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124A - lid for vacuum pot - Google Patents

lid for vacuum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124A
KR20160015124A KR1020140112889A KR20140112889A KR20160015124A KR 20160015124 A KR20160015124 A KR 20160015124A KR 1020140112889 A KR1020140112889 A KR 1020140112889A KR 20140112889 A KR20140112889 A KR 20140112889A KR 20160015124 A KR20160015124 A KR 20160015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frame
lid
rib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70265B1 (en
Inventor
이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콜
Publication of KR20160015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1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2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able lid for a pot, capable of confirming the inside of a container. A packing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a frame installed on a border of a lid main body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Description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lid for vacuum pot}{Lid for vacuum pot}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인 뚜껑본체의 테두리에 장착된 테에 패킹이 끼워 장착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vacuumable pot in which a packing is fitted to a frame mounted on a rim of a lid body, at least a part of which can be identified inside the container,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종래 진공냄비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끓일 때에는 조리실 내부가 팽창하여 체크밸브(또는 진공해제밸브)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평상시와 같은 냄비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Conventionally,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the conventional vacuum pot can be used as a pot as usual when the interior of the cooking chamber is expanded when boiling and air is discharged through a check valve (or vacuum release valve).

다 끓인 후 식히면 조리실 내부가 수축하여 체크밸브(또는 진공해제밸브)를 통해 외부 공기의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뚜껑의 테두리에 장착된 진공 가능한 패킹을 계속 아래로 당기는 일명 펌핑과 같은 기능을 하면서 내부를 진공화시켜 뚜껑이 용기에 붙어 떨어지지 않게 된다. When boiled and cooled,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shrinks, block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through the check valve (or vacuum release valve), and functioning like pumping, which keeps the vacuumable packing attached to the rim of the lid still pushed down. While the inside is evacuated so that the lid does not fall off the container.

이 진공상태로 그대로 내용물을 보관하면 진공을 유지하는 동안에는 음식물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계속 끓여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If the contents are kept in this vacuum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od from being broken while the vacuum is maintained, thereby solving the inconvenience of continuously boiling and storing.

진공상태의 해제는 다시 끓이거나 체크밸브(또는 진공해제밸브)를 잡고 올리면 된다. Release the vacuum again by boiling or holding the check valve (or vacuum release valve).

그러나, 종래의 진공 가능한 패킹은 뚜껑본체의 테두리에 형성된 장착홈 또는 고정부재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However, conventional vacuumable packings are mounted by mounting grooves or fixing members formed on the rim of the lid body.

패킹이 장착홈 또는 고정부재에 장착됨으로써, 열에 의해 패킹이 늘어나면 늘어난 고무가 밀려나갈 공간이 아래쪽밖에 없기 때문에, 테두리와 패킹 사이에 틈이 생겨 오물이 들어갔을 때 청소하기 힘들고, 세척을 위한 탈부착 등이 불편하고 쉽지 않다. Since the packing is attached to the mounting groove or the fixing member, when the packing is stretched by the heat, there is no space for the rubber to be pushed out. Therefore, there is a gap between the rim and the packing and it is difficult to clean when the dirt enters, It is inconvenient and not easy.

