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055A - 무선충전기 - Google Patents

무선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055A
KR20160015055A KR1020140097508A KR20140097508A KR20160015055A KR 20160015055 A KR20160015055 A KR 20160015055A KR 1020140097508 A KR1020140097508 A KR 1020140097508A KR 20140097508 A KR20140097508 A KR 20140097508A KR 20160015055 A KR20160015055 A KR 20160015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ransmission
wireless charger
magnetic field
transmiss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원영
지준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40097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5055A/ko
Priority to PCT/KR2014/011856 priority patent/WO2015122611A1/ko
Publication of KR2016001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8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core, coil, winding, or shield movable to offset variation of voltage or phase shift, e.g. induction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쇄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기는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전송 코일; 상기 전송 코일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송 코일에서 나오는 자기장을 감쇄하도록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감쇄 코일; 및 상기 전송 코일 및 상기 감쇄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충전기{WIRELESS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무선충전기의 전송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쇄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를 갖는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과 같이 2차 배터리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들은 내장된 배터리가 방전되면 충전을 필요로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전자 기기의 외부로 노출된 접촉 단자와 유선의 전원 공급 접촉 단자를 연결하여 전자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였으나, 이와 같이 충전을 위한 접촉 단자가 전자 기기의 외부에 노출되면, 접촉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어 전원 공급 접촉 단자와의 접촉 상태가 쉽게 불량해지거나, 배터리에 단락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충전 에너지가 쉽게 소실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식 충전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하는 무선충전기(또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가 제안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선충전기는 크게 3 가지 방식, 즉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자기 유도 방식이 널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기 유동 방식의 무선충전기는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송 코일 및 전송 코일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 회로 등을 포함하고, 무선충전기에 의해서 충전 대상이 되는 전자 기기는 전송 코일에서 방생된 자기장에 의해서 전자 유도되어 에너지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 및 이 수신 코일에 연결되는 충전 관련 회로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무선충전기는 전송 코일에서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전자파를 발생하며, 특히 예를 들어 차량의 스마트 키,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등과 같은 차량의 무선 전장품이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겹치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있어, 스마트 키의 오작동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가정 등에서 전자 기기를 충전하는 경우 무선충전기의 전자파를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쇄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충전기는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전송 코일; 상기 전송 코일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송 코일에서 나오는 자기장을 감쇄하도록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감쇄 코일; 및 상기 전송 코일 및 상기 감쇄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충전기는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전송 코일; 및 상기 전송 코일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송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감쇄하기 위한 감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쇄 부재는 코어, 상기 코어로부터 돌출된 돌기 및 상기 돌기에 감겨있는 소진 코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감쇄 코일과 전송 코일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전송 코일, 수신 코일 및 감쇄 코일의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감쇄 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빙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또한, 무선충전기는 최근 차량에 설치되어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이하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를 주로 하여 본 발명의 무선충전기에 대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무선충전기는 차량 이외의 다양한 장소에서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무선충전기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무선충전기(1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충전 대상체(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7)을 갖는 몸체(16), 이 삽입홈(17)의 하측인 몸체(16)의 하부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전송 코일(11), 삽입홈(17)의 상측인 몸체(16)의 상부에 전송 코일(11)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감쇄하도록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감쇄 코일(15)을 포함한다.
전송 코일(11)은 전원(14)으로부터 제어부(12)를 통해서 전류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다. 감쇄 코일(15)은 감쇄 코일(15)의 중심이 전송 코일(11)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전송 코일(1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전원(14)으로부터 제어부(12)를 통해서 전류를 공급받아,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어 감쇄 코일(15)을 통과하는 자기장을 감쇄시키도록 자기장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감쇄 코일(15)은 제어부(12)에 의해서 전송 코일(11)로 공급되는 전류와 반대의 위상을 갖는 전압 신호에 의해서 공급되는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면, 감쇄 코일(15)에서는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반대의 위상을 갖는 자기장이 발생되어 감쇄 코일(15)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들이 서로 상쇄될 수 있다.
