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131A - 보빈의 플랜지들 사이 공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보빈의 플랜지들 사이 공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131A
KR20160012131A KR1020157032099A KR20157032099A KR20160012131A KR 20160012131 A KR20160012131 A KR 20160012131A KR 1020157032099 A KR1020157032099 A KR 1020157032099A KR 20157032099 A KR20157032099 A KR 20157032099A KR 20160012131 A KR20160012131 A KR 20160012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obbin
arms
mandrel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765B1 (ko
Inventor
쟝-미첼 베르제
브루노 파르세이히안
Original Assignee
컨덕틱스 웜프러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덕틱스 웜프러 프랑스 filed Critical 컨덕틱스 웜프러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60012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65H75/145Reinforcement or protection arrangements for the peripheral edge of the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2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50Storage means for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53Adaptations of cores or reels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Unwinding Web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등과 같은 링크를 권취하고 권출하는 보빈(1)으로, - 상기 보빈(1)의 회전축(13)과 직교하며, 2개의 양쪽 면(11, 12)을 포함하는 중심 맨드릴(10), - 각각이 중심 맨드릴(10)의 양쪽 면에 장착되어 있는 암(21)들로, 암 각각은 암 단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서포트와 접촉하고 있는 암(21)들로 이루어진 2세트의 암(21)을 포함하는 보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각각의 암(21)과 연관되어 있는 복수의 조절 요소(3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서포트에 의해 조절 요소의 작동이 해당 조절 요소와 연관된 암에 힘을 가하게 되며, 상기 암이 상기 중간 서포트 주위로 기울어지도록 힘을 가함으로써 보빈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기 암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빈의 플랜지들 사이 공간 조절 장치 {DEVICE FOR ADJUSTING THE INTER-FLANGE SPACE OF A BOBBIN}
본 발명은 케이블, 광섬유 등과 같은 링크를 권취하고 권출할 수 있는 장치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같은 에너지 운송 링크를 권취하고 권출하는 장치들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통상적으로,
- 위쪽에 링크의 안쪽 권선이 배치되는 원통형 지탱면을 포함하는 맨드릴,
- 링크 권취 체적을 규정하고, 링크 권취 체적을 측 방향으로 수용하여 플랜지 역할을 수행하는 유사한 암들로 이루어진 측면 암 세트를 포함한다.
각 측면 암 세트의 암들은 맨드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한다. 보빈 직경 크기는 2미터 수준일 수 있다.
보빈 위에 링크를 올바르게 권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측면 암 세트의 암들의 위치를 조절해야만 한다. 특히, 보빈 위에 링크의 단일 권선이 권취되어 있는 경우,
- 각 측면 암 세트의 암들이 맨드릴 회전축 주위에 회전 대칭이어야 하고,
- 측면 암 세트들의 근위 단부들(즉 맨드릴에 가까운 쪽) 간의 거리가 일정해야 하며,
- 측면 암 세트들의 원위 단부들(즉 맨드릴에서 먼 쪽) 간의 거리가 일정해야 한다.
현재, 어셈블리의 측면 암들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는 만족할만한 수단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술한 단점들이 예방될 수 있는 보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케이블 등과 같은 링크를 권취(winding)하고 권출(unwinding)하는 보빈으로,
- 보빈의 회전축과 직교하며, 2개의 양쪽 면을 포함하는 중심 맨드릴,
- 각각이 중심 맨드릴의 양쪽 면에 장착되어 있는 암들로, 암 각각은 암 단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서포트와 접촉하고 있는 암들로 이루어진 2세트의 암을 포함하는 보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각각의 암과 연관되어 있는 복수의 조절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서포트에 의해 조절 요소의 작동이 해당 조절 요소와 연관된 암에 힘을 가하게 되며, 상기 암이 상기 중간 서포트 주위로 기울어지도록(tilt) 힘을 가함으로써 보빈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기 암의 위치를 조절하는 보빈을 제공한다.
