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684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684A
KR20160012684A KR1020140094599A KR20140094599A KR20160012684A KR 20160012684 A KR20160012684 A KR 20160012684A KR 1020140094599 A KR1020140094599 A KR 1020140094599A KR 20140094599 A KR20140094599 A KR 20140094599A KR 20160012684 A KR20160012684 A KR 20160012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pipe
substrate
light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7882B1 (ko
Inventor
민병국
이승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88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5Details of bases or housing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end cap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base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2Details of end part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en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Abstract

실시 형태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 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파이프; 각각은 상면과 하면 및 상기 파이프가 배치되는 홀을 갖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기판들; 및 상기 복수의 기판들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실시 형태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재래식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램프,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실시 형태는, 전 방위(360도)에서 광이 방출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형태는, 기판에 의해 커버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암부를 제거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형태는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기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형태는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소켓부와 광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형태는 별도의 체결 수단없이 소켓부와 캡부를 결합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형태는 복수개로 하나의 광원부를 구성할 수 있는 단위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 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파이프; 각각은 상면과 하면 및 상기 파이프가 배치되는 홀을 갖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기판들; 및 상기 복수의 기판들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한다.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 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광원 모듈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을 갖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결합홈에 배치된 회로;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가 배치되는 홀을 갖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홀에는 상기 단위 광원 모듈과 인접하는 다른 단위 광원 모듈의 파이프의 상단부가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와 함께 배치된다.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사용하면, 전 방위(360도)에서 광이 방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형광등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형태는, 기판에 의해 커버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암부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형태는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기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심플해지고 와이어에 의한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형태는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소켓부와 광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심플해지고 와이어에 의한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형태는 별도의 체결 수단없이 소켓부와 캡부를 결합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으며, 소켓부와 캡부의 분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형태는 복수개의 단위 광원 모듈로 하나의 광원부를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복수개의 단위 광원 모듈의 개수를 적절히 선택하여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광원부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일 단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의 (a) 내지 (b)는 도 2에 도시된 기판(310)의 다른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기판(310)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버부(100)와 광원부(300)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소켓부(500’)와 캡부(70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소켓부(500’)와 캡부(700)가 결합된 후 소켓부(50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소켓부(500’)가 도 8에 도시된 캡부(700)와 결합한 뒤 회전하기 전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소켓부(500’)가 도 8에 도시된 캡부(700)와 결합한 뒤 회전한 후의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광원부(300’)의 변형 예로서, 광원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단위 광원 모듈(300’’)의 사시도.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일 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커버부(100), 광원부(300) 및 소켓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00)는 속이 빈 통 형상이다. 커버부(100)는 제1 축(a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100)의 형상을 원통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100)는 다각통일 수도 있고, 타원통일 수도 있다.
커버부(100)는 투명한 재질일 수도 있고,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일 수도 있다. 여기서, 커버부(100)의 헤이즈(haze)는 40% 이상, 즉, 투명도는 60% 이하일 수 있다. 커버부(100)의 헤이즈가 40% 이상이면, 외부에서 광원부(300)의 존재를 확인하기 어려운 이점이 있다.
커버부(100)는 양 측에는 소켓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서로 결합된 커버부(100)와 소켓부(500)는 외관 상 종래의 재래식 형광등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종래의 재래식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다.
소켓부(500)는 베이스(510)와 핀(5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10)는 커버부(100)의 양 측에 배치되며, 커버부(100)의 양 측 개구를 막는 역할을 한다. 핀(530)은 베이스(510)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핀(530)들이 베이스(510)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핀(530)들은 종래의 재래식 형광등의 핀과 동일한 규격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100) 내부에는 광원부(300)가 배치된다.
광원부(300)는 기판(310), 발광 소자(330) 및 파이프(35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파이프(350)를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파이프(350)는, 속이 빈 통 형상이다. 파이프(350)는 제1 축(a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350)의 형상을 원통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파이프(350)는 다각통일 수도 있고, 타원통일 수도 있다.