한편, 특허문헌 3의 패킹은 뚜껑의 테두리에 끼우는 ㄷ자 형상으로서, 열을 받아 팽창하게 되면 ㄷ자 형상중 테두리의 밑면에 밀착된 아래쪽 부분이 늘어나면서 테두리 밑면과 틈새가 생겨 이물질이 끼 울려가 매우 크고, 세척을 위한 분리 시 재 부착이 어렵다.(통상 접착제로 접착한 상태로 끼우기 때문에)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3, the packing has a U-shape fitted on the rim of the lid, and when expanded by the heat, the lower portion of the U-shaped shape closely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rim is stretched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rim and the bottom, , It is difficult to re-attach when detached for cleaning (usually because it is sandwiched with adhesive)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5784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25784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17219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17219 특허문헌 3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0345호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03034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부를 확인하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뚜껑본체에 패킹이 구속되지 않게 끼워져 조립이 편리하면서도 진공 역할을 확실하고 자유로운 열팽창에 따른 이물질의 침투도 막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lid body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d for a vacuumable pot which prevents penetra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은, 용기의 내부를 진공 가능하게 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뚜껑본체; 상기 뚜껑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크밸브;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장착되는 테; 상기 테의 밑면에 끼워져 조립되는 패킹;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vacuum ladle lid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cuum ladle ladle capable of evacuating the interior of a container,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lid is transparent or non- Translucent lid body; A check valve mounted on the lid body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 frame mounted along the rim of the lid body; And a packing fit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테는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의 상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제1테와, 상기 패킹이 끼워진 채 상기 제1테에 의해 지지되는 제2테로 구성되며, 상기 제2테는 상기 테두리의 밑에 배치되며 상기 제1테에 의해 받쳐 지지되는 제2받침테와, 상기 제2받침테의 외측단에서 위로 연장되며 상기 테두리의 측면과 상기 제1테 사이에 개재되는 제2상방테와, 상기 제2받침테의 내측단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패킹이 끼워지는 제2하방테로 구성되며, 상기 패킹은 상기 제2하방테에 끼워지는 몸체 패킹과, 상기 몸체 패킹의 외측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상단에 놓이는 외팔보형 날개 패킹으로 이루어진다. The lid for a vacuumable pot 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has a first frame surrounding the top and sides of the rim of the lid body and a second frame surrounding the sides of the lid body, Wherein the second frame comprises a second support frame disposed under the rim and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and a second support frame extending upward from an out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a second lower frame extending downward from an inn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fitted with the packing, the packing including a body packing which is fitted to the second lower frame, And a cantilever-shaped vane packing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packing and plac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몸체 패킹은 제2하방테의 내외측에 배치되는 제1몸체 패킹과 제2몸체 패킹, 상기 제1몸체 패킹의 하측과 상기 제2몸체 패킹의 하측을 연결하는 제3몸체 패킹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팔보용 날개 패킹은 상기 제2몸체 패킹의 외측에서 바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 패킹과 상기 제2몸체 패킹 사이에는 상기 제2하방테가 끼워져 조립된다. The lid for a vacuumable pot according to claim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acking comprises a first body packing and a second body packing arrang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econd lower side, And a third body packing for connecting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cking, wherein the cantilever blade packing extends outward from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body packing, and between the first body packing and the second body packing, 2 The lower frame is fitted and assembled.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패킹의 상단에는 내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리브 패킹과 제2리브 패킹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the lid for a vacuumable pot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rib packing and a second rib packing, which are inclined inward and outward, are formed in a V-shape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acking.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패킹의 상단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리브 패킹이 더 형성된다. In the lid for a vacuumable pot according to claim 5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b packing extending outward is further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acking.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의 테두리 패킹이 더 끼워지는 것이 좋다. In the lid for a vacuumable pot according to claim 6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packing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is further fitted on the rim of the lid body.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형 날개 패킹의 고정단은 상기 제2몸체 패킹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In the lid for a vacuumable pot according to claim 7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end of the cantilevered vane packing is dispos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packing.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형 날개 패킹의 상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융기한 띠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띠 돌기의 소정 간격마다 상기 띠 돌기의 높이보다 더 높은 스폿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lid for a vacuumable pot 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nd projection protruding along the periphery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tilever-shaped vane packing, and a height of the band projection is higher And spot projections are 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용기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뚜껑본체의 테두리의 테 밑면에 패킹이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뚜껑본체의 실링과 진공을 동시에 행하면서도 내부의 조리물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고, 특히 패킹을 밑에서 위로 끼우거나 아래로 잡아당겨 빼낼 수 있어 조립이 매우 편리하고, 테에 매달리는 형태로 끼워져 있어 열팽창이 자유로워 테두리 또는 테와의 틈새가 생기기 않아 이물질이 낄 우려가 없다. The interior of the lid body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while simultaneously sealing and vacuuming the lid body by inserting the packing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body at least a part of which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so as to confir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t is very easy to assemble because it can be inserted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or can be pulled down to pull it out. It is inserted in a form hanging on the frame, free of thermal expansion, and there is no fear of foreign matter because there is no gap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또한, 제1몸체 패킹의 상단에 내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리브 패킹과 제2리브 패킹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리브는 압력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제2리브는 진공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Also, since the first rib packing and the second rib packing, which are inclined inward and outward, are formed in a V shape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acking, the first rib prevents the pressure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Prevents the inflow of outside air during vacuum.

또한, 외팔보형 날개 패킹의 고정단이 제2몸체 패킹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배치됨으로써, 끼울 때 상단이 스토퍼 역할을 하여 외팔보형 날개 패킹의 작동을 원할하게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fixed end of the cantilevered wing packing is dispos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packing, the upper end functions as a stopper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cantilevered wing packing.

또한, 상기 외팔보형 날개 패킹의 상면에는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조리시 체크밸브가 막혀 압력이 높아지면 돌기 사이로 압력이 배출될 수 있도록 벌어지게 하는 역할을 하고, 진공 시는 패킹이 냄비의 전체에 일정하게 눌러져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tilever-shaped vane packing, when the pressure is high when the check valve is closed, the pressure acts to spread the pressure between the protrusions. When vacuum is applied, So that it can be closely contacted.

또한, 뚜껑본체의 테두리에 단면이 ㄷ자 형상의 테두리 패킹이 더 끼워짐으로써, 뚜껑본체와 테 사이를 더욱 밀폐시켜 냄비 내부의 진공 상태를 더욱더 잘 유지시킨다. Further, a U-shaped cross-section packing is further fitted to the rim of the lid body so that the lid body and the lid are further sealed to further maintain the vacuum state inside the pot.

또한, 띠 돌기로 인해 진공 시 선접촉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면접촉에 비해 접촉면적이 좁아 진공 해세시 외팔보형 패킹 날개의 떨어지는 작동이 신속 정확히 이루어진다.
In addition, due to the band projections, the contact area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surface contact because it is in contact with the line contact in vacuum, so that the operation of dropping the vacuum cantilevered cantilevered packing vane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가능한 냄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뚜껑을 용기에서 분리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3-3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3a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뚜껑의 주요 부분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패킹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도 5의 절취 사시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절취 사시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패킹이 적용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단면도.
도 7a는 체크밸브가 진공을 유지한 상태의 단면도.
도 7b는 체크밸브가 압력에 따라 넘침 방지와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유지한 상태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able p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d of Fig. 1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FIG. 3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FIG.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lid in Figure 2;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acking of FIG. 4;
5A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5; FIG.
FIG. 6A is a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a pac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sectional view of a lid for a vacuumable pot to which the packing of Fig. 6A is applied.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heck valve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Fig. 7B is a sectional view of the check valve in a state in which the overflow prevention and the water droplet prevention prevention are maintained by the pressur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가능한 냄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뚜껑을 용기에서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3-3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뚜껑의 주요 부분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패킹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5의 절취 사시 단면도이고, 도 6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절취 사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패킹이 적용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단면도이다. 도 7a는 체크밸브가 진공을 유지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체크밸브가 압력에 따라 넘침 방지와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유지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able p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of FIG. 1 separated from a container,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2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3,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lid in Fig. 2,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acking of Fig. FIG. 6A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pac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6B is a sectional view of a vacuumable pot lid to which the packing of FIG. 6A is applied.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heck valve in a state in which the check valve is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and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heck valve in a state in which overflow prevention and water-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가능한 냄비(100)는 조리실(200a)을 갖는 용기(200)와, 용기(200)의 조리실(200a)을 개폐하는 진공 가능한 뚜껑(300)을 포함한다. 1 and 2, a vacuumable p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200 having a cooking chamber 200a, a vacuum lid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200a of the container 200 300).