각 암에 있어서, 조절 요소와 중간 서포트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암 위치 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암 위치의 조절은 하나의 조절 요소를 작동시켜 수행되므로, 사용자가 보빈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각 조절 요소는 해당 조절 요소가 연관되는 암 내의 상보적 나선공 내에 나사 고정되는 나선 막대일 수 있다. 또는, 조절 요소는 해당 조절 요소를 간단하게 취급함으로써 연관 암이 변위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형태의 조절 요소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은,
- 각 조절 요소가 중심 맨드릴에 연결되되, 한편으로는 중심 멘드릴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암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암이 맨드릴 위에 유지할 수 있으며,
- 각 조절 요소는,
- 조절 요소를 변위시키기 위한 상보적 툴과 함께 작동하는 몸체, 및
- 몸체 내에 제조되어 있으며, 관련 암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인클로저를 포함하되, 상기 인클로저는 관련 암에 대해,
- 조절 요소가 제1 방향으로 변위할 때 제1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 조절 요소가 제2 방향으로 변위할 때에는 제2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측면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힘은 보빈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향한다.
- 인클로저에 의해 힘을 가함으로써, 관련 암이 중간 서포트로부터 변위(일 방향 혹은 다른 방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업자가 보빈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조절 요소만으로도 연관 암의 변위를 일으키기에 충분하다.
- 몸체는 양쪽에 2개의 베이스를 포함하고, 인클로저는 몸체의 양 베이스 중 한 베이스 위로 연장한다. 이에 의해, 보빈을 조립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조절 요소를 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 인클로저는 마주하는 적어도 2개의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들은 관련 암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용적(volume)을 획정한다.
- 각 벽부는, 예컨대 별 모양으로 위치하는 복수의 핑거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벽부의 하나의 핑거는 마주하는 벽부의 핑거와 서로 마주본다. 물론, 상기 벽부들이 고리모양,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및 육각형 같은 다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 인클로저의 형상이 회전 대칭이며; 이는 조절 요소가 어떤 위치에 있든지 간에 특히 조절 요소가 나선 막대를 조여서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 인클로저와 암 부분 사이의 접촉 면적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 인클로저는 관련 암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목부(throat)를 포함하는, 특히 고리모양의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편으로는 암과 조절 요소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절 요소에 의해 암에 가해지는 힘의 분산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 각 조절 요소가 몸체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선공을 포함하여, 인클로저가 나선 막대 등에 장착될 수 있다.
- 인클로저가 진입하기 위한 암 부분이 노치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인클로저와 관련 암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게 된다.
- 각 암은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고, 조절 요소의 인클로저가 진입하기 위한 암 부분이 암의 근위 단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조절 요소가 변위되는 중에 인클로저에 의해 암에 가해지는 힘의 강도를 증가시켜서, 서포트 주위로 암을 용이하게 변이할 수 있게 된다.
- 중간 서포트와 암 간의 접촉이, 상기 암의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거리만큼 암과 연관된 조절 요소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서포트에 힘을 가하는 중에, 서로트 주위로 각 암의 기울어지는 정도를 쉽게 변화시킬 수 있다.
- 보빈은 링크의 코일을 지탱하기 위한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는 각 암의 중간 서포트와 2개의 암 세트 사이에서 연장하고 있다.
- 서포트는 맨드릴로부터 떨어져서, 맨드릴을 둘러싸고 있다.
- 서포트는 각각이 실린더 부분 형상의 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페룰(ferrule)을 포함하고, 상기 페룰은 암 세트들에 고정되어 원통형 서포트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보빈이 분해될 때, 보빈의 부피(bulk)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 보빈은 암 세트의 암들의 원위 단부들에 고정되어 있는 테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보빈 구조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 테(hoop)는 원의 일부 형상인 적어도 2개의 섹터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보빈이 분해될 때, 보빈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아래에 기재되어 있는 사항들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목적 그리고 이점들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만, 아래에 기재되어 있는 사항들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며 읽혀져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맨드릴에 연결되어 있는 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조절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도시되어 있는 보빈(1)은,
- 중심 맨드릴(10), 및
- 조절 요소(30)를 통해 맨드릴(10)에 연결되어 있으며, 링크를 권취/권출할 때 링크를 안내하는 플랜지 역할을 수행하는, 서로 유사한 2개의 측면 암 세트(20)를 포함한다.
보빈은 링크를 지탱하는 면을 형성하도록, 2개의 측면 암 세트(20) 사이에서 연장하는 서포트(40)도 포함한다.