파이프(350) 내부에는 소켓부(500)와 광원부(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W)가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W)는 일 단과 타 단을 갖고, 상기 일 단을 포함하는 일 단부, 상기 타 단을 포함하는 타 단부, 및 상기 일 단부와 상기 타 단부 사이의 중간부를 가질 수 있다.
와이어(W)의 일 단은 소켓부(500)의 핀(530)과 연결되고, 와이어(W)의 타 단은 광원부(300)의 기판(310)과 연결된다. 와이어(W)의 일 단과 핀(530)의 연결 및 와이어(W)의 타 단과 기판(310)의 연결은, 납땜 또는 커넥터를 사용하여 가능할 수 있다.
와이어(W)의 대부분은 파이프(350) 내부에 배치되고, 와이어(W)의 타 단을 포함하는 타 탄부는 파이프(350)를 관통하여 파이프(350) 밖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파이프(350)는 와이어(W)의 타 단부가 외부로 빠져나오기 위한 홀(H)을 가질 수 있다. 홀(H)을 빠져나온 와이어(W)의 타 단부는 기판(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350)는 기판(310)과 발광 소자(330)에서 방출되는 광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방열 재료일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W) 또는 기판(310)과의 전기적 단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이프(350)는 비금속일 수 있다.
파이프(350)에는 복수의 기판(310)들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310)은 파이프(350)에 배치된다. 기판(310)은 파이프(350)의 외면 상에 배치된다.
기판(310)은 홀(311)을 가질 수 있다. 기판(310)은 홀(311)을 통해 파이프(350)와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310) 파이프(350) 사이에는 와셔(washer)가 배치되어 기판(310)과 파이프(350)를 더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기판(310)은 원형의 판 형상일 수 있고, 홀(311)은 기판(3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310)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한다. 기판(310)의 상면과 하면에는 발광 소자(330)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310)의 상면에 복수의 발광 소자(330)들이 배치될 수 있고, 기판(310)의 하면에도 복수의 발광 소자(3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기판(310)의 양면에 복수의 발광 소자(3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310)의 상면 또는 하면은 제1 축(a1)과 수직할 수 있다. 복수의 기판(310)들 각각의 상면 또는 하면은 제1 축(a1)과 수직할 수 있다.
기판(310)의 상면과 하면에 발광 소자(330)가 배치되고, 기판(310)의 상면 또는 하면이 제1 축(a1)과 수직하면, 커버부(100)에서는 전 방위(360도)에서 광이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형광등과 같이, 전 방위에서의 광을 방출할 수 있어 종래의 형광등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310)의 상면 또는 하면은 제1 축(a1)과 수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a) 내지 (b)는 도 2에 도시된 기판(310)의 다른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기판(310a)의 상면 또는 하면은, 제1 축(a1)과 수직하지 않고, 제1 축(a1)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기판(310a)의 상면 또는 하면과 제1 축(a1) 사이의 각도는 설계자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모든 기판들(310a, 310b, 310c, 310d)의 상면 또는 하면은, 제1 축(a1)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모두 같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310a)과 제3 기판(310c)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기판(310b)와 제4 기판(310d)는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기판들(310a, 310b, 310c, 310d) 중에서 일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축(a1)에 수직하고, 일부는 제1 축(a1)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기판들(310a, 310b, 310c, 310d)은 도 2 및 도 3과 달리 비규칙적으로 제1 축(a1)에 수직하거나 제1 축(a1)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기판(310)은 상면과 하면 사이에 배치된 외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외주면은 기판(310)의 상면 또는 하면과 수직하거나 커버부(100)의 내면과 평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외주면이 기판(310)의 상면 또는 하면과 수직하거나 커버부(100)의 내면과 평행할 경우, 발광 소자(330)가 발광되면, 커버부(100)에서 기판(310)의 외주면에 의한 암부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기판(310)의 외주면이 커버부(100)의 내면과 인접한 경우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310)의 외주면은 기판(310)의 상면 또는 하면과 수직하거나 커버부(100)의 내면과 평행하지 않고, 소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기판(310)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310’)은 외주면(315)를 포함할 수 있다. 외주면(315)는 기판(310’)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멀어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기판(310’)의 외주면(315)이 기판(310’)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멀어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얇아지면, 기판(310’)과 도 2에 도시된 커버부(100)가 아무리 근접하더라도 암부가 발생될 가능성이 낮은 이점이 있다.
