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834A - 접이식 이동식 텃밭 - Google Patents

접이식 이동식 텃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834A
KR20160012834A KR1020140095061A KR20140095061A KR20160012834A KR 20160012834 A KR20160012834 A KR 20160012834A KR 1020140095061 A KR1020140095061 A KR 1020140095061A KR 20140095061 A KR20140095061 A KR 20140095061A KR 20160012834 A KR20160012834 A KR 20160012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able
soil
present
body part
gar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능행
Original Assignee
허능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능행 filed Critical 허능행
Priority to KR1020140095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834A/ko
Publication of KR2016001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이동식 텃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X 자 형상으로 가운데 부분이 서로 접혀지고 펼쳐지는 금속성 재질의 파이프로 구성된 접이식 지지대 위에 직물로 구성된 상부가 개방된 정육면체 형상의 몸체부가 설치된 이동식 텃밭에서, 몸체부 내부로 흙이 담겨진 상태에서도 상기 흙의 무게로 인하여 몸체부의 밑면이 파손이 되지 않고 지지가 되도록, 흙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밸트를 설치하여, 흙이 몸체부에 내부에 담겨진 상태에서도 몸체부의 밑면에 흙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인 접이식 이동식 텃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이동식 텃밭 {Foldable Planter}
본 발명은 접이식 이동식 텃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X 자 형상으로 가운데 부분이 서로 접혀지고 펼쳐지는 금속성 재질의 파이프로 구성된 접이식 지지대 위에 직물로 구성된 상부가 개방된 정육면체 형상의 몸체부가 설치된 이동식 텃밭에서, 몸체부 내부로 흙이 담겨진 상태에서도 상기 흙의 무게로 인하여 몸체부의 밑면이 파손이 되지 않고 지지가 되도록, 흙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밸트를 설치하여, 흙이 몸체부에 내부에 담겨진 상태에서도 몸체부의 밑면에 흙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인 접이식 이동식 텃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란 채소류의 촉성재배(促成栽培) 또는 열대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비닐 필름을 씌운 온실을 말하는 것으로, 1954년경부터 비닐필름이 농업에 이용되기 시작하면서 하우스 ·터널 등이 눈부시게 보급되었다.
특히 비닐하우스는 급속도로 발전하여 현재 가장 중요한 원예시설로 전국에서 이용되고 있는데, 비닐하우스는 채소류의 재배에 가장 많이 쓰이며 화훼류(花卉類) ·과수류(果樹類)의 재배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기밀성(氣密性)이 높아 온실보다는 약간 떨어지나 비교적 보온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조도 (照度) 에 있어서도 비교적 높아 작물생육에서 유리온실에 비하여 떨어지지 않으나, 점차 더러워져서 투광률(透光率)이 떨어진다.
비닐하우스의 피복재료로서 일본 등지에서 염화비닐필름이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비닐하우스라는 이름이 붙게된 것인데, 현재 국내에서는 주로 폴리에틸렌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밖에 아세트산비닐필름 등도 이용되지만 이것은 일광의 투광률은 거의 비슷하나 파장이 긴 열선(熱線)의 투과에는 큰 차가 있다.
투과율이 가장 높은 것은 폴리에틸렌필름이고 가장 낮은 것은 염화비닐필름이므로, 야간의 보온을 고려한다면 폴리에틸렌 필름보다는 염화비닐필름이 훨씬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는 실외에서만 가능할 뿐, 작물을 재배할만한 공간이 마땅치 않는 실내에서는 그 적용이 쉽지 않은 실정이었다.
또한, 작물을 실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크기의 화분을 이용하거나, 벽돌 등을 이용해 베란다 한쪽 구석에 텃밭을 만드는 정도가 고작이어서 소량의 작물을 재배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과 유사한 특허문헌으로는 등록특허 제 10-0832105호 (등록일자 2008년05월19일, 발명의 명칭: 조립식 미니텃밭) 가 있다. 종래기술은 실내에서 채소류, 화훼류 및 과수류 등의 작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고, 본체유닛 다수개가 조립되어 형성됨으로 설치장소에 따라서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며, 덮개의 개폐가 가능함에 따라 작물재배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미니텃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 미니텃밭은 상단부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다수의 본체유닛이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내측에 농작물이 재배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가이드레일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 상에 부착되어 상기 공간부를 덮어주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펠트 부직포 등의 직물로 구성된 몸체부를 가지는 이동식 텃밭에서, 상기 직물지로 구성된 몸체부의 내부에 흙이 담겨진 상태에서 밑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중분산밸트가 설치된 접이식 이동식 텃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은, 상부가 개방된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100);
상기 몸체부 (100) 의 개방된 상부의 4 개의 코너부를 각각 지지하는 접이식 지지대 (105); 상기 각각의 코너부에는 4 개의 스트랩의 가운데 부분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하중분산밸트 (115) 의 상기 스트랩의 끝단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중분산밸트 (115) 는 상기 몸체부 (100) 의 내부 안쪽에 놓여지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 안쪽에 놓여진 하중분산밸트 (115) 위로 밑판 (120) 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은, 상부가 개방된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100); 상기 몸체부 (100) 의 개방된 상부의 바라보는 양쪽 모서리부를 각각 지지하는 접이식 지지대 (106);
