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651A -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 - Google Patents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651A
KR20160012651A KR1020140094517A KR20140094517A KR20160012651A KR 20160012651 A KR20160012651 A KR 20160012651A KR 1020140094517 A KR1020140094517 A KR 1020140094517A KR 20140094517 A KR20140094517 A KR 20140094517A KR 20160012651 A KR20160012651 A KR 20160012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soft tissue
protrusions
fixing pl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수
이호준
Original Assignee
㈜ 이트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 이트리온 filed Critical ㈜ 이트리온
Priority to KR1020140094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651A/ko
Publication of KR2016001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2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31/125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31/128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containing other specific inorganic fillers not covered by A61L31/126 or A61L31/12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뼈에 체결될 나사가 삽입되기 위한 나사공들과, 상기 뼈와 맞닿게 될 내면과, 연조직에 의해 덮이게 될 외면을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면을 덮은 연조직이 걸릴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외면에 마련된 복수의 외면 돌기들;을 포함하는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BONE FIXING PLATE FOR PREVENTING SOFT TISSUE FROM BEING SLACK}
본 발명은 골절 부위가 다시 접합할 때까지 뼈를 고정할 때 사용되는 뼈 고정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뼈를 고정하는 동안 연조직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뼈 고정판에 관한 것이다.
사고로 인해 인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인체를 이루는 뼈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뼈의 손상을 골절이라 한다. 골절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골절 부위가 다시 접합할 때까지 뼈를 고정하는 치료가 수행된다.
뼈를 고정하는 치료는 크게 체외고정법과 체내고정법으로 분류된다. 체외고정법은 피부 밖에서 금속침들을 골절된 뼈의 여러 곳에 심고, 이 금속침들을 피부 밖에서 고정하는 방법이다. 체내고정법은 연조직(피부, 근육 등)을 절개하여 골절 부위를 노출시킨 후 뼈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뼈 속에 가늘고 긴 지지대를 넣는 방법과, 뼈의 외면에 뼈 고정판을 대고 이 뼈 고정판을 나사를 이용하여 뼈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치료들 중 뼈 고정판과 나사를 이용하는 방법이 타 방법에 비해 이점이 많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뼈 고정판에 대한 연구/개발은 주로 그 재질에 대하여 이루어져 왔다. 예컨대, 초기에는 뼈 고정판의 재질로 금속(티타늄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금속 재질의 뼈 고정판의 경우에는, 골절된 뼈가 완치된 이후에 뼈 고정판을 제거하는 2차 수술이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PLLA, PLGA 등)를 재질로 하는 뼈 고정판이 개발되면서 해결되었다.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 재질의 뼈 고정판은 수술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인체 내에서 분해되기 때문에 2차 수술을 요하지 않는다.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 재질의 뼈 고정판의 일 예가 한국등록특허 제10-077296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후,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 재질의 뼈 고정판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는 뼈 고정판들이 개발되었는데, 이 뼈 고정판들의 재질에는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의 부족한 강도를 보강해 줄 수 있는 생분해성 또는 생체 적합성 무기질이 포함된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2002-0083888호는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 단량체와 생체 적합성 무기 미세 입자를 혼합/분산시킨 후 중합하여 제조한 복합물을 뼈 고정판의 재질로 사용하고, 한국등록특허 제10-1277605호는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 재질의 층과 생분해성 또는 생체 적합성 무기질 재질의 층을 번갈아 적층한 적층체를 뼈 고정판의 재질로 사용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72966호(유연성을 갖는 뼈 고정용 고강도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 및 그의 제조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02-0083888호(고강도 뼈 고정용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무기 복합 소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무기 복합 소재) 한국등록특허 제10-1277605호(뼈고정판 및 이의 제조방법)
위와 같이 현재까지는 뼈 고정판에 대한 연구/개발이 그 재질에 대하여 주로 이루어져 왔는데, 본 발명은 지금까지의 연구/개발과 관점을 달리하여 새로운 형상의 뼈 고정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뼈에 고정된 뼈 고정판의 표면과 상기 뼈 고정판을 덮는 연조직 간의 마찰력 부족으로 인해 상기 연조직이 처지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뼈 고정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뼈에 체결될 나사가 삽입되기 위한 나사공들과, 상기 뼈와 맞닿게 될 내면과, 연조직에 의해 덮이게 될 외면을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면을 덮은 연조직이 걸릴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외면에 마련된 복수의 외면 돌기들;을 포함하는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을 제공한다.
