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071A -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071A
KR20160014071A KR1020160004087A KR20160004087A KR20160014071A KR 20160014071 A KR20160014071 A KR 20160014071A KR 1020160004087 A KR1020160004087 A KR 1020160004087A KR 20160004087 A KR20160004087 A KR 20160004087A KR 20160014071 A KR20160014071 A KR 20160014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stopper
drilling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341B1 (ko
Inventor
김범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김범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Priority to KR102016000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34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2Pegs, stak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사용되는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스토퍼부를 드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하고, 또한 다양한 반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스토퍼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환부의 조건에 맞는 스토퍼부와 가이드부를 선택적으로 드릴부에 구비함으로써, 노출되는 드릴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방에 드릴이 구비되고 상방에 핸드피스 결합부가 형성되는 드릴부;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하방 둘레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이 상기 드릴부에 끼움 결합되는 스토퍼부; 및 중심부에 결합홀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홀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부의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Drill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사용되는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스토퍼부를 드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하고, 또한 다양한 반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스토퍼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환부의 조건에 맞는 스토퍼부와 가이드부를 선택적으로 드릴부에 구비함으로써, 노출되는 드릴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용 드릴은 치과 시술시 사용되는 작고, 빠른 회전속도를 가진 부품으로서, 주로 이의 썩은 부분을 제거하거나 크라운 등을 씌우기 전에 이의 뾰족한 부분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결손된 치아의 수복을 위한 보철물 지지 용도로 턱뼈의 안 또는 위에 심은 고정체를 가리키며,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골 이식, 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수술을 통하여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부피를 늘린 턱뼈에 임플란트 본체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 술식이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하려면, 먼저 마취를 한 후 잇몸을 절개하고, 턱뼈의 모양이 보이도록 절개된 잇몸을 벌려준 후, 임플란트 위치에 치과 임플란트용 드릴을 사용하여 드릴링(drilling)을 하여 턱뼈 안에 임플란트 본체가 들어갈 홀을 만들어 준다.
드릴링은 임플란트 직경에 맞는 크기가 될 때까지 점차 직경이 큰 드릴을 사용하여 여러 번에 걸쳐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천공위치는 양측 치아 사이 중심지점으로 잡게되며, 정확한 천공위치에 드릴링을 실시하기 위해 드릴링 가이드를 이용하여 드릴링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드릴링 가이드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545973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릴링 가이드의 도면이다. 종래의 드릴링 가이드는 관 형상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부를 마감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측벽부에 연결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관통된 상부홀과, 상기 바닥부에 관통된 하부홀과, 상기 상부홀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관 형상의 네크와, 상기 네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람의 턱뼈 아래에는 신경이 분포되어 있으며, 개개인마다 턱뼈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천공깊이를 세심하게 조절하여 드릴링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드릴링 가이드는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천공된 홀의 깊이가 요구하는 깊이보다 작은 경우, 최초 드릴링에 사용한 드릴보다 긴 드릴로 교체한 뒤 다시 천공깊이를 맞추도록 드릴링을 실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환부 턱뼈의 깊이가 드릴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 눈금이 형성된 보조장치 등을 이용하여 눈금을 보며 천공깊이를 조절하여 시술을 실시하게 되는데, 시술시에는 잇몸에서 피가 나거나 환자가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하는 등의 여러 문제 때문에 보조장치의 눈금이 명확히 보이지 않게 되는데, 이에 따라 결국 눈대중으로 천공을 실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신경을 건드리는 등의 여러 의료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KR 10-1545973호 B1 2015. 08. 1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드릴부에 탈부착 가능하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개의 스토퍼부를 형성하고, 사용자가 환부의 조건에 맞는 길이를 가지는 스토퍼부를 선택적으로 드릴부에 적용함으로써, 노출된 드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결합부에 탈부착홈과 끼움홈을 형성하고 단턱부에 끼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드릴부와 스토퍼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방에 드릴이 구비되며 상방에 핸드피스 결합부가 형성되는 드릴부;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방 둘레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이 상기 드릴부에 끼움 결합되는 원통형의 스토퍼부; 및 중심부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산이 상기 스토퍼부의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드릴부는, 상기 드릴과 상기 핸드피스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방에 상기 단턱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는, 상기 스토퍼부의 하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하면이 한 평면상에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스토퍼부와 다양한 반경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천공위치의 