상기 각각의 각각의 모서리부에는 4 개의 스트랩의 가운데 부분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하중분산밸트 (116) 의 상기 스트랩의 끝단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중분산밸트 (116) 는 상기 몸체부 (100) 의 내부 안쪽에 놓여지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 안쪽에 놓여진 하중분산밸트 (115) 위로 밑판 (121) 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몸체부 (100) 는 펠트 부직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에 의하면, 금속성 파이프로 제조된 접혀지고 펼쳐지는 종래의 힌지구조를 가지는 지지대 위에 펠트 부직포 등의 직물로 구성된 정육면체 모양의 상부가 개방된 몸체부가 놓여진 이동식 텃밭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도중에, 몸체부의 내부에 담겨진 흙의 무게로 인하여 직물로 구성된 몸체부의 밑면이 터져서 파손이 되면 흙이 배출되어 접이식 이동식 텃밭을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즉, 서로 접혀지고 펼쳐지는 금속성 재질의 파이프로 구성된 접이식 지지대 위에 직물로 구성된 상부가 개방된 정육면체 형상의 몸체부가 설치된 이동식 텃밭에서, 몸체부 내부로 흙이 담겨진 상태에서도 상기 흙의 무게로 인하여 몸체부의 밑면이 파손이 되지 않고 지지가 되도록, 흙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밸트를 설치하여, 흙이 몸체부에 내부에 담겨진 상태에서도 몸체부의 밑면에 흙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인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미니텃밭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에서 하중 분산 벨트를 이동식 텃밭의 몸체부의 각각의 코너에 고정시킨 모습의 사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에서 하중 분산 벨트를 이동식 텃밭의 몸체부의 각각의 코너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밑판을 몸체부의 바닥면에 설치한 모습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텃밭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 사진이다.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동식 텃밭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의 사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은 펠트 부직포로 구성된 몸체부 (100) 가 접히는 것이 가능한 접이식 지지대 (105) 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의 몸체부 (100) 상부의 4 군데 코너부는 접이식 지지대 (105) 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각각의 코너부에는 하중분산밸트 (115) 가 더 결합되고, 나사 등의 고정수단 (110) 에 의해 접이식 지지대 (105) 에 고정되고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에서 하중 분산 벨트를 이동식 텃밭의 몸체부의 각각의 코너부에 고정시킨 모습의 사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분산 밸트 (115) 가 금속재질의 접이식 지지대 (105) 에 의해 지지를 받는 몸체부 (100) 의 4군데 코너 부분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중분산밸트 (115) 의 가운데 부분에는 밑판 (120) 을 지지하는 밑판 지지대 (117) 가 구성되어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사각형 모양의 직물 재질의 밑판 지지대 (117) 가 몸체부 (100) 의 안쪽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텃밭은 물빠짐이 좋고, 통기성이 좋은 펠트 부직포로 몸체부 (100) 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 (100) 의 안쪽에 흙을 넣게 되면 흙의 무게로 인하여 몸체부 (100) 의 모양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모양을 유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특히, 몸체부 (100) 의 밑면은 흙의 무게로 인하여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 파손되기 쉽고, 이렇게 되면 흙이 몸체부 (100) 의 밑면의 파손된 부분으로 흘러져 빠져 나와 이동식 텃밭은 더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성 재질의 파이프로 구성된 접이식 지지대 (105) 의 상부 4 군데 모퉁이 부분에 몸체부 (100) 상부의 4군데 모퉁이 부분이 고정 설치되게 하고, 흙이 몸체부 (100) 에 담겨진 경우, 상기 흙의 무게를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는 4 개의 하중분산밸트 (115) 와 4 개의 하중분산밸트 (115) 가 서로 연결된 가운데 부분에는 밑판 지지대 (117) 가 설치되고, 상기 밑판지지대 (117) 위에 밑판 (120) 이 놓여지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하에서, 몸체부 (100) 의 내부로 흙이 담겨진 경우에도 흙의 무게를 4개의 하중분산밸트 (115) 에 의해 흙의 무게를 지지하기 때문에 몸체부 (100) 의 밑면이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에서 하중 분산 벨트를 이동식 텃밭의 몸체부의 각각의 코너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밑판을 몸체부의 바닥면에 설치한 모습의 평면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중 분산 벨트 (115) 와 밑판지지대 (117) 가 본 발명의 몸체부 (100) 의 안쪽에 놓여진 상태에서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플라스틱 재질의 밑판 (120) 이 밑판지지대 (117) 위에 놓여지게 구성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 사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밑판 (120) 을 몸체부 (100) 의 안쪽에서 분리한 후, 접이식 지지대 (105) 를 접어서 보관하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동식 텃밭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도 2 에 도시된 접이식 이동식 텃밭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이프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접이식 지지대의 양쪽 상부에 연장된 몸체 지지부 (107) 가 구성되고, 펠트 부직포 등의 직물로 구성된 몸체부 (100) 의 양쪽 모서리부가 몸체 지지부 (107) 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분산 밸트 (116) 는 몸체 지지부 (107) 에 연결되고,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도 2 에 도시된 접이식 이동식 텃밭과 같이, 하중분산 밸트 (116) 의 가운데 부분에는 밑판 (121) 을 지지하는 밑판 지지부가 구성된다.