외주면(315)은 기판(310)의 상면 또는 하면과 수직하지 않고, 기판(3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대하여 비스듬한 경사면일 수 있다. 외주면(315)은 두 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주면(31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두 경사면이 아닌 두 개의 곡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커버부(100)와 광원부(300)는 소정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버부(100)와 광원부(300)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에서 A-A’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310)의 직경(D2)는 커버부(100)의 내경(D1)의 절반과 같거나 더 작을 수 있다. D2가 (D1/2)보다 더 크면, 기판(310)과 커버부(1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발광 소자(330)의 발광 시에 외부에서 커버부(100)를 통해 기판(310)이 보일 수 있다. 따라서, D2은 최대한 (D1/2)와 같거나 그 보다 더 작은 것이 좋다.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기판(310)은 절연체에 회로 패턴이 인쇄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310)의 표면은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하는 재질이거나, 빛이 효율적으로 반사되는 컬러, 예를 들어 백색, 은색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발광 소자(330)는 기판(310)의 상면과 하면 상에 배치된다.
발광 소자(330)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조물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활성층이 배치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은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고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AlInN, AlGaAs, GaP, GaAs, GaAsP, AlGaInP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Si, Ge, Sn, Se, Te 등의 n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
활성층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통해서 주입되는 전자(또는 정공)와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통해서 주입되는 정공(또는 전자)이 서로 만나서, 활성층의 형성 물질에 따른 에너지 밴드(Energy Band)의 밴드갭(Band Gap) 차이에 의해서 빛을 방출하는 층이다. 활성층은 단일 우물 구조, 다중 우물 구조, 양자점 구조 또는 양자선 구조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은 p형 반도체층으로 구현될 수 있고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AlInN, AlGaAs, GaP, GaAs, GaAsP, AlGaInP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Mg, Zn, Ca, Sr, Ba 등의 p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
한편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이 p형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이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도있다. 또한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아래에는 n형 또는 p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반도체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구조물은 n-p 접합 구조, p-n 접합 구조, n-p-n 접합 구조, 및 p-n-p 접합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330)은 가시광선 대역부터 자외선 대역의 범위 중에서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고, 반도체 재질 고유의 색을 갖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 소자(330)는 하나 또는 복수로 기판(310)의 양 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330)는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ing Emitting Diode) 칩(chip)이거나 자외선 광(Ultraviolet light)를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는 수평형(Lateral Type) 또는 수직형(Vertical Type)일 수 있고, 청색(Blue), 적색(Red), 황색(Yellow) 또는 녹색(Green)을 발산할 수 있다.