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여러 부가적인 작업공정 없이, 최초의 드릴링 작업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천공위치에 홀을 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깊이를 가지는 홀을 드릴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의 드릴링 가이드의 사용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의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드릴링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환자에게 가해지는 부담 또한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릴링 가이드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부의 길이 변화에 따른 드릴링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의 반경 변화에 따른 드릴링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사용되는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스토퍼부를 드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하고, 또한 다양한 반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스토퍼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환부의 조건에 맞는 스토퍼부와 가이드부를 선택적으로 드릴부에 구비함으로써, 노출되는 드릴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부의 길이 변화에 따른 드릴링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의 반경 변화에 따른 드릴링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릴링 장치는 크게 드릴부(100), 스토퍼부(200)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드릴부(100)는 길이방향 하방에 드릴(110)이 구비되고 상방에 핸드피스 결합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드릴(110)과 핸드피스 결합부(130) 사이에 단턱부(120)가 형성되되, 상기 핸드피스 결합부(130)가 핸드피스(미도시)에 결합되어, 상기 핸드피스(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드릴(110)을 통해 드릴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토퍼부(200)는 중심부에 관통홀(210)이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이되, 상방에 결합부(220)가 형성되고 하방 둘레에 수나사산(23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10)이 상기 드릴부(100)의 하측, 즉 상기 드릴(110)을 거쳐 상기 드릴부(100)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부(220)가 상기 단턱부(120)와 끼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중심부에 결합홀(310)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홀(310)에 암나사산(320)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부(100)에 상기 스토퍼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300)를 상기 드릴부(100)의 하측에서 삽입하여, 상기 암나사산(320)이 상기 스토퍼부(200)의 수나사산(230)과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200)는 다양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필요 높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부(2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300)는 다양한 외부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천공위치에 해당되는 외부 반경을 갖는 상기 가이드부(3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릴링 장치는 X-ray 촬영 등을 통해 천공위치의 깊이 및 반경을 확인하여, 천공하고자 하는 깊이만큼만 상기 드릴(110)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부(200)를 선택함과 함께, 천공위치의 반경에 대응되는 외부 반경을 갖는 가이드부(300)를 선택하여, 이를 상기 드릴부(100)에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상기 드릴(110)의 높이에서 천공위치의 깊이만큼의 길이를 제외한 높이에 대응되는 상기 스토퍼부(200)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부(200)가 상기 드릴부(100)에 결합되어 드릴링 작업이 점차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스토퍼부(200)의 하면이 환부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더 이상 드릴(110)이 삽입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부(200)에 의해 상기 드릴(110)이 천공하고자 하는 깊이만큼만 환부에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300)가 상기 스토퍼부(200)의 하방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300)의 외주면이 양측면 치아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환부의 중심부에 상기 드릴(11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300)에 의해 상기 드릴(110)이 정확한 천공위치에 삽입되어 드릴링 작업이 실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길이를 갖는 스토퍼부(200)와 다양한 외부 반경을 갖는 가이드부(300)를 천공위치의 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여러 부가적인 작업공정 없이, 최초의 드릴링 작업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천공위치에 홀을 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깊이를 가지는 홀을 드릴링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드릴링 가이드의 사용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의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드릴링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환자에게 가해지는 부담 또한 줄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가이드부(300)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는 그립부(33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드릴(110)을 정확한 천공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드릴링 시술전 상기 가이드부(300)를 환부에 직접 맞춰보며 적절한 크기의 가이드부(300)가 선택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00)를 더욱 안정적이고 위생적으로 그립하기 위해서, 상기 그립부(330)를 핀셋 등의 도구로 잡고 상기의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드릴링 장치는 스토퍼부(200)와 가이드부(300)의 하면이 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즉 상기 수나사산(230)이 형성된 상기 스토퍼부(200)의 높이와 상기 암나사산(320)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300)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부(20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드릴(110)이 천공될 깊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있는 바, 상기 드릴(110)의 노출된 부분이 환부에 전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나사산(230)의 높이가 