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901A - Seat belt coupling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eat belt coupling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901A
KR20160011901A KR1020140093172A KR20140093172A KR20160011901A KR 20160011901 A KR20160011901 A KR 20160011901A KR 1020140093172 A KR1020140093172 A KR 1020140093172A KR 20140093172 A KR20140093172 A KR 20140093172A KR 20160011901 A KR20160011901 A KR 20160011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elt tongue
belt
longitudinal axis
hou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74507B1 (en
Inventor
이학구
문찬기
이동섭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4009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507B1/en
Publication of KR20160011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9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5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Abstract

A seat belt coupling apparatus for a vehicle is provided. The apparatus comprises: a belt tongue having a latching groove ope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vertical axis of the apparatus; a housing member having a space to accommodate the belt tongue; a latch member arranged within the housing member to be moved in a straight line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or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housing member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axis, engaged with the latching groove of the belt tongue at the first position, and disengaged from the latching groove of the belt tongue at the second position; and a bias member elastically pressurizing the latch member at the first position.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SEAT BELT COUPLING APPARATUS FOR VEHICLE}[0001] SEAT BELT COUPLING APPARATUS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시트 벨트를 차량에 용이하게 체결하고 해제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asily tightening and releasing a seat belt in a vehicle.

시트 벨트 시스템은 2개의 기본 요소, 즉 버클부 및 버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벨트 텅을 갖는 시트 벨트를 포함한다. 버클부는 일반적으로 시트 벨트, 예컨대 일단은 버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차체에 고정되는 웨빙 또는 케이블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차체 또는 시트 구조물에 장착된다. The seat belt system includes a seat belt having a belt tongu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wo basic elements, namely, a buckle portion and a buckle portion. The buckle portion is generally mounted on a seat belt, for example, a body or a seat structure by a webbing or cable or other means,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buckle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상술한 바와 같은 시트 벨트는 일반적으로 리트랙터(retractor)에 연결된다. 리트랙터는 차량의 일 지점에 결합되고, 시트 벨트의 일단은 차량의 다른 앵커 지점에 결합된다. The seat belt as described above is generally connected to a retractor. The retractor is coupled to one point of the vehicle, and one end of the seat belt is coupled to another anchor point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앵커 지점은 탑승자의 아래에 있고, 리트랙션 기구는 탑승자의 어깨 위치 또는 그 위에 있다. 시트 벨트를 앵커 지점에서 차량에 결합하기 위해 앵커 볼트 또는 앵커 리벳을 차체 또는 시트 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한 공압 공구가 사용되거나 요구된다. 이때, 앵커 지점에서 시트 벨트를 결합 또는 해제 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충분하지 못하다. Typically, the anchor point is below the occupant, and the retraction mechanism is at or above the shoulder position of the occupant. A pneumatic tool is used or required to fasten the anchor bolt or anchor rivet to the vehicle body or seat frame to join the seat belt to the vehicle at the anchor point. At this time, there is not enough working space for joining or releasing the seat belt at the anchor point.

한편, 시트가 분리 또는 이동 가능한 미니 밴과 같은 대형 차량에서는 시트 벨트의 일단이 시트 구조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것이 요구 된다. On the other hand, in a large vehicle such as a minivan in which the seat can be separated or moved, one end of the seat belt is required to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seat structure.