용기(200)는 도 2와 같이 내부에 조리실(200a)을 형성하도록 바닥(210)과, 바닥(210)의 가장자리에서 위로 돌출한 측벽(230)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container 200 is formed with a bottom 210 and a side wall 230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bottom 210 to form a cooking chamber 200a therein as shown in FIG.

진공 가능한 뚜껑(3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용기(20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뚜껑본체(310)와, 뚜껑본체(3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크밸브(350)와, 뚜껑본체(310)의 테두리(312)를 따라 장착되는 테(400)와, 테(400)의 밑면에 끼워져 조립되는 패킹(37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vacuumable lid 300 includes a lid body 310,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so as to be visible inside the container 200, A frame 400 mounted along the frame 312 of the lid body 310 and a packing 370 fit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400. [

뚜껑본체(310)는 전체가 투명한 유리 또는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강화 유리가 바람직하다. The lid body 310 may be embodied as whole transparent glass or partially transparent or translucent reinforced plastic, but tempered glass is preferred.

특히 체크밸브(350)는 뚜껑본체(31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311)에 설치되는 뚜껑손잡이(330)에 배치되어 있다. Particularly, the check valve 350 is disposed in the lid handle 330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31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id body 310.

뚜껑손잡이(330)는 도 3,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311) 상에 배치되는 중공심부(330a)와, 중공심부(330a)와 결합되어 뚜껑본체(310)에 지지되는 중공캡부(330b)와, 중공캡부(330b)의 일측에서 뚜껑본체(31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암(330c)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뚜껑손잡이(330)는 열에 강한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어 있다. 3, 7A, and 7B, the lid handle 330 includes a hollow core 330a disposed on the through hole 311, and a hollow core 330a coupled to the hollow core 330a, And an arm 330c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id body 310 from one side of the hollow cap portion 330b. Further, the lid handle 330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resistant to heat.

체크밸브(350)는 중공심부(330a) 내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체크밸브(350)의 상부는 중공캡부(330b)의 상단보다 위로 돌출되어 있다. The check valve 350 is movably mounted in the hollow core 330a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heck valve 350 protrudes above the upper end of the hollow cap 330b.

이와 같은 뚜껑손잡이(330)의 구성에 의해, 하나의 뚜껑손잡이로 진공 기능, 넘침 방지 기능, 세움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lid handle 330, a single lid handle can simultaneously satisfy the vacuum function, the overflow prevention function, and the lifting function.

중공심부(330a)의 관통 내부는 도 7b와 같이 용기(200)에서 생긴 수증기 등이 빠지는 배출구의 통로 기능을 한다. As shown in FIG. 7B, the through-hole of the hollow core 330a serves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water vapor or the like generated in the container 200.

중공심부(330a)의 하단에는 뚜껑본체(310)의 밑면에 걸리는 걸림 플랜지(331a)가 형성되어 있다. At the lower end of the hollow core 330a, a latching flange 331a is formed which is hook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body 310. [

이 걸림 플랜지(331a)는 중공심부(330a)의 상단을 관통공(311)의 아래에서 위로 삽입하면 관통공(311)의 하면에 걸리게 된다. The engaging flange 331a is caught by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11 when the upper end of the hollow core 330a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11 from below.

또한, 중공심부(330a)의 외주면에는 수나사(33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330a)는 걸림 플랜지(331a)와 중공심부(330a)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공심부(330a)의 상단과 관통공(311) 사이에 어느 정도 높이의 차이가 있다. A male screw 333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core portion 330a. Since this male thread 330a is formed between the engaging flange 331a and the upper end of the hollow core 330a, there is a certain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hollow core 330a and the through hole 311.

중공캡부(330b)는 상하로 관통한 통 또는 원통 형상으로서, 수나사(333a)와 체결되는 암나사(333b)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The hollow cap portion 330b has a cylindrical or cylindrical shape penetrating up and down, and a female screw 333b fastened to the male screw 333a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암나사(333b)도 중공캡부(330b)의 하단에서 상단 사이 특히 중공캡부(330b)의 하단에서 후술된 배출공(3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The female screw 333b is also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hollow cap portion 330b and the upper end, particularly the lower end of the hollow cap portion 330b, between the discharge hole 320 described later.

따라서, 중공캡부(330b)의 상하단 사이의 높이가 어느 정도 깊다. Therefore, the heigh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ollow cap portion 330b is somewhat deep.

중공캡부(330b)의 일측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공(320)이 더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a discharge hole 320 is further formed at one side of the hollow cap portion 330b.

배출공(320)은 도 3,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심부(330a)의 상단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수증기가 배출공(320)을 빠져나갈 때 중공심부(330a)의 상단에 방해받지 않게 한다.As shown in FIGS. 3, 7A and 7B, the discharge hole 320 is dispos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hollow core 330a. When the water vapor exits the discharge hole 320, Do not disturb the top.

즉, 도 7b와 같이 수증기가 위로 빠져나오려고 할 때 배출공(320)으로도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중공캡부(330b)의 높이(깊이) 차이에 따른 수증기의 응축을 방지하여 중공캠부(330b) 내에 물이 고이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7B, when the water vapor is going to come out upwardly, it is also allowed to escape to the discharge hole 320, thereby preventing the condensation of water vapor due to the difference in height (depth) of the hollow cap portion 330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rom flooding.