암나사산(32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 상기 스토퍼부(200)의 하면이 환부에 접촉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부(200)의 하면과 환부 사이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상기 드릴(110)이 삽입되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요구된 깊이만큼 드릴링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110)의 노출된 부분이 환부에 전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나사산(230)의 높이가 암나사산(32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경우, 상기 스토퍼부(200)의 하면은 환부와 접촉되고 상기 가이드부(300)의 하면은 환부에 접촉되지 못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부(300)가 상기 드릴(110)을 정확한 천공위치로 안내하지 못하거나 상기 드릴(110)이 살짝 기울어진 상태로 천공되어도 이를 쉽게 알아차리지 못하여 이후 임플란트 시술에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수나사산(230)이 형성된 상기 스토퍼부(200)의 높이와 상기 암나사산(320)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300)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시술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에 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드릴(110)이 휘청거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드릴(110)이 천공될 위치를 벗어나 다른 위치에 천공되거나 상기 드릴(110)이 기울어진채로 천공되는 등의 실수가 없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수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220)의 하방은 상기 관통홀(210)이 상기 드릴부(100)에 밀착되도록 단턱(a)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20)의 단턱(a)이 상기 단턱부(120)와 끼움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부(200)의 하부에 직경이 좁아지는 단턱(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홀(210)의 상부 및 하부가 상기 드릴(11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부(200)의 상부 및 하부가 상기 드릴(110)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드릴링 작업시 작업자의 실수로 드릴(110)이 휘청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드릴(110)은 상기 스토퍼부(200)가 지지하고, 상기 스토퍼부(200)는 상기 가이드부(300)가 지지함으로써, 상기 드릴(110)이 천공될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기울어진채로 천공되는 등의 실수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드릴링 장치는 상기 드릴부(100)와 상기 스토퍼부(200) 상호간의 끼움결합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결합부(220)에 탈부착홈(2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홈(221)은 상기 결합부(220)의 상면에서 길이방향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결합부(220)의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는 홈이 상기 결합부(220)의 상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20)가 상기 드릴부(100)에 안정적으로 끼움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호 구성이 서로 완전히 꽉 맞물린 상태로 결합되어야 함은 자명하나, 이 같은 경우 상기 결합부(220)와 상기 단턱부(120)의 결합 및 분리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220)의 상방에 상기 탈부착홈(22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부(220)와 단턱부(120)의 결합력을 일부 상쇄하여, 상호 구성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홈(221)에 막대 등의 도구를 끼운상태로 상호 구성을 분리하거나 결합을 실시할 수 있어, 탈부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드릴링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드릴부(100)와 상기 스토퍼부(200)가 끼움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바, 단순 끼움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 반복적인 드릴링 작업에 의해 상기 드릴부(100)에서 상기 스토퍼부(200)가 점차 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구성간의 결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상기 단턱부(120) 둘레에 형성되는 끼움돌기(420) 및 상기 결합부(220) 내주면에 형성되는 끼움홈(41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420)는 상기 단턱부(12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단턱부(120)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410)은 상기 끼움돌기(420)가 결합되는 위치에 상기 끼움돌기(4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끼움돌기(420)는 상기 단턱부(12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410)은 상기 끼움돌기(420)가 결합되는 위치에 상기 끼움돌기(4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드릴링 장치는 상기 스토퍼부(200)가 상기 드릴부(100)의 하방에서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므로, 끼움 결합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상기 끼움돌기(420)는 모서리가 곡률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410) 또한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도시하고 있는 것과 반대로 상기 관통홀(210)에 끼움돌기(420)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120)에 끼움홈(410)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부(200)가 상기 드릴부(100)의 하방에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있는바, 상기 관통홀(210)에 상기 끼움돌기(420)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부(200)의 삽입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끼움돌기(420)와 상기 단턱부(120)가 계속해서 마찰하게 되어 상기 단턱부(120)에 상처가 생기거나 상기 끼움돌기(420)가 마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돌기(420)와 끼움홈(410)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끼움돌기(420) 및 끼움홈(410)의 형태를 반구형, 띠형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이는 축결합되는 상호 구성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여러 실시예 중 일부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실시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드릴부 110 : 드릴
120 : 단턱부 130 : 핸드피스 결합부
200 : 스토퍼부 210 : 관통홀
220 : 결합부 221 : 탈부착홈
230 : 수나사산
300 : 가이드부 310 : 결합홀
320 : 암나사산 330 : 그립부
410 : 끼움홈 420 : 끼움돌기

Claims (3)

  1.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방에 드릴(110)이 구비되고 상방에 핸드피스 결합부(130)가 형성되는 드릴부(100);