발광 소자(330) 상에는 렌즈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는 발광 소자(330)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렌즈는 발광 소자(330)로부터 방출하는 광의 지향각이나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렌즈는 실리콘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투광성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투광성 수지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분산된 형광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렌즈의 형태는 예를 들어 단면이 반구 타입이거나 가운데가 오목부가 형성된 타입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발광 소자(330)가 청색 발광 다이오드일 경우, 투광성 수지에 포함된 형광체는 가넷(Garnet)계(YAG, TAG), 실리케이드(Silicate)계, 나이트라이드(Nitride)계 및 옥시나이트라이드(Oxynitride)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성 수지에 황색 계열의 형광체만을 포함되도록 하여 자연광(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지만, 연색지수의 향상과 색온도의 저감을 위해 녹색 계열의 형광체나 적색 계열을 형광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광성 수지에 여러 종류의 형광체들이 혼합된 경우, 형광체의 색상에 따른 첨가 비율은 적색 계열의 형광체보다는 녹색 계열의 형광체를, 녹색 계열의 형광체보다는 황색 계열의 형광체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다. 황색 계열의 형광체로는 가넷계의 YAG, 실리케이트계, 옥시나이트라이드계를 사용하고, 녹색 계열의 형광체로는 실리케이트계, 옥시나이트라이드계를 사용하고, 적색 계열의 형광체는 나이트라이드계를 사용할 수 있다. 투광성 수지에 여러 종류의 형광체들이 혼합된 것 이외에도, 적색 계열의 형광체를 갖는 층, 녹색 계열의 형광체를 갖는 층 및 황색 계열의 형광체를 갖는 층이 각각 별개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커버부(100), 광원부(300’), 소켓부(500’) 및 캡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00)는 도 1에 도시된 커버부(1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광원부(300’), 소켓부(500’) 및 캡부(7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광원부(300’)는, 커버부(100) 내부에 배치되고, 기판(310’), 발광 소자(330) 및 파이프(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330)는 도 2에 도시된 발광 소자(33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파이프(350’)는 속이 빈 통 형상이다. 파이프(350’)는 제1 축(a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350’)의 형상을 원통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파이프(350’)는 다각통일 수도 있고, 타원통일 수도 있다.
파이프(350’)는 회로(351)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351)는 파이프(350’)의 외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회로(351)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회로(351)들 중 하나는 (+)극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극일 수 있다.
회로(351)는 파이프(350’)의 측면에 배치되고, 파이프(350’)의 상면과 하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회로(351)는 광원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회로(351)는 광원부(300’)의 기판(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351)는 기판(310’)의 단자(313’a)와 와이어없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350’)에는 복수의 기판(31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기판(310’)들의 배치 형태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것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다.
기판(310’)은, 기판(310’)의 단자(313’a)를 제외한 나머지는 도 2에 도시된 기판(310)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기판(310’)의 단자(313’a)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기판(310’)의 단자(313’a)는 기판(310’)의 내주면(313’)에 배치된다. 여기서, 기판(310’)의 내주면(313’)은 기판(310’)의 홀(311’)을 정의한다. 기판(310’)의 단자(313’a)의 개수는 회로(351)의 개수와 같고, 단자(313’a)와 회로(351)는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다.
기판(310’)의 홀(311’)로 파이프(350’)를 통과시킨 후, 파이프(350’)의 적당한 위치에 기판(310’)을 위치시킨 후, 기판(310’)을 회전시켜 기판(310’)의 단자(313’a)가 파이프(350’)의 회로(351)와 직접 맞닿도록 한다. 여기서, 기판(310’)과 파이프(350’) 사이에 와셔(washer)가 배치될 수 있다. 와셔를 통해, 기판(310’)과 파이프(350’)는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소켓부(500’)는 베이스(510), 핀(530) 및 연결부(55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10)와 핀(530)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510)와 핀(53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연결부(55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연결부(550)는 베이스(51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550)는 베이스(51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550)는 핀(5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510) 내부에서 연결부(550)와 핀(530)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50)는 핀(530)과 광원부(30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기를 도통할 수 있는 전도성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550)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연결부(5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부(551), 연장부(553) 및 제2 접촉부(5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551)는 베이스(51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핀(5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접촉부(551)를 연결부(550)에 배치하면, 연결부(550)가 제1 접촉부(551)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보다 베이스(510)의 내면과 좀 더 넓은 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더 강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소켓부(500’)와 좀 더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접촉부(551)는, 캡부(700)의 개구(710)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553)는 제1 접촉부(551)에서 바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연장부(553)는 제1 접촉부(551)의 일 측에서 위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연장부(553)는 제1 접촉부(551)와 함께 캡부(700)의 개구(710)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553)는 걸림홈(553a)을 가질 수 있다. 걸림홈(553a)에는 광원부(300’)의 회로(351)가 배치될 수 있다. 걸림홈(553a)에 회로(351)가 삽입되면, 외부에서 외력이 가하지지 않는 이상, 회로(351)가 걸림홈(553a)에서 빠져나가기 쉽지 않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소켓부(500’)와 광원부(300’)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접촉부(555)는 제1 접촉부(551) 상에 배치되고, 연장부(553)에 일 측이 연결된다. 제2 접촉부(555)는 연장부(553)에 의해 지지되어 제1 접촉부(5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촉부(555)는 소켓부(500’)를 캡부(700)와 별도의 체결 수단없이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소켓부(500’)와 캡부(70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소켓부(500’)와 캡부(700)가 결합된 후 소켓부(50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9의 (a)와 도 10의 (a)는 사시도이고, 도 9의 (b)와 도 10의 (b)는 캡부(700) 아래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9의 (a) 내지 (b)는, 제2 접촉부(555)가 도 8에 도시된 캡부(700)의 개구(710)와 오목부(730)를 관통한 직후의 모습이다.