배출공(320)은 상하보다 좌우로 길이가 긴 장공의 직사각형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The discharge hole 320 is formed to pass through a rectangle having a long length from the top and the bottom to the left and right.

또한, 배출공(320)은 암(330c)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hole 320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arm 330c.

암(330c)은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중공캡부(330b)의 일측에서 뚜껑본체(31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측면에서 볼 때 뚜껑본체(310)의 중심측에서 테두리 쪽으로 향할수록 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The arm 330c protrudes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lid body 310 from one side of the hollow cap part 330b when viewed from a plane and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rim from the center side of the lid body 310 when viewed from the side .

따라서, 암(330c)의 끝단과 뚜껑본체(310)의 테두리는 진공 가능한 뚜껑(300)을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다. Therefore, the end of the arm 330c and the rim of the lid body 310 can stably erect the lid 300 that can be vacuumed.

한편,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캡부(330b)에는 증기를 위쪽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편(340)이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hollow cap part 330b is provided with a guide piece 340 for guiding upward the steam.

특히 가이드편(340)은 중공캡부(330b)와 암(330c)이 만나는 지점에 배치 설치되어, 암(330c) 쪽으로 수증기 등이 직접 향하는 것을 위쪽으로 우회시키는 우회로의 기능을 한다. Particularly, the guide piece 340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hollow cap 330b and the arm 330c meet, and serves as a detour for bypassing upward the water vapor directly toward the arm 330c.

이러한 우회로의 기능을 위해 중공캡부(330b)의 상면 일부를 마치 벽을 둘러싼 것처럼 가이드편(340)이 설치되어 있다. In order to function as a detour, a guide piece 340 is provid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cap part 330b as if it surrounds the wall.

체크밸브(350)는 탄성 변형이 자유롭고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심부(330a)에 형성된 개폐공(335a)의 상면(337a)에 놓이는 개폐 플랜지(351)와, 개폐 플랜지(351)의 상부에 형성되는 꼭지부(353)와, 개폐공(335a)의 하면(338a)에 걸리는 중공 플랜지(355)와, 개폐 플랜지(351)와 중공 플랜지(355)를 연결하는 연결부(357)와, 꼭지부(353)와 개폐 플랜지(351) 사이에 형성되는 플랜지(359)로 구성되어 있다. The check valve 350 is a silicone material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s an opening and closing flange 351 placed on the upper surface 337a of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335a formed in the hollow core portion 330a as shown in Figs. A hollow flange 355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338a of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335a and a hollow flange 355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flange 351, And a flange 359 formed between the stem 35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flange 351. The flange 359 is formed of a metal plate.

연결부(357)는 중공 플랜지(355)의 둘레를 따라 배출공간(S)이 형성되게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연결띠(357)로 구현되어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357 is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connection strips 357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form the discharge space S along the periphery of the hollow flange 355.

꼭지부(353)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이면 좋다. The shape of the stopper 353 may be hand-held.

개폐 플랜지(351)는 개폐공(335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꼭지부(353)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플랜지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flange 351 is of a flange ty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em portion 353 so as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335a.

중공 플랜지(355)는 디스크 형상으로 그 중심에 관통공(356)이 형성되어 있다. The hollow flange 355 has a disk shape and a through hole 356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체크밸브(350)는 중공 플랜지(335c)의 관통공(336)과 배출공간(S)을 통해 조리실(200a)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그 반대로의 유로는 차단하는 일방향 밸브이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heck valve 350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pressure inside the cooking chamber 200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336 and the discharge space S of the hollow flange 335c, The flow path is a one-way valve that blocks.

한편, 플랜지(359)의 직경은 개폐 플랜지(351)보다 더 크게 하여 재차 우산 기능을 하게 하고, 중공캡부(330b)의 관통공의 직경보다는 작게 하여 에지 틈새(c)로 수증기 등이 빠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flange 359 is larger than that of the opening / closing flange 351 to function as an umbrella again an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of the hollow cap portion 330b so that water vapor or the like is released into the edge gap c desirable.

즉, 플랜지(359)는 개폐 플랜지(351)를 통과해서 이물이 넘치는 경우 재차 넘침을 최대한 억제하는 우산 기능을 한다. In other words, the flange 359 functions as an umbrella for minimizing overflow when the foreign object overflows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flange 351.

한편,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359)에는 복수의 홀(359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flange 359 preferably has a plurality of holes 359a.

틈새(c)는 매우 좁기 때문에, 배출되는 수증기가 병목현상으로 인해 머무는 시간이 생겨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물방울이 맺히면 계속 수증기가 배출될 때 그 압력으로 물방울이 바깥으로 튀겨 지저분해지거나 화상이 우려된다. Since the clearance (c) is very narrow, water vapor that is discharged becomes a bottleneck and drips with time. When water droplets are formed, when the water vapor is continuously discharged, the water droplets are fried outward due to the pressure, resulting in dirty or burning.

따라서, 홀(359a)은 도 7b와 같이 수증기의 배출 통로 역할을 하여, 수증기의 배출 병목현상을 완화시켜 틈새(c)에서 물방울 맺히는 것을 방지한다. Therefore, the hole 359a serves as a discharge passage for water vapor as shown in FIG. 7B, thereby relieving the discharge bottleneck of water vapor and preventing water droplets from forming in the gap c.

