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할인쿠폰 자동 적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8868A (ko) 거래 정보 제공 방법, 그를 이용한 서버 장치 및 시스템
KR2015009032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평 이미지 등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7584A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간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9363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평 이미지 등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45657A (ko)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