US 7,699,401US 7,699,401 US 2012/0139324US 2012/0139324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벨트를 차량에 신속하고 견고하게 결합하고 해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quickly and firmly engaging and disengaging a seat belt on a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그 세로축과 직교된 방향으로 개구된 래치홈을 갖는 벨트 텅; 상기 벨트 텅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하우징 부재; 상기 세로축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부재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벨트 텅의 상기 래치홈과 맞물림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벨트 텅의 상기 래치홈과 분리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래치 부재; 및 상기 래치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바이어스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lt tongue having a latch groove ope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its longitudinal axis; A housing member having a space in which the belt tongue is received; The housing member being disposed in the housing member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of the housing member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and being engaged with the latch groove of the belt tongue at the first position, At least one latch member configured to separate from the latch groove of the belt tongue at a second position; And a biasing member elastically pressing the latch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시트 벨트 결합 장치는 상기 하우징 부재에 상, 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벨트 텅의 세로축에 대하여 직교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2개의 래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 텅은 상기 벨트 텅의 세로축에 대하여 그 개구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벨트 텅의 세로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벨트 텅의 세로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2개의 래치홈을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eat belt engaging device includes two latch member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on the housing member and ar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elt tongue and mov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The belt tongue is arranged so that its openings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elt tongue and are spaced apart along a longitudinal axis of the belt tongue and spaced apa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elt tongue, Grooves.

상기 하우징 부재는 상기 벨트 텅의 세로축에 대하여 직교되고, 상기 벨트 텅의 세로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두 개의 래치홀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 부재의 각각은 상기 래치 부재가 상기 래치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래치홀의 소경부 보다 큰 외경을 갖는 걸림턱부, 및 상기 걸림턱부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래치홀을 관통하는 삽입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housing member includes two latch holes orthogonal to a longitudinal axis of the belt tongue and spaced apart along a longitudinal axis of the belt tongue, the latch members each having a latch member And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end of the latching protrusion and passing through the latch hole.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재에 고정되는 코일부 및 상기 두 개의 래치 부재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iasing member may include a coil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member and a pressing end pressing the two latch members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벨트 텅의 상기 래치홈의 하부에는 상기 벨트 텅의 삽입 시, 상기 래치 부재의 둘레와 접촉하여 상기 두 개의 래치 부재를 상기 벨트 텅의 상기 세로축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들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latch groove of the belt tongue includes sloped surfaces that are til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press the two latch members agains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elt tongue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latch member upon insertion of the belt tongue .

상기 래치 부재의 적어도 일단에는 공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공구 삽입홀에 삽입되는 해제핀을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end of the latch member is provided with a tool insertion hole, and the release member may include a release pin inserted into the tool insertion hole.

상기 하우징 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래치홀과 대응된 형상을 갖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casing member for receiving the housing member, wherein the casing member may include a through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atch hole of the housing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시트 벨트를 차체 또는 시트 프레임의 일측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belt can be easily and firmly engaged and separat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or the seat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결합 장치의 구성을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트 벨트 결합 장치를 분리해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결합 장치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결합 장치의 벨트 텅이 초기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결합 장치 벨트 텅의 가이드 면이 래치 부재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결합 장치의 래칭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결합 장치의 언-래칭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belt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at belt engaging device of Fig. 1 separated; Fig.
3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of a seat belt coup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lt tongue of the seat belt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itially inserted.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surface of a belt tongue of a seat belt engaging device is in contact with a latch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latching state of a seat belt eng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unlatching state of a seat belt eng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이하에서, 벨트 텅이 하우징 부재에 삽입되는 방향을 “하향”이라 하고, 벨트 텅이 하우징 부재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을 “상향”이라 정의한다. Hereinaft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lt tongu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member is referred to as " downward ",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lt tongue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member is defined as " upwar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결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분리해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결합 장치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at belt coup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FIG. 3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of a seat belt coup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시트 벨트 결합 장치(1)는 벨트 텅(10), 케이싱 부재(20), 하우징 부재(30), 래치 부재(50), 바이어스 부재(70), 및 해제 부재(90)을 포함한다. 1 to 3, a seat belt engaging device 1 includes a belt tongue 10, a casing member 20, a housing member 30, a latch member 50, a biasing member 70, (90).

케이싱 부재(20)는 유연한 물질, 예컨대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성된 제1,2 케이싱(21,23)을 포함한다. The casing member 20 includes first and second casings 21 and 23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plastic material.