테(400)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본체(310)의 테두리(312)의 상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고리형상의 제1테(430)와, 패킹(370)이 끼워진 채 제1테(430)에 의해 지지되는 고리형상의 제2테(410)로 구성되어 있다. 3A, the frame 400 includes an annular first frame 430 surrounding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frame 312 of the lid body 310, And an annular second frame 410 supported by the frame 430.

테(400)의 조립 시, 제2테(410)를 테두리(312)에 끼운 후 제1테(430)를 삽입하면 제2테(430)가 제1테(410)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When the second frame 410 is inserted into the frame 312 and then the first frame 430 is inserted when the frame 400 is assembled, the second frame 430 supports the first frame 410 do.

제1테(430)는 테두리(312)의 상면을 감싸는 제1상면테(431)와, 테두리(312)의 측면을 감싸는 제1측면테(433)과, 제1측면테(433)의 하단에 U자 형태로 절곡되는 받침편(435)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first frame 430 includes a first upper frame 431 surrounding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312, a first side frame 433 surrounding a side of the frame 312, And a support piece 435 bent in a U-shape.

제1상면테(431)는 뚜껑본체(310)의 곡면과 같은 형태로 배치되는 제1-1상면테(431a)와, 제1-1상면테(431a)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2상면테(431b)로 구성되어 있다. The first upper surface frame 431 includes a first top surface 431a arranged in the same shape as the curved surface of the lid body 310 and a second upper surface frame 431b extending from the first top surface 431a horizontally, And an upper surface frame 431b.

제1상면테(431)가 스테인리스 재질이 경우에는 도 3a와 같이, 제1-1상면테(431a)의 내측 부분을 안쪽으로 컬링한 접힘부(432)가 형성되면, 메탈의 에지가 둥근 라운지 형태로 되어 날카로운 부분이 없어져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침입을 막는 마감부의 역할도 한다. When the first upper surface 431 is made of stainless steel, as shown in FIG. 3A, when the folded portion 432 curled inward is form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1-1th upper surface 431a, So that the sharp portion disappears, which also serves as a finishing portion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제2테(410)는 테두리(312)의 밑에 배치되며 제1테(430)에 의해 받쳐 지지되는 제2받침테인 제2수평테(411)와, 제2수평테(411)의 외측단에서 위로 연장되며 테두리(314)의 측면과 제1측면테(433) 사이에 개재되는 제2상방테(413)와, 제2수평테(411)의 내측단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패킹(370)이 끼워지는 제2하방테(414)로 구성되어 있다. The second frame 410 includes a second horizontal frame 411 disposed below the frame 312 and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430 and a second horizontal frame 411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430 at an out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411 A second upper frame 413 extending between the side edges of the frame 314 and the first side frame 433 and a packing 37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n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411, And a second lower frame 414 to be fitted.

제2하방테(414)의 하단에는 끼움 효과를 높이기 위한 원형의 컬링부(415)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ower frame 414, a circular curling portion 415 is formed to increase the fitting effect.

받침편(435)은 제2수평테(411)를 받쳐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The support piece 435 prevents the second horizontal frame 411 from falling down.

패킹(370)은 폐루프의 일체형 고리 형상으로서, 도 3a, 도 5 및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하방테(414)의 컬링부(415)에 끼워지는 몸체 패킹(371)과, 몸체 패킹(371)의 외측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용기(200)의 상단(231)에 놓이는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으로 이루어진다. The packing 370 is an integral ring of a closed loop and includes a body packing 371 fitted to the curled portion 415 of the second lower frame 414 as shown in Figs. 3A, 5 and 5A, And a cantilevered wing packing 378 extending outward from the outer side of the packing 371 and placed on the upper end 231 of the container 200.

몸체 패킹(371)은 마치 단면U자와 비슷하게 제2하방테(414)의 내외측에 배치되는 제1몸체 패킹(372)과 제2몸체 패킹(373), 제1몸체 패킹(373)의 하측과 제2몸체 패킹(373)의 하측을 연결하는 제3몸체 패킹(374)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body packing 371 has a first body packing 372 and a second body packing 373 dispos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second lower frame 414 similar to a cross section U, And a third body packing 374 connecting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packing 373.

제1몸체 패킹(372)과 제2몸체 패킹(373) 사이에는 컬링부(415)가 끼워지는 안내통로(375a)가 형성되고, 그 안내통로(375a)의 하면에는 컬링부(415)가 끼워지는 끼움홈(375b)이 형성되어 있다. A guide passage 375a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packing 372 and the second body packing 373 and the curling portion 415 is inserted into the guide passage 375a. And a lug fitting groove 375b is formed.

이처럼, 패킹(370)이 테(400)의 밑면에 끼우거나 빼내기 쉽게 조립되어 있다. In this way, the packing 370 is assemb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400 so as to be easily inserted or removed.

또한, 제1몸체 패킹(372)의 상단에는 내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리브 패킹(376)과 제2리브 패킹(377)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first rib packing 376 and a second rib packing 377 are formed in a V shape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acking 372 so as to extend inward and outward.

제1리브 패킹(376)의 상단과 제2리브 패킹(377)의 상단은 뚜껑본체(310)의 밀면에 접촉 또는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팽창을 받아도 계속 밀착되는 효과를 준다. Since the upper end of the first rib packing 376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ib packing 377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push surface of the lid body 310,

뿐만 아니라, 제1리브 패킹(376)의 상단과 제2리브 패킹(377)의 V자 공간(376a)은 제1리브 패킹(376)은 외부의 압력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기울어져 있으며, 제2리브 패킹(377)은 진공 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울어져 생긴 공간이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rib packing 376 and the V-shaped space 376a of the second rib packing 377 are inclined such that the first rib packing 376 prevents external pressure from being lost, The rib packing 377 is a tilted space that prevents external air from entering during vacuum.