맨드릴( mandrel )
맨드릴(10)은 양쪽에 2개의 원형면(11, 12)과 측면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맨드릴(10)은 원통형 지탱면을 구비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맨드릴(10)은 권취/권출되는 링크에 적당한 두께를 가진 디스크이다.
맨드릴(10)은 맨드릴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하며, 보빈(1)의 회전축(13)을 형성하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맨드릴(10)은 각 원형면(11, 12)의 주변부 위에 장착되어 있는 나선 막대(14)를 포함할 수 있고, 조절 요소(30)를 사용하여 측면 암(20)을 고정할 수 있다. 나선 막대(14)는 맨드릴(10)과 일체를 이루거나 혹은 예를 들어 맨드릴(10) 내에 마련되어 있는 나선 개구부 내에 나사 고정되어 맨드릴(10) 위에 고정될 수 있다.
암 세트( set of arms )
암 세트(20) 각각은 맨드릴(1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암(21)을 포함한다. 암(21)들은 예컨대 금속으로 제작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보빈(1)은 30개의 암(21)을 포함하고 있다.
각 암(21)은 맨드릴(10)에 인접하는 근위 단부(22)와 맨드릴(10)에서 먼 원위 단부(23)를 포함한다.
암(21)은 각 조절 요소(30)에 의해 암의 근위 단부(22)가 맨드릴(10)에 결합되어 있다. 조절 요소(3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암은 중간 서포트와도 접촉하고 있다. 이들 중간 서포트와 암과 관련되어 있는 조절 요소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암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 서포트는 암 세트의 모든 암들과 접촉하고 있는 싱글 서포트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예로, 중간 서포트는, 각 부재들이 암 세트의 하나 이상의 암들과 접촉하고 있는 복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 서포트는 맨드릴 내에 통합되거나 혹은 맨드릴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암(21)의 근위 단부(22)는 조절 요소(30)의 인클로저(32) 내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노치(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암(21)과 조절 요소(30)의 인클로저(32) 간의 접촉면적을 크게할 수 있다.
각 암 세트(20)의 암(21)의 원위 단부(23)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테(26)에 고정되어 있다. 테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테(26)는 보빈 구조를 보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각 테(26)는 2개의 반원부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원형을 둘 이상으로 분할한 둘 이상의 섹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을 병치하여 테(26)를 획득할 수 있다. 테(26)를 병치되는 복수의 섹터들로 구성함으로써, 분해된 보빈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보빈은 원형의 10개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부분들은 연속된 3개의 암(21)의 원위 단부(23)를 연결할 수 있으며, 병치되어 있는 여러 부분들을 서로 고정시켜 원형(26)을 형성할 수 있다.
서포트( support )
보빈(1)은 링크를 지탱하는 면을 형성하는 서포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 단일-턴 보빈인 경우, 링크의 안쪽 턴, 혹은
- 멀티-턴 보빈인 경우, 링크의 안쪽 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40)는,
- (서포트가 맨드릴의 측면에 해당되는 경우) 맨드릴과 통합되거나, 혹은
- 도 1,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맨드릴과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서포트는 전술한 중간 서포트로 구성되거나, 혹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서포트(40)는 링크의 턴(turn)들을 수용하기 위한 매끈한 원통형 금속 시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로, 서포트(40)는 실린더 부분과 유사한 형상의 매끈한 복수의 단편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을 병치하여 실린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서포트(40)는, 예컨대 측면 암 세트(20)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페룰(ferrule)들로 구성될 수 있다. 페룰들은 예컨대 나사를 사용하여 암(21)에 고정되며, 암(21)의 원위 단부(23)로부터 지정된 거리(27)만큼 연장한다.
서포트가 중간 서포트로 구성되는 경우, 지정된 거리(27)는 암(21) 전체 길이의 절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암(21)의 원위 단부(23)와 암(21)의 페룰 고정면 사이의 거리(27)는 암(21)의 전체 길이의 2/3와 같다.
각 페룰은 실린더부 형상의 금속-시트부로 구성되어 있다. 페룰들을 병치함으로써 보빈 위에 권취되는 링크의 내부 턴이 위치되는 매끈한 지탱면을 규정하는 실린더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조절 요소( adjustment element )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암(21)을 맨드릴(10)에 결합시키고, 암의 위치를 조절하는 데에 사용되는 조절 요소(3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 조절 요소(30)는 몸체(31), 주변 원주 인클로저(peripheral circumferential enclosure)(32) 및 몸체(31)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선공(36)을 포함한다.