하우징 부재(30)는 케이싱 부재(20)의 내부에 수용되며, 금속성 물질을 포함한다. 하우징 부재(30)는 그 내부에 벨트 텅(10)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이 제공된다. 하우징 부재(30)내에 래치 부재(50) 및 바이어스 부재(70)가 결합된다. The housing member 30 is accommodated in the casing member 20 and includes a metallic material. The housing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into which the belt tongue 10 is inserted. The latch member 50 and the biasing member 70 are engaged in the housing member 30. [

하우징 부재(3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하우징 플레이트(31,33)를 포함한다. 하우징 플레이트(31)의 가장 자리에는 걸림홈(31a)이 구비되고, 하우징 플레이트(33)의 가장 자리에는 걸림홈(31a)에 걸리는 걸림턱(33a)이 구비된다. The housing member 30 includes two housing plates 31, 33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housing plate 31 is provided with a latching groove 31a at its edge and a latching protrusion 33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ousing plate 33 to latch the latching groove 31a.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하우징 플레이트(31)의 가장 자리에 걸림턱이 구비되고, 하우징 플레이트(33)의 가장 자리에 걸림홈이 구비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late 31 is provided with a latching jaw at its edge, and a latching groove may b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housing plate 33.

벨트 텅(10)은 시트 벨트(3)가 결합되는 벨트 연결부(11)와, 하우징 부재(10)내로 삽입되는 래치부(13)를 포함한다. 래치부(13)는 하우징 부재(30)의 일측으로 삽입되고, 벨트 텅(10)의 래치부(13)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래치홈(13a, 13b)을 포함한다. The belt tongue 10 includes a belt connecting portion 11 to which the seat belt 3 is engaged and a latch portion 13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member 10. [ The latch portion 13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housing member 30 and includes at least one latch groove 13a and 13b formed at on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tch portion 13 of the belt tongue 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벨트 텅(10)은 벨트 텅(10)의 세로축(L)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두 개의 래치홈(13a, 13b)을 포함한다. 래치홈(13a, 13b)은 벨트 텅(10)의 세로축(L)을 따라 일정 간격(D1)만큼 이격되고, 벨트 텅(10)의 세로축(L)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개구(O1, 02)를 갖도록 구성된다. 래치홈(13a, 13b)은 벨트 텅(10)의 세로축(L)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D2) 이격된다. 간격(D2)은 래치 부재(50)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래치 부재(50) 해제 시, 벨트 텅(10)이 래치 부재(5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lt tongue 10 includes two latch grooves 13a, 13b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bout a longitudinal axis L of the belt tongue 10. The latch grooves 13a and 13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1 along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belt tongue 10 and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belt tongue 10, . The latch grooves 13a and 13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2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belt tongue 10. [ The distance D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tch member 50 to prevent the belt tongue 10 from interfering with the latch member 50 when the latch member 50 is released.

벨트 텅(10)은 래치홈(13a, 13b)의 하부에 연장된 경사면(13d, 13e)을 포함한다. The belt tongue 10 includes sloped surfaces 13d and 13e extending under the latch grooves 13a and 13b.

래치 부재(50)는 하우징 부재(30)의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 사이에서 직선 이동하도록 하우징 부재(30)에 결합된다. 래치 부재(50)는 제1 위치(P1)에서 벨트 텅(10)의 래치홈(13a)과 맞물림되고, 제2 위치(P2)에서 벨트 텅(10)의 래치홈(13a)과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제1 위치(P1)는 래치 부재(50)의 래칭 위치이고, 제2 위치(P2)는 래치 부재(50)의 언-래칭 위치이다.The latch member 50 is coupled to the housing member 30 to move linearly between the first position Pl and the second position P2 of the housing member 30. [ The latch member 50 is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latch groove 13a of the belt tongue 10 at the first position P1 and separated from the latch groove 13a of the belt tongue 10 at the second position P2. do. The first position Pl is the latching position of the latch member 50 and the second position P2 is the unlatching position of the latch member 50. [