외팔보용 날개 패킹(378)은 제2몸체 패킹(373)의 외측에서 바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The cantilever blade packings 378 extend outward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packing 373.

또한,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의 자유단은 고정단보다 약간 아래로 처지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free end of the cantilevered wing packing 378 is sagged slightly below the fixed end.

또한,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의 고정단은 제2몸체 패킹(373)의 상단(373a)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the fixed end of the cantilevered wing packing 378 is preferably disposed below the upper end 373a of the second body packing 373.

즉, 제2몸체 패킹(373)의 상단(373a)은 패킹(370)이 테(400)에 끼워질 때 스토퍼의 기능을 하면서도 밀폐 기능도 하고,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과 제2수평테(411) 사이에 틈새를 주어 달라붙어 작동이 불완전한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That is, the upper end 373a of the second body packing 373 functions as a stopper when the packing 370 is fitted in the frame 400 and also functions as a sealing member. The cantilever- (411) so as to reliably prevent incomplete operation.

한편,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의 상면에는 스폿 돌기(379)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spot projection 379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tilever-shaped vane packing 378.

스폿 돌기(379)는 그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마다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spot projections 379 are formed discontinuously along the circumferen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즉, 증기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막힘 등으로 인해 용기(20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 스폿 돌기(379) 사이로 압력이 배출되고, 진공 시에는 스폿 돌기(379)가 완전히 눌려 그 상면 둘레 전체가 제2수평테(411)에 밀착되게 한다. That is,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00 becomes high due to clogging or the like, in which the steam is not properly discharged, the pressure is discharged to the space between the spot projections 379. In vacuum, the spot projections 379 are completely pressed, 2 horizontal tails 41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물론 스폿 돌기(379)는 밀착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떨어지는 탄성 역할도 수행한다. Of course, the spot projections 379 also play an elastic role of falling back to the original state.

한편, 뚜껑본체(310)의 테두리(312)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의 테두리 패킹(390)이 더 끼워지는 것이, 테(400) 사이로 진공이 해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frame packing 390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rim 312 of the lid body 310 in order to reliably prevent the vacuum from being released between the frames 400.

테두리 패킹(390)은 테두리(321)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싸는 상면 패킹(391) 및 하면 패킹(393), 테두리(321)의 바깥 측면을 감싸는 측면 패킹(395)으로 이루어진다. The frame packing 390 is composed of a top packing 391 and a bottom packing 393 which surrou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rame 321 and side packing 395 which encloses the outer sides of the frame 321.

따라서, 테두리 패킹(390)이 테두리(321)의 상하 및 측면을 둘러 감싸기 때문에 내외부와의 실링이 더욱더 잘 이루어진다. Therefore, since the rim packing 390 surrounds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rim 321, the sealing with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is further improved.

이러한 테두리 패킹(390)은 제1테(430)와 제2테(410)가 감싸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냥 끼워도 빠지지 않게 된다. Since the first frame 430 and the second frame 410 are wrapped around the frame packing 390, the frame packings 390 are not detached.

이와 같은 진공 가능한 뚜껑(300)과 용기(200)를 갖는 진공 가능한 냄비(100)를 끓이면, 용기(200)의 내부 압력은 팽창하면서 체크밸브(350)를 통해 빠져나가고(도 7b 참조), 냄비(100)를 끓이지 않으면 식으면서 용기(200)의 내부 압력은 수축하면서 진공 가능한 뚜껑(300)과 체크밸브(350)가 당기게 된다. When the vacuumable pot 100 having the vacuumable lid 300 and the container 200 is boile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200 expands through the check valve 350 (see FIG. 7B) The inner pressure of the container 200 is contracted while the container 100 is not boiled, so that the lid 300 and the check valve 350, which can be vacuumed, are pulled.

즉 진공 가능한 뚜껑(300)이 아래로 눌려지면서 당겨지면 용기(200)의 내부 공기가 날개 패킹(373)과 상단(231) 사이로 빠져나가면서 내부를 진공화한다. That is, when the vacuum-enabled lid 300 is pushed downward, the inner air of the container 200 is evacuated between the vane packing 373 and the upper end 231 to evacuate the interior.

따라서, 날개 패킹(373)과 체크밸브(350)로는 외부의 공기 유입이 없게 만들어 냄비의 조리실(200a)을 진공 상태로 형성시킨다(도 7a 참조). Therefore, the vane packing 373 and the check valve 350 are made free from external air inflow to form the cooking chamber 200a of the pot in a vacuum state (see FIG. 7A).

진공 상태의 해제는 냄비(100)를 끓이거나, 체크밸브(350)의 꼭지부(353)를 잡고 위로 잠시 당겨 올려주면 된다. The vacuum state can be released by boiling the pot 100 or by holding the stem 353 of the check valve 350 and pulling it up for a while.

한편, 요리가 끓을 때 진공 가능한 뚜껑(300)이 들썩들썩 거리면 들리는 와중에 용기(200)의 상단(231)으로 먼저 넘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oking is boiled, the lid 300 which can be vacuumed floats first to the upper end 231 of the container 200 while it is heard.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200)에 설치된 용기손잡이(500)에는 뚜껑록킹부재(70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prevent this, it is preferable that a lid locking member 700 is further installed on the container handle 500 provided in the container 200.

용기손잡이(500)는 용기(200)의 측벽(230)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The container handle 500 is screwed to the side wall 230 of the container 200.

뚜껑록킹부재(7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슬라이더(710)와, 용기손잡이(500)에 대해 록킹슬라이더(710)를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730)로 이루어진다. The lid locking member 700 is composed of a locking slider 710 and a guide member 730 for guiding the locking slider 710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handle 500 as shown in Fig.