몸체(31)는 조절 요소의 이동을 야기하는 상보적 툴과 함께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몸체(31)는 양쪽 2개의 베이스와 주변면을 포함하며, 주변면의 형상은 조절 요소(30)의 조임툴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주변면은 예컨대 육각형이다.
인클로저(32)는 각 암(21)의 일부분(24)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도 5 참조). 인클로저(32)는 각 암(21)의 단부(24)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볼륨(35)을 획정하는 적어도 2개의 벽부(33, 34)를 포함한다. 인클로저(32)는 예컨대 몸체(31)의 베이스 중 한 베이스 위로 연장하며 측면 위에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고리모양의 핀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루브는 암(21)의 일부분(24)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조절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보빈의 크기(bulk)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핀을 포함하는 조절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보빈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암과 맨드릴 사이에 위치하는 조절 요소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조절 요소(30)가 변위할 때, 인클로저(32)에 의해 연관된 암(21)에 힘(F 또는 F')을 가하도록 조절 요소(30)가 배치되어 있다. 인클로저(32)에 의해 가해지는 힘(F 또는 F')은 보빈(1)의 회전축(13)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서 확장된다. 힘의 방향은 조절 요소(30)의 변위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암(21)에 힘(F 또는 F')을 가하면 해당 암과 관련된 서포트(40) 주위로 암(21)이 변위(R 또는 R')한다. 이에 따라, 측면 암 세트(20)의 암(21)의 위치를 조절하여,
- 암 세트 각각은 보빈의 회전축(13) 주위로 회전 대칭이고,
- 암 세트의 근위 단부들(즉 맨드릴에 가까운 쪽) 간의 거리가 일정하며,
- 암 세트들의 원위 단부들(즉 맨드릴에서 먼 쪽)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측면 암 세트(20)의 암(21)들이 맨드릴 바깥쪽으로 반경방향으로 위치하는 영역에서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변형예로,
- 암 세트의 암들이 보빈의 회전축과 결합된 대칭축을 구비하는 콘(cone) 내에 수용되고,
- 암 세트의 근위 단부들(즉 맨드릴에 가까운 쪽)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예컨대 54mm가 되도록 하며,
- 암 세트들의 원위 단부들(즉 맨드릴에서 먼 쪽)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예컨대 51mm가 되도록, 암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절 요소(30)는 조절 요소를 관통하는 나선공(36)을 포함하며, 나선공 내에는,
- 맨드릴 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관통하는 나사(미도시)가, 혹은
- 맨드릴과 일체인 혹은 일체가 아닌 나선 막대가 나사 고정된다.
작동 원리( principle of operation )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조절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어셈블리 좀 더 상세하게는 보빈(1)의 조절이 용이해진다.
실제, 보빈(1)을 조립하는 중에, 작업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는 암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 예컨대 측면 암 세트(20)를 동일 평면에 위치시키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암 세트(20)의 암(21)들 각각을 이들 암들과 마주하는 다른 암 세트(20)의 암(21)들을 수용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위치시켜야만 한다.
특히 단일-턴 보빈의 경우에 있어서, 링크의 권취/권출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암들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에서 측면 암 세트(20)들 간의 거리가 일정하다는 사실이 매우 중요하다.
조절 요소(30)를 작동시켜 보빈(1)의 위치를 조절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암(21)이 맨드릴(10)과 서포트(40)에 고정되면, 사용자가 예를 들면 암 세트들이 서로 평행한 평면들 내에서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암 세트(20)의 각 암(21)이 이들과 마주하는 다른 암 세트(20)의 암(2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마주하는 암(21)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절 대상 암(21)의 조절 요소(30)를 나사를 통해 변위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a. 마주하는 암(21)들의 원위 단부(23)들 사이의 거리가 마주하는 암(21)들의 근위 단부(22)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면, 사용자는 조절 요소(30)를 맨드릴(10) 상에 장착되어 있는 나선 막대(14) 위로 돌려 조인다(screw).