하우징 플레이트(31,33)에는 벨트 텅(10)의 세로축(L)에 대하여 대략 직교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래치홀(35)을 포함한다. 래치홀(35)은 장공 형상을 갖는다. 래치홀(35)은 벨트 텅(10)의 세로축(L)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래치홀(35)의 제1 위치(P1)에서 래치 부재(50)가 벨트 텅(10)의 래치홈(13a, 13b)에 걸리고, 래치홀(35)의 제2 위치(P2)에서 래치 부재(50)는 벨트 텅(10)의 래치홈(13a,13b)으로부터 해제된다. The housing plates 31 and 33 include latch holes 35 formed elongat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belt tongue 10. The latch hole 35 has a long hole shape. The latch holes 35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belt tongue 10. The latch member 50 is engaged with the latch grooves 13a and 13b of the belt tongue 10 at the first position P1 of the latch hole 35 and the latch member 35 is engaged with the latch member 35 at the second position P2 of the latch hole 35, (50) is released from the latch grooves (13a, 13b) of the belt tongue (10).

래치홀(35)은 하우징 부재(3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D3)을 두고 배치된다. 래치홀(35)은 벨트 텅(10)의 래치홈(31a, 13b)와 실질적으로 대응되게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두 개의 래치 부재(50)가 벨트 텅(10)의 세로축(l)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두 개의 래치 부재(50)는 벨트 텅(10)의 래칭 및 언-래칭 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The latch holes 35 are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using member 30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D3 therebetween. The latch holes 35 are vertically arranged to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latch grooves 31a, 13b of the belt tongue 10. This configuration prevents the two latch members 50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when linearly moving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1 of the belt tongue 10. The two latch members 50 ar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latching and unlatching the belt tongue 10.

래치 부재(50)는 하우징 부재(30)내에 수용되고 래치홀(35)을 통하여 벨트 텅(10)의 세로축(L)과 대략 직교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래치 부재(50)는 하우징 부재(30) 내에 수용되고, 래치홀(35)의 소경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걸림턱부(51)를 포함하고, 걸림턱부(51)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래치홀(35)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53)를 포함한다. 삽입 돌기(53)는 래치홀(35)의 소경부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래치홀(35)을 따라 원활하게 직선 이동한다. The latch member 50 is received in the housing member 30 and movably coupled through the latch hole 35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belt tongue 10. The latch member 5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member 30 and includes a latching jaw portion 51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latch hole 35. The latch member 50 is projected from at least one end of the latching jaw portion 51, And an insertion protrusion 53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5. The insertion protrusion 53 is formed so as to have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latch hole 35 and smoothly moves along the latch hole 35.

래치 부재(50)의 적어도 일단에는 해제 시 해제 부재(9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구 삽입홀(54)이 형성된다. At least one end of the latch member 50 is formed with a tool insertion hole 54 into which the releasing member 90 can be inserted when releasing it.

바이어스 부재(70)는 하우징 부재(30)의 내부에 일정 위치로 고정되는 코일부(71) 및 코일부(71)로부터 연장되어 래치 부재(50)를 제1 위치(P1)로 탄성 가압하는 가압단(73,75)을 포함한다. 가압단(73,75)는 상, 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래치 부재(50)의 사이에 배치된다. The biasing member 70 includes a coil portion 71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housing member 30 and a pressing portion 70 extending from the coil portion 71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latch member 50 to the first position P1. (73,75). The pressing ends 73 and 75 are disposed between the two latch members 5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바이어스 부재(70)는 하우징 부재(30)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81)에 의해 하우징 부재(30)내에 결합된다. 체결 부재(81)는 하우징 부재(30) 내부를 관통하고, 바이어스 부재(70)의 코일부(71)가 체결 부재(81)의 지주(stem) 외면에 끼워진다. 바이어스 부재(70)을 체결 부재(81)의 지주 외면에 끼운 후, 와셔 부재(83)를 하우징 부재(30)의 외부로 돌출된 체결부재(81)의 지주의 단부에 체결한다. 그리하여 바이어스 부재(70)가 하우징 부재(30)내에 일정 위치로 위치한다. The biasing member 70 is engaged within the housing member 30 by a fastening member 81 which penetrates the housing member 30. The fastening member 81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housing member 30 and the coil portion 71 of the biasing member 70 is fitted to the stem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81. [ The washer member 83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strut of the fastening member 81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member 30 after the biasing member 70 is fitted to the strut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81. [ So that the biasing member 70 is positioned in the housing member 3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바이어스 부재(70)의 코일부(71)는 하우징 부재(30)의 내부에 돌출된 돌기에 외감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portion 71 of the biasing member 70 may be externally projected on the protrusion of the housing member 30.