상기 외면 돌기들의 끝은 뾰족하게 마련된다.
상기 외면 돌기들 중 적어도 일부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상기 본체 및 외면 돌기들은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를 재질로 하되, 상기 본체의 내면에는 생분해성 또는 생체 적합성 무기질 재질의 뼈 형성 촉진 분말이 함입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뼈 고정판의 시술 후 봉합된 연조직이 외면 돌기들에 걸려 중력 작용 방향으로 처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외면 돌기들의 뾰족한 끝이 상기 연조직을 잘 파고들기 때문에 상기 연조직이 상기 외면 돌기들에 확실히 걸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외면 돌기들 중 적어도 일부가 중력 작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외면 돌기들에 걸려있는 연조직의 이탈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뼈 고정판이 얇은 연조직으로 덮이는 뼈에 시술되어도 피시술자의 미관에 아무런 영향이 미치지 않고, 그러면서도 골절 부위의 접합이 촉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뼈 고정판의 사용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100)은 골절 부위(12)가 다시 접합할 때까지 뼈(10)를 고정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및 외면 돌기들(1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판 형태로 마련된 것으로서, 나사공들(116)과, 내면(114)과, 외면(112)을 갖는다. 상기 나사공들(116)에는 뼈(10)(도 3 참조)에 체결될 나사(130)가 삽입된다. 상기 내면(114)은 나사(130)에 의해 뼈 고정판(100)이 뼈(10)에 고정되었을 때 뼈(10)와 맞닿게 된다. 상기 외면(112)은 상기 내면(114)과 대향하는 면으로서, 상기 뼈 고정판(100)의 고정 후 봉합되는 연조직(20)(피부, 근육 등)에 의해 덮이는 면이다.
상기 본체(110)의 형태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본체(110)는 시술 부위에 따라 일자 형태, X자 형태, Y자 형태, L자 형태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외면 돌기들(120)은 본체(110)의 외면(112)을 덮은 연조직(20)이 걸릴 수 있는 형태를 갖고, 본체(110)와 일체를 이루며 본체(110)의 외면(112)에 마련된다. 또한, 외면 돌기들(120)은 연조직(20)의 두께보다 작은 돌출 길이로 상기 외면(112)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이러한 외면 돌기들(120)의 위치 및 개수는 본체(110)의 형태 및 시술 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뼈 고정판(100)이 뼈에 고정된 후 봉합된 연조직(20)은 본체(110)의 외면(112)을 덮게 된다. 그런데 본체(110)의 외면(112)이 매끈하면 이 외면(112)과 연조직(20) 간 마찰력이 부족하여 상기 연조직(20)이 중력 작용 방향으로 처지는 문제가 발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봉합된 연조직(20)이 본체(110)의 외면(112)에 마련된 외면 돌기들(120)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연조직(20)이 중력 작용 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외면 돌기들(120)의 끝은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하게 마련되는 것이 좋다. 그러면 연조직(20)이 봉합되는 과정에서 외면 돌기들(12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조직(20)을 잘 파고들게 되고, 이로 인해 연조직(20)은 외면 돌기들(120)에 확실히 걸릴 수 있다.
뾰족한 끝을 갖는 외면 돌기들(120)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면 돌기들(120)은 원뿔 형태 또는 다각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외면 돌기들(120)은 끝만 뾰족한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외면 돌기들(120) 중 적어도 일부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도 3에서 중력이 아래쪽으로 작용한다면 외면 돌기들(120) 중 적어도 일부는 위쪽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식이다. 이러한 경우, 외면 돌기들(120)에 걸려있던 연조직(20)이 피시술자의 과도한 움직임(빠른 걷기, 달리기 등)에 의해 상기 외면 돌기들(120)로부터 혹시라도 이탈하게 되는 현상까지도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체(110) 및 외면 돌기들(120)로 이루어진 뼈 고정판(100)은 시술 후 다시 제거되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도록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를 재질로 한다. 상기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로는 PLA(poly(lactic acid)), PLLA(poly(L-lactic acid)), PLDLA(poly(L/D-lactic acid)), PGA(poly(glycolider) or poly(glycolic acid)),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PLC(poly(camprolacto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를 재질로 하는 본체(110)의 내면(114)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씨피(TCP, tricalcium phosphate)와 같은 생분해성 무기질 또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hydroxyapatite)와 같은 생체 적합성 무기질을 재질로 하는 뼈 형성 촉진 분말(118)이 함입되는 것이 좋다.