이에 의해 조절 요소(30)가 맨드릴(10)을 향해 변위(D)하게 된다. 변위됨에 따라, 조절 요소(30)의 인클로저(32)가 암(21)의 근위 단부(22) 위로 힘(F)을 가하게 된다. 힘(F)의 방향은 보빈(1)의 회전축과 평행하고, 힘(F)의 방향은 조절 요소(30)의 변위(D) 방향과 동일하다(보다 정확하게는 맨드릴을 향하는 방향).
힘(F)을 가하는 것은, 암(21)의 근위 단부(22)를 맨드릴(10)을 향해 "누르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암(21)이 중간 서포트(본 실시예에서는 서포트(40))와의 접촉 영역 주위로 변위(R)하게 한다.
조절 요소(30)가 맨드릴(10)을 향해 점진적으로 변위(D)하는 중에, 암(21)의 원위 단부(23)는 해당 암과 마주하는 암(21)의 원위 단부(23)와 멀어지게 된다.
마주하는 암(21)의 원위 단부(23)들 사이의 거리가 마주하는 암(21)의 근위 단부(22)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면, 사용자는 조절 요소(30)에 대한 작업을 정지하여 더 이상 변위(D)되지 않게 한다. 이제 마주하는 암(21)들이 동일 평면 상에 있게 된다.
b. 다른 한편, 마주하는 암(21)들의 원위 단부(23)들 사이의 거리가 마주하는 암(21)들의 근위 단부(22)들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면, 사용자는 조절 요소(30)를 풀어주게 된다(unscrew).
이에 의해 조절 요소(30)가 변위(D')하며, 조절 요소가 맨드릴(10)로부터 멀어진다. 조절 요소(30)가 변위됨에 따라, 조절 요소(30)의 인클로저(32)가 암(21)의 근위 단부(22) 위로 힘(F')을 가하게 된다. 힘(F')의 방향은 보빈(1)의 회전축과 평행하고, 힘(F')의 방향은 조절 요소(30)의 변위(D') 방향과 동일하다.
힘(F')을 가하는 것은, 암(21)의 근위 단부(22)를 "잡아당기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암(21)이 중간 서포트(여기서는 서포트(40))와의 접촉 영역 주위로 기울어지게(R') 한다.
조절 요소(30)가 맨드릴(10)을 향해 점진적으로 변위(D')하는 중에, 암(21)의 원위 단부(23)는 해당 암과 마주하는 암(21)의 원위 단부(23)와 가까워지게 된다.
마주하는 암(21)의 원위 단부(23)들 사이의 거리가 마주하는 암(21)의 근위 단부(22)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면, 사용자는 조절 요소(30)에 대한 작업을 정지하여 더 이상 변위되지 않게 한다.
이제 마주하는 암(21)들이 서로 평행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암 세트(21)가 평행한 평면 내에서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데에 여러 부분들을 건드리지 않으면서도 쉽게 보빈(1)을 조절할 수 있다.

Claims (16)

  1. 케이블 등과 같은 링크를 권취하고 권출하는 보빈(1)으로,
    - 상기 보빈(1)의 회전축(13)과 직교하며, 2개의 양쪽 면(11, 12)을 포함하는 중심 맨드릴(10),
    - 각각이 중심 맨드릴(10)의 양쪽 면에 장착되어 있는 암(21)들로, 암 각각은 암 단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서포트와 접촉하고 있는 암(21)들로 이루어진 2세트의 암(21)을 포함하는 보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각각의 암(21)과 연관되어 있는 복수의 조절 요소(3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서포트에 의해 조절 요소의 작동이 해당 조절 요소와 연관된 암에 힘을 가하게 되며, 상기 암이 상기 중간 서포트 주위로 기울어지도록 힘을 가함으로써 보빈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기 암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2. 제1항에 있어서,
    각 조절 요소의 한편이 중심 멘드릴에 연결되어 있고, 조절 요소의 다른 한편이 암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암이 맨드릴 위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조절 요소(30)가,
    - 가동 몸체(31), 및
    - 상기 몸체(31)와 일체로 되어 있고, 관련 암(21)의 일부분(24)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인클로저(32)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저(32)는 관련 암(21)에 대해,
    - 조절 요소(30)가 제1 방향으로 변위할 때 제1 방향으로 힘(F)을 가하고,
    - 조절 요소(30)가 제2 방향으로 변위할 때에는 제2 방향으로 힘(F')을 가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4.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가 양쪽에 2개의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저(32)는 몸체(31)의 양 베이스 중 한 베이스 위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5. 선행하는 2개의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클로저(32)는 마주하는 적어도 2개의 벽부(33, 34)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들은 관련 암(21)의 일부분(24)을 수용하기 위한 용적(35)을 획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6. 선행하는 3개의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클로저(32)의 형상이 축 방향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7. 