케이싱 부재(20)는 벨트 텅(10)이 삽입되는 텅 삽입구(25) 및 텅 삽입구(25)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케이블(7)이 삽입되는 케입블 삽입구(27)를 포함한다. 케이싱 부재(20)는 하우징 부재(30)의 래치홀(35)과 대응되게 관통홀(24)이 형성된다. 관통홀(24)은 래치 부재(50)의 공구 삽입홀(54)을 케이싱 부재(20)의 외부로 노출 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벨트 텅(10)을 해제할 경우 해제 부재(90)를 관통홀(29)을 통하여 래치 부재(50)의 공구 삽입홀(54)에 끼울 수 있다. 그 결과, 케이싱 부재(20)를 분리하지 않고 용이하게 벨트 텅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The casing member 20 includes a tongue insertion port 25 into which the belt tongue 10 is inserted and a casting insertion port 27 into which the cable 7 is inserted so as to face the tongue insertion port 25. The casing member 2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4 so as to correspond to the latch hole 35 of the housing member 30. The through hole 24 exposes the tool insertion hole 54 of the latch member 50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member 20. The releasing member 90 can be inserted into the tool insertion hole 54 of the latch member 50 through the through hole 29 when the belt tongue 10 is released. As a result, the belt tongue releas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separating the casing member 20.

해제 부재(90)는 래치 부재(50)의 공구 삽입홀(54)에 삽입되는 핀형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로 해제 부재(90)는 래치 부재(50)의 단부를 케이싱 부재(20)의 관통홀(24)을 통하여 케이싱 부재(2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작업자가 래치 부재(50)를 해제 방향(B)으로 쉽게 가압하도록 래치 부재(50)의 단부에 결합된 노브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leasing member 90 includes a pin-shaped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tool insertion hole 54 of the latch member 50. The releasing member 9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latch member 50 protrudes out of the casing member 20 through the through hole 24 of the casing member 20, A knob member coupled to an end of the latch member 50 to easily press the latch member 50 in the release direction B, and the like.