또한, 안내부재(730)에는 록킹슬라이더(710)의 위치를 결정하는 탄성클립(미도시)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n elastic clip (not shown)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locking slider 710 is further provided on the guide member 730.

한편,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패킹(370')은 제1실시예에 따른 패킹(370)과 그 구조 및 기능은 거의 유사하지만, 제1몸체 패킹(372)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리브 패킹(377a)이 형성되어 있다. 6A and 6B, the packing 37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substantially similar in structure and function to the packing 37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first body packing 372' A rib seal 377a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is formed.

이 리브 패킹(377a)의 상면은 뚜껑본체(310)의 기울기와 같게 경사면을 가지고, 리브 패킹(377a)의 끝 부분은 제2받침테(411a)와 제2하방연장편(414)이 만나는 위쪽에 놓이게 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rib packing 377a has an inclined surface equal to the inclination of the lid body 310 and the end portion of the rib packing 377a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411a and the second lower extending piece 414 .

이러한 리브 패킹(377a)은 압력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진공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The rib packing 377a prevents the pressure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nd prevents external air from entering the vacuum chamber when vacuum is applied.

한편,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의 상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융기한 띠 돌기(379a)가 형성되되, 띠 돌기(379a)의 소정 간격마다 띠 돌기(379a)의 높이보다 더 높은 스폿 돌기(379)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band projection 379a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tilever-shaped vane packing 378. Spot projections 379a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and projections 379a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f the band projections 379a. Is formed.

띠 돌기(379a)는 진공 시 선접촉으로 접촉면적을 줄여 진공 해제시 잘 떨어지게 하고, 통상적으로 끓일 때(진공 상태가 아닌 경우) 체크밸브(350)가 막혀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스폿 돌기(379) 사이로 압력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vacuum is released, the band protrusion 379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ine to reduce the contact area, and when the vacuum is released, the check valve 350 is closed when the vacuum is normally applied (when the vacuum state is not established) So that the pressure can be released.

또한, 제2실시예의 제2받침테(411a)는 테두리 패킹(390)의 하면 패킹(393)을 밀착 받치게 제2경사테(411a)로 이루어진다. The second support frame 411a of the second embodiment is composed of the second bevel frame 411a so that the lower packing 393 of the frame packing 390 is closely contact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진공 가능한 냄비 200 : 용기
200a : 조리실 210 : 바닥
230 : 측벽 231 : 상단
300 : 뚜껑 310 : 뚜껑본체
311 : 관통공 312 : 테두리
320 : 배출공 330 : 뚜껑손잡이
330a : 중공심부 331a : 걸림 플랜지
333a : 수나사 335a : 개폐공
337a : 상면 338a : 하면
330b : 중공캡부 333b : 암나사
330c : 암 340 : 가이드편
350 : 체크밸브 351 : 개폐 플랜지
353 : 꼭지부 355 : 중공 플랜지
357 : 연결부(연결띠) 359 : 플랜지
359a : 홀 336 : 관통공
338 : 걸림돌기 370,370' : 패킹
371 : 몸체 패킹 376,377 : 제1,2리브
377a : 리브 패킹 378 : 외팔보형 날개 패킹
379 : 스폿 돌기 379a : 띠 돌기
390 : 테두리 패킹 400 : 테
410 : 제2테 430 : 제1테
500 : 용기손잡이 700 : 뚜껑록킹부재
710 : 록킹슬라이더 730 : 안내부재
c,cl,c2 : 틈새 S : 배출공간
100: pot capable of vacuum 200: container
200a: cooking chamber 210: bottom
230: side wall 231: top
300: lid 310: lid body
311: through hole 312: rim
320: Exhaust hole 330: Lid handle
330a: hollow core portion 331a: engaging flange
333a: male thread 335a: opening / closing ball
337a: upper surface 338a: lower surface
330b: Hollow cap portion 333b: Female thread
330c: arm 340: guide piece
350: check valve 351: opening / closing flange
353: Staple portion 355: Hollow flange
357: connection (connection strip) 359: flange
359a: hole 336: through hole
338: Locking device 370, 370 ': Packing
371: body packing 376,377: first and second ribs
377a: rib packing 378: cantilever type wing packing
379: Spot projections 379a: Band projections
390: Border packing 400: Tee
410: Second Ter 430: First Ter
500: container handle 700: lid locking member
710: locking slider 730: guide member
c, cl, c2: crevice S: discharge space

Claims (8)