선행하는 4개의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클로저(32)가 관련 암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그루브를 포함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8. 선행하는 5개의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조절 요소(30)가 몸체(31)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선공을 포함하여, 인클로저(32)가 나선 막대 등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클로저(32)가 진입하기 위한 암(21)의 일부분(24)이 노치(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암(21)이 근위 단부(22) 및 원위 단부(23)를 포함하고, 조절 요소(30)의 인클로저(32)가 진입하기 위한 암(21)의 일부분(24)이 암(21)의 원위 단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11. 선행 청구항에 있어서,
    중간 서포트와 암 간의 접촉이, 상기 암(21)의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거리만큼 암과 연관된 조절 요소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12.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크의 턴을 지탱하기 위한 서포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는 각 암의 중간 서포트와 2개의 암 세트 사이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13. 선행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맨드릴로부터 떨어져 있고, 맨드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14.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40)는 각각이 실린더 부분 형상의 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페룰을 포함하고, 상기 페룰은 암 세트(20)들에 고정되어 원통형 서포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15.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 세트의 암들의 원위 단부들에 고정되어 있는 테(26)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16. 선행 청구항에 있어서,
    각 테는 원의 일부 형상인 적어도 2개의 섹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KR1020157032099A 2013-04-11 2014-04-11 보빈의 플랜지들 사이 공간 조절 장치 KR102155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3267A FR3004433B1 (fr) 2013-04-11 2013-04-11 Dispositif de reglage de l'entreflasque d'une bobine
FR1353267 2013-04-11
PCT/EP2014/057405 WO2014167105A1 (fr) 2013-04-11 2014-04-11 Dispositif de reglage de l'entreflasque d'une bo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131A true KR20160012131A (ko) 2016-02-02
KR102155765B1 KR102155765B1 (ko) 2020-09-14

Family

ID=4885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099A KR102155765B1 (ko) 2013-04-11 2014-04-11 보빈의 플랜지들 사이 공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926168B2 (ko)
EP (1) EP2984015B1 (ko)
JP (1) JP6284621B2 (ko)
KR (1) KR102155765B1 (ko)
CN (1) CN105228935B (ko)
CA (1) CA2908472C (ko)
ES (1) ES2632622T3 (ko)
FR (1) FR3004433B1 (ko)
WO (1) WO2014167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8209B1 (fr) 2019-07-01 2021-06-04 Conductix Wampfler France Bobine pour l’enroulement et le deroulement d’un li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4074A (en) * 1926-06-07 1928-03-27 Cornelius D Heffernan Hose reel
US1915825A (en) * 1929-04-23 1933-06-27 Newhall Henry B Corp Knockdown cable reel
US4509149A (en) * 1979-07-16 1985-04-02 Mobil Oil Corporation Directional long array for logging vertical boundaries
US20010035473A1 (en) * 2000-05-09 2001-11-01 Patton Scott L. Modular spool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6961A (en) * 1939-07-18 1940-12-31 Motor Improvements Inc Filter-unit forming machine
DE1774420A1 (de) * 1968-06-15 1971-07-29 Hafner E Armierte Kunststoffspule
US3791606A (en) * 1971-12-27 1974-02-12 W Brown Collapsible cable spool
US4221347A (en) * 1977-12-13 1980-09-09 John Hill Adjustable reel for winding wire coils