케이블(7)은 케이블 삽입구(27)를 통해 하우징 부재(30) 내에 고정되는 일단 및 도시되지 않은 프리텐셔너에 연결되어 차량 충돌(crash) 또는 차량 충돌 직전(pre-crash)과 같은 위험 상황이 감지 된 경우, 프리텐셔너에 의해 인장되도록 구성된 타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을 통하여 차량 충돌(crash) 또는 차량 충돌 직전(pre-crash)과 같은 위험 상황 시, 시트 벨트(3)가 인장되어 승객 구속력이 증대된다. The cable 7 is connected to one end fixed within the housing member 30 through the cable insertion port 27 and to a not-shown pretensioner so that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a vehicle crash or a pre-crash of the vehicle is detected (Not shown) configured to be tensioned by the pretensioner. Through such driving, the seat belt 3 is pulled up in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a car crash or a pre-crash, so that passenger binding force is increased.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시트 벨트 결합 장치의 래칭(latching), 언-래칭(un-latching) 동작을 설명한다. The following describes the latching and un-latching operation of the seat belt engag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결합 장치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of a seat belt coup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벨트 텅(10)이 하우징 부재(30)의 수용 공간 내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이어스 부재(70)의 두 가압단(73,75)은 래치 부재(50)를 화살표 A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그 결과, 래치 부재(50)는 래치홀(35)의 제1 위치(P1)에 위치한다. 3, with the belt tongue 10 not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member 30, the two pressing ends 73, 75 of the biasing member 70 engage the latch member 50 with the arrow A Lt; / RTI > As a result, the latch member 5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P1 of the latch hole 35.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결합 장치에 벨트 텅이 삽입된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in which a belt tongue is inserted into a seat belt b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벨트 텅(10)의 래치부(13)을 하우징 부재(30)의 내부로 삽입하면, 벨트 텅(10)의 경사면(13d, 13e)의 하부에 래치 부재(50)가 접촉된다. 4, when the latch portion 13 of the belt tongue 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member 30, a latch member 50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s 13d and 13e of the belt tongue 1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결합 장치 벨트 텅의 가이드 면이 래치 부재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surface of a belt tongue of a seat belt engaging device is in contact with a latch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벨트 텅(10)이 하우징 부재(30)의 하부로 더욱 하강하면, 벨트 텅(10)의 경사면(13d, 13e)에 의해 두 개의 래치 부재(50)는 하우징 부재(30)의 래치홀(35)을 따라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된다. 5, when the belt tongue 10 is further lowe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30, the two latch members 50 are biased by the slope 13d, 13e of the belt tongue 10 toward the housing member 3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along with the latch hole 35 of the latch member 35. As shown in Fig.

이때, 래치 부재(50)의 걸림턱부(51)의 외경은 래치홀(35)의 소경부 보다 크게 형성되어 래치홀(35)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하우징 부재(3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latching jaw portion 51 of the latch member 5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mall-diameter portion of the latch hole 35 and smoothly moved inside the housing member 30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latch hole 35 .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는 래치 부재(50)의 힘에 의하여 바이어스 부재(70)의 가압단(73,75)은 각각 벨트 텅(10)의 세로축(L)을 향하여 가압된다. The pressing ends 73 and 75 of the biasing member 70 are pressed toward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belt tongue 10 by the force of the latch member 50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respectivel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결합 장치의 래칭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latching state of a seat belt eng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상태로부터 벨트 텅(10)이 하우징 부재(30)의 하부로 더욱 하강하면, 래치 부재(50)는 벨트 텅(10)의 경사면(13a, 13b)의 상단으로부터 벗어난다. 그 순간, 래치 부재(50)는 바이어스 부재(70)의 가압단(73,75)의 복원력에 의하여 화살표 A방향을 따라 제1 위치(P1)로 가압되어 벨트 텅(10)의 래치홈(13a, 13b)에 걸린다. 6, when the belt tongue 10 further descends from the state of FIG. 5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30, the latch member 50 moves from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s 13a and 13b of the belt tongue 10 Escape. The latch member 50 is urged to the first position P1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pressing ends 73 and 75 of the biasing member 70 so that the latch groove 50a of the latch tongue 10 , 13b.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결합 장치의 언-래칭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n unlatching state of a seat belt eng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벨트 텅(10)를 시트 벨트 결합 장치(1)로부터 해제 하기 위하여 해제 부재(90)를 래치 부재(50)의 공구 삽입홀(54)에 삽입한다. 이때, 케이싱 부재(20)는 관통홀(24)을 포함하여 케이싱 부재(20)를 분리하지 않고 해제 부재(90)를 래치 부재(50)의 공구 삽입홀(54)에 삽입할 수 있다. 1 and 7, the releasing member 90 is inserted into the tool insertion hole 54 of the latch member 50 in order to release the belt tongue 10 from the seat belt engaging device 1. At this time, the casing member 20 can insert the releasing member 90 into the tool insertion hole 54 of the latch member 50 without separating the casing member 20 including the through-hole 24. [