이후, 제2 접촉부(555)가 외부 외력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되면, 도 10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촉부(555)의 끝단부는 캡부(700)의 내면(750) 위를 이동한다. 여기서, 제2 접촉부(555)의 끝단부가 캡부(700)의 내면(750) 위를 이동할 때, 제2 접촉부(555)의 끝단부는 캡부(700)의 내면(750)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접촉부(555)가 어느 정도 회전하면 제2 접촉부(555)의 끝단부는 캡부(700)의 내면(750)과 맞닿아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소켓부(500’)가 도 9에 도시된 상태로 역회전하지 않는 이상, 정상적인 상태에서 소켓부(500’)는 캡부(700)로부터 이탈되기 어렵다. 따라서, 소켓부(500’)를 캡부(700)에 고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며, 소켓부(500’)를 캡부(70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접촉부(555)의 끝단부가 캡부(700)의 내면에 걸린 채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면, 제2 접촉부(555)는 광원부(300’)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소켓부(500’)와 광원부(300’)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소켓부(500’)가 도 8에 도시된 캡부(700)와 결합한 뒤 회전하기 전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소켓부(500’)가 도 8에 도시된 캡부(700)와 결합한 뒤 회전한 후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소켓부(500’)가 도 8에 도시된 캡부(700)에 결합하면, 파이프(350)는 두 연장부(553)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두 연장부(553)는 파이프(350)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후에, 소켓부(500’)가 외부 외력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하면, 소켓부(500’)의 두 연장부(553)는 파이프(350’)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고, 마침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연장부(553)가 파이프(350’)의 회로(351)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두 연장부(553) 각각은 도 8에 도시된 걸림홈(553a)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두 연장부(553)의 걸림홈(553a)에는 회로(351)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없이 소켓부(500’)와 광원부(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소켓부(500’)가 캡부(700)와 결합한 뒤 회전하면,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500’)가 캡부(700)에 별도의 체결 수단없이 결합할 수 있고, 이와 함께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없이 소켓부(500’)와 광원부(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접촉부(551), 연장부(553) 및 제2 접촉부(555)는 전체적으로 ‘ㄷ’자 또는 ‘U’자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연결부(550)는 제1 접촉부(551)없이 베이스(510)에 곧바로 연장부(553)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장부(553)는 핀(53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캡부(700)는 커버부(100)의 양단에 결합한다. 캡부(700)는 커버부(100)의 양단에 결합할 때 접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고, 캡부(700)가 커버부(100)의 양단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캡부(700)는 소켓부(500’)의 베이스(510)와 직접 접촉하는 외면(740)과 소켓부(500’)의 제2 접촉부(555)와 직접 접촉하는 내면(750)을 가질 수 있다.
캡부(700)는 개구(710)를 가질 수 있다. 개구(710)는 외면(740)과 내면(75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외면(740)과 내면(750)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개구(710)에는 소켓부(500’)의 제1 접촉부(551)와 연장부(55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710)의 직경은 소켓부(500’)의 두 개의 제2 접촉부(555)의 끝단 사이의 거리보다는 작다.