FR2504899A1 (fr) * 1981-04-30 1982-11-05 Commercy Trefileries Ateliers Bobine pour produits filiformes, en particulier pour fil a souder
JPH038688Y2 (ko) * 1987-07-03 1991-03-04
US4895316A (en) * 1988-08-15 1990-01-23 Creative Techniques, Inc. Molded sectional reel
US5025999A (en) * 1990-02-22 1991-06-25 Littrell Chester G Coil winding form apparatus
JPH0542267U (ja) * 1991-11-13 1993-06-08 株式会社高岳製作所 エアーホース使用アンコイラー装置
US5409179A (en) * 1993-07-07 1995-04-25 Recherche Et Developpement (Jl) Inc. Collapsible reel
JPH11349230A (ja) * 1998-06-09 1999-12-21 Hitachi Cable Ltd 光ケーブルリ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光ケーブルの仮設方法
CA2263058A1 (en) * 1999-02-26 2000-08-26 Ronald R. Couvrette Collapsible reel and method of assembly
US6527220B2 (en) * 2000-12-06 2003-03-04 Petroflex, N.A., Inc. Knockdown, changeable reel system and method
US6450438B1 (en) * 2001-04-25 2002-09-17 Hewlett-Packard Co.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a tape pack
DE20211895U1 (de) * 2002-08-02 2002-10-24 Delaege Jean Marie Kabeltrommelflansch
JP2005217019A (ja) * 2004-01-28 2005-08-11 Kyushu Seimitsu Kiki Kk 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巻回リール
JP4511995B2 (ja) * 2005-05-31 2010-07-28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リール
GB2468536B (en) * 2009-03-13 2012-09-19 Pipecoil Technology Ltd Apparatus for coiling an elongate element
CN202346515U (zh) * 2011-12-09 2012-07-25 上海中联重科桩工机械有限公司 卷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4074A (en) * 1926-06-07 1928-03-27 Cornelius D Heffernan Hose reel
US1915825A (en) * 1929-04-23 1933-06-27 Newhall Henry B Corp Knockdown cable reel
US4509149A (en) * 1979-07-16 1985-04-02 Mobil Oil Corporation Directional long array for logging vertical boundaries
US20010035473A1 (en) * 2000-05-09 2001-11-01 Patton Scott L. Modular spoo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28935B (zh) 2017-08-01
EP2984015B1 (fr) 2017-05-17
FR3004433B1 (fr) 2015-05-29
JP6284621B2 (ja) 2018-02-28
FR3004433A1 (fr) 2014-10-17
US20160046461A1 (en) 2016-02-18
CA2908472A1 (fr) 2014-10-16
KR102155765B1 (ko) 2020-09-14
CA2908472C (fr) 2021-03-09
WO2014167105A1 (fr) 2014-10-16
EP2984015A1 (fr) 2016-02-17
JP2016519636A (ja) 2016-07-07
ES2632622T3 (es) 2017-09-14
US9926168B2 (en) 2018-03-27
CN105228935A (zh)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1583B2 (en) Boxing training device
WO2016136570A1 (ja) ボビンおよびボビンレス輸送方法
JP6603674B2 (ja) ストランドのような巻付可能材料のための巻取装置
EP3044842B1 (en) Adjustable cable managers
KR20090010035U (ko) 강관의 진원도 교정 구조
KR20140049069A (ko) 신축장치
KR20160012131A (ko) 보빈의 플랜지들 사이 공간 조절 장치
JP5964403B2 (ja) 碍子支持ユニット、及び碍子支持装置
EP1820628B1 (en) Tyre building drum
WO2016034102A1 (zh) 导向装置及带有操纵杆的绝缘子
AU2014202184B2 (en) Holding device
CN104423056B (zh) 一种具有高精度光机同轴度的光纤准直器及其组装方法
JP4745775B2 (ja) ケーブルドラム支持装置
CN105722777A (zh) 具有可去除的环箍的线盘
CN203502615U (zh) 一种新型精密光纤准直器
JP2007536162A (ja) 自転車のギアメカニズム
CN203510016U (zh) 一种轴孔同轴定位距离可调节的定位组件
CN209673805U (zh) 免疫分析仪及其聚焦镜头组件
TWM448486U (zh) 捲收器
ITUB20150075A1 (it) Rasaerba motorizzato provvisto di leva di comando
JP5958729B1 (ja) 釣り用リール
JP3623296B2 (ja) ケーブル把持具
JP2022538421A (ja) リンクの巻き取り及び巻き解きを行うリール
SE544343C2 (sv) Anordning för tillverkning av bussningar
RU62354U1 (ru) Вставка колесная 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ее монтаж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