해제 부재(90)를 공구 삽입홀(54)에 삽입한 후, 해제 부재(90)를 화살표 B방향을 따라 벨트 텅(10)의 세로축(L)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래치 부재(50)는 제2 위치(P2)로 위치한다. 제2 위치(P2)에 위치한 두 개의 래치 부재(50)는 벨트 텅(10) 대략 세로축(L)상에 위치하고, 세로축(L)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때, 벨트 텅(10)의 래치홈(13a,13b)은 벨트 텅(10)의 세로축(L)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D2)으로 배치된다. 일정 간격(D2)는 래치 부재(50)의 외경보다 큰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래치 부재(50)는 벨트 텅(10)의 래치홈(13a, 13b)으로부터 해제되어 벨트텅(10)은 래치 부재(50)와 간섭되지 않고, 상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When the releasing member 90 is inserted into the tool insertion hole 54 and then the releasing member 90 is mov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toward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belt tongue 10, 2 position (P2). The two latch members 50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P2 are located on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belt tongue 10 and ar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axis L. [ At this time, the latch grooves 13a and 13b of the belt tongue 10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2 along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belt tongue 10. The predetermined distance D2 has a length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atch member 50. [ The latch member 50 is released from the latch grooves 13a and 13b of the belt tongue 10 so that the belt tongue 10 can be smoothly moved upwar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latch member 50. [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시트 벨트 결합 장치 3: 시트 벨트
10: 벨트 텅 13: 래치부
13a, 13b: 래치홈 13d, 13e: 경사면
20: 케이싱 부재 24: 관통홀
30: 하우징 부재 35: 래치홀
50: 래치 부재 51: 걸림턱부
53: 삽입 돌부 54: 공구 삽입홀
70: 바이어스 부재 90: 해제 부재
1: Seat belt coupling device 3: Seat belt
10: belt tongue 13: latch portion
13a, 13b: latch grooves 13d, 13e:
20: casing member 24: through hole
30: housing member 35: latch hole
50: latch member 51: latching jaw
53: insertion protrusion 54: tool insertion hole
70: bias member 90: release member

Claims (7)

그 세로축과 직교된 방향으로 개구된 래치홈을 갖는 벨트 텅;
상기 벨트 텅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하우징 부재;
상기 세로축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부재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벨트 텅의 상기 래치홈과 맞물림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벨트 텅의 상기 래치홈과 분리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래치 부재; 및
상기 래치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바이어스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A belt tongue having a latch groove ope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its longitudinal axis;
A housing member having a space in which the belt tongue is received;
The housing member being disposed in the housing member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of the housing member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and being engaged with the latch groove of the belt tongue at the first position, At least one latch member configured to separate from the latch groove of the belt tongue at a second position; And
And a biasing member elastically pressing the latch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에 상, 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벨트 텅의 세로축에 대하여 직교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2개의 래치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 텅은 상기 벨트 텅의 상기 세로축을 중심으로 그 개구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벨트 텅의 상기 세로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벨트 텅의 상기 세로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2개의 래치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wo latch member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n the hous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belt tongue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elt tongue and movable in opposite directions,
Wherein the belt tongue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openings of the belt tongu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an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elt tongue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two latch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는 상기 벨트 텅의 상기 세로축에 대하여 직교되고, 상기 벨트 텅의 상기 세로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두 개의 래치홀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 부재의 각각은,
상기 래치 부재가 상기 래치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래치홀의 소경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걸림턱부, 및
상기 걸림턱부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래치홀을 관통하는 삽입 돌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using member includes two latch holes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elt tongue an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elt tongue,
Wherein each of the latch members comprises:
A latching jaw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a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latch hole to prevent the latching member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latch hole,
And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end of the latching protrusion and passing through the latch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재에 고정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두 개의 래치 부재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iasing member includes a coil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member and a pressing end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oil portion to press the two latch member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텅의 상기 래치홈의 하부에는 상기 벨트 텅의 삽입 시, 상기 래치 부재의 둘레와 접촉하여 상기 두 개의 래치 부재를 상기 벨트 텅의 상기 세로축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들이 형성된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lower portion of the latch groove of the belt tongue includes sloped surfaces that are til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press the two latch members agains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elt tongue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latch member upon insertion of the belt tongue Wherein the seat belt is engaged with the seat bel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의 적어도 일단에는 공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공구 삽입홀에 삽입되는 해제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end of the latch member is provided with a tool insertion hole,
Wherein the releasing member includes a releasing pin inserted into the tool insertion ho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래치홀과 대응된 형상을 갖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casing member for housing said housing member,
Wherein the casing member includes a through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atch hole of the housing member.
KR1020140093172A 2014-07-23 2014-07-23 Seat belt coupl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6745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172A KR101674507B1 (en) 2014-07-23 2014-07-23 Seat belt coupling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172A KR101674507B1 (en) 2014-07-23 2014-07-23 Seat belt coupling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901A true KR20160011901A (en) 2016-02-02
KR101674507B1 KR101674507B1 (en) 2016-11-10