캡부(700)는 오목부(730)를 가질 수 있다. 오목부(730)는 개구(710)와 연결되며, 소켓부(500’)의 연결부(550)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오목부(730)로는 소켓부(500’)의 제2 접촉부(555)가 관통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광원부(300’)는 복수의 단위 모듈들이 서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광원부(300’)는 하나의 파이프(350’)와 여기에 결합된 복수의 기판(310’)들, 그리고 복수의 기판(310’)들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330)들을 포함하지만, 이하에서 설명할 광원부는 하나의 파이프, 하나의 기판 및 복수의 발광 소자들이 하나의 단위 광원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하나의 단위 광원 모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 내지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광원부(300’)의 변형 예로서, 광원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단위 광원 모듈(300’’)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단위 광원 모듈(300’’)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4는 단위 광원 모듈(300’’)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단위 광원 모듈(300’’)은 기판(310’), 발광 소자(330) 및 파이프(3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310’)과 발광 소자(330)는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파이프(350’’)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350’’)는 측면(350’’-1), 상면(350’’-3) 및 하면(350’’-5)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350’’-1)은 회로(351)가 배치되는 결합홈(350’’-7)을 가질 수 있다. 결합홈(350’’-7)은 측면(350’’-1)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350’’-7)은 파이프(350’’)의 상면(350’’-3)과 하면(350’’-5)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로(351)는 파이프(350’’)의 결합홈(350’’-7)에 배치된다.
회로(351)는 일 측면(351a)과 상면(351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351a)은 파이프(350’’)의 측면(350’’-1)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면(351b)도 파이프(350’’)의 상면(350’’-3)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회로(351)의 일 측면(351a)은 파이프(350’’)의 측면(350’’-1) 위로 돌출되고, 회로(351)의 상면(351b)도 파이프(350’’)의 상면(350’’-3) 위로 돌출된다.
한편, 회로(351)의 하면(미도시)은 파이프(350’’)의 하면(350’’-5)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는, 다른 단위 광원 모듈의 회로가 삽입되기 위함이다.
파이프(350’’)는 기판(310’)과 결합한다. 파이프(350’’)의 하단부가 기판(310’)의 홀(311’)에 끼워짐으로써 파이프(350’’)와 기판(310’)은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350’’)의 하단부는 기판(310’)의 홀(311’)에 완전히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기판(310’)의 홀(311’)의 일 부분에 끼워질 수 있다. 이는 기판(310’)의 홀(311’)의 나머지 부분에 다른 단위 광원 모듈의 파이프의 상단부가 끼워지게 하기 위함이다.
기판(310’)의 홀(311’)로 다른 단위 광원 모듈의 파이프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경우, 다른 단위 광원 모듈의 파이프의 상면 위로 돌출된 회로의 일 부분이 본 단위 광원 모듈(300’’)의 결합홈(350’’-7)에 배치됨과 함께 다른 단위 광원 모듈의 회로가 본 단위 광원 모듈(300’’)의 회로(3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단위 광원 모듈(300’’)은 복수개 사용하여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광원부(300’)를 구현할 수도 있고,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광원부(300’)와 사이즈(또는 길이)가 다른 광원부도 구현할 수 있다. 즉, 단위 광원 모듈(300’’)의 개수를 적절히 선택하면, 다양한 길이의 광원부를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버부
300: 광원부
500: 소켓부
700: 캡부

Claims (12)

  1. 제1 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파이프;
    각각은 상면과 하면 및 상기 파이프가 배치되는 홀을 갖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기판들; 및
    상기 복수의 기판들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들;
    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면과 하면은 상기 제1 축과 수직하거나 상기 제1 축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된, 조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판들 중 인접한 두 기판은 상기 제1 축에 대하여 모두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조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배치된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면은 상기 기판의 상면과 하면에서 멀어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조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직경은, 상기 커버부의 내경의 절반과 같거나 더 작은, 조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내부에 배치된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가 빠져나오기 위한 홀을 갖고,
    상기 홀에서 빠져나온 와이어의 일 단은 상기 기판과 연결된, 조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측면과 상기 측면에 배치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홀을 정의하는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주면은, 상기 파이프의 회로와 직접 접촉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양단에 결합하고,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는 캡부; 및
    상기 캡부와 결합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내면과 상기 외면에 형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에 연결된 오목부를 갖고,
    상기 소켓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 배치된 핀 및 상기 베이스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캡부의 개구에 배치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캡부의 개구와 오목부를 관통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부가 상기 캡부와 결합한 후 회전하면, 상기 연결부의 접촉부의 끝단부는 상기 캡부의 내면 위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가 상기 캡부와 결합한 후 회전하면, 상기 소켓부의 연장부는 상기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파이프의 회로는 상기 소켓부의 연장부와 직접 연결되는, 조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의 연장부는, 상기 회로가 배치되는 걸림홈을 갖는, 조명 장치.