생분해성 무기질 또는 생체 적합성 무기질은 뼈 형성을 촉진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체(110)에 뼈 형성 촉진 분말(118)이 함입되어 있으면 골절 부위(12)의 접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뼈 형성 촉진 분말(118)은 뼈 형성을 촉진하면서 골화(ossification)되기 때문에 자신의 형태를 인체 내에 그대로 남기며 돌출 부위로 된다. 따라서 뼈 고정판(100)이 생분해성 무기질만을 또는 생체 적합성 무기질만을 재질로 하면, 골절 부위(12)가 완치된 후에도 뼈 고정판(100)의 형태 및 두께를 갖는 돌출 부위가 뼈(10)의 표면에 생기게 된다. 그리고 이 돌출 부위가 얇은 연조직으로 덮이는 뼈(예컨대, 이마 쪽의 두개골, 코뼈, 광대뼈 등)의 표면에 형성된다면, 상기 돌출 부위는 얇은 연조직에 그대로 드러나며 미관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본체(110)의 내면(114)에만 뼈 형성 촉진 분말(130)이 함입된다. 그러면 뼈 형성 촉진 분말(118)이 골화되더라도 뼈(10)의 표면에 돌출 부위가 거의 형성되지 않고, 이로 인해 상기 뼈 고정판(100)이 얇은 연조직으로 덮이는 뼈에 시술되어도 피시술자의 미관에는 아무런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상기 뼈 형성 촉진 분말(118)은 뼈 고정판(100)이 시술되었을 때 뼈(10)와 맞닿아 뼈(10)의 형성을 촉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
110 : 본체 112 : 외면
114 : 내면 116 : 나사공
118 : 뼈 형성 촉진 분말 120 : 외면 돌기
130 : 나사 10 : 뼈
12 : 골절 부위 20 : 연조직

Claims (4)

  1. 뼈에 체결될 나사가 삽입되기 위한 나사공들과, 상기 뼈와 맞닿게 될 내면과, 연조직에 의해 덮이게 될 외면을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면을 덮은 연조직이 걸릴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외면에 마련된 복수의 외면 돌기들;을 포함하는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 돌기들의 끝은 뾰족하게 마련된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 돌기들 중 적어도 일부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외면 돌기들은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를 재질로 하되, 상기 본체의 내면에는 생분해성 또는 생체 적합성 무기질 재질의 뼈 형성 촉진 분말이 함입되어 있는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
KR1020140094517A 2014-07-25 2014-07-25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 KR20160012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517A KR20160012651A (ko) 2014-07-25 2014-07-25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517A KR20160012651A (ko) 2014-07-25 2014-07-25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651A true KR20160012651A (ko) 2016-02-03

Family

ID=5535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517A KR20160012651A (ko) 2014-07-25 2014-07-25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65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888A (ko) 2001-06-29 2002-11-04 주식회사 씨엠리서치 고강도 뼈 고정용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무기 복합 소재의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유기고분자/무기 복합 소재
KR100772966B1 (ko) 2006-06-02 2007-11-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연성을 갖는 뼈 고정용 고강도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 및그의 제조방법
KR101277605B1 (ko) 2013-05-08 2013-06-21 ㈜ 이트리온 뼈고정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888A (ko) 2001-06-29 2002-11-04 주식회사 씨엠리서치 고강도 뼈 고정용 생분해성 유기 고분자/무기 복합 소재의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유기고분자/무기 복합 소재
KR100772966B1 (ko) 2006-06-02 2007-11-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연성을 갖는 뼈 고정용 고강도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 및그의 제조방법
KR101277605B1 (ko) 2013-05-08 2013-06-21 ㈜ 이트리온 뼈고정판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56552B (zh) 具有双向保持器或单向保持器的自保持缝合线
JP6342332B2 (ja) 圧迫ねじシステム
JP2018134468A (ja) 生体再吸収性材料層を有する整形外科固定デバイス
US11911082B2 (en) Bone fixation methods and devices including adhesive bioactive resorbable bone plates
KR101684631B1 (ko) 봉합사와 천연 고분자를 이용한 리프팅 부재
KR101850289B1 (ko) 신장이 가능한 뼈 고정장치
JP7348661B2 (ja) 二機能性アンカーシステム
US20230101706A1 (en) Dual-function anchor system
KR20160012651A (ko) 연조직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
KR101591757B1 (ko) 뼈 형성 촉진 기능을 갖는 뼈 고정판의 제조 방법
KR101678376B1 (ko) 비중격 고정판
KR101612007B1 (ko) 뼈 고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