또한, 감쇄 코일(15)은, 충전대상체(20)가 삽입홈(17)에 삽입되었을 때, 충전대상체(20)의 수신 코일(21)과 전송 코일(11) 사이의 거리(d2; 도 3 참조)가 수신 코일(21)과 감쇄 코일(15) 사이의 거리(d1; 도 3 참조)보다 더 작게되도록 몸체(16)의 상부에 배치된다.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수신 코일(21)을 통과하면서 약화되고, 또한 감쇄 코일(15)과 수신 코일(11) 사이의 거리(d2)를 지나면서 약화될 수 있어, 감쇄 코일(15)은 약한 전기장을 발생시켜서,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어 감쇄 코일(15)을 지나는 자기장을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거리(d2)가 거리(d1)보다 크기 때문에, 감쇄 코일(15)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어 수신 코일(21)을 지나는 자기장에 대해서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감쇄 코일(15)은 전송 코일(11)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감쇄 코일(15)의 감는 방향(b)은, 예를 들어 시계방향이고, 전송 코일(11)의 감는 방향(a)은 반시계방향으로 서로 반대이다. 따라서, 서로 역방향으로 자기장이 생성될 수 있어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감쇄 코일(15)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서로 감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감쇄 코일(15)은 기판에 인쇄될 수도 있으며, 전송 코일(11)과 다른 굴기의 코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전송 코일(11)의 감는 횟수보다 더 적은 횟수로 감길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감쇄 코일(15)은 제어부(12)로부터 전송 코일(11)에 공급되는 전류량보다 더 적은 전류량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충전 대상체(20)는, 예를 들어 모바일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태블릿 PC,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충전될 수 있는 2차 전지 및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서 전류가 유도되는 수신 코일(21)을 포함한다.
몸체(16)의 삽입홈(17)을 통해서, 충전 대상체(20)는 몸체(16)의 하부 상측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에 의해서 몸체(16)의 하부에 수용되어 있는 전송 코일(11)과 정렬되도록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몸체(16)의 하부 상측 표면을 구성하는 재료는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잘 통과시키는 것일 수 있다.
무선충전기(10)는 제어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예를 들어, 무선충전기(10)의 삽입홈(17)에 충전대상체(20)가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도시 안됨)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전원(14)으로부터 전송 코일(11) 및 감쇄 코일(15)에 흐르는 전류를 차량 제어부(30) 또는 수신기(13)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대상체(20)를 충전할 때, 제어부(12)는 전송 코일(11)에서 자기장이 발생되도록 전송 코일(11)에 전류를 공급하고, 감쇄 코일(15)에는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어부(12)가 수신기(13)로부터 신호를 받거나 차량 제어부(30)에서 신호를 받으면, 감쇄 코일(15)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어부(12)가 감쇄 코일(15)에 공급하는 전류는 전송 코일(11)에 공급되는 전류와 반대의 위상을 갖는 전압 신호를 송신하여,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동일한 진폭, 동일한 주파수 및 반대의 위상을 갖는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하여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감쇄 코일(15)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상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2)는 차량의 무선 전장품, 예를 들어 스마트 키 모듈,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등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무선충전기(16)와 같은 대역의 주파수가 사용되는 것을 알리는 차량 제어부(30)의 신호를 받으면, 전기와 같이 감쇄 코일(15)에 전류를 공급한다.
무선충전기(10)는 수신기(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3)는, 예를 들어 차량의 스마트 키 모듈(도시 안됨)에서 스마트 키(도시 안됨)로 전송되는 저주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스마트 키 모듈에서 발신되는, 예를 들어 충전대기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수신기(13)는 제어부(12)에 이를 알리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2)는 상술된 바와 같이 감쇄 코일(15)로 전류를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감쇄 코일(15)은 몸체(16)의 상부에 배치되었으나, 몸체(16)의 하부에도 배치될 수 있고,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2 개 이상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충전기에서 사용되는 감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쇄 부재(150)는 중실 원통형의 코어(151), 이 코어(151)의 둘레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152), 및 이 돌기(152)에 감겨있는 소진 코일(153)을 포함한다. 또한, 감쇄 부재(150)는 소진 코일(153)에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도시 안됨)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감쇄 부재(150)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감쇄 코일(15) 대신에 배치된다. 감쇄 부재(150)는 감쇄 코일(15)과 마찬가지로 전송 코일(11)과 마주보도록 몸체(16)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송 코일(11)에서 생성되어 감쇄 부재(150)를 지나는 자기장을 소진시킬 수 있다.
감쇄 부재(150)의 코어(151)는 중실의 다각형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전송 코일(11)의 평면 형상과 대응하는 중실 원통형인 경우에,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모두 코어(151)로 들어갈 수 있다. 코어(151)의 둘레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152)에는 코어(151)를 통해서 자기장이 모일 수 있으면 되고 그 갯수나 형상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돌기(152)에 모인 자기장은 감겨있는 코일(153)에서 열이나 전류로 소진될 수 있다. 이때, 소진 코일에 발광 소자,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를 부착하면, 발광 소자에서 빛이 발산되며,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자기장이 상쇄되고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감쇄 부재(150)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12)가 감쇄 부재(150)에 전류를 공급할 필요가 없으며, 전송 코일(11)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감쇄하기 위해서 별도의 전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제어부(12)는 수신기(13) 및 차량 제어부(30)로부터의 신호를 받지 않는다.