  11. 제1 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광원 모듈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을 갖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결합홈에 배치된 회로;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가 배치되는 홀을 갖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홀에는 상기 단위 광원 모듈과 인접하는 다른 단위 광원 모듈의 파이프의 상단부가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와 함께 배치되는, 조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단위 광원 모듈의 회로의 일 부분은, 상기 단위 광원 모듈의 결합홈에 배치되고, 상기 단위 광원 모듈의 회로와 연결되는, 조명 장치.
KR1020140094599A 2014-07-25 2014-07-25 조명 장치 KR102167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599A KR102167882B1 (ko) 2014-07-25 2014-07-25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599A KR102167882B1 (ko) 2014-07-25 2014-07-25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684A true KR20160012684A (ko) 2016-02-03
KR102167882B1 KR102167882B1 (ko) 2020-10-20

Family

ID=5535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599A KR102167882B1 (ko) 2014-07-25 2014-07-25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8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873B1 (ko) * 2009-08-24 2010-04-12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회전타입 엘이디 형광등
KR20110080210A (ko) * 2010-01-05 2011-07-13 (주)부여전자 형광등 타입의 회전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1110115B1 (ko) * 2011-04-15 2012-02-15 오명호 형광등 형태의 led 조명등
JP2013084531A (ja) * 2011-10-07 2013-05-09 Justenergy Technology Corp 直管型ラ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873B1 (ko) * 2009-08-24 2010-04-12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회전타입 엘이디 형광등
KR20110080210A (ko) * 2010-01-05 2011-07-13 (주)부여전자 형광등 타입의 회전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1110115B1 (ko) * 2011-04-15 2012-02-15 오명호 형광등 형태의 led 조명등
JP2013084531A (ja) * 2011-10-07 2013-05-09 Justenergy Technology Corp 直管型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882B1 (ko)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4090B2 (en) Lighting device
CN104662676B (zh) 发光元件
US9627596B2 (en)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ncluding the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package
KR20140116654A (ko) 발광소자 패키지
US9281437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2097563A (zh) 发光器件和发光器件封装
US9048395B2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system
KR20160059706A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패키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20150014079A (ko) 조명 장치
KR20150001268A (ko) 발광 소자 패키지
CN104282815A (zh) 发光器件
KR20140020420A (ko) 발광 소자
US10510925B2 (en)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comprising same
KR20130140281A (ko) 발광소자
KR102233037B1 (ko) 조명 장치
KR102167882B1 (ko) 조명 장치
KR20160057640A (ko) 조명 장치
KR101997255B1 (ko) 발광소자
KR20110073661A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구비한 발광 장치
KR102229467B1 (ko) 조명 장치
KR102189617B1 (ko) 조명 장치
KR102157066B1 (ko) 조명 장치
KR102195756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007407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40009793A (ko)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