    중심부에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방 둘레에 수나사산(23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10)이 상기 드릴부(100)에 끼움 결합되는 원통형의 스토퍼부(200); 및
    중심부에 결합홀(3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310)에 암나사산(320)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산이(320) 상기 스토퍼부(200)의 수나사산(230)과 나사결합되는 가이드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릴부(100)는,
    상기 드릴(110)과 상기 핸드피스 결합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200)는,
    상방에 상기 단턱부(12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는,
    상기 스토퍼부(200)의 하면과 상기 가이드부(300)의 하면이 한 평면상에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KR1020160004087A 2016-01-13 2016-01-13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KR101610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087A KR101610341B1 (ko) 2016-01-13 2016-01-13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087A KR101610341B1 (ko) 2016-01-13 2016-01-13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071A true KR20160014071A (ko) 2016-02-05
KR101610341B1 KR101610341B1 (ko) 2016-04-07

Family

ID=5535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087A KR101610341B1 (ko) 2016-01-13 2016-01-13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34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282A1 (ko) * 2018-02-21 2019-08-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드릴을 위한 스토퍼
CN110226979A (zh) * 2019-05-30 2019-09-13 杭州六维齿科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自导航钻套的种植备孔钻系统
KR20200091228A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한마음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추출 보조기구
KR20200118553A (ko) * 2019-04-08 2020-10-16 이태경 정밀 맞춤형 멈춤 기능을 갖춘 임플란트 유도수술 기구 시스템
KR20210017176A (ko) * 2019-08-07 2021-02-17 최용석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어셈블리
KR102504906B1 (ko) * 2022-04-20 2023-03-02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상악동 점막 거상용 드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857B1 (ko) * 2021-05-28 2023-02-23 (주)주원에이치티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9668B2 (ja) 1999-03-23 2003-12-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装軌車両の足回り装置およびその肉盛強化方法
JP2013066665A (ja) 2011-09-26 2013-04-18 Gc Corp ストッパー及びストッパーセッ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282A1 (ko) * 2018-02-21 2019-08-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드릴을 위한 스토퍼
KR20200091228A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한마음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추출 보조기구
KR20200118553A (ko) * 2019-04-08 2020-10-16 이태경 정밀 맞춤형 멈춤 기능을 갖춘 임플란트 유도수술 기구 시스템
CN110226979A (zh) * 2019-05-30 2019-09-13 杭州六维齿科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自导航钻套的种植备孔钻系统
CN110226979B (zh) * 2019-05-30 2024-04-02 杭州六维齿科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自导航钻套的种植备孔钻系统
KR20210017176A (ko) * 2019-08-07 2021-02-17 최용석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어셈블리
KR102504906B1 (ko) * 2022-04-20 2023-03-02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상악동 점막 거상용 드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341B1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341B1 (ko)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US5989025A (en) Drill guide
US20130084540A1 (en) Stopper and stopper set
US102584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nus lift procedure
US20160331489A1 (en) A precision surgical guidance tool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US20160081765A1 (en) A precision surical guidance tool system and delivery method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KR101067485B1 (ko) 임플란트 드릴용 스토퍼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US11730573B2 (en) Fixation pin
KR101385882B1 (ko)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수술가이드용 유니버셜 임플란트 수술키트
KR20160130242A (ko) 단차 가이드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링 도구
KR20180132222A (ko) 치간공극을 이용한 다기능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US11337775B2 (en) Check-direction pin and guide tap drill kit for implanting a fixture of implant
KR20180116817A (ko) 치조골용 트리밍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키트
TWM611689U (zh) 牙科用移除裝置
WO2009035359A1 (en) Precision device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KR20210017176A (ko)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어셈블리
RU2705898C2 (ru)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ланирования и высверливания отверстий для зубных имплантатов
JP6708605B2 (ja) インプラント窩チェック用器具
KR101741228B1 (ko) 임플란트 드릴링 가이드 장치
KR101860636B1 (ko)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KR102555871B1 (ko) 임플란트 시술용 게이지
KR101498197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TWM456799U (zh) 植牙植體導引組件
RU145500U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US20200306142A1 (en) Labelled root canal fill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