Family

ID=55354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172A KR101674507B1 (en) 2014-07-23 2014-07-23 Seat belt coupling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50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696U (en)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Seat belt fastening structure for vehicle
KR19980047913U (en)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Car seat belt locking structure
US20030071453A1 (en) * 2001-10-16 2003-04-17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Tensioner-proof closure for a safety belt
US20040256852A1 (en) * 2003-06-17 2004-12-23 Benedict Charles E. Non-inertial release safety restraint belt buckle system
US7699401B2 (en) 2005-06-10 2010-04-20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seat belt components
US20120139324A1 (en) 2008-12-29 2012-06-07 Ts Tech Co., Ltd. Vehicle sea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696U (en)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Seat belt fastening structure for vehicle
KR19980047913U (en)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Car seat belt locking structure
US20030071453A1 (en) * 2001-10-16 2003-04-17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Tensioner-proof closure for a safety belt
US20040256852A1 (en) * 2003-06-17 2004-12-23 Benedict Charles E. Non-inertial release safety restraint belt buckle system
US7699401B2 (en) 2005-06-10 2010-04-20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seat belt components
US20120139324A1 (en) 2008-12-29 2012-06-07 Ts Tech Co., Ltd.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507B1 (en)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0940B2 (en) Child seat coupling device and child seat
KR1008016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seat belt components
JP2005206146A (en) Quick connecting fastener
JP2007045180A (en) Pretensioner and seat belt device
US20180049522A1 (en) Non-Directional Instant locking fastner
JP4890363B2 (en) Seat belt buckle device
JP2019503247A (en) Strap attachment
US8550036B2 (en) Animal restraint system
US3378301A (en) Shoulder strap-lap belt buckle connector
CN107933449B (en) Rope clip for vehicle
US10791801B2 (en) Seat belt buckle release assist device
KR101674507B1 (en) Seat belt coupl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614495B1 (en) Apparatus for coupling seatbelt of vehicle
CN107235029B (en) Belt buckle stretcher
KR101605810B1 (en) Apparatus for coupling seat belt of vehicle
KR101647447B1 (en) Buckle appartus
US8833790B2 (en) Military vehicle towing assembly
KR101674493B1 (en) Apparatus for coupling seat belt of vehicle
JP6487757B2 (en) Shoulder adjuster for seat belt
JPS595638Y2 (en) Passive belt coupling device
KR101674508B1 (en) Apparatus for coupling seat belt of vehicle
KR20150054571A (en) Seat Belt Apparatus
KR101718688B1 (en) Seat belt coupl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12126254A (en) Buckle and seat belt device having the same
JP2010083151A (en) Tongue stopper and seatbel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