감쇄 부재(150)의 코어(151) 및 돌기(152)는 페라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소진 코일(152)은 구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152)에 감기는 횟수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감쇄 부재(150)는 몸체(16)의 상부에 배치되었으나, 몸체(16)의 하부에도 배치될 수 있고,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2 개 이상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된 실시형태에서, 전송 코일(11)은, 코일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다른 장치로 변경될 수 있으며, 감쇄 코일(15)도 코일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다른 장치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형태에서는, 감쇄 코일(15) 또는 감쇄 부재(150)를 이용하여 전송 코일(11)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상쇄시키는 구성이나, 감쇄 코일(15) 또는 감쇄 부재(150) 대신,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차량의 무선 전장품이 상용하는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가 되도록 하는 장치로 변경될 수도 있다. 또는, 감쇄 코일(15) 또는 감쇄 부재(150) 대신에 전자파를 원적외선으로 변환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된 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무선충전기에 의하면,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어 충전대상체(20)의 수신 코일(21)을 지나서 나가는 자기장이, 감쇄 코일(15)에서 발생되는 동일 진폭, 동일 주파수 및 반대 위상의 자기장에 의해서 감쇄될 수 있으며, 이때, 감쇄 코일(15)은, 전송 코일(11)과 수신 코일(21) 사이의 거리(d2)보다 더 먼 거리(d1)로 수신 코일(21)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감쇄 코일(15)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수신 코일(21)의 유도 작용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감쇄 코일(15)은 전송 코일(11)의 감는 횟수에 비하여 더 적은 감는 횟수를 가질 수도 있어, 전송 코일(11)에서 나오는 자기장보다 약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어 수신 코일(21)의 유도 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감쇄 코일(15)은 전송 코일(11)의 굵기와 다른 굵기의 코일을 이용하여 전송 코일(11)에서 나오는 자기장보다 약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어, 수신 코일(21)의 유도 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감쇄 코일(15)에 공급되는 전류를 전송 코일(11)에 공급되는 전류와 반대의 전압 신호에 따라서 공급함으로써, 감쇄 코일(15)에서 반대 위상의 자기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어,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어 감쇄 코일(15)을 지나가는 자기장을 상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차량에서 이용되는 스마트 키 모듈의 충전 대기 신호를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13)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감쇄 코일(15)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차량에서 이용되는 스마트 키 모듈에서 스카트 키로 송신되는 저주파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수신기(13)의 신호에 따라서 감쇄 코일(15)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무선충전기(10)와 같은 대역의 주파수가 차량의 무선 전장품에서 이용되는 것을 알리는 차량 제어부(30)의 신호에 따라서 감쇄 코일(15)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어, 저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감쇄 코일(15)은 전송 코일(11)과 직렬로 연결되고, 전송 코일(11)의 감는 방향(a)과 반대 방향(b)으로 감기며, 전송 코일(11)의 감는 횟수보다 적은 횟수로 감겨서, 제어부(12)로부터 별도로 전류를 공급 받지 않고서도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상쇄시킬 수 있다.
또한, 감쇄 코일(15) 대신 감쇄 부재(150)를 이용할 수 있어, 제어부(12)의 전류 공급 없이도, 전송 코일(11)에서 발생되어 감쇄 부재(150)를 지나가는 자기장을 소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무선충전기 11: 전송 코일
12: 제어부 13: 수신기
14: 전원 15: 감쇄 코일
16: 몸체 17: 삽입홈
20: 충전대상체 21: 수신 코일
30: 차량 제어부 150: 감쇄부재
151: 코어 152: 돌기
153: 소진 코일

Claims (28)

  1.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전송 코일;
    상기 전송 코일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송 코일에서 나오는 자기장을 감쇄시키도록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감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코일 및 상기 감쇄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와는 반대의 위상을 갖는 전압신호에 따른 전류를 상기 감쇄 코일에 공급하는, 무선충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전송 코일 및 상기 감쇄 코일을 수용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무선충전기에 의해서 충전되는 충전대상체가 상기 전송 코일과 상기 감쇄 코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충전대상체의 수신 코일과 상기 전송 코일 사이의 제 1 거리가 상기 수신 코일과 상기 감쇄 코일 사이의 제 2 거리보다 더 작도록 구성되는, 무선충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코일의 감은 횟수는 상기 감쇄 코일의 감은 횟수에 비하여 더 큰, 무선충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 코일은 상기 전송 코일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감쇄 코일의 감기는 방향은 상기 전송 코일의 감기는 방향과 반대인, 무선충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차량에서 이용되는 스마트 키 모듈의 저주파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저주파 신호를 검출했다는 신호를 받으면, 상기 감쇄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무선충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스마트 키 모듈로부터 수 cm 이하의 반경 내에 위치되는, 무선충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은 상기 무선충전기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같은 주파수 대역이 상기 차량의 전장품에 의해서 이용되는 경우 신호를 발생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제어부로부터 상기 신호를 받는 경우, 상기 감쇄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무선충전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에서 이용되는 스마트 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키 모듈은 스마트 키와 사용자 인증을 하기 전에 충전대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스마트 키 모듈로부터 상기 충전대기 신호를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신기를 통해서 상기 충전대기 신호를 받으면, 상기 감쇄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무선충전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스마트 키 모듈로부터 수 cm 이하의 반경 내에 위치되는, 무선충전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코일 및 상기 감쇄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에 인쇄되는, 무선충전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제 2 감쇄 코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감쇄 코일은 상기 전송 코일이 상기 제 2 감쇄 코일과 상기 감쇄 코일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무선충전기.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 코일은 상기 몸체의 2개 면 이상으로 연장되는, 무선충전기.