도 8 은 금속성 재질의 밑판 (121) 이 4 개의 하중분산 밸트 (116) 가 서로 연결된 가운데 부분에 구성되는 밑판 지지부 위에 가운데 부분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개방된 밑판 (121) 이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4 개의 하중분산 밸트 (116) 는 각각 끝단에 설치된 고리에 의해 금속성 재질의 파이프로 구성된 몸체지지부 (107) 에 걸려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식 텃밭으로 사용자는 펠트 부직포 등의 직물로 몸체부가 형성되어 그 무게가 가볍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쉽게 접어서 보관을 할 수 있다.
또한, 무엇보다도 몸체부의 내부에 담겨진 흙의 무게를 분산시킬 수가 있어서 제품의 내구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었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않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0: 몸체부 105, 106: 접이식 지지대
107: 몸체 지지부
115, 116: 하중분산밸트 117: 밑판 지지대
120, 121: 밑판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된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100);
    상기 몸체부 (100) 의 개방된 상부의 4 개의 코너부를 각각 지지하는 접이식 지지대 (105);
    상기 각각의 코너부에는 4 개의 스트랩의 가운데 부분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하중분산밸트 (115) 의 상기 스트랩의 끝단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중분산밸트 (115) 는 상기 몸체부 (100) 의 내부 안쪽에 놓여지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 안쪽에 놓여진 하중분산밸트 (115) 위로 밑판 (120) 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동식 텃밭.
  2. 상부가 개방된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100);
    상기 몸체부 (100) 의 개방된 상부의 바라보는 양쪽 모서리부를 각각 지지하는 접이식 지지대 (106);
    상기 각각의 각각의 모서리부에는 4 개의 스트랩의 가운데 부분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하중분산밸트 (116) 의 상기 스트랩의 끝단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중분산밸트 (116) 는 상기 몸체부 (100) 의 내부 안쪽에 놓여지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 안쪽에 놓여진 하중분산밸트 (115) 위로 밑판 (121) 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동식 텃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100) 는 펠트 부직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동식 텃밭.



KR1020140095061A 2014-07-25 2014-07-25 접이식 이동식 텃밭 KR20160012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61A KR20160012834A (ko) 2014-07-25 2014-07-25 접이식 이동식 텃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61A KR20160012834A (ko) 2014-07-25 2014-07-25 접이식 이동식 텃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834A true KR20160012834A (ko) 2016-02-03

Family

ID=5535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061A KR20160012834A (ko) 2014-07-25 2014-07-25 접이식 이동식 텃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8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05B1 (ko) 2006-11-13 2008-05-27 이민기 조립식 미니텃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05B1 (ko) 2006-11-13 2008-05-27 이민기 조립식 미니텃밭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종래기술은 실내에서 채소류, 화훼류 및 과수류 등의 작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고, 본체유닛 다수개가 조립되어 형성됨으로 설치장소에 따라서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며, 덮개의 개폐가 가능함에 따라 작물재배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미니텃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 미니텃밭은 상단부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다수의 본체유닛이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내측에 농작물이 재배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가이드레일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 상에 부착되어 상기 공간부를 덮어주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2306B2 (en) Planting box device
US20140196364A1 (en) Apparatus and system to convert planters into individual greenhouses
JP3171234U (ja) 簡易温室
US20140144079A1 (en) Plant culturing equipment
US20160143234A1 (en) Tubular greening unit
US10091950B2 (en) Modular garden planter bed structure
KR100832105B1 (ko) 조립식 미니텃밭
KR101121032B1 (ko)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
US20230389496A1 (en) Mobile aeroponic grow system
KR20160012834A (ko) 접이식 이동식 텃밭
AU2016207774A1 (en) Container for plants
KR102565791B1 (ko) 테라리움용 전용 용기
JP2005080623A (ja) 植物養液栽培方法
JP2018029501A (ja) 一般家庭向け簡易水耕栽培装置
KR20160012835A (ko) 연결형 이동식 텃밭
KR20150091640A (ko) 실내 텃밭
KR20100012861U (ko) 조립식 미니텃밭
JP2014000066A (ja) 植物育成容器
WO2023193200A1 (zh) 有机耕种套件
KR20120058272A (ko) 도시 원예용 친환경 식물 재배 용기
JP2014075990A (ja) 栽培容器、栽培床および栽培装置
RU171237U1 (ru) Теплица
GB2464319A (en) Fleece bag for growing plants
JP3101421U (ja) ガーデニング用保護カバー
US20190297788A1 (en) Double cover greenhouse suitable for gardens and farming crops in lower ambient temper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