용기의 내부를 진공 가능하게 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뚜껑본체;
상기 뚜껑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크밸브;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장착되는 테;
상기 테의 밑면에 끼워져 조립되는 패킹;을 포함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1. A vacuumable pot lid for vacuuming the inside of a container,
A lid body at least partially transparent or translucent so that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can be identified;
A check valve mounted on the lid body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 frame mounted along the rim of the lid body;
And a packing fit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는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의 상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제1테와, 상기 패킹이 끼워진 채 상기 제1테에 의해 지지되는 제2테로 구성되며,
상기 제2테는 상기 테두리의 밑에 배치되며 상기 제1테에 의해 받쳐 지지되는 제2받침테와, 상기 제2받침테의 외측단에서 위로 연장되며 상기 테두리의 측면과 상기 제1테 사이에 개재되는 제2상방테와, 상기 제2받침테의 내측단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패킹이 끼워지는 제2하방테로 구성되며,
상기 패킹은 상기 제2하방테에 끼워지는 몸체 패킹과, 상기 몸체 패킹의 외측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상단에 놓이는 외팔보형 날개 패킹으로 이루어진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comprises a first frame surrounding the top and sides of the rim of the lid body and a second frame fitted with the packing and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Wherein the second frame comprises a second support frame disposed below the frame and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and a second support frame extending upwardly from the out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extending between the side of the frame and the first frame, And a second lower frame extending downward from an inn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fitted with the packing,
Wherein the packing comprises a body packing which fits in the second lower frame and a cantilevered wing packing which extends outwardly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packing and rests on the top of the contain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 패킹은 제2하방테의 내외측에 배치되는 제1몸체 패킹과 제2몸체 패킹, 상기 제1몸체 패킹의 하측과 상기 제2몸체 패킹의 하측을 연결하는 제3몸체 패킹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팔보용 날개 패킹은 상기 제2몸체 패킹의 외측에서 바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 패킹과 상기 제2몸체 패킹 사이에는 상기 제2하방테가 끼워져 조립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ody packing comprises a first body packing and a second body packing dispos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second lower frame and a third body packing connecti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packing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packing,
Wherein the cantilever blade packing extends outwardly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packing,
And the second lower frame is fitted between the first body packing and the second body packing.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패킹의 상단에는 내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리브 패킹과 제2리브 패킹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rib packing and the second rib packing are formed in a V-shape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acking, the first rib packing and the second rib packing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inside and the outsid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패킹의 상단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리브 패킹이 더 형성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3,
And a rib packing extending outward is further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acking.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의 테두리 패킹이 더 끼워지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a frame packing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rim of the lid bod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형 날개 패킹의 고정단은 상기 제2몸체 패킹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xed end of the cantilevered vane packing is disposed below the top of the second body packing.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형 날개 패킹의 상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융기한 띠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띠 돌기의 소정 간격마다 상기 띠 돌기의 높이보다 더 높은 스폿 돌기가 형성되는 진공 가능한 조리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6,
The cantilever-type vane packing has a band projection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long its circumference,
And a plurality of spot projection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and projection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f the band projections.
KR1020140112889A 2014-07-30 2014-08-28 lid for vacuum pot KR1016702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301 2014-07-30
KR20140097301 2014-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124A true KR20160015124A (en) 2016-02-12
KR101670265B1 KR101670265B1 (en) 2016-10-28

Family

ID=5535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889A KR101670265B1 (en) 2014-07-30 2014-08-28 lid for vacuum 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2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306A (en) * 2020-11-20 2022-05-27 김경섭 pot lid supporting apparatu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147A (en) * 2002-08-20 200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lid packing structure of electric rice cooker
KR101117219B1 (en) 2011-06-01 2012-03-16 (주)홍산경금속 A lid for cooking receptacle
KR20130030345A (en) 2011-09-17 2013-03-27 한아툴스 (주) Parking for frying pan cover
KR101325784B1 (en) 2013-08-08 2013-11-20 주식회사 로이첸 Packing-combination structure of a sealed pot
KR101357124B1 (en) * 2012-02-28 2014-02-04 주식회사 해피콜 holding rim of glass lid for cooking
KR101399137B1 (en) * 2014-01-27 2014-05-27 서월식 A lid for cooking receptacle
KR20140066021A (en) * 2012-11-22 2014-05-30 주식회사 해피콜 Check valve for vacuum pot li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147A (en) * 2002-08-20 200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lid packing structure of electric rice cooker
KR101117219B1 (en) 2011-06-01 2012-03-16 (주)홍산경금속 A lid for cooking receptacle
KR20130030345A (en) 2011-09-17 2013-03-27 한아툴스 (주) Parking for frying pan cover
KR101357124B1 (en) * 2012-02-28 2014-02-04 주식회사 해피콜 holding rim of glass lid for cooking
KR20140066021A (en) * 2012-11-22 2014-05-30 주식회사 해피콜 Check valve for vacuum pot lid
KR101325784B1 (en) 2013-08-08 2013-11-20 주식회사 로이첸 Packing-combination structure of a sealed pot
KR101399137B1 (en) * 2014-01-27 2014-05-27 서월식 A lid for cooking recepta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306A (en) * 2020-11-20 2022-05-27 김경섭 pot lid suppor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265B1 (en)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9871B2 (en) Rubber sealant for vacuum container and vacuum container lid using the same
KR101133979B1 (en) Lid for a vacuum receptacle and, check valve and packing for the lid
US9271595B2 (en) Lid for vacuum cooking pot and cooking pot using same
KR101301367B1 (en) Container cover with locking element for sealing container in vacuum and vacuum container employing the same
KR101616073B1 (en) packing, lid and vacuum pot
KR101426852B1 (en) lid for vacuum pot
KR101670265B1 (en) lid for vacuum pot
KR20130012873A (en) Lid and vacuum pot
KR20130025932A (en) A cover for food container
JP4794967B2 (en) Hinge cap
KR101436886B1 (en) packing for vacuum pot lid
KR101568168B1 (en) lid for vacuum pot
KR101358244B1 (en) lid for vacuum pot
BR112020006542A2 (en) pressure cooker and flexible annular gasket designed to equip it
KR101415804B1 (en) check valve for vacuum pot lid
KR101452913B1 (en) lid for vacuum pot
KR101357125B1 (en) lid for vacuum pot
KR101452914B1 (en) lid for vacuum pot
KR200475469Y1 (en) Vacuum pot
KR101395317B1 (en) Rubber seal for a vacuum receptacle and lid for the receptacle utilizing the same
KR101597152B1 (en) lid for vacuum pot
KR200308263Y1 (en) Double side pressure frying pan
KR101795729B1 (en) check valve and lid for vacuum pot in use with the check valve
KR101432964B1 (en) A cooker lid having the vacuum function
KR200476728Y1 (en) Vacuum 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