  14.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전송 코일; 및
    상기 전송 코일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송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감쇄하기 위한 감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쇄 부재는 코어, 상기 코어로부터 돌출된 돌기 및 상기 돌기에 감겨있는 소진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전송 코일 및 상기 감쇄 부재를 수용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무선충전기에 의해서 충전되는 충전대상체가 상기 전송 코일과 상기 감쇄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충전대상체의 수신 코일과 상기 전송 코일 사이의 제 1 거리가 상기 수신 코일과 상기 감쇄 부재 사이의 제 2 거리보다 더 작도록 구성되는, 무선충전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및 상기 돌기는 페라이트로 형성되는, 무선충전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 감겨 있는 상기 소진 코일에는 발광 소자가 연결되는, 무선충전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원통형인, 무선충전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제 2 감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감쇄 부재는 상기 전송 코일이 상기 제 2 감쇄 부재와 상기 감쇄 부재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무선충전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 부재는 상기 몸체의 2개 면 이상으로 연장되는, 무선충전기.
  21.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전송부;
    상기 전송부와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송부에서 나오는 자기장을 감쇄시키도록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감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 및 상기 감쇄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감쇄부는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23.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전송부;
    상기 전송부와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송부에서 나오는 자기장을 변환시키기 위한 감쇄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부는 상기 전송부에서 나오는 자기장의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주파수 변경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부는 상기 전송부에서 나오는 전자파를 원적외선으로 변환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 변환부재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는 상기 무선충전기 내에 충전대상체가 삽입되는 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27. 제 1 항 내지 제 2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충전기를 포함하는 자동차.
  28. 제 26 항에 따른 무선충전기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40097508A 2014-02-12 2014-07-30 무선충전기 KR20160015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508A KR20160015055A (ko) 2014-07-30 2014-07-30 무선충전기
PCT/KR2014/011856 WO2015122611A1 (ko) 2014-02-12 2014-12-04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508A KR20160015055A (ko) 2014-07-30 2014-07-30 무선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055A true KR20160015055A (ko) 2016-02-12

Family

ID=5535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508A KR20160015055A (ko) 2014-02-12 2014-07-30 무선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50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3615A1 (en) * 2016-09-30 2018-04-05 Intel Corporation Multiple coils for wireless power
US10804741B2 (en) 2016-09-05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4741B2 (en) 2016-09-05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O2018063615A1 (en) * 2016-09-30 2018-04-05 Intel Corporation Multiple coils for wireless power
US10090713B2 (en) 2016-09-30 2018-10-02 Intel Corporation Multiple coils for wireless po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744B1 (ko)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시스템
ES2802779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la comunicación inalámbrica de control de energía usando Bluetooth de baja energía
EP3337010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8128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magnetic field distribution using ferromagnetic material
JP6401275B2 (ja) 無線電力直交偏波アンテナアレイ
EP297393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ing the power capability of a wireless charger
KR102423618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KR101586803B1 (ko)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는 시스템
US9142999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small device wireless charging modes
EP2962378B1 (en) Active and adaptive field cancellation for wireless power systems
ES2673322T3 (es) Activador de vaivén para generar una señal para transferencia de energía inalámbrica
US20160118179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having same
US11133706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10051272A (ko) 양방향 무선 전력 송신
KR20130135259A (ko) 무선 충전 디바이스
US9531213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S2651073T3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y procedimiento para transmisor de energía
KR20130119585A (ko) 무선 전력 송수신 코일 장치
WO2017222811A1 (en) Shielded antenna to reduc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and radio frequency (rf)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101744590B1 (ko) 수직형 전력 전송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장치
RU2524920C1 (ru) Экран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многопозиционной зарядки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KR20160015055A (ko) 무선충전기
KR20140039819A (ko) 무선 유도형 충전기
CN111799891B (zh) 具有可重新配置的整流器电路的无线功率系统
KR20160000997U (ko) 차량의 무선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